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435A - Decorating material from glancing angle de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corating material from glancing angle de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r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20435A KR20100120435A KR1020090039241A KR20090039241A KR20100120435A KR 20100120435 A KR20100120435 A KR 20100120435A KR 1020090039241 A KR1020090039241 A KR 1020090039241A KR 20090039241 A KR20090039241 A KR 20090039241A KR 20100120435 A KR20100120435 A KR 201001204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position
- uneven pattern
- metal
- decorative material
- pattern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4—Metallic leaves or foils, e.g. gold lea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0—Applying plastic materials and superficially modelling the surface of these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증착을 통해 요철패턴부의 일부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경사 증착을 이용한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질감과 색상을 느낄 수 있고 요철패턴이 형성된 경화수지와 금속간의 반사율 또는 투과율의 차이에 의해 더욱 입체감 있는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조 공정에 있어서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경사 증착으로 금속층을 형성하여 수율 및 공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ve material using a gradient deposition to form a metal layer on a portion of the uneven pattern portion through the gradient deposi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can feel a different texture and color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and between the cured resin and the metal with the uneven pattern formed The difference in reflectance or transmittance can provide a more three-dimensional aesthetic. In additio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form a metal layer by gradient deposition without using a mask to improve the yield and process capability.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요철패턴이 형성된 경화수지와 금속간의 반사율 또는 투과율의 차이에 의해 더욱 입체감 있는 심미감을 제공하며,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경사 증착으로 금속층을 형성하여 수율 및 공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경사 증착을 이용한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ve materi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aesthetic by the difference in reflectance or transmittance between the cured resin and the metal on which the uneven pattern is formed, the metal layer by gradient deposition without using a mask It relates to a decorative material using a gradient deposition to improve the yield and process capability to form a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장식재는 생활 공간을 아름답게 장식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미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이에, 가구, 가전제품, 전자제품 등의 외장 혹은 내장을 미려하게 꾸미기 위해, 가공이 용이한 합성수지 장식재 및 유리가 널리 사용되었다.Decorative materials are used to decorate the living space beautifully and must be able to exhibit an aesthetic effect. Therefore, in order to beautifully decorate the exterior or interior of furniture, home appliances, electronics, etc., a synthetic resin decorative material and glass that are easy to process have been widely used.
통상적으로, 합성 수지 장식재는 합성 수지 시트, 필름, 패널 등에 패턴을 평면 인쇄하고 색상효과를 부여한 후 투명한 표면층을 코팅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합성 수지 장식재는, 평면 패턴의 단순 반복 및 패턴 색상의 단순성 등으로 인해, 소비자의 심미적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In general, a synthetic resin decorative material is manufactured by flat printing a pattern on a synthetic resin sheet, a film, a panel, and the like, and applying a color effect to the transparent surface layer. Such a synthetic resin decorative material, due to the simple repetition of the flat pattern, the simplicity of the pattern color, etc., is insufficient to meet the aesthetic needs of the consumer.
또한, 기존에는 이러한 심미성을 개선하기 위해 요철패턴이 형성된 기판상에 단일 금속층을 증착하여 금속성의 미감을 구현하였다. 그러나 단일 금속을 전면에 증착시 다양한 질감 및 색상을 구현할 수 없으며, 보는 각도를 달리해도 동일한 질감과 색상을 느낄 수밖에 없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in order to improve such aesthetics, a single metal layer was deposited on the substrate on which the uneven pattern was formed to realize metallic aesthetics. However, when a single metal is deposited on the front surface, various textures and colors cannot be realized, and the same textures and colors can be felt even at different viewing angles.
더욱이, 금속으로 금속미를 구현시에는 금속의 종류 및 두께에 따라 그 특성이 변화한다. 즉, 금속층이 너무 얇으면 금속성이 떨어지거나. 너무 두꺼우면 떨어져 나가거나 패턴 내의 색이 너무 진해지는 효과로 실제적인 금속감을 나타내기가 어려웠다. Moreover, when the metal beauty is implemented with metal, its characteristics change according to the type and thickness of the metal. In other words, if the metal layer is too thin, the metal is inferior. If it is too thick, it is difficult to show a realistic metallic feeling by the effect of falling off or making the color in the pattern too dark.
