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04571A - 신발 밑창 - Google Patents

신발 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571A
KR20110004571A KR1020090062061A KR20090062061A KR20110004571A KR 20110004571 A KR20110004571 A KR 20110004571A KR 1020090062061 A KR1020090062061 A KR 1020090062061A KR 20090062061 A KR20090062061 A KR 20090062061A KR 20110004571 A KR20110004571 A KR 20110004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outsole
shoe sole
sole
hard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청
Original Assignee
이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청 filed Critical 이우청
Priority to KR1020090062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571A/ko
Publication of KR20110004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5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43B13/127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the midsole being multi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밑창의 내부에 위치하는 미드솔결합체결합체; 상기 미드솔결합체의 저면 앞쪽에 결합되고, 호형으로 형성된 전방아웃솔; 상기 미드솔결합체의 저면 뒷쪽에 결합되고, 호형으로 형성된 후방아웃솔; 및 상기 미드솔결합체의 저면 가운데에 결합되고, 양측 단부가 상기 전방아웃솔 및 후방아웃솔의 상측에 위치하며, 중앙부분이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연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발 밑창이 제공된다.
미드솔결합체, 전방아웃솔, 후방아웃솔, 연결체

Description

신발 밑창{THE SOLE OF SHOE}
본 발명은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능성 신발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소위 마사이워킹과 같은 보행이 가능하면서도, 밑창의 중앙부가 아래쪽으로 돌출된 형상을 회피하여 안정된 구조의 신발을 제공하며, 신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며 지압의 효과가 충실히 발휘될 수 있는 신발 밑창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사회발달에 힘입어 실내생활이 증가함에 따라 신체의 운동량이 감소하고, 다분화되고 복잡한 사회구조로부터 기인하는 다양한 형태의 질환 요인으로 인하여 비만 및 각종 성인병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최근에는, 물질적 가치나 명예만을 추구하는 삶보다는,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유지할 수 있는 균형있는 삶을 행복의 척도로 하는 웰빙(Well-being) 열풍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잘못된 보행이 관절과 근육에 악영향을 미쳐 신체의 전체적인 건강에 해를 끼친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며, 이에 따라 보행 및 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보행을 교정하거나 발의 피로를 줄일 수 있는 각종 기능성 신발이 등장하고 있다.
신발은 사람의 발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이다. 신발은 통상적으로, 발등과 발목 부분을 보호하는 갑피부분과, 발바닥을 보호하면서 지면과의 마찰력을 높이며 완충의 작용을 동시에 행하도록 이루어진 밑창부분으로 구분된다.
우선, 갑피부분은 외피라고도 하며 가죽 등을 사용하여 편안한 착용감과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발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다.
신발 밑창에는, 일체로 이루어진 단일의 구조로 형성된 것과, 아웃솔(바닥창, outsole), 미드솔(중창, midsole), 인솔(안창, insole)과 같이 여러 층으로 나뉘어 이루어진 것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후자의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하에는 후자와 같이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신발 밑창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아웃솔은 신발의 가장 아랫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지면과 닿는 부분 자체를 말하는데, 고강도 마모성의 천연 고무창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미끄럼방지 등과 같은 사용목적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를 지니게 된다.
미드솔은 아웃솔과 인솔 사이에서 형성된 부분을 말하는데, 충격흡수와 자연스러운 워킹을 위해 여러 가지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인솔은 미드솔 위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통상 깔창이라고도 하며, 분리형과 고정형이 있다.
최근에는, 보행시 단순히 사람의 발을 보호하는 기능뿐 아니라, 건강에 도움 이 될 수 있는 마사이워킹이 가능한 신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마사이워킹이란 농경을 하지 않고, 수렵과 목축으로 살아온 마사이족이 부드러운 초원 바닥을 맨발로 자연스럽게 걸을 때 형성되는 올바른 보행 자세를 말한다.
