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31010A - 표면 침착을 감소시키고 향기 인지성을 개선시키면서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표면 침착을 감소시키고 향기 인지성을 개선시키면서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010A
KR20100131010A KR1020107025204A KR20107025204A KR20100131010A KR 20100131010 A KR20100131010 A KR 20100131010A KR 1020107025204 A KR1020107025204 A KR 1020107025204A KR 20107025204 A KR20107025204 A KR 20107025204A KR 20100131010 A KR20100131010 A KR 20100131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atile composition
degrees
channel
releasing
microme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르난도 레이 토렌스
제임스 로버트 틴린
어더 햄프톤 니어가드
윌리암 폴 3세 메호니
스티븐 로이스 디어싱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00131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44Holders or dispensers for liquid insecticide, e.g. using wicks
    • A01M1/205Holders or dispensers for liquid insecticide, e.g. using wicks using vibrations, e.g. ultrasonic or piezoelectric atom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61L9/037Apparatus therefor comprising a wi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B05B17/0638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spray being produced by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rough a plate comprising a plurality of orifices
    • B05B17/0646Vibrating plates, i.e. plates being directly subjected to the vibrations, e.g. having a piezoelectric transduc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B05B17/0653Details
    • B05B17/0669Excitation frequ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B05B17/0653Details
    • B05B17/0676Feeding means
    • B05B17/0684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모세관 요소, 모세관 요소와 유체 연통되는 채널, 약 +5도 내지 약 +90도 미만의 전방 경사를 갖는 방출 오리피스, 및 방출 오리피스를 통해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분리된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장치는 플러그-인 공기 청향기이며, 표면 침착을 감소시키고, 휴지 주기 동안에 방향제의 개선된 격납을 통해 향기 인지성을 개선한다.

Description

표면 침착을 감소시키고 향기 인지성을 개선시키면서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EMITTING VOLATILE COMPOSITIONS WHILE REDUCING SURFACE DEPOSITION AND IMPROVING SCENT NOTICEABILITY}
본 발명은 표면 침착(surface deposition)을 감소시키고 향기 인지성(scent noticeability)을 개선시키면서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몇몇 실시 형태들에서, 본 발명은 방향제(perfume)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분리된 압전 액추에이터(de-coupled piezoelectric actuator)를 포함하는 플러그-인 공기 청향기(plug-in air freshener),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쾌한 향기를 제공하기 위해, 방향제 및/또는 방향물(fragrance) 조성물을 공간, 특히 거실과 같은 가정 공간 내로 증발시키도록 전기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판매 중인 다양한 그러한 장치, 예를 들어 에어윅(AIRWICK)(등록상표) 디퓨저(Diffuser) 액티프(ACTIF)(등록상표)(레킷 벤키저(Reckitt Benckiser)에 의해 제조됨), 리뉴짓(RENUZIT)(등록상표) 트라이센츠(Triscents)(다이알 코포레이션(Dial Corp.)에 의해 제조됨), 또는 앰비-퍼(AMBI-PUR)(등록상표) 방향물 디퓨저(사라 리(Sara Lee)에 의해 제조됨)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장치는 방향제 또는 방향물 공급원, 전기 히터, 열의 인가에 의해 방향제가 기화되어 나오는 모세관 요소 또는 기재(substrate), 및 전원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열은 장치가 놓인 공간으로의 방향제의 연속적인 공급을 제공한다. 그러나, 실내를 향기롭게 하기 위해서는 더 긴 시간이 걸릴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배열이, 신속하게 확산되어 주위 물체 내로 더 쉽게 흡수되는 보다 작은 분자의 생성을 수반하는 기화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이들 문제점을 다루는 한가지 노력이 마르텐스(Martens) 등의 미국 특허 제6,752,327호에 기술되어 있다. 마르텐스 특허는 방향제를 분배하기 위해 경사진 오리피스 플레이트(orifice plate)를 진동시키는 압전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플러그-인 공기 청향기를 개시하고 있다. 마르텐스 특허에 개시된 장치는 심지(wick), 및 오리피스 플레이트에 물리적으로 결합된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그러나, 결합된 압전 액추에이터는, 경사진 오리피스 플레이트 및 오리피스 플레이트와 인접 벽 표면 사이에 위치된 상향 연장 돌출부에 의해서도 여전히 인접 벽 표면 상에 침착될 수 있는 방향제의 이중모드 소적(bimodal droplet)을 초래할 수 있다. 이중모드 소적은, 이미 방출 오리피스를 통과하였고 방출 오리피스 상으로 다시 떨어져 두번째로 - 그러나, 이때에는 방출 오리피스를 통과하지 않음 -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소적이다. 압전 액추에이터에 결합된 진동 천공 플레이트가 그러한 이중모드 소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한 과정을 겪은 이중모드 소적은 대체로 더 큰데, 그 이유는 부분적으로는 소적이 방출 오리피스의 천공부(perforation)의 크기에 의해 제한되지 않기 때문이다. 표면 침착에 더하여, 마르텐스에 개시된 경사진, 결합된 압전 액추에이터 장치는 일부 액체 방향제가 플레이트 상으로 다시 떨어져 전방으로 흘러서 하우징의 개구 아래로 또는 장치로부터 벗어나 바닥 또는 주위 표면 상으로 누출되는 문제점을 다루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또한, 마르텐스의 장치가 작동되지 않을 때, 밑바탕(background) 수준의 방향제가 대기 중으로 계속 증발된다. 이러한 효과는 향기 습관화(habituation) 또는 후각 피로(olfactory fatigue)라는 잘 알려진 현상을 초래한다.
헤스(Hess) 등의 국제특허공개 WO 2007/062698A1호에 기술된 장치는 분리된 압전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침착 문제점을 해소하려고 한다. 헤스 참고문헌은 심지에 편심되어 위치되는 분리된 압전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휘발성 액체 소적 분배기 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헤스에 기술된 장치는 여전히 주위 표면 상에서의 얼마간의 침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표면 침착을 감소시키고 시간 경과에 따른 방향물 인지성을 개선시키면서, 더 큰 영역을 향기롭게 하기 위한 개선된 장치에 대한 지속적인 필요성이 남아 있다.
