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36886A - Power amplifier method and device for audio amplifier - Google Patents

Power amplifier method and device for audio ampl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6886A
KR20100136886A KR1020090081982A KR20090081982A KR20100136886A KR 20100136886 A KR20100136886 A KR 20100136886A KR 1020090081982 A KR1020090081982 A KR 1020090081982A KR 20090081982 A KR20090081982 A KR 20090081982A KR 20100136886 A KR20100136886 A KR 20100136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power
level
value
audio out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9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28041B1 (en
Inventor
김한기
박해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815,010 priority Critical patent/US8410855B2/en
Priority to EP10166216A priority patent/EP2264889A3/en
Publication of KR20100136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8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04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1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H03F3/2178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using more than one switch or switching amplifier in parallel or in s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PURPOSE: In the power control method of the audio amplifier and apparatus thereof is the audio play process, by making low the power provided to the power switching circuit part the effectiveness is improved. CONSTITUTION: The level of the input audio signal is detected(510). The fixed audio volume level is received(520). The audio output level is presumed correlation between the inputted audio sound level modifier and the audio signal level as the natural disposition(530, 540). It copes with the presumed audio output level as described above and the power value provided to the power switching circuit part is in advance instituted(550).

Description

오디오 앰프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udio amplifier}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udio amplifier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앰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오디오 앰프의 파워 스위칭 회로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가변적으로 공급하는 오디오 앰프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audio amplifie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dio amplifier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variably supplying power supplied to a power switching circuit portion of an audio amplifier.

통상적으로 디지털 오디오 시스템은 오디오 파워 앰프(audio power amplifier)를 사용한다. Digital audio systems typically use an audio power amplifier.

오디오 파워 앰프로서는 A급, B급, AB급 및 D급이 사용된다. 이중에서 D급 오디오 앰프는 A급 오디오 앰프, B급 오디오 앰프, AB급 오디오 앰프등에서 발생하는 증폭 효율 저하를 줄일 수 있다. Class A, B, AB and D classes are used as audio power amplifiers. Among them, class D audio amplifier can reduce amplification efficiency degradation caused by class A audio amplifier, class B audio amplifier and class AB audio amplifier.

여기서 D급 오디오 앰프는 오디오 신호를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alation:PWM)신호로 변경하여 스위칭하는 방식이다. 또한 D급 오디오 앰프는 개방 루프(open loop) 방식과 폐쇄 루프(closed) 방식으로 구분된다.In this case, the class D audio amplifier converts an audio signal into a pulse width modulated (PWM) signal and switches the audio signal. In addition, Class D audio amplifiers are classified into an open loop and a closed loop.

일반적으로 D급 오디오 앰프는 최대 오디오 출력에 대응하는 높은 고정 전원값으로 파워 스위칭 회로를 구동한다. 이러한 높은 전원으로 동작되는 D급 오디오 앰프는 기기의 발열을 초래하고 주위의 전자 소자들에 노이즈를 발생하게 하는 원인을 제공한다.Class D audio amplifiers typically drive power switching circuits with high fixed power values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audio output. These high-powered, Class-D audio amplifiers cause the device to generate heat and cause noise in the surrounding electronics.

따라서 D급 오디오 앰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Therefore, a technique is needed to properly control the power supplied to the class D audio amplifi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에 따라 오디오 앰프에 제공되는 전원을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오디오 앰프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dio amplifier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variably controlling the power provided to an audio amplifier according to the level of an input audio signal.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오디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of the audio amplifier,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레벨과 오디오 출력 변경 인자간의 상관 관계를 바탕으로 오디오 출력 레벨을 추정하는 과정;Estimating an audio output level based on a correlation between an input audio signal level and an audio output change factor;

상기 추정된 오디오 출력 레벨에 대응하여 파워 스위칭 회로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미리 설정하는 과정;Presetting power supplied to a power switching circuit in response to the estimated audio output level;

상기 설정된 전원에 따라 상기 파워 스위칭 회로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가변적으로 제어하여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nd amplifying an audio signal by variably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witching circuit unit according to the set power.

상기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오디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In order to solve the above other probl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for an audio amplifier,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레벨과 오디오 신호의 출력 변경 인자간의 상관 관계를 바탕으로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을 추정하고, 그 추정된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전원 제어값을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A digital signal processor for estimating an output level of the audio signal based on a correlation between an input audio signal level and an output change factor of the audio signal, and generating a power control valu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level of the estimated audio signal;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되는 전원 제어값에 따라 가변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가변 전원 공급부;A variable power supply for supplying variable power according to a power control value generated by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상기 가변 전원 공급에서 공급되는 가변 전원에 따라 펄스폭 변조 신호를 스위칭 파워 증폭하는 파워 스위칭 회로부를 포함한다. And a power switching circuit unit configured to amplify switching power of the pulse width modulated signal according to the variable power supplied from the variable power supply.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다수 채널의 오디오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신호 레벨 검출부;A signal level detector for detecting audio signal levels of a plurality of channels;

볼륨 레벨값 및 오디오 앰프 시스템의 이득값을 이용하여 오디오 출력에 관련된 오디오 레벨 변경 인자를 분석하는 출력 변경 인자 분석부;An output change factor analyzer for analyzing an audio level change factor related to the audio output using the volume level value and the gain value of the audio amplifier system;

상기 신호 레벨 검출부에서 검출된 오디오 신호 레벨과 출력 변경 인자 분석부에서 분석된 출력 레벨 변경 인자간의 상관 관계를 바탕으로 오디오 출력 레벨을 예측하는 오디오 출력 예측부;An audio output predictor for predicting an audio output level based on a correlation between the audio signal level detected by the signal level detector and an output level change factor analyzed by an output change factor analyzer;

상기 오디오 출력 예측부에서 추정된 오디오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전원 제어값을 설정하는 전원 제어값 생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include a power control value generator configured to set a power control value corresponding to the audio output level estimated by the audio output predict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 루프(closed loop) 방식의 D급 오디오 앰프 시스템의 전체 블록도이다.FIG. 1A is a block diagram of a class D audio amplifier system in a closed lo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폐쇄 루프 방식의 D급 오디오 앰프 시스템은 공급 전원 가변시 PWM 신호의 듀티와 PWM 신호의 레벨을 동시에 가변한다. 따라서 폐쇄 루프 방식의 D급 오디오 앰프 시스템은 공급 전원을 가변 하여도 오디오 출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The closed loop class D audio amplifier system simultaneously changes the duty of the PWM signal and the level of the PWM signal when the power supply is changed. Therefore, the closed loop class D audio amplifier system does not affect the audio output even if the power supply is varied.

