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633A - Band cable - Google Patents
Band cab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1633A KR20110001633A KR1020090059240A KR20090059240A KR20110001633A KR 20110001633 A KR20110001633 A KR 20110001633A KR 1020090059240 A KR1020090059240 A KR 1020090059240A KR 20090059240 A KR20090059240 A KR 20090059240A KR 20110001633 A KR20110001633 A KR 201100016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ed shaft
- band cable
- band
- panel
- rib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폐 자동차에서 와이어하네스를 회수하기 위해 밴드케이블의 용이한 탈거가 요구되며, 이에 따라 밴드케이블 앵커부의 고정축과 걸림편 사이에 리브가 형성되어 패널에 결합고정된 밴드케이블의 탈거를 용이하게 한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d c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easily remove the band cable in order to recover the wire harness in the abandoned vehicle, accordingly a rib is formed between the fixing shaft and the engaging piece of the band cable anchor portion to the pan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d cable that facilitates detachment of a fixed and fixed band cable.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을 이용하면, 패널에 고정된 와이어하네스의 회수 시 밴드케이블의 해체력이 기존 밴드케이블의 해체력보다 40% 이상 감소되어 탈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When the band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dismantling force of the band cable is reduced by 40% or more than the dismantling force of the existing band cable when the wire harness fixed to the panel is recovered, thereby easily remov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폐 자동차에서 와이어하네스를 회수하기 위해 밴드케이블의 용이한 탈거가 요구되며, 이에 따라 밴드케이블 앵커부의 고정축과 걸림편 사이에 리브가 형성되어 패널에 결합고정된 밴드케이블의 탈거를 용이하게 한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d c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easily remove the band cable in order to recover the wire harness in the abandoned vehicle, accordingly a rib is formed between the fixing shaft and the engaging piece of the band cable anchor portion to the pan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d cable that facilitates detachment of a fixed and fixed band cable.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각종 전장류의 부품들이 탑재되어 있으며, 전장류의 부품들은 통상 와이어하네스라고 지칭되는 전선을 매개로 배선되어져 연결되는데, 이러한 배선류의 와이어하네스는 차량내에 복잡하게 연결된 다수개의 전선들 중 유사한 연결부위로 배선되는 다수개의 전선을 한곳으로 묶은 다발형태로 배선되어 있다.In general, automobiles are equipped with a variety of electrical components, and the components of the electrical components are wired through a wire, commonly referred to as a wire harness, which is a wire harness that is complicatedly connected in a vehicle. It is wired in the form of a bundle that bundles a plurality of wires that are wired to similar connection sites.
따라서 다수개의 전선이 한곳에 다발형태로 묶기 위해서는 밴드케이블이라고 지칭되는 부품을 사용하여 다발형태로 배선되는 다수개의 전선을 한 묶음으로 결속시키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bundle a plurality of wires in one place, a plurality of wires are bundled together in a bundle using a component called a band ca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의한 밴드케이블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band cab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밴드케이블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종래기술에 의한 밴드케이블을 패널에서 결합해제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A is a front view of a band cab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1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band cab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isengaged from the panel.
종래기술에 의한 밴드케이블은 와이어하네스를 패널에 고정시키기 위해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걸림홈(111)이 마련된 밴드부(110), 밴드부(110)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측에 걸림홈(111)과 맞물리는 걸림돌기(122)가 형성된 체결구(121)가 마련된 몸체부(120), 몸체부(120) 일단에 구비되어 패널에 결합되는 앵커부(130)로 구성된다.The band cab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앵커부(130)는 몸체부(120) 일단에서 돌출형성된 고정축(131)과, 고정축(131) 양측에 몸체부(120) 측으로 돌출된 걸림편(132), 걸림편(132)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133)로 구성된다. 돌기(133)가 패널 삽입홀(410)의 후측단 가장자리에 걸림으로써 앵커부(130)가 패널(4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밴드케이블(100)에 의해 패널(400)에 고정된 와이어하네스(300)는 폐차동차의 재활용 법규(ELV)에 따라 와이어하네스를 폐자동차에서 용이하게 해체 및 회수 할 수 있어야 한다. The
도 1b를 참조하여 밴드케이블 탈거시 상태를 살펴보면, 패널의 삽입홀(410) 후측단 가장자리에 걸림편의 돌기(133)가 걸려있는 상태에서 와이어하네스(300)의 일측을 잡아당기면 고정축(131)이 잡아당기는 와이어하네스 쪽으로 쏠리면서 기울어진 상태에서 삽입홀(410) 외부로 이탈된다. Looking at the state when removing the band cable with reference to Figure 1b, pulling the one side of the
그러나 이때, 잡아당겨지지 아니하는 와이어하네스(300) 측 걸림편의 돌 기(133)가 삽입홀(410) 후측단에 걸린 상태에서 고정축(131)만 삽입홀(410) 외부로 나가려는 힘에 의해 걸림편(132)이 고정축(1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다가 이탈방향 반대쪽을 향해 꺽이게 된다. 이에 따라 꺽여진 걸림편(132)에 의해 삽입홀(410)에서의 앵커부(130) 이탈이 용이하지 않다.However, at this time, only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와이어하네스를 패널에 고정유지시키 것 뿐 아니라, 밴드케이블의 탈거시 앵커부의 걸림편이 일정간격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패널에 결합고정된 밴드케이블의 탈거가 용이한 밴드케이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s well as fixing the wire harness to the panel, the band is fixed to the panel is configured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of the anchor portion does not open more than a certain interval when removing the band cab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nd cable which is easy to remove the cable.
