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819A - Patient and Handicapped Shoes - Google Patents
Patient and Handicapped Sho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3819A KR20110003819A KR1020090061272A KR20090061272A KR20110003819A KR 20110003819 A KR20110003819 A KR 20110003819A KR 1020090061272 A KR1020090061272 A KR 1020090061272A KR 20090061272 A KR20090061272 A KR 20090061272A KR 20110003819 A KR20110003819 A KR 201100038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shoe
- shoes
- patient
- support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81—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hook-and-loop type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2—Boots covering the lower leg
- A43B3/04—Boots covering the lower leg with rubber or elastic insertions or gusset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고나 질병 또는 선천적인 이유로 인해 보행이 불편한 사람들이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보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 환자 및 장애인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for the patient and a disabled person equipped to walk more comfortably and stably for people who are uncomfortable due to accidents, diseases or congenital reasons.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의 발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갑피(31)와, 이 갑피(31)의 하단에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신발밑창(32)을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갑피(31)는 그 뒤축부분이 상향 연장된 지지부(33,34)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3,34)는 상부와 전방이 개방된 상태에서 양측면과 후방을 감싸도록 측면지지부(33)와 후방지지부(34)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지지부(34)에는 그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보강부재(35)가 내장되고, 상기 지지부(33,34)에는 그 전방을 조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조임밴드(37)가 구비되는 환자 및 장애인용 신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hoe comprising an upper 31 formed to insert a wearer's foot and a shoe sole 32 coupled to form a bottom surface at the bottom of the upper 31, the upper 31 is Support portions 33 and 34 whose rear axles extend upwardly are formed, and the support portions 33 and 34 surround side and rear sides of the side support portion 33 and the rear support portion 34 so as to surround both sides and the rear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and the front portions are opened. It is made of, the rear support portion 34 has a reinforcing member 35 is built to reinforce its strength, the support portion 33, 34 has at least one tightening band 37 that can tighten the front Provided are shoes for the patient and the disabled.
신발, 갑피, 신발밑창, 지지부, 보강부재 Shoes, uppers, shoe soles, supports, reinforcem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행에 문제가 있는 환자나 장애인을 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고나 질병 또는 선천적인 이유로 인해 보행이 불편한 사람들이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보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 환자 및 장애인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for a patient or a disabled person having a walking problem, and more particularly, for a patient and a disabled person who can walk more comfortably and stably for those who have difficulty walking due to an accident, illness, or congenital reasons. It's about shoes.
일반적으로 사고나 선천적인 이유로 인해 발의 근육이나 신경이 손상되어 보행이 불편한 통상의 하수족(drop foot) 환자들은 보행시에 발을 끌거나 옆으로 큰 궤적을 그리면서 부자연스러운 보행을 하게 된다.In general, the foot foot patients who have difficulty in walking due to injury to the muscles or nerves of the foot due to accidents or congenital causes unnatural walking while dragging the foot or drawing large trajectories to the side.
근래에 와서는 이러한 하수족 환자들을 위한 다양한 보조장비 또는 신발 등이 보급되고 있는데, 그 일례로 종래의 신발을 도시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recent years, various auxiliary equipment or shoes, etc. for such a foot and foot patients have been spread. As an example, a conventional sho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신발(10)은 발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갑피(11)와 이 갑피(11)의 저면에 결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신발밑창(12)을 포 함한 통상의 구성에 더하여 신발(10)의 뒤축 부분에는 소정의 높이로 상향 형성된 지지대(21)를 포함하는 보조기구(20)가 결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신발밑창(12,13)은 미드솔(12)과 이 미드솔(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웃솔(13)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기구(20)는 상기 미드솔(12)과 아웃솔(13) 사이에 삽입되는 바닥판(22)과 이 바닥판(22)의 후단에서 상향되는 상기 지지대(21) 및 이 지지대(21)의 상단측에 구비된 가이드(2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보조기구(20)를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12)과 아웃솔(13)에는 상기 바닥판(22)에 대응된 삽입홈(14)이 형성되고, 상기 미드솔(12)과 갑피(11)의 후단측에는 상기 지지대(21)에 대응된 결합공(15)이 형성되며, 상기 미드솔(12)과 아웃솔(13)은 다수의 벨크로(16) 또는 이에 상응하는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하지만, 이러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신발(10)에 의하면, 상기 보조기구(20)는 신발(10)의 뒤축부분에 상향된 막대형상의 지지대(21)가 구비된 것이어서, 착용자의 다리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지지대(21)가 종아리의 일부만을 지지하게 되므로, 그 지지력이 견고하지 못하여 안정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는 것이다.However, according to the