마사이워킹과 달리, 통상의 현대화된 신발을 착용하여 보행하는 경우에는 앞꿈치와 뒤꿈치만을 활용하여 걷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아스팔트와 시멘트처럼 딱딱한 바닥 위를 딱딱한 밑창의 구두를 신고 걷는 경우에는, 무게 중심이 발바닥의 중앙에 실리지 못하고, 이로 인해 지면에서 받는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면서 보행 자세가 뒤틀리고 변형되어, 관절이나 척추에도 나쁜 영향을 주게 되어 신체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반하여, 마사이족들은 발바닥 전체가 지면에 닿는 중심부 보행을 하며, 걸을 때 발뒤꿈치 바깥쪽부터 닿기 시작해 무게중심이 발 바깥쪽을 거쳐 새끼발가락과 엄지발가락 순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걸음걸이가 곧게 되며, 일반 걸음걸이보다 피로감도 적어서 오래 걷는데도 유리하게 된다.
그리고, 인체의 발의 상태가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학설이 대두되면서 발의 보호와 관리에 대한 관심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발이 인체의 축소판으로서 발바닥에 전신의 각 장기와 대응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부위가 존재함에 따라 그 부위를 적절하게 자극해 줌으로써, 인체의 전체적인 시스템 기능을 활성화시켜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고 하며, 지압기능을 가지는 신발에 대해서도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377822호 "능동적으로 굴러가는 도보장치"는, 신발의 밑창 바닥면이 호형을 이루는 능동 보행용 신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377822호는 능동적으로 굴러 가며 걸을 수 있게 강제하는 신발 구조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을 내포한다.
첫째, 능동 보행이 가능한 구조로만 되어있으며, 발에 대한 지압효과는 기대할 수 없고, 시각적, 구조적으로 안정된 형태의 신발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비정상적으로 두꺼운 밑창에 의하여 외형상 혐오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둘째, 능동 보행은 뒤꿈치가 지면에 착지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되는데, 이때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없다.
셋째, 보행시에 전후방향으로는 능동 보행이 자연스럽게 가능하나, 좌우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에 비틀림이나 쏠림을 방지하지 못하고, 원형 복원이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능성 신발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소위 마사이위킹과 같이 보행시 발 뒤꿈치에서 앞꿈치로의 연속된 착지 및 하중의 전달이 가능하면서, 구조적으로 안정된 형태의 신발 밑창을 제공하며, 지압효과에 의하여 착용자의 피로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밑창의 내부에 위치하는 미드솔결합체; 미드솔결합체의 저면 앞쪽에 결합되고, 호형으로 형성된 전방아웃솔; 미드솔결합체의 저면 뒷쪽에 결합되고, 호형으로 형성된 후방아웃솔; 및 미드솔결합체의 저면 가운데에 결합되고, 양측 단부가 전방아웃솔 및 후방아웃솔의 상측에 위치하며, 중앙부분이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연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발 밑창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아웃솔을 전방아웃솔과 후방아웃솔로 나뉘어 구비되도록 하고, 각 아웃솔이 호형을 이루도록 하여 마사이워킹이 가능하며, 전방아웃솔과 후방아웃솔의 양 지점에서 지면에 닿게 되어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연결체가 그 아래에 위치한 전방아웃솔과 후방아웃솔에 의하여 지탱되며 하중이 가해지도록 이루어져, 보행시 뒤꿈치에서 앞꿈치 까지 발바닥 전체에 골고루 압력이 가해질 수 있으며, 자연스런 롤링(rolling)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연결체가 미드솔결합체, 전방아웃솔 및 후방아웃솔보다 경도가 크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두 개로 나뉘어진 전방아웃솔과 후방아웃솔에 의하더라도 보행시 신발의 과도한 꺽임이나 뒤틀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넷째, 미드솔결합체의 상부면이 하부면보다 완만한 곡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앞꿈치 부분과 뒤꿈치 부분에서 충분한 완충효과가 일어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미드솔결합체를 연질의 두꺼운 제1미드솔과 경질의 얇은 제2미드솔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충분한 완충효과가 일어나는 동시에, 무게중심이 뒤꿈치에서 중앙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미드솔의 탄성작용에 의하여 자연스런 롤링(rolling)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섯째, 미드솔결합체를 상부미드솔, 중부미드솔 및 하부미드솔의 3부분으로 구분되도록 하고, 하부미드솔, 상부미드솔, 중부미드솔 순으로 경도가 높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드솔 내부에서 부드러운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롤링시 편안함을 향상시킨다.