본 발명은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x-방향, 상기 x-방향에 수직한 y-방향, 상기 x-방향 및 상기 y-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수평 x-y 평면, 상기 x-y 평면에 수직한 z-방향을 갖는 하우징; 적어도 하나의 휘발성 조성물을 격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용기; 상기 용기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모세관 요소; 상기 모세관 요소와 유체 연통되는 채널(channel); 상기 채널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방출 오리피스로서, 약 +5도 내지 약 +90도 미만의 전방 경사를 갖는, 상기 방출 오리피스; 및 상기 방출 오리피스를 통해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분리된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휘발성 조성물을 격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용기; 약 2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70 마이크로미터의 평균 다공도(porosity)를 갖는 모세관 요소; 상기 모세관 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시일(seal)로서, 약 0.05 ㎜의 평균 직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 구멍을 포함하는, 상기 시일; 상기 모세관 요소와 유체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로서, 약 10 마이크로미터의 평균 직경 및 약 10 ㎜의 길이를 갖는 상기 채널; 상기 채널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저장조; 및 상기 저장조에 근접하여 있는 방출 오리피스; 및 상기 방출 오리피스를 통해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분리된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표면 침착을 제어하고 향기 인지성을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특별히 지적하고 명확하게 청구하는 특허청구범위로 끝맺고 있지만,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잘 이해될 것으로 여겨진다.
<도 1>
도 1은 x-y-z 방향을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분해도.
<도 2a>
도 2a는 그의 정면도.
<도 2b>
도 2b는 도 2a의 선 A-A를 따라 취해진, 그의 단면도.
<도 3>
도 3은 휘발성 조성물이 장치로부터 나오기 위해 이동하는 유동 경로의 확대 단면도.
<도 4>
도 4는 x-방향으로부터 측정될 때 전방 경사각이라는 하나의 파라미터를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평면도.
<도 5>
도 5는 동일한 크기의 방출 오리피스들을 사용하여 이중모드 또는 결합된 압전 장치 및 단일모드 또는 분리된 압전 장치에 의해 생성된 휘발성 조성물의 소적 크기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
본 발명은 표면 침착을 감소시키고 시간 경과에 따른 방향물 인지성을 개선시키면서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전술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분리된 압전"은 휘발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액체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나가는 방출 오리피스 또는 천공 플레이트에 압전 액추에이터가 직접 부착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또한, 분리된 압전 액추에이터는 장치로부터 액체 소적의 방출을 유발하기 위해 방출 오리피스를 진동시키지는 않는다. 오히려, 분리된 압전 액추에이터는 장치로부터 분배될 액체를 진동시켜, 액체가 인접 방출 오리피스 또는 천공 플레이트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강제한다. 한가지 분리된 압전 액추에이터 배열이 국제특허공개 WO 2007/062698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단일모드 소적"은 액체 출구 수단 플레이트를 통과함으로써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조성물의 소적을 의미한다. 단일모드 소적의 소적 크기 분포는 액체 출구 수단의 천공부에 의해 사전결정된다. 단일모드 소적은, 진동 천공 플레이트와 같은 방출 오리피스를 이미 통과하였고 방출 오리피스의 상단 상으로 다시 떨어져 두번째로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소적을 포함하지 않으며; 이들 소적은 이중모드로 간주된다. 이론에 의해 구애되고자 함이 없이, 단일모드 소적을 갖는 장치는 단일모드 소적의 크기 분포가 방출 오리피스 또는 천공 플레이트의 천공부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주위 표면 침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휘발성 조성물"은 기화가능한 물질 또는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성된 기화가능한 개별 단위를 말한다. 따라서, 용어 "휘발성 조성물"은 완전히 하나의 휘발성 물질로 구성된 조성물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휘발성 조성물의 모든 성분 물질이 휘발성일 필요는 없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휘발성 물질", "방향물", 및 "향기"는 상쾌하거나 향긋한 냄새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으며, 따라서 살충제, 공기 청향제, 탈취제, 방향 치료 물질, 방향 요법 물질, 또는 대기를 조절, 변경, 또는 달리 충전하거나 또는 주위 환경을 변경시키도록 작용하는 임의의 다른 물질로서 기능하는 물질을 또한 포함한다.
다수의 향기 물질 또는 방향물의 경우에, 상이한 향기 물질들은 유사하거나, 관련되거나, 상호보완적이거나, 또는 대조적일 수 있다. 그러나, 상이한 향기 물질들이 향기 습관화의 문제점을 피하려는 시도에 사용되는 경우, 향기 물질들이 너무 유사한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향기를 맡는 사람은 상이한 향기가 방출되고 있음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상이한 향기들은 공통 테마(theme)에 의해 또는 일부 다른 방식으로 서로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향기들은 모두 꽃 향기, 과일 향기 등일 수 있다. 상이하지만 상호보완적인 향기들의 일례는 바닐라 향기 및 프렌치 바닐라 향기일 수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장치(1)는 하우징(10)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하우징(10)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플러그(20)에 의해 전기 벽 콘센트(wall outlet)일 수 있는 전원(5) 상에 지지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플러그(20)는 자동차 내의 담배 라이터 소스(cigarette lighter source) 내로 플러그 접속되는 차량용 어댑터, 컴퓨터 상의 USB 포트 내로 플러그 접속되는 USB 어댑터일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전원(5)은 배터리일 수 있다.
하우징(10)은 전방 표면(12) 및 후방 표면(14)을 구비한다. 또한, 하우징(10)은, 전방 표면(12)을 향하고 전원(5)에 대향되거나 전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x-방향을 갖는다. 또한, 하우징(10)은 상기 x-방향에 수직한 y-방향, 상기 x-방향 및 상기 y-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수평 x-y 평면, 상기 x-y 평면에 수직한 z-방향을 갖는다.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용기(30)를 추가로 포함한다. 용기(30)는 적어도 하나의 휘발성 조성물을 격납한다. 단일 용기가 하나보다 많은 유형의 휘발성 조성물을 보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용기는 예를 들어 휘발성 물질을 위한 2개 이상의 격실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용기(30)는 2개의 분리된 격실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 형태들에서, 휘발성 조성물을 각각 격납하는 복수의 용기가 있을 수 있다. 하우징(10)은 용기(30) 및 후술될 장치(1)의 다른 구성요소들 중 임의의 것을 위한 홀더로서 역할할 수 있다.