도 1a의 폐쇄 루프 방식의 D급 오디오 앰프 시스템은 볼륨 변경부(110a), 마 이크로콘트롤러(120a), 디지털신호처리부(130a), 펄스폭변조부(140a), 가변전원공급부(150a), 파워 스위칭회로부(160a), 피드백부(170a), LPF부(Low Pass Filter)(180a), 스피커부(190a)로 구성된다. The closed loop class D audio amplifier system of FIG. 1A includes a volume change unit 110a, a microcontroller 120a, a digital signal processor 130a, a pulse width modulator 140a, a variable power supply unit 150a, and power. The switching circuit unit 160a, the feedback unit 170a, the LPF unit (Low Pass Filter) 180a, and the speaker unit 190a.

먼저, 오디오 앰프에 복수 채널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입력한다.First, a plurality of channels of analog or digital audio signals are input to an audio amplifier.

볼륨 변경부(110a)는 리모콘이나 판넬에 부착되어 부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볼륨 키 정보를 생성한다.The volume change unit 110a is attached to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panel to generate volume key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마이크로콘트롤러(120a)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볼륨 키 정보를 입력받으면 볼륨 키 정보를 해당 볼륨 레벨값으로 변환한다. 또한 마이크로콘트롤러(120a)는 오디오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오디오 앰프 내부의 이득값을 로딩한다. 예를 들면, 오디오 앰프 내부의 이득값은 디지털 신호처리부(130a)의 이득값 및 펄스폭변조부(140a)의 이득값을 포함한다. 마이크로콘트롤러(120a)는 오디오 신호의 채널 개수에 따라 디지털 신호처리부(130a)의 이득값 및 펄스폭변조부(140a)의 이득값을 미리 설정하고, 재생 동작이 수행되면 해당 이득값을 디지털 신호처리부(130a) 및 펄스폭변조부(140a)로 전달한다. When the microcontroller 120a receives the volume key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he microcontroller 120a converts the volume key information into a corresponding volume level value. The microcontroller 120a also loads gain values inside the audio amplifier that affect the audio output. For example, a gain value in the audio amplifier includes a gain value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30a and a gain value of the pulse width modulator 140a. The microcontroller 120a presets a gain value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30a and a gain value of the pulse width modulator 140a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annels of the audio signal, and sets the gain value when the reproduction operation is performed. 130a and the pulse width modulator 140a.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a)는 마이크로콘트롤러(120a)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30a converts the audio signal inpu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ntroller 120a into pulse code modulation (PCM) audio data.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a)는 마이크로콘트롤러(120a)로부터 입력되는 볼륨 레벨값 및 오디오 앰프시스템의 신호 이득값과 같은 오디오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오디오 레벨 변경 인자를 분석하고,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레벨과 오디오 레 벨 변경 인자간의 상관 관계를 바탕으로 오디오 출력 레벨을 추정하고, 그 추정된 오디오 출력 레벨에 대응하여 파워 스위칭 회로부(160a)에 공급되는 전원을 미리 설정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a)는 추정된 오디오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전원 제어 신호를 가변 전원 공급부(150a)로 출력한다.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30a analyzes an audio level change factor that affects the audio output, such as a volume level value input from the microcontroller 120a and a signal gain value of the audio amplifier system, and inputs the audio signal level and the audio. The audio output level is estimated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change factors, and th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witching circuit 160a is set in advance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d audio output level.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30a outputs a power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d audio output level to the variable power supply 150a.

이때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a)는 가변 전원 공급부(150a)로 전달되는 전원 제어 신호를 단계식과 선형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30a may process the power control signal transmitted to the variable power supply unit 150a in a stepwise manner and a linear form.

즉,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a)는 단계식일 경우 각 단계의 기준값과 매칭되는 전원 제어 신호를 가변 전원 공급부(150a)로 전달하고, 선형식일 경우 각 단계에 대한 기준값 없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레벨에 비례하는 선형값을 가변 전원 공급부(150a)로 전달한다.That is,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30a transmits a power control signal matching the reference value of each step to the variable power supply unit 150a in the case of the step type, and is proportional to the audio signal level output without the reference value for each step in the case of the linear type. The linear value is transferred to the variable power supply unit 150a.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a)는 버퍼(buffer)를 이용하여 출력 오디오 신호에 대한 전원 제어 신호의 트래킹 타임을 조절하여 음질 왜곡 현상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30a adjusts the tracking time of the power control signal for the output audio signal using a buffer to prevent sound distortion.

펄스폭변조부(140a)는 캐리어 신호 레벨과 디지털 신호처리부(130a)에서 출력되는 PCM 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저전압의 PWM 신호를 생성한다. The pulse width modulator 140a compares the carrier signal level with the level of the PCM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30a to generate a PWM signal having a low voltage.

가변 전원 공급부(150a)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a)에서 입력되는 전원 제어값에 대응하는 가변 전압을 파워 스위칭회로부(160a)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로 가변 전원 공급부(150a)는 저항비(resistor ratio)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The variable power supply unit 150a supplies a variabl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power control value input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30a to the power switching circuit unit 160a. In one embodiment, the variable power supply unit 150a may be implemented using a resistor ratio.

