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06022A -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022A
KR20110006022A KR1020090063450A KR20090063450A KR20110006022A KR 20110006022 A KR20110006022 A KR 20110006022A KR 1020090063450 A KR1020090063450 A KR 1020090063450A KR 20090063450 A KR20090063450 A KR 20090063450A KR 20110006022 A KR20110006022 A KR 20110006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rtual object
virtual
preview
ch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운
신동준
김진용
나수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3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6022A/ko
Priority to US12/830,570 priority patent/US20110007086A1/en
Priority to AT10168572T priority patent/ATE551678T1/de
Priority to EP10168572A priority patent/EP2284798B1/en
Priority to CN201010229588XA priority patent/CN101957981A/zh
Publication of KR20110006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 이미지 예를 들면, 카메라가 수집하는 특정 피사체에 대한 프리뷰 영상에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가상 오브젝트를 적용하여 촬영 이전에 사용자가 촬영하는 영상이 가상 오브젝트에 의하여 어떠한 형태로 변형되는지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지원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카메라, 가상 오브젝트

Description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Operation Method For Imaging Processing f Portable Devi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상 오브젝트를 특정 이미지 예를 들면, 프리뷰 영상에 적용하여 촬영 이전에 사용자가 어떠한 영상을 촬영하게 되는지를 미리 판단하고, 그에 따라 다양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영상을 수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로서, 그 이용의 편리성과 휴대의 용이성 등으로 인하여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사용자 기능 지원을 위하여 특정 기능 모듈을 탑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음악 파일 재생을 위하여 MP3 플레이어 모듈, 영상 수집 기능을 위하여 카메라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듈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휴대 단말기의 거의 대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수집되는 영상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프리뷰 기능과, 사용자 요청에 따라 수집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 기능을 지원한다.
그런데, 종래 휴대 단말기는 피사체와 일대일 대응되는 영상만을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영상 캡처 및 저장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 오브젝트를 특정 이미지 예를 들면, 프리뷰 영상에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영상을 선별하고 캡처한 후, 저장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다양성을 지원할 수 있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은, 일정 형태의 가상 이미지와, 상기 가상 이미지가 놓이는 특정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이미지를 변경하는 이미지 변화 속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특정 이미지에 상기 선택된 가상 오브젝트를 일정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이미지 변화 속성에 따라 상기 특정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변경하여 융합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생성된 융합 이미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장치는, 일정 형태의 가상 이미지와, 상기 가상 이미지가 놓이는 특정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설정된 형태로 변경시키는 속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특정 이미지에 상기 선택된 가상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일정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속성에 따라 상기 특정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여 융합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융합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 및 상기 특정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융합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는 촬영 이전에 가상 오브젝트가 적용된 프리뷰 영상을 확인하여 보다 다양한 영상 수집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 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은 무선주파수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카메라부(17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특정 이미지를 카메라부가 수집한 프리뷰 영상을 대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이미지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에 기 저장된 이미지, 외부 단말기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등이 프리뷰 오브젝트에 대체되어 가상 오브젝트가 적용되는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카메라부(170)가 수집하는 프리뷰 영상에 대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가상 오브젝트를 적용하여 프리뷰 영상과 가상 오브젝트 간의 융합된 형태의 이미지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특정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가상 오브젝트가 피사체의 영상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선제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가상 오브젝트가 적용된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수집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타 휴대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 및 음성 통화를 위하여 기지국과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 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주파수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카메라부(170)가 수집한 영상을 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추가될 수 있는 기능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20)는 카메라 제어를 위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입력부(120)는 카메라부(170)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 카메라부(170)의 다양한 환경 설정 예를 들면 ISO 설정, 셔터 스피드 설정, 부스터 설정, 램프 설정 등을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가상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는 키 입력 신호, 가상 오브젝트가 적용된 융합 프리뷰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셔터 키 입력 신호 등 을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무선주파수부(11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로 재생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무선주파수부(110)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30)는 카메라부(170) 