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36734A - 휴대용 소변 분석기 및 이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소변 분석기 및 이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6734A
KR20100136734A KR1020090054986A KR20090054986A KR20100136734A KR 20100136734 A KR20100136734 A KR 20100136734A KR 1020090054986 A KR1020090054986 A KR 1020090054986A KR 20090054986 A KR20090054986 A KR 20090054986A KR 20100136734 A KR20100136734 A KR 20100136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sample
data
test
sti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종 신 김
Original Assignee
종 신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종 신 김 filed Critical 종 신 김
Priority to KR1020090054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6734A/ko
Publication of KR20100136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73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Instruments for taking body samples for diagnostic purposes; 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r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483Investigating reagent ba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mat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 검사를 위한 시료스틱이 투입되어 시료스틱센서에 의해 상기 시료스틱을 스캐닝하게 되는 시료검사부와, 상기 시료검사부의 시료스틱센서에 의해 읽혀진 시료스틱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으로 상기 시료검사부와 연결되는 USB 메모리, 개인퍼스널 컴퓨터에 설치되는 소변분석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USB 메모리에 저장된 소변분석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된 자료를 수치로 측정하여 개인퍼스널 컴퓨터와 연결되는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소변 검사를 위해 일일이 병원을 내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회피하면서 휴대용 소변 검사 장치의 제공에 의해, 집에서 가족 구성원 누구나 손쉽게 자신의 소변에 대한 자가 검사가 가능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개인 컴퓨터를 통하여 출력토록 하므로서, 현재 자신의 조건 및 질환 가능성 여부의 체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는 물론, 이와 같이 자신의 질환 여부에 대한 사전 체크로 인하여 질병의 예방이 가능하게 되고 활동성이 높은 현대인에게 최소한의 건강 체크가 항상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휴대용 소변 분석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소변 분석기

Description

휴대용 소변 분석기 및 이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A PORTABLE URINALYSIS EQUIPMENT AND MAKE USE OF ANALYSIS METHOD}
본 발명은 휴대용 소변 분석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일반인이 병원이나 의원을 내방하지 않고도, 자신이 직접 소변을 분석하여 건강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에스비(USB) 단자와 연결되는 소변분석부의 센서를 통해 소변이 묻혀진 리트머스용지를 스캔처리하여 그 데이터를 상기한 유에스비(USB) 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개인 컴퓨터에 연결하고, 상기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소변분석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소변분석부를 통해 스캔처리되는 리트머스용지의 데이터값을 모니터를 통해 출력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소변 분석기와 이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학기술 및 생활 수준이 과거에 비해 현저한 발전하게 되어, 사회 전반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어, 자신의 건강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거나 확인을 하고자 하는 성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요구에 따라, 일반인들은 자신의 건강 상태를 수시로 체크하기를 원하는데, 건강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병원이나 의원 등을 내방하여 검사를 받아야 하지만,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지 못한 일반인들은 각종 건강 검사 결과를 용이하게 판독하지 못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또한, 일반인의 건강 상태를 비교적 손쉽게 파악하기 위한 검사 중의 하나로 소변검사를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소변검사는 주로 병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소변검사는 임상병리 검사 중에서도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의 필수적 검사에 해당 되지만 그 검사장비는 상당한 고가의 제품이고 병원의 시스템에 맞추어 개발되어 있어 검사를 위해서는 필히 병원을 내방 하여야 한다.
이러한 소변검사를 통해 알 수 있는 질병으로는 대표적으로 당, 케톤체, 잠혈, 백혈구, 유로빌리노겐, 빌리루빈, 단백질, 아질산엽, 산도와 비중 등이 있다.
당의 경우에는 당뇨병, 신성당뇨와 취장염을 예측할 수 있고, 케톤체는 당뇨병과 발열성 질환, 잠혈의 경우에는 방광염, 요로출혈, 용혈성 빈혈 등의 질환을 진단할 수 있다.