파워 스위칭 회로부(160a)는 펄스폭변조부(140a)에서 생성된 저전압의 PWM 신호를 가변 전원 공급부(150a)로부터 공급되는 가변 전압에 따라 대출력의 PWM 신호로 전력 증폭한다. 일 실시예로, 파워 스위칭회로부(160a)는 3.3V 정도의 소출력 PWM 신호를 5V - 40V 정도의 대출력 PWM 신호로 증폭한다. The power switching circuit 160a amplifies the low voltage PWM signal generated by the pulse width modulator 140a into a PWM signal having a large output according to the variable voltage supplied from the variable power supply 150a. In one embodiment, the power switching circuit 160a amplifies a small output PWM signal of about 3.3V into a large output PWM signal of about 5V to 40V.

피드백부(170a)는 파워 스위칭 회로부(160a)의 입출력 신호 사이의 에러를 보정하기 위해 파워 스위칭 회로부(160a)에서 출력되는 PWM 신호를 다시 파워 스위칭 회로부(160a)로 피드백시킨다. The feedback unit 170a feeds back the PWM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switching circuit unit 160a to the power switching circuit unit 160a to correct an error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signals of the power switching circuit unit 160a.

LPF부(180a)는 파워 스위칭 회로부(160a)에 의해 전력 증폭된 PWM 신호를 로우 패스필터링 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원래의 오디오 신호로 복구한다. The LPF unit 180a low-pass filters the PWM signal power amplified by the power switching circuit unit 160a to remove noise and restore the original audio signal.

스피커부(190a)는 LPF부(180a)에서 추출된 오디오 신호를 소리로 재생한다. The speaker unit 190a reproduces the audio signal extracted from the LPF unit 180a as a sound.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 루프(open loop) 방식의 D급 오디오 앰프 시스템의 전체 블록도이다.FIG. 1B is an overall block diagram of an open / close loop type D audio amplifi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개폐 루프 방식의 D급 오디오 앰프 시스템은 공급 전원 가변시 PWM 신호의 듀티는 유지한 채 PWM 신호의 레벨을 가변한다. 이때 개폐 루프 방식의 D급 오디오 앰프 시스템은 공급 전원을 가변하면 오디오 출력이 변경된다. 따라서 개폐 루프 방식의 D급 오디오 앰프 시스템은 가변된 공급 전원에 의한 출력 신호의 크기를 유지하기 위해 변경된 전원값 만큼 기준 볼륨을 조절해야 한다. The class D audio amplifier system of the open / close loop method varies the level of the PWM signal while maintaining the duty of the PWM signal when the power supply is changed. In this case, the audio output is changed when the power supply is changed in the class D audio amplifier system of the open / close loop method. 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from the variable power supply, the class D audio amplifier system of the open / close loop method should adjust the reference volume by the changed power value.

도 1a의 폐쇄 루프 방식의 D급 오디오 앰프 시스템에서 피드백부(170a)를 제외한 나머지 블록들로 개폐 루프(open loop) 방식의 D급 오디오 앰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In the closed loop class D audio amplifier system of FIG. 1A, an open loop class D audio amplifier system may be implemented using blocks other than the feedback unit 170a.

도 1b의 개폐 루프 방식의 D급 오디오 앰프 시스템의 볼륨 변경부(110b), 마이크로콘트롤러(120b), 디지털신호처리부(130b), 펄스폭변조부(140b), 가변전원공급부(150b), 파워 스위칭회로부(160b), LPF부(Low Pass Filter)(180b), 스피커 부(190b)를 구비한다.Volume switching unit 110b, microcontroller 120b,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30b, pulse width modulation unit 140b, variable power supply unit 150b, power switching of the class D audio amplifier system of the opening and closing loop method of FIG. The circuit unit 160b, the LPF unit (Low Pass Filter) 180b, and the speaker unit 190b are provided.

도 1b의 볼륨 변경부(110b), 마이크로콘트롤러(120b), 펄스폭변조부(140b), 가변전원공급부(150b), 파워 스위칭회로부(160b), LPF부(Low Pass Filter)(180b), 스피커부(190b)는 도 1a의 볼륨 변경부(110a), 마이크로콘트롤러(120a), 펄스폭변조부(140a), 가변전원공급부(150a), 파워 스위칭회로부(160a), LPF부(180a), 스피커부(190a)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동작 설명을 생략한다.Volume change unit 110b, microcontroller 120b, pulse width modulator 140b, variable power supply unit 150b, power switching circuit unit 160b, low pass filter 180b, speaker of FIG. The unit 190b includes the volume change unit 110a, the microcontroller 120a, the pulse width modulator 140a, the variable power supply unit 150a, the power switching circuit unit 160a, the LPF unit 180a, and the speaker of FIG. 1A. Since the func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unit 190a,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is omitted.

디지털신호처리부(130b)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레벨과 오디오 레벨 변경 인자간의 상관 관계를 바탕으로 오디오 출력 레벨을 추정하고, 추정된 오디오 출력 레벨에 대응하여 파워 스위칭 회로부(160b)에 공급되는 전원을 미리 설정하고, 추정된 오디오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전원 제어 신호를 가변 전원 공급부(150b)로 출력한다. 이때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b)는 추정된 오디오 출력 레벨에 의한 전원 변동시 기준 볼륨(디지털 게인)을 전원값에 연동한다. 즉 ,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b)는 추정된 오디오 출력 레벨에 따라 공급 전원값을 변경하고, 변경 공급 전원에 의한 출력 신호의 크기를 유지하기 위해 변경된 공급 전원값 만큼 기준 볼륨값(디지털 게인)을 조절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30b estimates the audio output level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put audio signal level and the audio level change factor, and presets th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witching circuit unit 160b in response to the estimated audio output level. And outputs a power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d audio output level to the variable power supply 150b. At this tim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30b links the reference volume (digital gain) to the power value when the power is changed by the estimated audio output level. That is,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30b changes the supply power value according to the estimated audio output level, and adjusts the reference volume value (digital gain) by the changed supply power value to maintain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by the changed supply power. do.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a, 130b)의 상세도이다.2 is a detailed view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s 130a and 130b of FIGS. 1A and 1B.

