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3102A - One touch handle - Google Patents
One touch hand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33102A KR20100133102A KR1020090051812A KR20090051812A KR20100133102A KR 20100133102 A KR20100133102 A KR 20100133102A KR 1020090051812 A KR1020090051812 A KR 1020090051812A KR 20090051812 A KR20090051812 A KR 20090051812A KR 20100133102 A KR20100133102 A KR 201001331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 button
- hole
- handle
-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47—Hand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14—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threaded bolts or screw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터치 방식으로 손잡이의 삽입 또는 인출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착탈이 용이하여 가구 등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해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터치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one-touch handle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r withdrawal operation of the handle in a one-touch manner and at the same time easy to detach and disassemble and to quickly and easily furniture.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에 관통 고정되는 고정부와, 도어의 외측에 구비되되, 고정부에 체결 고정되는 버튼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끼워져 버튼부를 동작시키는 작동부와, 도어의 내측에 위치되어 고정부에 체결 고정되는 커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xing part which is fixed through the door, and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door, the button portion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fixed portion, the operating portion fitted to the inner side of the fixed portion to operate the button portion; It is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do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ver portion fastened to the fixed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터치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터치 방식으로 손잡이의 삽입 또는 인출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착탈이 용이하여 가구 등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해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터치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one-touch handle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r withdrawal operation of the handle in a one-touch manner and at the same time easy to detach and disassemble and to quickly and easily furniture. .
일반적으로, 가구용 도어나 서랍 등에는 손잡이가 설치되어, 이 손잡이를 파지하여 도어나 서랍 등을 열도록 되어 있다.Generally, a handle is provided in a door or drawer for furniture, and the door or drawer is opened by holding the handle.
이때, 보통의 손잡이는 가구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므로, 사용중에 걸리적거리고, 경우에 따라 가구의 디자인적 측면에서 미관을 해치는 등의 단점이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ordinary handle is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furniture,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jammed during use, and in some cases deteriorates the aesthetics in terms of design of the furniture.
또한, 집에 어린이가 있는 경우에는 서랍 등 가구의 도어를 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잠금장치를 구매하여 설치하거나, 서랍 등 가구의 손잡이를 분리시켜 어린이가 서랍과 도어를 여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이는 서랍과 도어를 열고자 할 때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if there is a child in the house, in order to prevent opening the door of the furniture such as the drawer to purchase a separate locking device or to install, or by removing the handle of the furniture such as the drawer to prevent children from opening the drawer and the door, This was a lot of inconvenience when trying to open the drawers and doors.
따라서, 최근에는 도어나 서랍을 열지 않을 때에는 손잡이가 돌출되지 않고, 도어 등을 열 때에는 손잡이를 돌출시킬 수 있도록 된 푸시버튼식 손잡이가 개발되 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가구용 푸시버튼식 손잡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푸시버튼이 돌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푸시버튼식 손잡이는 케이스(20), 지지부재(30), 걸림고리(40), 안내부재(50), 푸시버튼(60), 탄성부재(70) 및 고정캡(80)으로 구성되어 있다.Therefore, recently, when the door or drawer is not opened, the handle does not protrude, and when the door is opened, a push-button handle capable of protruding the handle has been developed and used.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such a furniture pushbutton handle,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shbutton of Figure 1 protrudes. Referring to this, the push-button handle is the
