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30482A - 펨토 기지국 및 셀 영역 확장/축소 방법 - Google Patents

펨토 기지국 및 셀 영역 확장/축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0482A
KR20100130482A KR1020090049203A KR20090049203A KR20100130482A KR 20100130482 A KR20100130482 A KR 20100130482A KR 1020090049203 A KR1020090049203 A KR 1020090049203A KR 20090049203 A KR20090049203 A KR 20090049203A KR 20100130482 A KR20100130482 A KR 20100130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femto base
cell area
handover comma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9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0482A/ko
Publication of KR20100130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482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펨토 기지국의 셀 영역 축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축소 방법은 상기 펨토 기지국이 서비스하지 않는 단말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하지 않는 단말에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핸드 오버 명령에 대한 승낙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셀 영역을 축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펨토 기지국 및 셀 영역 확장/축소 방법{FEMTO BASE STATION AND METHOD FOR EXPANDING/SHIRKING COVERAGE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의 펨토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2세대 이동 통신이라 함은 음성을 디지털로 송수신하는 것을 일컫는 것으로서, CDMA, GSM 등이 있다. 상기 GSM에서 나아가 GPRS가 제안되었는데, 상기 GPRS는 상기 GSM 시스템을 기반으로, 패킷 교환 데이터 서비스(packet switched data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다.
3세대 이동 통신은 음성뿐 만이 아니라, 영상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일컫는 것으로서,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이동통신 시스템(IMT-2000) 기술을 개발하였고,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라함)로서 WCDMA를 채택하였다. 이와 같이 IMT-2000 기술과 무선 접속 기술(RAT) 예컨대 WCDMA를 모두 합쳐서, 유럽에서는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라 부른다. 그리고, UTRAN이라 함은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약자이다.
한편, 상기 3세대 이동 통신은 4세대 이동 통신으로 진화하고 있다.
상기 4세대 이동 통신 기술은 3GPP에서 표준화중인 장기 진화된 망(Long-Term Evolution Network: LTE) 기술과 IEEE에서 표준화 중인 IEEE 802.16 기술이 제시되었다. 상기 LTE에서는 E-UTRAN(Evolved-UTRAN)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상기 4세대 이동 통신 기술에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이 도입되었다. OFDM은 다수의 직교 부반송파(subcarrier)를 이용한다. OFDM은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와 FFT(fast Fourier Transform) 사이의 직교성 특성을 이용한다. 송신기는 데이터에 대해 IFFT를 수행하여 전송한다. 수신기는 수신신호에 대해 FFT를 수행하여 원래 데이터를 복원한다. 송신기는 다수의 부반송파들을 결합하기 위해 IFFT를 사용하며, 수신기는 다중 부반송파들을 분리하기 위해 대응하는 FFT를 사용한다.
한편, 상기 3세대 또는 4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스트리밍 등 고용량 서비스와 양방향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셀 용량을 늘리는 시도는 계속되고 있다.
셀 용량을 늘리기 위해서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셀 반경을 줄이는 접근이 있어왔다. 피코 셀(pico cell)등 셀 반경이 작은 셀을 적용하면 기존 셀룰라 시스템에서 쓰던 주파수 보다 높은 대역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같은 면적에 더 많은 기지국을 설치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단점 있다.
이와 같이 작은 셀을 사용하여 셀 용량을 올리는 접근중에 최근 에는 펨토셀(femtocell)이 제안되었다.
펨토셀은 초소형, 저전력을 사용하는 기지국을 가정/사무실용 옥내에 설치하여 소규모 무선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펨토셀은 실내 서비스 가능 영역을 개선하고 용량을 향상시켜서 서비스의 품질을 높여줄 수 있으며,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통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을 완전히 정착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펨토셀에 대해서 3GPP WCDMA와 LTE 그룹에서 Home eNodeB란 이름으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고, 3GPP2 에서도 펨토 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이와 같은 펨토셀을 기존의 이동통신 망에 구현하는 방안에 대해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가 제시되고 있다.
먼저,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펨토셀 기반의 네트워크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영역을 서비스 하는 매크로 기지국(M-BS: Macro Base station)와 사용자 기반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펨토 기지국(femto-BS: 이하 ‘f-BS’라 함)이 나타나 있다.
