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8994A - Filter device - Google Patents
Filter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28994A KR20100128994A KR1020090047711A KR20090047711A KR20100128994A KR 20100128994 A KR20100128994 A KR 20100128994A KR 1020090047711 A KR1020090047711 A KR 1020090047711A KR 20090047711 A KR20090047711 A KR 20090047711A KR 20100128994 A KR20100128994 A KR 201001289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support member
- filters
- air
-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저가의 필터로 필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필터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는, 복수개의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및, 복수의 필터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며 공기의 유입구와 배출구가 상호 마주하지 않도록 관통 형성되는 지지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탈진 가능한 복수의 필터로 인한 필터링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경제성과 필터성능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isclosed is a filter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filter performance with a low cost filter. The filt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filters, and a support unit detachably supporting the plurality of filters and penetratingly formed so that the inlet and outlet of the air do not face each other.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filtering area due to the plurality of dust extractable filters can be increased, thereby improving both the economic efficiency and the filter performa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터링 면적 증가에 따른 필터 성능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ter device that can improve the filter performance and economics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filtering area.
일반적인 공조 및 산업용 집진시스템들은 다단계의 집진필터로 이루어진 필터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필터장치는 일반적으로 1차 필터와 2차 필터로 구성된다. 상기 1차 필터는 보조 필터로써, 큰 입경의 가진 분진과 이물질 등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이에 반해, 상기 2차 필터는 실제 현상에서 요구되는 수준의 미세먼지까지 집진하는 메인 필터로써 역할을 가진다. Common air conditioning and industrial dust collection systems include a filter unit consisting of a multi-stage dust collection filter. Such a filter device is generally composed of a primary filter and a secondary filter. The primary filter is an auxiliary filter, and serves to filter dust and foreign substances having a large particle diameter. In contrast, the secondary filter serves as a main filter that collects fine dust of a level required in actual development.
한편, 여과식 필터장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극의 크기, 전체 필터면적 대비 전체 공극면적의 비를 이용한 공극률, 그리고, 여과면적이라는 세가지의 물리적 개념으로 성능을 판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공극의 크기는 걸러낼 수 있는 먼지의 크기와 직접 관련되는 수치이다. 상기 공극률은 필터 전체 면적에서 실제 공기가 공과할 수 있는 면적을 의미하므로, 100%에 가까울수록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하여 공기의 차압을 낮추고 처리 풍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여과면적은 필터의 면적이 넓어질수록 전체 처리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On the other hand,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can determine the performance based on three physical concepts: the size of the pores through which air can pass, the porosity using the ratio of the total pore area to the total filter area, and the filtering area. First of all, the pore size is a value directly related to the size of the dust to be filtered out. Since the porosity means an area that can actually be aired in the entire area of the filter, the closer to 100%, the smoother the flow of air, thereby lower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air and increasing the processing air volume. In addition, the filtration area is a factor that can increase the total amount of air treatment as the area of the filter is wider.
상기 1차 필터로는 일반적으로 부직포 및 큰 입경을 가지는 메쉬필터 등과 같은 차압이 낮게 걸리고 공기 투과도가 우수한 여과식 필터가 사용되거나, 산업현장과 같이 다량의 분진이 발생하는 곳에서는 사이클론과 같은 원심력을 이용한 집진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상기 2차 필터로는 미세한 입경을 가지는 미디엄(Medium) 필터가 주로 사용되며, 산업현장에서는 탈진 가능한 백필터(Bagfilter)가 적용되기도 한다. Generally, the primary filter is a low pressure differential filter such as a nonwoven fabric and a mesh filter having a large particle diameter, and a filter having excellent air permeability is used, or a centrifugal force such as a cyclone is used where a large amount of dust is generated, such as an industrial site. The dust collecting method used can be adopted. As the secondary filter, a medium filter having a fine particle diameter is mainly used, and a bag filter that can be dedusted may be applied in an industrial site.
한편, 상기 2차 필터로 사용되는 미디엄필터는 공조용 덕트 규격에 맞춰 대략 592*592mm의 규격으로 제작되는데, 미세한 입경과 낮은 공극률로 인해 공기흐름이 원활하지 못한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미디엄필터는 절곡(Pleat) 형태로 제작되어 정해진 면적에서 필터의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는 두꺼운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좁은 면적에 깊게 절곡된 필터구조로 인해 집진된 미세먼지들의 탈진이 어려워 1회용으로 사용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On the other hand, the medium filter used as the secondary filter is manufactured in a size of approximately 592 * 592mm in accordance with the air conditioning duct specifications, it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the air flow is not smooth due to the fine particle diameter and low porosity. Therefore, the medium filter is manufactured in a bent form and has a thick structure that can maximize the area of the filter in a predetermined area. However, due to the filter structure deeply bent in a narrow area, dust collection is difficult to collect dust, which causes a problem of being used for single use.