제어를 위한 입력 신호에 따른 효과음 예를 들면, 셔터 누름에 따른 효과음, 수집된 영상 저장에 따른 효과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카메라부(170)가 활성화되는 경우, 해당 카메라부(170)가 지원하는 사용자 기능을 알릴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 화면을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4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카메라부(170) 활성화에 따라 수집되는 영상 예를 들면, 프리뷰 오브젝트 또는 셔터 키 입력에 따른 저장 영상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화면, 입력부(120)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된 가상 오브젝트를 프리뷰 오브젝트에 적용한 화면, 가상 오브젝트가 적용된 융합 프리뷰 영상이 출력된 상태에서 입력부(120)로부터 현재 융합 프리뷰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셔터 키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융합 프리뷰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각 화면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상기 카메라부(170)를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응용 프로그램 및 가상 오브젝트 적용을 위한 가상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 응용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가상 오브젝트 적용에 따라 프리뷰 오브젝트 변화를 제어하는 기능으로서 추가되거나, 상기 카메라 응용 프로그램과 독립적으로 구현되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제어부(160)에 로드되어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가상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부(1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를 표시부(140)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하는 루틴과,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가상 오브젝트를 현재 수집되는 프리뷰 오브젝트에 적용하여 가상 오브젝트가 융합된 융합 프리뷰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루틴과, 촬영을 위한 입력 신호 전달에 따라 융합 프리뷰 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루틴 및 저장을 위한 입력 신호에 따라 융합 프리뷰 영상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 장되는 영역으로서,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및 해당 콘텐츠 또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상기 카메라부(170) 활성화에 따라 수집되는 영상,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 가상 오브젝트가 적용된 융합 프리뷰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7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고, 다양한 카메라 기능 및 본 발명의 가상 오브젝트 적용에 따른 융합 프리뷰 영상 촬영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부(170)는 광학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장치(Image Signal Processor) 및 상기 신호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비디오 신호를 영상 처리(크기조정(Scaling), 잡음 제거, RGB 신호 변환 등)하는 영상처리장치(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센서 또는 CMOS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신호처리장치는 구성이 생략되고 DSP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60)는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카메라부(170)를 제어하는데, 이때, 특정 입력 신호에 따라 카메라부(170) 기반으로 수집되는 프리뷰 오브젝트를 가상 오브젝트와 융합하여 출력하는 융합 프리뷰 영상 출력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오브젝트 관리부(161)와 가상 오브젝트 적용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오브젝트 관리부(161)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가상 오브젝트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가 특정 가상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가상 오브젝트를 가상 오브젝트 적용부(163)에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가상 오브젝트 관리부(161)는 가상 오브젝트를 외부로부터 수신하거나, 가상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다양한 가상 오브젝트를 프리뷰 오브젝트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가상 오브젝트를 지원하는 타 단말기로부터 가상 오브젝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특정 서버 또는 특정 단말기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에 적용될 수 있는 가상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이를 휴대 단말기(100) 요청에 따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서버는 다양한 형태의 가상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이를 휴대 단말기(100)가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가상 오브젝트를 다운로드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가상 오브젝트 관리부(161)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서버에서 다운로드하는 가상 오브젝트를 하나의 그룹으로 저장 관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다운로드 된 가상 오브젝트에 대한 리스트 생성이나, 가상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나 아이콘 형태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여 추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상기 가상 오브젝트 관리부(161)는 가상 오브젝트 편집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가상 오브젝트 편집기를 활성화하여 새로운 가상 오브젝트를 생성하거나, 저장부(150)에 저장된 가상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속성에 따라 변경되는 융합 프리 뷰 영상의 범위나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오브젝트 적용부(163)는 사용자가 특정 가상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가상 오브젝트 관리부(161)로부터 선택된 가상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된 가상 오브젝트를 상기 카메라부(170)가 수집한 프리뷰 오브젝트에 적용하는 구성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가상 오브젝트 적용부(163)는 가상 오브젝트의 속성을 판단하고, 속성에 따라 프리뷰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가상 오브젝트 속성에 따라 변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오브젝트 적용부(163)는 상기 가상 오브젝트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상 오브젝트 적용부(163)는 사용자의 가상 오브젝트 편집을 위한 입력 신호에 따라, 가상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나 속성의 효과,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위치, 크기나 효과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사항에 대하여 프리뷰 오브젝트에 실시간으로 적용하여 새로운 융합 프리뷰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오브젝트 및 가상 오브젝트 적용에 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오브젝트가 적용된 융합 프리뷰 영상의 생성과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301 화면에서 나타낸 "촛불"에 해당하는 촛불 가상 오브젝트(71)가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으며, 302 화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부(170) 활성화에 따라 특정 피사체 예를 들면 흉상에 대응하는 피사체 의 프리뷰 오브젝트(91)가 수집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촛불 가상 오브젝트(71)는 가상 이미지와 속성이 정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가상 이미지는 크게 "초"와 "불" 및 촛불을 받치는 "받침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초와 받침대는 일정 폐곡선으로 일정 면을 가지는 이미지 및 초의 일단에서 일정 폐곡선으로 일정 면을 가지는 "불"의 이미지와, 해당 가상 이미지의 특정 지점을 기준으로 일정 영역에 대한 밝기 변화를 줄 수 있는 이미지 변화 속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촛불 가상 오브젝트(71)는 전체적으로 "초", "불" 및 "받침대"로 구성된 가상 이미지와, 촛불 가상 이미지가 놓이는 위치를 중심으로 이미지 변화를 줄 수 있는 이미지 변화 속성 즉, 촛불 가상 오브젝트(71)가 놓이는 특정 이미지 예를 들면 프리뷰 오브젝트에 대하여 거리에 따라 밝기 변화를 주도록 구성된 속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특정 이미지에 해당하는 프리뷰 오브젝트(91)는 카메라부(170)의 설정 예를 들면, 감도 설정이나 조리개 설정, 셔터 속도 설정과 해당 피사체의 주변 환경 등에 따라 피사체 및 배경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구성된 오브젝트이다. 