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464U - 목조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목조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5464U KR20110005464U KR2020090015331U KR20090015331U KR20110005464U KR 20110005464 U KR20110005464 U KR 20110005464U KR 2020090015331 U KR2020090015331 U KR 2020090015331U KR 20090015331 U KR20090015331 U KR 20090015331U KR 20110005464 U KR20110005464 U KR 2011000546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hole
- convex
- concave
- wood
- longitudinal dir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0—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woo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002/567—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posts or pillars made from a plurality of smaller prefabricat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조건물의 두 기둥을 블록 형태의 목재로 각기 적층하여 형성하고 두 기둥 사이의 벽체를 단일 목재판으로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제1 기둥과 제2 기둥 사이에 단일 목재판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목조건물의 벽체로서, 상기 제1 기둥 또는 상기 제2 기둥은 블록 형태의 하부목재와 블록 형태의 상부목재가 십자로 결합된 형상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목재는, 상부면 중앙에 특정 깊이로 양측이 개방형으로 형성된 하부결합구멍; 상기 하부결합구멍 양측의 상부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볼록한 요철 형상을 갖는 돌기부; 및 하부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오목한 요철 형상을 갖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목재는, 하부면 중앙에 특정 깊이로 양측이 개방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결합구멍과 맞물리는 상부결합구멍; 상기 상부결합구멍 양측의 하부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오목한 요철 형상을 갖는 홈; 및 상기 상부결합구멍 영역을 제외한 상부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볼록한 요철 형상을 갖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목조건물의 두 기둥을 블록 형태의 목재로 각기 적층하여 형성하고 두 기둥 사이의 벽체를 단일 목재판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기둥의 높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벽체를 시공하는 시간이 줄어들며, 방풍 기능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목조건물, 벽체, 조립, 목재, 돌기, 홈, 장식
Description
본 고안은 목조건물의 벽체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조건물의 두 기둥을 블록 형태의 목재로 각기 적층하여 형성하고 두 기둥 사이의 벽체를 단일 목재판으로 형성하기 위한 벽체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목조건물이란 건물의 뼈대가 나무로 되어 있는 건물로, 공사가 쉽고 온도 조절과 방음성이 좋다.
목조건물은 이와 같은 장점 외에도 전원주택에 적합하기 때문에, 많은 전원주택이 목조건물로 건축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목조건물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각 기둥은 단일 사각 통나무 형태로 형성되고, 기둥 사이의 벽체는 복수 개의 판자로 시공된다. 이때 현관이 있는 벽체의 외부 면에 통나무 를 길이 방향으로 쪼개서 만든 장식부재를 부착해서 통나무집 효과를 내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목조건물의 기둥이 단일 통나무 형태이기 때문에, 기둥의 높이를 변경하게 될 경우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지는 결점이 있다. 예로, 기둥을 시공한 상태에서 기둥의 높이를 변경하려면 기둥을 철거한 후 적절한 크기로 자른 후 다시 시공해야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기둥 사이의 벽체를 복수 개의 판자로 시공하기 때문에, 벽체를 시공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각 판자 사이의 틈으로 인해 방풍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목조건물의 두 기둥을 블록 형태의 목재로 각기 적층하여 형성하고 두 기둥 사이의 벽체를 단일 목재판으로 형성하기 위한 목조건물의 벽체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형태에 따르면, 제1 기둥과 제2 기둥 사이에 단일 목재판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목조건물의 벽체로서, 상기 제1 기둥 또는 상기 제2 기둥은 블 록 형태의 하부목재와 블록 형태의 상부목재가 십자로 결합된 형상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목재는, 상부면 중앙에 특정 깊이로 양측이 개방형으로 형성된 하부결합구멍; 상기 하부결합구멍 양측의 상부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볼록한 요철 형상을 갖는 돌기부; 및 하부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오목한 요철 형상을 갖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목재는, 하부면 중앙에 특정 깊이로 양측이 개방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결합구멍과 맞물리는 상부결합구멍; 상기 상부결합구멍 양측의 하부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오목한 요철 형상을 갖는 홈; 및 상기 상부결합구멍 영역을 제외한 상부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볼록한 요철 형상을 갖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일 목재판의 외측 면에 각기 특정 방향으로 정렬되어 부착되되, 통나무를 길이 방향으로 쪼개서 만든 형태인 복수 개의 장식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목조건물의 두 기둥을 블록 형태의 목재로 각기 적층하여 형성하고 두 기둥 사이의 벽체를 단일 목재판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기둥의 높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벽체를 시공하는 시간이 줄어들며, 방풍 기능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목조건물의 벽체 조립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 제1, 제2 기둥(10, 12), 목재판(20), 및 장식부재(2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둥(10, 12)을 구성하는 하부목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부목재(30)를 180°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기둥(10, 12)을 구성하는 상부목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부목재(40)를 180°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하부목재(30)와 도 5에 도시된 상부목재(40)의 결합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2와 같이 제1 기둥(10)과 제2 기둥(12) 사이에 단일 목재판(20)이 설치된다. 이때 단일 목재판(20)의 양측을 나사 또는 볼트 및 너트 등을 사용하여 제1, 제2 기둥(10, 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제2 기둥(10, 12)은 블록 형태의 하부목재(30)와 블록 형태의 상부목재(40)가 십자로 결합된 형상이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즉, 도 7과 같이 하부목재(30)의 하부결합구멍(32)과 상부목재(40)의 상부결합구멍(42)이 맞물리도록 함에 따라 하부목재(30)와 상부목재(40)가 십자로 결합되며, 이와 같은 십자 형태의 결합을 연속적으로 적층시킴으로써 제1, 제2 기둥(10, 12)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목재(30)는, 상부면 중앙에 특정 깊이로 양측이 개방형으로 형성된 하부결합구멍(32); 하부결합구멍(32) 양측의 상부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볼록한 요철 형상을 갖는 돌기부(34); 및 하부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오목한 요철 형상을 갖는 홈(36)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부목재(40)는, 하부면 중앙에 특정 깊이로 양측이 개방형으로 형성되어 하부결합구멍(32)과 맞물리는 상부결합구멍(42); 상부결합구멍(42) 양측의 하부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오목한 요철 형상을 갖는 홈(46); 및 상부결합구멍(42) 영역을 제외한 상부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볼록한 요철 형상을 갖는 돌기부(44)로 구성된다.
