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08290A - 2개의 도메인들에서의 리소스 할당 - Google Patents

2개의 도메인들에서의 리소스 할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290A
KR20110008290A KR1020107026516A KR20107026516A KR20110008290A KR 20110008290 A KR20110008290 A KR 20110008290A KR 1020107026516 A KR1020107026516 A KR 1020107026516A KR 20107026516 A KR20107026516 A KR 20107026516A KR 20110008290 A KR20110008290 A KR 20110008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ain
secondary station
station
stolen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2771B1 (ko
Inventor
티모시 제이. 모울슬리
메튜 피.제이. 베이커
마일로스 테사노빅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10008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7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 스테이션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1차 스테이션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1차 스테이션에서, 2차 스테이션으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리소스 블록들을 할당하기 위한 리소스 할당 메시지를 시그널링 채널 상으로 2차 스테이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는 제 1 도메인에서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필드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는 제 1 도메인과 상이한 제 2 도메인에서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해 도용된다(stolen).

Description

2개의 도메인들에서의 리소스 할당{RESOURCE ALLOCATION IN TWO DOMAINS}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면 UMTS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통신 시스템들은 이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송신 리소스들을 상이한 노드들에 할당하는 책임을 지는 중앙 집중식 스케줄러를 이용하여 동작한다.
통상적인 예는 UMTS LTE(Long Term Evolution)의 업링크이며, 여기서 사용자 기기들(UE들; User Equipments)이라고도 명명된 상이한 2차 스테이션들로부터의 업링크 및 송신들은 진화된 노드 B(eNB)라고도 명명된 셀의 1차 스테이션에 의해 시간 및 주파수로 스케줄링된다. 1차 스테이션은, 2차 스테이션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특정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나타내는, 통상적으로 승인 메시지의 송신 후에 약 3ms를 나타내는 "스케줄링 승인(scheduling grant)" 메시지를 2차 스테이션에 송신한다. 승인 메시지는 또한 통상적으로 다른 송신 파라미터들, 예를 들면 2차 스테이션의 송신을 위해 이용될 데이터 레이트 또는 전력을 지정한다.
2차 스테이션이 통신 범위의 한계, 예를 들면 셀 에지에 있다면, 업링크 송신 레이트는 통상적으로 2차 스테이션의 이용 가능한 송신 전력에 의해 제한된다. 이러한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소량의 리소스 및 시간 도메인에서의 연장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방식은 예를 들면 LTE에 대한 3GPP에서 이미 제안되었고, "TTI 번들링(bundling)"으로서 알려져 있으며, TTI는 송신 시간 간격이다. 여기서, 2차 스테이션은 주파수 도메인(예를 들면, 1 리소스 블록)에서 소량의 리소스를 이용하지만,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걸쳐 연장하는 패킷을 송신한다. TTI 번들에서의 서브프레임들의 수는 현재 반정적으로(semi-statically) - 즉 고차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되며, 이것은 가끔씩 업데이트될 수 있지만 모든 패킷 송신마다 업데이트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고차층 시그널링은 정규 시그널링보다 느리다. TTI 번들링은, 단 하나의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만 필요하고 전체 번들에 대해 단 하나의 ACK/NACK만 송신되어야 하기 때문에, 연속하는 서브프레임들을 통해 다중 송신들을 송신하는 것보다 더욱 효율적이다. TTI 번들링의 이용(및 번들 크기)은 예를 들면 고차층 시그널링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된다. TTI 번들링 방식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매우 작은 리소스 할당들이 적합하며(예를 들면 1RB), 데이터 패킷 크기가 가변하지 않는 VoIP의 경우에 적용되도록 의도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다루어진 문제는 현재 이용 가능한 시그널링 채널들이 라디오 채널의 변경들 및/또는 변경하는 패킷 크기들을 매칭하는 것이 바람직한 번들링의 정도를 동적으로 변경하는데 효과적이지 않거나 직시된 애플리케이션에 효율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욱 동적인 번들링 방식으로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소된 시그널링을 필요로 하는 번들에서 링크된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라, 2차 스테이션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1차 스테이션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1차 스테이션에서, 2차 스테이션으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리소스 블록들을 할당하기 위한 리소스 할당 메시지를 시그널링 채널 상으로 2차 스테이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는 제 1 도메인에서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필드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는 제 1 도메인과 상이한 제 2 도메인에서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해 도용되는(stolen), 데이터 송신 방법이 제안된다.