즉, 상기 프리뷰 오브젝트(91)는 카메라부(170) 설정에 따라 수집된 실제 영상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이다.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저장부(150)에 저장된 상기 촛불 가상 오브젝트(71)를 선택하였으며, 카메라부(170)를 활성화하여 수집되는 프리뷰 오브젝트에 적용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게 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303 화면에서와 같이 상기 촛불 가상 오브젝트(71)를 프리뷰 오브젝트(91)에 적용하여 새로운 융합 프리뷰 영 상(101)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융합 프리뷰 영상(101)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화면의 우측 하단에 촛불 가상 오브젝트(71)가 위치할 수 있으며, 프리뷰 오브젝트(91)는 302 화면에서와 동일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촛불 가상 오브젝트(71)를 302 화면에 적용함에 있어서, 촛불 가상 오브젝트(71)의 이미지 변화 속성 즉, 밝기 변화 속성을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촛불 가상 오브젝트(71)가 위치한 지역에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밝기가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조절된 융합 프리뷰 영상(101)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장 밝은 밝기를 100으로 가정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촛불 가상 오브젝트(71)가 위치한 지역에서 받침대의 바로 아래 영역은 10의 밝기를, 촛불 가상 오브젝트(71)와 근거리에 위치한 지역의 밝기는 100을, 이후 점진적으로 60, 20 등의 밝기를 가지도록 융합 프리뷰 영상(101)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밝기 변화를 일정 영역별로 차이를 가지도록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촛불 가상 오브젝트(71)를 기준으로 점진적으로 밝기가 변화하는 융합 프리뷰 영상(101)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촛불 가상 오브젝트(71)를 중심으로 점진적으로 멀어질수록 밝기가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융합 프리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상기 촛불 가상 오브젝트(71)의 밝기 속성은 가상 오브젝트 설계 당시에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밝기가 변화되는 영역 지정 및 해당 영역의 밝기 값 변화 등은 가상 오브젝트 편집 과정을 통하여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촛불 가상 오브젝트 적용에 관한 확장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촛불 가상 오브젝트(71)와 프리뷰 오브젝트(91)가 결합된 융합 프리뷰 영상(101)이 401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촛불 가상 오브젝트(71)의 위치를 변경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촛불 가상 오브젝트(71)를 지정할 수 있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입력 신호 전달에 따라 상기 촛불 가상 오브젝트(71)가 지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일정 형태의 화면 변화나 상기 촛불 가상 오브젝트(71)의 위치 변경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화살표 추가 등의 화면 변화를 적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촛불 가상 오브젝트(71)의 위치를 일정 위치 예를 들면 402 화면에서와 같이 좌측 상단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촛불 가상 오브젝트(71)의 위치를 이동시킴과 아울러, 이동된 위치에 따라 촛불 가상 오브젝트가 적용된 융합 프리뷰 영상(101)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촛불 가상 오브젝트(71)의 이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촛불 가상 오브젝트 적용에 따른 밝기 변화가 적용된 융합 프리뷰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촛불 가상 오브젝트(71)의 이동 경로에 따라 밝기 변화가 적용되는 융합 프리뷰 영상(101)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100)의 과도한 프로세싱을 줄이 기 위하여, 촛불 가상 오브젝트(71)의 이동이 완료된 이후, 촛불 가상 오브젝트(71)가 가지는 속성을 프리뷰 오브젝트에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결과적으로, 휴대 단말기(100)는 촛불 가상 오브젝트(71)의 위치 변경에 따라 402 화면에서와 같이, 좌측 상단 영역의 밝기가 100의 밝기를 가지도록 하며, 촛불 가상 오브젝트(71)의 받침대 하단 일정 영역은 10의 밝기를, 그리고 촛불 가상 오브젝트(71)와 멀어질수록 밝기가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하는 융합 프리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촛불 가상 오브젝트(71)는 하나가 적용되는 사례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촛불 가상 오브젝트(71)는 사용자의 입력부 제어에 따라 복수개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적용되는 과정에서, 각 촛불 가상 오브젝트(71)의 크기 또한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촛불 가상 오브젝트(71)의 크기가 변경될 경우, 이미지 변화 속성인 밝기의 변화가 미치는 범위가 변경되는 것으로 가상 오브젝트가 구현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촛불 가상 오브젝트(71)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해당 가상 오브젝트가 프리뷰 오브젝트의 미치는 이미지 변화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복수개의 촛불 가상 오브젝트(71)가 적용되는 경우, 각 촛불 가상 오브젝트(71)의 밝기 변화 범위를 확인하고, 중첩되는 영역을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비하여 보다 밝게 표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면, 두 개의 촛불 가상 오브젝트가 존재하고, 두 개의 촛불 가상 오브젝트의 밝기 범위 중 100을 기준으로 60 이상의 밝기를 가지는 범위의 일정 부분이 서로 겹치는 경우, 겹치 는 영역의 밝기를 100의 밝기로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밝기의 산술적 연산으로 120의 밝기를 내기 보다는 최고 밝기 100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빛의 밝기 60이 중첩된다 하더라도, 100보다 작은 밝기 값이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이러한 중첩 영역의 밝기 적용은 가상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시점에서 설계자의 의도에 변경되거나, 생성된 이후, 사용자의 편집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오브젝트 적용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501 화면에서와 같이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가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있으며, 카메라부(170) 활성화에 따라 502 화면에서와 같이 특정 피사체 예를 들면 사람의 흉상에 대응하는 프리뷰 오브젝트(91)가 