도 2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210), 오디오 신호 레벨 검출부(220), 출력 변경 인자 분석부(230), 오디오 출력 예측부(250), 전원 제어값 생성부(260)으로 구성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or of FIG. 2 includes an audio signal processor 210, an audio signal level detector 220, an output change factor analyzer 230, an audio output predictor 250, and a power control value generator 260. .

오디오 신호 처리부(210)는 다수의 채널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외에 이퀄라이져(equalizer), 인핸스먼트(enhancement)와 같은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The audio signal processor 210 converts audio signals input through a plurality of channels into Pulse Code Modulation (PCM) audio data, and performs signal processing such as an equalizer and an enhancement.

오디오 신호 레벨 검출부(220)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210)에서 신호 처리된 다수 채널의 오디오 신호 레벨에 대한 피크-피크치를 검출한다. The audio signal level detector 220 detects peak-peak values of audio signal levels of a plurality of channels signaled by the audio signal processor 210.

출력 변경 인자 분석부(230)는 마이크로콘트롤러(120)로부터 획득되는 볼륨 레벨값 및 오디오 앰프 내부의 이득값과 같은 오디오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오디오 레벨 변경 인자를 분석한다.The output change factor analyzer 230 analyzes an audio level change factor that affects the audio output, such as a volume level value obtained from the microcontroller 120 and a gain value inside the audio amplifier.

오디오 출력 예측부(250)는 오디오 신호 레벨 검출부(220)에서 검출된 다수 채널의 오디오 신호 레벨중에서 가장 큰 레벨값을 선정하고, 그 선정된 오디오 신호 레벨과 출력 변경 인자 분석부(230)에서 분석된 오디오 레벨 변경 인자간의 상관 관계를 바탕으로 오디오 출력 레벨을 예측한다. 예를 들면, 예측된 오디오 출력 레벨은 입력 오디오 신호 레벨과 오디오 볼륨 레벨과 오디오 앰프내부의 이득값을 곱한값이다.The audio output predictor 250 selects the largest level value among the audio signal levels of the plurality of channels detected by the audio signal level detector 220, and analyzes the selected audio signal level and the output change factor analyzer 230. The audio output level is estimated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udio level change factors. For example, the predicted audio output level is the product of the input audio signal level, the audio volume level, and the gain value inside the audio amplifier.

전원 제어값 생성부(260)는 오디오 출력 예측부(250)에서 추정된 오디오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전원 제어값을 미리 설정하고, 그 전원 제어값을 가변 전원 공급부(150)로 출력한다. 이때 전원 제어값 생성부(260)는 개폐 루프 방식과 폐쇄 루프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전원 제어값을 생성한다. The power control value generator 260 presets a power control value corresponding to the audio output level estimated by the audio output predictor 250, and outputs the power control value to the variable power supply 150. At this time, the power control value generator 260 generates different power control values according to the open / close loop method and the closed loop method.

도 3은 도 1a 및 도 1b의 파워 스위칭 회로부(160a, 160b) 및 LPF부(180a, 180b)의 일실시 회로도이다. 3 is a circuit diagram of the power switching circuits 160a and 160b and the LPF units 180a and 180b of FIGS. 1A and 1B.

파워 스위칭 회로부(160)는 PMOS 트랜지스터(P1) 및 NMOS 트랜지스터(N1)를 포함한다. PWM 신호는 위상이 서로 동일한 제1PWM 신호(Q1)와 제2PWM 신호(Q2)로 나누어진다. PMOS 트랜지스터(P1)는 제1PWM 신호(Q1)에 따라 스위칭되고, 소스(Source)에는 실제 전원 전압(VCC2)이 인가된다. NMOS 트랜지스터(N1) 역시 제2PWM신호(Q2)에 따라 스위칭되고, 그것의 드레인(Drain)은 PMOS트랜지스터(P1)의 드레인과 연결되고 그것의 소스는 실제 접지 전압(VSS2)과 연결된다. 여기서 VCC1, VSS1은 전압원에서 인가되는 이상적인 전압이고, VCC2, VSS2는 전압원과 파워 스위칭 회로부(160) 사이를 연결하는 도선(50)내의 저항(R1, R2)에 의해 일정치 만큼 강하된 전압으로, 파워 스위칭 회로부(160)에 인가되는 실제 전압이다. 아울러 R1, R2는 전압원과 파워 스위칭 회로부(160)사이를 연결하는 도선에 발생되는 저항이다. 다른 실시예로 파워 스위칭 회로부(160)는 PN 타입 뿐만 아니라 NN 타입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The power switching circuit unit 160 includes a PMOS transistor P1 and an NMOS transistor N1. The PWM signal is divided into a first PWM signal Q1 and a second PWM signal Q2 having the same phase. The PMOS transistor P1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first PWM signal Q1, and the actual power supply voltage VCC2 is applied to the source. The NMOS transistor N1 is also switched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PWM signal Q2, and its drain is connected to the drain of the PMOS transistor P1 and its source is connected to the actual ground voltage VSS2. Here, VCC1 and VSS1 are ideal voltages applied from the voltage source, and VCC2 and VSS2 are voltages dropped by a predetermined value by the resistors R1 and R2 in the conductive line 50 connecting the voltage source and the power switching circuit unit 160. The actual voltage applied to the power switching circuit unit 160. In addition, R1 and R2 are resistances generated in the conductive line connecting between the voltage source and the power switching circuit unit 160. In another embodiment, the power switching circuit unit 160 may be configured as an NN type as well as a PN typ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 루프 방식의 D급 오디오 앰프의 전원 제어 방법의 제1실시예이다. 4 is a first embodiment of 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of a closed loop class D audio ampl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다수의 채널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레벨들을 검출한다(410 과정). First, audio signal levels input to a plurality of channels are detected (step 410).

