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00672U - 안면 보호대 - Google Patents

안면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672U
KR20110000672U KR2020090009155U KR20090009155U KR20110000672U KR 20110000672 U KR20110000672 U KR 20110000672U KR 2020090009155 U KR2020090009155 U KR 2020090009155U KR 20090009155 U KR20090009155 U KR 20090009155U KR 20110000672 U KR20110000672 U KR 201100006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head
lycra
mask
w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국
Original Assignee
이성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국 filed Critical 이성국
Priority to KR2020090009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0672U/ko
Publication of KR201100006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6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미 개발되어 진 나일론 기능성 섬유(탁텔/TACTEL, 라이크라/LYCRA) 등의 특성을 활용하여 얼굴 및 머리 전체 부위를 보호하는 기능의 형태에 관한 것이다.
기본형태는 원통형의 아래 위가 뚫린 자루의 모양이며 그 중간에 직경 1/3가량의 A부위를 절개하여 머리에 착용했을 때 절개 부위로 눈이 보이게 되어있다.
산업현장 등에서 노출된 신체 중 가장 중요한 부위인 머리 전체를 감싸 줌으로서 안면을 비롯한 목덜미, 귀 등의 피부 노출 부위에 자외선을 차단하고 먼지나 1차적 오염을 방지하며 신 섬유의 특성인 수분증발로 인해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한다.
Figure 112009042868966-UTM00001
안면 보호대, 마스크, 산업용, 자외선 차단