또한, 부분적으로 증착을 하기 위해 섀도우 마스크를 사용하여 증착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섀도우 마스크를 이용하는 경우 아주 미세한 부분 및 패턴 부분에 대해 일정한 위치에서 금속층을 정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There was also a tendency to deposit using shadow masks for partial deposition. When using such a shadow mask,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align the metal lay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respect to a very minute portion and a pattern portion.
따라서, 단일 금속으로 낼 수 없는 다양한 질감 및 색상을 구현하여,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질감과 색상을 느낄 수 있고 더욱 입체감 있는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에 있어서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수율 및 공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Therefore, by implementing a variety of textures and colors that can not be produced by a single metal, it is possible to feel different textures and colors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and to provide a more three-dimensional aesthetic, without using a mask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yield and process You need a way to improve your skill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증착시에 샘플의 각도를 조절하여 금속을 부분적으로 일정하게 증착하여 굴절, 투과, 반사율 차이와 고유 색상 차이를 이용하여 별도의 마스크 사용이 없고 두께의 큰 증가 없이 실제 금속감 및 패턴의 입체감을 구현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sample at the time of deposition, by depositing a metal partly constant to use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transmission, reflectance and intrinsic color difference Without the use of a separate mask and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actual metallic and pattern three-dimensional effect is realized.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식재 제조 방법은, 경사증착을 통해 요철패턴부의 일부에 금속층을 형성하여, 경화 수지와 금속간의 빛의 굴절, 투과, 반사율 차이에 의해 입체감 있고 다양한 질감 및 색상의 차이를 구현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ecorativ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metal layer on a portion of the uneven pattern portion through oblique deposition, thereby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and various texture and color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refractive, transmissive and reflectance of light between the cured resin and the metal. The difference can be realized.
또한, 상기 경사증착의 기울기는 증착 장비 또는 상기 요철패턴부를 기울여 조절하여 작업 환경에 맞도록 공정을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deposition may be adjusted by tilting and adjusting the deposition equipment or the uneven pattern portion to match the working environment.
특히, 상기 경사증착은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진공상태에서 빠르고 신뢰성 있는 증착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gradient deposition can be quickly and reliably deposited in a vacuum using a plasma.
또한, 상기 요철패턴부는 구체적으로 (a) 요철패턴이 형성된 몰드에 경화수지를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경화수지에 고분자 필름을 가압 밀착하는 단계; (c) 상기 경화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몰드를 제거하는 단계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neven pattern portion is specifically (a) coating the cured resin on a mold having the uneven pattern; (b) pressing and contacting a polymer film with the cured resin; (c) curing the cured resin; And (d) removing the mold.
여기서, 상기 몰드는 양각 또는 음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 어 다양한 패턴을 가진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다.Here, the mold may be formed by embossing or engraving or a combination thereof to realize a three-dimensional effect with various patterns.
특히, 상기 경화수지는 자외선 경화수지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함으써 간편하게 경화된 요철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ured resin may generate a hardened concave-convex pattern by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using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또한,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고분자 필름상에 유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필름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step (d), it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forming a glass layer on the polymer film to prevent wear of the film.
본 발명에 따라 경사증착된 장식재의 구성은, 요철패턴부; 및 상기 요철패턴부상의 일부에 형성된 금속층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itution of the inclined deposition material includes an uneven pattern portion; And a metal layer formed on a portion of the uneven pattern portion.
특히, 상기 요철패턴부는 양각 또는 음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며, 상기 금속층은 이웃하는 금속층과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형성됨으로써 이격된 부분의 자외선 경화수지로 통과한 빛과 이격되지 않은 부분인 금속에 반사된 빛이 함께 어우러져 뛰어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uneven pattern portion is formed of an embossed or intaglio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metal layer is formed by at least one spaced apart from the neighboring metal layer, thereby reflecting to the metal which is not spaced apart from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of the spaced apart portion. The light can be combined together to provide an excellent aesthetic.
또한, 상기 요철패턴부는 자외선 경화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자외선 경화수지의 요철패턴부 이면에 형성된 고분자 필름을 더 포함하여 외부에서도 사용가능한 금속 필름으로 활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uneven pattern portion is formed using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and further comprising a polymer film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uneven pattern portion of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can be utilized as a metal film that can be used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고분자 필름상에 형성된 유리층을 더 포함하여 필름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glass layer formed on the polymer film to prevent wear of the film.