이어서, 리모콘등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오디오 볼륨 레벨을 획득한다(420 과정).Next, the audio volume level set by the user is acquir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step 420).

이어서, 오디오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오디오 앰프내부의 오디오 레벨 변경 인자(factor)를 분석한다(430 과정). 이때 오디오 레벨 변경 인자(factor)는 오디오 볼륨 레벨 및 오디오 앰프내부 이득값을 포함한다. Next, an audio level change factor in the audio amplifier affecting the audio output is analyzed (step 430). In this case, the audio level change factor includes an audio volume level and an internal gain value of the audio amplifier.

이어서, 다수 채널의 오디오 신호 레벨중에서 가장 큰 레벨값을 선정하고, 그 선정된 오디오 신호 레벨과 오디오 레벨 변경 인자간의 상관 관계를 바탕으로 오디오 출력 레벨을 예측한다(440 과정). Next, the largest level value is selected among the audio signal levels of the plurality of channels, and the audio output level is predicted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lected audio signal level and the audio level change factor (step 440).

이때 예측되는 오디오 출력 레벨은 수학식 1과 같이 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dicted audio output level may be determined as in Equation 1.

예측되는 오디오 출력 레벨 = 입력 오디오 신호 레벨 x 볼륨 이득 x 오디오 앰프내부의 이득값Expected audio output level = input audio signal level x volume gain x gain value inside the audio amplifier

이어서, 추정된 오디오 출력 레벨에 대응하여 파워 스위칭부(160)에 공급되는 전원을 미리 설정한다(450 과정 - 476 과정). Subsequently, th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witching unit 160 is preset in correspondence with the estimated audio output level (steps 450 to 476).

전원 설정 과정(450 과정 - 476 과정)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에 의해 전원을 복수개의 레인지 예를 들면, "LOW", "Middle", "High"로 구분한다.The power setting process (steps 450 to 47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pow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anges, for example, "LOW", "Middle", and "High" by the user.

먼저, 예측된 오디오 출력 레벨이 미리 정해진 전원 레인지 "LOW" 내에 있는가를 체크한다(450 과정). First, it is checked whether the predicted audio output level is within a predetermined power range "LOW" (step 450).

이어서, 예측된 오디오 출력 레벨이 전원 레인지 "LOW" 내에 있으면 파워 스위칭부(160)의 공급 전원을 "LOW" 앰프 전원값으로 설정한다(472 과정). Subsequently, if the predicted audio output level is within the power range "LOW",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witching unit 160 is set to the "LOW" amplifier power value (step 472).

이어서, 예측된 오디오 출력 레벨이 전원 레인지 "LOW" 내에 있지 않으면 다시 예측된 오디오 출력 레벨이 미리 정해진 전원 레인지 "Middle" 내에 있는가를 체크한다(460 과정). Then, if the predicted audio output level is not within the power range "LOW", it is again checked whether the predicted audio output level is within the predetermined power range "Middle" (step 460).

이어서, 예측된 오디오 출력 레벨이 미리 정해진 전원 레인지 "Middle" 내에 있으면 공급 전원을 "Middle" 앰프 전원값으로 설정한다(476 과정). Subsequently, if the predicted audio output level is within the predetermined power range "Middle", the supply power is set to the "Middle" amplifier power value (step 476).

이어서, 예측된 오디오 출력 레벨이 미리 정해진 "Middle" 내에 있지 않으면 공급 전원을 "High" 앰프 전원값으로 설정한다(474 과정).Then, if the predicted audio output level is not within the predetermined "Middle", the power supply is set to the "High" amplifier power value (step 474).

최종적으로 설정된 앰프 전원값을 파워 스위칭 회로부(160)에 가변적으로 공급한다(480 과정). The amplifier power value finally set is variably supplied to the power switching circuit 160 (step 480).

본 발명은 입력 오디오 신호의 레벨과 오디오 앰프내부의 이득값간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 단계에서 파워 스위칭 회로부(160)에 공급되는 전원값을 미리 설정하고, 그 전원값을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레벨에 따라 단계적으로 가변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공급 전원(710)은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720)의 레벨에 따라 단계적으로 추종하게 된다. 예를 들면, 출력 오디오 신호(720)의 레벨이 0.5V이면 공급 전원(710)은 0.7V가되고, 출력 오디오 신호(720)의 레벨이 2V이면 공급 전원(710)은 2.3V가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value supplied to the power switching circuit unit 160 is preset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step by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the input audio signal and the gain value inside the audio amplifier, and the power value is output to the audio signal. It varies in stages according to the level. Referring to FIG. 7A, the power supply 710 may be followed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audio signal 720 output. For example, if the level of the output audio signal 720 is 0.5V, the supply power supply 710 is 0.7V, and if the level of the output audio signal 720 is 2V, the supply power supply 710 is 2.3V.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 루프 방식의 D급 오디오 앰프의 전원 제어 방법의 제2실시예이다. 5 is a second embodiment of 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of a closed loop class D audio ampl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510과정 - 540 과정은 도 4의 410 과정- 440 과정과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First, steps 510 to 540 are the same as steps 410 to 440 of FIG. 4,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어서, 예측된 오디오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전원 제어값을 결정한다(550 과정). In operation 550, a power control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edicted audio output level is determined.

이어서, 전원 제어값에 따라 오디오 출력 레벨에 근접한 선형적 가변 전원을 파워 스위칭 회로부(160a)에 공급한다(560 과정). Subsequently, the linear variable power supply close to the audio output level is supplied to the power switching circuit unit 160a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value (step 560).

