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38603A - 디지털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8603A
KR20100138603A KR1020090057198A KR20090057198A KR20100138603A KR 20100138603 A KR20100138603 A KR 20100138603A KR 1020090057198 A KR1020090057198 A KR 1020090057198A KR 20090057198 A KR20090057198 A KR 20090057198A KR 20100138603 A KR20100138603 A KR 20100138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circuit
photodiode integrated
photographing apparatus
digital photographing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재
변광석
김정수
박치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7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8603A/ko
Priority to US12/724,798 priority patent/US20100328473A1/en
Publication of KR20100138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60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선명한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위하여,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사하는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가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와, 상기 베이스를 움직여 상기 촬상소자의 위치를 제어하는 베이스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장치{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선명한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는 피사체에 관한 이미지의 데이터를 생성 및/또는 저장할 수 있는 장치로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DSC),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DVC) 또는 휴대 전화에 장착되는 디지털 카메라 등을 포함한다.
최근 이러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또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디지털 촬영장치가 많이 보급되면서 점점 고품질의 스틸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욕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손떨림으로 인한 이미지의 선명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손떨림 보정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손떨림 보정장치는 손떨림 보정렌즈를 움직이거나 촬상소자를 움직여 손떨림 방지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손떨림 보정장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 들림 방향 및 양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와, 보정된 양을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홀센서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x 방향과 y 방향으로의 흔들림 양을 감지하기 위해 두 개의 자이로센서들을 필요로 하고, 마찬가지로 피드백을 위해 두 개의 홀센서들을 필요로 하여, 그 부품 수가 많아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선명한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사하는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가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와, 상기 베이스를 움직여 상기 촬상소자의 위치를 제어하는 베이스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렌즈부를 통과하는 광 중 일부는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에 입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는 광이 입사할 수 있는 면이 제1영역 내지 제4영역으로 4분할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의 제1영역 내지 제4영역에서 감지한 광량의 차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베이스 액추에이터는 상기 감지된 방향과 역방향으로 상기 촬상소자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 전면(前面)에 서브렌즈가 배치되어, 상기 서브렌즈를 통과하여 광이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에 입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에 입사하는 입사광의 광축은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의 광이 입사하는 면과 수직이 아닌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흔들림보정렌즈를 포함한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사하는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흔들림보정렌즈가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와, 상기 베이스를 움직여 상기 흔들림보정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베이스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렌즈부로 입사한 광 중 일부는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에 입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는 광이 입사할 수 있는 면이 제1영역 내지 제4영역으로 4분할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의 제1영역 내지 제4영역에서 감지한 광량의 차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베이스 액추에이터는 상기 감지된 방향과 역방향으로 상기 흔들림보정렌즈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 전면(前面)에 서브렌즈가 배치되어, 상기 서브렌즈를 통과하여 광이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에 입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에 입사하는 입사광의 광축은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의 광이 입사하는 면과 수직이 아닌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선명한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체 동작은 CPU(100)에 의해 통괄된다. 그리고 디지털 촬영장치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200)가 구비된다. 이 조작부(20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CPU(100)에 전달되어, CPU(10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 모드일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CPU(100)에 인가됨에 따라 CPU(100)는 그 신호를 파악하여 렌즈부 구동부(11), 조리개 구동부(21) 및 촬상소자 제어부(31)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각각 렌즈부(10) 내의 렌즈의 위치, 조리 개(20)의 개방 정도 및 촬상소자(30)의 감도 등이 제어된다. 