체결구가 마련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와이어하네스의 둘레를 감싸며 일단이 상기 체결구에 삽입결합되는 밴드부, 상기 몸체부 타측에 구비되어 패널에 결합고정되는 앵커부를 포함하며,A body part provided with a fastener, integrally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part, surrounding a wire harness, and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astener, and an anchor part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and fixed to the panel;
상기 앵커부는,The anchor portion,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고정축;A fixed shaft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상기 고정축의 단부 양측에 상기 몸체부 쪽으로 돌출형성된 걸림편;Engaging pieces protruding toward the body portion at both ends of the fixed shaft;
상기 걸림편과 상기 고정축을 연결하는 리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rib connecting the locking piece and the fixed shaft.
상기 고정축의 양측면에 중심을 향해 요입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리브의 일단이 상기 홈에서 상기 걸림편의 단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Grooves recessed toward the center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shaft, and one end of the rib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groove to the end portion of the locking piece.
상기 걸림편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된다.At the end of the engaging piece is formed a protrusion projecting outward.
상기 리브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상기 고정축 및 걸림편과 일체로 형성된다.The rib is formed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integrally with the fixed shaft and the engaging piece.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을 이용하면, 패널에 고정된 와이어하네스의 회수 시 밴드케이블의 해체력이 기존 밴드케이블의 해체력보다 40% 이상 감소되어 탈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When the band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dismantling force of the band cable is reduced by 40% or more than the dismantling force of the existing band cable when the wire harness fixed to the panel is recovered, thereby easily remov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band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와이어하네스가 결합된 밴드케이블이 패널에 장착된 상태의 앵커부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을 패널에서 결합해제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band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anchor portion of the band cable coupled to the wire harness is mounted on the panel, Figure 4 is the band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coupled from the panel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tate at the time of making.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200)은 체결구(221)가 마련된 몸체부(220), 몸체부(22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와이어하네스(300)의 둘레를 감싸는 밴드부(210), 몸체부(220) 일단에 구비되어 차체 패널(400)에 결합고정되는 앵커부(230)로 구성된다.Band cab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tegrally on one side of the
밴드부(210)의 일면에는 복수의 걸림홈(211)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부(220)의 체결구(221) 내측에는 밴드부(210)가 삽입되었을 때 걸림홈(211)에 맞물리는 걸림돌기(222)가 형성된다. A plurality of
밴드부(210)와 몸체부(220)는 공지된 기술로 밴드부(210)가 몸체부(220)의 체결구(221)에 일방향으로 삽입되었을 때만 체결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밴드부(210)가 와이어하네스(300)를 감싼 상태에서, 밴드부의 일단을 체결구(221)에 삽입시켜 잡아당기면 걸림돌기(222)가 걸림홀(211)에 맞물려지면서 와이어하네스(300)가 밴드부(210) 및 몸체부(220)에 홀딩된다.