수집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상기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는 빛의 굴절률이 외부와 내부가 다르거나, 내부 위치에 따라 굴절률이 다르도록 적용된 가상 오브젝트로서, 굴곡 가상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로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카메라부(170)를 활성화하고, 상기 가상 오브젝트 적용에 따른 융합 프리뷰 영상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이 경우, 502 화면은 카메라부(170) 활성화에 따른 프리뷰 오브젝트가 표시부에 출력된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501 화면은 사용자가 가상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선택이나 핫 키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저장부(150)에 저장된 다양한 가상 오브젝트 중 사용자가 선택한 가상 오브젝트를 표시부에 출력된 형태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가상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메뉴 선택에 따라 가상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아이콘이나 이미지 등을 멀티 이미지 형태로 출력하는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501 화면에 나타낸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는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일정 형태의 면적을 가지는 가상 이미지와, 일정 면적은 빛의 굴절률이 다르게 적용되는 이미지 변화 속성 즉, 굴곡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는 폐곡선을 경계지점으로 하여, 폐곡선의 외곽지역의 굴절률이 1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의 굴절률은 1보다 크거나 작은 속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를 구성하는 일정 면적 내에서도 위치에 따라 굴절률이 다를 수 있다. 즉,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의 외곽보다 중심점의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상기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는 오목렌즈 속성을 가지거나, 볼록렌즈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를 502 화면에 나타낸 프리뷰 오브젝트(91)에 적용할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503 화면에서와 같이,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가 위치한 지역이 그 외 영역과 다른 굴절률로 특정 이미지를 왜곡시키는 효과가 적용된 융합 이미지(201)를 생성할 수 있다. 503 화면에 나타낸 융합 이미지(201)는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가 위치한 지역이 그 외 영역에 비하여 굴절률이 큰 경우를 기준으로 해당 이미지가 볼록렌즈에서 왜곡되는 효과가 제공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변경이나 크기 변경이 가능하며, 또한 복수개의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 적용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 확장 적용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융합 프리뷰 영상 기능 사용 요청에 따라, 카메라부가 수집한 프리뷰 오브젝트에 사용자가 선택한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를 적용하여 601 화면에서와 같은 융합 프리뷰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입력부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해당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의 위치 이동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위치 변경을 위한 입력 신호 생성 시, 해당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가 선택되었으며, 이동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이미지나 아이콘 변화 등을 해당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에 적용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601 화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가 입력 신호에 의해 선택되면,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의 상하 좌우 위치에 화살표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방향키 등을 이용하여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의 위치를 프리뷰 오브젝트의 특정 위치 예를 들면, 흉상으로 나타낸 피사 체의 머리 위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휴대 단말기는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의 위치를 입력된 방향키 신호에 대응하는 만큼 이동 시킨 이후, 해당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의 속성을 프리뷰 오브젝트에 적용하여 새로운 융합 프리뷰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가 이동하는 동안 실시간으로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의 속성을 적용하여 프리뷰 오브젝트를 변화시킬 수 있으나,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량을 고려하여 위치 이동이 완료된 이후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의 이미지 변화 속성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위치 이동 완료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 예를 들면, 일정 시간 동안 추가적인 방향키 입력 신호가 전달되지 않거나, 위치 이동 완료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 예를 들면 "확인"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의 이미지 변화 속성을 프리뷰 오브젝트에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복수개의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를 적용한 융합 프리뷰 영상을 검색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는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를 추가할 수 있는 메뉴 옵션이나 키를 할당하고,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메뉴나 키를 활성화하는 경우, 일정 위치에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선택된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즉, 사용자가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의 크기를 변경하기를 원할 수 있는데, 휴대 단말기는 이를 위하여,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의 크기 변경을 이한 메뉴를 제공하며,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의 크기 변경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171)의 이미지 변화 속성 즉, 이미지 굴곡이 가능한 범위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복수개의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입력 신호와, 생성된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의 크기 변화를 위한 입력 신호를 전달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603 화면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3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71a, 71b, 71c)를 프리뷰 오브젝트에 출력하도록 하는 한편, 제1 내지 제3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71a, 71b, 71c)가 위치한 지역의 이미지를 각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에 설정된 속성에 따라 이미지 변화를 적용하여 융합 프리뷰 영상을 생성한 뒤,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부가 수집하는 프리뷰 오브젝트에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가상 오브젝트를 지원하고, 사용자가 특정 가상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가상 오브젝트에 설정된 이미지 변화 속성에 따라 