[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10216U - 거푸집 조립체 - Google Patents

거푸집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216U
KR20110010216U KR2020100004263U KR20100004263U KR20110010216U KR 20110010216 U KR20110010216 U KR 20110010216U KR 2020100004263 U KR2020100004263 U KR 2020100004263U KR 20100004263 U KR20100004263 U KR 20100004263U KR 20110010216 U KR20110010216 U KR 201100102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ngle
formwork
variable
variable fi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건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건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건업
Priority to KR2020100004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0216U/ko
Publication of KR201100102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216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3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reinforcing ribs on the under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거푸집 조립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거푸집 조립체는, 연속되며 설치된 거푸집 설치용 패널과; 상기 패널 사이를 연결하며 콘크리트 타설면에 설치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패널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패널과 상기 연결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패널과 상기 연결부재가 일체가 되도록 하는 가변형 필러 앵글과;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과 상기 패널 및 상기 연결부재가 체결되도록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에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에는 다수의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푸집 조립체{FORMWORK ASSEMBLY}
본 고안은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푸집 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고, 거푸집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 그 구조가 개선된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 등과 같이 건물을 건축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 데, 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이 설치(또는 시공)된다.
이러한 거푸집을 종래에는 합판과 각목을 이용하여 제작하였으나, 최근에는 규격화된 유로폼 패널로 된 거푸집이 사용된다.
상기 유로폼 패널을 이용한 거푸집의 설치는, 우선, 유로폼 패널과 유로폼 패널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각각 양측면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기 유로폼 패널과 유로폼 패널 사이에 고정부재를 끼운 후, 이들을 결합용 타이로 서로 고정함으로써 연속적이거나 또는 단락된 거푸집을 설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로폼 패널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조립하는 경우, 유로폼 패널이 일정 규격으로 정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범위에 맞추어 거푸집이 설치되지 않고, 거푸집을 이루는 유로폼 패널과 유로폼 패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에 따라 상기 거푸집을 이루는 유로폼 패널과 유로폼 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채우기 위해 별도의 부재를 공간부에 인입하거나 하는 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인입된 별도의 부재가 이탈되어 콘크리트가 제대로 타설되지 않거나, 또는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구축물의 외벽면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된다.
즉, 상기 유로폼 패널과 유로폼 패널 사이의 공간부에 별도의 부재 예컨대, 각목 등을 여러 개 인입하여 공간부를 채운 후, 또 다른 각목을 이용하여 공간부에 인입되어 채워진 각목들이 상기 공간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는 있으나,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타설되는 콘크리트 하중에 의해 상기 각목이 이탈되기 때문에, 결국 공간부에 채워진 각목들이 유동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로폼 패널 거푸집의 스페이서 및 체결핀을 고안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유로폼 패널간의 형성된 공간부에 스페이서를 인입하여 공간부를 채운다 하더라도, 스페이서와 스페이서 사이가 제대로 밀착되지 않아 그 사이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새어 나와 구축된 외벽면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보수작업을 요하는 등의 문제점과 함께 추가적인 비용이 든다.
또한, 유로폼 패널과 유로폼 패널간의 공간이 넓어 스페이서를 하나 이상으로 접하여 연결할 경우, 스페이서에 다수 개가 형성된 홈을 통해 콘크리트가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부재를 일일이 끼워야 하기 때문에 비용의 증대를 가져오는 등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거푸집의 패널 사이에 발생되는 공간을 간단하게 채우는 것은 물론이고, 거푸집의 설치(또는 시공)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한 거푸집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거푸집 조립체는, 연속되며 설치된 거푸집 설치용 패널과; 상기 패널 사이를 연결하며 콘크리트 타설면에 설치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패널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패널과 상기 연결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패널과 상기 연결부재가 일체가 되도록 하는 가변형 필러 앵글과;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과 상기 패널 및 상기 연결부재가 체결되도록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에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에는 다수의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거푸집을 설치함에 있어서, 거푸집 패널들을 서로 연결하는 과정 중에 패널과 패널 사이에 발생되는 불규칙한 공간을 채울 수 있도록 (또는 공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패널과 패널 사이에 합판과 같은 연결부재를 설치하고, 여기에 여러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ㄱ'자 앵글을 이용하여 패널들과 연결부재를 적절하게 체결함으로써, 패널들과 연결부재가 간단하게 일체화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앵글만 해체하면, 거푸집의 해체도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거푸집을 신속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 효율성과 작업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거푸집 설치시 소요되는 각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소모성 폐기물을 줄일 수 있고, 거푸집 자재들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거푸집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1b는 도 1a의 평면도.