일곱째, 지압돌기가 형성된 경질의 제2중부미드솔과 연질의 제1중부미드솔을 일체로 형성하여 중부미드솔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롤링에 의한 지압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이 사용되는 신발을 도시한 사 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신발에 사용되는 신발 밑창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보행에 따른 신발 밑창의 변형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1)은, 밑창의 내부에 위치하는 미드솔결합체(100); 상기 미드솔결합체(100)의 저면 앞쪽에 결합되고, 호형으로 형성된 전방아웃솔(200); 상기 미드솔결합체(100)의 저면 뒷쪽에 결합되고, 호형으로 형성된 후방아웃솔(300); 및 상기 미드솔결합체(100)의 저면 가운데에 결합되고, 양측 단부가 상기 전방아웃솔(200) 및 후방아웃솔(300)의 상측에 위치하며, 중앙부분이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연결체(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1)에서, 상기 연결체(400)는, 보행시 착용자의 무게중심이 상기 후방아웃솔(300)에서 상기 전방아웃솔(20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체(400)의 일측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중앙부분이 양측 단부보다 낮아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1)은, 통상의 일반적인 신발에 적용될 수 없는 것은 아니나, 마사이워킹과 같은 보행이 가능한 신발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마사이워킹이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프리카 케냐의 마사이족의 걸음걸이와 같은 보행방법을 일컫는 것으로서, 걸을 때 발 뒤꿈치에서 시작하여 발 앞꿈치에 이르기까지 무게중심의 순차적인 이동이 이루어지며, 충격이 완화 및 분산되도록 하는 보행방법을 말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1)은, 본 발명이 구비된 신발을 착용하여 보행하는 경우 신발이 지면에 닿기 시작할 때부터 지면에서 떨어질 때까지, 발 뒤꿈 치에서 앞꿈치에 이르기까지 발바닥 전체를 거쳐 무게중심이 연속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미드솔결합체(100)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1)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신발 밑창(1)에서 중앙 부분을 구성한다.
상기 미드솔결합체(100)는 본 발명인 신발 밑창(1)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며,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어 보행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전방아웃솔(200)은 상기 미드솔결합체(100)의 저면 앞쪽에 결합되며, 신발의 바닥면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전방아웃솔(200)은 호형(弧形)으로 형성되어 바닥면의 형상이 둥글게 이루어지며, 지면에 비교적 작은 부분만이 닿도록 이루어진다. 다만, 탄성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착용하여 보행시에는 하중에 의하여 눌려져서 지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방아웃솔(200)은, 본 발명인 신발 밑창(1)을 지면에 놓은 상태에서, 뒷부분이 지면에 닿도록 이루어지며, 앞부분이 지면에서 들려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보행시 착용자의 앞꿈치가 지면에 닿아 눌리는 순간에, 상기 전방아웃솔(200)의 뒤쪽 부분이 지면에 닿게 되며, 무게중심이 앞꿈치로 이동한 후 지면에서 신발이 떨어지는 때까지, 상기 전방아웃솔(200)의 뒤쪽에서 앞쪽에 이르는 면이 지면과 연속하여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원활한 롤링(rolling)이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아웃솔(300)은, 상기 미드솔결합체(100)의 저면 뒤쪽에 결합되며, 상기 전방아웃솔(200)과 함께 신발의 바닥면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후방아웃솔(300) 또한 호형(弧形)으로 형성되며 바닥면이 둥글게 이루어지고, 비교적 작은 부분만이 지면에 닿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방아웃솔(300)은, 본 발명인 신발 밑창(1)을 지면에 놓은 상태에서, 앞부분이 지면에 닿도록 이루어지며, 뒷부분이 지면에서 들려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보행시 착용자의 뒤꿈치가 지면에 닿아 눌리는 순간에, 상기 후방아웃솔(300)의 가장 뒷부분이 지면에 닿게 되며, 체중에 의한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후방아웃솔(300)의 바닥면의 앞쪽이 연속해서 닿게 된다. 즉, 상기 후방아웃솔(300)의 바닥면의 뒤쪽에서 앞쪽에 이르기까지 연속하여 지면에 닿게 되며, 착지하는 발의 뒤꿈치에 점진적인 하중이 가해지게 되며, 원활한 롤링이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체(400)는 상기 전방아웃솔(200)과 후방아웃솔(300)을 연결하는 부분이며, 본 발명인 신발 밑창(1)의 바닥면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연결체(400)는 전후방 단부가 각각 상기 전방아웃솔(200) 및 후방아웃솔(300)의 상측에 위치하며, 롤링시 상기 후방아웃솔(300)에서 상기 전방아웃솔(200)로 자연스런 롤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연결체(400)는 지면과 닿지 않도록 이루어지며, 중앙부분이 상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체(400)는 탄성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나, 비교적 단단하게 이루어져, 휘어지는 경우에도 그 정도가 미미하여 지면에 닿을 정도로 변형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체(400)는 본 발명인 신발 밑창(1) 전체에서 