그리고, 상기 케이스(2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가구의 도어(1)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20)의 일단면에는 걸림턱(22)이 형성되어 도어(1)의 일측면(1)에 지지된다. 또한, 케이스(20) 타측단에는 복수개의 다리(24)가 형성되어 있다.The
또한, 케이스(20)의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가이드홈(25)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일단에 샤프트(32)가 구비되고 타측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결합홈(34)이 형성되며 타측면 중앙에는 암나사부(36)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이러한 지지부재(30)는 케이스(20)에 내삽되고, 케이스(20)의 다리(24)는 지지부재(30) 외주면의 결합홈(34)에 끼워져 결합되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안내부재(50)는 그 내부로 지지부재(30)의 샤프트(32)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여기서, 안내부재(50)의 일측에는 안내요홈(52)이 형성된다. 또한, 안내요홈(52)의 선단부에는 대략 브이자형의 걸림홈(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시버튼(60)은 일단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푸시버튼(60)의 일단부에는 복수개의 가이드돌기(63)가 형성되어 이 가이드돌기(63)가 케이스(20) 내주면의 가이 드홈(25)에 결합되어 케이스(20)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다. Here, the
또한, 푸시버튼(54)의 내부로는 상기 안내부재(50)가 내삽된다. 상기 탄성부재(70)는 코일스프링으로서 안내부재(50)와 지지부재(30) 사이에 탄설된다. 또한, 상기 고정캡(80)은 병마개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고정캡(80)의 중앙부에는 고정공(82)이 형성되고, 이 고정공(82)을 관통하여 나사부재(3)가 지지부재(30)의 암나사부(36)에 체결되어 결합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손잡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에 관통되어 결합되는데, 상기 푸시버튼(60)을 누르면 걸림고리(40)의 타단 고리부가 안내부재(50)의 안내요홈(52)으로 안내되어 안내요홈(52) 선단부의 브이자형 걸림홈(54)에 걸리므로, 푸시버튼(60)이 눌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푸시버튼(60)을 더 누르면, 걸림고리(40)의 타단 고리부가 안내요홈(52) 선단부의 걸림홈(54)에서 이탈되면서 푸시버튼(60)이 탄성부재(70)의 가압력에 의해 도어(1)에서 돌출되므로, 푸시버튼(60)을 파지하여 도어(1)를 열 수 있다.2, the handle is penetrated through the door 1 as shown in FIG. 2, and when the
그런데, 이러한 가구용 푸시버튼식 손잡이의 경우, 이 손잡이를 도어(1)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드라이버나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나사부재(3)를 체결하게 되는데, 이 나사부재(3)를 필요 이상의 힘으로 체결할 때, 지지부재(30)가 고정캡(80)측으로 후퇴되어 상기 걸림고리(40)가 안내요홈(52)을 따라 정상적으로 이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푸시버튼(60)의 출몰조작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가구용 푸시버튼식 손잡이의 조립시 조립불량이 자주 발생하게 되고, 이를 조립하여 판매한 후에도 소비자로부터 고장수리 건이 빈번하게 발 생하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in the case of the pushbutton knob for furniture, the screw member 3 is fastened by using a screwdriver or a power tool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handle to the door 1, and the screw member 3 has a force greater than necessary. When fastening to the
또한, 플라스틱재질의 지지부재(30)에 형성된 암나사부(36)로 스틸재질의 나사부재(3)가 체결되므로, 이 나사부재(3)의 체결력이 조금만 클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약한 암나사부(36)의 나사산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crew member 3 of steel material is fastened to the
그리고, 종래의 푸시버튼식 손잡이의 경우에는 푸시버튼(60)을 인출되도록 하는 탄성부재(70)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조절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푸시버튼(60)의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탄성부재(70)의 가압력이 소실될 때에는 푸시버튼(60)이 원활하게 동작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n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push-button handle is not provided with a control device for adjust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어에 끼워져 고정되는 하우징의 후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체결 고정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분해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손잡이의 파손시 간편하고 신속하게 교체 및 수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by fastening and fixing the support member that is screwed to the rear end of the housing that is fitted into the door, it is configured to be easy to assemble, easy to disassemble The purpose of this is to enable easy and quick replacement and repair work in case of breakage of the handle.
그리고, 도어에 체결 설치 후에 원터치 방식으로 버튼부재가 하우징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어린이 등이 쉽게 서랍을 열 수 없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 활동 중 손잡이에 걸려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button member can be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housing by a one-touch method after being fastened to the door, so that children cannot easily open the drawer and prevent injury from being caught by the handle during indoor activities. There is a purpose.