결과적으로, 시간에서 리소스들의 수 또는 번들의 크기는 각각의 2차 스테이션의 필요에 따라, 그들의 이용 가능한 데이터 레이트에 의존하여 조정될 수 있다. 더욱이, 제안된 솔루션은, 리소스 블록들의 할당에 관련된 제어 메시지가 정규 제어 메시지와 동일한 크기일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시그널링을 유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변형에서, 리소스 블록들은 번들로 송신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라, 2차 스테이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1차 스테이션으로서, 상기 송신 수단은 2차 스테이션으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리소스 블록들을 할당하는 리소스 할당 메시지를 시그널링 채널 상으로 2차 스테이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시지는 제 1 도메인에서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필드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는 제 1 도메인과 상이한 제 2 도메인에서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해 도용되는, 1차 스테이션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2차 스테이션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1차 스테이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1차 스테이션에서, 2차 스테이션으로부터 데이터의 번들 송신을 위해 리소스 블록들을 할당하는 리소스 할당 메시지를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2차 스테이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리소스 블록들의 수는 송신될 패킷의 크기에 의존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태들은 이후에 기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부터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예의 방식으로 더욱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양태가 구현되는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통신 시스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할당된 리소스들의 표현도.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할당된 리소스들의 표현도.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과 같은 1차 스테이션(100)과 이동국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2차 스테이션(200)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300)에 관한 것이다.
무선 시스템(300)은 복수의 1차 스테이션들(100) 및/또는 복수의 2차 스테이션들(200)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스테이션(100)은 송신기 수단(110) 및 수신 수단(120)을 포함한다. 송신기 수단(110)의 출력 및 수신 수단(120)의 입력은 결합 수단(140)에 의해 안테나(130)에 결합되며, 결합 수단(140)은 예를 들면 서큘레이터(circulator) 또는 체인지오버 스위치(changeover switch)일 수 있다. 송신기 수단(110) 및 수신 수단(120)에 결합된 제어 수단(150)은 예를 들어 처리기일 수 있다. 2차 스테이션(200)은 송신기 수단(210) 및 수신 수단(220)을 포함한다. 송신기 수단(210)의 출력 및 수신 수단(220)의 입력은 결합 수단(240)에 의해 안테나(230)에 결합되며, 결합 수단(240)은 예를 들면 서큘레이터 또는 체인지오버 스위치일 수 있다. 송신기 수단(210) 및 수신 수단(220)에 결합된 제어 수단(250)은 예를 들어 처리기일 수 있다. 1차 무선 스테이션(100)으로부터 2차 스테이션(200)으로의 송신은 제 1 채널(160)에서 발생하고, 2차 무선 스테이션(200)으로부터 1차 스테이션(100)으로의 송신은 제 2 채널(260)에서 발생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2차 스테이션(200a)이 셀 에지R에 위치되면, 기지국(100)에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송신 전력은 업링크 데이터 레이트가 감소되어야 할 만큼 높다.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시간에 걸쳐 복수의 리소스 블록들을 통해 패킷이 송신되어야 하는 번들링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제안된다.
본 발명은, 2차 스테이션에 할당된 리소스 블록들의 수 및 특정 실시예에서 번들에서의 TTI들의 수를 동적으로 변경하는 능력을 포함하고 다양한 패킷 크기들로 적응된 새로운 물리적 제어 채널 시그널링 포맷들이 필요하다는 인식으로부터 비롯된다. 예를 들면, 번들에서 할당된 리소스 블록들의 수의 변동은 채널 상태들 또는 이용 가능한 송신 전력에 의해 제한되는 도달 가능한 데이터 레이트, 채널 품질 정보, 또는 송신될 데이터의 우선순위와 같은 여러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변형에 따라, 번들에서의 TTI들 또는 리소스 블록들의 수는 패킷들의 크기에 의존한다.
이것은 다음을 허용한다:
● 가변 크기 패킷들은 번들에서의 TTI들의 수를 동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지원될 수 있다. (번들에서의 TTI들의 수를 동적으로 변경하는 능력없이, 고차층 시그널링에 의해 추정된 크기보다 큰 데이터 패킷이 더 작은 패킷들로 세그먼트되어야 하며, 이들 각각은 그들 자신의 제어 시그널링 메시지를 필요로 한다. 이것은 높은 제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유발한다.)
● 번들에서의 TTI들의 수를 변경함으로써 송신 채널이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 레이트의 변경들로 시스템을 동적으로 적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음).
● 제어 채널 시그널링 오버헤드는 제어 채널 메시지들의 수 또는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LTE를 이용한 시스템이 제공되며, 1차 스테이션이 업링크에서의 다운링크 승인 리소스들로 PDCCH 메시지들을 가끔 송신한다. PDCCH 메시지는 번들에서의 TTI들의 수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상세에서, 동일한 PDCCH 메시지 크기는 번들링되지 않은 TTI들에 대해서와 같이 번들링된 TTI들에 대해 이용된다. 번들에서의 TTI들의 수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 비트들은 리소스 할당을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 필드로부터 도용된다. 우선적으로, 나머지 비트들은 다수의 RB들보다는 소수의 RB들로의 리소스 할당들을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다. 번들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 비트들의 수는 고차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특수한 경우로서, 예를 들면, 번들링을 나타내거나 나타내지 않는 것과 같은 PDCCH 메시지 내의 비트들의 해석은 번들링이 고차층들에 의해 구성되는지의 여부에 의존할 수 있다.
