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19354A - 표시 장치와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와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9354A
KR20100119354A KR1020090038434A KR20090038434A KR20100119354A KR 20100119354 A KR20100119354 A KR 20100119354A KR 1020090038434 A KR1020090038434 A KR 1020090038434A KR 20090038434 A KR20090038434 A KR 20090038434A KR 20100119354 A KR20100119354 A KR 20100119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signal
image
control signal
frequenc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형식
신병혁
전지훈
박민규
김경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8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9354A/ko
Priority to US12/770,555 priority patent/US20100277490A1/en
Publication of KR20100119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354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3/209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specific for a flat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영상부와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와 그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 영상부는 원시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처리하는 영상부와 영상부에서 출력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영상부에서 출력한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영상부는 원시 영상 신호를 입력 받고 송신부를 통하여 주파수 변환된 원시 영상 신호를 표시부에 전달하고, 주파수 변환된 영상 신호는 표시부의 수신부를 거쳐 제어부에서 보정 영상 신호로 보정된다. 표시 패널은 보정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화면으로 표시한다. 원시 영상 신호의 주파수와 영상부와 표시부 사이에 전달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하게 신호 전송 시 발생하는 오류에 둔감한 표시 장치의 제작이 가능하다.
영상부, 표시부, 송신부, 수신부, 주파수 변환

Description

표시 장치와 그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와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표시부와 송신부를 포함하는 영상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와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외부로부터 원시 신호를 입력 받아 원시 영상 신호와 원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부, 원시 영상 신호와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표시부는 원시 영상 신호와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영상 신호와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영상 신호와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부와 표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으며, 또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다. 표시 패널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할 경우 표시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빛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및 백라이트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부와 제어부는 인쇄 회로 기판 (PCB, printed circuit board)의 형 태로 표시 패널과 연결될 수 있다. 표시 장치가 서로 연결된 영상부, 제어부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하여 하나의 세트로 만들어 질 경우 경우 표시 장치의 무게와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와 영상부를 분리하고 표시부를 하나의 세트로 만들어 경박화를 이룬 표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표시부와 영상부를 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한 경우, 신호의 전송 시 발생하는 오류가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부와 영상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표시부와 영상부가 분리되었을 때 오류 없이 영상 신호와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일 태양(aspect)은
프레임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원시 신호를 입력 받아 프레임 주파수가 제2 주파수인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부 및 상기 원 시 영상 신호와 상기 원시 제어 신호에 관련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부는 상기 원시 신호를 입력 받고 프레임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제1 원시 영상 신호와 제1 원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제1 원시 영상 신호와 상기 제1 원시 제어 신호를 프레임 주파수가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주파수 변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부는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상기 표시부로 전달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영상 신호와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영상 신호와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다른 태양은, 프레임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원시 신호를 입력 받아 프레임 주파수가 제2 주파수인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부 및 상기 원시 영상 신호와 상기 원시 제어 신호에 관련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부는 상기 원시 신호를 입력 받고 프레임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제1 원시 영상 신호와 제1 원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제1 원시 영상 신호와 상기 제1 원시 제어 신호를 프레임 주파수가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 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주파수 변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부는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상기 