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138U - 자전거 락커 - Google Patents
자전거 락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3138U KR20110003138U KR2020090012427U KR20090012427U KR20110003138U KR 20110003138 U KR20110003138 U KR 20110003138U KR 2020090012427 U KR2020090012427 U KR 2020090012427U KR 20090012427 U KR20090012427 U KR 20090012427U KR 20110003138 U KR20110003138 U KR 2011000313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cycle
- locker
- storage
- handle
- bicycle stor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05—Garages for vehicles on two whe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의 도난을 방지하면서 협소한 자전거 보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전거 락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자전거 락커는, 자전거가 출입되는 정면부가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는 자전거 락커로서, 이 자전거 락커의 내부공간을 다수의 칸막이로 구획하여 형성되며,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는 다수의 자전거 보관부와, 상기 각 자전거 보관부의 정면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는, 상기 자전거 보관부에 보관되는 자전거의 핸들이 위치하는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칸막이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를 가지며, 상기 각 자전거 보관부는, 보관되는 자전거의 핸들 양단의 폭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자전거 락커의 전체 치수를 줄일 수 있어, 자전거 락커의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자전거 보관부, 칸막이, 자전거 보관 락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전거를 보관하는 자전거 락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별 자전거마다 구성되는 자전거 보관부의 전체 치수를 줄여서 자전거 락커의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자전거 락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레저, 스포츠용 뿐만 아니라, 교통수단으로도 널리 사용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교통체증 및 공해를 감소시키는 교통수단으로서 자전거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관공서나, 버스정류장, 지하철역 등의 공공장소에는, 다양한 종류의 자전거 보관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자전거 보관 시설로서는, 협소한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자전거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자전거의 앞바퀴나 뒷바퀴를 거치대에 걸치게 하여 락킹장치로 잠궈서 보관하는 자전거 보관대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전거 보관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협소한 장소에 여러대의 자전거를 보관한다는 이점은 있지만, 자전거 전체가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락킹장치로 잠겨진 부분만을 빼놓고 훔쳐간다거나, 절단기를 이용하여 락킹장치를 절단하여 자전거를 훔쳐가는 등의 도난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도난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자전거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자전거 전체를 내부에 수납하는 자전거 보관함 및 이를 복수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자전거 보관시설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전거 보관함은, 자전거를 완전히 수납하여 보관하기 때문에, 공간 제약이 따르는 공공장소에 이들을 복수개 설치할 경우에, 자전거 보관함이 설치되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설치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전거의 도난을 방지하면서 협소한 자전거 보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전거 락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전거 락커는, 자전거가 출입되는 정면부가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는 자전거 락커로서, 내부공간을 다수의 칸막이로 구획하여 형성되며,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는 다수의 자전거 보관부와, 상기 각 자전거 보관부의 정면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는, 상기 자전거 보관부에 보관되는 자전거의 핸들이 위치하는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칸막이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를 가지며, 상기 각 자전거 보관부는, 보관되는 자전거의 핸들 양단의 폭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전거 보관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바닥면에는, 자전거 보관부에 보관되는 자전거의 핸들부분이 이웃하는 자전거 보관부에 보관되는 자전거의 외부로 돌출되는 핸들부분과 간섭되지 않도록 바닥 높이를 상승시키는 받침부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전거 락커는, 상하 다단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2단째의 각 자전거 보관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의 양 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가동판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더욱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각 자전거 보관부의 양 측벽을 이루는 칸막이의 일부를 자전거 핸들 높이에 대응시켜 개방시키도록 하고, 각 자전거 보관부에 보관되는 자전거의 핸들 일부가 양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자전거 보관부의 폭을 설정함으로써, 자전거 락커의 전체 치수를 줄일 수 있어, 자전거 락커의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자전거 보관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락커(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자전거 락커(100)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자전거 락커(100)는, 아동용 및 성인용 자전거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자전거(2)를 보관하는데 사용되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전거(2)의 핸들(2a)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칸막이(13)에 의해 구획된 각 자전거 보관 부(10)의 내부 공간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자전거 락커(100)는, 밑판(11), 측벽(12), 상판(14) 및 뒷벽을 가지며, 자전거(2)가 출입되는 정면부가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져 있고, 그 내부공간이 다수의 칸막이(13)로 구획되어, 자전거(2)를 보관할 수 있는 다수의 자전거 보관부(10)를 형성하고 있다. 