용기(30)는 휘발성 조성물을 격납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용기에 적합한 재료는 유리 및 플라스틱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용기(30)는 하우징(10)의 일부분일 수 있거나, 또는 하우징(10)과 같은 장치(1)의 일부분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되는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용기(30)는 휘발성 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모세관 요소(38)를 포함할 수 있다. 모세관 요소(38)는, 용기(30)로부터 휘발성 조성물을 상방으로 흡인하기 위해 모세관 통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상호연결된 개방 셀(open cell)을 포함하는, 섬유질 또는 다공성 심지와 같은 임의의 구매가능한 위킹(wicking) 재료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모세관 요소(38)는 휘발성 조성물의 향기 또는 냄새의 격납을 보조하도록 고밀도 심지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고밀도 심지 조성물은 약 2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70 마이크로미터, 대안적으로 약 3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60 마이크로미터, 대안적으로 약 3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50 마이크로미터, 대안적으로 약 4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5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기공 직경을 갖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종래의 심지 재료를 포함한다. 적합한 조성물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에테르 설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테르설폰,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미국 특허 출원 제60/937134호는 본 발명에 적합한 모세관 요소를 개시하고 있다.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모세관 요소(38)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기(30)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모세관 요소(38)는 용기(30)의 벽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다. 그러한 실시 형태들에서, 채널(50)은 모세관 요소(38)와의 유체 연통을 제공하도록 부분적으로 용기(30) 내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모세관 요소(38)는 용기(30)와 수직으로 정렬된다. 용기(30), 채널(50) 및 방출 오리피스(60)의 구성에 따라, 휘발성 조성물은 모세관 요소(38)를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휘발성 조성물은 모세관 요소(38)를 통해 상향 운동으로 이동한다.
장치(1) 및/또는 용기(30)는 모세관 요소(38)를 지지하기 위한 시일(3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시일(32)은 약 0.05 ㎜의 평균 직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 구멍(34)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휘발성 조성물의 냄새 또는 향기를 용기(30) 내에 격납하면서, 여전히 대기 평형이 용기(30)로부터 휘발성 조성물을 모세관력을 통해 흡인할 수 있게 하는 데 보조할 수 있다. 용기(30)는 또한 용기가 하우징(10)에 연결되지 않거나 내부의 휘발성 물질을 방출시키도록 사용되고 있지 않을 때 모세관 요소(38)를 덮기 위한 캡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장치(1)는 휘발성 조성물을 모세관력을 통해 흡인할 수 있는 채널(50)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은 모세관 요소(38)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채널(50)은 근위 단부(39) 및 원위 단부(49)를 포함할 수 있다. 원위 단부(49)는 저장조(5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모세관 요소(38)로부터 저장조(52)의 중심까지 측정된 채널(50)의 길이는 약 12 ㎜, 대안적으로 약 13 ㎜, 대안적으로 약 14 ㎜, 대안적으로 약 15 ㎜, 대안적으로 약 11 ㎜, 대안적으로 약 10 ㎜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가장 좁은 부분에서의 채널(50)의 개구는 약 10 마이크로미터, 대안적으로 약 11 마이크로미터, 대안적으로 약 12 마이크로미터, 대안적으로 약 9 마이크로미터, 대안적으로 약 8 마이크로미터이다. 저장조(52)의 중심에서의 채널(50)의 개구는 약 1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150 마이크로미터, 대안적으로 약 5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150 마이크로미터, 대안적으로 약 75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 대안적으로 약 85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100 마이크로미터, 대안적으로 약 9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100 마이크로미터, 대안적으로 약 95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100 마이크로미터, 대안적으로 약 10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채널(50)을 통해 흐른 후에, 휘발성 조성물은 이어서 저장조(52)로 계속 상류로 이동할 수 있다. 저장조(52)는 직경이 약 10 ㎜일 수 있다. 저장조(52)에 인접하여 압전 액추에이터(42)가 있다. 저장조(52)는 또한 방출 오리피스(60)에 근접한다. 압전 액추에이터(42)는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 오리피스(60)를 통해 채널(50) 밖으로 그리고 대기 중으로 밀어내도록 배향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압전 액추에이터는 방출 오리피스(60)에 대향되어 저장조 아래에 위치된다.
방출 오리피스(60)는, 원하는 소적 분포에 따라 크기설정되고 분포되는 천공부(66)들을 구비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방출 오리피스(60)는 약 1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15 마이크로미터, 대안적으로 약 12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15 마이크로미터, 대안적으로 약 15 마이크로미터의 평균 기공 크기를 갖는 천공부들을 구비한 천공된 금속 플레이트이다. 플레이트는 약 3 ㎜ 대 약 3 ㎜의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천공부(66)는 유체 입구측(62)에서 약 1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15 마이크로미터, 그리고 유체 출구측(64)에서 4 내지 5 마이크로미터이다. 본 발명에 적합한 천공 플레이트가 미국 특허 출원 제11/273,461호 및 국제특허공개 WO2007/062698호에 개시되어 있다.