표시부로 전달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제3 주파수를 가지는 제3 원시 영상 신호와 제3 원시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주파수 변환부,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와 제3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영상 신호와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영상 신호와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제2 주파수 변환부로 전달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다른 태양은, 프레임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원시 신호를 입력 받아 프레임 주파수가 제2 주파수인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부 및 상기 원시 영상 신호와 상기 원시 제어 신호에 관련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부는 상기 원시 신호를 입력 받고 프레임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제1 원시 영상 신호와 제1 원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제1 원시 영상 신호와 상기 제1 원시 제어 신호를 프레임 주파수가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주파수 변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부는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송신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상기 표시부로 전달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제3 주파수를 가지는 제3 원시 영상 신호와 제3 원시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주파수 변환부,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와 제3 원시 제어 신호를 보간하여 제4 원시 영상 신호와 제4 원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 상기 제4 원시 영상 신호와 제4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영상 신호와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영상 신호와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제2 주파수 변환부로 전달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보다 상세한 블록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 (100)은 영상부(110)와 표시부(120)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부는 상기 표시 장치 외부의 영상 장치로부터 원시 신호를 입력 받아 원시 영상 신호와 원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원시 제어 신호는 수평 동기 신호(vsync), 수직 동기 신호(hsync) 및 메인클럭(mclk)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원시 영상 신호는 적색, 녹색 및 청색에 각각 관련된 적색신호(R), 녹색신호(G) 및 청색신호(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원시 제어 신호와 원시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부(110)는 영상 처리부(111)와 송신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표시 장치 외부의 영상 장치로부터 원시 신호를 입력 받아 원시 영상 신호와 원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원시 제어 신호는 수평 동기 신호(vsync), 수직 동기 신호(hsync) 및 메인클럭(mclk)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원시 영상 신호는 적색, 녹색 및 청색에 각각 관련된 제1 원시 적색 신호(R), 제1 원시 녹색 신호(G) 및 제1 원시 청색 신호(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는 상기 원시 제어 신호와 원시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표시부(120)로 상기 원시 제어 신호와 상기 원시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20)는 수신부(121), 제어부(122) 및 표시 패널(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에서 출력된 상기 원시 제어 신호와 원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상기 원시 제어 신호와 원시 영상 신호를 제어 신호와 영상 신호로 각각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수직 시작 신호(STV), 수평 시작 신호(STH), 수평 구동 클럭 (CKH) 및 수직 구동 클럭 (CK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신호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에 각각 관련된 적색 영상 신호(R'), 녹색 영상 신호(G') 및 청색 영상 신 호(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원시 적색 신호(R), 제1 원시 녹색 신호(G) 및 제1 원시 청색 신호(B)를 색상 보정하거나 감마 보정하여 적색 영상 신호(R'), 녹색 영상 신호(G') 및 청색 영상 신호(B')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액정 표시 패널일 경우, 액정의 응답 속도 향상을 위하여 상기 제1 원시 적색 신호(R), 제1 원시 녹색 신호(G) 및 제1 원시 청색 신호(B)를 오버 드라이빙(over-driving)하여 적색 영상 신호(R'), 녹색 영상 신호(G') 및 청색 영상 신호(B')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감마/색상 보정 및 오버 드라이빙은 상기 원시 영상 신호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와 상기 영상 신호를 전달받아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 등의 평판 표시 패널 일 수 있으며, 또한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다.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3의 표시 장치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표시한 개념도이다.