다른 변형들에서, 번들링이 고차층들에 의해 구성되면, 이것은 번들링이(소정의 번들링 팩터와의) 작은 RB 할당들에만(예를 들면 1RB) 적용되어야 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되며, 여기서 단 하나의 서브캐리어 F3은 정규 할당에서 단 하나 대신에 3개의 연속하는 시간 프레임들에 걸쳐 2차 스테이션에 할당된다.
번들에서의 TTI들이 수의 표시는 다른 시그널링, 예를 들면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또는 고차층 시그널링에 의해 제공된 TTI들의 디폴트 수와의 차이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차 스테이션들은, 번들링 방식을 이용할 때, 번들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TTI들의 수(예를 들면 2개의 TTI들)의 표시를 시그널링하는 고차층에 의해 수신한다. 그 후에, 각각의 2차 스테이션에 대해, 할당된 TTI들의 디폴트 수와의 차이를 나타내기 위해 제어 시그널링이 송신된다. 예를 들면, 3개의 TTI들이 할당되는 도 3에 도시된 경우에, 고려된 2차 스테이션은 실제로 할당된 TTI들의 수가 TTI들의 디폴트 수에 비해 +1인 표시를 개별적인 메시지로 또는 할당과 함께 수신했다. 이것은 제어 시그널링에서 이용된 비트들의 수가 감소되게 허용하고, 따라서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LTE를 이용한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리소스 할당의 크기는 미리 결정되고(예를 들면 1 RB), PDCCH 메시지는 번들 크기를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파수-도메인 리소스 할당을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 필드로부터 도용된 비트들은, 인접하지 않은 주파수-도메인 리소스들이 시그널링될 수 있는 동일한 방식으로 번들로서 다루어지는 시간-도메인에서의 서브 프레임들의 인접하지 않은 세트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송신 레이턴시(transmission latency)가 엄격한 제한들을 받지 않는 경우들에 특히, 시간-다이버시티를 증가시키고 데이터 패킷들의 수신의 신뢰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주기적 송신 패턴을 나타내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는 번들을 형성하는 3개의 할당된 TTI들이 3개의 상이한 서브캐리어들 F3, F2, 및 F1에 걸쳐 분포된 시간 번들의 할당을 도시한다. 이 패턴은 예를 들면 미리 결정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변형에서, 소정의 패턴을 알고 있고 번들에서 할당된 2개의 후속 TTI들을 쉽게 검색할 수 있는 2차 스테이션에 제 1 서브캐리어 F3만이 표시된다. 이 예에서, 할당된 서브캐리어들 사이에 주파수 오프셋이 없지만,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개선하기 위하여, 더 큰 오프셋이 지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상세에서, 주파수 도메인의 리소스 할당의 크기는 고차층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변형에서, TTI 번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PDCCH 메시지 크기는 어떤 다른 목적을 위한(예를 들면, 페이징 메시지들을 나타내기 위해) 메시지 크기와 동일한 크기이다. 이 경우, 2개의 상이한 종류의 메시지들은 플래그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이전에 기술된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송신의 수신의 확인응답 또는 부정 확인응답(ACK/NACK)은 전체 번들의 다음의 수신을 송신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개별적인 ACK/NACK가 번들의 각각의 부분에 대해 송신될 수 있다. 이들 대안들 중 이용되는 것은 고차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리소스 할당 또는 패킷의 크기(고려된 임의의 도메인들에서)에 의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더 작은 리소스 할당들 또는 패킷 크기들에 대한 단일 ACK/NACK를 송신하는 것은 시그널링 오버헤드의 관점들에서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UMTS 및 LTE와 같은 집중식 스케줄링을 활용하는 통신 시스템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2차 스테이션들은 이러한 시스템들에서의 이용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들이고, 1차 스테이션들은 이러한 네트워크들에 대한 기지국들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다른 변형들은 청구된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도면들, 개시내용,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연구에 의해 이해되고 실시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단어 "포함(comprising)"은 다른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고, 부정관사 "한("a" 또는 "an")"은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일 유닛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여러 항목들의 기능들을 이행할 수 있다. 특정 측정들이 서로 상이한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는 사실은 측정된 이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는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다른 하드웨어와 함께 또는 그 일부로서 제공된 고상 매체 또는 광 저장 매체와 같은 적당한 매체에 저장/분배될 수 있지만, 또한 인터넷 또는 다른 유무선 원격통신 시스템들을 통해서와 같이 다른 형태들로 분배될 수도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임의의 참조부호들은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2)