결국, 본 발명은 파워 스위칭 회로부(160a)의 이전 블록에서 예측된 오디오 출력 레벨에 따라 선형적으로 가변 되는 전원값을 결정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공 급 전원(730)은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740)의 레벨에 따라 선형적으로 추종하게 된다. 예를 들면, 출력 오디오 레벨의 피크값들에 대응하는 공급 전원값들을 미리 생성한다.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a power supply value that varies linearly according to the audio output level predicted in the previous block of the power switching circuit unit 160a. Referring to FIG. 7B, the power supply 730 linearly follows the level of the output audio signal 740. For example, the supply power values corresponding to the peak values of the output audio level are generated in advanc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 루프 방식의 D급 오디오 앰프의 전원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이다. 6 is an embodiment of 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of an open / close loop type D audio ampl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610과정 - 640 과정은 도 4의 410 과정- 440 과정과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First, processes 610 to 640 are the same as processes 410 to 440 of FIG. 4,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어서, 예측된 오디오 출력 레벨이 현재 설정된 전원 레인지 인가를 체크한다(650 과정). 이때 예측된 오디오 출력 레벨이 현재 설정된 전원 레인지이면 현재 설정된 전원값을 파워 스위칭 회로부(160b)로 공급한다. Then, it is checked whether the predicted audio output level is the currently set power range (operation 650). At this time, if the predicted audio output level is the currently set power range, the currently set power value is supplied to the power switching circuit unit 160b.

이어서, 예측된 오디오 출력 레벨이 현재 설정된 전원 레인지 이상이면 공급 전원값을 현재 설정된 전원값보다 더 높게 설정한다(662 과정). 이때 공급 전원값을 높이면 최종 출력 신호의 레벨이 변경되기 때문에 높아진 공급 전원값 만큼 기준 볼륨값을 감소시킨다(664 과정). 예를 들면, 최대 공급 전원이 30V이고 현재 설정된 전원이 20V이고 예측 오디오 출력 레벨이 28V이면 공급 전원을 30V로 설정하고, 현재 설정된 전원 20V보다 10V 높아진 공급 전원 만큼 오디오 볼륨값을 감소 시킨다.Subsequently, if the predicted audio output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urrently set power range, the supply power value is set higher than the currently set power value (step 662). In this case, increasing the power supply value changes the level of the final output signal, thereby reducing the reference volume value by the increased supply power value (step 664). For example, if the maximum power supply is 30V, the current power supply is 20V, and the predicted audio output level is 28V, the power supply is set to 30V, and the audio volume value is decreased by 10V higher than the current power supply 20V.

이어서, 예측된 오디오 출력 레벨이 현재 설정된 전원 레인지 이하이면 공급 전원값을 현재 설정된 전원값보다 더 낮춘다(672 과정). 이때 공급 전원값을 낮추면 최종 출력 신호의 레벨이 변경되기 때문에 공급 전원값 만큼 기준 볼륨값을 증 가시킨다(674 과정). 예를 들면, 최대 공급 전원이 30V이고 현재 설정된 전원이 20V이고 예측 오디오 출력 레벨이 7V이면 공급 전원을 10V로 설정하고, 현재 설정된 전원 20V보다 10V 낮아진 공급 전원 만큼 오디오 볼륨값을 증가시킨다.Subsequently, if the predicted audio output leve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currently set power range, the supply power value is lower than the currently set power value (step 672). In this case, since the level of the final output signal is changed by lowering the power supply value, the reference volume value is increased by the power supply value (step 674). For example, if the maximum power supply is 30V, the current power supply is 20V, and the predicted audio output level is 7V, the power supply is set to 10V, and the audio volume value is increased by 10V lower than the current power supply 20V.

결국, 개폐 루프 방식의 D급 오디오 앰프에서는 추정된 오디오 출력 레벨에 따라 변경되는 전원값에 기준 볼륨값을 연동함으로서 가변된 공급 전원에 의한 출력 신호의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in the class D audio amplifier of the open / close loop method, the reference volume value is linked to the power value changed according to the estimated audio output level, thereby maintaining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by the variable power supply.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a, 130b)에서 오디오 출력에 따라 추종되는 전원 제어 신호의 파형도이다.8A and 8B are waveform diagrams of a power control signal followed by an audio output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s 130a and 130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를 보면, 공급 전원(808)을 출력 오디오 신호(802)에 추종하게 되면 전원 상승 영역(803)에서 오디오 신호가 공급 전원에 의해 클리핑(810)되는 현상으로 인해 음질 왜곡 현상이 발생한다.Referring to FIG. 8A, when the power supply 808 follows the output audio signal 802, sound quality distortion occurs due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audio signal is clipped 810 by the power supply in the power up region 803.

따라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a, 130b)는 버퍼링(buffering)을 이용하여 오디오 출력 레벨에 대한 전원 제어 신호의 트래킹 타임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도메인에서 버퍼링 타임(buffering time)을 이용하여 공급 전원(828)을 출력 오디오 신호(822) 보다 먼저 상승시킨(823) 후 유지(824)시킴으로서 음질 왜곡 현상을 방지한다. Therefore,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s 130a and 130b may adjust the tracking time of the power control signal for the audio output level by using buffering.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8B, the sound quality distortion phenomenon is generated by raising (823) and maintaining (824) the power supply 828 before the output audio signal 822 by using the buffering time in the digital domain. prevent.

도 9a 및 도 9b는 오디오 앰프에서 본 발명과 종래 기술의 전원 제어를 비교한 도면이다.9A and 9B show a comparison of power control in the prior art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udio amplifier.

