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981A - 브리지 연결불량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브리지 연결불량 검출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2981A KR20110002981A KR1020090060546A KR20090060546A KR20110002981A KR 20110002981 A KR20110002981 A KR 20110002981A KR 1020090060546 A KR1020090060546 A KR 1020090060546A KR 20090060546 A KR20090060546 A KR 20090060546A KR 20110002981 A KR20110002981 A KR 201100029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dge
- color
- terminals
- visibility
- heigh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9—Transmissivity
- G01N21/5907—Densitometers
- G01N2021/5957—Densitometers using an image detector type detector, e.g. CC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 G01N2021/8858—Flaw c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4)
- 베어기판 상에 장착된 구동소자의 터미널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터미널들을 서로 단락시키는 브리지(bridge)를 검출하기 위한 브리지 연결불량 검출방법에 있어서,3차원 형상 측정장치를 통해 상기 구동소자의 3차원 형상을 측정하여, 위치에 따른 높이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이하, 3차원 형상 측정단계라고 함);상기 3차원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상기 구동소자의 형상을 확인하여, 상기 브리지 연결불량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사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이하, 검사영역 설정단계라고 함); 및상기 검사영역에서의 높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검사영역 내에 상기 터미널들을 서로 단락시키는 브리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이하, 브리지 여부 1차 판단단계라고 함)를 포함하는 브리지 연결불량 검출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영역 설정단계는상기 3차원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상기 구동소자의 몸체를 확인하는 단계;상기 3차원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된 상기 구동소자의 터미널들을 확인하는 단계; 및상기 검사영역을 상기 터미널들 사이 영역 내에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연결불량 검출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여부 1차 판단단계에서는상기 검사영역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물체의 높이가 임계높이 이상일 경우, 상기 물체를 상기 브리지로 판단하고,상기 물체의 높이가 상기 임계높이 미만일 경우, 상기 물체를 상기 브리지로 판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연결불량 검출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높이는상기 구동소자의 터미널들에서의 최대높이의 10% ~ 40%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연결불량 검출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여부 1차 판단단계에서는상기 검사영역이 상기 구동소자의 몸체의 일부 영역까지 포함할 경우, 상기 몸체의 일부는 상기 브리지의 판단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연결불량 검출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여부 1차 판단단계 결과, 상기 검사영역 내에 상기 브리지라고 판단되는 물체가 존재할 경우, 상기 물체에서의 가시도(visibility)를 확인하는 단계(이하, 브리지 가시도 확인단계라고 함); 및상기 물체에서의 가시도를 이용하여 상기 물체가 상기 브리지인지를 2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이하, 가시도에 의한 브리지 여부 2차 판단단계라고 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연결불량 검출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가시도 확인단계에서는상기 3차원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물체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는 상기 물체에서의 가시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연결불량 검출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도에 의한 브리지 여부 2차 판단단계에서는상기 물체에서의 가시도를 확인한 결과, 상기 물체에서의 가시도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 상기 물체를 상기 브리지로 판단하고,상기 물체에서의 가시도가 상기 기준치 미만일 경우, 상기 물체를 상기 브리지로 판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연결불량 검출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여부 1차 판단단계 결과, 상기 검사영역 내에 상기 브리지라고 판단되는 물체가 존재할 경우, 상기 물체의 색깔(color)을 확인하는 단계(이하, 브리지 색깔 확인단계라고 함); 및상기 물체에서의 색깔을 이용하여 상기 물체가 상기 브리지인지를 2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이하, 색깔에 의한 브리지 여부 2차 판단단계라고 함)를 더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연결불량 검출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색깔 확인단계는상기 구동소자의 2차원 컬러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상기 2차원 컬러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물체의 색깔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브리지 연결불량 검출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색깔에 의한 브리지 여부 2차 판단단계에서는상기 물체의 색깔을 확인한 결과, 상기 물체의 색깔이 상기 터미널들 상에 형성된 솔더부들의 색깔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경우, 상기 물체를 상기 브리지로 판단하고,상기 물체의 색깔이 상기 솔더부들의 색깔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물체를 상기 브리지로 