또한, 가압부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가압조절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써, 버튼부재의 반복 사용에 의해 가압력이 소실되거나, 사용자가 임의로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by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adjusting member to adjust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portion, the pressing force is lost by the repeated use of the button member, or the user can arbitrarily adjust the pressing force.
그리고, 가압부가 회전샤프트에 의해 지지되어 가압력을 발휘함으로써, 가압부의 이탈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손잡이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sing portion is supported by the rotary shaft to exert the pressing for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like to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hand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에 관통 고정되는 고정부와, 도 어의 외측에 구비되되, 고정부에 체결 고정된 버튼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끼워져 버튼부를 동작시키는 작동부와, 도어의 내측에 위치되어 고정부에 체결 고정되는 커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xing part which is penetrated and fixed to the doo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door, the button portion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fixed portion, the operat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xed portion to operate the button portion And, it is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door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ver fastened to the fixed portion.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버튼부가 설치되는 수용공이 형성되며, 이 수용공의 외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수용공과 연계되어 작동부가 설치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이 체결공에는 안내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with a screw thread on the outer side, one side is formed with a receiving hole in which the button portion is installed, the outer side of the receiving hole is provided with a housing formed with a locking jaw,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hole in the operating portion The fastening hole to be installed is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hole is provided with a guide member.
나아가, 상기 안내부재는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되, 체결공과 단턱지게 형성되어 다수개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이 안내홈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안내경사면이 형성되고, 안내경사면에 형성된 내주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the guide membe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and is formed to be fastened with the fastening hole to form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and a plurality of guide slopes are formed between the guide grooves, and the guide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on the guide slope surface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그리고, 상기 버튼부는 하우징에 끼워지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구가 구비된 버튼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button portion is fitted to the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button member is provided with a fastener formed with a screw threa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또한, 상기 작동부는 하우징의 체결공에 끼워지되, 안내부재에 체결되어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버튼부를 인출 및 삽입고정시키는 슬라이드관체와, 상기 슬라이드관체의 일측 선단부에 밀착되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시키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를 일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is fitted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housing, the slide pipe body is fastened to the guide member to pull out and insert the fixed by the slide opera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one end of the slide pipe body to rotate in one direction to perform a slide operation Rotating shaft to perfor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rotary shaft in one direction.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관체는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일측부에 버튼부의 체결구가 나사 결합되며, 다른 쪽 선단부에 회전분배돌기가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안내홈과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Here, the slide tube body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e fastener of the button portion is screwed to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the rotation distribution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ther e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itted into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groove A guide protrusion is formed.
나아가, 상기 회전샤프트는 슬라이드관체의 회전분배돌기에 치합되되, 일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로크돌기가 형성된 로크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rotary shaft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distribution protrusion of the slide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 member is formed with a lock projection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in one direction.
아울러, 상기 가압부는 로크부재의 후면에 위치되고, 가압력을 가지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sing portion is located on the rear of the lock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 spring having a pressing force.
또한, 상기 가압부는 로크부재의 후방에 고정되는 제1자석과 지지부재의 공간부에 위치되는 제2자석으로 구성되되, 제1,2자석은 동일한 극이 서로 마주보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sing portion is composed of a first magnet fixed to the rear of the lock member and a second magnet located in the space of the support member,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pole is provided facing each other.
또한, 상기 커버부는 일측이 개방되게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의 내주면에는 하우징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개방부 타측에는 공간부와 연계되는 끼움공이 형성된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끼움공에 나사 결합되되,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가압조절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ver portion has a space portion formed inside the one side is op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is formed with a screw hole screwed to the housing, the other side of the open por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formed with a fitting hole associated with the space portion, The screw is coupled to the fitting hole of the suppor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adjustment member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inside.