종래 기술의 오디오 앰프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오디오 레벨과 무관하게 사전에 설정된 파워 레벨(910)이 일정하게 공급되기 때문에 파워 앰프를 거쳐 실제로 증폭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9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소비 전력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9a에서 공급 파워 레벨과 출력 오디오 신호간의 에너지 손실 영역(930)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In the prior art audio amplifier, as shown in FIG. 9A, since a predetermined power level 910 is constantly supplied regardless of the input audio level, the audio amplifier is actually compared with the level 920 of the audio signal actually amplified and output through the power amplifier. There is a problem that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is unnecessary. In FIG. 9A, the energy loss region 930 between the supply power level and the output audio signal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반면에 본 발명의 오디오 앰프는 입력 오디오 신호의 레벨과 오디오 시스템의 이득값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a, 130b)에서 오디오 출력을 미리 예측하여 파워 스위칭 회로부(160a, 160b)에 공급되는 전원을 가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나믹하게 변하는 출력 오디오 신호(950)에 따라 공급 파워 레벨(940)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디오 앰프는 오디오의 최대 출력을 유지하면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낮은 출력에서의 오디오 재생시 파워 스위칭 회로부에 공급하는 전원을 낮출 수 있으므로 효율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디오 앰프는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으며 발열을 줄여서 방열판의 크기와 잡음 요소를 줄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udio ampl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predicts the audio output in advance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s 130a and 130b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the input audio signal and the gain value of the audio system and supplies it to the power switching circuit units 160a and 160b. Variable power supply.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vary the supply power level 940 according to the dynamically changing output audio signal 950 as shown in FIG. 9B. Therefore, the audio ampl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lower th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witching circuit during audio reproduction at a low output generally used while maintaining the maximum output of the audio, thereby improving efficiency. In addition, the audio ampl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lower power consumption and reduce heat generation,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heat sink and the noise factor.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hard disk, floppy disk, flash memory,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stored and executed as computer readable code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 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it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various embodiments which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but are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o those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 루프 방식의 D급 오디오 앰프 시스템의 전체 블록도이다.Figure 1a is a block diagram of a closed loop class D audio amplifi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 루프 방식의 D급 오디오 앰프 시스템의 전체 블록도이다.1B is an overall block diagram of a class D audio amplifier system of an open / close loop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의 상세도이다.FIG. 2 is a detailed view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of FIGS. 1A and 1B.

도 3은 도 1a 및 도 1b의 파워 스위칭 회로부 및 LPF부의 일실시 회로도이다. 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ower switching circuit unit and the LPF unit of FIGS. 1A and 1B.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 루프 방식의 D급 오디오 앰프의 전원 제어 방법의 제1실시예이다. 4 is a first embodiment of 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of a closed loop class D audio ampl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 루프 방식의 D급 오디오 앰프의 전원 제어 방법의 제2실시예이다. 5 is a second embodiment of 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of a closed loop class D audio ampl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 루프 방식의 D급 오디오 앰프의 전원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이다. 6 is an embodiment of 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of an open / close loop type D audio ampl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과 공급 전원과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7A and 7B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dio signal output and th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오디오 출력 왜곡 방지를 위해 오디오 출력에 따라 추종되는 전원 제어 신호의 파형도이다.8A and 8B are waveform diagrams of a power control signal following an audio output in order to prevent audio output distortion in a digital signal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및 도 9b는 파워 앰프에서 본 발명과 종래 기술의 전원 제어를 비교한 도면이다.9A and 9B show a comparison of power control in the prior art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a power amplifier.

Claims (16)