프리뷰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변화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가상 오브젝트의 위치 이동이나, 크기 변경, 속성이 미치는 범위 변경, 개수 추가 등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전달하면, 그에 따라 추가적인 프리뷰 오브젝트의 이미지 변화를 적용하여 융합 프리뷰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카메라 운용 장 치의 각 구성과 역할 및 그에 따른 영상 출력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은 먼저, 휴대 단말기가 전원이 공급되면 공급된 전원을 위하여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을 초기화하고, 초기화 완료 이후 S101 단계에서 기 설정된 대기 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는 S103 단계에서 카메라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다른 기능을 위한 입력 신호 예를 들면, 파일 재생 기능을 위한 입력 신호, 파일 검색 기능을 위한 입력 신호, 통화 연결 또는 통화 수신을 위한 입력 신호 등이 생성되면, 휴대 단말기는 S105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S103 단계에서 카메라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S107 단계로 분기하여 카메라부를 활성화하고, 카메라 센서를 통하여 수집되는 프리뷰 오브젝트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는 S109 단계에서 가상 오브젝트 모드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가상 오브젝트 모드가 선택되지 않는 경우, S111 단계로 분기하여 일반 모드 카메라 운용을 지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는 S109 단계에서 가상 오브젝트 모드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가 생성되면, S113 단계로 분기하여 가상 오브젝트 선택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는 가상 오브젝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나 핫 키를 지원할 수 있으며, 저장부에 저장된 가상 오브젝트를 사용자가 보고 선택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 또는 가상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아이콘이나 특정 이미지 등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는 S115 단계에서 사용자가 특정 가상 오브젝트를 선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별도의 선택이 없는 경우, S113 단계로 분기하여 가상 오브젝트 선택 화면이 출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가상 오브젝트를 선택하지 않고, 가상 오브젝트 모드를 취소하는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S107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S115 단계에서 특정 가상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S117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입력 신호가 선택한 가상 오브젝트를 프리뷰 오브젝트에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리뷰 오브젝트에 적용되는 가상 오브젝트는 프리뷰 오브젝트의 특정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형성된 가상 이미지 또는 아이콘과, 해당 오브젝트가 프리뷰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 이미지를 변경하도록 정의된 이미지 변화 속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상기 가상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선택된 가상 오브젝트의 가상 이미지를 프리뷰 오브젝트의 기 설정된 위치 또는 특정 위치에 출력하도록 하는 한편, 가상 오브젝트에 설정된 이미지 변화 속성에 따라, 프리뷰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된 가상 오브젝트의 위치 이동을 지원하며, 추가적인 다른 가상 오브젝트 선택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는 가상 오브젝트 위치 변경을 위한 메뉴, 선택된 가상 오브젝트의 크기 및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는 메뉴, 동일 속성의 복수 개의 가상 오브젝트 또는 다른 속성의 복수 개의 가상 오브젝트를 추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 등을 포함하는 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는 S119 단계에서 촬영을 위한 셔터 키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가 전달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셔터 키 입력이 없는 경우, S115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다른 가상 오브젝트를 선택하거나, 복수개의 가상 오브젝트를 선택하도록 지원하고, 이 후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S119 단계에서 촬영을 위한 셔터 키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휴대 단말기는 S121 단계로 분기하여 촬영 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가상 오브젝트 모드 적용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가상 오브젝트가 적용된 융합 프리뷰 영상을 화면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S123 단계에서 저장을 위한 입력 신호가 전달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별도의 추가 입력 신호가 없는 경우, S12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촬영 화면 출력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거나, S115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복수개의 가상 오브젝트 또는 다른 가상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S123 단계에서 저장을 위한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휴대 단말기는 S125 단계로 분기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가상 오브젝트가 적용된 융합 프리뷰 영상을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S127 단계 에서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카메라 운용의 종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S127 단계에서 기능 종료가 아닌 계속 사용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S115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은 사용자가 가상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과정, 카메라부가 수집하는 프리뷰 오브젝트에 상기 가상 오브젝트를 적용하여 융합 프리뷰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생성된 융합 프리뷰 영상을 화면에 출력하는 과정을 기초로 하며, 추가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융합 프리뷰 영상을 캡처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S103 단계에서 카메라 활성화 모드 선택에 따라 가상 오브젝트 모드가 선택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는 가상 오브젝트 모드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상 오브젝트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카메라부를 자동으로 활성화하고, 그에 따른 프리뷰 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한 종류의 가상 오브젝트가 적용되는 사례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는 복수개의 가상 오브젝트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복수 개의 가상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선택된 각 가상 오브젝트의 이미지 변화 속성을 판단하고, 각 이미지 변화 속성에 따라 프리뷰 오브젝트를 변경하여 융합 프리뷰 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가상 오브젝트의 예로서, 촛불과 비눗방울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가상 오브젝트는 일정 부분의 밝기를 변경할 수 있는 후레쉬, 파동 속성을 가지는 물결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상 오브젝트는 일정 형태의 이미지 또는 아이콘과, 해당 오브젝트가 놓이는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시킬 수 있는 