상기 펨토 기지국(f-BS)은 인터넷을 통해 펨토셀 제어국(FNC: Femtocell Network Controller)와 연결되어 제어를 받거나 인터넷을 통해 핵심망의 MME에 연결되어 제어를 받으며,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말은 주변의 셀들의 신호를 측정하여 자신의 펨토 기지국에게 전달하며, 상기 펨토 기지국은 이를 통해 주변에 이웃 셀의 존재를 인지하고 관리한다. 또한 상기 펨토 기지국들간에는 직접 링크(direct link) 또는 상기 FNC를 통한 간접링크를 통하여 정보를 주고 받는다. 그리고 상기 펨토 기지국과 상기 매크로 기지국간에는 FNC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혹은 이동 통신 망에서 상기 펨토기지국을 제어하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통하여 정보를 주고 받는다.
도 2은 종래 기술에 따른 펨토셀 기반의 네트워크 구조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펨토 기지국(f-BS)들은 도 1과 달리 직접 링크 또는 MME를 통하여 정보를 주고 받는다. 또한, 상기 매크로 기지국(M-BS)와 상기 펨토 기지국(f-BS)은 상기 MME를 통하여 정보를 주고 받는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라 펨토셀과 매크로 셀에서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슈퍼프레임(Superframe)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4개의 무선프레임(Radio frame)으로 나누어진다. 슈퍼프레임은 슈퍼프레임 헤더(Superframe Header)를 포함할 수 있다. 슈퍼 프레임 해더는 단말이 초기 네트워크 진입 시 혹은 핸드오버 시에 반듯이 획득해야 하는 필수 제어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LTE 기술에서의 Broadcast channel (BCH)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슈퍼프레임 헤더는 슈퍼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무선 프레임 가운데 첫 번째 무선 프레임에 할당될 수 있다.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의 수는 시스템의 대 역폭(bandwidth)나 CP 길이에 따라서 5, 6, 7, 혹은 8로 달라질 수 있으며,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OFDMA의 심볼 수도 5, 6, 7, 혹은 9로 달라질 수 있다. 본 도 3에서는 이중 대역폭이 5, 10, 혹은 20MHz인 경우에 CP의 길이가 1/8Tb (Tb : Useful OFDMA symbol time)인 경우에 예시이다.
도 3에서 예시하는 프레임 구조는 TDD(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 또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에 적용될 수 있다. TDD 방식은 전체 주파수 대역을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로 사용하되, 시간영역에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을 구분하는 것이고, FDD 방식은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고,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각 서브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구획(Frequency Partition)으로 나누어진다. 각 주파수 구획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자원 유닛(Physical Resource Unit, PRU)으로 구성된다. 각 주파수 구획은 국부적(Localized) PRU 및/또는 분산적(Distributed) PRU를 포함한다. 각 주파수 구획은 부분적 주파수 재사용(Fractional Frequency Reuse, FFR)과 같은 목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자원 유닛(PRU)는 N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과 P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자원할당을 위한 기본적인 물리적 유닛이다. 논리적 자원유닛(Localized Resource Unit, LRU)은 분산적 자원할당 및 국부적 자원할당을 위한 기본적인 논리 단위이다. LRU는 P*N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LRU는 PRU에서 사용되는 파일럿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LRU에서의 적절한 부반송파의 개수는 할당된 파일럿의 수에 의존한다.
도 4는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기술 중에 하나의 IEEE 802.16m (혹은 Advanced Air Interface)의 동기 채널 (이하 Advanced-Preamble, A-Preamble이라 명칭)의 구조이다. 20ms의 superframe내에 1개의 OFDMA 심볼을 확장한 Primary 혹은 Secondary Preamble이 4개가 위치하며, 필수 제어정보가 전송되는 SFH는 Secondary Preamble 심볼 뒤에 전송된다. PA-Preamble의 경우에는 frequency reuse 1으로 전송되며, SA-Preamble의 경우에는 frequency reuse 3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SA-Preamble의 경우에는 3가지 섹터 인덱스에 따라서 3가지의 1-to-1 매핑으로 세그먼트가 할당되게 된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 펨토 기지국(Femto-BS)은 사용자에 의해 설치 위치가 선정되고, 매크로 기지국에 비해 작은 커버리지를 갖고 적은 수의 정해진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위치분포가 펨토 기지국 사이 또는 펨토 기지국과 매크로 기지국 사이의 간섭 관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불필요한 중복 설치 및 과밀한 설치를 야기할 수 있으며 주거/사무실 밀집지역의 경우 설치된 펨토 기지국들 간 간격을 좁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외(outdoor)에 설치되는 매크로 기지국의 경우에는 GPS 정보 즉 위도, 경도를 이용하여 상위의 RNC 단에서 기존 설치된 매크로 기지국 간의 거리를 계산해 낼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전송파워를 이용하여 새로 설치된 기지국의 전송자원의 값을 설정해 줄 수 있다.