앵커부(230)는 몸체부(220) 일단에 일체로 구비되어 패널(400)의 삽입홀(410)에 삽입결합되며, 고정축(231), 걸림편(232), 리브(233)로 구성된다. The
고정축(231)은 몸체부(220) 일단 중앙에 일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기둥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고정축(231)의 일단 양측에는 몸체부(220)를 향해 돌출된 걸림편(232)이 형성된다. 걸림편(232)은 고정축(231)의 일단과 멀어질수록 걸림편(232)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되며, 걸림편(232)과 고정축(23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앵커부(230)가 패널의 삽입홀(410)에 삽입될 때, 한 쌍의 걸림편(232)이 고정축(231)을 향해 휘어지면서 패널의 삽입홀(410)에 삽입된다. One end of the fixed
그리고 걸림편(232)이 삽입홀(410)에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휘어졌던 걸림편(232)이 고정축(23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탄성적으로 벌어진다. 여기서 걸 림편(232)의 일단에 외측으로 돌기(32)가 돌출형성되어, 삽입홀(410) 후측단 가장자리에 돌기(32)가 걸림으로써 앵커부(230)가 삽입홀(410)에 삽입되어 패널에 결합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fter the
한편, 고정축(231)과 걸림편(232) 사이에 리브(233)가 일체로 형성된다. 리브(233)는 삽입홀(410)에서 앵커부(230)를 이탈시킬 때, 돌기(32)가 삽입홀(410)에 걸려 있는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걸림편(232)이 고정축(23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계속 벌어지면서 꺽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돌기(32)가 형성되어 있는 걸림편(232)의 일단과 고정축(231)을 연결시켜 걸림편(232) 일단과 고정축(231)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에 따라 고정축(231)이 삽입홀(410)에서 이탈될 때 걸림편(232)이 꺽이지 않고 고정축(231)을 따라 함께 이탈된다.Meanwhile, the
그리고 리브(233)가 형성된 고정축(231) 양측에는 고정축(231)의 중심을 향해 요입된 홈(31)이 형성된다. 홈(31)에 의해 리브(233)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앵커부(230)가 삽입홀(410)에 삽입 될 때 리브(233)의 휨이 유연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밴드케이블(200)의 탈거 시 홈(31)에 의해 고정축(231)과 걸림편(232) 사이의 공간이 더 넓어짐으로써 고정축(231)의 일방향 치우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여기서 본 실시예에 의한 리브(233)는 고정축(231) 및 걸림편(232)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휘어짐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연질의 합성수지가 아니더라도 얇은 금속의 판재로 이루어져 고정축(231) 및 걸림편(232)에 인서트사출됨으로써 고정축(231)과 걸림편(232)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걸림편(232)이 고정축(231)을 향해 휘어질 때 리브도 걸림편(232)과 고정축(231) 사이의 간격에 맞게 휘어지도록 구성된다.The
또한, 밴드케이블의 몸체부(220)와 고정축(231) 사이에는 지지부(240)가 더 구비된다. 지지부(240)는 몸체부(220)와 고정축(231)의 둘레면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앵커부(230)가 삽입홀(4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면이 패널(400)에 접촉되어 가압됨으로써 밴드케이블(2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In addition, the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밴드케이블이 패널에서 탈거되는 상태를 살펴보자.4A to 4B, the band cable is removed from the panel.
와이어하네스(300)는 밴드부(210)와 몸체부(220)에 의해 밴드케이블(200)에 결합되며, 앵커부(230)가 패널(400)의 삽입홀(410)에 삽입됨으로써 밴드케이블(200)이 패널(400)에 고정된다. 걸림편의 돌기(32)가 삽입홀(410)의 후측단 가장자리에 걸려있다.The
여기서 앵커부(230)의 삽입홀(410) 삽입시, 걸림편(232)의 단부가 고정축(231)을 향해 휘어져 걸림편(232)과 고정축(231) 사이 간격이 좁아지면 리브(233)도 걸림편(232)과 고정축(231)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일시적으로 밴딩됨으로써, 삽입홀(410)에 앵커부(230)가 삽입될 때 리브(233)에 의해 삽입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한다.Here, when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밴드케이블을 패널로부터 탈거해야 할 경우에는 도 4a에서와 같이 밴드케이블(200)에 결합고정된 와이어하네스(300) 중 밴드케이블(200)의 밴드부(210)를 중심으로 밴드부(210) 일측의 와이어하네스(300)를 잡아당긴다(A). 밴드부(210) 일측의 와이어하네스(300)를 당기면, 앵커부(230)의 걸림편(232) 중 고정축(231) 일측의 걸림편(232) 쪽으로 고정축(231)이 치우치면서 상대적으로 고정축(231) 타측의 삽입홀(410)에 공간(L)이 마련된다. When the band cable is to be removed from the panel in such a state, as shown in FIG. 4A, the
와이어하네스(300)를 계속해서 잡아당기면(A), 고정축(231)이 삽입홀(410) 외부로 이탈되면서 리브(233)에 의해 걸림편(232)이 고정축(231)을 따라 삽입홀(410)에서 용이하게 이탈된다. 이때, 걸림편의 돌기(32)가 삽입홀(410) 후측단에 걸려있는 힘보다 고정축(231)이 이탈되면서 걸림편(232)과 고정축(231)을 연결하는 리브(233)가 걸리편(232)을 잡아당기는 힘이 더 강하기 때문에 걸림편(232)이 삽입홀(410)에서 용이하게 이탈된다.Continuously pulling the wire harness 300 (A), while the fixed