백혈구는 신장질환과 신우신염, 유로빌리노겐과 빌리루빈은 황달, 간질환, 담도질환의 예측이 가능하고, 단백질은 신장염, 방광염과 고협압의 예측이 가능하고, 아질산염과 산도는 요로감염 등을 진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비중을 통해선 당뇨병성 케토시스, 기아와 구토를 진단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질병 진단 중 당뇨병등은 시료스틱을 약국에서 구입하여 자가 진단이 가능하지만, 기타 질병의 징후 및 진단은 현재까지는 사용자가 자가 진단외에는 객관적인 진단방법은 마찬가지로 병원을 내방하여 검사를 받는 방법 외에는 별다른 방도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바쁜 일상생활을 살아가는 현대인에게는 소변 검사와 같은 간단한 진단을 위해서도 병원 방문이 필수적이어서 시간적, 정신적 여유가 없는 경우 병원 내방을 미루게 되어 결국,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은 항상 노출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한 공개특허 10-2009-2942 인 "자동 소변분석 시스템 및 그 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선행 특허의 경우에는 역사주변이나 은행 등 기타 공공건물 등과 같이 장소에 구애됨 없이 마치 자동판매기와 같이 설치되어 일반인이 손쉽게 소변 검사가 가능하도록 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자동판매기 형태의 소변분석장치의 경우에도 그 장치가 설치된 곳에서 소변분석용 스틱을 이용하여 공중화장실에서 소변을 묻힌 후 다시 소변분석장치에서 스틱을 투입, 검사하도록 하고 있어 공공장소에서의 소변 검사에 따른 심리적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부분을 감안하고 아울러 일반인이 집에서도 간편하게 소변검사의 실시 및 진단과 결과물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소변분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소변분석장치를 통해 검사된 데이터는 인터넷 서버를 통해 저장되도록 하고, 그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결과 확인 및 비교 분석이 웹상에서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지정 병원에서 해당 데이터를 검출하여 환자의 상황 및 진료 상태와 치료 상태의 추이를 손쉽게 판독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 건강 체크의 용이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소변 검사를 위한 시료스틱이 투입되어 시료스틱센서에 의해 상기 시료스틱을 스캐닝하게 되는 시료검사부와,
상기 시료검사부의 시료스틱센서에 의해 읽혀진 시료스틱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으로 상기 시료검사부와 연결되는 USB 메모리,
개인퍼스널 컴퓨터에 설치되는 소변분석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USB 메모리에 저장된 소변분석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된 자료를 수치로 측정하여 개인퍼스널 컴퓨터와 연결되는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변 검사를 위한 시료스틱을 휴대용 소변분석기에 투입하여 상기 시료스틱을 스캔 검사하게 되는 시료검사단계와,
개인 퍼스널 컴퓨터에서 소변 분석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시료검사단계에서 검사한 검사자의 회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회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 의해 회원으로 인증되면, 상기 휴대용 소변분석기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소변 분석 프로그램에서 추출하여 소변 분석을 실행하는 소변 분석 단계와,
상기 소변 분석 단계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를 원격 서버에 송신하여 저장하는 원격저장단계와,
원격저장단계를 거친 후, 필요에 따라 개인 퍼스널 컴퓨터를 통해 소변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변 검사를 위한 시료스틱을 휴대용 소변분석기에 투입하여 상기 시료스틱을 스캔 검사하게 되는 시료검사단계와,
개인 퍼스널 컴퓨터에서 소변 분석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시료검사단계에서 검사한 검사자의 회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회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 의해 회원으로 인증되면, 상기 휴대용 소 변분석기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소변 분석 프로그램에서 추출하여 소변 분석을 실행하는 소변 분석 단계와,
상기 소변 분석 단계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를 원격 서버에 송신하여 저장하는 원격저장단계와,
원격저장단계를 거친 후, 주치 병원의 단말기에서 상기 원격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여부를 인증하는 주치의 회원 여부 판단단계와,
상기 주치의 회원 여부 판단단계를 거친 주치의 병원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중에서 자신의 환자 분석 결과를 추출하기 위한 인증단계와,