아울러, 복수 개의 장식부재(22)는 단일 목재판(20)의 외측 면에 각기 특정 방향으로 정렬되어 부착된다. 이때 통나무를 길이 방향으로 쪼개서 장식부재(22)를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목조건물의 두 기둥(10, 12)을 블록 형태의 목재(30, 40)로 각기 적층하여 형성하고 두 기둥(10, 12) 사이의 벽체를 단일 목재판(20)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목재(30, 40)의 적층 개수를 조절하여 기둥(10, 12)의 높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로, 설계가 변경됨에 따라 기둥(10, 12)의 높이를 변경해야 할 경우 매우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벽체를 단일 목재판(20)으로 형성함에 따라 벽체를 시공하는 시간이 줄어들며, 방풍 기능도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목조건물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목조건물의 벽체 조립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둥을 구성하는 하부목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부목재를 180°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기둥을 구성하는 상부목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부목재를 180°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하부목재와 도 5에 도시된 상부목재의 결합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2 : 제1, 제2 기둥
20 : 목재판
22 : 장식부재
30 : 하부목재
32 : 하부결합구멍
34, 44 : 돌기부
36, 46 : 홈
40 : 상부목재
42 : 상부결합구멍
48 : 평탄부
Claims (2)
- 제1 기둥(10)과 제2 기둥(12) 사이에 단일 목재판(20)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목조건물의 벽체로서,상기 제1 기둥(10) 또는 상기 제2 기둥(12)은 블록 형태의 하부목재(30)와 블록 형태의 상부목재(40)가 십자로 결합된 형상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되,상기 하부목재(30)는,상부면 중앙에 특정 깊이로 양측이 개방형으로 형성된 하부결합구멍(32);상기 하부결합구멍(32) 양측의 상부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볼록한 요철 형상을 갖는 돌기부(34); 및하부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오목한 요철 형상을 갖는 홈(36)을 구비하고,상기 상부목재(40)는,하부면 중앙에 특정 깊이로 양측이 개방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결합구멍(32)과 맞물리는 상부결합구멍(42);상기 상부결합구멍(42) 양측의 하부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오목한 요철 형상을 갖는 홈(46); 및상기 상부결합구멍(42) 영역을 제외한 상부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볼록한 요철 형상을 갖는 돌기부(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단일 목재판(20)의 외측 면에 각기 특정 방향으로 정렬되어 부착되되, 통나무를 길이 방향으로 쪼개서 만든 형태인 복수 개의 장식부재(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5331U KR20110005464U (ko) | 2009-11-26 | 2009-11-26 | 목조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5331U KR20110005464U (ko) | 2009-11-26 | 2009-11-26 | 목조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5464U true KR20110005464U (ko) | 2011-06-01 |
Family
ID=4929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15331U Ceased KR20110005464U (ko) | 2009-11-26 | 2009-11-26 | 목조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05464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6201B1 (ko) | 2015-05-29 | 2016-02-22 | 조영일 | 조립식 벽체 |
-
2009
- 2009-11-26 KR KR2020090015331U patent/KR20110005464U/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6201B1 (ko) | 2015-05-29 | 2016-02-22 | 조영일 | 조립식 벽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03102325A3 (de) | Holzbauelement und bausatz zum aufbau von gebäudewänden mit holzbauelementen | |
KR101160983B1 (ko) | 목조 건물용 벽체 및 목조 건물용 벽체의 조립체 | |
KR101193352B1 (ko) | 조립식 목조 주택용 나무 블록 | |
KR20110005464U (ko) | 목조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 |
JP4565342B2 (ja) | 家屋等の壁面用ブロック | |
WO2018060946A1 (en) | Modular system and kit for the dry building of structures for constructions, as well as building method thereof | |
JP3215048U (ja) | ログハウスの室内への水の浸入防止構造 | |
KR101053198B1 (ko) | 통나무 목재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 | |
KR100236544B1 (ko) | 목조주택 건축공법 | |
KR102277884B1 (ko) | 목재블록벽체 | |
JP3104035U (ja) | 土台用建築要素 | |
JP2005180120A (ja) | 家屋等の壁面用ブロック | |
JP5039584B2 (ja) | 建具用パネル | |
KR101527524B1 (ko) | 블록을 이용한 데크 부재, 데크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데크 및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 | |
JP3112885U (ja) | 積木式塀壁構造 | |
JP4188790B2 (ja) | 千鳥間柱の間仕切り壁の構造 | |
KR100630845B1 (ko) | 통나무집의 시공방법 | |
CN214220064U (zh) | 预制装配式建筑用的保温装饰一体化复合混凝土墙板 | |
KR200367748Y1 (ko) | 더브테일식 목재블럭 | |
KR20120006062U (ko) | 구운 황토벽돌 | |
KR200377870Y1 (ko) | 화장실용 칸막이 패널 | |
EP2213807B1 (en) | A modular cladding structure and a method for realisation thereof | |
JP2019015121A (ja) | 建築用ブロック | |
CN1982558A (zh) | 组合架 | |
JP4339176B2 (ja) | 木造建物における軸組開口部の閉塞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1126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711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2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