속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에서는 프리뷰 오브젝트에 대하여 가상 오브젝트를 적용하는 사례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카메라부가 수집하여 저장한 촬영 영상에 대해서 가상 오브젝트를 적용할 수 도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를 선택함과 아울러, 선택된 이미지에 적용할 가상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상기 특정 이미지와 선택한 가상 오브젝트를 서로 융합하여 융합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 및 화면을 제공하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및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특정 이미지와 적어도 하나의 특정 가상 오브젝트를 선택하면, 해당 가상 오브젝트가 특정 이미지 상에서 배치된 지점을 중심으로 가상 오브젝트의 속성을 특정 이미지에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기 저장된 이미지에 가상 오브젝트를 적용하여 새로운 융합 이미지를 생성하고, 기호에 따라 이를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는 휴대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던 이미지, 카메라부를 통하여 수집된 영상, 타 휴대 단말기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이미지에 사용자가 선택한 가상 오브젝트를 적용하되, 가상 오브젝트의 이미지 변화 속성을 특정 이미지 상에 위치한 지점을 중심으로 특정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이미지를 변경하도록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가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촛불 가상 오브젝트가 적용되는 융합 프리뷰 영상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촛불 가상 오브젝트의 적용 응용 사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가 적용되는 융합 프리뷰 영상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눗방울 가상 오브젝트의 적용 응용 사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카메라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Claims (22)

  1. 일정 형태의 가상 이미지와, 상기 가상 이미지가 놓이는 특정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이미지를 변경하는 이미지 변화 속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특정 이미지에 상기 선택된 가상 오브젝트를 일정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이미지 변화 속성에 따라 상기 특정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변경하여 융합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생성된 융합 이미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입력 신호 전달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가상 오브젝트의 일정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 변경된 가상 오브젝트를 중심으로 상기 이미지 변화 속성에 따른 특정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재변경하여 새로운 융합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가상 오브젝트의 크기 및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오브젝트의 크기 변경에 따라 상기 특정 이미지에 위치하는 가상 오브젝트의 가상 이미지 크기를 변경하는 과정;
    상기 이미지 변화 속성에 의해 변경되는 특정 이미지를 상기 변경된 가상 오브젝트의 속성 변경에 따라 조절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가상 오브젝트의 개수를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개수의 가상 오브젝트 각각에 대하여, 위치, 크기 및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수가 변경된 가상 오브젝트의 각 속성들을 종합하여 상기 특정 이미지 변경을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미지는
    카메라부가 수집하는 프리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오브젝트에 상기 가상 오브젝트가 적용된 융합 프리뷰 영상을 캡처하기 위한 셔터 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융합 프리뷰 영상을 저장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오브젝트는
    초와 불에 대응하는 형태의 가상 이미지와, 상기 특정 이미지의 밝기를 일정 범위에 따라 변경하도록 하는 이미지 변화 속성을 포함하는 촛불 가상 오브젝트;
    일정 폐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가상 이미지와, 상기 가상 이미지의 외부 및 내부의 굴곡률을 다르게 적용하는 굴곡 속성을 포함하는 굴곡 가상 오브젝트;
    후레쉬에 대응하는 가상 이미지와, 상기 특정 이미지의 밝기를 일정 범위에 따라 변경하도록 하는 이미지 변화 속성을 포함하는 후레쉬 가상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과정은
    서로 다른 속성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특정 이미지에 상기 선택된 가상 오브젝트들의 각 속성을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융합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14. 일정 형태의 가상 이미지와, 상기 가상 이미지가 놓이는 특정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설정된 형태로 변경시키는 속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특정 이미지에 상기 선택된 가상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일정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속성에 따라 상기 특정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여 융합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융합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 및 상기 특정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융합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선택된 가상 오브젝트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 신호,
    상기 선택된 가상 오브젝트의 크기 및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 신호,
    상기 선택된 가상 오브젝트의 개수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 신호,
    상기 선택된 가상 오브젝트와 다른 가상 오브젝트를 추가로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에 따라 위치가 변경된 가상 오브젝트의 이미지, 크기가 변경된 가상 오브젝트의 이미지, 개수가 변경된 가상 오브젝트의 이미지, 상기 추가된 다른 가상 오브젝트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특정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적용하여 새로운 융합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가상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가상 오브젝트들의 각 속성을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상기 융합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오브젝트는
    동일한 이미지 변화 속성을 가지는 가상 오브젝트들 또는
    다른 이미지 변화 속성을 가지는 가상 오브젝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오브젝트는
    초와 불에 대응하는 형태의 이미지와, 상기 특정 이미지의 밝기를 일정 범위에 따라 변경하도록 하는 속성을 포함하는 촛불 가상 오브젝트;
    일정 폐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의 외부 및 내부의 굴곡률을 다르게 적용하는 속성을 포함하는 굴곡 가상 오브젝트;
    후레쉬에 대응하는 이미지와, 상기 특정 이미지의 밝기를 일정 범위에 따라 변경하도록 하는 속성을 포함하는 후레쉬 가상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미지에 대응하는 프리뷰 오브젝트를 수집하고, 입력 신호 전달에 따라 피사체 영상을 캡처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카메라부 활성화 시, 상기 프리뷰 오브젝트에 상기 가상 오브젝트가 적용된 융합 프리뷰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캡처된 상기 융합 프리뷰 영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장치.