방출 오리피스(60)와 압전 액추에이터(42)는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압전 액추에이터(42)로부터 방출 오리피스(60)의 분리는 방출 오리피스(60)의 기공 크기 또는 크기들로부터 기인하는 것들로 소적 입자 크기의 생성을 제한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방출 오리피스(60)는 압전 액추에이터(42)의 진동 동안에도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방출 오리피스(60)는 전방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장치가 하우징(10)의 x-y 평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시키게 한다. 하우징(10)의 x-y 평면은 방출 오리피스(60)의 중심을 가로지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가 벽 콘센트와 같은 전원(5)에 장착될 경우, 휘발성 조성물의 방출된 액체 소적들은 이들이 벽 표면에 모여 벽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벽으로부터 멀리 지향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방출 오리피스의 x-y 평면이 수평으로부터 전방으로 그리고 가까운 벽 또는 다른 후방 표면으로부터 멀리 경사지도록 방출 오리피스(60)를 배향시킴으로써 극복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전방 경사는 하기의 파라미터 둘 모두를 만족시키는 각도를 의미한다: (1) x-y 평면으로부터 측정된 약 0도 초과 내지 약 +90도 미만의 각도로 하우징(1)의 x-방향을 향해 경사짐; 및 (2) x-방향으로부터 0 내지 +90도 또는 0 내지 -90도의 각도를 이룸. 두번째 파라미터는 도 4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전방 경사는 약 +5도 내지 약 +90도; 대안적으로 약 +5도 내지 약 +24도; 대안적으로 약 +5도 내지 약 +12도, 대안적으로 약 +5도 내지 약 +9도; 대안적으로 약 +7도 내지 약 +9도; 대안적으로 약 +7도; 대안적으로 약 +9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표면 침착은 약 160 내지 약 180 ㎑; 대안적으로 약 160 ㎑; 대안적으로 약 180 ㎑에서 작동하는 구동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분리된 압전 액추에이터에 대한 전형적인 공진 주파수는 압전 액추에이터(42)의 약 80 ㎑일 수 있다.
장치(1)의 배열은 압전 액추에이터가 작동되고 있지 않은 휴지 주기(rest period)와 같은, 휘발성 조성물이 방출되도록 의도되지 않은 시간 동안에 휘발성 조성물의 냄새를 격납함으로써 향기 인지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휘발성 조성물의 격납은 수동 증발(passive evaporation)로 인한 중량 손실의 양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효과적인 장치는 주어진 휘발성 조성물에 대해 약 0.5 ㎎/hr 미만의 수동 증발 중량 손실을 제공한다. 이러한 수준의 중량 손실에서, 휘발성 물질의 기상(gas phase) 농도는 주어진 휘발성 조성물에 대해 약 0.5 ppm 미만일 수 있는, 대부분의 방향물의 냄새 검출 역치(odor detection threshold)("ODT") 미만이다. ODT 미만으로의 기상 농도의 효과적인 감소는 사용자에게 박탈(deprivation) 상태를 제공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장치(1)는 압전 액추에이터(42)가 장치(1)로부터 휘발성 조성물의 소적을 생성하는 제1 방출 주기; 및 압전 액추에이터(42)가 장치(1)로부터 휘발성 조성물의 소적을 생성하지 않는 제2 휴지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주기는 15분 초과 및 24시간 이하, 대안적으로 약 4시간 내지 약 8시간 미만, 대안적으로 약 72분, 대안적으로 약 1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휴지 주기는 약 15분 내지 약 45분, 대안적으로 약 15분 내지 약 30분일 수 있으며; 높은 ODT를 갖는 방향물과 함께 사용할 때 노출이 30분 이하인 경우 약 2분일 수 있다. 휴지 주기 동안에, 채널(50)은 모세관 요소(38)와 방출 오리피스(60) 사이에 얼마간의 거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휘발성 조성물의 기화를 방해할 수 있다. 휴지 주기는 하나보다 많은 방향제를 포함하는 실시 형태들에서 유익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휴지 주기가 방향제들을 보다 명확하고 보다 인지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열은 또한 배터리 작동식 장치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한된 공급량의 에너지를 다룰 때 유익할 수 있다.
개선된 방향제 강도(intensity)는 또한 휘발성 조성물의 개선된 입자 크기 분포를 통해 인지될 수 있다. 강도 프로파일의 보다 양호한 제어는 강도가 높은 주기와 강도가 거의 0인 주기 사이의 신속한 변경을 허용할 수 있다. 강도가 높은 주기와 강도가 0인 주기 사이의 이러한 신속한 교체는 높은 강도의 주기에 대한 사용자 인식을 높일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더욱 인지가능한 강도 프로파일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안은 히터 시스템 또는 결합된 압전 시스템과 같은 보다 느린 반응 시스템에 의해서는 달성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결합된 압전 시스템은 입자 크기에 대한 불량한 제어 또는 휘발성 조성물의 비효율적인 격납을 가질 수 있어, 보다 큰 입자가 예측된 바보다 더 오래 남아 있게 하여, 방출 주기와 휴지 주기 사이에 덜 명확한 감각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선택적 특징부
하나보다 많은 휘발성 조성물이 있는 경우, 장치(1)는 장치(1)에 의해 방출되는 휘발성 물질을 변경시키는 절환 메커니즘(switching mechanism)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절환 메커니즘은 압전 요소(42)의 작동을 제어한다. 절환 메커니즘은 장치가 방출되는 휘발성 물질을 변경시키게 하는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유형의 절환 메커니즘이 미국 특허 제7,223,361호에 기술되어 있다.
장치(1)는 또한 가열 요소(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론에 의해 구애되고자 함이 없이, 온도의 작은 변화가 유체를 함유한 휘발성 조성물의 점도를 감소시키고, 이어서 유체의 플룸(plume) 높이 및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일 실시 형태에서, 채널(50)의 적어도 일부분은 가열 요소(70)에 의해 가열되는 강철 플레이트(72)에 의해 둘러싸인다. 가열 요소(70)는 장치(1)의 방출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강철 플레이트(72) 및/또는 저장조(52)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가열 요소(70)로부터 열이 당업계에 공지된 수단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항기가 임의의 구매가능한 열 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채널(50) 상의 강철 플레이트(72)에 직접 연결되거나 하우징(10)에 의해 채널(50)에 인접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하나의 열전도성 접착제는 트라-콘(TRA-CON)에 의해 제조된 트라-본드(TRA-BOND) 2151 2-부분 에폭시이다. 열은 열전도에 의해 분포될 것이다. 강철 플레이트(72)의 온도는 제어될 수 있다. 이를 행하기 위한 하나의 그러한 방식은 장치(1) 내에 이미 존재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와 함께 사용되는, 온도에 따라 변하는 저항을 갖는 유형의 저항기인 서미스터(thermistor)에 의해서 일 것이다. 효과적인 온도는 약 18℃ 내지 약 29℃이다.