받침대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경도 35°~50°정도의 비교적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연결체(400)는 그 상측에서 체중에 의한 하중이 직접 가해지더라도 크게 변형되어 휘어지지 않으며,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아웃솔(300)에서 상기 전방아웃솔(200)로 무게중심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체(400)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으며, 발 뒤꿈치 또는 앞꿈치 어느 한쪽에 편중된 상태에서만 체중에 의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이 아니라, 발바닥의 중심에서 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되고, 관절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올바른 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1)은, 바닥면의 전체적인 형상이 활과 같이 굴곡진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아웃솔(200)과 후방아웃솔(300)의 두 지점에서 지면에 닿도록 이루어진다. 통상의 마사이워킹용 신발의 경우, 바닥면의 한 지점에서만 지면에 닿도록 이루어져, 신발을 단순히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지면과 닿는 부분이 비교적 협소하고, 앞뒤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불안정한 구조를 나타낸다. 더욱이, 밑창의 두께가 일반 신발보다 두껍게 이루어져, 이러한 불안정한 구조를 가중시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마사이워킹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면서도, 상기 전방아웃솔(200)과 후방아웃솔(300)의 두지점에서 하중이 분산되어 지탱되도록 하여 구조적인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발 밑창(1)을 제공한다.
또한, 기존의 마사이워킹용 신발의 경우, 밑창의 두께가 비정상적으로 두껍 고 특히 중앙부가 불룩하게 돌출되어 이루어져 있어 이질감이 심하며, 혐오스러운 형상에 의하여 착용하는 것을 꺼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1)의 경우,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도록 하여 날렵한 형태로 이루어진 외형을 제공하며, 이러한 이질감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보행시 롤링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원활한 구름운동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연결체(400)에 의하여 발바닥의 중앙부에 충분한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뒤꿈치에서 앞꿈치에 이르기까지 발바닥 전체에서 균일한 지압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1)에서, 상기 전방아웃솔(200) 및 후방아웃솔(300)은 상기 미드솔결합체(100)보다 경도가 큰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체(400)는 상기 전방아웃솔(200) 및 후방아웃솔(300) 보다 경도가 큰 재질로 형성되어, 보행시 꺾임이나 뒤틀림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미드솔결합체(100)는 상기 전방아웃솔(200) 및 후방아웃솔(300)보다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미드솔결합체(100)는 충격을 충분히 완화하며, 부드러운 롤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도 25°~65°정도의 부드러운 소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특히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미드솔결합체(100)는 착하시 쿠션과 같은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으며, 탄성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방아웃솔(200) 및 후방아웃솔(300)은 상기 미드솔결합체(100)보다 경 도가 큰 재질로 형성되며, 경도 60°~70°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체(400)는 본 발명인 신발 밑창(1)에서 가장 단단하게 이루어지는 부분이며, 바닥면에서 두 부분으로 분리된 상기 전방아웃솔(200)과 후방아웃솔(300), 그리고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미드솔결합체(100)에 의하더라도 보행시의 꺽임이나 뒤틀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1)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결합체(100)는, 상기 전방아웃솔(200), 후방아웃솔(300), 연결체(400)에 밀착되어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면은 하부면보다 완만한 곡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미드솔결합체(100)는, 하측면이 상기 전방아웃솔(200), 후방아웃솔(300), 결합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미드솔결합체(100)는 전체적으로 활모양과 같이 굴곡지게 이루어지며, 앞쪽과 뒤쪽 두 부분에서 아래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미드솔결합체(100)의 상부면은 하부면에 비해 완만한 곡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데, 대체로 하부면과 같은 굴곡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발바닥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미드솔결합체(100)는 상기 전방아웃솔(200)과 후방아웃솔(300)의 윗부분 근처에서 다소 두껍게 형성되며, 보행시 상대적으로 강한 압력이 가해지는 발 뒤꿈치와 앞꿈치에 충분한 완충효과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을 이루는 각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1)에서, 상기 미드솔결합체(100)는, 상측에 위치하는 제1미드솔(110)과 하측에 위치하는 제2미드솔(120)로 구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미드솔(120)은 상기 제1미드솔(110)보다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근사한 곡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1)에서, 상기 제1미드솔(110)은, 경도 25°~45°의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TPU필름이 코팅된다.