이때, 상기 가압조절부재의 타측부에는 렌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other side of the pressure adjus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rench groove is form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어에 끼워져 고정되는 하우징의 후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체결 고정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분해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손잡이의 파손시 간편하고 신속하게 교체 및 수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by fastening and fixing the support member screwed to the rear end of the housing to be fitted into the door, so that the handle can be easily and quickly replaced and broken.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carry out repair work.
그리고, 도어에 체결 설치 후에 원터치 방식으로 버튼부재가 하우징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어린이 등이 쉽게 서랍을 열 수 없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 활동 중 손잡이에 걸려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utton member can be inserted into or taken out of the housing in one-touch manner after being fastened to the door, thereby preventing children from easily opening the drawer and preventing injury from being caught by the handle during indoor activities. There is.
또한, 가압부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가압조절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써, 버튼부재의 반복 사용에 의해 가압력이 소실되거나, 사용자가 임의로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adjusting member to adjust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portion, the pressing force is lost by repeated use of the button member, or the user can arbitrarily adjust the pressing force.
그리고, 가압부가 회전샤프트에 의해 지지가 되면서 가압력을 발휘함으로써, 가압부의 이탈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손잡이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sing unit is supported by the rotating shaft to exert the pressing force, thereby preventing the release of the pressing unit and the like, thereby preventing the malfunction of the handl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손잡이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ne-touch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손잡이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손잡이를 보인 분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손잡이를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를 보인 확대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one-touch hand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one-touch hand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one-touch hand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An enlarged view showing part A of 5.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손잡이(100)는 도어(102)에 관통 고정되는 고정부(110)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3 to 6, the one-
여기서, 상기 고정부(110)는 외주면에 나사산(114)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체결공(116)이 형성되며, 이 체결공(116)의 일측부, 즉 도어(102)의 외측에 위치된 내측에는 수용공(118)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118)의 외측부에는 걸림턱(119)이 형성된 하우징(112)이 구비된다.Here, the
나아가, 상기 하우징(112)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공(116)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직경이 작은 안내부재(120))가 구비된다.Furthermore, a stepped portion is formed in the
아울러, 상기 안내부재(120)는 하우징(112)과 일체로 형성되되, 체결공(116)과 단턱지게 형성된 다수개의 안내홈(122)이 형성되고, 이 안내홈(122)의 사이에는 일방향을 향하도록 다수개의 안내경사면(124)이 형성되며, 이 안내경사면(124)의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안내홈(122) 사이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126)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안내부재(120)는 하우징(112)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하우징(112)과 별도로 제작하여 용접이나 나사결합시키는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도어(102)의 외측부에 구비되되, 삽입 및 인출되도록 고정부(110)의 수용공(118)에 끼워지는 버튼부(210)가 구비된다.And,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여기서, 상기 버튼부(210)는 상기 하우징(112)의 수용공(118)에 끼워지되, 외주면에 나사산(216)이 형성된 체결구(214)가 선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버튼부재(212)가 구비된다.Here, the
또한, 상기 고정부(110)의 체결공(116)에 끼워지는 버튼부(210)가 체결 고정되어 이 버튼부(210)의 삽입 및 인출 동작을 수행되도록 하는 작동부(31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작동부(310)는 하우징(112)의 체결공(116)에 끼워지되, 체결공(116)의 안내부재(120)에 체결되어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버튼부재(212)가 인출 및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관체(312)가 구비된다.Here, the