  1. 2차 스테이션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1차 스테이션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1차 스테이션에서, 상기 2차 스테이션으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리소스 블록들을 할당하기 위한 리소스 할당 메시지를 시그널링 채널 상으로 상기 2차 스테이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는 제 1 도메인에서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필드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는 상기 제 1 도메인과 상이한 제 2 도메인에서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해 도용되는(stolen), 데이터 송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메인에서 리소스들을 할당하는 도용된 비트들의 수가 다른 시그널링 채널에 의해 표시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시그널링 채널은 고차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인, 데이터 송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메인은 시간, 주파수, 코드, 안테나, 또는 공간층 중 하나이고, 상기 제 2 도메인은 시간, 코드, 주파수, 안테나, 또는 공간층 중 다른 하나인, 데이터 송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용된 비트들의 수는 상기 리소스 할당의 크기 및 패킷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의존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용된 비트들의 수는 문턱값보다 작은 리소스 할당들에 대해 영이고, 문턱값보다 큰 리소스 할당들에 대해 영보다 큰, 데이터 송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문턱값은 미리 결정되거나 시그널링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용된 비트는 데이터 블록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2차 스테이션에 의해 이용되는 상기 제 2 도메인에서의 리소스 블록들의 불연속 세트를 나타내는, 데이터 송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메인은 시간 도메인이고, 상기 불연속 리소스 블록들의 세트는 주기적인 송신 패턴을 따르는, 데이터 송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메인에서의 상기 리소스 할당의 크기는 고차층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용된 비트들의 수는 상기 필드의 비트들의 수와 동일한, 데이터 송신 방법.
  12. 2차 스테이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1차 스테이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2차 스테이션으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리소스 블록들을 할당하는 리소스 할당 메시지를 시그널링 채널 상으로 상기 2차 스테이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시지는 제 1 도메인에서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필드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는 상기 제 1 도메인과 상이한 제 2 도메인에서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해 도용되는, 1차 스테이션.
KR1020107026516A 2008-04-30 2009-04-21 2개의 도메인들에서의 리소스 할당 Active KR101872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305141.7 2008-04-30
EP08305141 2008-04-30
PCT/IB2009/051637 WO2009133490A1 (en) 2008-04-30 2009-04-21 Resource allocation in two domai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290A true KR20110008290A (ko) 2011-01-26
KR101872771B1 KR101872771B1 (ko) 2018-06-29