상기 미드솔결합체(100)는 상기 제1미드솔(110)과 제2미드솔(120)로 구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미드솔(110)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미드솔(120)은 상기 제1미드솔(110)보다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하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1미드솔(110)은 상기 제2미드솔(120)에 비하여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미드솔결합체(100)의 대부분의 부피를 차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미드솔(110)은 경도 25°~45°정도로 이루어지며, 부드러운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어 탄성력을 향상시키며, 뒤꿈치에 충분한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미드솔(110)은 소프트한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져 가수분해 현상에 의한 판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미드솔(110) 표면에 TPU(Temperature polyurethane)필름이 동시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2미드솔(120)은 상기 미드솔결합체(100)의 하단면의 형상과 같이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제2미드솔(120)은 단단한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도 55°~65°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미드솔(120)은 중앙 허리 부분이 위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뒤쪽 부분은 상기 후방아웃솔(300)과 같이 후방 상측으로 휘어져 형성되어, 무게중심이 뒤꿈치에서 앞쪽으로 이동할 때,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자연스런 구름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체(400) 부분에 하중이 가해지면서 상대적으로 눌려지는 상기 후방아웃솔(300)에 의하여 구름운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미드솔결합체(100)를 상기 제1미드솔(110)과 제2미드솔(120)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충분한 완충효과가 일어나는 동시에, 무게중심이 뒤꿈치에서 중앙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미드솔(120)의 탄성작용에 의하여 자연스런 롤링(rolling)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1)에서, 상기 미드솔결합체(100)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미드솔(130)과, 상기 상부미드솔(130) 아래에 위치하는 중부미드솔(140)과, 상기 중부미드솔(140)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미드솔로 구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미드솔은, 상기 상부미드솔(130) 및 중부미드솔(140)보다 경도가 작지 않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근사한 곡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미드솔결합체(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 부분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상부미드솔(130), 중부미드솔(140) 및 하부미드솔과 같이 세 부분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미드솔(130)은 상기 미드솔결합체(100)의 상측에 위치하며, 경도 35°~50°의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부미드솔(140)은 상기 상부미드솔(130)의 아래에 위치한다. 상기 중부미드솔(140)은 상기 상부미드솔(130)에 비하여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경도 23°~33° 정도의 소프트한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부미드솔(140)은 상기 상부미드솔(130)과 완전히 층이 구분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상부미드솔(130)의 내부에 위치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중부미드솔(140)이 상기 상부미드솔(130)의 테두리에 의하여 감싸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부미드솔(140)을 상기 상부미드솔(130)에 비하여 연질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중부미드솔(140)에서 더 큰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충격흡수에 따른 변화가 급격히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상부미드솔(130)이 완만하게 탄성변형되도록 이루어지므로 부드러운 완충 및 롤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미드솔은 상기 제2미드솔(120)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며, 경도 55°~65°정도의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미드솔은 중앙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부미드솔(140)보다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 