나아가, 상기 슬라이드관체(312)는 내측에 관통공(314)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314)의 일측에 버튼부(210)의 체결구(214)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공(316)이 형성되며, 이 나사공(316)이 형성된 반대측 선단부에 다수개의 돌기 형상의 회전분배돌기(318)가 형성되고, 이 회전분배돌기(318)의 외주면에는 안내부재(120)의 안내홈(122)과 가이드홈(126)에 각각 끼워져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는 가이드돌기(319)가 형성된다.Further, the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관체(312)의 일측 선단부에 밀착되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 후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는 회전샤프트(32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회전샤프트(320)는 슬라이드관체(312)의 회전분배돌기(319)에 치합되고, 일방향으로 경사면(326)이 형성되게 로크돌기(324)가 형성된 로크부재(322)가 회전샤프트(320)에 구비되되, 상기 로크부재(322)는 슬라이드관체(312)의 회전분배돌기(319) 방향으로 편심되게 구비된다.Here, the
또한, 상기 회전샤프트(320)를 버튼부(210)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330)가 구비되되, 이 가압부(330)는 로크부재(322)의 후면에 위치되고, 가압력을 가지 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그리고, 상기 도어(102)의 내측에 위치되어 고정부(110)에 체결 고정되어 작동부(310)를 지지하는 커버부(410)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여기서, 상기 커버부(410)는 일측이 개방되게 내측에 공간부(414)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414)의 내주면에 하우징(112)의 나사산(114)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공(415)이 형성되며, 공간부(414)의 개방부 타측부에는 공간부(414)와 연계되게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끼움공(416)이 형성된 지지부재(412)가 구비된다.Here, the
나아가, 상기 지지부재(412)의 끼움공(416)에 나사 결합되어 가압부(330)를 지지하되, 내측에 회전샤프트(320)가 끼워지는 관통공(42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424)이 형성된 가압조절부재(420)가 체결 고정된다.Further, the
아울러, 상기 가압조절부재(420)의 관통공(422)에는 가압조절부재(42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렌치가 끼워지는 렌치홈(422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외에 가압조절부재(4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자 "+"자 홈 등의 모든 형상이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손잡이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relationship for the one-touch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손잡이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버튼부재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손잡이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버튼부재가 인출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one-touch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tton member is inserted, Figure 8 is a view showing an action relationship of the one-touch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in which the button member is drawn out The figure show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 손잡이(100)는 먼저, 도어(102)에 형성된 관통공(104)에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하우징(112)을 끼워 걸림턱(119)이 도어(102)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체결 고정시킨 후에 도어(102)의 내측으로 돌출된 하우징(112)에 지지부재(412)를 나사 결합시켜 고정시켜 도어(102)에 손잡이를 견고하게 고정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one-
이 상태에서 도어(102)를 닫은 후 버튼부재(212)를 누르게 되면 슬라이드관체(312)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가이드돌기(319)와 회전샤프트(320)의 로크돌기(324)가 안내홈(122)을 따라 이동됨과 동시에 가압부(330)가 탄성 가압 되면서 이동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319)와 로크돌기(324)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안내홈(122)으로부터 로크돌기(324)가 이탈되게 되면 가압부(330)의 가압력에 의해 슬라이드관체(312)의 선단부에 형성된 회전분배돌기(318)의 이웃하는 다음 칸으로 로크돌기(324)가 이동되면서 회전샤프트(320)가 회전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이렇게 상기 회전샤프트(320)가 회전한 상태에서 버튼부재(212)에 가압하는 가압력을 해지하게 되면 회전샤프트(320)는 가압부(330)의 가압력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게 되고, 회전샤프트(320)가 밀리면서 로크돌기(324)가 일 방향으로 회전한 회전샤프트(320)의 로크돌기(324)는 안내부재(120)의 안내경사면(124)에 걸리면서 더 이상 전방으로 전진하지 않게 된다.When the pressing force to press the
따라서, 상기 버튼부재(212)가 하우징(112)의 수용공(118)에 끼워져 버튼부재(212)가 삽입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us, the
반대로 상기 버튼부재(212)를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버튼부재(212)를 가압하게 되면 슬라이드관체(312)가 후방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밀리면서 슬라이드관체(312)의 안내경사면(124)에 안착된 회전샤프트(320)의 로크돌기(324)가 이탈됨과 동시에 슬라이드관체(320)의 선단에 형성된 회전분배돌기(318)의 가이드에 의해 회전샤프트(320)의 로크돌기(324)가 이웃하는 회전분배돌기(318)로 이동하면서 회전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이렇게 상기 회전샤프트(320)가 회전함과 동시에 로크돌기(324)가 안내부재(120)의 안내홈(122)에 위치된 상태에서 버튼부재(212)의 가압력을 해지시키게 되면 가압부(330)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샤프트(320)가 전방으로 전진하게 되고, 이 회전샤프트(320)의 전진에 의해 로크돌기(324)가 안내홈(12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게 되어 버튼부재(212)가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When the