상기 인증단계를 거쳐 인증된 주치의 회원은 해당 환자의 소변분석 데이터를 내려받아 주치의 병원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출력하는 출력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변 검사를 위해 일일이 병원을 내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회피하면서 휴대용 소변 검사 장치의 제공에 의해, 집에서 가족 구성원 누구나 손쉽게 자신의 소변에 대한 자가 검사가 가능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개인 컴퓨터를 통하여 출력토록 하므로서, 현재 자신의 조건 및 질환 가능성 여부의 체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자신의 질환 여부에 대한 사전 체크로 인하여 질병의 예방이 가능하게 되고 활동성이 높은 현대인에게 최소한의 건강 체크가 항상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소변 검사를 위한 시료스틱(10)이 투입되어 시료스틱센서(110)에 의해 상기 시료스틱(10)을 스캐닝하게 되는 시료검사부(100)와,
상기 시료검사부(100)의 시료스틱센서(110)에 의해 읽혀진 시료스틱(10)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으로 상기 시료검사부(100)와 연결되는 USB 메모리(200),
개인퍼스널 컴퓨터(300)에 설치되는 소변분석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USB 메모리(200)에 저장된 소변분석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된 자료를 수치로 측정하여 개인퍼스널 컴퓨터(300)와 연결되는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료검사부(100)는 측면이 개구되어 상기 시료스틱(10)이 투입되도록 하고, 시료검사부(100) 상측 내면에 상기 시료스틱센서(110)가 직렬상 다수개 배열 배치되고, 시료검사부(100) 상면으로 전원 스위치(120), 시료검사 시작을 위한 시작버튼(130), 시료검사 진행 과정을 알려주는 LED램프(140)가 구비된다.
상기 시료검사부(100)와 USB 메모리(200)는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USB 메모리(200) 단자는 개인 퍼스널 컴퓨터(300)의 USB 단자와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시료검사부(10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형태의 케이스 구조를 이루되, 그 일측면에는 사용자가 소변 분석을 시행하기 위해 자신의 소변이 묻어 있는 시료스틱(10)이 투입될 수 있도록 측면이 개구 되는 형태를 갖으며, 시료검사부(100) 내부의 상면으로는 투입된 시료스틱(10)에 묻어 있는 소변을 스캐닝 처리하기 위한 시료스틱센서(110)가 다수개 직선상 배열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시료검사부(100) 상부측 케이스 표면으로는 시료검사부(100)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또는 오프 하기 위한 전원스위치(120)가 구비되고, 시료검사부(100)에 투입된 시료스틱(10)의 스캐닝 처리를 위한 시작버튼(130)이 구비되며, 상기 시료스틱(10)의 스캐닝 처리 과정 정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LED 램프(140)가 다수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시료스틱센서(110)에 의해 투입된 시료스틱(10)에 묻어 있는 소변을 스캐닝 처리하게 되면, 그 정보는 시료검사부(100)의 케이블과 연결되어 있는 USB 메모리(200)에 저장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시료검사부(100)에서 시료스틱(10)의 검사가 완료되어 상기한 USB 메모리(200)측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검사자의 개인퍼스널 컴퓨터(300)에 설치되는 소변분석 프로그램이 로딩 된 상태에서 상기 소변분석 프로그램에 의해 그 데이터를 분석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석 처리되는 데이터는 개인퍼스널 컴퓨터(300)와 연결되는 모니 터를 통해 그 소변 분석 결과를 수치로 측정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또는 출력형태로 출력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개인퍼스널 컴퓨터(300)에 의해 분석 처리된 처리 결과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인터넷 서버로 전송 저장하고, 그 저장된 분석 데이터는 검사자나 원격의 주치의 병원에서 서버를 통해 내려받아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즉,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술한 휴대용 소변 분석기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 상으로 분석 데이터를 전송, 출력하는 단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컨데, 소변 검사를 위한 시료스틱을 휴대용 소변분석기에 투입하여 상기 시료스틱을 스캔 검사하게 되는 시료검사단계와(S10),
개인 퍼스널 컴퓨터에서 소변 분석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시료검사단계에서 검사한 검사자의 회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S20),
상기 회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 의해 회원으로 인증되면, 상기 휴대용 소변분석기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소변 분석 프로그램에서 추출하여 소변 분석을 실행하는 소변 분석 단계와(S30),