또한, 산업용 집진장치의 경우, 상기 2차 필터로 강성을 가지는 합섬섬유로 형성되어 탈진 가능한 원통형 백필터가 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원통형 백필터의 경우, 진도, 에어펄스 등의 탈진수단과 연결되어 탈진됨에 따라 장기간 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그런데, 상기 백필터는 필요 처리 풍량에 따라 그의 수량이 결정되어짐에 따라, 장비의 부피가 크고 가격이 비싼 단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제작이 어려운 단점도 가진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industrial dust collector, a cylindrical bag filter which is formed of a synthetic fiber having rigidity as a secondary filter and which can be dusted is mainly used. In the case of the cylindrical bag filter as described above, as it is connected to the dust removal means such as the intensity, air pulse, etc., it ha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a long life. By the way, the bag filter has a disadvantage that the volume of the equipment is large and expensive as the quantity thereof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required to be processed. In addition, there are disadvantages that are difficult to manufactu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필터링 면적 증가에 따른 필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필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filter device capable of improving filter performance according to an increase in filtering area.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진 가능하게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필터를 마련하여 별도의 탈진수단 없이 필터의 사용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필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ter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service life of the filter without a separate dust removal means by providing a plurality of filter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dust can be remov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필터장치는, 필터유닛 및 지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 filter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lter unit and a support uni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유닛은 복수개의 필터를 포함하며, 특히 평면형 필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필터는 공기의 유입방향에 대해 상호 나란하도록 수직하게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필터가 다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ilter unit comprises a plurality of filters, in particular a planar filter. Here, the plurality of filters may b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paralle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inflow direction of the air, the plurality of filters may be formed in a multi-layer.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복수의 필터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며, 공기의 유입구와 배출구가 상호 마주하지 않도록 관통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유닛은, 공기의 유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필터의 전면을 지지하며 공기 유입구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1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와 마주하도록 상기 공기의 유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필터의 후면을 지지하며 공기의 배출구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지지부재,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의 하부를 상호 연결시키며 상기 집진된 오물이 배출되는 수거구가 마련되는 제3지지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의 상부를 상호 연결시켜 상기 제3지지부재와 마주하는 제4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는 상호 마주하지 않도록 상기 필터를 사이에 두고 교차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복수의 필터를 모두 경유할 수 있게 된다. The support unit detachably supports the plurality of filters and is formed to penetrate the air inlet and outlet so that they do not face each other. Specifically, the support unit may support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on the basis of the inflow direction of air, and the first inlet of the air inlet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inflow direction of the air to face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second support member, which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and the air outle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terconnects the low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and a collection port through which the collected dust is discharged is provided. And a third support member, and a fourth support member facing the third support member by interconnecting upp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In this case,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formed at positions intersecting the filter so as not to face each other, so that air can pass through all of the plurality of filters.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는 상기 복수의 필터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며, 이를 위해, 상기 제4지지부재는 상기 제2지지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 제3지지부재가 상기 제2지지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는 변형예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selectively open the plurality of filters, and for this purpose, the fourth support member is hing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However, it is obvious that a modification in which the third support member is hing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also possible.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필터의 장착 및 유동 억제를 가이드하도록 밀폐재질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support members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rail formed of a sealing material to guide the mounting and flow suppression of the plurality of filters.
한편, 상기 지지유닛의 하부에는 상기 복수의 필터로부터 필터링된 오물이 낙하하여 수거되도록 상기 지지유닛의 하부 즉, 제3지지부재의 수거구와 연통하는 수거통이 마련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unit is provided with a container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unit, that is, the collection port of the third support member so that the dirt filtered from the plurality of filters are collected by falling.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필터를 사이에 두고 유입구와 배출구가 상호 마주하지 않도록 마련되는 지지유닛을 구비함에 따라, 오물을 포함한 공기가 복수의 필터를 모두 경유할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복수의 필터를 통한 필터링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필터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 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first, by having a support unit provided so that the inlet and outlet do not face each other with the filter therebetween, the air including the dirt can pass through all the plurality of filters. . As a result, the filtering area through the plurality of filters can be increased, thereby improving the filter performance.
둘째, 필터링 면적을 필터의 개수의 조절로 자유롭게 조절 가능함에 따라, 필터장치의 부피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해진다. 그로 인해, 사용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향상된 필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Second, as the filtering area can be freely adjust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filters, the volume of the filter device can be freely adjus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ilter device with improved adaptability to the use environment.