각 자전거 보관부(10)의 정면부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4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칸막이(13)와 그 이웃하는 칸막이(13) 사이의 거리인 자전거 보관부(10)의 폭은, 보관되는 자전거(2)의 핸들(2a) 양단의 폭보다도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함께, 칸막이(13)는, 자전거 보관부(10)에 보관되는 자전거(2)의 핸들(2a)이 위치하는 높이에 대응하여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20)를 가지고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자전거 락커(100)는,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에, 자전거 보관부(10)에 보관되는 자전거(2)의 핸들(2a) 일부가 외부 또는 이웃하는 다른 자전거 보관부(10)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된 "ㄴ"자 형상의 개방부(20)를 마련해 둠으로써, 각 자전거 보관부의 폭을 자전거(2)의 핸들(2a) 양단의 폭보다도 좁게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각 자전거 보관부(10)의 폭은, 자전거(2)의 핸들(2a)이 양측의 칸막이(13)로부터 외부 또는 이웃하는 자전거 보관부(10)로 돌출되는 부분을 제외한 자전거(2)의 나머지 부분이 모두 수용되는 치수로 형성된다. 예컨대, 자전거 보관부(10)의 폭은, 자전거(2)의 핸들(2a)의 양단 폭보다는 좁고, 그리고 자전거(2)의 패달(2b)의 양단 폭보다는 넓은 치수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자전거 락커(100)의 양 측벽(12)과 이들과 각각 이웃하는 칸막이(13)에 의해 형성되는 양 측방에 위치하는 자전거 보관부(10')가, 이들 자전거 보관부(10')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다른 자전거 보관부(10)보다도 폭이 크게 형성, 즉, 측벽(12)쪽에 위치하는 자전거(2)의 핸들(2a)의 한쪽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는, 자전거의 도난 방지를 위하여, 자전거 락커(100)의 양 측벽(12)이 외부와 차단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상기 측벽(12) 및 자전거 보관부(10')의 구성은 예시를 위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난방지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측벽(12)의 일부가 상기 칸막이(13)와 마찬가지로 개방되어 있는 구성을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는, 양 측벽(12) 측에 위치하는 자전거 보관부(10')의 폭을, 인접하는 다른 자전거 보관부(10)의 폭과 동일하게 할 수 있어, 자전거 락커(100)의 전체 크기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자전거 락커(100)의 자전거 보관부(1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바닥면에는, 이에 보관되는 자전거의 핸들부분이 이웃하는 다른 자전거 보관부(10)에 보관되는 자전거(2)의 핸들(2a)과 간섭되지 않도록, 바닥 높이를 상승시키는 받침부(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받침부(5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5개의 자전거 보관부(10) 중에 하나 걸러서 하나씩 설치된다. 이로써, 이웃하는 자전거(2)의 핸들(2a)의 높이가 다르게 되어, 이들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50)는, 이웃하는 자전거(2)의 핸들(2a)이 서로 간섭되 지 않을 정도의 높이(두께)로 설치되면 좋으며, 다양한 종류의 자전거의 핸들 높이를 고려하여 여유있는 높이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자전거 락커(100)의 밑판(11)과 일체로 또는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자전거 락커(100)의 상판(14)은, 햇빛 또는 빗물 등을 막을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칸막이(13)의 개방부(20)는, 자전거(2)의 핸들(2a) 일부가 외부 또는 이웃하는 자전거 보관부(10)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좋으며, 자전거의 도난 방지를 위해서, 자전거의 바퀴 부분이 자전거 보관부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전거 보관부(10)의 정면 개방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40)에는, 각각의 자전거 보관부(10)에 수납되는 자전거(2)의 도난 방지를 위하여 공지된 잠금장치(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2의 예에서는, 자전거(2)의 바퀴가 닿는 밑판(11) 또는 받침부(50)의 상면에 자전거(2)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자전거(2) 차제 또는 바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고정수단은 예컨대 공지된 자전거 거치 프레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전거 보관부(10)의 양 측부인 칸막이(13)의 일부에 개방부(20)를 마련하여, 이 자전거(2)의 핸들(2a) 중 일부가 자전거 보관부(10) 양쪽의 칸막이(13)로부터 외부 또는 이웃하는 자전거 보관부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각 자전거 보관부(10)의 폭 치수를 줄일 수 있어, 자전거 락커(100) 의 전체 사이즈 특히 폭 사이즈를, 자전거 전체가 수납되는 종래의 자전거 락커보다도 작게 할 수 있으며, 또한, 같은 사이즈의 자전거 락커에서는 종래보다 많은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락커(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자전거 락커(200)의 정면도이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자전거 락커(100)의 구성요소와 동일 내지 동등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자전거 락커(200)는, 칸막이(13)의 형상만이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다르다.