오디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In th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of the audio amplifier,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레벨과 오디오 레벨 변경 인자간의 상관 관계를 바탕으로 오디오 출력 레벨을 추정하는 과정;Estimating an audio output level based on a correlation between an input audio signal level and an audio level change factor; 상기 추정된 오디오 출력 레벨에 대응하여 파워 스위칭 회로부에 공급되는 전원값을 미리 설정하는 과정;Presetting a power value supplied to a power switching circuit unit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d audio output level; 상기 설정된 전원값에 따라 상기 파워 스위칭 회로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가변적으로 제어하여 오디오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오디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방법.And amplifying an audio output signal by variably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witching circuit unit according to the set power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변경 인자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dio output change factor is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볼륨 레벨 및 상기 오디오 앰프의 내부 이득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앰프의 전원 제어 방법.And a volume level set by a user and an internal gain value of the audio amplifi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앰프의 내부 이득값은 디지털 신호처리부의 이득값 및 펄스폭변조부의 이득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앰프의 전원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ternal gain of the audio amplifier is a gain value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a gain value of the pulse width modul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오디오 출력 레벨은 입력 오디오 신호 레벨과 설정된 오디오 볼륨 레벨과 오디오 앰프내부의 이득값을 곱한 값임을 특징으로 하 는 오디오 앰프의 전원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edicted audio output level is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an input audio signal level by a set audio volume level and a gain value in the audio ampl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레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audio signal level is 다수의 채널에서 검출되는 오디오 레벨중에서 가장 큰 신호 레벨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앰프의 전원 제어 방법.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of an audio ampl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argest signal level among the audio levels detected in a plurality of channe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위칭 회로부에 공급되는 전원값은 상기 추정된 오디오 출력 레벨에 대응하여 단계적으로 설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앰프의 전원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value supplied to the power switching circuit is set in stages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d audio output lev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위칭 회로부에 공급되는 전원값은 상기 추정된 오디오 출력 레벨에 대응하여 선형적으로 설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앰프의 전원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value supplied to the power switching circuit is linearly set in correspondence to the estimated audio output lev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레벨에 대한 전원 제어 신호의 트래킹 타임을 조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앰프의 전원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cking time of the power control signal with respect to the audio output level is adjus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위칭 회로부에 공급되는 전원값 설정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tting of the power value supplied to the power switching circuit part comprises: 상기 추정된 오디오 출력 레벨에 따라 변경되는 전원값에 기준 볼륨값을 연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앰프의 전원 제어 방법.And linking a reference volume value to a power value changed according to the estimated audio output leve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값에 기준 볼륨값을 연동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linking of the reference volume value to the power value comprises: 상기 추정된 오디오 출력 레벨이 현재 설정된 전원 레인지이상이면 상기 공급 전원값을 현재 설정된 전원값보다 더 높이 설정하고 그 높아진 공급 전원값 만큼 기준 볼륨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추정된 오디오 출력 레벨이 현재 설정된 전원 레인지 이내이면 상기 공급 전원값을 현재 설정된 전원값보다 더 낮추고 그 낮아진 공급 전원값 만큼 기준 볼륨값을 증가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앰프의 전원 제어 방법.If the estimated audio output leve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urrently set power range, the supply power value is set higher than the currently set power value and the reference volume value is decreased by the increased supply power value, and the estimated audio output level is the power currently set. If within the range, the power supply value is lower than the currently set power value, and the reference volume value is increased by the lowered power supply value. 오디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In the power supply control device of the audio amplifier,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레벨과 오디오 레벨 변경 인자간의 상관 관계를 바탕으로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을 추정하고, 그 추정된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전원 제어값을 미리 설정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A digital signal processor which estimates an output level of the audio signal based on a correlation between the input audio signal level and the audio level change factor, and presets a power supply control valu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level of the estimated audio signal;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미리 설정된 전원 제어값에 따라 가변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가변 전원 공급부;A variable power supply for supplying variable power according to a preset power control value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상기 가변 전원 공급에서 공급되는 가변 전원에 따라 펄스폭 변조 신호를 스위칭 파워 증폭하는 파워 스위칭 회로부를 포함하는 오디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 And a power switching circuit for amplifying switching power of the pulse width modulated signal according to the variable power supplied from the variable power suppl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다수 채널의 오디오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신호 레벨 검출부;A signal level detector for detecting audio signal levels of a plurality of channels; 볼륨 레벨값 및 오디오 앰프 시스템의 이득값을 이용하여 오디오 출력에 관련된 오디오 레벨 변경 인자를 분석하는 출력 변경 인자 분석부;An output change factor analyzer for analyzing an audio level change factor related to the audio output using the volume level value and the gain value of the audio amplifier system; 상기 신호 레벨 검출부에서 검출된 오디오 신호 레벨과 출력 변경 인자 분석부에서 분석된 오디오 레벨 변경 인자간의 상관 관계를 바탕으로 오디오 출력 레벨을 예측하는 오디오 출력 예측부;An audio output predictor for predicting an audio output level based on a correlation between the audio signal level detected by the signal level detector and the audio level change factor analyzed by an output change factor analyzer; 상기 오디오 출력 예측부에서 추정된 오디오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전원 제어값을 설정하는 전원 제어값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 And a power control value generator for setting a power control value corresponding to the audio output level estimated by the audio output predicting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오디오 출력 레벨에 대한 전원 제어 신호의 트래킹 타임을 조절하는 버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1, where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further comprises a buffer for adjusting a tracking time of a power control signal with respect to an audio output leve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 사용자 오디오 볼륨 레벨 및 오디오 앰프 시스템의 이득에 해당하는 오디오 레벨 변경 인자를 제공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 12. The apparatus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microcontroller for providing an audio level change factor corresponding to a user audio volume level and a gain of an audio amplifier system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값 생성부는 개폐 루프 방식과 폐쇄 루프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전원 제어값을 생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 12. The apparatus of claim 11, wherein the power control value generator generates different power control values according to the open / close loop method and the closed loop method. 제1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claim 1.
KR1020090081982A 2009-06-19 2009-09-0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udio amplifier Active KR1017280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15,010 US8410855B2 (en) 2009-06-19 2010-06-1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of audio amplifier
EP10166216A EP2264889A3 (en) 2009-06-19 2010-06-16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of audio ampl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789 2009-06-19
KR20090054789 2009-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886A true KR20100136886A (en) 2010-12-29
KR101728041B1 KR101728041B1 (en) 2017-04-18

Family

ID=43510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982A Active KR101728041B1 (en) 2009-06-19 2009-09-0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udio ampl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04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6722A (en) * 2013-12-27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n acoustic amplification method and an acoustic ampification circuit
KR20210025128A (en) * 2018-07-25 2021-03-08 시러스 로직 인터내셔널 세미컨덕터 리미티드 Gain Control in Class-D Open-Loop Amplifi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6722A (en) * 2013-12-27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n acoustic amplification method and an acoustic ampification circuit
KR20210025128A (en) * 2018-07-25 2021-03-08 시러스 로직 인터내셔널 세미컨덕터 리미티드 Gain Control in Class-D Open-Loop Amplifi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041B1 (en) 201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08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of audio amplifier
US7782141B2 (en) Adaptive signal-feed-forward circuit and method for reducing amplifier power without signal distortion
US8803605B2 (en) Integrated circui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method for providing a power supply
KR100765790B1 (en) Variable power supply and method for mobile devices
US9166538B2 (en) Integrated circui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method for providing a power supply
KR102391056B1 (en) Gain Control in Class-D Open-Loop Amplifiers
US20140361837A1 (en) Integrated circui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method for providing a power supply
US7880548B2 (en) Headphone amplifier circuit
KR20080091377A (en) Power amplifier control circuit
EP2571161B1 (en) Amplifier
WO2008144154A2 (en) Error driven rf power amplifier control with increased efficiency
KR101871360B1 (en) Method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thereof
US8228117B2 (en) Quiet power up and power down of closed loop digital PWM modulators
KR1017865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dulating supply of power amplifier
US20070054638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control audio volume in D class amplifier
KR100739786B1 (en) Multi-channel digital amplifier system and its signal processing method
CN111224627A (en) Audio amplifier with embedded buck controller for class-G applications
US11539331B2 (en) Signal amplitude-selected signal predistortion in an amplifier
CN106656085A (en) Gain control device
US6975172B2 (en) Smart voltage rail reduction audio amplifier
KR10172804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udio amplifier
CN112702030A (en) Ampl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mplifier
US11418153B2 (en) Amplifier circuits
US20170222629A1 (en) Adjustable time duration for driving pulse-width modulation (pwm) output to reduce thermal noise
KR20090011543A (en) A fast adaptive equaliz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equalizer using an output of a phase de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9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9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