요철패턴이 형성된 경화수지의 일부에 금속을 형성하여 단일 금속으로 낼 수 없는 다양한 질감 및 색상을 구현하여,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질감과 색상을 느낄 수 있고 요철패턴이 형성된 경화수지와 금속간의 반사율 또는 투과율의 차이에 의 해 더욱 입체감 있는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에 있어서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경사 증착으로 금속층을 형성하여 수율 및 공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forming metal on part of hardened resin with irregularities pattern, various textures and colors can not be realized by single metal, so you can feel different textures and colors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and reflectance between hardened resin and metals with irregularities pattern Due to the difference in transmittance, a three-dimensional aesthetic can be provided, and a metal layer can be formed by gradient deposition without using a mask in a manufacturing process to improve yield and processing capability.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전면 필름 또는 후면 필름의 일 면의 "상 (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decorative materia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on" and "under" of one side of the front film or the back film is formed to be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other components. It includes everything. In addition, the criteria for the top or bottom of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ize of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the sake of explanation and does not mean the size actually applied.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필름 형태의 장식재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corative material in the form of a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유리층 (110), 접착층 (120, 160), 고분자 필름 (130), 자외선 경화수지 (140), 금속 증착층 (150), 및 부착면 (170)을 포함한다. 1 includes a
유리층 (110)과 고분자 필름 또는 금속 증착층 (150) 이 형성된 고분자 필름 (140)과 부착면 (170)은 강압성 접착제 (PSA; presssure sensitive adhesive) 로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특히, 자외선 경화수지 (140)의 아래에 형성된 금속 증착층 (150)은 자외선 경화수지 (140)의 요철패턴이 형성된 면의 전체가 아닌 일부에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이 결과, 위에서 조명이 비추는 경우, 빛은 유리층 (110), 접착층 (120), 고 분자 필름 (140)을 통과한 빛은 다양한 경로로 굴절, 투과, 반사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light shines from above,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더욱 상세하게는, 이 빛이 고분자 필름 (140)의 요철패턴 중 금속 증착층 (15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통과하여 부착면 (170)에 반사되어 다시 유리층 (110) 외부로 반사되어 보일 수도 있고, 부착면 (170)에 반사된 후 금속 증착층 (150)에 수차례 재반사되어 유리층 (110) 외부로 통과될 수도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light passes through the portion of the uneven pattern of the
또한, 조명에서 방출된 빛은 고분자 필름 (140)의 요철패턴 중 금속 증착층 (150)이 형성된 부분에 반사되어 유리층 (110) 외부로 방출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light emitted from the illumination may be reflected to the portion where the
이 결과 유리층 (110) 외부에서 바라보는 각도 및 위치에 따라 다양한 경로를 가진 빛이 합성되어 금속 질감을 가지며 더욱 입체감 있는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light having various paths may be synthesized according to the angle and position viewed from the outside of the
특히, 이러한 굴절, 투과, 반사에 따른 심미감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훼이즈 미터 (haze meter) 로 색상을 측정한 결과를 아래의 표와 같이 나타낸다.In particular, in order to specifically describe the effects of the aesthetics due to the refraction, transmission, and reflection,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olor with a haze meter are shown in the table below.
여기서, L, a, b 는 조명 협회(Commission Internationale d' Eclairge; CIE)에 따른 색상을 나타낸다. 훼이즈는 흐린 정도, 투과율은 투과하는 정도, L 은 명암으로서 밝기의 정도를 나타낸다. a 는 녹색에서 빨강의 범위로서 + 로 갈수록 녹색에 근접하며 - 로 갈수록 빨강에 근접하고, b 는 파랑에서 노랑의 범위로서 + 로 갈수록 파랑에 근접하고 - 로 갈수록 노랑에 근접한다.Where L, a, b represent colors according to the Commission Internationale d'Eclairge (CIE). The fade is cloudy, the transmittance is transparent, and L is light and dark. a is in the range of green to red, closer to green as it goes to +, and closer to red as it goes to-, b is closer to blue as it goes to +, and closer to yellow as it goes to +.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전면 증착에 비해 훼이즈는 다소 감소하고, 투과율 및 밝기는 증가한다. 또한, 색상은 a 가 2.61 에서 2.77로 증가함으로써 녹색을 띄는 경향이 있고, b 가 -1.5.에서 -0.45 로 증가하여 파랑을 띄는 경향이 발생하였다.As shown in Table 1, the phase is somewhat reduced, and the transmittance and brightness are increased compared to the front surface deposition. In addition, the color tends to be green as a increases from 2.61 to 2.77 and b tends to appear blue as b increases from -1.5. To -0.45.