또한 상기 보조기구(20)는 별도로 구비되어 갑피(11)와 신발밑창(12,13)에 결합되는 것이어서, 상기 갑피(11) 또는 신발밑창(12,13)과의 일체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단순한 막대형상의 지지대(21)가 노출된 상태로 구비되어 외관상 바람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보조기구(20)의 바닥판(22)은 상기 미드솔(12)과 아웃솔(13) 사이에 삽입되는 것이어서, 상기 보조기구(20)가 구비되지 않는 다른 한 쪽의 신발과의 높이차가 발생될 우려가 있어 좌우의 균형이 맞지 않아 보행상의 불편함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착용자의 다리(또는 종아리) 부분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일체감이 형성된 구조에 의해 외관상 보다 바람직한 느낌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우 한 쌍의 신발의 높이차가 발생되지 않아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보행이 가능한 환자 및 장애인용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support the wearer's leg (or calf) portion more stably, by the structure formed a sense of unity can give a more desirable feeling in appearance Rather,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pair of shoes to provide a more stable and comfortable walking shoes for the disabled and disabled.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의 발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갑피(31)와, 이 갑피(31)의 하단에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신발밑창(32)을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갑피(31)는 그 뒤축부분이 상향 연장된 지지부(33,34)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3,34)는 상부와 전방이 개방된 상태에서 양측면과 후방을 감싸도록 측면지지부(33)와 후방지지부(34)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지지부(34)에는 그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보강부재(35)가 내장되고, 상기 지지부(33,34)에는 그 전방을 조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조임밴드(3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및 장애인용 신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hoe comprising an upper 31 formed to insert a wearer's foot and a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임밴드(37)는 착탈 가능하도록 벨크로 형태로 이루어져 다수개가 구비되고, 그 조임밴드(37)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지 지부(33,34) 둘레에 감기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및 장애인용 신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ghtening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측면지지부(33)에는 박판 형태의 보강부재(39)가 더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및 장애인용 신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의 발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갑피(31)의 뒤축부분이 상향 연장되어 지지부(33,34)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지지부(33,34)는 측면지지부(33)와 후방지지부(34)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지지부(33,34)에 의해 착용자의 다리(또는 종아리) 부분을 감싼 형태로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el portion of the upper 31 formed to insert the wearer's foot is extended upward to form the
또한 상기 지지부(33,34)는 갑피(31)의 뒤축부분에 일체로 연장 형성됨과 동시에 보강부재(35)가 내장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종래처럼 갑피(31)와는 구별되는 별도의 보조기구(20)가 결합되는 구성이 아니므로, 신발(30)의 전체적인 일체감을 형성함과 동시에 외관상 깔끔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지지부(33,34)는 신발밑창(32)에 무관하게 상기 갑피(31)로부터 연장 형성된 것이므로, 종래처럼 다른 한 쪽의 신발과의 높이차를 발생하지 않아 보행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상기 지지부(33,34)에는 벨크로 형태의 조임밴드(37)가 다수개 구비됨 으로써, 착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더라도 신발(30)을 용이하게 착용함과 동시에 띠형상으로 이루어진 조임밴드(37)에 의해 타이트하게 결속하더라도 착용감을 편안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조임밴드(37)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지지부(33,34)를 감은 후에 조임 가능하여 신발(30)의 밀착감을 더욱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33,34)에 의해 지지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상기 지지부(33,34)는 상기 측면지지부(33) 및 후방지지부(34)에 보강부재(35)가 내장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전술된 바와 같은 지지부(33,34)의 강도를 보강하여 그 지지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강부재(35)가 내장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갑피(31)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33,34)의 외관상 느낌을 저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의한 실물사진과 그 측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발(30)은 착용자의 발이 삽입되도록 갑피(31)가 형성되고, 이 갑피(31)의 하단에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신발밑창(32)이 형성되며, 착용자의 발등에 상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갑피(31)를 상호 조일 수 있는 조임밴드(36)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것에 유사한 것이 다.2 and 3 is a real picture and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이러한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갑피(31)의 