그러나 펨토 기지국의 이웃 관계는 실내의 장애물의 종류에 따라 불규칙해지므로, GPS 위치정보 만으로 파악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펨토 기지국은 사무실, 가정집 등 주로 실내(indoor)에 설치되므로, GPS 신호의 수신이 힘들어 절대적인 위치를 정확히 판단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펨토 기지국이 설치 되는 환경은 벽과 같은 장애물이 많이 존재하며, 또한 상기 펨토 기지국은 장애물의 종류에 따라 경로 손실의 지수 승(path loss exponent)가 달라 불규칙한 셀 구조(cell structure)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펨토 기지국들이 빌딩 내부, 아파트 등에 분포 될 경우 수평적인 셀 구조가 아닌 수직적인 상하관계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위의 이유 때문에 기지국 간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피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또한 상기 펨토 기지국이 설치된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간섭을 피하는 것이 더욱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에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이웃하는 펨토 기지국 또는 다른 기지국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펨토 기지국의 셀 영역 축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축소 방법은 상기 펨토 기지국이 서비스하지 않는 단말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하지 않는 단말에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핸드 오버 명령에 대한 승낙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셀 영역을 축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접속 허용 리스트 내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드 오버 명령의 전송 단계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상기 접속 허용 리스트 내에 있는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펨토 기지국이 폐쇄 가입자 그룹(Closed Subscriber Group) 기반으로 운용될 경우, 상기 접속 허용 리스트 확인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폐쇄 가입자 그룹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상기 접속 허용 리스트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의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제공자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들이 동일한 경우, 상기 단말로 인해 간섭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셀 영역을 축소하는 단계는 상기 간섭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도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제공자들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미리 설정된 정책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Femto_HO_Command 메시지일 수 있다.
이 때, Femto_HO_Command 메시지는 상기 펨토셀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바로 전송되거나, 핵심망 또는 FNC를 거쳐 단말들이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핸드 오버 명령 전송 단계에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이 복수의 단말로 전송된 경우, 상기 승낙 응답을 수신하지 못함은 상기 복수의 단말 전부로부터 승낙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 오버 명령 전송 단계에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이 복수의 단말로 전송되었고, 일부 단말로부터는 승낙 응답이 수신되고, 다른 단말로부터는 승낙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승낙한 단말을 다른 기지국으로 강제로 핸드 오버시키거나, 펨토 기지국이 단말이 핸드오버를 승낙한 단말의 핸드오버를 취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소 단계는 상기 강제 핸드 오버나 핸드오버 취소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펨토 기지국의 셀 영역 확장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확장 방법은 상기 펨토 기지국의 셀 영역 중 외곽 지역에 위치하고 상기 펨토 기지국이 서비스하지 않는 단말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단말이 허용 리스트 내에 있는지 확인하는 하는 단계와; 상기 허용 리스트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에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핸드 오버 명령에 대한 승낙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의 셀 영역을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펨토 기지국이 폐쇄 가입자 그룹(Closed Subscriber Group) 기반으로 운용될 경우, 상기 허용 리스트 확인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폐쇄 가입자 그룹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상기 허용 리스트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의 셀 영역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핸드 오버 명령에 대한 승낙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셀 영역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는 펨토 기지국을 제공한다. 