이는, 경사 증착을 하게 되면 금속 증착층 (15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투과되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투과율이 상승하고 컬러가 달라지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gradient deposition is performed, the portion where the
또한, 본 장식재는 유리층 (110)이 없는 상태로 이용할 수 있다. 이는 필름형태의 장식재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R2R (Roll to Roll) 공정이 가능하며, 굴곡이 있는 피부착물에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is decorative material can be used in the state without the
도 2 는 본 발명의 따라 경사 증착을 하는 바람직한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2 is a flow chart of one embodiment of a preferred method of gradient de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요철패턴이 형성된 몰드 (210)에 자외선 경화수지 (220)를 코팅하고, 상기 자외선 경화수지 (220)에 고분자 필름 (230)을 가압 밀착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수지 (220)를 경화시킨 후 상기 몰드 (210)를 제거한다. 그리고 요철패턴이 형성된 자외선 경화수지 (220)와 금속 증착각을 일정각도로 유지하여 경사 증착한다. The UV
여기서 증착각이란 증착장비의 법선과 요철패턴부가 이루는 예각으로 규정한다. 또한, 이 증착각은 증착장비를 기울이거나 요철패턴부를 기울임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 증착하는 것은 금속을 플라즈마로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eposition angle is defined as an acute angle formed between the normal line and the uneven pattern portion of the deposition apparatus. In addition, this deposition angle can be adjusted by tilting the deposition equipment or by tilting the uneven pattern portion. In this case, the gradient deposition preferably deposits the metal in plasma.
이후, 경사 증착된 자외선 경화수지 (220)가 형성된 고분자 필름 (230)을 부착면 (260)에 접착하고 고분자 필름상 (230)에 유리층 (270)을 형성한다. 여기서, 부착면 (260)에 접착하는 것과 유리층을 (270)을 형성하는 것은 PSA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the
도 3a 및 도 3b 는 도 2 의 방법 중 경사 증착에 대한 단계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요철패턴부를 진공상태에서 금속 증착각을 특정 각도로 유지하며 플라즈마를 경사 증착하는 상태를 나타낸다.3A and 3B illustrate a step for gradient deposition in more detail in the method of FIG. 2, and illustrates a state of gradient deposition of plasma while maintaining the metal deposition angle at a specific angle in a vacuum.
또한, 도 3a 및 도 3b 에 도시된 금속 타겟은 증착을 위한 금속재료의 객체를 의미한다. 여기서,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금속재료를 증착시키는 증착 장비는 생략되었지만 금속 타겟을 금속장비에 탑재하여 증착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etal targets shown in FIGS. 3A and 3B mean an object of a metal material for deposition. Here, in order to simplify the description, the deposition equipment for depositing the metal material is omitted, but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metal target is mounted on the metal equipment and deposited.
도 3a 는 요철패턴부를 기울여 증착각을 약 45 도로 설정한 상태에서 금속을 증착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3A shows a case of depositing a metal in a state in which the deposition angle is set to about 45 degrees by tilting the uneven pattern portion.
이 경우, 금속층은 요철패턴부 중 플라즈마가 증착되는 방향으로 증착이 되며 다른 방향으로는 금속층이 증착되지 않는다. In this case, the metal layer is deposi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asma is deposited in the uneven pattern portion, and the metal layer is not deposited in the other direction.
도 3b 는 요철패턴부를 도 3a 보다 더욱 급격하게 기울여 증착각을 약 30도로 설정한 상태에서 금속을 증착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 경우, 금속은 도 3a 에 비해 더욱 적은 면적에 증착된다.FIG. 3B illustrates a case where metal is deposited while the uneven pattern portion is inclined more sharply than that of FIG. 3A and the deposition angle is set to about 30 degrees. In this case, the metal is deposited in a smaller area than in FIG. 3A.