이와 같이 상기 버튼부재(212)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 버튼부재(212)를 파지한 상태에서 당기게 되면 도어(102)가 열리게 된다.As such, when the user pulls the
이와 같은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도어(102)를 열고 닫을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도어(102)가 닫혔을 때 버튼부재(212)를 누르게 되면 하우징(112)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한번 더 누르게 되면 버튼부재(212)가 인출되게 되어 간편하게 도어(102)를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When the
그리고, 상기 버튼부재(212)가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후방에 구비되어 탄성 지지하는 가압부(330)의 가압력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원활하게 버튼부재(212)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버튼부재(212)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높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압력조절부재(420)의 렌치홈(426a)에 렌치를 끼운 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가압조절부재(420)가 나사 이동되면서 지지부재(412)의 공간부(414)로 이동하게 되어 가압부(330)의 가압력이 높아지게 되고, 반대로 가압조절부재(420)를 반대로 회전시키게 되면 후방으로 나사 이동되면서 가압부(330)의 가압력이 약해지게 된다.That is, when the pressing force for pressing the
따라서,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임의로 가압조절부재(420)를 전진 또는 후퇴시켜 가압부(330)의 가압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pressing force of th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손잡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ne-touch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330)는 로크부재(322)의 후방에 장착 고정되는 제1자석(332)을 구비하고, 가압조절부재(420), 즉 지지부재(412)의 공간부(414)에 위치된 방향의 선단부에 제2자석(426)을 장착 고정시키되, 제1자석(332)과 같은 극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2자석(426)이 구비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손잡이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working relationship for the one-touch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made by the same method as in the former, and the description of the working relationship will be omitted here.
다만, 상기 버튼부재(212)를 가압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드관체(312)와 회전샤프트(320)가 이동될 때 제1,2자석(332)(426)의 자성에 의해 슬라이드관체(312)와 회전샤프트(320)를 가압지지함으로써, 버튼부재(212)의 가압력을 해지시키게 되면 이 자성력에 의해 회전샤프트(320)가 전방으로 밀리면서 버튼부재(212)를 삽입고정 또는 인출되도록 가압작용을 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또한, 상기 제1,2자석(332)(426)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제1,2자석(332)(426) 간의 자성력을 조절하여 버튼부재(212)의 인출 및 삽입고정시 원활하게 슬라이드관체(312) 및 회전샤프트(320)가 전, 후진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first and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손잡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In the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one-touch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possible and this also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원터치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터치 방식으로 손잡이의 삽입 또는 인출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착탈이 용이하여 가구 등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해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터치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one-touch handle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r withdrawal operation of the handle in a one-touch manner and at the same time easy to detach and disassemble and to quickly and easily furniture. .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보인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echnology.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손잡이를 보인 분리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one-touch hand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손잡이를 보인 분해 단면도.Figure 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one-touch hand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손잡이를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one-touch hand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A를 보인 확대도.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of FIG. 5;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손잡이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버튼부재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도면.7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one-touch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member is inserted into a view showing a stat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손잡이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버튼부재가 인출된 상태를 보인 도면.8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one-touch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tton member is drawn out.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손잡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Figure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ne-touch hand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10 is a view showing the working relationship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0 : 원터치 손잡이 102 : 도어100: one-touch handle 102: door
