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32575A -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2575A
KR20100132575A KR1020090051236A KR20090051236A KR20100132575A KR 20100132575 A KR20100132575 A KR 20100132575A KR 1020090051236 A KR1020090051236 A KR 1020090051236A KR 20090051236 A KR20090051236 A KR 20090051236A KR 20100132575 A KR20100132575 A KR 20100132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rame
speaker
portable terminal
speaker device
antenna radi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준
조희원
김석호
김용진
이재호
임병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1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2575A/ko
Priority to US12/794,838 priority patent/US20100316246A1/en
Publication of KR20100132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575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1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incorporating only one trans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제1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 또는 제2케이스 프레임 중 어느 하나 프레임의 내면에 형성되어 스피커를 장착시키기 위한 스피커 장착 공간과, 상기 스피커 장착 공간 주변으로 공명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격벽 및 상기 공명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별도의 스피커 장착용 캐리어가 존재하지 않고 케이스 프레임의 자체 구조만으로 공명 공간의 확장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기의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상기 공명 공간내에 안테나 방사체를 설치하면 기존보다 최대 방사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스피커 장치, 공명, 격벽, 안테나 방사체, PIFA,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SPEAKE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일 스피커를 사용하여 기존보다 개선된 스피커 음이 방출되도록 구현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음 개선을 위한 공명 구조가 제공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휴대용 단말기가 개인별로 급속히 보급됨에 따라 단말기 제조업자들을 좀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반면, 좀더 경박 단소화시켜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경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단말기에 꼭 구성되어야 할 필수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 스피커 폰 장치, 마이크로폰 장치 등, 의 제기능을 수행하면서 단말기의 부피를 좀더 적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상술한 기능들 중 스피커 장치는 단말기내에 리시버(receiver) 장치와 별도로 설치되는데, 대체적으로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장치 근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불특정인이 들을 수 있도록 통화를 한다거나, 단말기의 부가 기능을 사용할 때 동작한다. 상술한 부가 기능으로는 MP3 플레이어를 통한 음악 청취,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 모듈을 통한 공중파 시청 등에 음성 또는 음향을 청취할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경우 상기 스피커 장치는 스테레오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는 최근들어 점차 슬림화되어가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대체적으로 마이크 장치 근처에 설치되는 스피커 장치들, 리시버 장치, 바이브레이터(vibrator) 등 역시 소형화되고 설치 구조 역시 간소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형화 및 설치 간소화로 인하여,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장치 주변에는 소정의 캐리어에 상술한 구성 요소들을 함께 수납하는 캐리어를 채용하고 있다. 즉, 상기 캐리어의 내부에 스피커 모듈과 바이브레이터 등을 수납한 후, 캐리어 자체는 단말기의 케이스 프레임 내부에 고정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캐리어의 상면에는 안테나 방사체가 적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캐리어 장착 구조는 점차 슬림화되어가는 단말기에 있어서 공명 공간을 축소시키는 결과를 야기하게되며, 캐리어의 두께 만큼 또는 캐리어와 단말기 케이스 프레임간의 불용 공간 발생으로 인하여, 상기 스피커 장치에서 방출되는 음압이 현저히 감소하여 불량 스피커 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 적은 동일 스피커 장치로 기존 보다 좀더 고품질 음이 방출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피커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캐리어를 배제시켜 공명 공간 확장을 통한 고품질 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캐리어를 배제시키고 단말기 프레임의 자체 구조만으로 공명 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고품질 스피커 음 발생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더욱더 다른 목적은 단말기 케이스 프레임 내면의 구조를 스피커 공명 공간으로 이용함과 동시에 안테나 방사체 장착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좀더 우수한 방사 특성 구현이 이바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제1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 또는 제2케이스 프레임 중 어느 하나 프레임의 내면에 형성되어 스피커를 장착시키기 위한 스피커 장착 공간과, 상기 스피커 장착 공간 주변으로 공명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격벽 및 상기 공명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장착되는 커 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는 별도의 캐리어가 존재하지 않고 케이스 프레임의 자체 구조만으로 공명 공간의 확장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기의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상기 공명 공간내에 안테나 방사체를 설치하면 기존보다 최대 방사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비록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를 도시하고 이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스피커를 가지며, 공명 공간이 