상기 펨토 기지국은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셀 외곽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받지 않는 단말을 검출하면, 상기 검출된 단말이 허용되는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허용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하지 않는 단말에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핸드 오버 명령에 대한 승낙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셀 영역을 축소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셀 영역을 축소한 이후, 셀 외곽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받지 않는 단말을 검출하면, 상기 검출된 단말이 허용되는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허용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하지 않는 단말에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핸드 오버 명령에 대한 승낙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축소된 셀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상기 허용 리스트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의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제공자와 동일한지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들이 동일한 경우 상기 단말로 인해 간섭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셀 영역을 축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트래픽에 기반한 전력 제어를 통한 셀 확장 및 축소 뿐만이 아니라, 셀 외곽에서 검색된 단말들의 특성(CSG 단말 여부, 같은 서비스 제공자에 속하는지의 여부) 및 채널 상황(간섭 존재유무)을 고려하여, 셀 확장 및 셀 축소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펨토 기지국이 이웃 펨토 기지국 및 매크로 기지국과의 간섭을 최소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펨토 기지국의 전력 소모를 효율적으로 제어 한다. 또한 상기 펨토 기지국은 단말들에게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펨토셀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단말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나, 상기 단말은 UE(User Equipment), ME(Mobile Equipment), MS(Mobile Station)로 불릴 수 있다. 또한, 상기 UE는 휴대폰,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등과 같이 통신 기능을 갖춘 휴대 가능한 기기일 수 있거나, PC,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이 휴대 불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셀 확장 및 축소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단말(100)과, 펨토 기지국(200)과, 매크로기지국(300)과, 다른 종류의 기지국(400)이 나타나 있다.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셀 범위를 확장 또는 축소한다. 이와 같은 확장 및 축소를 셀 브리딩(cell breathing) 기법이라고 한다. 상기 셀 브리딩(cell breathing)기법은 기지국이 커버하고 있는 영역이 트래픽(Traffic) 용량에 따라 일정하게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송신전력(Tx Power)을 알맞게 조정하는 전력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셀(Cell)에 과도하게 트래픽이 부과되면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송신 전력를 줄여 셀의 크기를 줄이게 된다. 상기 펨토 기지국(200)의 셀 외곽에 위치하는 단말의 트래픽은 서비스 가능한 이웃셀(neighbor cell)로 옮겨가게 된다.
상기 펨토 기지국(200)이 단말(100)에게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는 일정 레벨의 품질(QoS)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펨토 기지국(200)이 수신하는 전력 레벨은 이론적으로 거리에 관계없이 모든 단말에 대하여 동일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펨토 기지국(200)에서 멀리 떨어진 단말은 가까운 위치에 있는 단말 보다 더 큰 신호의 송신 파워를 전송해야 하며 Data Rate 가 높은 신호를 보낼 때에도 더 큰 송신 파워로 전송해야 한다. 만일 간섭(Interference)이 증가하면 송신 파워는 커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송신 파워가 커질 수 있는 최대크기는 정해져 있으므로, 따라서 상기 펨토 기지국(200)의 셀이 커버하는 영역이 줄어들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셀 확장 및 축소 방법은 여러 장점이 있으나, 전체 서비스 트래픽 중 한 단말에 대한 비중이 높고, 주변 기지국들과 셀 영역이 겹쳐 인접 기지국에서 서비스 받고 있는 단말들과 간섭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는 단점이 있을 수도 있다.
즉 1~5개 정도의 단말 액세스를 허용하는 경우, 한 단말이 상기 펨토 셀의 전체 트래픽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이 높다. 단말의 이동에 따라 펨토 기지국(200)의 셀이 필요한 트래픽의 양이 크게 변하기 때문에, 펨토 기지국(200)의 셀 영역에 진입하고 나가는 단말의 이동을 고려하여 전력제어를 통해 셀 브리딩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펨토 기지국(200)의 셀은 빈번하게 인접한 펨토 기지국(200)의 셀 또는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받는 단말과 간섭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펨토 기지국(200)의 셀 외곽에 더 이상 서비스할 단말(100)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펨토 기지국(200) 셀의 송신 파워를 낮춰 셀의 서비스 영역을 줄여야 한다. 또한 셀 영역을 줄임으로써 불필요한 펨토 셀의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펨토 기지국(200)의 셀은 접근허용정책에 따라 폐쇄 가입자 그룹(Closed Subscriber Group: CSG)과 개방 접속 그룹(Open Access)로 구분할 수 있 다. 상기 폐쇄 가입자 그룹(CSG)의 경우 해당 펨토 기지국(200) 셀에 허용된 사용자 단말에 한해서 상기 펨토 기지국(200)셀에 대한 접근을 허용한다. 