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561U - Flower pot watering device - Google Patents
Flower pot water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6561U KR20110006561U KR2020090016742U KR20090016742U KR20110006561U KR 20110006561 U KR20110006561 U KR 20110006561U KR 2020090016742 U KR2020090016742 U KR 2020090016742U KR 20090016742 U KR20090016742 U KR 20090016742U KR 20110006561 U KR20110006561 U KR 2011000656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supply
- water
- reservoir
- pot
- ho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204 osmot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6—Reservoirs, separate from plant-pots, dispensing directly into rooting medium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 급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 물을 담을 수 있고 하부는 테라코타 재질이며 상부는 착탈 가능한 급수부 마개에 의해 밀봉되는 급수부; 및 일단은 급수부 내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저수부 내부와 연통되는 호스를 포함하는 화분 급수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 water supply device, the water storage unit is stored; A water supply unit capable of containing water and having a lower portion made of terracotta and an upper portion sealed by a removable water supply cap; And one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of the water supply and the other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of the reservoir.
급수, 화분, 테라코타, 삼투압 Watering, pollen, terracotta, osmotic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분 급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 water supply device.
식물을 재배할 때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물주기이다. 화분에서 생장하는 식물에게는 지속적으로 적절한 물을 공급하여야 한다. 물이 부족한 경우 식물은 빈약한 생장을 하고 말라서 죽을 수 있다. 물이 과다한 경우 식물은 뿌리가 썩어서 쉽게 죽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주기는 경험에 의해 취득한 정보를 이용하거나 식물의 상태를 보고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항상 물을 지나치게 적거나 많게 줄 우려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장시간 부재시에 식물에게 충분한 물을 공급하기 어렵다.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when growing plants is watering. Plants growing in pots should be supplied with adequate water on an ongoing basis. In the absence of water, plants can grow poorly and dry out. If there is excess water, the plant can rot easily due to rotting roots. In general, watering is determined by using information obtained by experience or by viewing the condition of plants. However, there is always the risk of giving too little or too much water. It is also difficult for the user to supply sufficient water to the plant in the absence of a long time.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자동으로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장치가 개발된 바가 있다. 일예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17057호에 개시된 화분은 토양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부(52), 습도 감지부(52)에서 측정된 습도에 기초하여 토양에 수분이 공급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60), 제어부(60)의 판단에 기초하여 토양에 수분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펌프 구동부(71), 및 펌프(30)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항상 전원 및 물 공급원과 연결되어야 한다. 화분의 설치 장소에 따라 항상 전원 및 물을 공급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펌프(30)와 같은 전기, 전자 장치는 전력을 소모하고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장치는 널리 사용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to a pot has been developed. As an example, the potted plant disclosed in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317057 may determine whether moisture should be supplied to the soil based on the humidity measured by the humidity detecting unit 52 and the humidity detecting unit 52 for detecting the humidity of the soil. Disclosed are a control unit 60 for determining, a pump driving unit 71 for controlling to supply water to the soil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control unit 60, and a pump 30. However, these devices must always b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a water source to water the pot. It may not be easy to supply power and water all the time depending on where the pot is installed. In addition,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such as the pump 30 may consume power, generate noise, and may cause a failure. Therefore, such a device is not widely used.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편한 구성을 갖고 동력이 필요없으면서 장시간 동안 화분 내에 수분을 유지시킬 수 있는 화분 급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tted water supply device that can maintain the moisture in the pot for a long time without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and power.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고안은,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 물을 담을 수 있고 하부는 테라코타 재질이며 상부는 착탈 가능한 급수부 마개에 의해 밀봉되는 급수부; 및 일단은 급수부 내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저수부 내부와 연통되는 호스를 포함하는 화분 급수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water storage unit is stored; A water supply unit capable of containing water and having a lower portion made of terracotta and an upper portion sealed by a removable water supply cap; And one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of the water supply and the other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of the reservoir.
저수부 외면 상측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후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저수부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servoir may further include a reservoir fixing part extending horizontally from an upper side of the reservoir outer side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호스의 일단은 급수부의 외벽 또는 급수부 마개에 고정될 수 있다.One end of the hose may be secured to the outer wall of the water supply or the water supply stopper.
저수부 상부를 착탈 가능하게 덮고 상기 호스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저수부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movably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eservoir por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reservoir plug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hose passes.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르면, 화분 내의 토양에 수분이 감소하면 삼투압에 의해 급수부 내의 물이 테라코타를 통해 화분 내로 공급된다. 급수부 내에 물이 감소하면 저수부와 급수부의 압력 차이에 의해 저수부 내에 저장된 물이 급수부로 공급된다. 그리하여 별도의 동력 없이 간이한 구성으로 화분 내의 수분을 일정하게 유지 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the moisture in the soil in the pollen decreases,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part is supplied into the pot through terracotta by osmotic pressure. When water is reduced in the water supply par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part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art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storage part and the water supply par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keep the moisture in the pot constant with a simple configuration without additional power.
저수부 고정부에 의해 저수부는 화분 외벽에 고정될 수 있다. The reservoir may be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pot by the reservoir fixing part.