장치(1)는 또한 압전 액추에이터(42)가 구형파 함수(square wave function)를 사용하여 작동하게 하는 전자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형파는 압전 장치의 유량 및 플룸 높이 둘 모두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형파는 일반적으로 전기 공학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H-브릿지(H-bridge)"로 불리는 것에 의해 생성된다. 구형파는 다양한 이유로 배터리 전력공급식 장치에 비해 플러그-인 장치에 더 양호하게 적합한 것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H-브릿지는 H-브릿지에 공급된 전압의 2배인 피크간 전압(peak to peak voltage)을 갖는 AC 파형만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는 다른 별개의 전기적 구성요소의 사용 없이 압전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에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전력공급식 장치가 120 볼트의 피크간 전압의 구형파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H-브릿지에 60 볼트의 DC가 공급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배터리에 의해 제공되는 전압 수준을 60 볼트의 DC로 상승시키기 위해 DC-DC 컨버터의 사용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는 비효율적인 것으로 여겨지며, 배터리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는, 플러그-인 장치 내의 H-브릿지에 약 110 내지 120 볼트의 정류된 벽 전압이 공급되어 H-브릿지에 대한 입력 전압이 대략 155 내지 170 볼트가 되게 하는 플러그-인 장치에서 쉽게 극복된다. 이 전압은 필요한 경우 단순한 분압기(voltage divider)에 의해 추가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플러그-인 응용은 압전 액추에이터를 기본 전자 구성요소들을 사용하여 구형파로 구동시키는 것으로부터 달성되는 더 높은 플룸 높이 및 유량의 이익을 가질 수 있다.
장치(1)는 다수의 추가적인 선택적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는 방출되는 휘발성 물질이 변경되었음을 사람이 더욱 인지하게 만들도록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표시기는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향기 물질의 경우, 그러한 표시기는 사람이 주어진 시간에 어떤 향기가 방출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표시기는 발광체의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용기 또는 장치(1)의 적어도 일부분(예를 들어, 하우징의 일부분 또는 전부)는 가열될 때 색상이 변경되는 유형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장치(1)는 또한 사용자가 장치를 전기 소켓으로부터 제거하지 않고서 장치를 켜고 끌 수 있게 하기 위해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에는 사용자가 휘발성 물질의 방출 주기 및/또는 상이한 휘발성 물질들의 방출들 사이의 시간, 또는 중첩된 시간 주기 동안 휘발성 물질들이 방출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제한적인 일 실시 형태에서, 장치에 15분 초과 및 24시간 이하의 주기 동안에 각각의 휘발성 물질을 방출할 수 있는 능력이 제공되는 경우, 장치에는 사용자가 방출 주기를 예를 들어 72분 또는 1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가 제공될 수 있다.
장치(1)에는 또한 사용자가 장치(1)를 만지지 않고서 장치(1)의 방출 특성 중 임의의 것 또는 모두(방출되는 휘발성 물질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음)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원격 제어부가 포함될 수 있다.
장치(1)는, 아날로그 회로에 비해 더 적은 구성 부품을 갖고 로트(lot)간에 개선된 회로 품질을 갖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성능을 변경하기 위해 변조에 의해 온도 프로파일을 프로그래밍하고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원하는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여러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에는 LCD 스크린 및 LED 스크린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게다가,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구성요소들이 다수의 장치(예를 들어, 하나의 실내의 상이한 부분들에 또는 상이한 실내들에 위치된 것)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원격 제어부가 다른 장치를 "켜거나" "끄기"위해 적외선 빔을 통하여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장치(1)는 광, 노이즈 및/또는 움직임에 응답하는 센서에 의한 것과 같은 일부 자극에 응답하여 켜지고 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들 중 하나는 광을 감지할 때 켜지도록 설정될 수 있고, 다른 장치는 광을 감지할 때 꺼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장치(1)(예를 들어, 장치 내의 히터 및/또는 팬)를 켜도록 모션 센서(motion sensor)와 함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는 사람이 모션 센서 부근에서 움직일 때까지 내내 꺼질 수 있다. 장치(1)는 이어서 사람이 모션 센서 부근에서 걸을 때 켜질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사용은 휘발성 물질의 방출 특성을 제어하는 데에 유연성을 제공한다. 이는 방출 특성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교체는 회로 전체를 수정할 필요성을 없앤다.
다음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체 범주를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 I
본 발명에 따른, 분리된 압전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장치를 30 ㎖의 공기 청향 조성물을 격납한 단일 용기와 함께 사용한다. 용기는 방출 오리피스를 구비한 측방향 채널에 유동가능하게 연결된 고밀도 심지를 포함한다. 방출 오리피스는 하우징의 x-y 평면으로부터 측정될 때 +7도의 전방 경사각을 갖는다. 채널은 장치가 전원 내로 플러그 접속될 때 약 29℃로 가열되는 강철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채널은 또한 약 4.1 마이크로미터의 평균 기공 크기를 갖는 천공부를 구비한 방출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조립된 기구는 전기 벽 콘센트로부터 전력을 받을 때 매 시간마다 대략 35 ㎎의 공기 청향 조성물을 분배하기 위한 구동 전자장치를 포함한다. 이 장치를 테이블 상단 표면으로부터 대략 20 ㎝에 있는 전기 벽 콘센트 내로 플러그 접속시킨다. 방출 오리피스의 중심은 인접 벽 표면 상의 최근접 지점으로부터 3 ㎝에 있다. 장치를 17시간 내지 18시간의 주기 동안 전기 벽 콘센트 상에서 작동하도록 둔다. 공기 청향 조성물의 침착, 유량 및 플룸 높이를 측정한다.