즉,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칸막이(13)의 개방부(20)가, 자전거(2)의 핸들(2a)이 놓이는 부분에 대응하여, "ㄴ"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전거 락커(20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13)를 자전거(2)의 핸들(2a)이 놓이는 부분의 아래쪽에만 놓이도록 설치하여, 그 개방부(20)를 "ㅁ"자 형상으로 마련하고 있다.
이 경우, 칸막이(13)의 제작이 간단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자전거 락커(200)의 전체 사이즈를, 자전거 전체가 수납되는 종래의 자전거 락커보다도 작게 할 수 있으며, 또한, 같은 사이즈의 자전거 락커에서는 종래보다 많은 자전거를 보 관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나타냄은 물론이다.
(제3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락커(3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제1,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자전거 락커(100, 200)의 구성요소와 동일 내지 동등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자전거 락커(300)는, 도 3에 나타낸 자전거 락커(200)를 상하방향으로 2단 적층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지면에 배치되는 1단째의 제1 자전거 락커(200)와, 이 제1 자전거 락커의 상부에 배치되는 2단째의 제2 자전거 락커(200')를 포함하며, 제1 자전거 락커(200)의 상판(14)과 제2 자전거 락커(200')의 밑판(11)을 공용화시켜서 또는 서로 밀착시켜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 자전거 락커(200)와 그 상방의 제2 자전거 락커(200') 등 다수의 자전거 보관함을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배치하는 것만으로도, 자전거 보관시설의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제1 자전거 락커(200)와 제2 자전거 락커(200')를 밀착시키는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공지된 용접, 볼트 너트, 나사박음, 리베팅 등을 이용하여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2 자전거 락커(200')의 각 자전거 보관부(10, 10')는, 그 일부, 예컨대 밑판(11) 또는 받침부(50) 위에 장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가동판(110)과, 이 가동판(110)의 양 측방에 마련되어 가동판(11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40)를 더욱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가동판(110)의 일단의 양측에는, 가이드부(140)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롤러(130)가 더욱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롤러(130)를 구비함으로써, 가동판(110)의 인입 및 인출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 가동판(110)의 바닥에는 자전거(2)의 차체 또는 바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120)이 더욱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고정수단(120)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공지된 자전거 거치 프레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120)을 이용하여 자전거(2)를 고정함으로써, 출입 시 자전거(2)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동판(110), 고정수단(120), 롤러(130) 및 가이드부(140)가 제2 자전거 락커(200')에만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 구성이 제1 자전거 락커(200)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의 자전거 락커(200)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는 단순히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의 예시일 뿐, 제1 실시예의 자전거 락커(100)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자전거 락커가 설치되는 공간 높이 및 넓이에 맞추어, 3개 또는 그 이상의 자전거 락커를 상하방향으로 배치하는 것도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하는 것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자전거 락커는,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음과 함께, 자전거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여러 관공서나, 버스정류장, 지하철역 등의 공공장소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락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자전거 락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락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자전거 락커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락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전거 보관부 20 : 개방부
2 : 자전거 40 : 도어
2a : 핸들 50 : 받침부
11 : 밑판 110 : 가동판
12 : 측벽 120 : 고정수단
13 : 칸막이 130 : 롤러
14 : 상판 140 : 가이드홈
100, 200, 300 : 자전거 락커
Claims (4)
- 자전거가 출입되는 정면부가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는 자전거 락커로서,상기 자전거 락커의 내부공간을 다수의 칸막이로 구획하여 형성되며,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는 다수의 자전거 보관부와,상기 각 자전거 보관부의 정면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를 구비하고,상기 다수의 칸막이는, 상기 자전거 보관부에 보관되는 자전거의 핸들이 위치하는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칸막이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를 가지며,상기 각 자전거 보관부는, 자전거의 핸들 양단의 폭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락커.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다수의 자전거 보관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바닥면에는, 각 자전거 보관부에 보관되는 자전거의 외부로 돌출되는 핸들부분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바닥 높이를 상승시키는 받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락커.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자전거 락커를 상하방향으로 다단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락커.