상기 개방 접속 그룹(Open Access)의 경우 펨토 기지국(200)셀이 서비스 가능한 단말들에 대해 제한 없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3GPP에서는 펨토 기지국(200)셀은 단말이 폐쇄 가입자 그룹을 이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폐쇄 가입자 그룹(CSG) ID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은 접근할 수 있는 펨토 기지국들의 셀들에 대한 폐쇄 가입자 그룹(CSG) ID 리스트, 즉 Femto-cell White List를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상기 셀의 확장 및 축소에서 상기 접근 허용 정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후술할 제2 실시예에서는 단순히 해당 펨토 기지국(200)의 트래픽 양에 따라 전력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셀 외곽에서 단말이 검색될 경우, 상기 허용 접근 정책에 따라 셀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는 셀 외곽에서 단말이 검색될 경우 상기 단말이 현재 펨토 기지국(200) 셀의 CSG에 속한의 여부, 같은 서비스 공급자(SP, Service Provider)에 속한지의 여부에 따라 셀을 확장 및 축소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상기 셀 외국에서 검출된 단말이 상기 허용 접근 정책 내에 있는지의 여부와, 상기 검출된 단말이 동일한 사업자에 속하는 것인지의 여부는 핵심 망이나 펨토 셀 제어국(Femtocell Controller),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FNC 또는 MME에 문의하여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셀 축소 방법의 흐름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셀 축소 방법은 축소 조건인 셀에 수용 가능한 트래픽 양이 초과되었을 경우 뿐 만이 아니라, 셀 외곽에서 다른 기지국에 서비스 받는 단말과 간섭이 일어나는 경우, 그리고 실제 간섭이 없더라도 현재 펨토 기지국(200)의 셀로부터 서비스 받는 단말이 없는 경우에, 간섭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하고 전력소모방지 (Power Saving)를 위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펨토 기지국(200)의 셀의 외곽에 위치하여 서비스 받는 단말의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200)의 셀 영역 축소 됨에 따라,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받지 못하게 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을 매크로 셀이나 이웃 펨토셀로 핸드오버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단말(100) 또는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주기적으로 펨토 셀의 채널 검색(searching)을 수행한다(S111). 이때 상기 채널 검색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슈퍼 프레임, 또는 동기 채널(Advanced-Preamble)의 검색일 수 있다. 또는,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의 검색일 수 있다.
상기 채널 검색에 의해 상기 펨토 기지국(200)이 서비스하지 않는 단말(100)이 검출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112).
상기 펨토 기지국(200)이 서비스하지 않는 단말인 경우, 상기 단말을 식별한 다. 상기 단말의 식별은 상기 단말의 ID를 확인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식별은 상기 펨토 기지국(200)이 핵심 망을 통하여 상기 펨토 기지국(200) 이 속한 매크로 셀에서 현재 서비스 중인 단말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서비스 중인 단말을 통해서나, 혹은 직접 상기 단말의 상향 제어 정보(CQI, SRS)를 수신한 후에, 상기 핵심 망을 통해 받은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상기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상기 단말이 허용되는 단말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114). 즉 폐쇄 가입자 그룹(CSG)에 속하는 단말인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를 허용 단말 리스트(Allowed List)와 비교한다. 상기 허용 단말 리스트는 상기 펨토 기지국(200)에 접근 가능한 단말의 리스트 정보이다.
상기 단말이 허용되는 단말인 경우, 즉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가 상기 허용 단말 리스트에 기입되어 있는 경우(즉, 상기 단말이 폐쇄 가입자 그룹 단말인 경우), 상기 단말에게 상기 펨토 기지국(200)으로의 핸드 오버 명령, 예컨대 Femto_HO_Command 메시지를 전송한다(S115).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명령에 대한동의 메시지를 수신하는지 확인한다 (S116).
상기 펨토 기지국(200)이 상기 핸드 오버 명령에 대한 동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셀범위를 유지한다(S117).
상기 펨토 기지국(200)이 상기 핸드 오버 명령에 대한 비동의 메시지를 수신 하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셀 범위를 축소한다(S121). 이때 상기 단말은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기지국(Serving BS)에서 충분히 만족하는 서비스 품질(QoS)로 서비스를 받고 있거나, 일정 속도이상으로 이동하는 중일 때, 상기 핸드 오버 명령에 대해 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이 허용되지 않는 단말인 경우, 즉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가 상기 허용 단말 리스트에 기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즉, 상기 단말이 폐쇄 가입자 그룹에 속하지 않은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상기 단말이 동일한 서비스 제공자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8).
상기 단말의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제공자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 처리한다. 상기 정책은 상기 펨토 기지국(200)의 운영자에 의해서 설정될 수도 있고, 혹은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서 설정될 수도 있다. 그 밖에 상기 정책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의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펨토 기지국(200)의 서비스 제공자와 동일한 경우, 간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120). 이때, 단말들은일반적으로 주기적으로 채널 품질값인 SINR(Signal-to-Inteference Ratio) 정보를 전송하므로,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상기 수신되는 SINR 정보의 변화를 통해서 상기 간섭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실내에서 서비스를 받는 단말은 이동성이 낮다고 가정할 수 있으므로, 갑작스런 SINR의 변화는 인접 단말에 의한 간섭의 영향이 반영된 것이다.