침착은 방출 오리피스의 대략 20 ㎝ 아래에 있는 테이블 상단 표면 상에 침착된 비휘발된 또는 재침착된 액체 공기 청향 조성물을 3개의 필터지, 즉 와트만(Whatman) 40 (무회(ashless), 18.5 ㎝ 카탈로그 번호 - 1440 185) 상에 수집함으로써 결정한다. 2장의 필터지를 장치의 하단 전방 에지 아래에 위치시킨다. 다른 필터지를 장치의 3 ㎝ 위에 있는 인접 벽 표면에서의 침착을 측정하도록 사용한다. 세번째 필터지를 장치의 상단에 맞도록 절단하여, 장치의 중앙부 위에 절결된 구멍과 함께 위치시킨다. 250 ㎖의 메탄올에 11.4 ㎎의 C14를 함유한 5 ㎖의 내부 표준 용매 용액을 사용하여 필터지를 추출한다. DB-1 컬럼(1 ㎛ 필름 두께, 0.32 ㎜ ID, 60 m 길이)을 구비한 6890/5973 GC/MS 상으로 1 마이크로리터를 분사함으로써 모든 샘플들을 분석한다. 공지되어 있는 표준을 참조하여 정량적 결과를 산출한다. 데이터를 ㎍의 물질로서 보고하고, 다음의 척도에 따라 등급을 매긴다: 0 등급 = < 5 ㎍; 1 등급 = 5 ㎍ 내지 10 ㎍; 2 등급 = 10 ㎍ 내지 20 ㎍; 3 등급 = 20 ㎍ 내지 50 ㎍; 4 등급 = >50 ㎍.
유량은 시간 경과에 따른 중량 손실로서 측정한다. 장치의 중량은 메틀러 톨레도 엑셀런스(Mettler Toledo Excellence) Xs403S를 사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응답 0.001g으로 측정하며, 중량차(㎎ 단위)를 시간 단위의 시간 주기로 나누어 ㎎/hr 단위의 유량을 제공하였다.
플룸 높이는 장치를 원통형 챔버의 중앙에 위치시킴으로써 결정한다. 챔버의 후방에서, 암화 스크린(darkened screen)을 장치 뒤에 제공한다. 0 ㎝ 마크가 장치의 상단과 바로 일직선이 되도록 자(ruler)를 위치시킨다. 플룸의 수직 거리를 자로 측정하여, 5개의 연속 스프레이로부터 평균 플룸 높이를 ㎝ 단위로 취한다.
소적 크기 분포는 옥스퍼드 레이저 비시시저 시스템(Oxford Laser Visisizer System)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이 기술은 스프레이의 이미지를 얻기 위해 고속 고해상도의 디지털 사진을 사용한다. 레이저 광을 확산시켜서 백라이트로서(빔(beam)이 아님) 사용하며, 샘플 부피는 대략 1 ㎣이다. 이들 이미지를 이어서 비시시저 소프트웨어에 의해 분석하여 소적 크기 분포를 산출한다. 측정된 분포는 (레이저 회절과 같은) 다른 기술에 의해 측정된 분포보다 더 조대한(rough)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이러한 방법은 실제로 개별 입자들의 수 및 크기를 측정하기 때문이다. 그 후, 원(raw) 소적 크기 데이터로부터 관련 스프레이 통계치를 계산한다. 대부분의 경우, 통계치의 계산에 2000개 이상의 소적을 사용한다.
표 1은 방출 오리피스가 하우징의 x-y 평면으로부터 +7도 내지 +24도의 전방 경사를 가질 때 전체 침착이 가장 양호함을 보여준다.
Figure pct00001
표 2는 열이 채널 내의 휘발성 조성물의 유량을 개선시킴을 보여준다.
Figure pct00002
표 3은 분리된 압전 액추에이터의 진동 주파수가 작동 공진 주파수로부터 반공진(anti-resonance) 주파수(또는 무공진(no resonance)) 그리고 이어서 제2 작동 공진 주파수(제1 작동 주파수의 2배)로 이동할 때 플룸 높이에 대한 분리된 압전 액추에이터의 진동 주파수의 영향을 보여준다. 결합된 압전 시스템이 약 80 ㎑ 정도의 단일 또는 매우 좁은 주파수 범위 내에서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분리된 압전 장치가 상이하게 작동하는 이유는 완전히 이해되지 않지만, 그러한 장치가 160 내지 220 ㎑의 넓은 범위에서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한다는 것은 놀랍다. 또한, 플룸 높이가 제1 작동 공진 주파수를 통해 생성된 플룸 높이의 2배라는 것은 놀랍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II
다음의 4개의 장치를 고휘발성 물질인 에틸 2-메틸 부티레이트((E2MB)뿐만 아니라 구매가능한 휘발성 조성물(VC 1)의 격납에 대해 시험한다. 각각의 장치는 10 ㎖의 에틸 2-메틸 부티레이트를 격납한다. 각각의 장치를 25℃의 평균 온도를 갖는 주변 조건에서 대략 8,150 리터의 부피를 갖는 실내에 둔다. 전술된 절차를 사용하여 유량을 연속 5일 동안 측정하여, ㎎/hr로서 보고한다. 이 측정치와 실내의 부피를 사용하여 기상 농도를 ppb(parts per billions) 단위로 계산한다.
Figure pct00004
표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된 압전 장치가 500 ppb 훨씬 미만의 구매가능한 휘발성 조성물을 격납한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는 전통적인 전기 히터 장치 또는 결합된 압전 장치에 의해 달성된 결과보다 더 양호하다. 많은 휘발성 물질은 250 ppb보다 더 높은 ODT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 휘발성 조성물의 미격납(uncontained) ODT 미만의 ODT를 달성할 수 있다. 이는 박탈 상태를 달성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치수 및 값은, 기재된 정확한 수치 값으로 엄격히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대신,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각각의 그러한 치수는 기재된 값 및 그 값 주변의 기능적으로 동등한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40 ㎜"로 개시된 치수는 "약 40 ㎜"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임의의 상호 참고된 또는 관련된 특허 또는 출원을 포함한,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문헌은 명확히 배제되거나 달리 제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다. 어떠한 문헌의 인용도, 그것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거나 청구된 임의의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이라거나, 그것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참고 문헌 및 참고 문헌들과의 임의의 조합으로 임의의 그러한 발명을 교시하거나 제안하거나 개시함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내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가 참고로 포함된 문헌의 동일한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와 상충될 경우, 본 명세서 내의 용어에 할당된 의미 또는 정의가 우선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가 예시되고 기술되었으나, 당업자에게는 다른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변경과 수정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포함하고자 한다.

