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02020U -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020U
KR20110002020U KR2020090010950U KR20090010950U KR20110002020U KR 20110002020 U KR20110002020 U KR 20110002020U KR 2020090010950 U KR2020090010950 U KR 2020090010950U KR 20090010950 U KR20090010950 U KR 20090010950U KR 20110002020 U KR20110002020 U KR 201100020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sponge
casing
liquid
dispen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8150Y1 (ko
Inventor
이용준
Original Assignee
이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준 filed Critical 이용준
Priority to KR2020090010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150Y1/ko
Priority to CN201080037154.8A priority patent/CN102481074B/zh
Priority to EP10810089.2A priority patent/EP2468162A4/en
Priority to US13/389,785 priority patent/US8960514B2/en
Priority to JP2012600035U priority patent/JP3177666U/ja
Priority to PCT/KR2010/004721 priority patent/WO2011021781A2/ko
Publication of KR201100020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0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15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 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2Holders; Receptacles for rolled-up we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 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10/3631The cutting devices being driven manual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 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 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47K2010/3273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지 또는 핸드 타올 등 롤 타입의 1회용 종이 제품을 공급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종이 제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과 종이 제품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가지며, 종이 제품을 수용하는 본체 케이싱과; 배출부에 마련되어 종이 제품의 절단하고자 하는 영역에 액체를 제공하는 습식 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종이 제품의 절단하고자 하는 영역에 액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적은 힘으로 종이 제품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화장지, 핸드 타올, 롤, 디스펜서, 커팅, 절단

Description

디스펜서{DISPENSER}
본 고안은 화장지 또는 핸드 타올 등 롤 타입의 1회용 종이 제품을 공급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보다 적은 힘으로 종이 제품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지 또는 핸드 타올 등 롤 타입의 1회용 종이 제품 등을 공급하는 디스펜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펜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스펜서(100)는 화장지(103)의 중공부(103a)에 삽입되어 화장지(10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113)과 화장지(103)가 배출되는 배출부(115)를 가지며, 그 내부 공간에 화장지(103)를 수용하는 본체 케이싱(11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 케이싱(110)의 배출부(115)에는 화장지(103)의 커팅을 위한 커팅 칼날(141)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스펜서(100)는 사용자가 화장지(103)를 커팅하고자 하는 경우, 화장지(103)가 커팅 칼날(141)에 대하여 미끄러져 커팅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이 제품의 절단하고자 하는 영역에 액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적은 힘으로 종이 제품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고안에 따라, 화장지 또는 핸드 타올 등 롤 타입의 1회용 종이 제품을 공급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종이 제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종이 제품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가지며, 상기 종이 제품을 수용하는 본체 케이싱과; 상기 배출부에 마련되어 상기 종이 제품의 절단하고자 하는 영역에 액체를 제공하는 습식 커팅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습식 커팅부는, 일측에 액체 배출구를 가지며, 내부에 스펀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팅 케이싱과; 상기 액체 배출구로부터 소정의 이격 간격을 두고 판 형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식 커팅부는 상기 커팅 케이싱의 스펀지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제1 스펀지와, 상기 제1 스펀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 사이에 수용되는 제2 스펀지를 갖는 스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팅 케이싱은 상기 스펀지 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호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커팅 케이싱 및 제2 커팅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제1 커팅 케이싱 및 제2 커팅 케이싱은 힌지 결합되거나 스크루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습식 커팅부는 제1 커팅 케이싱 및 제2 커팅 케이싱의 결합영역을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자유단부 영역에는 톱니 형상의 커팅 칼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팅 케이싱에는 외부로부터 액체를 주입하는 제1 액체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케이싱에는 상기 제1 액체 주입구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2 액체 주입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 케이싱과 상기 습식 커팅부는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종이 제품의 절단하고자 하는 영역에 액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적은 힘으로 종이 제품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스펀지부에 아로마 오일을 머금게 함으로써, 별도의 향수나 방향제를 구비하지 않아도 실내 또는 종이 제품에 향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롤 타입의 화장지(3)를 공급하는 디스펜서(1)를 설명하고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핸드 타올 등 롤 타입의 1회용 종이 제품을 공급하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펜서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는 화장지(3)를 수용하는 본체 케이싱(10)과, 본체 케이싱(10)의 배출부(15)로 배출되는 화장지(3)에 액체를 공급하는 습식 커팅부(20)를 포함한다.