104, 314, 422 : 관통공 110 : 고정부104, 314, 422: through hole 110: fixing part
112 : 하우징 114, 216, 424 : 나사산112:
116 : 체결공 118 : 수납공116: fastening hole 118: storage hole
119 : 걸람턱 120 : 안내부재119: walkway 120: guide member
122 : 안내홈 124 : 안내경사면122: guide groove 124: guide slope
126 : 가이드홈 210 : 버튼부126: guide groove 210: button portion
212 : 버튼부재 214 : 체결구212: button member 214: fastener
310 : 작동부 312 : 슬라이드관체310: operating unit 312: slide tube
316, 415 : 나사공 318 : 회전분배돌기316, 415: screw hole 318: rotation distribution protrusion
319 : 가이드돌기 320 : 회전샤프트319: guide protrusion 320: rotation shaft
322 : 로크부재 324 : 로크돌기322: locking member 324: locking projection
326 : 경사면 330 : 가압부326: slope 330: pressing portion
332, 426 : 제1,2자석 410 : 커버부332, 426: first and second magnet 410: cover
412 : 지지부재 414 : 공간부412: support member 414: space part
416 : 끼움공 420 : 가압조절부재416: fitting hole 420: pressure control member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1812A KR20100133102A (en) | 2009-06-11 | 2009-06-11 | One touch hand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1812A KR20100133102A (en) | 2009-06-11 | 2009-06-11 | One touch hand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3102A true KR20100133102A (en) | 2010-12-21 |
Family
ID=43508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1812A Abandoned KR20100133102A (en) | 2009-06-11 | 2009-06-11 | One touch hand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33102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1374B1 (en) * | 2014-11-21 | 2015-01-21 | 황정훈 | leg module |
US20190263156A1 (en) * | 2018-02-26 | 2019-08-29 | Seiko Epson Corporation | Fastening member, structure, and printer |
KR102686382B1 (en) * | 2023-09-15 | 2024-07-19 |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 Modular type smart electronic board storage cabinet closet |
-
2009
- 2009-06-11 KR KR1020090051812A patent/KR20100133102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1374B1 (en) * | 2014-11-21 | 2015-01-21 | 황정훈 | leg module |
US20190263156A1 (en) * | 2018-02-26 | 2019-08-29 | Seiko Epson Corporation | Fastening member, structure, and printer |
US11795980B2 (en) * | 2018-02-26 | 2023-10-24 | Seiko Epson Corporation | Fastening member, structure, and printer |
KR102686382B1 (en) * | 2023-09-15 | 2024-07-19 |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 Modular type smart electronic board storage cabinet close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59432B2 (en) | Safety gate | |
KR101188995B1 (en) | door lock | |
JP3909082B1 (en) | Push button switch | |
US20070234856A1 (en) | Magnetic connecting tube for a screwdriver head | |
KR101453945B1 (en) | Mult-type Llatch bolt | |
US8136430B2 (en) | Retractable screwdriver | |
KR20100133102A (en) | One touch handle | |
KR20150023531A (en) | Locking device | |
CN201763733U (en) | Locking device and lockable slide rail assembly | |
US8267408B2 (en) | Hand tool that can replace tips easily and quickly | |
TW201720588A (en) | Impact spinning hand tool | |
US7540093B1 (en) | Gardening shears | |
GB2473289A (en) | Handle assembly for a window | |
KR200421611Y1 (en) | Lock pin structure of door handle | |
KR101124750B1 (en) | Screw holder | |
US7918113B2 (en) | Press-buckled lock | |
KR20180086571A (en) | Push and pull type sliding door lock | |
KR101739812B1 (en) |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 |
KR102449071B1 (en) | Ball screw driver | |
KR101689141B1 (en) | Door locking device having handle for cabinet | |
KR200391353Y1 (en) | Push button type grip for a furniture | |
KR102328074B1 (en) | Knob for door of separation type | |
CN211350104U (en) | Mobile hard disk | |
CN217977682U (en) | Tap handle control structure, tap handle and water outlet tap | |
KR102523293B1 (en) | Crescent for windows and doo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907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002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1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