Claims (15)

  1.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x-방향, 상기 x-방향에 수직한 y-방향, 상기 x-방향 및 상기 y-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수평 x-y 평면, 상기 x-y 평면에 수직한 z-방향을 갖는 하우징;
    적어도 하나의 휘발성 조성물을 격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용기;
    상기 용기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모세관 요소;
    상기 모세관 요소와 유체 연통되는 채널(channel);
    상기 채널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방출 오리피스(orifice)로서, +5도 내지 +90도 미만의 전방 경사를 갖는, 상기 방출 오리피스; 및
    상기 방출 오리피스를 통해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분리된 압전 액추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를 포함하는,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경사는 +5도 내지 +24도, 바람직하게는 +5도 내지 +9도, 더 바람직하게는 +9도인,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하우징을 전기 벽 콘센트 상에 지지하기 위한 플러그(plug)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z-방향으로 있고 상기 방출 오리피스와 상기 플러그 사이에 배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 요소와 상기 채널은 단일편(single piece) 구성인,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이한 휘발성 조성물을 각각 내부에 격납하기 위한 2개의 용기를 포함하는,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압전 액추에이터는 160 ㎑ 내지 180 ㎑로 구동되는,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플러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채널에 근접하게 배향된 가열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기는 내부에 공기 청향 조성물을 포함하는,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1 시간 주기 동안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한 다음에 제2 시간 주기 동안 방출하지 않는,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주기는 15분 초과 내지 30분이고, 상기 제2 시간 주기는 2분인,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
  11. 공기 청향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x-방향, 상기 x-방향에 수직한 y-방향, 상기 x-방향 및 상기 y-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수평 x-y 평면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전기 벽 콘센트 상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플러그;
    상기 z-방향으로 있고 상기 방출 오리피스와 상기 플러그 사이에 배향된 돌출부;
    적어도 하나의 휘발성 공기 청향 조성물을 격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용기로서, 상기 하우징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용기;
    상기 용기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심지(wick);
    상기 심지와 유체 연통되는 측방향 채널;
    상기 채널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에 근접하여 있는 방출 오리피스로서, +5도 내지 +90도 미만의 전방 경사를 갖는, 상기 방출 오리피스; 및
    상기 방출 오리피스를 통해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분리된 압전 액추에이터로서, 160 ㎑ 내지 180 ㎑로 구동되는, 상기 분리된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공기 청향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
  12.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휘발성 조성물을 격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용기;
    20 마이크로미터 내지 70 마이크로미터의 평균 다공도(porosity)를 갖는 모세관 요소;
    상기 모세관 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시일(seal)로서, 0.05 ㎜의 평균 직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 구멍을 포함하는, 상기 시일;
    상기 모세관 요소와 유체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로서, 10 마이크로미터의 평균 직경 및 10 ㎜의 길이를 갖는, 상기 채널;
    상기 채널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에 근접하여 있는 방출 오리피스; 및
    상기 방출 오리피스를 통해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분리된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 요소는 40 마이크로미터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의 평균 다공도를 갖는,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는 제1 시간 주기 동안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한 다음에 제2 시간 주기가 이어지며, 상기 제2 시간 주기는 0.5 ㎎/hr 미만의 수동 증발 중량 손실(passive evaporation weight loss)을 갖는,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2항, 또는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향기 인지성(scent noticeability)을 개선하는 방법.
KR1020107025204A 2008-05-20 2009-05-12 표면 침착을 감소시키고 향기 인지성을 개선시키면서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 KR201001310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23,704 2008-05-20
US12/123,704 US8135265B2 (en) 2008-05-20 2008-05-20 Device for emitting volatile compositions while reducing surface deposition and improving scent noticeab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010A true KR20100131010A (ko) 2010-12-14

Family

ID=40886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204A KR20100131010A (ko) 2008-05-20 2009-05-12 표면 침착을 감소시키고 향기 인지성을 개선시키면서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135265B2 (ko)
EP (1) EP2288390A1 (ko)
KR (1) KR20100131010A (ko)
WO (1) WO200914295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598B1 (ko) * 2012-06-28 2013-01-31 김창덕 초음파 디퓨져
KR20200022922A (ko) 2018-08-24 2020-03-04 코스맥스 주식회사 휴대 및 도킹 사용 가능한 디퓨저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28315B1 (es) * 2007-03-02 2010-09-15 Zobele España, S.A. Modulo para la fabricacion de evaporadores electricos de sustancias volatiles.
US8135265B2 (en) 2008-05-20 2012-03-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vice for emitting volatile compositions while reducing surface deposition and improving scent noticeability
GB2481427A (en) * 2010-06-24 2011-12-28 Reckitt & Colman Overseas Emanation device comprising one or more capillary tubes
US8877139B2 (en) 2010-08-13 2014-1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comprising a functional perfume component mixture
US9077365B2 (en) 2010-10-15 2015-07-07 S.C. Johnson & Son, In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a motion detection system
US10066114B2 (en) * 2012-09-14 2018-09-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k jet delivery system comprising an improved perfume mixture
CN103041434A (zh) * 2013-01-22 2013-04-17 广州市帕瓦斯照明有限公司 汽车香水器
CN105188360B (zh) 2013-03-01 2019-07-16 宝洁公司 昆虫诱捕器装置及使用方法
US20140263695A1 (en) * 2013-03-13 2014-09-18 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and apparatus for atomizing and vaporizing liquid
WO2015081033A1 (en) * 2013-11-27 2015-06-04 Arthropod Biosciences, Llc Insect trap device and method of using
SG11201608318WA (en) 2014-04-26 2016-11-29 Procter & Gamble Insect trap device and method of using
US10076585B2 (en) 2014-06-20 2018-09-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delivering a dose of a fluid composition from a microfluidic delivery cartridge
US9211980B1 (en) 2014-06-20 2015-1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crofluidic delivery system for releasing fluid compositions
US9808812B2 (en) * 2014-06-20 2017-1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crofluidic delivery system
US9433696B2 (en) 2014-06-20 2016-09-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crofluidic delivery system for releasing fluid compositions
US20160000956A1 (en) * 2014-07-01 2016-01-07 W. McJames, LLC Controlled intermittent fragrance delivery devices and cartomizer cartridge for use therein
MX2017009109A (es) 2015-01-12 2018-04-20 Procter & Gamble Dispositivo de trampa para insectos y metodo de uso.