KR1020090063450A 2009-07-13 2009-07-13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10006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450A KR20110006022A (ko) 2009-07-13 2009-07-13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US12/830,570 US20110007086A1 (en) 2009-07-13 2010-07-06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object based image processing
AT10168572T ATE551678T1 (de) 2009-07-13 2010-07-06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die virtuelle objektbasierte bildverarbeitung
EP10168572A EP2284798B1 (en) 2009-07-13 2010-07-06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object based image processing
CN201010229588XA CN101957981A (zh) 2009-07-13 2010-07-13 基于虚拟对象的图像处理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450A KR20110006022A (ko) 2009-07-13 2009-07-13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022A true KR20110006022A (ko) 2011-01-20

Family

ID=43031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450A KR20110006022A (ko) 2009-07-13 2009-07-13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007086A1 (ko)
EP (1) EP2284798B1 (ko)
KR (1) KR20110006022A (ko)
CN (1) CN101957981A (ko)
AT (1) ATE551678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910B1 (ko) * 2011-12-23 2018-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선택 영역을 변화시키는 결과 영상을 생성 또는 저장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30142310A (ko) * 2012-06-19 2013-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이미지 변경 방법 및 장치
US9430991B2 (en) 2012-10-02 2016-08-30 Futurewei Technologies, Inc. User interface display composition with device sensor/state based graphical effects
KR102183448B1 (ko) * 2013-04-26 2020-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9478054B1 (en) * 2013-11-09 2016-10-25 Google Inc. Image overlay compositing
JP6261366B2 (ja) * 2014-02-17 2018-01-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影装置、ストロボ画像事前取得方法及びストロボ画像事前取得プログラム
CN103777865A (zh) * 2014-02-21 2014-05-07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装置、处理器及电子设备
JP6646936B2 (ja) * 2014-03-31 2020-02-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021607A (ko) * 2014-08-18 2016-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70115749A1 (en) * 2014-10-26 2017-04-27 Chian Chiu Li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Map And Other Information Based On Pointing Direction
CN105635553B (zh) * 2014-10-30 2021-01-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图像拍摄方法和装置
GB201419438D0 (en) * 2014-10-31 2014-12-17 Microsoft Corp Modifying video call data
US20180176483A1 (en) * 2014-12-29 2018-06-21 Metaio Gmbh Method and sytem for generating at least one image of a real environment
CN104657206B (zh) * 2015-02-09 2018-09-28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图像数据的处理方法和装置
CN104657934B (zh) * 2015-02-09 2018-08-10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图像数据的处理方法和装置
CN106095260B (zh) * 2016-06-12 2019-11-19 福建天泉教育科技有限公司 突出显示区域的方法及系统
CN106648347A (zh) * 2016-09-14 2017-05-10 上海石肤网络科技有限公司深圳分公司 一种用于在触摸终端上触控操作移动目标对象的方法
EP3529232A4 (fr) 2016-10-19 2020-06-10 Hydro-Québec Dérivés d'acide sulfamique et procédés pour leur préparation
WO2018140419A1 (en) * 2017-01-24 2018-08-02 Virtual Diamond Boutique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accessible medium for facilitating the selection of an object
US20190108578A1 (en) 2017-09-13 2019-04-11 Magic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of rewards object spawning and augmented reality commerce platform supporting multiple seller entities
CN107577409B (zh) * 2017-10-20 2019-07-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预览图像的处理方法和移动终端
WO2019079826A1 (en) 2017-10-22 2019-04-25 Magical Technologies, Llc DIGITAL ASSISTANT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IN AN INCREASED REALITY ENVIRONMENT AND LOCAL DETERMINATION OF VIRTUAL OBJECT PLACEMENT AND SINGLE OR MULTIDIRECTIONAL OBJECTIVES AS GATEWAYS BETWEEN A PHYSICAL WORLD AND A DIGITAL WORLD COMPONENT OF THE SAME ENVIRONMENT OF INCREASED REALITY
US11398088B2 (en) 2018-01-30 2022-07-26 Magical Technologies,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to generate a fingerprint of a physical location for placement of virtual objects
CN108811282B (zh) * 2018-07-17 2020-05-15 苏州欧普照明有限公司 一种灯具智能控制装置
CN109448737B (zh) * 2018-08-30 2020-09-0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虚拟形象的创建方法、装置、电子设备与存储介质
CN109089150B (zh) * 2018-09-26 2021-07-16 联想(北京)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2664688B1 (ko) * 2019-02-19 2024-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상 캐릭터 기반 촬영 모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1467656B2 (en) * 2019-03-04 2022-10-11 Magical Technologies, Llc Virtual object control of a physical device and/or physical device control of a virtual object