도면에는 증착각이 일 방향으로만 도시되었지만 이와 다른 방향으로 기울이는 경우 요철패턴부의 다른 방향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증착하게 된다.In the drawing, the deposition angle is shown in only one direction, but when tilted in a different direction, the deposition angle is deposited in the other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또한, 경사 증착 후에 스테인리스 계열 등을 동일한 진공 내에서 증착하여 금속층이 마모되지 않는 신뢰성을 부가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after gradient deposition, stainless series or the like may be deposited in the same vacuum to add reliability that the metal layer does not wear out.
이 결과, 증착각을 기울임에 따라 금속이 증착되는 면적이 달라지기 때문에, 증착각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금속감 및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부분 증착을 위해 섀도우 마스크를 이용하지 않아 공정의 효율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As a result, since the area where the metal is deposited varies according to the deposition angle, various metal textures and colors can be realiz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deposition angle. In addition, the use of shadow masks for partial deposition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필름 형태의 장식재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corative material in the form of a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경사 증착을 통해 장식재를 제조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2 i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corative material through gradient deposition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는 경사 증착을 위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preferred embodiment for gradient deposition.
도 3b 는 경사 증착을 위한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for gradient deposi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유리층 120, 160, 250: 접착층110:
130, 230: 고분자 필름 140, 220, 330: 자외선 경화수지130, 230:
150, 240, 320: 금속층 170, 280: 부착면150, 240, 320:
210: 몰드 260: 유리층 210: mold 260: glass layer
310: 금속 타겟 310: metal target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9241A KR20100120435A (en) | 2009-05-06 | 2009-05-06 | Decorating material from glancing angle de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r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9241A KR20100120435A (en) | 2009-05-06 | 2009-05-06 | Decorating material from glancing angle de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r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0435A true KR20100120435A (en) | 2010-11-16 |
Family
ID=43406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9241A KR20100120435A (en) | 2009-05-06 | 2009-05-06 | Decorating material from glancing angle de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r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20435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3322A (en) * | 2019-07-01 | 2021-01-12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Color implementing method of metal surface and surface color implemented metal panel by tilted dry thin film deposition process |
JP2021030550A (en) * | 2019-08-23 | 2021-03-01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Resin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2009
- 2009-05-06 KR KR1020090039241A patent/KR20100120435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3322A (en) * | 2019-07-01 | 2021-01-12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Color implementing method of metal surface and surface color implemented metal panel by tilted dry thin film deposition process |
JP2021030550A (en) * | 2019-08-23 | 2021-03-01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Resin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179962B (en) | Decorating material with cubic effect | |
CN107433815B (en) | Method for achieving decoration effect of front cover plate of touch screen by using UV (ultraviolet) imprinting technology | |
CN108693574A (en) |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optical diaphragm, back-cover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101265992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crystal glass ornament for showed Nacre-pattern | |
US20080113093A1 (en) | Moulded Plastic Components with Anti-Reflective and Anti-Glare Properties and Method for Their Manufacture | |
CN110315899A (en) | Optics decorating film and shell with it | |
KR101559793B1 (en) | A film applied to the external surface of home applianc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20130209736A1 (en) | Coated article having rock like patte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CN106274216A (en) | Decora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KR20100120435A (en) | Decorating material from glancing angle de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ring the same | |
KR20100120434A (en) | Decorating material from multiple metal de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ring the same | |
WO2018103142A1 (en) | Decorative sheet for changing spot light into dazzle light and production process | |
KR20100120436A (en) | Decorating material from multiple glancing angle de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ring the same | |
KR20100086746A (en) | Decorating matrial and method of manufactring the same | |
KR20100120433A (en) | Lightemitting decorating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ring the same | |
CN209402595U (en) | A kind of camera head protecting eyeglass with CD line effect | |
JP7126164B2 (en) | decorative film | |
CN114466542A (en) | Preparation method of decorative piece, decorative piece and electronic device | |
WO2020052412A1 (en) | Novel decorative material and processing process therefor | |
CN221768497U (en) | Color display screen cover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222698081U (en) | A film with light-transmitting gradient decorative effect | |
KR101459785B1 (en) | Decorativ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TWM312167U (en) | Decoration board with flare effect | |
CN114670577A (en) | Decorative plate production process and decorative plate | |
CN104029508A (en) | Printing method with glare and encrypted visual effects and products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06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911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2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5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06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2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