간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셀범위를 유지한다(S117).
그러나, 간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셀 범위를 축소한다(S121). 즉 상기 펨토 기지국(200)dl 현재 셀영역을 유지하면 해당 인접 단말이 간섭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셀 영역 축소를 시행한다.
한편, 상기 단말 식별 과정(S113)에서, 상기 단말을 식별할 수 없는 경우와, 상기 단말이 다른 서비스 제공자의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잇는 단말인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서비스 정책에 따라 셀 범위를 축소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의 확인 과정(S116)에서 상기 펨토 기지국(200)이 복수의 단말에게 핸드 오버 명령을 전송하였으나, 일부 단말들은 승낙하지 않았으나 다른 단말들은 승낙한 경우, 상기 다른 단말들을 위해서 상기 셀 범위를 축소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펨토 기지국(200)이 복수의 단말에게 핸드 오버 명령을 전송하였으나, 일부 단말들은 승낙하지 않았고 다른 단말들은 승낙한 경우, 상기 셀 범위를 유지하는 대신, 상기 승낙한 단말을 매크로 기지국으로 강제로 핸드오버 시키고, 셀을 축소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전이라면 핸드오버 취소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에 승낙한 단말을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강제로 핸드오버 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승낙한 한말은 상기 펨토 기지국(200)의 셀 외곽에 위치하여야 하고, 상기 매크로 셀이나 이웃 펨토 기지국으로 핸드오버가 가능해야 한다. 이때,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QoS나 여러 정보, 정책 등을 고려하여 상기 강제 핸드 오버의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이 때, 셀 외곽 지역에 펨토 기지국에 접속중인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단말도 역시 셀 축소를 위해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시키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셀 확장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셀 확장은 펨토 기지국(200)이 인접 기지국과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서 혹은 전력소모방지를 위해서 셀 영역을 축소했었으나, 현재 서비스하고 있지 않은 축소된 셀 외곽 지역에 펨토셀이 서비스 가능한 단말이 진입했을 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셀 외곽 지역에 단말이 있는지의 여부는 단말로부터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 또는 SLS을 수신함으로써 달성 수 있다.
상기 셀 영역 확장은 상기 펨토 기지국(200)이 자신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지 않는 단말을 발견하였고, 상기 단말의 서비스 사업자와 상기 펨토 기지국(200)의 서비스 사업자가 동일한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셀 영역 확장은 상기 단말이 허용된 단말인지의 여부, 즉 폐쇄 가입자 그룹에 속한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발견된 단말의 서비스 사업자와 상기 펨토 기지국(200)의 서비스사업자가 동일하고, 상기 발견된 단말이 폐쇄 가입자 그룹에 속한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전송 전력을 높여 셀 영역 확장을 실시해 해당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견된 단말이 매크로 기지국(300)로부터 서비스를 받 고 있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핸드오버 명령, 예컨대 HNB_HO_Command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이 상기 핸드 오버 명령에 승낙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셀 확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단말(100) 또는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주기적으로 펨토 셀의 채널 검색(searching)을 수행한다(S211). 이때 상기 채널 검색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슈퍼 프레임, 또는 동기 채널(Advanced-Preamble)의 검색일 수 있다. 또는,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의 검색일 수 있다.
상기 채널 검색에 의해 상기 펨토 기지국(200)이 서비스하지 않는 단말(100)이 셀 외곽에서 검출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212).
상기 펨토 기지국(200)이 서비스하지 않는 단말인 경우, 상기 단말을 식별한다(S213). 상기 단말의 식별은 상기 단말의 ID를 확인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식별은 상기 펨토 기지국(200)이 핵심 망을 통하여 상기 펨토 기지국(200) 이 속한 매크로 셀에서 현재 서비스 중인 단말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서비스 중인 단말을 통해서나, 혹은 직접 상기 단말의 상향 제어 정보(CQI, SRS)를 수신한 후에, 상기 핵심 망을 통해 받은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상기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상기 단말이 허용되는 단말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214). 즉 폐쇄 가입자 그룹(CSG)에 속하는 단말인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를 허용 단말 리스트(Allowed List)와 비교한다. 상기 허용 단말 리스트는 상기 펨토 기지국(200)에 접근 가능한 단말의 리스트 정보이다.