Family

ID=40908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516A Active KR101872771B1 (ko) 2008-04-30 2009-04-21 2개의 도메인들에서의 리소스 할당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509171B2 (ko)
EP (1) EP2283684B1 (ko)
JP (1) JP5514192B2 (ko)
KR (1) KR101872771B1 (ko)
CN (1) CN102017754B (ko)
TR (1) TR201905359T4 (ko)
TW (1) TWI472250B (ko)
WO (1) WO20091334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5064B2 (en) * 2010-01-12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Bundl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tructure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9148204B2 (en) * 2010-06-21 2015-09-29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resource block (PRB) bundling for open loop beamforming
JP5590141B2 (ja) * 2010-11-12 2014-09-17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移動局、制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EP2635082A1 (en) * 2012-02-29 2013-09-04 Panasonic Corporation Dynamic subframe bundling
US9635644B2 (en) * 2012-08-10 2017-04-25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coverage enhancements
US10594652B2 (en) 2014-10-16 2020-03-17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utilizing a unified air interface
US10868591B2 (en) 2015-01-21 2020-12-15 Qualcomm Incorporated Spatial and frequency diversity design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s (MTC)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60245B (en) * 1991-10-04 1995-03-08 Technophone Ltd Digital radio receiver
CN1035916C (zh) * 1992-12-30 1997-09-17 科技电话有限公司 数字无线接收器
US5995501A (en) * 1996-12-20 1999-11-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within signaling data over an air interface
EP1059756A1 (en) * 1999-06-09 2000-12-13 Lucent Technologies Inc. Speech transmission over packet switched networks
JP3967115B2 (ja) * 2001-11-22 2007-08-2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無線リソース制御装置、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US7382744B2 (en) * 2005-01-27 2008-06-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the allocation of resources to serve different types of data flow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31583B2 (en) * 2005-03-30 2011-10-04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round trip latency and overhead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US8170047B2 (en) * 2005-05-09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Data transmission with efficient slot and block forma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44465B2 (en) * 2005-06-16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400998B2 (en) * 2006-08-23 2013-03-19 Motorola Mobility Llc Downlink control channel signa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DK2168293T3 (da) * 2007-06-18 2013-07-01 Ericsson Telefon Ab L M Uplink-transmissionsforbedring ved anvendelse af TTI-bundling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062349* *
3GPP R2-074940* *
3GPP R2-081466* *
3GPP R2-08156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10482A (en) 2010-03-01
CN102017754B (zh) 2014-02-26
TR201905359T4 (tr) 2019-05-21
US8509171B2 (en) 2013-08-13
JP2011519540A (ja) 2011-07-07
CN102017754A (zh) 2011-04-13
EP2283684B1 (en) 2019-02-20
KR101872771B1 (ko) 2018-06-29
US20110044277A1 (en) 2011-02-24
WO2009133490A1 (en) 2009-11-05
JP5514192B2 (ja) 2014-06-04
TWI472250B (zh) 2015-02-01
EP2283684A1 (en) 201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75837B2 (ja) 低複雑度の狭帯域端末のためのランダムアクセス手順でのharqメッセージに割り当てられたリソースを示すための方法
US11153886B2 (en) System and method on transmission adaptation for uplink grant-free transmission
KR101421429B1 (ko) Lte 역 링크로의 전력이 제한된 사용자들을 위하여 제어 및 데이터의 멀티플렉싱을 회피하기 위한 조정된 스케줄링 방법에 대한 방법 및 장치
KR100917828B1 (ko) 하향링크 제어 신호 송신 방법
JP5087075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に対する無線リソースの予約
EP2315486A1 (en)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11435878A (zh) 一种信息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KR20140034285A (ko) 스케줄링 요청이 가능하게 된 업링크 전송
US9999066B2 (en) Method and device of resource allocations for scheduling assignments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KR20200036995A (ko) Nr v2x 시스템을 위한 harq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954272A (zh) 一种资源调度方法、装置及系统
KR101872771B1 (ko) 2개의 도메인들에서의 리소스 할당
JP2018503305A (ja) 複数の時間インスタンス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リソーススケジューリング
KR20190034670A (ko) 단축된 프레임 구조들을 이용한 사운딩 피드백
KR2011002160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자원할당 장치 및 방법
US10939425B2 (en) Configuring wireless communications resources
KR101588037B1 (ko) 네트워크 및 그에 대한 무선국들에서 통신하는 방법
JP5226099B2 (ja) ユーザ装置、送信方法、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4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1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5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6040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1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6101002134

Request date: 2016040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213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408

Effective date: 20171116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7111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60408

Decision date: 20171116

Appeal identifier: 2016101002134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05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16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