상기 소변 분석 단계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를 원격 서버에 송신하여 저장하는 원격저장단계와(S40),
원격저장단계(S40)를 거친 후, 필요에 따라 개인 퍼스널 컴퓨터를 통해 소변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단계(S50)를 거쳐 상기한 휴대용 소변 분석기를 통해 데이터를 서버상으로 저장하거나 또는 그 저장된 분석 데이터를 서버를 통해 자신의 개인 퍼스널 컴퓨터로 내려받도록 하여 자신의 건강을 실시간 체크 할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달리 원격 서버를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자신 즉 검사자의 주치의 또는 지정된 병원측에서 치료 자료로 활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휴대용 소변 분석기를 통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즉,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변 검사를 위한 시료스틱을 휴대용 소변분석기에 투입하여 상기 시료스틱을 스캔 검사하게 되는 시료검사단계와(S10),
개인 퍼스널 컴퓨터에서 소변 분석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시료검사단계에서 검사한 검사자의 회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S20),
상기 회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 의해 회원으로 인증되면, 상기 휴대용 소변분석기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소변 분석 프로그램에서 추출하여 소변 분석을 실행하는 소변 분석 단계와(S30),
상기 소변 분석 단계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를 원격 서버에 송신하여 저장하는 원격저장단계와(S40),
원격저장단계를 거친 후, 주치 병원의 단말기에서 상기 원격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여부를 인증하는 주치의 회원 여부 판단단계와(S41),
상기 주치의 회원 여부 판단단계를 거친 주치의 병원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중에서 자신의 환자 분석 결과를 추출하기 위한 인증단계와(S42),
상기 인증단계를 거쳐 인증된 주치의 회원은 해당 환자의 소변분석 데이터를 내려받아 주치의 병원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출력하는 출력단계(S50)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가 시료스틱(10)을 구비하여 자신의 소변을 묻힌 다음 자신의 집에서 본 발명의 휴대용 소변분석기의 시료검사부(100)에 투입하여 전원을 인가시킨 후, 시료스틱센서(110)에 의해 시료스틱(10)을 스캔 처리하게 되는 시료검사단계(S10)를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시료검사단계(S10)에 의해 시료스틱(10)을 스캔 처리하여 얻은 정보는 USB 메모리(200)측으로 전송되는데, 상기 USB 메모리(200)와 개인 퍼스널 컴퓨터(300)간 연결이 이루어지고, 개인 퍼스털 컴퓨터(300)에서 소변 분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검사자의 회원여부를 판단하게 되어(S20) 검사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USB메모리(200)에 저장되어 있는 스캔 정보를 소변 분석 프로그램에서 추출하여 로딩하여 소변 분석을 하게 된다(S30)
이와 같은 소변 분석이 완료되면, 개인 퍼스널 컴퓨터(300)와 인터넷 서버간 연결에 의해 원격 서버측으로 원격 저장하게 되는 과정을 거친 후(S40) 개인 퍼스털 컴퓨터(300)와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를 통해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종이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S50)
한편, 상기의 과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검사자가 원격 저장 단계(S40)를 거친 상태에서, 검사자의 치료를 담당하거나 또는 검사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선정된 주치의가 해당 서버측에 단말기를 통하여 연결하여 자신의 환자가 소변 검사한 자료를 내려받아 환자의 치료 또는 상태 확인 등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 도 7인데,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검사자가 시료검사단계(S10)와 검사자의 회원여부 판단단계(S20) 및 소변 분석단계(S30)와 원격저장단계(S40)가 완료된 상태에서, 주치의는 병원의 컴퓨터를 통하여 원격 서버에 접속하고, 주치의 회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주치의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S41) 해당 환자의 자료를 내려 받을 수 있게 되는데, 해당 환자가 주치의에게 자신의 자료를 내려받을 수 있도록 인증 처리를 요구하고(S42), 인증 처리가 완료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검사자의 소변 분석 자료를 내려받아 주치의 컴퓨터 단말기를 통하여 해당 자료의 분석결과가 디스플레이 되거나 또는 종이 형태로의 출력이 가능하게 되어(S50), 자신의 환자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예와는 달리 도 15 내지 도 16 에서와 같이 휴대폰을 이용하여 소변분석 결과를 받아 볼 수 있다.