고 뒤쪽으로 들려 올려진 후방부에 의하여 탄성력이 작용하여 자연스런 롤링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미드솔결합체(100)를 상부미드솔(130), 중부미드솔(140) 및 하부미드솔의 3부분으로 구분되도록 하고, 하부미드솔, 상부미드솔(130), 중부미드솔(140) 순으로 경도가 높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미드솔결합체(100)를 통하여 더욱 부드러운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롤링시 편안함을 향상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을 이루는 각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1)에 있어서, 상기 중부미드솔(140)은, 상측에 위치하는 제1중부미드솔(141)과 하측에 위치하는 제2중부미드솔(142)로 구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중부미드솔(142)의 상측에는 다수의 지압돌기(142a)가 형성되며, 상기 제2중부미드솔(142)은 상기 제1중부미드솔(141)보다 경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부미드솔(140)은 상기 제1중부미드솔(141)과 제2중부미드솔(142)로 나뉘어 형성된다. 상가 제2중부미드솔(142) 상측에는 상기 지압돌기(142a)가 형성된다. 상기 지압돌기(142a)는 상기 제2중부미드솔(142) 상부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며, 모든 형태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모양, 위치, 배열, 크기가 모두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중부미드솔(141)은 상기 제2중부미드솔(142)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 기 제2중부미드솔(142) 보다 경도가 작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1중부미드솔(141)은 폴리우레탄 경도 23°~33°로 형성되고, 상기 제2중부미드솔(142)은 폴리우레탄 경도 55°~6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중부미드솔(142)은 상기 제1중부미드솔(141)보다 큰 경도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중부미드솔(140) 일측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중부미드솔(141)의 변형량이 상기 제중부미드솔(140)보다 더 커지게 되며, 상기 중부미드솔(140)의 상부면에는 상기 지압돌기(142a)에 의하여 지압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중부미드솔(140)을 형성함에 있어서 각각 다른 경도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을 동시 숏팅 성형시켜 보행시 롤링에 의한 지압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1)에 있어서, 상기 상부미드솔(130)은, 경도 35°~50°의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TPU필름이 코팅된다.
상기 상부미드솔(130)은 경도 35°~50°의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며, 가수분해 현상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TPU(Temperature polyurethane)필름이 상기 상부미드솔(130) 표면에 동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이 사용되는 신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신발 밑창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보행에 따른 도 1에서 도시된 신발 밑창의 변형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을 이루는 각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
도 5는 도 1에서 도시된 신발밑창을 도시한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을 이루는 각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신발 밑창 100 : 미드솔결합체
110 : 제1미드솔 120 : 제2미드솔
130 : 상부미드솔 140 : 중부미드솔
141 : 제1중부미드솔 142 : 제2중부미드솔
142a : 지압돌기 150 : 하부미드솔
200 : 전방아웃솔 300 : 후방아웃솔
400 : 연결체

Claims (9)

  1. 밑창의 내부에 위치하는 미드솔결합체;
    상기 미드솔결합체의 저면 앞쪽에 결합되고, 호형으로 형성된 전방아웃솔;
    상기 미드솔결합체의 저면 뒷쪽에 결합되고, 호형으로 형성된 후방아웃솔; 및
    상기 미드솔결합체의 저면 가운데에 결합되고, 양측 단부가 상기 전방아웃솔 및 후방아웃솔의 상측에 위치하며, 중앙부분이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연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발 밑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보행시 착용자의 무게중심이 상기 후방아웃솔에서 상기 전방아웃솔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체의 일측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중앙부분이 양측 단부보다 낮아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아웃솔 및 후방아웃솔은 상기 미드솔결합체보다 경도가 큰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체는 상기 전방아웃솔 및 후방아웃솔 보다 경도가 큰 재질로 형성되어, 보행시 꺾임이나 뒤틀림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결합체는,