표시 장치 (100)은 영상부(110)와 표시부(120)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부는 영상 처리부(111), 송신부(112) 및 제1 주파수 변환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표시 장치 외부의 영상 장치로부터 원시 신호를 입력 받는다. 상기 원시 신호는 N(N은 자연수) 헤르츠(Hz)의 주파수로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상과 관련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는 입력된 원시 신호를 변환하여 제1 원시 영상 신호와 제1 원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 원시 영상 신호와 제1 원시 제어 신호는 N(N은 자연수) 헤르츠(Hz)의 주파수로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상과 관련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1 원시 제어 신호는 제1 수평 동기 신호(vsync_N), 제1 수직 동기 신호(hsync_N) 및 제1 메인클럭(mclk_N)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원시 영상 신호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에 관련된 제1 원시 적색 신호(R_N), 제1 원시 녹색 신호(G_N) 및 제1 원시 청색 신호(B_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파수 변환부는 상기 제1 원시 영상 신호와 상기 제1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는 M(M은 자연수, N>M) 헤르츠(Hz)의 주파수로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상과 관련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2 원시 제어 신호는 제2 수평 동기 신호(vsync_M), 제2 수직 동기 신호(hsync_M) 및 제2 메인클럭(mclk_M)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상기 원시 영상 신호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에 관련된 제2 원시 적색 신호(R_M), 제2 원시 녹색 신호(G_M) 및 제2 원시 청색 신호(B_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2 원시 제어 신호와 제2 원시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표시부로 상기 제2 원시 제어 신호와 제2 원시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수신부(121), 제어부(122) 및 표시 패널(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2 원시 제어 신호와 제2 원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상기 제2 원시 제어 신호와 제2 원시 영상 신호를 제어 신호와 영상 신호로 각각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수직 시작 신호(STV), 수평 시작 신호(STH), 수평 구동 클럭 (CKH) 및 수직 구동 클럭 (CK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신호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에 관련된 적색 영상 신호(R'), 녹색 영상 신호(G') 및 청색 영상 신호(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원시 적색 신호(R_M), 제2 원시 녹색 신호(G_M) 및 제2 원시 청색 신호(B_M)를 색상 보정하거나 감마 보정하여 적색 영상 신호(R'), 녹색 영상 신호(G') 및 청색 영상 신호(B')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액정 표시 패널일 경우, 액정의 응답 속도 향상을 위하여 상기 상기 제2 원시 적색 신호(R_M), 제2 원시 녹색 신호(G_M) 및 제2 원시 청색 신호(B_M)를 오버 드라이빙(over-driving)하여 적색 영상 신호(R'), 녹색 영상 신호(G') 및 청색 영상 신호(B')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보정 및 오버 드라이빙은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신호와 제어 신호는 M 헤르츠(Hz)의 주파수로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상과 관련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어 신호와 상기 영상 신호를 전달받아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는 화상은 M 헤르츠(Hz)의 주파수로 표시 패널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 등의 평판 표시 패널 일 수 있으며, 또한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다.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주파수 변환부는 메모리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주파수 변환부는 기존 1 초당 N 프레임인 화상과 관련된 제1 원시 제어 신호와 제1 원시 영상 신호를 상기 송신부를 통하여 송신하는 대신 1 초당 M (N>M) 프레임인 화상과 관련된 제2 원시 제어 신호와 제2 원시 영상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전송되는 원시 영상 신호와 원시 제어 신호의 주파수를 낮출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도 1 초당 M 프레임의 화상을 출력하여 화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 간에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낮아지므로 불안정한 환경에서도 오류가 적은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6는 도 5의 표시 장치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표시한 개념도이다.
표시 장치 (100)은 영상부(110)와 표시부(120)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부는 영상 처리부(111), 송신부(112) 및 제1 주파수 변환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표시 장치 외부의 영상 장치로부터 원시 신호를 입력 받는다. 상기 원시 신호는 N(N은 자연수) 헤르츠(Hz)의 주파수로 표시되는 화상과 관련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는 입력된 원시 신호를 변환하여 제1 원시 영상 신호와 제1 원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 원시 영상 신호와 제1 원시 제어 신호는 N(N은 자연수) 헤르츠(Hz)의 주파수로 표시되는 화상과 관련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1 원시 제어 신호는 제1 수평 동기 신호(vsync_N), 제1 수직 동기 신호(hsync_N) 및 제1 메인클럭(mclk_N)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원시 영상 신호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에 관련된 제1 원시 적색 신호(R_N), 제1 원시 녹색 신호(G_N) 및 제1 원시 청색 신호(B_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파수 변환부는 상기 제1 원시 영상 신호와 상기 제1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는 M(M은 자연수, N>M) 헤르츠(Hz)의 주파수로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상과 관련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2 원시 제어 신호는 제2 수평 동기 신호(vsync_M), 제2 수직 동기 신호(hsync_M) 및 제2 메인클럭(mclk_M)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상기 원시 영상 신호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에 관련된 제2 원시 적색 신호(R_M), 제2 원시 녹색 신호(G_M) 및 제2 원시 청색 신호(B_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2 원시 제어 신호와 제2 원시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표시부로 상기 제2 원시 제어 신호와 제2 원시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수신부(121), 제어부(122), 표시 패널(123) 및 제2 주파수 변환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2 원시 제어 신호와 제2 원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주파수 변환부에 전달한다.