상기 단말이 허용되는 단말인 경우, 즉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가 상기 허용 단말 리스트에 기입되어 있는 경우(즉, 상기 단말이 폐쇄 가입자 그룹 단말인 경우), 상기 단말에게 상기 펨토 기지국(200)으로의 핸드 오버 명령, 예컨대 Femto_HO_Command 메시지를 전송한다(S215). 그러나, 이때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상기 단말(100)의 상태가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지 않는 휴지 모드(Idle 모드)일 경우, 상기 핸드 오버 명령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상기 단말(100)이 상기 휴지 모드이므로, 상기 펨토 기지국(200)이 상기 단말(100)에게 서비스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 펨토 기지국(200)이 상기 단말(100)이 휴지 모드인지의 여부는 상기 휴지 모드에 있는 단말(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위치 수정(Location Update)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알 수 있다.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상기 단말(100)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명령에 대한동의 메시지를 수신하는지 확인한다(S116). 여기서 상기 단말(100)이 상기 핸드오버 명령에 승낙하는 경우는, 상기 단말(100)이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기지국(Serving BS)의 QoS(Quality of Service) 보다 높은 QoS와 고대역(High Bandwidth)로 서비스를 상기 펨토 기지국(200)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을 때이다.
상기 펨토 기지국(200)이 상기 핸드 오버 명령에 대한 동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셀범위를 확장한다(S217)..
한편, 상기 펨토 기지국(200)이 상기 핸드 오버 명령에 대한 비동의 메시지 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200)은 셀 범위를 유지한다(S218).
이때, 상기 단말(100)이 상기 핸드 오버 명령을 거절하는 경우는, 상기 단말(100)이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기지국(Serving BS)의 QoS이 충분히 만족스럽거나, 일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 중일 때이다.
또한, 상기 단말(100)이 상기 핸드 오버 명령을 거절하는 경우는, 상기 단말(100)의 상태가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지 않는 휴지 모드(Idle 모드)일 때이다.
여기까지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저장 매체(예를 들어, 내부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하드 디스크, 기타 등등)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예를 들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내에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따른 단말(100) 및 펨토 기지국(2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100)은 저장 수단(110)와 컨트롤러(120)와 송수신부(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펨토 기지국(200)는 저장 수단(210)와 컨트롤러(220)와 송수신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 수단들(110, 22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 내지 제2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저장한다.
상기 컨트롤러들(120, 220)은 상기 저장 수단들(110, 210) 및 상기 송수신부들(130, 230)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들(120, 220)은 상기 저장 수 단들(110, 210)에 저장된 상기 방법들을 각기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들(120, 220)은 상기 송수신부들(130, 230)을 통해 상기 전술한 신호들을 전송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펨토셀 기반의 네트워크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은 종래 기술에 따른 펨토셀 기반의 네트워크 구조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라 펨토셀과 매크로 셀에서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슈퍼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셀 확장 및 축소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셀 축소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셀 확장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따른 단말(100) 및 펨토 기지국(200)의 구성 블록도이다.

Claims (16)

  1. 펨토 기지국의 셀 영역 축소 방법으로서
    상기 펨토 기지국이 서비스하지 않는 단말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하지 않는 단말에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핸드 오버 명령에 대한 승낙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셀 영역을 축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기지국의 셀 영역 축소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허용 리스트 내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드 오버 명령의 전송 단계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상기 허용 리스트 내에 있는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기지국의 셀 영역 축소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 기지국이 폐쇄 가입자 그룹(Closed Subscriber Group) 기반으로 운용될 경우,
    상기 허용 리스트 확인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폐쇄 가입자 그룹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기지국의 셀 영역 축소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상기 허용 리스트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의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제공자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들이 동일한 경우, 상기 단말로 인해 간섭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셀 영역을 축소하는 단계는 상기 간섭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도 추가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기지국의 셀 영역 축소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들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미리 설정된 정책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기지국의 셀 영역 축소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Femto_HO_Command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기지국의 셀 영역 축소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이 복수의 단말로 전송된 경우,
    상기 승낙 응답을 수신하지 못함은 상기 복수의 단말 전부로부터 승낙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기지국의 셀 영역 축소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이 복수의 단말로 전송되고, 일부 단말로부터는 승낙 응답이 수신되고, 다른 단말로부터는 승낙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승낙한 단말을 다른 기지국으로 강제로 핸드 오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소 단계는 상기 강제 핸드 오버 이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g는 셀 영역 축소 방법.