US10010639B2 (en) * 2015-01-22 2018-07-03 Rimports, Llc Electrical plug in fragrance dispenser having a removable decorative sheath
DE102015006101A1 (de) * 2015-05-09 2016-11-10 Georg Ortner Beduftungsgerät
US10780192B2 (en) 2015-09-16 2020-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crofluidic delivery cartridges and methods of connecting cartridges with microfluidic delivery systems
US20170072086A1 (en) * 2015-09-16 2017-03-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crofluidic delivery system and cartridge having an outer cover
PL3356742T3 (pl) 2015-09-30 2019-11-29 Koninklijke Philips Nv Oczyszczacz powietrza oraz sposób sterowania oczyszczaczem powietrza
CA3133703C (en) * 2015-11-02 2023-10-24 Pura Scents, Inc. Scent dispensation
US9585982B1 (en) 2015-12-29 2017-03-07 The Dial Corporation Systems for diffusing volatile compounds utilizing moveable pods
US10080815B2 (en) 2015-12-29 2018-09-25 Henkel IP & Holding GmbH Systems for diffusing volatile compounds utilizing moveable pods
US10455863B2 (en) 2016-03-03 2019-10-29 Altria Client Services Llc Cartridge for electronic vaping device
US10433580B2 (en) 2016-03-03 2019-10-08 Altria Client Services Llc Methods to add menthol, botanic materials, and/or non-botanic materials to a cartridge, and/or an electronic vaping device including the cartridge
US10368580B2 (en) 2016-03-08 2019-08-06 Altria Client Services Llc Combined cartridge for electronic vaping device
US20170258140A1 (en) * 2016-03-11 2017-09-14 Altria Client Services Llc Multiple dispersion generator e-vaping device
US10357060B2 (en) 2016-03-11 2019-07-23 Altria Client Services Llc E-vaping device cartridge holder
US10368581B2 (en) 2016-03-11 2019-08-06 Altria Client Services Llc Multiple dispersion generator e-vaping device
GB2551395A (en) 2016-06-17 2017-12-20 Reckitt Benckiser (Brands) Ltd Atomiser system for dispensing a fragrance
US10149917B2 (en) 2016-11-22 2018-12-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uid composition and a microfluidic delivery cartridge comprising the same
US11691162B2 (en) 2017-04-10 2023-07-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crofluidic delivery cartridge for use with a microfluidic delivery device
US12103020B2 (en) 2017-04-10 2024-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crofluidic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a fluid composition upward into the air
US11305301B2 (en) 2017-04-10 2022-04-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crofluidic delivery device for dispensing and redirecting a fluid composition in the air
US10806816B2 (en) 2018-05-15 2020-10-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crofluidic cartridge and microfluidic delivery device comprising the same
FR3082433B1 (fr) * 2018-06-18 2020-07-10 Caelimp Appareil pour disperser dans l'air une vapeur de substance liquide et son procede de mise en œuvre
US11407000B2 (en) 2019-09-23 2022-08-09 S. C. Johnson & Son, Inc. Volatile material dispenser
GB2617854A (en) * 2022-04-22 2023-10-25 Huan Ping Lee Aroma diffus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0910A1 (en) * 1991-12-04 1993-06-10 The Technology Partnership Limited Fluid droplet 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US5657926A (en) * 1995-04-13 1997-08-19 Toda; Kohji Ultrasonic atomizing device
TW384207B (en) 1997-08-20 2000-03-11 Fumakilla Ltd Piezoelectric chemical-liquid atomizer apparatus and method for repelling or eliminating harmful organism
EP1129741B1 (en) 1997-11-19 2006-04-12 Microflow Engineering SA Spray device for an inhaler
US6752327B2 (en) * 2002-10-16 2004-06-22 S. C. Johnson & Son, Inc. Atomizer with tilted orifice plate and replacement reservoir for same
US6859615B2 (en) * 2003-05-01 2005-02-22 Hometek International Ltd. Multi-fragrance scent dispenser
US7744833B2 (en) * 2003-06-27 2010-06-29 S.C. Johnson & Son, Inc. Volatile liquids having predetermined evaporation profiles
WO2006026637A2 (en) * 2004-08-31 2006-03-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vice and containers for emitting volatile compositions
US7490815B2 (en) * 2005-11-14 2009-0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livery system for dispensing volatile materials using an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in combination with an air disturbance generator
EP1792662A1 (en) 2005-11-30 2007-06-06 Microflow Engineering SA Volatile liquid droplet dispenser device
CN101495813B (zh) * 2006-03-16 2011-06-15 动力工业有限公司 用于将挥发性流体散布到空气中的装置
US8135265B2 (en) 2008-05-20 2012-03-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vice for emitting volatile compositions while reducing surface deposition and improving scent noticeabil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598B1 (ko) * 2012-06-28 2013-01-31 김창덕 초음파 디퓨져
KR20200022922A (ko) 2018-08-24 2020-03-04 코스맥스 주식회사 휴대 및 도킹 사용 가능한 디퓨저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35265B2 (en) 2012-03-13
EP2288390A1 (en) 2011-03-02
WO2009142955A1 (en) 2009-11-26
US20090289127A1 (en) 2009-11-26
US8483553B2 (en) 2013-07-09
US20110290911A1 (en)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1010A (ko) 표면 침착을 감소시키고 향기 인지성을 개선시키면서 휘발성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장치
EP2841207B1 (en) Delivery system comprising improved volatile compositions
CN106132445B (zh) 包括改善的流体混合物的喷墨递送系统
KR102072377B1 (ko) 개선된 방향제 혼합물을 포함하는 잉크 제트 전달 시스템
KR101183049B1 (ko) 초음파 변환기를 사용하여 액체 활성 물질을 생성하기 위한전달 시스템
US20080315005A1 (en) Active material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dispensing an active material
KR20160138496A (ko) 휘발성 물질 디스펜서 그리고 휘발성 물질을 방출시키는 방법
JP2006522617A (ja) 改善された香り物質送達のための方法、装置、組成物、及びシステム
EP25799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ably releasing a substance
US11090404B2 (en) Systems for dispensing fluid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0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5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