Description

안면 보호대{safe-mask}
본 고안은 안면을 비롯한 머리 부위의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특수섬유를 활용하여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상하대칭의 원통형의 가운데 부분을 절개하여 눈이 나타나도록 하였으며 수시로 아래 위를 바꾸어 착용할 수 있는 매우 간단한 형태로 제작되었다.
땀이 많이 나는 얼굴 피부에 접촉했을 때 오히려 수분의 빠른 증발로 시원함을 느끼게 하여 장시간 얼굴을 감싸주어도 불쾌감이 없어 산업현장 등에서 안면 및 목, 귀 등의 살갗에 자외선을 차단해주며 1차적인 오염물이나 먼지 등을 걸러 줌으로서 안전과 쾌적한 환경을 제공해준다.
일반적인 산업현장에서의 기본 안전장구라 함은 안전모, 보안경, 장갑, 안전화 등이며 긴 바지와 긴팔의 작업복은 당연한 기본 장구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안전장구를 다 갖췄을 때에도 가장 중요한 부위 중의 한 부분인 얼굴은 보호 장구가 따로 없다.
가장 취약하면서도 중요 부위인 얼굴을 보호할 수 없는 이유는 신체의 특성상 얼굴이 작업시의 땀이나 갑갑함 등의 불편함을 오랫동안 감수하지 못함에 있다.
이로 인하여 각종 산업현장에 근무하는 작업자들은 수건을 목에 감거나 안전모에 그늘막 등을 설치하여 자외선을 피하려고 하나 거추장스럽고 자외선을 직접적으로 피하기도 쉽지가 않다.
또한 안전모를 착용하였을 때 안전모의 내피와 이마 부분의 접촉부위가 땀으로 인하여 매우 불쾌하며 안전모의 턱 끈도 얼굴 피부에 직접 닿으므로 불쾌함을 유발한다.
어떤 상황에서 일반적인 방진마스크를 사용할 때 사용 후에 보면 어느 정도의 먼지는 걸러주어도 얼굴과 마스크의 접촉 부분이 정확하질 않아서 많은 먼지가 흡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 이외에도 산업현장의 특수성 때문에 각종 비산먼지나 미세한 쇳가루 등이 땀으로 얼룩진 얼굴에 파고들어 근로자들의 피부는 큰 손상을 입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얼굴 피부에 접촉감이 좋아 갑갑하지 않은 섬유를 사용하여 얼굴을 감싸주면 되는 것이며 안전모 내피와 이마 부분의 접촉을 완화하기 위하여 이미 면으로 제작된 내피 등이 있으나 머리 부분의 과다한 땀으로 쉽게 젖어버리며 내부에 고정되어 탈착하기가 쉽지 않고 하루만 지나도 엄청난 악취를 동반한다. 따라서 쉽게 탈착되어 자주 바꾸어주거나 땀이 빨리 마를 수 있도록 해 주어야한다.
기존 방진 마스크는 얼굴 전체 형태의 스판 재질로 얼굴에 밀착시켜 줌으로서 방진마스크의 효력을 최대한 발휘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미 개발되어 진 기능성 섬유의 특성인 수분의 빠른 흡수와 건조, 늘어짐과 회복력이 좋은 나일론 섬유(탁텔/TACTEL, 라이크라/LYCRA)등을 활용하여 눈만 제외한 얼굴 및 머리 전체 부위를 감싸도록 제작하여 이를 보호하는 기능의 형태에 관한 것이다.
물론 기존 제품 중에는 복면 스타일의 비슷한 형태가 있으나 본 고안과는 전혀 다른 배경에서 생산된 제품군이다.
본 고안은 기능성 섬유를 사용하여 얼굴에 직접 착용해서 자외선을 차단하고 땀을 빨리 증발시켜 주며 수시로 상하를 바꿔 사용함으로 장시간 착용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나 기존 비슷한 형태의 제품은 겨울 등반이나 작업용의 보온을 위해 면, 털 실 등의 재질로 된 모자형태이거나 보온용 마스크이다.
산업현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의 가장 큰 애로점인 자외선을 차단하여 얼굴, 목, 귀 등의 피부를 보호하며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섬유의 특성상 얼굴의 땀을 빠르게 증발시키면서 체온을 낮춰주어 쾌적한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
안전모를 착용하였을 때 보호대 상부를 접어 이마와 안전모 내피가 접촉하는 부분의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도2, B부분을 2~3번 적당히 접어 이마와 안전모 내피의 접촉부위에 섬유의 두께 감을 준다. )
또한 이마 부위에 땀이 많이 고이면 보호대 아래 위를 바꾸어 착용해 줌으로서 접촉부위의 쾌적함을 높일 수 있고 젖은 부위가 아래쪽으로 나오면서 건조가 빨라진다.
눈 부분은 보안경을 착용하고 있으므로 실제로는 얼굴 전체를 보호하기 때문에 1차적인 오염원인 먼지나 미세한 쇳가루 등으로부터 안전하다.
보호대 만으로도 먼지의 흡입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으며 방진마스크를 착용하고 보호대를 착용하거나 보호대 위에 방진 마스크를 착용하여도 그 효과가 훨씬 증가된다.
보호대 위로 안전모를 착용하기 때문에 턱 끈이 피부에 직접 닿지 않아서 불쾌함이 없고 상황에 따라 착용하는 소음방지용 귀마개의 조절이 용이 해진다.(귓구멍에 귀마개를 깊이 삽입하지 않고 적당히 걸쳐두어도 보호대가 잡아주어 떨어지지 않는다)
본 고안의 설명을 도면과 사진으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대표도는 보호대를 도식화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아래 위가 뚫린 자루형태로서 가운데 A부분은 절개하여 눈이 보일 수 있게 하였다.
도1은 보호대의 규격으로 1은 TOP VIEW, 2는 FRONT VIEW, 3은 SIDE VIEW이며 A부분은 절개부분이다.
규격은 사용되는 원사의 늘어짐과 회복력의 강도에 따라 조금 달라질 수 있다.
도2는 머리에 보호대를 착용했을 때 안전모를 착용하기 전 B부위를 2~3번 접어내려 이마에 천의 두께 감을 줌으로서 안전모 내피와의 접촉을 쾌적하게 하기 위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3은 착용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다.
7번은 다른 장구를 착용하기 전 보호구만 착용했을 때의 모습이다.
8번은 7번의 보호구 착용에 다른 안전 장구를 착용했을 때의 정면모습이다.
9번은 8번의 측면 모습이다.
10번은 방진 마스크를 함께 착용했을 때의 모습이다.
보호구의 생산은 이미 개발되어 진 나일론 특수 섬유(탁텔/TACTEL, 라이크라/LYCRA)의 특성을 활용하여 원사로 보호구를 생산할 수도 있으며 원단으로 재봉 질과 절개작업을 하여 생산해 낼 수 있다.
산업현장에서의 안면 보호구로서는 꼭 필요한 안전장비이면서도 간단한 형태로 인하여 생산하기가 쉬워 매우 경제적이다.
산업 현장 이외에 등산, 낚시, 싸이클 등의 야외 레져용으로도 많은 활용이 기대된다.
도1은 본 고안의 보호구를 도면화한 것이다.
도2는 보호구를 착용할 때 머리 부분 B를 2~3번 접어 내리는 것을 도식화한 사시도이다.
도3은 사진으로 사용법을 설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A: 절개부분 B: 머리 쪽 섬유(접어 내리는 부분)
1: TOP VIEW 2: FRONT VIEW
3: SIDE VIEW 4: 본 고안의 사시도
5: 접어 내리는 부분 6: B부분을 접었을 때의 형태
7: 다른 장구를 착용하지 않고 보호구만 착용했을 때의 사진
8: 7번의 보호구 착용에 다른 안전 장구를 착용했을 때의 정면사진