셋째, 지지유닛에 대해 필터가 수직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탈진 가능함에 따라, 별도의 탈진수단 없이도 자체적인 탈진이 가능해져 필터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경제성이 향상된 필터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ird, as the filter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unit, the dust can be removed without additional dust removal means, thereby improving the life of the filt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ilter device with improved economic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장치(1)는 필터유닛(10) 및 지지유닛(20)을 포함한다. 1, the
상기 필터유닛(10)은 복수개의 필터(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11)는 상호 병렬 배치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평면형 필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필터(11)는 부직포, 메쉬필터 및 합성섬유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는 미디엄필터로써, 입경이 큰 분진 및/또는 이물질을 1차 필터링하는 1차 필터(미도시)의 후단에 마련되어 1차 필터링되지 못한 미세 오물을 필터링하는 2차 필터로 예시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터(11)가 평면형 필터인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하나, 얇게 절곡된 필터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The
이러한 복수의 필터(11)들은 도 1의 도시와 같이, 공기의 유입방향(F)과 나란하도록 상호 나란하도록 수직하게 병렬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 복수의 필터(11)들이 상호 나란하게 병렬 배치된 다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필터(11)들의 개수는 도 1의 도시로 한정되지 않는다.Such a plurality of
상기 지지유닛(20)은 상기 복수의 필터(11)를 탈진 가능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1)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41)가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유닛(20)은 도 1의 도시와 같이, 공기의 유입방향(F)을 기준으로 필터(11)의 전면, 후면, 하면 및 상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상호 연결된 제1 내지 제4지지부재(30)(40)(50)(6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필터유닛(10)의 좌/우측면은 오물(M)을 포함한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제1 및 제2보조 지지부재(70)(80)에 의해 감싸 지지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지지부재(30)는 공기의 유입방향(F)을 기준으로 상기 필터(11)의 전면을 지지하며, 공기의 유입구(31)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마련된다. 상기 제2지지부재(40)는 상기 제1지지부재(30)와 마주하도록 공기의 유입방향(F)을 기준으로 필터(11)의 후면을 지지하며, 공기의 배출구(41)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된다. The
여기서, 상기 제1지지부재(30)의 유입구(31)와 제2지지부재(40)의 배출구(41)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호 마주하지 않도록 필터(11)를 사이에 두고 교차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그로 인해,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오물(M)을 포함한 공기가 복수의 필터(11)를 모두 경유할 수 있어, 상기 공기의 유입방향(F)에 대해 나란하게 병렬 배치된 복수의 필터(11)들의 전체 면적이 필터링 면적으로 작동될 수 있게 된다. Here, the
상기 제3지지부재(50)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30)(40)의 하부를 상호 연결시키도록, 공기의 유입방향(F)을 기준으로 필터(11)의 하면을 감싸 지지한다. 상기 제3지지부재(50)에는 상기 필터(11)를 통해 필터링된 오물이 배출되는 수거구(51)가 마련된다. The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지지부재(50)의 수거구(51)와 연통하도록 지지유닛(20)이 하부에 수거통(52)이 마련됨으로써, 수거구(51)를 통해 낙하하는 필터링된 오물을 수거하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한다.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since the
상기 제4지지부재(60)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30)(40)의 상부를 상호 연결시키도록, 상기 공기의 유입방향(F)을 기준으로 필터(11)의 상면을 감싸 지지한다. 그로 인해, 상기 제4지지부재(60)는 상기 제3지지부재(50)와 마주한다. The fourth supporting
한편, 상기 지지유닛(20)은 상기 지지하는 복수의 필터(11)들의 개별적인 교체를 위해, 상기 복수의 필터(11)들을 지지한 상태로 어느 일측이 개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4지지부재(60)가 상기 제2지지부재(4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H)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 경우, 상기 제2지지부재(40)가 상기 필터(11)를 지지하는 지지위치를 벗어나 필터(11)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로 제4지지부재(60)에 대해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2지지부재(40)와 연결된 제1지지부재(30)도 함께 상기 필터(11)의 개방위치로 함께 회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그로 인해,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 지지유닛(20)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필터(11)들을 개별적으로 지지유닛(20)으로부터 분리시켜 교체시킬 수 있게 되어, 필터(11)의 탈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3, the plurality of
참고로, 상기와 같이 필터(11)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와 필터(11)를 지지하는 지지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제4지지부재(60)는, 상기 개방위치에서 지지위치로 회전될 때 충분한 압력을 가해 밀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For reference, the
한편, 상기 지지유닛(20)의 제1 내지 제4지지부재(30)(40)(50)(60)에 의해 지지되는 필터(11)들은 제1 내지 제4지지부재(30)(40)(50)(60)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지부재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61)에 의해 지지됨이 가이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61)은 상기 공기의 유입방향(F)에 대해 나란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필터(11)의 지지된 상태가 유동되지 않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가이드레일(61)은 밀폐력이 우수한 밀폐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유닛(10)으로 유입된 공기의 누출을 차단함이 좋다. Meanwhile, the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61)이 상기 제4지지부재(60)에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그러나, 꼭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부재(30)(40)(50)(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모든 지지부재(30)(40)(50)(60)들에 모두 마련되는 변형예가 가능함은 당연하다. 3 and 4, the guide rails 61 are provided in the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4지지부재(60)가 제2지지부재(4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H)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 힌지(H)의 설치위치는 변형 가능하다. 