촬상소자(30)는 렌즈부(10)를 통해 입력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는 촬상소자(3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물론 촬상소자(30)의 특성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촬상소자(30)로부터의 데이터는 메모리(60)를 거쳐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60)를 거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CPU(100)에도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60)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필요에 따라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전달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81)는 디스플레이부(8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디지털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71)에 입력되는데, 이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데이터를 저장매체(70)에 저장한다. 물론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저장매체(70)에 저장된 파일로부터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6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저장매체(70)는 착탈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디지털 촬영장치에 영구장착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모든 구성요소들이 항상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다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렌즈부(10)와 촬상소자(30)를 구비하면 족하다. 물론 이 외에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촬상소자를 비롯한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렌즈부(10)를 통해 -z 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30)를 구비하는데, 이 촬상소자(30)는 촬상소자베이스(32) 상에 배치된다. 또한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 역시 촬상소자베이스(32)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촬상소자베이스(32)는 촬상소자베이스 액추에이터(미도시)에 의해 움직이는바, 이에 따라 촬상소자베이스(32) 상에 배치된 촬상소자(30)의 위치가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가 입사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해당 데이터 분석을 통해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 및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촬상소자베이스 액추에이터가 촬상소자베이스를 움직임으로써, 디지털 촬영장치가 흔들리더라도 촬상소자(3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선명한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촬상소자(30)가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 입사하는 광은 렌즈부(10)를 통과하는 광 중 일부의 광일 수도 있고, 렌즈부(10)가 아닌 별도의 광일 수도 있다. 물론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가 생성하는 데이터가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방향 및 크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 외에, 촬상소자베이스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촬상소자(30)가 적절한 위 치에 위치하게 되었는가를 확인하는 피드백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광과 동일한 렌즈부(10)를 통과한 광의 일부가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 입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는 광이 입사할 수 있는 면이 제1영역(341) 내지 제4영역(344)으로 4분할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광이 입사할 수 있는 면이 4분할되어 있어, 입사광으로부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가 생성한 데이터가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방향 및 흔들림 크기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방향 및 흔들림 크기를 검출하는바, 구체적으로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의 제1영역(341) 내지 제4영역(344) 각각에서 감지한 광량의 차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먼저 흔들림 방향 감지에 관하여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에서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4a는 디지털 촬영장치가 흔들리지 않을 시,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 입사한 입사광 영역(LA)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디지털 촬영장치가 흔들리지 않을 경우, 입사광은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의 중앙 부분에 입사하여,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의 제1영역(341) 내지 제4영역(344) 각각에 있어서 광이 조사되는 면적 및 광 강도가 동일하게 된다. 따라 서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의 제1영역(341) 내지 제4영역(344) 각각에서 감지한 광 강도가 동일할 시에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촬상소자베이스 액추에이터가 촬상소자베이스(32)를 움직이지 않는다.
도 4b는 디지털 촬영장치가 ±y 방향으로 흔들리는 동안,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 입사한 입사광 영역(LA)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디지털 촬영장치가 ±y 방향으로 흔들릴 경우, 디지털 촬영장치가 흔들리는 동안에는 입사광은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의 중앙 부분에 입사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촬영장치가 흔들리는 동안에는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타원과 유사한 형태로 입사한다. 물론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이 완료된 이후에는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입사광이 입사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입사광 영역(LA)이 존재할 경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의 제1영역(341) 및 제3영역(343)에서 광이 조사되는 면적이 제2영역(342) 및 제4영역(344)에서 광이 조사되는 면적보다 넓게 된다. 따라서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의 제1영역(341) 및 제3영역(343)에서 감지한 광 강도가 제2영역(342) 및 제4영역(344)에서 감지한 광 강도보다 클 경우, 디지털 촬영장치가 ±y 방향으로 흔들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제1영역(341) 내지 제4영역(344)에서 감지된 광 강도의 차이에 따라, 상이한 방향으로 디지털 촬영장치가 흔들리더라도 해당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입사광 영역(LA)이 존재할 경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의 제2영역(342) 및 제4영역(344)에서 광이 조사되는 면적이 제1영역(341) 및 제3영역(343)에서 광이 조사되는 면적보다 넓게 된다. 