판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연결불량 검출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여부 1차 판단단계 결과, 상기 검사영역 내에 상기 브리지라고 판단되는 물체가 존재할 경우, 상기 물체에서의 상기 베어기판의 표면 높이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이하, 베어기판 표면 확인단계라고 함); 및상기 베어기판의 표면 높이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물체가 상기 브리지인지를 2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이하, 표면높이에 의한 브리지 여부 2차 판단단계라고 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연결불량 검출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형상 측정단계 이전에, 상기 3차원 형상 측정장치를 통해 상기 베어기판의 표면을 측정하여, 상기 베어기판의 표면 높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연결불량 검출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높이에 의한 브리지 여부 2차 판단단계에서는상기 물체의 높이에서 상기 베어기판의 표면 높이를 제거한 상태인 상기 물체의 실제높이를 이용하여 상기 물체가 상기 브리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연결불량 검출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0546A KR101133968B1 (ko) | 2009-07-03 | 2009-07-03 | 브리지 연결불량 검출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0546A KR101133968B1 (ko) | 2009-07-03 | 2009-07-03 | 브리지 연결불량 검출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2981A true KR20110002981A (ko) | 2011-01-11 |
KR101133968B1 KR101133968B1 (ko) | 2012-04-05 |
Family
ID=43611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60546A KR101133968B1 (ko) | 2009-07-03 | 2009-07-03 | 브리지 연결불량 검출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396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63375A1 (ko) * | 2013-04-02 | 2014-10-09 |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 기판의 이물질 검사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243899B2 (en) | 2012-05-22 | 2016-01-26 | Koh Young Technology Inc. | Method of measuring a height of 3-dimensional shape measurement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9070B1 (ko) * | 1997-02-17 | 1999-11-01 | 구자홍 | 인쇄 회로 기판의 크림 납 검사 장치 및 방법 |
JP4051568B2 (ja) * | 2004-02-09 | 2008-02-27 | ソニー株式会社 | 部品実装基板検査装置 |
-
2009
- 2009-07-03 KR KR1020090060546A patent/KR101133968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63375A1 (ko) * | 2013-04-02 | 2014-10-09 |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 기판의 이물질 검사방법 |
KR20140120821A (ko) * | 2013-04-02 | 2014-10-14 |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 기판의 이물질 검사방법 |
CN104335030A (zh) * | 2013-04-02 | 2015-02-04 | 株式会社高永科技 | 基板的异物检测方法 |
JP2016519768A (ja) * | 2013-04-02 | 2016-07-07 | コー・ヤン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基板の異物質検査方法 |
CN104335030B (zh) * | 2013-04-02 | 2017-06-09 | 株式会社高永科技 | 基板的异物检测方法 |
CN107064163A (zh) * | 2013-04-02 | 2017-08-18 | 株式会社高永科技 | 基板的异物检测方法 |
US10060859B2 (en) | 2013-04-02 | 2018-08-28 | Koh Young Technology Inc. | Method of inspecting foreign substance on substrat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33968B1 (ko) | 2012-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78781B1 (ko) | 3차원 형상 검사방법 | |
JP6425755B2 (ja) | 基板の異物質検査方法 | |
JP5411913B2 (ja) | 端子のチップ位置設定方法 | |
CN107429991B (zh) | 外观检查装置及外观检查方法 | |
KR101659302B1 (ko) | 3차원 형상 측정장치 | |
JP2011013220A (ja) | 測定対象物の検査方法 | |
KR101205970B1 (ko) | 브리지 연결불량 검출방법 | |
KR101144749B1 (ko) | 소자의 불량 검사방법 | |
EP3236200B1 (en) | Method and apparatus of inspecting a substrate having components mounted thereon | |
WO2015026210A1 (ko) | 솔더 조인트 검사 방법 | |
KR100884582B1 (ko) | 반도체패키지 검사시스템 및 반도체패키지 검사시스템에의한 검사방법 | |
KR101215083B1 (ko) | 기판 검사장치의 높이정보 생성 방법 | |
KR101133968B1 (ko) | 브리지 연결불량 검출방법 | |
KR20110063966A (ko) | 3차원 검사방법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검사장치 | |
KR101684244B1 (ko) | 기판 검사방법 | |
KR101017300B1 (ko) | 표면형상 측정장치 | |
KR101876391B1 (ko) | 단색광 모아레의 다채널 이미지를 이용한 3차원 검사 장치 | |
KR101056995B1 (ko) | 3차원 형상 검사방법 | |
KR101442666B1 (ko) | 복수 행의 조명부재를 포함하는 비전검사장치 | |
KR101133972B1 (ko) | 터미널 검사방법 | |
KR100710703B1 (ko) | 반도체 리드프레임 도금 선폭 측정 검사장치 및 그 방법 | |
KR20110002984A (ko) | 구동소자의 뒤집힘 불량 검출방법 | |
JPH09178445A (ja) | 電子部品の端子曲がり検査装置 | |
KR20050013379A (ko) | 반도체 칩 검사 방법 및 반도체 칩의 토탈하이트와스탠드오프 측정방법 | |
KR101544763B1 (ko) | 터미널 검사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3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0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