    상기 전방아웃솔, 후방아웃솔, 연결체에 밀착되어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면은 하부면보다 완만한 곡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결합체는, 상측에 위치하는 제1미드솔과 하측에 위치하는 제2미드솔로 구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미드솔은 상기 제1미드솔보다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근사한 곡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미드솔은, 경도 25°~45°의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TPU필름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결합체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미드솔과, 상기 상부미드솔 아래에 위치하는 중부미드솔과, 상기 중부미드솔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미드솔로 구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미드솔은, 상기 상부미드솔 및 중부미드솔보다 경도가 작지 않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근사한 곡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부미드솔은, 상측에 위치하는 제1중부미드솔과 하측에 위치하는 제2중부미드솔로 구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중부미드솔의 상측에는 다수의 지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중부미드솔은 상기 제1중부미드솔보다 경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미드솔은, 경도 35°~50°의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TPU필름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KR1020090062061A 2009-07-08 2009-07-08 신발 밑창 KR201100045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061A KR20110004571A (ko) 2009-07-08 2009-07-08 신발 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061A KR20110004571A (ko) 2009-07-08 2009-07-08 신발 밑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571A true KR20110004571A (ko) 2011-01-14

Family

ID=4361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061A KR20110004571A (ko) 2009-07-08 2009-07-08 신발 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45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9182A1 (en) * 2011-03-18 2012-09-27 Columbia Sportswear North America, Inc. High-stability multi-density midsole
CN108903127A (zh) * 2018-07-17 2018-11-30 安踏(中国)有限公司 一种跑鞋鞋底、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9059584A1 (ko) * 2017-09-19 2019-03-28 안태훈 신발의 아웃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9182A1 (en) * 2011-03-18 2012-09-27 Columbia Sportswear North America, Inc. High-stability multi-density midsole
CN103429110A (zh) * 2011-03-18 2013-12-04 哥伦比亚运动休闲北美公司 高稳定性多密度鞋底夹层
WO2019059584A1 (ko) * 2017-09-19 2019-03-28 안태훈 신발의 아웃솔
CN108903127A (zh) * 2018-07-17 2018-11-30 安踏(中国)有限公司 一种跑鞋鞋底、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4154B2 (en) Footwear for walking or running with rolling action
US9730489B2 (en) High heel for exercising achilles tendons while walking
TW201138665A (en) Shoe construction having a rocker shaped bottom and integral stabilizer
JP2009543657A (ja) シーソー型の靴の靴底
JP2016530042A (ja) トライアスロン用中敷き
MX2010009143A (es) Conjunto de calzado estratificado con superficie inferior arqueada.
JP2009101139A (ja) ハイヒール用の機能性中敷
WO2015056958A1 (ko) 중족과 중족골의 압력을 분산시키는 중창과 이를 구비한 신발
CN104366896B (zh) 一种基于生物力学的童鞋鞋底
US20200163407A1 (en) Functional shoe having spaced front and rear outsoles
KR20110004572A (ko) 건강을 위한 신발 밑창
EP2399475A2 (en) Footwear with Rocker Sole
RU2524894C2 (ru) Обувь для здоровья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120079740A1 (en) Basketball Shoe Sole
KR20110004571A (ko) 신발 밑창
KR20090085381A (ko)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신발
KR20110008409U (ko) 구두 중창용 허리쇠
US20040221487A1 (en) Shoe construction
KR101693773B1 (ko)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KR101263614B1 (ko) 신발
CN211608351U (zh) 一种物理减震结构鞋
KR20180093784A (ko) 아치형 중창
KR200366524Y1 (ko) 키높이 양말용 패드
KR200418896Y1 (ko) 기능성 신발
KR20200049024A (ko) 교정용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0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8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7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3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8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