따라서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의 제2영역(342) 및 제4영역(344)에서 감지한 광 강도가 제1영역(341) 및 제3영역(343)에서 감지한 광 강도보다 클 경우, 디지털 촬영장치가 ±x 방향으로 흔들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그 외의 방향으로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역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서 생성한 데이터로부터 디지털 촬영장치가 흔들린 것을 감지하면, 촬상소자베이스 액추에이터가 촬상소자베이스(32)를 감지된 방향과 역방향으로 움직여 촬상소자(30)의 위치를 변경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촬상소자(30)에 입사하는 입사광과 촬상소자(3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의 흔들림 크기를 줄임으로써, 선명한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촬상소자(30)가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는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에서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방향을 감지하는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디지털 촬영장치가 ±x 방향으로 흔들릴 시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의 입사광 영역(LA)이 나타나는바, 그렇다면 디지털 촬영장치가 +x 방향으로 흔들린 것인지 -x 방향으로 흔들린 것인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도 5a는 디지털 촬영장치가 -x 방향으로 흔들리는 경우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로서, 렌즈(11 내지 15)를 통과한 광이 촬상소자(30)에 입사하며, 또한 렌즈(11 내지 15)를 통과한 광 중 일부가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도 입사한다. 도 5a에서는 편의상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 입사하는 입사광의 광 경로만을 도시하였다. 실선으로 표시한 광 경로는 디지털 촬영장치가 움직이지 않을 시의 광 경로이며, 점선으로 표시한 광 경로는 디지털 촬영장치가 -x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안의 광 경로이다. 이와 같이 디지털 촬영장치가 -x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안에는 광이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의 중심에서 -x 방향으로 치우친 상태로 입사하게 된다. 따라서 도 4c에서 제2영역(342)에서 감지되는 광 강도가 제3영역(344)에서 감지되는 광 강도보다 크게 나타나면, 디지털 촬영장치가 -x 방향으로 움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움직임의 양은 제2영역(342)에서 감지되는 광 강도와 제3영역(344)에서 감지되는 광 강도의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 차이가 크면 클수록 움직임 양이 크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5b는 디지털 촬영장치가 +x 방향으로 흔들리는 경우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로서, 렌즈(11 내지 15)를 통과한 광이 촬상소자(30)에 입사하며, 또한 렌즈(11 내지 15)를 통과한 광 중 일부가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도 입사한다. 도 5b에서는 편의상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 입사하는 입사광의 광 경로만을 도시하였다. 실선으로 표시한 광 경로는 디지털 촬영장치가 움직이지 않을 시의 광 경로이며, 점선으로 표시한 광 경로는 디지털 촬영장치가 +x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안의 광 경로이다. 이와 같이 디지털 촬영장치가 +x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안에는 광이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의 중심에서 +x 방향으로 치우친 상태로 입사하게 된다. 따라서 도 4c에서 제2영역(342)에서 감지되는 광 강도보다 제3영역(344)에서 감지되는 광 강도가 크게 나타나면, 디지털 촬영장치가 +x 방향으로 움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움직임의 양은 제2영역(342)에서 감지되는 광 강도와 제3영역(344)에서 감지되는 광 강도의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 차이가 크면 클수록 움직임 양이 크다 고 판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방향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바, 이와 같이 나타나는 것은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 입사하는 입사광의 광축이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의 광이 입사하는 면과 수직이 아니며, 렌즈(11 내지 15)를 통과하면서 굴절되는 정도 등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물론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의 위치가 도 5a 및 도 5b와 상이하게 바뀌거나,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 입사하는 광의 광축과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의 광이 입사하는 면 사이의 각도가 변경되거나, 렌즈(11 내지 15)의 굴절률이나 굴절 방향 등이 변경됨에 따라, 흔들림에 따른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로의 입사광의 입사각도, 입사 위치 등이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방향 및 양을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 외에, 촬상소자베이스 액추에이터에 의해 촬상소자의 위치가 정확하게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피드백 데이터 역시 생성할 수 있다. 즉, 촬상소자베이스 액추에이터에 의해 촬상소자의 위치가 정확하게 변경되었다면, 그러한 상태에서 광이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 입사할 시의 입사광 영역은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나타날 것이기 때문이다. 만일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나타나지 않았다면 이는 촬상소자의 위치 변동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에 따른 이미지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방향 및 양을 감지하는 두 개의 자이로센서와, 보정된 양을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두 개의 홀센서를 필요로 하기에, 그 부품 수가 많아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 한 개로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방향과 흔들림 양을 결정하고, 또한 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 전면(前面)에 서브렌즈가 배치되어, 이 서브렌즈를 통과하여 광이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 입사하도록 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의 렌즈부(10)는 촬상소자(30)에 정확히 광 초점이 맞춰지도록 하는바, 이에 따라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 입사하는 광은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의 입사면에서 정확히 초점이 맞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 입사하는 광이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의 입사면에서 정확히 초점이 맞을 수 있도록,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 