상기 제2 주파수 변환부는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상기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제3 원시 영상 신호와 제3 원시 제어 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 할 수 있다.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와 제3 원시 제어 신호는 L(L은 자연수, N>=L>M) 헤르츠(Hz)의 주파수로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상과 관련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3 원시 제어 신호는 제3 수평 동기 신호(vsync_L), 제3 수직 동기 신호(hsync_L) 및 제3 메인클럭(mclk_L)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상기 원시 영상 신호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에 관련된 제3 원시 적색 신호(R_L), 제3 원시 녹색 신호(G_L) 및 제3 원시 청색 신호(B_L)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원시 제어 신호와 제3 원시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각각 제어 신호와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신호와 제어 신호는 L 헤르츠(Hz)의 주파수로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상과 관련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수직 시작 신호(STV), 수평 시작 신호(STH), 수평 구동 클럭 (CKH) 및 수직 구동 클럭 (CK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신호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에 관련된 적색 영상 신호(R'), 녹색 영상 신호(G') 및 청색 영상 신호(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원시 적색 신호(R_L), 제3 원시 녹색 신호(G) 및 제3 원시 청색 신호(B)를 색상 보정하거나 감마 보정하여 적색 영상 신호(R'), 녹색 영상 신호(G')및 청색 영상 신호(B')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액정 표시 패널일 경우, 액정의 응답 속도 향상을 위하여 상기 제3 원시 적색 신호(R_L), 제3 원시 녹색 신호(G_L) 및 제3 원시 청색 신호(B_L)를 오버 드라이빙(over-driving)하여 상기 적색 영상 신호(R'), 녹색 영상 신호(G') 및 청색 영상 신호(B')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색상/감마 보정 및 오버 드라이빙은 상기 원시 영상 신호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적색 영상 신호(R'), 녹색 영상 신호(G') 및 청색 영상 신호(B')는 L 헤르츠(Hz)의 주파수로 표시되는 화상과 관련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와 상기 영상 신호를 전달받아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 등의 평판 표시 패널 일 수 있으며, 또한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다.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주파수 변환부와 제2 주파수 변환부는 각각 메모리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주파수 변환부는 기존 1 초당 N 프레임인 화상과 관련된 제1 원시 제어 신호와 제1 원시 영상신호를 상기 송신부를 통하여 송신하는 대신 1 초당 M (N>M) 프레임인 화상과 관련된 제2 원시 제어 신호와 제2 원시 영상신호를 송신토록 설계하여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주파수 변환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제3 원시 영상 신호와 제3 원시 제어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표시 패널이 1 초당 L 프레임의 화상을 출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이 더 높은 주파수의 화상을 표시하게 하여, 화질의 열화를 방지하고 화상의 크로스톡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 간에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낮아지므로 불안정한 환경에서도 오류가 적은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8는 도 7의 표시 장치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표시한 개념도이다.