요구되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가 구현되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사시도로써,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100)는 메인 바디(110)와, 상기 메인 바디(110)에서 단말기(100)의 길이 방향으로 활주하는 슬라이드 바디(12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바디(110)의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가 개방되었을 때 보이는 면상 에 다수의 키버튼(113)이 설치되며, 그 하측으로 마이크 장치(114)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21)가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상측으로 이어피스(122)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피커 장치는 도 1의 점선 부분에 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케이스 프레임(111)과 하부 케이스 프레임(112)으로 구성된 메인 바디(110)의 후면 방향으로 스피커 음이 방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면 보다는 후면 케이스 프레임(112)에 공명 구조를 형성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바디(110)의 후면 케이스 프레임(112)의 마이크 장착공간 부분에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음 공명 공간을 함께 형성한다. 이는 합성 수지 재질의 후면 케이스 프레임(112)을 사출할 때 함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면 케이스 프레임(112)은 저면(116)과, 공명 공간 형성을 위하여 상기 저면(116)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 만큼 신장되는 측면(115)을 포함한다. 상기 저면(116)에는 상기 케이스 프레임(112)의 양 측면까지 연결되는 일정 높이의 격벽(117)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프레임(112)의 저부에는 상기 격벽(117)과 상기 측면(115)에 의해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상에 스피커(11)가 설치되고, 소정의 커버(15)를 설치함으로써 완전히 밀폐된 공명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역시, 형성된 상기 공명 공간상에는 스피커(11)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싱(18)이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부싱(18)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나, 상기 공명공간에 의하여 방출된 스피커음을 공명시키기 위한 음 방출로를 함께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스피커 모듈 수납용 캐리어를 적용할 경우, 안테나 방사체(13)를 함께 적용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도 역시 상기 안테나 방사체(13)를 상기 공명 공간상에 함께 배치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안테나 방사체(13)는 PIFA(Planar Inverted F Antenna)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상기 공명 공간내의 저부 즉, 케이스 프레임(112)의 내면에 형성 또는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테나 방사체(13)로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공지의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에 일정 형상의 패턴을 형성시키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를 상기 공명 공간내의 케이스 프레임(112)의 내면에 부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정 패턴 형상을 갖는 금속 플레이트를 상기 공명 공간내의 케이스 프레임 내면에 부착할 수 있을 것이다. 역시, 일정 패턴을 갖도록 상기 공명 공간내의 케이스 프레임(112)의 내면에 도전성 도료(conductive spray)를 도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안테나 방사체(13)를 상기 공명 공간내의 케이스 프레임(112) 내면에 적용하게 되면, PIFA의 경우 단말기(100)의 메인 보드의 접지부와 가장 먼 거리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좀더 우수한 방사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스피커 장치를 조립할 때, 우선 스피커(11)를 케이스 프 레임(112)의 내면의 공명 공간내에 돌출 형성된 스피커 장착용 부싱에 고정시킨다. 역시, 상기 공명 공간의 저면(116)에 안테나 방사체(13)를 부착시킨다. 상기 안테나 방사체(13)로써 가요성 인쇄회로나 금속 플레이트를 사용할 경우 본딩(bonding) 등의 방법으로 부착이 가능할 것이다. 그후, 상기 공명 공간의 상부에 소정의 커버(15)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15)는 상기 공명 공간의 밀폐를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커버(15) 역시 본딩, 볼트 체결 또는 초음파 융착 등 공지의 방법으로 고정이 가능할 것이다. 이때, 상기 안테나 방사체(13)의 전기적 연결 부위(예를 들어, 급전 패드 및 접지 패드 등)(14)는 상기 커버(15)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단말기의 메인 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이 용이하도록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피커(11) 역시 전기적 연결 패드(12)가 상기 커버(15)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가 구현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분리 사시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Claims (10)

  1.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제1케이스 프레임;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케이스 프레임;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 또는 제2케이스 프레임 중 어느 하나 프레임의 내면에 형성되어 스피커를 장착시키기 위한 스피커 장착 공간;
    상기 스피커 장착 공간 주변으로 공명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격벽; 및