전면에 서브렌즈가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보정렌즈를 비롯한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가 전술한 디지털 촬영장치와 상이한 것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에 의한 촬상소자에서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의 선명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촬상소자의 위치를 변화시켰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렌즈 부 내에 포함된 흔들림보정렌즈의 위치를 변화시킨다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디지털 촬영장치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데, 렌즈부(10)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흔들림보정렌즈(16)를 포함하며, 이 흔들림보정렌즈(16)는 보정렌즈베이스(18)에 배치되고,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 역시 이 보정렌즈베이스(18)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보정렌즈베이스 액추에이터(미도시)가 보정렌즈베이스(18)를 움직여 흔들림보정렌즈(18)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디지털 촬영장치가 흔들리더라도 촬상소자(30)에 입사하는 입사광의 위치 변화를 최소화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작동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사한 방식으로,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가 생성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 및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보정렌즈베이스 액추에이터가 보정렌즈베이스(18)를 움직임으로써, 디지털 촬영장치가 흔들리더라도 보정렌즈(16)를 포함한 렌즈부(10)를 통과한 광이 촬상소자(30)에 입사할 시 입사 위치 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 입사하는 광은 렌즈부(10)를 통과하는 광 중 일부의 광일 수도 있고, 렌즈부(10)가 아닌 별도 구성요소를 통한 광일 수도 있다. 물론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가 생성하는 데이터가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방향 및 크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 외에, 보정렌즈베이스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흔들림보정렌즈(16)가 적절한 위치에 위치하게 되었는가를 확인하는 피드백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흔들림보정렌즈(16)에 입사하는 광과 동일하도록 렌즈부(10)를 통과한 광의 일부가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 입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의 구성 및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방향, 흔들림 양 등을 결정하는 방식은, 도 3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유사하다.
이와 같이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서 생성한 데이터로부터 디지털 촬영장치가 흔들린 것을 감지하면, 보정렌즈베이스 액추에이터가 보정렌즈베이스(18)를 감지된 방향과 역방향으로 움직여 흔들림보정렌즈(16)의 위치를 변경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촬상소자(30)에 입사하는 입사광과 촬상소자(3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의 흔들림 크기를 줄임으로써, 선명한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촬상소자(30)가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서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방향을 감지하는 원리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단지 차이는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가 배치된 위치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이러한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방향 및 양을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 외에, 보정렌즈베이스 액추에이터에 의해 흔들림보정렌즈(16)의 위치가 정확하게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피드백 데이터 역시 생성할 수 있다. 즉, 결정된 흔들림보정렌즈(16)의 움직임 방향 및 크기만큼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 역시 동일하게 움직여야 하는바, 해당 방향 및 크기만큼 움직였을 시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 입사하는 광에서 생성될 데이터(제1영역 내지 제4영역 각각에서의 광 강도)를 예상할 수 있으므로, 보정렌즈액추에이터에 의해 보정렌즈베이스(18)가 움직인 후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서 생성한 데이터가 그와 같이 예상된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보정렌즈베이스 액추에이터에 의해 흔들림보정렌즈(16)의 위치가 정확하게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에 따른 이미지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방향 및 양을 감지하는 두 개의 자이로센서와, 보정된 양을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두 개의 홀센서를 필요로 하기에, 그 부품 수가 많아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 한 개로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방향과 흔들림 양을 결정하고, 또한 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 전면(前面)에 서브렌즈가 배치되어, 이 서브렌즈를 통과하여 광이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 입사하도록 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광은 촬상소자(30)에 정확히 광 초점이 맞춰지도록 조절되는바, 이에 따라 보정렌즈베이스(18)에 배치된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 입사하는 광은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의 입사면에서 정확히 초점이 맞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에 입사하는 광이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의 입사면 에서 정확히 초점이 맞을 수 있도록, 광다이오드 집적회로(34) 전면에 서브렌즈가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촬상소자를 비롯한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다이오드 집적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에서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에서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방향을 감지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보정렌즈를 비롯한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5: 렌즈 16: 흔들림보정렌즈
18: 보정렌즈베이스 30: 촬상소자
32: 촬상소자베이스 34: 광다이오드 집적회로
341: 제1영역 342: 제2영역
343: 제3영역 344: 제4영역

Claims (12)

  1.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사하는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상기 촬상소자가 배치되는 촬상소자베이스;