본체 케이싱(10)은 화장지(3)의 중공부(3a)에 삽입되어 화장지(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13)과 화장지(3)가 배출되는 배출부(15)를 가지며, 그 내 부 공간에 화장지(3)를 수용한다. 본체 케이싱(10)은 전방 개구(11)를 가진 통 형상의 제1 본체 케이싱(10a)과 제1 본체 케이싱(10a)의 전방 개구(11)를 차단하는 제2 본체 케이싱(10b)을 포함한다.
회전축(13)은 제1 본체 케이싱(10a)에 마련되어 있으며, 배출부(15)는 회전축(13)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제1 본체 케이싱(10a)의 하부 영역에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배출부(15)의 중앙영역에는 회전축(13)과 평행한 축방향을 갖는 가이드봉(17)이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봉(17)은 본체 케이싱(10)과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고, 본체 케이싱(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이드봉(17)은 배출부(15)로 배출되는 화장지(3)를 배출부(15)의 중앙영역으로 안내한다.
한편, 본체 케이싱(10)의 내부 영역에는 내부에 수용되는 화장지(3)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화장지(3)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유지부(19)가 마련될 수도 있다. 장력유지부(19)는 본체 케이싱(10)의 내측 상부영역에 회전축(13)과 평행한 축방향을 갖는 장력조절축(19a)과, 장력조절축(19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부분원호상의 단면을 갖는 장력조절커버(19b)를 포함한다.
장력조절축(19a)은 사용하지 않은 상태의 화장지(3)를 회전축(13)에 끼웠을 때 화장지(3)의 외경에 비하여 외측 상부영역에 배치된다. 장력조절축(19a)는 화장지(3)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력조절커버(19b)는 부분 원호 형상으로 마련되어 장력조절축(19a)을 중심 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장력조절커버(19b)의 곡률은 사용하지 않은 상태의 화장지(3)의 외경 곡률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력조절커버(19b)는 회장지(3)가 풀리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화장지(3)를 사용하는 도중 화장지(3)의 외경이 점차 작아지더라도 장력조절커버(19b)가 자중에 의하여 장력조절축(19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화장지(3)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장력조절부(19)의 구조는 일반적인 화장지 걸이에 사용되는 구조를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에 적용한 것이다. 따라서, 장력조절부(19)의 구조는 공지된 두루마리 화장지 걸이장치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배출부(15) 주위의 제1 본체 케이싱(10a)의 내면에는 습식 커팅부(20)가 장착되는 장착부(70)가 형성되어 있다. 도 3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의 습식 커팅부(20)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의 습식 커팅부(20)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 커팅부(20)는 본체 케이싱(10)의 배출부(15)에 마련되어 화장지(3)의 절단하고자 하는 영역에 액체를 제공한다. 습식 커팅부(20)는 커팅 케이싱(30)과 한 쌍의 가이드부(40)를 갖는다.
커팅 케이싱(30)은 일측에 액체 배출구(31)를 가지며 내부에 스펀지 수용공간(33)을 형성한다. 커팅 케이싱(30)은 스펀지 수용공간(33)을 개폐하도록 상호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커팅 케이싱(30a) 및 제2 커팅 케이싱(30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팅 케이싱(30)은 대략 사각 통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내부에 스펀지 수용공간(33)을 형성하는 한 그 형상에는 한정이 없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커팅 케이싱(30a) 및 제2 커팅 케이싱(30b)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결합된다. 여기서, 제1 커팅 케이싱(30a) 및 제2 커팅 케이싱(30b) 사이에는 힌지부(35)가 마련되는데, 힌지부(35)는 액체 배출구(31)와 대향되는 측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힌지부(35)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35a)과 힌지축수용부(35b)을 포함한다. 여기서, 힌지축(35a)은 일반적인 봉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스크루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커팅 케이싱(30a) 및 제2 커팅 케이싱(30b)은 힌지부(35)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커팅 케이싱(30a) 및 제2 커팅 케이싱(30b)의 결합구조에는 끼움결합구조, 후크결합구조, 리벳 또는 스크루 등의 체결부재에 의한 결합구조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액체 배출구(31)는 커팅 케이싱(30)의 일측면에 개구되어 형성된다. 액체 배출구(31)는 화장지(3)을 폭 방향을 따른 장공 형상으로 마련되며, 장공의 길이는 화장지(3)의 폭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40)는 액체 배출구(31)의 양측으로부터 소정의 이격 간격(d)을 두 고 연장되어 한 쌍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40)는 제1 커팅 케이싱(30a) 및 제2 커팅 케이싱(30b)의 액체 배출구(31)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판면이 이격되는 판상으로 마련된다.