이와 같이, 고정축(231)과 걸림편(232)을 연결하는 리브(233)에 의해 걸림편(232)이 삽입홀(410)에서 이탈되면서 꺽임이 발생되지 않아 해체력이 감소되어 밴드케이블의 탈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As such, as th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the preferable embodimen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Comprising: I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ttached Claim.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밴드케이블의 정면도이다.1A is a front view of a band cab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b는 종래기술에 의한 밴드케이블을 패널에서 결합해제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band cab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released from the panel.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의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of the band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와이어하네스가 결합된 밴드케이블이 패널에 장착된 상태의 앵커부 확대도이다. 3 is an enlarged view of an anchor portion of a band cable to which a wire harness is coupled to a panel.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이 패널에서 결합해제될 때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4A to 4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when the band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from the panel.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밴드 케이블 210: 밴드부 200: band cable 210: band section
220: 몸체부 230: 앵커부 220: body portion 230: anchor portion
231: 고정축 232: 걸림편 231: fixed shaft 232: locking piece
233: 리브 240: 지지부233: rib 240: support portion
300: 와이어하네스 400: 패널300: wire harness 400: panel
410: 삽입홀410: insertion hol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9240A KR101476857B1 (en) | 2009-06-30 | 2009-06-30 | Band Cab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9240A KR101476857B1 (en) | 2009-06-30 | 2009-06-30 | Band Cab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1633A true KR20110001633A (en) | 2011-01-06 |
KR101476857B1 KR101476857B1 (en) | 2014-12-24 |
Family
ID=43610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9240A Active KR101476857B1 (en) | 2009-06-30 | 2009-06-30 | Band Cab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6857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25999A (en) | 2013-08-30 | 2015-03-11 |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CN108899822A (en) * | 2018-08-29 | 2018-11-27 |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Harness fixing fastener component |
CN109038396A (en) * | 2018-08-29 | 2018-12-18 |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Harness fixing fastener component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80495B1 (en) * | 2004-05-07 | 2006-05-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Binding band cable for wire harness |
JP4929987B2 (en) * | 2006-11-06 | 2012-05-09 | 住友電装株式会社 | Clip for wire harness |
-
2009
- 2009-06-30 KR KR1020090059240A patent/KR101476857B1/en active Active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25999A (en) | 2013-08-30 | 2015-03-11 |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CN108899822A (en) * | 2018-08-29 | 2018-11-27 |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Harness fixing fastener component |
CN109038396A (en) * | 2018-08-29 | 2018-12-18 |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Harness fixing fastener component |
CN108899822B (en) * | 2018-08-29 | 2019-12-17 |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wire harness fixing buckle assembly |
CN109038396B (en) * | 2018-08-29 | 2019-12-17 |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Wire harness fixing buckle assemb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76857B1 (en) | 2014-1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554362B2 (en) | Belt clamp | |
JP2005188718A (en) | Clip | |
JP5647491B2 (en) | Holder locking structure | |
JP2006234166A (en) | Retainer assembly | |
JP2014176289A (en) | Insertion-fixed cable tie | |
JP2007189806A (en) | Wire harness fixture | |
KR20110001633A (en) | Band cable | |
JP2011103714A (en) | Band clip | |
JP5352147B2 (en) | clip | |
JP5598702B2 (en) | Suspension mounting clip | |
KR200442526Y1 (en) | Connector housing | |
KR100970274B1 (en) | Cover coupling device of box | |
JP5295862B2 (en) | clip | |
JP2010098921A (en) | Protector for wire harness | |
JP2007325326A (en) | Harness clip | |
JP4130872B2 (en) | Clamp | |
JP2010011526A (en) | Member for fixing corrugated tube | |
KR100804279B1 (en) | Cover mounting structure of box | |
JP2009183100A (en) | Clip for wire harness | |
JP4972052B2 (en) | Fasteners for tubes, rods or cables | |
KR20120088164A (en) | Band cable for vehicle | |
KR200401180Y1 (en) | A Structure For Separating The Band Cable For Fixing The Wire Harness | |
JP7294977B2 (en) | cable tie | |
JP2007143308A (en) | Belt clamp | |
KR100773836B1 (en) | Cover mounting structure of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0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6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