    상기 촬상소자베이스 상에 배치된 광다이오드 집적회로: 및
    상기 촬상소자베이스를 움직여 상기 촬상소자의 위치를 제어하는 촬상소자베이스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를 통과하는 광 중 일부는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에 입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는 광이 입사할 수 있는 면이 제1영역 내지 제4영역으로 4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의 제1영역 내지 제4영역에서 감지한 광량의 차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촬상소자베이스 액추에이터는 상기 감지된 방향과 역방향으로 상기 촬상소자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 전면(前面)에 서브렌즈가 배치되어, 상기 서브렌즈를 통과하여 광이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에 입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6.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에 입사하는 입사광의 광축은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의 광이 입사하는 면과 수직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7. 흔들림보정렌즈를 포함한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사하는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상기 흔들림보정렌즈가 배치되는 보정렌즈베이스;
    상기 보정렌즈베이스 상에 배치된 광다이오드 집적회로: 및
    상기 보정렌즈베이스를 움직여 상기 흔들림보정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보정렌즈베이스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로 입사한 광 중 일부는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에 입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는 광이 입사할 수 있는 면이 제1영역 내지 제4영역으로 4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의 제1영역 내지 제4영역에서 감지한 광량의 차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보정렌즈베이스 액추에이터는 상기 감지된 방향과 역방향으로 상기 흔들림보정렌즈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 전면(前面)에 서브렌즈가 배치되어, 상기 서브렌즈를 통과하여 광이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에 입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다이오드 집적회로에 입사하는 입사광의 광축은 상기 광다이오드 집 적회로의 광이 입사하는 면과 수직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KR1020090057198A 2009-06-25 2009-06-25 디지털 촬영장치 Ceased KR2010013860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198A KR20100138603A (ko) 2009-06-25 2009-06-25 디지털 촬영장치
US12/724,798 US20100328473A1 (en) 2009-06-25 2010-03-16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aling with sha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198A KR20100138603A (ko) 2009-06-25 2009-06-25 디지털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603A true KR20100138603A (ko) 2010-12-31

Family

ID=43380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198A Ceased KR20100138603A (ko) 2009-06-25 2009-06-25 디지털 촬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328473A1 (ko)
KR (1) KR20100138603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2325A (en) * 1982-01-08 1990-01-09 Antonio Nicholas F D Motion detector
US5311353A (en) * 1993-03-05 1994-05-10 Analog Modules Wide dynamic range optical receivers
US6987530B2 (en) * 2001-05-29 2006-01-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for reducing motion blur in a digital image
KR100594149B1 (ko) * 2004-10-12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US7463145B2 (en) * 2005-09-22 2008-12-09 Rsi Video Technologies, Inc. Security monitoring arrangement and method using a common field of vie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328473A1 (en)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8270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5967432B2 (ja) 処理装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854533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7646970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user interface display apparatus
US20150185434A1 (en) Image pickup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KR101728590B1 (ko)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070047936A1 (en) Image sensing apparatus
CN110462507A (zh) 抖动校正装置、可换镜头及摄像装置
US9398220B2 (en) Shake correction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thereof, and optical device mountable on image pickup apparatus
JP2014055999A (ja) 処理装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411180B (zh) 静态图像采集装置和静态图像采集方法、以及图像晃动校正装置
JP2010271437A (ja)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の手ぶれ補正方法
JP5377092B2 (ja) 撮像装置及び測距方法
JP4838652B2 (ja) 撮像装置
JP2008185788A (ja) カメラ
JP4972202B2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及びユーザーインタフェースの表示装置
KR20100138603A (ko) 디지털 촬영장치
CN107547794A (zh) 焦点检测装置和焦点检测方法
JP5110043B2 (ja) 撮像装置
JP2008245236A (ja) 撮像装置および欠陥画素補正方法
JP2008028591A (ja) 撮像装置における画像処理方法と撮像装置
JP2008107731A (ja) レンズ装置、撮像装置、デジタルカメラ及び携帯電話機
JP6851172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573311B2 (ja) カメラ
JP2010117488A (ja) 撮像装置および焦点位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5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004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5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6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8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