즉, 소변 검사를 위한 시료스틱을 휴대용 소변분석기에 투입하여 상기 시료스틱을 스캔 검사하게 되는 시료검사단계와,
스캔 처리된 시료스틱의 결과는 검사자의 휴대폰과 무선 통신 연결에 의해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져 원격 서버로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터 무선 송수신에 의한 원격 서버 저장단계와,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해당 시료스틱 스캔 데이터를 분석한 후 분석된 결과치를 해당 검사자 휴대폰으로 송신하게 되는 검사자 휴대폰으로의 분석결과 디스플레이 단계와,
상기 원격저장단계를 거친 후, 주치 병원의 단말기에서 상기 원격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여부를 인증하는 주치의 회원 여부 판단단계와,
상기 주치의 회원 여부 판단단계를 거친 주치의 병원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중에서 자신의 환자 분석 결과를 추출하기 위한 인증단계와,
상기 인증단계를 거쳐 인증된 주치의 회원은 해당 환자의 소변분석 데이터를 내려받아 주치의 병원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거쳐, 의료진과 소변 검사자간의 상담 및 진료 행위가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소변 분석을 위해 시료스틱(10)에 검사자의 소변을 묻힌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소변분석기의 시료검사부(100)에 투입하여 시료스틱센서(110)에 의해 시료스틱(10)을 스캔 처리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휴대용 소변분석기와 휴대폰간 무선 연결에 의해 시료스틱센서(110)에 의해 읽혀진 데이터를 브루터스 방식에 의한 무선랜 연결 방식에 의한 상호 모듈간 송수신에 의해 검사자의 휴대폰으로 송신하도록 하여, 검사자의 핸드폰에서 상기한 휴대용 소변분석기의 데이터를 읽어오도록 한다.
이와 같이 휴대폰에 저장된 데이터는 원격 서버와 접속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되도록 송신 저장하게 되고,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해당 소변 분석 결과가 처리되면 그 처리된 결과를 검사자의 휴대폰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의료진 또는 주치의 등은 검사자의 해당 결과를 원격 서버를 통해 접속하여, 인증을 거친 후 주치의 등의 의료진 컴퓨터측에 저장 가능하도록 한 후 해당 결과의 데이터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주치의 등 의료진은 소변 검사자와 휴대폰 등을 통해 상호 연결하여 진료 등의 상담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소변 분석기를 통해 처리되는 데이터가 검사자의 컴퓨터 또는 주치의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소변 분석 프로그램의 실행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의한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3은 도 1에 의한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시료스틱에 소변을 묻힌 후 소변 검사를 실시한 후, 개인 퍼스널 컴퓨터를 통해 자료를 분석한 후, 해당 병원에서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분석 자료를 내려받을 수 있도록 네트워크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괄도
도 5는 도 1내지 도 3과는 달리 본 발명에서 시료스틱을 직선방향으로 삽입하는 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소변 검사자가 휴대용 소변 분석기를 이용하여 소변 검사한 후 자신의 개인 퍼스널 컴퓨터를 통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소변 검사자의 검사 결과를 원격지의 주치의가 내려받을 수 있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
도 8은 컴퓨터와 휴대용 소변 분석기의 USB 메모리를 연결하여 분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컴퓨터와 무선으로 휴대용 소변 분석기를 연결하여 분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휴대용 소변 분석기에 의해 스캔 처리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기 위한 분석 프로그램의 사용예를 나타낸 각 프레임
도 15 내지 도 16은 검사자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휴대용 소변분석기의 분석 결과를 이용한 진료 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시료스틱 100; 시료검사부
110; 시료스틱센서 120; 전원스위치
130; 시작버튼 140; LED 램프
200; USB 메모리 300; 개인퍼스널 컴퓨터

Claims (6)

  1. 소변 검사를 위한 시료스틱이 투입되어 시료스틱센서에 의해 상기 시료스틱을 스캐닝하게 되는 시료검사부와,