한 쌍의 가이드부(40)은 록킹부(45)에 의하여 상호 록킹 및 록킹 해제된다. 본 실시예에서 록킹부(45)는 제1 커팅 케이싱(30a) 및 제2 커팅 케이싱(30b)의 회동에 의하여 상호 끼움 결합되는 록킹돌기(45a) 및 록킹돌기수용부(45b)를 포함한다. 록킹돌기(45a)와 록킹돌기수용부(45b)는 체결력을 유지하도록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록킹부(45)는 스크루, 리벳, 핀 등의 체결부재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의 습식 커팅부(20)는 제1 커팅 케이싱(30a) 및 제2 커팅 케이싱(30b)의 결합영역을 실링하는 실링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50)는 제1 커팅 케이싱(30a) 및 제2 커팅 케이싱(30b) 사이의 테두리 영역을 따라 배치되는 띠 형상으로 마련된다. 실링부재(50)는 러버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부재(50)는 오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가스켓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한 쌍의 가이드부(40) 사이에 후술하는 제2 스펀지(60b)가 배치되므로, 실링부재(50)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액체 배출구(31)를 제외한 제1 커팅 케이싱(30a) 및 제2 커팅 케이싱(30b)의 테두리 영역을 따라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식 커팅부(20)는 커팅 케이싱(30)의 스펀지 수용공간(33)에 수용되는 제1 스펀지(60a)와, 제1 스펀지(60a)로부터 연장되어 한 쌍의 가이드부(40) 사이에 수용되는 제2 스펀지(60b)를 갖는 스펀지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펀지(60a)는 제2 스펀지(60b)에 큰 부피를 가지므로, 제2 스펀지(60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액체를 머금고 있다.
제2 스펀지(60b)는 제1 스펀지(60a)로부터 돌출되어 한 쌍의 가이드부(40) 사이에 수용된다. 제2 스펀지(60b)는 습식 커팅부(20)가 본체 케이싱(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 스펀지(60a)에 비하여 하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스펀지(60a)의 액체가 자중에 의하여 액체가 제2 스펀지(60b)로 이동한다. 이에, 제2 스펀지(60b)는 제1 스펀지(60a)에 비하여 많은 액체 함유량을 갖는다. 따라서, 스펀지부(60)가 완전히 건조되지 않는 한, 제2 스펀지(60b)는 항상 액체를 머금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스펀지(60b)는 가이드부(40)와 동일한 길이 또는 그 이상의 길이로 마련된다. 즉, 제2 스펀지(60b)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펀지(60a)로부터 돌출되어 후술하는 칼날(41)의 단부영역까지 연장되거나, 이보다 더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화장지(3)가 제2 스펀지(60b)에 직접 접촉하여 액체를 공급 받을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펀지부(60)은 일반적으로 널리 공지된 스펀지뿐만 아니라, 아세테이트 토우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펀지부(60)에 공급되는 액체는 물 뿐만 아니라, 아로마 오일, 향수 등의 방향성 액체일 수도 있다. 이에, 별도의 향수나 방향제를 구비하지 않아도 스펀지부(60)에 머금어져 있는 아로마 오일에 의하여 향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한 쌍의 가이드부(40) 중 적어도 하나의 자유단부 영역에는 톱니 형상의 커팅 칼날(4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팅 칼날(41)이 한 쌍의 가이드부(40)에 모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커팅 칼날(41)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의 날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의 날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커팅 칼날(41)은 커팅 케이싱(3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그러나, 커팅 칼날(41)은 커팅 케이싱(30)과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커팅 칼날(41)의 성형시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커팅 케이싱(30)에는 외부로부터 액체를 주입하는 제1 액체 주입구(80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 케이싱(10)에는 제1 액체 주입구(80a)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2 액체 주입구(80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스펀지부(60)가 건조되는 경우, 사용자는 주사기 등의 주입부재(5)를 사용하여 제1 액체 주입구(80a) 및 제2 액체 주입구(80b)를 통하여 스펀지부(60)로 액체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팅 케이싱(30)의 내부에 액체를 주입하는 구조로 제1 액체 주입구(80a) 및 제2 액체 주입구(80b)를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커팅 케이싱(30)의 판면에 내부를 개방할 수 있는 캡 또는 마개를 설치하여 액체를 주입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캡 또는 마개를 개방하여 커팅 케이싱(30)의 내부로 액체를 주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 케이싱(10)과 습식 커팅부(20)는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체 케이싱(10)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부(15)를 