도 2는 가변형 필러 앵글의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정면도.
도 3b는 도 2의 평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4b는 도 4a의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를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도 1a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는, 연속되며 설치된 거푸집 시공용 패널(10)과, 이 패널(10) 사이를 연결하며 콘크리트 타설면에 설치된 연결부재(20)와, 이 연결부재(20)와 패널(10)에 각각 고정되어 패널(10)과 연결부재(20)를 연결하여 패널(10)과 연결부재(20)가 일체가 되도록 하는 가변형 필러 앵글(40)과, 이 가변형 필러 앵글(40)과 패널(10) 및 연결부재(20)가 체결되도록 가변형 필러 앵글(40)에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패널(10)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유로폼 패널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 후술하는 도 4a 및 도 4b의 알루미늄폼 패널(30)을 포함하며, 즉 거푸집에 사용되는 모든 패널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정한 패널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0)는 예컨대, 12mm 나무 판재인 합판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정한 합판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에는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4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a에는 도 2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b에는 도 2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4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40)은 'ㄱ'자형 앵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러한 가변형 필러 앵글(40)은 철(steel) 또는 알루미늄(Al) 소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40)은 'ㄱ'자형 50mm×50mm 앵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변형 필러 앵글(40)의 일측면(42)에는 체결부재로서 웨지핀(51) 및 리벳(52)을 체결하기 위해 일정 간격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다수의 웨지홀(43)과 리벳홀(45)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42)과 대향되는 타측면(41)에는 체결부재로서 후술하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핀(61) 및 리벳(52)을 체결하기 위해 일정 간격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다수의 핀홀(44)과 리벳홀(45)이 형성된다.
이러한 웨지홀(43)은 웨지핀(51)의 형상으로 인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핀홀(44)도 원형핀(61)의 형상으로 인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핀홀(44)은 예컨대, 지름이 15.6mm 또는 16.5mm로 형성된 장공홀로 이루어지며, 이 장공홀의 직선 길이는 원형핀(61)의 공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지홀(43)과 상기 핀홀(44)은 웨지핀(51)과 원형핀(61)을 거푸집의 설치(또는 시공)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동일 간격 및 동일 선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벳홀(45)은 일정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150mm 간격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리벳홀(45)에는 리벳(52), 고정못(미도시), 또는 스크루(미도시) 중 어느 하나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40)의 길이는 거푸집의 길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1200mm, 또는 2400mm∼4000mm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을 설치하는 데 있어, 유로폼 패널과 같은 거푸집용 패널(10)을 연속하여 연결하여 거푸집을 시공한다.
이때, 거푸집용 패널(10)과 패널(10) 사이에는 불규칙한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불규칙한 공간을 채우기 위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0)를 패널(10)과 패널(10) 사이에 설치한 후, 'ㄱ'자형 가변형 필러 앵글(40)을 패널(10)과 연결부재(20)에 각각 밀착시킨다.
특히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40)을 패널(10)과 연결부재(20)에 밀착시키는데 있어서, 패널(10)측에는 웨지핀(51)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하고, 연결부재(20)에는 리벳(52)이 체결될 수 있도록 가변형 필러 앵글(40)을 밀착시킨다.
그런 후,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40)과 패널(10)은 웨지홀(43)을 이용하여 웨지핀(51)으로 체결하고, 연결부재(20)와 가변형 필러 앵글(40)은 리벳홀(45)을 이용하여 리벳(52)을 체결(리벳팅)한다.
그리고 상기 웨지핀(51)을 체결한 후, 웨지핀(51)에 형성된 각 결합홀에 다른 웨지핀(51)을 결합하여 완전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의 경우에는 상기 패널(10)은 유로폼 패널(10)이 적용된 경우를 들어 설명한 것이다.
도 4a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를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도 4a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의 경우에는 다른 실시예의 특징만을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는, 일측의 거푸집을 이루는 패널(10)은 유로폼 패널이고, 타측은 알루미늄폼 패널(30)이 적용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40)을 유로폼 패널(10)과 연결부재(20)에 밀착시키는데 있어서, 일측의 유로폼 패널(10)측에는 웨지핀(51)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하고, 타측의 알루미늄폼 패널(30)측에는 원형핀(61)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연결부재(20)에는 일 실시예와 같이 리벳(52)이 체결될 수 있도록 가변형 필러 앵글(40)을 밀착시킨다.
그런 후,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40)과 알루미늄폼 패널(10)은 가변형 필러 앵글(40)의 핀홀(44)을 이용하여 원형핀(61)으로 체결하고, 연결부재(20)와 가변형 필러 앵글(40)은 리벳홀(45)을 이용하여 리벳(52)을 체결(리벳팅)한다.
상기와 같은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웨지핀(51) 및 원형핀(61)을 체결한 후, 웨지핀(51)과 원형핀(61)에 형성된 각 결합홀에 다른 웨지핀(51)이나 고정핀(62)을 각각 결합하여 완전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리벳(52)의 대용으로 고정못이나 스크루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는, 철 또는 알루미늄 소재 및 'ㄱ'자 앵글(40) 중 일측면(42)에는 핀홀(44)을, 타측면(41)에는 웨지홀(43)을 각각 형성한 가변형 필러 앵글(40)을 준비하여 거푸집 설치(또는 시공시)시에 패널(10)간의 불규칙한 공간이 발생되면,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40)을 이용하여 거푸집간 웨지핀(51)과 원형핀(61)을 각각 사용하거나 혼용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타설면에 연결부재(20)를 고정못이나 나사, 리벳(52)을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거푸집간 일체화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30. 패널
20. 연결부재
40. 가변형 필러 앵글
43. 웨지홀
44. 핀홀
45. 리벳홀
51. 웨지핀
52. 리벳
61. 원형핀