    상기 시료검사부의 시료스틱센서에 의해 읽혀진 시료스틱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으로 상기 시료검사부와 연결되는 USB 메모리,
    개인퍼스널 컴퓨터에 설치되는 소변분석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USB 메모리에 저장된 소변분석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된 자료를 수치로 측정하여 개인퍼스널 컴퓨터와 연결되는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변 분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검사부는 측면이 개구되어 상기 시료스틱이 투입되도록 하고, 시료검사부 상측 내면에 상기 시료스틱센서가 직렬상 다수개 배열 배치되고, 시료검사부 상면으로 전원 스위치, 시료검사 시작을 위한 시작버튼, 시료검사 진행 과정을 알려주는 LED램프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용 소변 분석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퍼스널 컴퓨터를 통해 분석된 자료를 인터넷 서버로 전송 저장하고, 상기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병원 중 서버측에 해당 분석 자료를 소변검사를 시행한 개인의 허가를 득하여 요청한 후 해당 병원 컴퓨터로 내려받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용 소변 분석기.
  4. 소변 검사를 위한 시료스틱을 휴대용 소변분석기에 투입하여 상기 시료스틱을 스캔 검사하게 되는 시료검사단계와,
    개인 퍼스널 컴퓨터에서 소변 분석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시료검사단계에서 검사한 검사자의 회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회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 의해 회원으로 인증되면, 상기 휴대용 소변분석기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소변 분석 프로그램에서 추출하여 소변 분석을 실행하는 소변 분석 단계와,
    상기 소변 분석 단계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를 원격 서버에 송신하여 저장하는 원격저장단계와,
    원격저장단계를 거친 후, 필요에 따라 개인 퍼스널 컴퓨터를 통해 소변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변 분석기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5. 소변 검사를 위한 시료스틱을 휴대용 소변분석기에 투입하여 상기 시료스틱을 스캔 검사하게 되는 시료검사단계와,
    개인 퍼스널 컴퓨터에서 소변 분석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시료검사단계에서 검사한 검사자의 회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회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 의해 회원으로 인증되면, 상기 휴대용 소변분석기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소변 분석 프로그램에서 추출하여 소변 분석을 실행하는 소변 분석 단계와,
    상기 소변 분석 단계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를 원격 서버에 송신하여 저장하는 원격저장단계와,
    원격저장단계를 거친 후, 주치 병원의 단말기에서 상기 원격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여부를 인증하는 주치의 회원 여부 판단단계와,
    상기 주치의 회원 여부 판단단계를 거친 주치의 병원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중에서 자신의 환자 분석 결과를 추출하기 위한 인증단계와,
    상기 인증단계를 거쳐 인증된 주치의 회원은 해당 환자의 소변분석 데이터를 내려받아 주치의 병원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출력하는 출력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변 분석기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6. 소변 검사를 위한 시료스틱을 휴대용 소변분석기에 투입하여 상기 시료스틱을 스캔 검사하게 되는 시료검사단계와,
    스캔 처리된 시료스틱의 결과는 검사자의 휴대폰과 무선 통신 연결에 의해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져 원격 서버로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터 무선 송수신에 의한 원격 서버 저장단계와,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해당 시료스틱 스캔 데이터를 분석한 후 분석된 결과치를 해당 검사자 휴대폰으로 송신하게 되는 검사자 휴대폰으로의 분석결과 디스플레이 단계와,
    상기 원격저장단계를 거친 후, 주치 병원의 단말기에서 상기 원격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여부를 인증하는 주치의 회원 여부 판단단계와,
    상기 주치의 회원 여부 판단단계를 거친 주치의 병원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중에서 자신의 환자 분석 결과를 추출하기 위한 인증단계와,