표시 장치 (100)은 영상부(110)와 표시부(120)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부는 영상 처리부(111), 송신부(112) 및 제1 주파수 변환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표시 장치 외부의 영상 장치로부터 원시 신호를 입력 받는다. 상기 원시 신호는 N(N은 자연수) 헤르츠(Hz)의 주파수로 표시되는 화상과 관련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는 입력된 원시 신호를 변환하여 제1 원시 영상 신호와 제1 원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 원시 영상 신호와 제1 원시 제어 신호는 N(N은 자연수) 헤르츠(Hz)의 주파수로 표시되는 화상과 관련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1 원시 제어 신호는 제1 수평 동기 신호(vsync_N), 제1 수직 동기 신호(hsync_N) 및 제1 메인클럭(mclk_N)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원시 영상 신호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에 관련된 제1 원시 적색 신호(R_N), 제1 원시 녹색 신호(G_N) 및 제1 원시 청색 신호(B_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파수 변환부는 상기 제1 원시 영상 신호와 상기 제1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는 M(M은 자연수, N>M) 헤르츠(Hz)의 주파수로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상과 관련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2 원시 제어 신호는 제2 수평 동기 신호(vsync_M), 제2 수직 동기 신호(hsync_M) 및 제2 메인클럭(mclk_M)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상기 원시 영상 신호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에 관련된 제2 원시 적색 신호(R_M), 제2 원시 녹색 신호(G_M) 및 제2 원시 청색 신호(B_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2 원시 제어 신호와 제2 원시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표시부로 상기 제2 원시 제어 신호와 제2 원시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수신부(121), 제어부(122), 표시 패널(123), 제2 주파수 변환부(124) 및 프레임 레이트 제어기(125)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2 원시 제어 신호와 제2 원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주파수 변환부에 전달한다.
상기 제2 주파수 변환부는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상기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제3 원시 영상 신호와 제3 원시 제어 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와 제3 원시 제어 신호는 L(L은 자연수, N>=L>M) 헤르츠(Hz)의 주파수로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상과 관련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3 원시 제어 신호는 제3 수평 동기 신호(vsync_L), 제3 수직 동기 신호(hsync_L) 및 제3 메인클럭(mclk_L)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상기 원시 영상 신호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에 관련된 제3 원시 적색 신호(R_L), 제3 원시 녹색 신호(G_L) 및 제3 원시 청색 신호(B_L)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레이트 제어기는 상기 제3 원시 제어 신호 및 제3 원시 영상 신호에 보간법을 적용하여, K(K는 자연수, K>L) 헤르츠(Hz)의 주파수로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상과 관련된 신호인 제4 원시 제어 신호 및 제4 원시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도 8을 참조하면, L 프레임 주파수를 가지는 화상의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상기 두 프레임을 이용하여 보간된 프레임을 삽입함으로써 L 프레임 주파수를 가지는 화상을 K 프레임 주파수를 가지는 화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원시 제어 신호와 제4 원시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각각 제어 신호와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신호와 제어 신호는 K 헤르츠(Hz)의 주파수로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상과 관련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수직 시작 신호(STV), 수평 시작 신호(STH), 수평 구동 클럭 (CKH) 및 수직 구동 클럭 (CK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신호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에 관련된 적색 영상 신호(R'), 녹색 영상 신호(G') 및 청색 영상 신호(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원시 적색 신호(R_L), 제4 원시 녹색 신호(G) 및 제4 원시 청색 신호(B)를 색상 보정하거나 감마 보정하여 적색 영상 신호(R'), 녹색 영상 신호(G') 및 청색 영상 신호(B')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액정 표시 패널일 경우, 액정의 응답 속도 향상을 위하여 상기 제4 원시 적색 신호(R_L), 제4 원시 녹색 신호(G_L) 및 제4 원시 청색 신호(B_L)를 오버 드라이빙(over-driving)하여 상기 적색 영상 신호(R'), 녹색 영상 신호(G') 및 청색 영상 신호(B')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색상/감마 보정 및 오버 드라이빙은 상기 원시 영상 신호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적색 영상 신호(R'), 녹색 영상 신호(G') 및 청색 영상 신호(B')는 L 헤르츠(Hz)의 주파수로 표시되는 화상과 관련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와 상기 영상 신호를 전달받아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 등의 평판 표시 패널 일 수 있으며, 또한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다.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주파수 변환부와 제2 주파수 변환부는 각각 메모리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주파수 변환부는 기존 1 초당 N 프레임인 화상과 관련된 제1 원시 제어 신호와 제1 원시 영상신호를 상기 송신부를 통하여 송신하는 대신 1 초당 M (N>M) 프레임인 화상과 관련된 제2 원시 제어 신호와 제2 원시 영상신호를 송신토록 설계하여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주파수 변환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제3 원시 영상 신호와 제3 원시 제어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표시 패널이 1 초당 L 프레임의 화상을 출력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 레이트 제어기는 상기 표시 패널이 1초당 K 프레임의 화상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이 더 높은 주파수의 화상을 표시하게 하여, 화질의 열화를 방지하고 화상의 크로스톡을 저감할 수 있으며, 모션 블러 역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 간에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낮아지므로 불안정한 환경에서도 오류가 적은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보다 상세한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표시 장치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표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표시 장치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표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표시 장치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표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시 장치