Claims (1)

  1. 이미 개발되어 진 나일론 특수 섬유(탁텔/TACTEL, 라이크라/LYCRA)의 특성을 활용한 아래위가 뚫린 자루형에서 눈 부위를 절개한 형태
KR2020090009155U 2009-07-14 2009-07-14 안면 보호대 KR201100006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155U KR20110000672U (ko) 2009-07-14 2009-07-14 안면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155U KR20110000672U (ko) 2009-07-14 2009-07-14 안면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672U true KR20110000672U (ko) 2011-01-20

Family

ID=4420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155U KR20110000672U (ko) 2009-07-14 2009-07-14 안면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067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787B1 (ko) * 2012-11-09 2014-07-11 신재웅 착용이 용이하고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마스크
KR101483074B1 (ko) * 2013-12-09 2015-01-16 신재웅 다중의 흘러내림방지수단을 구비한 머리착용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787B1 (ko) * 2012-11-09 2014-07-11 신재웅 착용이 용이하고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마스크
KR101483074B1 (ko) * 2013-12-09 2015-01-16 신재웅 다중의 흘러내림방지수단을 구비한 머리착용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4184B1 (ko) 다기능 헤어웨어
KR200448087Y1 (ko) 다기능성 밴드
CN105658285B (zh) 具有改善的罩的防护服
US20140013485A1 (en) Clothing article for covering the head of a wearer
US20160255897A1 (en) Device for absorbing and retaining sweat
KR101114539B1 (ko) 이중 헤어웨어
KR20110000672U (ko) 안면 보호대
KR20170099426A (ko) 방진 마스크를 구비한 넥 워머
KR200485146Y1 (ko) 챙을 갖는 안면마스크
KR20170098047A (ko) 헤어웨어
JP3223286U (ja) 汗を吸収および保持するための装置
KR200426051Y1 (ko) 안전모용 햇빛가리개
KR200430641Y1 (ko) 안전모
KR200444807Y1 (ko)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KR20220001745A (ko) 에어로쿨 비말 차단 마스크
KR101314798B1 (ko) 원통형 스카프
JP3178131U (ja) 日焼け防止フェイスマスク
KR200462737Y1 (ko)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JP3234172U (ja) 帽子用インナーキャップ
KR101959419B1 (ko) 기능성 안면 마스크
KR102633121B1 (ko) 다기능 마스크
KR200468171Y1 (ko) 땀흡수부재 탈부착 모자
KR200419267Y1 (ko) 방탄모 턱끈에 결합 사용하는 안면보호대
JP3160741U (ja) マスクシート付き日焼け予防帽子
RU37597U1 (ru) Подшлемник для пожарных и спасател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71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518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20217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20312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2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