뒤축부분이 상향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33,34)가 형성되는데, 이 지지부(33,34)는 상부와 전방에 개구부(38)가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과 다리부분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착용자가 신발(30)에 신은 상태에서 종아리 부분을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측면지지부(33)와 후방지지부(34)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에 상기 지지부(33,34)의 높이는 대략적으로 발목과 무릎 사이에 위치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지지부(33,34)에는 대략 두 개정도의 조임밴드(37)가 상하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착용자가 신발(30)을 착용할 때에 편리하면서도 타이드가 조일 수 있도록 구비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임밴드(37)는 소정의 폭을 갖는 띠형상의 벨크로 형태로 구비되어 큰 힘을 들이지 않더라도 착탈이 용이하도록 되며,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지지부(33,34) 둘레에 감기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33,34)가 착용자의 다리에 더욱 밀착되도록 하며, 이에 의해 착용자의 발과 신발(30)이 더욱 밀착되어 보행상의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o such a configu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haft portion of the upper 31 extends upwardly to form integrally formed
또한 상기 지지부(33,34)에는 그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보강부재(35,39)가 구비되는데, 상기 후방지지부(34)에는 얇은 막대 형태의 보강부재(35)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지지부(33)에는 상기 보강부재(35)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 박판 형태의 보강부재(39)가 구비되게 된다. 이러한 보강부재(35,39)는 갑피(31)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내장된 상태로 구비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되며, 이에 의해 발목의 힘이 상대적으로 약한 환자나 장애인의 발목 부분을 지지하여 안정적이 면서도 편리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보조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본 발명의 신발(30)은 환자나 장애인을 위한 것이므로, 전체적인 중량을 가볍게 형성하도록 경량으로 구비되어 신발(30)의 무게에 따른 보행상의 불편함을 해소함과 동시에 발목과 같은 관절 부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명되지 않은 부호(40)는 신발(30)의 뒤축에 전술된 보강부재(39)와 유사하게 박판 형태로 구비되는 다른 보강부재(40)를 나타낸 것이다.Since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도 1은 종래의 신발 일례를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sho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실물사진2 is a real picture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1272A KR20110003819A (en) | 2009-07-06 | 2009-07-06 | Patient and Handicapped Sho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1272A KR20110003819A (en) | 2009-07-06 | 2009-07-06 | Patient and Handicapped Sho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3819A true KR20110003819A (en) | 2011-01-13 |
Family
ID=43611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61272A Ceased KR20110003819A (en) | 2009-07-06 | 2009-07-06 | Patient and Handicapped Sho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03819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47487A1 (en) * | 2017-02-07 | 2018-08-16 | 이수찬 | Shoe for rehabilitation exercise for patient undergoing lower limb surgery |
KR20190001527U (en) * | 2017-12-13 | 2019-06-21 | 김화진 | Warming Shoes For Medical Needs Can Be Easy Putting On |
-
2009
- 2009-07-06 KR KR1020090061272A patent/KR20110003819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47487A1 (en) * | 2017-02-07 | 2018-08-16 | 이수찬 | Shoe for rehabilitation exercise for patient undergoing lower limb surgery |
KR20190001527U (en) * | 2017-12-13 | 2019-06-21 | 김화진 | Warming Shoes For Medical Needs Can Be Easy Putting 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38201B2 (en) | Non-slip footwear | |
US8056149B2 (en) | Combination sock and shoe | |
US20080034613A1 (en) | Dance Footwear | |
CA2260517A1 (en) | Article of footwear | |
TWD108241S1 (en) | Footwear upper | |
WO2013123922A1 (en) | Shoe with instep elastic insertion and insole with depressions | |
KR100975991B1 (en) | Walking aid shoes | |
KR100636399B1 (en) | Functional shoes | |
KR100817411B1 (en) | Functional shoes | |
KR20110003819A (en) | Patient and Handicapped Shoes | |
JP3195381U (en) | Sandal board and sandals | |
CN205072190U (en) | arch support shoes | |
KR200442354Y1 (en) | Muscle Ligament Protector with Gait Assist | |
KR100867845B1 (en) | Walking aid shoes | |
KR101157454B1 (en) | Socks having simplicity shoes | |
JP7454299B1 (en) | footwear | |
RU206419U1 (en) | Protective orthopedic boots | |
TWI876901B (en) | Insoles | |
JP5028053B2 (en) | Footwear for people who have injury or injury on the forefoot | |
JP5465262B2 (en) | Fastening structure for footwear | |
WO2018067586A1 (en) | Shoe | |
JP2008061818A (en) | Footwear for person with invalidity in heel region | |
CN106073001B (en) | Foot arch suspension support type shoe body | |
KR101911163B1 (en) | The rehabilization shoes for patient after lower extremity sugery | |
JP3077737U (en) | stocking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6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