CN111901518B (zh) * 2020-06-23 2022-05-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1669506A (zh) * 2020-07-01 2020-09-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拍照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4125183A (zh) * 2020-09-01 2022-03-01 华为技术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US20220417291A1 (en) * 2021-06-23 2022-12-29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Using Text-Based Compression
CN114554112B (zh) * 2022-02-18 2023-11-28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视频录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3214A (en) * 1996-07-29 1999-10-05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combining two digital images
US20020010734A1 (en) * 2000-02-03 2002-01-24 Ebersole John Franklin Internetworked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US7307636B2 (en) * 2001-12-26 2007-12-11 Eastman Kodak Company Image format including affective information
US7227976B1 (en) * 2002-07-08 2007-06-05 Videomining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facial image enhancement
JP4298407B2 (ja) * 2002-09-30 2009-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合成装置及び映像合成方法
US7574070B2 (en) * 2003-09-30 2009-08-11 Canon Kabushiki Kaisha Correction of subject area detection information, and image combi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correction
AU2004297967C1 (en) * 2003-12-05 2011-10-27 Innolene Llc Improved ocular lens
US20100326424A1 (en) * 2004-04-30 2010-12-3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Residential solar thermal power plant
JP2008510247A (ja) * 2004-08-18 2008-04-0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マンモグラフィの評価のための表示システム
KR100713531B1 (ko) * 2005-05-17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데이터에 특정효과 표시방법
KR100668159B1 (ko) * 2005-07-01 2007-01-11 김문정 실사 이미지 기반 조경 설계 시스템 및 방법
JP2007272847A (ja) * 2006-03-31 2007-10-18 Nhk Engineering Services Inc 照明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画像合成方法
US20070236813A1 (en) * 2006-04-05 2007-10-11 Robert Gary Josephberg Magnifying apparatus
US20070242066A1 (en) * 2006-04-14 2007-10-18 Patrick Levy Rosenthal Virtual video camera device with three-dimensional tracking and virtual object insertion
US20070248283A1 (en) * 2006-04-21 2007-10-25 Mack Newton E Method and apparatus for a wide area virtual scene preview system
KR100906476B1 (ko) * 2006-06-01 2009-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XHTML-Print 데이터 생성방법 및 장치
KR100757986B1 (ko) * 2006-07-03 2007-09-12 주식회사 모비더스 촬영 사진의 동적 편집 기능을 구비하는 카메라 또는카메라가 내장된 이동기기 및 상기 카메라 또는 카메라가내장된 이동기기를 이용하여 동적 효과를 가지는 이미지촬영 방법
CN1878247A (zh) * 2006-07-06 2006-12-13 北京中星微电子有限公司 数字摄像装置的图像相框处理方法及其系统
CN101772828A (zh) * 2007-06-25 2010-07-07 照明有限责任公司 增加信号可视性的设备和方法
DE102007045834B4 (de) * 2007-09-25 2012-01-26 Metaio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arstellen eines virtuellen Objekts in einer realen Umgebung
KR101507797B1 (ko) * 2008-05-29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00302245A1 (en) * 2009-05-30 2010-12-02 Best Charles J L Providing interactive light controls in a three-dimensional compositing appl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51678T1 (de) 2012-04-15
EP2284798A1 (en) 2011-02-16
EP2284798B1 (en) 2012-03-28
US20110007086A1 (en) 2011-01-13
CN101957981A (zh)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6022A (ko)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22525284A (ja) デバイス制御ページ表示方法、関連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10233976A (zh) 视频合成的方法及装置
CN109451343A (zh) 视频分享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1031386B (zh) 基于语音合成的视频配音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US11863856B2 (en)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matching photographed objects and preset text information
CN109657165A (zh) 页面跳转方法及装置
CN109168073A (zh) 直播间封面显示的方法和装置
US201703395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wireless network
CN114546227B (zh) 虚拟镜头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KR20170010485A (ko)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20019244A (ko) 휴대 단말기의 복합 속성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N111031394B (zh) 视频制作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294607B (zh) 直播互动方法、装置、服务器及终端
CN111142838A (zh) 音频播放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087290B1 (ko) 감성 컨텐츠 서비스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단말기
CN109408478A (zh) 图片生成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9451168A (zh) 生成铃声文件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3204673A (zh) 音频处理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6008796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듀얼 lcd연동방법
KR101817863B1 (ko) 스마트 우산 및 그 제어방법
CN110944214B (zh) 歌曲高潮视频段截取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KR101608230B1 (ko) 음향 효과를 이용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US11487413B2 (e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device
KR20180006580A (ko) 주변환경에 따라 패턴 및 색상을 표현하는 스마트 의복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