    상기 인증단계를 거쳐 인증된 주치의 회원은 해당 환자의 소변분석 데이터를 내려받아 주치의 병원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출력하는 출력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변 분석기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KR1020090054986A 2009-06-19 2009-06-19 휴대용 소변 분석기 및 이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Ceased KR20100136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986A KR20100136734A (ko) 2009-06-19 2009-06-19 휴대용 소변 분석기 및 이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986A KR20100136734A (ko) 2009-06-19 2009-06-19 휴대용 소변 분석기 및 이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734A true KR20100136734A (ko) 2010-12-29

Family

ID=43510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986A Ceased KR20100136734A (ko) 2009-06-19 2009-06-19 휴대용 소변 분석기 및 이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67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2169A (zh) * 2011-07-22 2014-05-07 株式会社大庆产业 用于尿液分析的读出装置
KR20200092223A (ko) * 2019-01-24 2020-08-0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자동 소변분석기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2169A (zh) * 2011-07-22 2014-05-07 株式会社大庆产业 用于尿液分析的读出装置
CN103782169B (zh) * 2011-07-22 2016-01-20 株式会社大庆产业 用于尿液分析的读出装置
KR20200092223A (ko) * 2019-01-24 2020-08-0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자동 소변분석기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6099B2 (ja) 検体の検査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433570B1 (ko) 원격 의료 진단 시스템 및 방법
JP7190859B2 (ja) 健康情報処理方法、健康情報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学習モデル
US8924226B2 (en) Interactive testing system for analysing biological samples
CN101843524A (zh) 生活习惯病预防装置以及生活习惯病预防方法
US7315784B2 (en) Network for evaluating data obtained in a biochip measurement device
EP1739586A2 (en) Apparatus & method for donducting large scale clinical trials
KR102091832B1 (ko)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휴대용 체외진단키트 해석장치
KR20090015310A (ko) 네트워크를 통한 심리진단결과에 기초한 진료 또는 상담의자동예약시스템 및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심리상담시스템
CN107863154A (zh) 智能健康检测系统、智能健康检测镜及智能健康检测方法
KR101140590B1 (ko) 헬스케어용 스마트 자가진단 요화학 분석 의료기기
CN112331283A (zh) 健康监测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WO2021140731A1 (ja) 情報伝達装置および情報伝達方法
JP2009258886A (ja) 遠隔検査方法および遠隔検査システム
JP2025090787A (ja) 検査装置
KR20100136734A (ko) 휴대용 소변 분석기 및 이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KR102216150B1 (ko) 벽 설치형 소변분석검사기기를 포함하는 소변분석검사시스템
Hall et al. Measurement of tissue oxygen saturation levels using portable near‐infrared spectroscopy in clinically healthy dogs
KR101094993B1 (ko) 맥파검사를 통한 건강 자가진단장치
KR20180039965A (ko) 동물 혈액 검사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8180016A1 (ja) マッサージ機
KR200346526Y1 (ko) 요분석기를 이용한 건강상태 감시 시스템
JP2009162526A (ja) 検診システム及び検体採取キット提供装置
KR20190095720A (ko) 소변 분석 시스템
CN208922747U (zh) 智能健康检测系统及智能健康检测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5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