Claims (10)

  1. 연속되며 설치된 거푸집 설치용 패널과;
    상기 패널 사이를 연결하며 콘크리트 타설면에 설치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패널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패널과 상기 연결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패널과 상기 연결부재가 일체가 되도록 하는 가변형 필러 앵글과;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과 상기 패널 및 상기 연결부재가 체결되도록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에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에는 다수의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은 'ㄱ'자형 앵글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은 철 또는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은 50mm×50mm 앵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의 일측면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일정 간격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다수의 웨지홀과 리벳홀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는 일정 간격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다수의 핀홀과 리벳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홀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핀홀은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은 장공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홀과 상기 핀홀은 동일 간격 및 동일 선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홀은 150mm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홀에는 리벳, 고정못, 또는 스크루 중 어느 하나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필러 앵글의 길이는 1200mm, 또는 2400mm∼4000mm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
KR2020100004263U 2010-04-22 2010-04-22 거푸집 조립체 Ceased KR201100102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263U KR20110010216U (ko) 2010-04-22 2010-04-22 거푸집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263U KR20110010216U (ko) 2010-04-22 2010-04-22 거푸집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216U true KR20110010216U (ko) 2011-10-28

Family

ID=7288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263U Ceased KR20110010216U (ko) 2010-04-22 2010-04-22 거푸집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021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5291B2 (ja) 隣地空無し、鉄筋コンクリート建物を成形する外断熱の透明仮枠構造
KR101585942B1 (ko) 콘크리트 타설용 마감부재
KR101018411B1 (ko) 골 데크플레이트용 보 옆판 거푸집 및 그를 사용한 춤이 깊은 골 데크플레이트 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JPWO2006129801A1 (ja) 内外装材下地兼用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工法
KR100918042B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
KR100788742B1 (ko) 협소한 공간을 마무리하기 위한 데크의 결합구조
WO2016203483A1 (en) Composite framing and wall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20110010216U (ko) 거푸집 조립체
KR200414945Y1 (ko) 유러폼의 슬라브 타설용 데크패널
KR200384386Y1 (ko) 거푸집용 다용도 유로폼
KR200486761Y1 (ko)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
JP5771467B2 (ja) 建物ユニット位置決め構造および建物ユニット位置決め方法ならびにユニットガイドの設置方法
KR102247573B1 (ko) 건축물의 벽체구조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KR100757030B1 (ko) 거푸집 상부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86030B1 (ko)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어셈블리
KR101615270B1 (ko) 콘크리트 일체화 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KR200415591Y1 (ko) 슬래브 공사용 유로폼
KR200408443Y1 (ko)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알루미늄 패널
JP6577756B2 (ja) 型枠構造物
KR20130092760A (ko) 합판 보강용 목심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거푸집조립체
KR101320697B1 (ko) 거푸집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 방법
CN217998929U (zh) 构造柱模壳用浇筑模具
KR100663378B1 (ko) 거푸집용 다용도 유로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42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1117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20430

AMND Amendment
U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4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9012R01I

U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206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4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4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11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X06013S01I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730

Effective date: 20120730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code: UJ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30

Patent event code: UJ02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7

Patent event code: UJ02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30

Appeal identifier: 2012101006979

Request date: 20120730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20730

UJ1201 Withdrawal of trial

Patent event code: U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120730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12101006979

Decision date: 20120730

Request date: 20120730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code: UJ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27

Patent event code: UJ02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7

Patent event code: UJ02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30

Appeal identifier: 2012101007672

Request date: 20120827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3050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827

Effective date: 20130502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130502

Patent event code: UJ13011S01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2101007672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30502

Request date: 2012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