-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2 이상의 자전거 락커의 자전거 보관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의 양 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가동판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더욱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락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2427U KR20110003138U (ko) | 2009-09-22 | 2009-09-22 | 자전거 락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2427U KR20110003138U (ko) | 2009-09-22 | 2009-09-22 | 자전거 락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3138U true KR20110003138U (ko) | 2011-03-30 |
Family
ID=44208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12427U Ceased KR20110003138U (ko) | 2009-09-22 | 2009-09-22 | 자전거 락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03138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683126A1 (en) * | 2019-01-19 | 2020-07-22 | Hänggi, Daniel | A vehicule holder and a row of vehicule holders |
EP3988435A1 (de) * | 2020-10-26 | 2022-04-27 | Völkl Patente GmbH & Co. KG | E-service-modul |
-
2009
- 2009-09-22 KR KR2020090012427U patent/KR20110003138U/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683126A1 (en) * | 2019-01-19 | 2020-07-22 | Hänggi, Daniel | A vehicule holder and a row of vehicule holders |
WO2020148240A1 (en) * | 2019-01-19 | 2020-07-23 | Haenggi Daniel | A vehicle holder and a row of vehicle holders |
EP3988435A1 (de) * | 2020-10-26 | 2022-04-27 | Völkl Patente GmbH & Co. KG | E-service-modu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88473A (en) | Truck storage box apparatus | |
TWI665953B (zh) | 電子裝置櫃 | |
US5482162A (en) | Tool chest assembly constructed of a plastic material | |
US8540302B2 (en) | Adjustable length truck bed cover with removable side panels and method of installation and removal | |
US6502886B1 (en) | Device for transporting objects in a motor vehicle | |
JP2008094370A (ja) | 車両のラゲージフロアボックス | |
US20180281699A1 (en) | Storage drawer assembly for vehicle tray | |
US4943194A (en) | Truck cargo safeguard | |
KR20110003138U (ko) | 자전거 락커 | |
WO2011000431A1 (en) | Support frame for arranging module units in a service vehicle | |
US20190263558A1 (en) | A blow-molded panel for a storage container | |
US6523877B1 (en) | Vehicle storage box assembly | |
KR101822986B1 (ko) | 서랍장 | |
US4506786A (en) | Bicycle storage structure | |
WO1997014861A1 (en) | Bicycle storage locker | |
US20080099520A1 (en) | Truck bed box | |
JP4297343B2 (ja) | デッキフロア構造 | |
KR20160124357A (ko) | 트럭 적재함용 공구박스 | |
CN201087653Y (zh) | 保险箱固定装置 | |
US9469436B1 (en) | Parts container with storage compartments | |
KR200448039Y1 (ko) | 슬라이딩 타입의 철도차량 비상용품 보관구조 | |
KR200477283Y1 (ko) | 측판을 구비하지 않는 서랍장 | |
KR200383741Y1 (ko) | 공간 활용을 위한 사물함의 수납 구조 | |
ES3010571T3 (en) | Recreational vehicle with a luggage compartment adjustable in volume by means of a dressing block | |
JP3027764U (ja) | 物品収容ケー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922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719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1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