형성하는 제1 본체 케이싱(10a)의 내면에는 습식 커팅부(20)가 장착되는 장착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착부(70)에는 습식 커팅부(20)가 끼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습식 커팅부(20)를 본체 케이싱(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습식 커팅부(20)를 본체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하여 액체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습식 커팅부(20)가 회전축(13)의 축방향으로 장착부(70)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습식 커팅부(20)가 화장지(3)의 회전방향을 따라 끼움 결합되도록 장착부(70)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습식 커팅부(20)는 본체 케이싱(10)에 후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며, 양면 테이프 또는 밸크로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습식 커팅부(20)가 배출부(15)의 양측에 한 쌍이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배출부(15)의 일측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례로 화장지(3)를 공급하는 디스펜서(1)를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핸드 타올 등 롤 타입의 1회용 종이 제품을 공급하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펜서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작동 상태 단면도이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펀지부(60)에는 액체가 충분히 충전되어 있으며, 본체 케이싱(10) 내주에는 화장지(3)가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배출부(15)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화장지(3)를 부드럽게 잡아 당기면, 화장지(3)가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풀려 인출된다.
다음,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길이만큼 화장지(3)를 인출한 후, 커팅 케이싱(30)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하여 화장지(3)의 판면이 제2 스펀지(60b)에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부(40) 사이에 배치된 제2 스펀지(60b)에 머금어져 있는 액체가 한 쌍의 커팅 칼날(41) 사이에서 화장지(3)로 제공된다.
여기서, 액체를 제공받은 화장지(3)는 인장력이 약하게 되어 용이하게 절단된다. 또한, 액체를 제공받은 화장지(3)의 주위 영역은 커팅 칼날(41)에 의하여 가압되므로, 사용자는 더욱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화장지(3)를 절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속적으로 사용 도중에 스펀지부(60)가 건조되는 경우, 사용자는 주사기 등의 주입부재(5)를 이용하여 제1 액체 주입구(80a) 및 제2 액체 주입구(80b)를 통하여 스펀지부(60)로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습식 커팅부(20)를 본체 케이싱(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커팅 케이싱(30)이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사용자가 습식 커팅부(20)를 본체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하여 액체를 충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화장지(3)의 절단하고자 하는 영역에 액체를 제공하는 습식 커팅부(20)를 마련함으로써, 보다 적은 힘으로 화장지(3)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디스펜서(1)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디스펜서(1)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펜서의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습식 커팅부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b는 도 3a에서 커팅 케이싱의 커팅 칼날의 형상을 변경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습식 커팅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b는 도 4a에서 제2 스펀지부의 길이를 변경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작동 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펜서 3 : 화장지
5 : 주입부재 10 : 본체 케이싱
15 : 배출부 20 : 습식 커팅부
30 : 커팅 케이싱 35 : 힌지부
40 : 가이드부 41 : 커팅 칼날
50 : 실링부재 60 : 스펀지부

Claims (5)

  1. 화장지 또는 핸드 타올 등 롤 타입의 1회용 종이 제품을 공급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종이 제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종이 제품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가지며, 상기 종이 제품을 수용하는 본체 케이싱과;
    상기 배출부에 마련되어 상기 종이 제품의 절단하고자 하는 영역에 액체를 제공하는 습식 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커팅부는,
    일측에 액체 배출구를 가지며, 내부에 스펀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팅 케이싱과;