호스는 급수부의 외벽 또는 급수부 마개에 고정되어 급수부 내부 공간이 외부와 밀봉되게 할 수 있다.The hose may be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water supply or the water supply stopper to allow the water supply inner space to be sealed with the outside.
저수부 마개는 저수부 내에 물을 공급할 때는 제거되고 사용시에는 장착되어 사용시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흔들릴 때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servoir stopper is removed when water is supplied into the reservoir and is mounted during us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during use and to prevent water from overflowing when shaking.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을 기술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급수 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t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화분 급수 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10), 화분의 토양에 삽입되는 급수부(18), 일단은 급수부(18) 내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저수부(10) 내부와 연통되는 호스(2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potted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저수부(10)는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빈 공간을 갖고 상부는 물을 부을 수 있도록 개방된 형태이다. 저수부(10)가 화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저수부(10)의 일면은 화분의 형태에 따라 평면 또는 곡면으로 제작될 수 있다. The
저수부(10)의 외벽에는 저수부(10)를 화분의 외벽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저수부 고정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저수부 고정부(12)는 저수부(10) 외면 상측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후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은 화분의 테두리에 접하고,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은 화분 내의 토양에 삽입된다. 저수부 고정부(12)는 저수부(10)와 축결합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outer wall of the
저수부(10)의 상부에는 저수부(10)를 덮는 저수부 마개(14)가 구비된다. 저수부(10) 내부에 물을 공급할 때 저수부 마개(14)는 제거된다. 사용시에 저수부 마개(14)는 저수부(10) 상부에 부착되어, 화분으로부터 나뭇잎이나 토양이 저수부(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저수부(10)가 흔들릴 때 저수부(10) 내부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저수부 마개(14)에는 호스(26)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16)이 형성될 수 있다.An upper portion of the
급수부(18)는 하부의 테라코타(20), 테라코타(2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급수부 외벽(22), 급수부 외벽(22)에 착탈 가능하고 급수부(18) 내부를 밀봉하는 급수부 마개(24)를 포함한다.The
테라코타(20)는 화분 내의 토양에 삽입된다. 테라코타(20)는 삼투압에 의해 급수부(18)에 담긴 물이 통과하여 토양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서 테라코타(2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원뿔형이다.Terracotta 20 is inserted into the soil in the pot. The
테라코타(20) 상부에는 급수부 외벽(22)이 형성된다. 급수부 외벽(22)은 테라코타(20) 내부 빈 공간과 함께 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급수부 외벽(22)은 생략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급수부 외벽(22) 상부는 탈착 가능한 급수부 마개(24)에 의해 밀봉된다. 급수부(18) 내부에 물을 공급할 때 급수부 마개(24)를 열고 물을 주입할 수 있다. 사용시에는 급수부 마개(24)를 닫아서 외부 공기가 급수부(18)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 록 한다. 급수부 마개(24)는 외부 공기가 급수부(18)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급수부 외벽(22) 상부와 밀착하는 재질로 제작된다. 급수부 외벽(22)이 생략되는 경우, 급수부 마개(24)는 테라코타(20) 상부에 결합할 수 있다.The upper part of the water supply part
급수부 외벽(22) 및 급수부 마개(24)는 물이 통과할 수 없는 재질로서, 예를 들면, 합성수지재로 제작된다. The water supply part
호스(26)의 일단은 급수부(18) 내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저수부 마개(14)의 관통공(16)을 통과하여 저수부(10) 내부와 연통된다. 호스(26)의 일단은 급수부(18)에 담긴 물에 잠길 필요는 없지만, 호스(26)의 타단은 저수부(10)에 담긴 물에 잠겨 있어야 한다. 호스(26)와 급수부 외벽(22) 또는 급수부 마개(24)가 접하는 부위를 통해 외부 공기가 급수부(18)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호스(26)의 일단은 급수부 외벽(22) 또는 급수부 마개(24)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스(26)의 타단 또한 저수부(10)의 하측에 고정되어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One end of the
도 2는 상술한 구성을 가진 화분 급수 장치가 화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급수부(18)의 테라코타(20)는 화분(P)에 담긴 토양(S)에 꽂혀진다. 급수부(18)와 호스(20)를 통해 연결된 저수부(10)는 저수부 고정부(12)에 의해 화분(P)의 측벽에 고정된다. 또는, 저수부(10)는 화분(P)의 측벽이 아닌 다른 장소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2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t water supply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installed in a pot. 2, the
도 3a 내지 3d는 상술한 구성을 가진 화분 급수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급수부 마개(24)가 제거된 상태에서 급수부(18) 내부에 물을 주입한다. 물이 주입되면 급수부 마개(24)를 급수부 외벽(22)에 결합하여 급 수부(18) 내부와 외부를 차단한다. 3A-3D illustrate a method of using a potted water supply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Referring to FIG. 3A, water is injected into the
도 3b를 참조하면, 저수부(10)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일단이 급수부 외벽(22) 또는 급수부 마개(24)에 고정된 호스(26)의 타단을 저수부 마개(14)의 관통공(16)을 통해 삽입한다. 호스(26)의 타단은 저수부(10)에 저장된 물에 잠겨야 하고, 호스(26)의 타단이 저수부(10)의 최저 위치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저수부(10)는 저수부 고정부(12) 등을 통해 원하는 위치에 놓여진다.Referring to FIG. 3B, the other end of the
도 3c를 참조하면, 이러한 상태에서 테라코타(20)가 화분(P)에 담긴 토양(W)에 꽂혀진다. Referring to Figure 3c, in this
도 3d를 참조하면, 사용에 따라 저수부(10) 내에 물이 감소하면, 저수부 마개(14)를 개방하고 저수부(10) 내에 물을 추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D, if water decreases in the