  9. 펨토 기지국의 셀 영역 확장 방법으로서
    상기 펨토 기지국의 셀 영역 중 외곽 지역에 위치하고 상기 펨토 기지국이 서비스하지 않는 단말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단말이 허용 리스트 내에 있는지 확인하는 하는 단계와;
    상기 허용 리스트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에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핸드 오버 명령에 대한 승낙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의 셀 영역을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영역 확장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 기지국이 폐쇄 가입자 그룹(Closed Subscriber Group) 기반으로 운용될 경우,
    상기 허용 리스트 확인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폐쇄 가입자 그룹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기지국의 셀 영역 확장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상기 허용 리스트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의 셀 영역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영역 확장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핸드 오버 명령에 대한 승낙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셀 영역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영역 확장 방법.
  13. 펨토 기지국으로서,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셀 외곽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받지 않는 단말을 검출하면, 상기 검출된 단말이 허용되는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허용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하지 않는 단말에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핸드 오버 명령에 대한 승낙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셀 영역을 축소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기지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셀 영역을 축소한 이후,
    셀 외곽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받지 않는 단말을 검출하면, 상기 검출된 단말이 허용되는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허용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하지 않는 단말에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핸드 오버 명령에 대한 승낙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축소된 셀 영역을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기지국.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상기 허용 리스트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의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제공자와 동일한지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들이 동일한 경우 상기 단말로 인해 간섭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셀 영역을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기지국.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이 복수의 단말로 전송된 경우,
    상기 승낙 응답을 수신하지 못함은 상기 복수의 단말 전부로부터 승낙을 수 신하지 못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기지국.
KR1020090049203A 2009-06-03 2009-06-03 펨토 기지국 및 셀 영역 확장/축소 방법 Withdrawn KR201001304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203A KR20100130482A (ko) 2009-06-03 2009-06-03 펨토 기지국 및 셀 영역 확장/축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203A KR20100130482A (ko) 2009-06-03 2009-06-03 펨토 기지국 및 셀 영역 확장/축소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482A true KR20100130482A (ko) 2010-12-13

Family

ID=43506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203A Withdrawn KR20100130482A (ko) 2009-06-03 2009-06-03 펨토 기지국 및 셀 영역 확장/축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04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7262A (ko) * 2012-05-14 2013-11-22 주식회사 케이티 펨토셀 용량 최적화를 고려한 셀 리다이렉션 처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7262A (ko) * 2012-05-14 2013-11-22 주식회사 케이티 펨토셀 용량 최적화를 고려한 셀 리다이렉션 처리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9101B2 (en) Cell management method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US8265685B2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9084271B2 (en) Femto base station and method for managing resource thereof
KR101558883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계층적인 셀 운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40832B1 (ko) 공존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대한 효율적 주파수 할당
US8285293B2 (en) Femtocell base station, and a method of radio communication in a network comprising a femtocell base station
KR101471461B1 (ko) 이웃 셀 리스트들을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들, 방법들 및 장치
KR101268999B1 (ko) 애드-혹 스몰-커버리지 기지국을 위한 액세스 제어
KR101637587B1 (ko) 펨토 기지국에서 연결 설정을 제어하는 방법 및 단말에서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US8599784B2 (en) Femto base station and method for allocating radio resource thereof
US9414275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handover to femto base station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55830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접속 모드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40016598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for inter-heterogeneous cell interference adjust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55800B2 (en) Handover method
KR20100112710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057099A (ko)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상에 캠프된 액세스 단말들의 핸들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934912B2 (en) Method for deciding unregistered macrocell user equipment adjacent to femtocell base station
US20110195720A1 (en) Method for manag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heterogeneous cells
US20100177695A1 (en) Technique for interference mitigation using mobile station signaling
KR101527035B1 (ko) 동기 채널과 필수 제어 정보 채널의 전송 방법 및 그 펨토 기지국
US20130210444A1 (en) Network element,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103945498A (zh) 在异构网络中用于为用户设备发现和选择接入网的方法
JP6109754B2 (ja) モバイル支援されたリバースリンク干渉管理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EP29250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gulating frequent cell reselections by idle-mode mobile devices
US8787914B2 (en) Method of operating closed-mode base station and non-subscriber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