    상기 액체 배출구로부터 소정의 이격 간격을 두고 판 형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커팅부는 상기 커팅 케이싱의 스펀지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제1 스펀지와, 상기 제1 스펀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 사이에 수용되는 제2 스펀지를 갖는 스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자유단부 영역에는 톱니 또는 일자 형상의 커팅 칼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케이싱에는 외부로부터 액체를 주입하는 액체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KR2020090010950U 2009-08-21 2009-08-21 디스펜서 Expired - Lifetime KR200458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950U KR200458150Y1 (ko) 2009-08-21 2009-08-21 디스펜서
CN201080037154.8A CN102481074B (zh) 2009-08-21 2010-07-20 分配器
EP10810089.2A EP2468162A4 (en) 2009-08-21 2010-07-20 Dispenser
US13/389,785 US8960514B2 (en) 2009-08-21 2010-07-20 Dispenser
JP2012600035U JP3177666U (ja) 2009-08-21 2010-07-20 ディスペンサー
PCT/KR2010/004721 WO2011021781A2 (ko) 2009-08-21 2010-07-20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950U KR200458150Y1 (ko) 2009-08-21 2009-08-21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020U true KR20110002020U (ko) 2011-03-02
KR200458150Y1 KR200458150Y1 (ko) 2012-01-20

Family

ID=44207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950U Expired - Lifetime KR200458150Y1 (ko) 2009-08-21 2009-08-21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1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735B1 (ko) * 2011-05-23 2013-04-19 신용철 롤 화장지 디스펜서
KR20170000114U (ko) 2015-06-30 2017-01-09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롤 화장지 디스펜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5647A (ja) * 2004-03-03 2005-09-15 Yoshino Kinzoku Co Ltd ペーパーホルダ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735B1 (ko) * 2011-05-23 2013-04-19 신용철 롤 화장지 디스펜서
KR20170000114U (ko) 2015-06-30 2017-01-09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롤 화장지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150Y1 (ko)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4397B (fi) Haollare foer pappersrulle med central utdragning av papperet.
CA2299709C (en) Adapter and dispenser for coreless rolls of products
JP5236997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KR20020091186A (ko) 습식 와이퍼지의 롤
US20090194555A1 (en) Wipes Canister
JP3177666U (ja) ディスペンサー
KR200458150Y1 (ko) 디스펜서
KR101108404B1 (ko) 웨트 시트 수납 용기
US11825993B2 (en) Spindle and cover components for sheet product dispensers and dispenser systems including such components
WO2001076439A1 (en) Dispensing system for wipes
TWI250864B (en) Device for monitoring and repositioning a reel of wipe material in a dispensing machine with automatic cutting
CA2332718C (en) Dispenser adapter for coreless rolls of products
US7066423B2 (en) Solid rolls dispenser
AU2020379090B2 (en) Dispenser for a roll of absorbent paper web material
US20140061219A1 (en) Moist towelette dispenser system
JP5744782B2 (ja) ロールペーパータオル及びロールペーパータオルの製造方法
KR101283819B1 (ko) 두루마리 화장지 디스펜서
KR101258992B1 (ko) 휴지케이스
KR200398140Y1 (ko) 두루마리 화장지 디스펜서
CN220988645U (zh) 一种湿厕纸包装结构
KR101171570B1 (ko) 디스펜서
KR200488711Y1 (ko) 롤 화장지 디스펜서
US11998101B1 (en) Solution refill cartridge device
JP2012110785A (ja) ロールペーパータオル用ディスペンサー
JP2010516378A (ja) ロールタイプのトイレットペーパー(wastepaper)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82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6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1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6090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