상술한 도 3a 내지 3d는 일예로서 제시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설치되고 저수부(10) 및 급수부(18) 내에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화분 급수 장치는 다양한 순서로 설치될 수 있다.3A to 3D are provided as an example, and the pollen water supply device may be installed in various orders so that the water is stored in the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급수 장치를 이용하여 화분(P) 내의 토양(W)에 물을 공급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화분(P) 내의 토양(W)에서 수분이 감소하는 경우 삼투압에 의해 급수부(18) 내에 담긴 물이 테라코타(20)를 통해 토양(W)으로 공급되고, 토양(W)의 수분이 충분한 경우 물은 토양(W)으로 공급되지 않는다. 물이 토양(W)으로 공급되어 급수부(18) 내에 담긴 물이 감소하면 급수부(18) 내부 압력이 감소한다. 급수부(18) 내부는 외부와 단절되어 있고 호스(20)의 일단만이 급수부(18) 내부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급수부(18)와 저수부(10)의 압 력 차이에 의해 저수부(10)에 저장된 물이 호스(20)를 통해 급수부(18)로 공급된다. 그리하여, 저수부(10)에 저장된 물이 소진될 때까지 토양(W)의 수분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Figure 4 shows the process of supplying water to the soil (W) in the pot (P) using the pot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when water is reduced in the soil W in the pot P, water contained in the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It is obvious that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attach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ques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급수 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t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화분에 본 고안에 따른 화분 급수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tted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potted plant,
도 3a 내지 3d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급수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 및3a to 3d ar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the potted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급수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ot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Drawing>
10: 저수부10: reservoir
12: 저수부 고정부12: reservoir fixing part
14: 저수부 마개14: reservoir stopper
16: 관통공16: through hole
18: 급수부18: water supply
20: 테라코타20: terracotta
22: 급수부 외벽22: water supply outer wall
24: 급수부 마개24: water supply plug
26: 호스26: hos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6742U KR20110006561U (en) | 2009-12-23 | 2009-12-23 | Flower pot water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6742U KR20110006561U (en) | 2009-12-23 | 2009-12-23 | Flower pot water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6561U true KR20110006561U (en) | 2011-06-29 |
Family
ID=49295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16742U Abandoned KR20110006561U (en) | 2009-12-23 | 2009-12-23 | Flower pot water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06561U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05683A (en) * | 2012-09-07 | 2014-03-12 | Bjorn Wood | Water butt with mounted plant container |
-
2009
- 2009-12-23 KR KR2020090016742U patent/KR20110006561U/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05683A (en) * | 2012-09-07 | 2014-03-12 | Bjorn Wood | Water butt with mounted plant container |
GB2505683B (en) * | 2012-09-07 | 2015-06-24 | Bjorn Wood | Improvements in water storage devices and apparatuses therefor |
GB2522360B (en) * | 2012-09-07 | 2017-05-24 | Hummingwood Ltd | A water butt with integral container for plant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90056219A1 (en) | Self-watering plant container | |
US9060472B2 (en) | Plant container | |
US20100064581A1 (en) | Automated plant support system | |
KR20120093390A (en) | Planting device and feed-water control method | |
US5546700A (en) | Fluid level control system | |
JP2016127826A (en) | Autonomous irrigation device, in particular for pot plants | |
KR101677675B1 (en) | Decorative flowerpot for water automatic supply | |
CN204426118U (en) | Soil moisturizing exempts to water water type flowerpot | |
WO2021001839A1 (en) | Universal plant watering apparatus | |
KR20110006561U (en) | Flower pot watering device | |
JP2010068735A (en) | Automatically watering planter | |
KR101643649B1 (en) | Wall planter for recording | |
JP2012055218A (en) | Automatic water supply planter | |
JP3765025B2 (en) | Automatic irrigation equipment | |
JP2011139695A (en) |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for adding water pouring-water for water tank or water receiving vessel | |
JP4898161B2 (en) | flower pot | |
JPH0746140Y2 (en) | Water level adjustment tank used in brackishing method | |
KR20190056712A (en) | Devices for measurement of Soil Moisture | |
WO2005011362A1 (en) | Flowerpot having automatic water feed function | |
JP4896189B2 (en) | Hydroponics equipment | |
WO1998053668A1 (en) | Fluid store and dispenser | |
KR20100006301U (en) | Apparatus for auto feeding water of a flowerpot | |
JP3027161U (en) | flower pot | |
JP2004057184A (en) | Flower pot with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 |
JP3027797U (en) | flower po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1223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1117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5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U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