    상기 공명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 사출시, 일체로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 공간에는 스피커 장착용 부싱이 상기 케이스 프레임 사출시, 일체 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 공간내의 케이스 프레임 내면에는 안테나 방사체가 더 설치 또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는 방사 패턴을 포함하는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는 방사 패턴 형상을 갖는 금속성 플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는 방사 패턴 형상으로 상기 케이스 프레임 내면에 도포 되는 도전성 스프레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는 PIFA(Planar Inverted F Antenna)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의 접지부와 가장 먼거리로 이격된 프레임의 내면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및 안테나 방사체의 전기적 연결 부위는 상기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시켜 메인 보드와의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1020090051236A 2009-06-10 2009-06-10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Withdrawn KR201001325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236A KR20100132575A (ko) 2009-06-10 2009-06-10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US12/794,838 US20100316246A1 (en) 2009-06-10 2010-06-07 Speake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236A KR20100132575A (ko) 2009-06-10 2009-06-10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575A true KR20100132575A (ko) 2010-12-20

Family

ID=43306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236A Withdrawn KR20100132575A (ko) 2009-06-10 2009-06-10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316246A1 (ko)
KR (1) KR201001325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9920A1 (en) * 2011-11-07 2013-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audio output unit
KR20130099401A (ko) * 2012-02-29 201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58358B (zh) * 2011-05-23 2014-10-21 Wistron Corp Electronic device speaker structure
KR101909604B1 (ko) * 2011-11-02 2018-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027025B2 (en) 2012-08-29 2018-07-17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antenna structure therein
US10003121B2 (en) 2012-08-29 2018-06-19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antenna structure
KR102049791B1 (ko) * 2013-01-08 2019-1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장치를 구비하는 단말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898867B (zh) * 2017-02-28 2019-01-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天线系统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74546B1 (da) * 1998-12-21 2003-05-19 Sony Ericsson Mobile Comm Ab Et kommunikationsapparat
US20030003970A1 (en) * 2001-06-28 2003-01-02 Alan Johnson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US6834181B2 (en) * 2002-03-13 2004-12-21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related construction method
TWI267315B (en) * 2002-07-01 2006-11-21 Sony Ericsson Mobile Comm Ab Communication terminal
WO2004070871A1 (en) * 2003-02-10 2004-08-1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mbined speaker and antenna component
KR100724116B1 (ko) * 2005-08-24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N101056327B (zh) * 2006-04-12 2011-03-30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移动电话及其音箱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9920A1 (en) * 2011-11-07 2013-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audio output unit
US9176540B2 (en) 2011-11-07 2015-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audio output unit
KR20130099401A (ko) * 2012-02-29 201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316246A1 (en)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2575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CN103313539B (zh) 用于便携式终端的天线装置
EP1483880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related construction method
KR10187970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JP5159882B2 (ja) ハンドヘルド電子機器のためのアンテナ
KR10084634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1020257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US7107016B2 (en) Component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nstituting an antenna, loudspeaker and ringer
US8885867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167324B2 (en) Speaker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101624559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76250A (ko) 스피커 장치를 위한 공명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KR102049791B1 (ko) 스피커 장치를 구비하는 단말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7397433B2 (en) Built-in antenna modu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JP2002124811A (ja) 移動ステーションおよび移動ステーション用アンテナ装置
KR20150069795A (ko)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갖는 통신 장치
US7369673B2 (en) Speaker suppor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is speaker supporting device
WO2007129410A1 (ja) アンテナモジュール及び無線通信端末
JPH11355022A (ja) 携帯電話機の内臓アンテナ
CN104238657A (zh) 可携式电子装置
KR100714617B1 (ko) 박형 스피커를 갖는 내장 안테나 모듈
US9509039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0666050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모듈
KR20140004875A (ko) 이동단말기
KR102015577B1 (ko) 안테나 캐리어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