즉,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3지지부재(50)가 제2지 지부재(4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H) 연결되는 변형예도 가능한 것이다.For referenc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1)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환기 덕트(F)의 내부에 장착되어 오물(M)을 포함한 공기(F)로부터 오물(M)을 필터링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장치(1)를 경유한 공기는 오물(M)이 필터링된 깨끗한 공기로 환기 덕트(F)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Th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1)는 상기와 같은 환기 덕트(F) 뿐만 아니라, 산업용 환기팬(미도시)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장치(10)를 좌우상하로 다단 연결하여 처리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1)는 탈진을 위한 별도 진동수단이나 에어펄스수단과 연결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Meanwhil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 3은 필터 개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lter open state;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3;
도 5는 도 3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 3, and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가 환기 덕트에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ventilation duc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필터장치 10: 필터유닛1: filter unit 10: filter unit
11: 필터 20: 지지유닛11: filter 20: support unit
30: 제1지지부재 31: 유입구30: first support member 31: inlet
40: 제2지지부재 41: 배출구40: second support member 41: outlet
50: 제3지지부재 51: 수거구50: third support member 51: collection port
60: 제4지지부재 61: 가이드레일60: fourth supporting member 61: guide rail
70: 수거통70: container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7711A KR20100128994A (en) | 2009-05-29 | 2009-05-29 | Filter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7711A KR20100128994A (en) | 2009-05-29 | 2009-05-29 | Filter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8994A true KR20100128994A (en) | 2010-12-08 |
Family
ID=43505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7711A Ceased KR20100128994A (en) | 2009-05-29 | 2009-05-29 | Filter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28994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9682A (en) * | 2018-03-16 | 2019-09-26 | 김인철 | Dust Collector |
KR20200000584U (en) * | 2018-09-06 | 2020-03-16 | 주식회사 이엠코 | Metal filter |
KR20210000921U (en) * | 2019-10-21 | 2021-04-29 | 주식회사 이엠코 | Metal filter |
KR102526250B1 (en) * | 2023-01-07 | 2023-04-27 | (주)케이에스지기술환경 | Dust collection apparatus for a paint drying booth by heat treatment of a car |
-
2009
- 2009-05-29 KR KR1020090047711A patent/KR20100128994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9682A (en) * | 2018-03-16 | 2019-09-26 | 김인철 | Dust Collector |
KR20200000584U (en) * | 2018-09-06 | 2020-03-16 | 주식회사 이엠코 | Metal filter |
KR20210000921U (en) * | 2019-10-21 | 2021-04-29 | 주식회사 이엠코 | Metal filter |
KR102526250B1 (en) * | 2023-01-07 | 2023-04-27 | (주)케이에스지기술환경 | Dust collection apparatus for a paint drying booth by heat treatment of a ca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92471B2 (en) | Filter cassette, filter arrangement structure and gas turbine equipped with such a filter cassette | |
KR102498701B1 (en) | Multi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ultrasonic shaking structure using cyclone and filter bag | |
CA2782724C (en) | Air intake for a plant | |
CN105465941B (en) | Air flow exchanging device | |
US9174162B2 (en) | Machine tool mounted mist collector with filter clamp | |
CN114080265B (en) | Air filter assembly with improved liquid drainage | |
KR20150067664A (en) | Water purifying filter | |
KR20100128994A (en) | Filter device | |
CN101108111A (en) | Whirlwind separating mechanims used for vacuum cleaner | |
KR20100012376A (en) |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 |
JP2008082324A (en) | Air cleaner | |
CN105344169B (en) | Industrial filter | |
KR102233450B1 (en) | Air quality improvement system for train cabin | |
JP4390738B2 (en) | Air cleaner | |
KR101552148B1 (en) | The rotary type air filtering apparatus for industrial | |
JP4882613B2 (en) | Air cleaner filter and air cleaner | |
KR101040723B1 (en) | Reduction device with dust collector DVTS | |
KR20160113338A (en) | Dust collector for workshop | |
US8758487B2 (en) | Machine tool mounted mist collector | |
KR20140091384A (en) | Dust filter systme with container type | |
CN206082037U (en) | Energy -conserving air cleaner of high flux | |
KR100704336B1 (en) | Cyclone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
CN210543909U (en) | Small-size air cleaner for train | |
CN203183843U (en) | Workshop smoke dust self-circulation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 |
CN209240270U (en) | The dedusting noise reduction system of stone material cutt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9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7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5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4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2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