110 : 영상부 120 : 표시부
111 : 영상처리부 121 : 수신부
112 : 송신부 122 : 제어부
113 : 제1 주파수 변환부 123 : 표시 패널
124 : 제2 주파수 변환부
125 :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

Claims (10)

  1. 프레임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원시 신호를 입력 받아 프레임 주파수가 제2 주파수인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부; 및
    상기 원시 영상 신호와 상기 원시 제어 신호에 관련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는 상기 원시 신호를 입력 받고 프레임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제1 원시 영상 신호와 제1 원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제1 원시 영상 신호와 상기 제1 원시 제어 신호를 프레임 주파수가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주파수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는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 어 신호를 상기 표시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영상 신호와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영상 신호와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제3 주파수를 가지는 제3 원시 영상 신호와 제3 원시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주파수 변환부;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와 제3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영상 신호와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영상 신호와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표시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제3 주파수를 가지는 제3 원시 영상 신호와 제3 원시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 는 제2 주파수 변환부;
    상기 제3 원시 영상 신호와 제3 원시 제어 신호를 보간하여 제4 원시 영상 신호와 제4 원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
    상기 제4 원시 영상 신호와 제4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영상 신호와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영상 신호와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표시 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하는 표시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제2 주파수 변환부로 전달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하는 표시 장치.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2 원시 영상 신호와 제2 원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제2 주파수 변환부로 전달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하는 표시 장치.
KR1020090038434A 2009-04-30 2009-04-30 표시 장치와 그 구동 방법 Abandoned KR20100119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434A KR20100119354A (ko) 2009-04-30 2009-04-30 표시 장치와 그 구동 방법
US12/770,555 US20100277490A1 (en) 2009-04-30 2010-04-29 Image dri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434A KR20100119354A (ko) 2009-04-30 2009-04-30 표시 장치와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354A true KR20100119354A (ko) 2010-11-09

Family

ID=4303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434A Abandoned KR20100119354A (ko) 2009-04-30 2009-04-30 표시 장치와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277490A1 (ko)
KR (1) KR201001193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714A (ko) * 2016-08-31 2018-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6101B2 (en) * 2010-05-12 2015-01-06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Projection system and components
EP2786224B1 (en) * 2011-11-30 2020-05-06 Intel Corporation Reducing power for 3d workloads
CN102543023B (zh) * 2012-01-10 2014-04-02 硅谷数模半导体(北京)有限公司 接收设备、视频刷新频率的控制方法、装置及系统
JP6253894B2 (ja) * 2013-04-18 2017-12-27 シャープ株式会社 制御装置、表示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03997335B (zh) * 2014-05-13 2017-04-05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时序控制器的信号频率的设定装置、方法以及显示设备
US9940865B2 (en) * 2015-06-18 2018-04-10 Panasonic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70037774A (ko) * 2015-09-25 2017-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5959787A (zh) * 2016-05-13 2016-09-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视频信号传输方法、多媒体播放器及系统
US10561930B2 (en) * 2017-07-21 2020-02-18 Spinner Systems, Inc. Device to provide network access to entertainment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0569B2 (en) * 2002-02-26 2009-12-08 Decegama Angel Real-time software video/audio transmission and display with content protection against camcorder piracy
US7016409B2 (en) * 2003-11-12 2006-03-21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providing dynamic bit rate encoding
US20060168632A1 (en) * 2004-02-20 2006-07-27 Yoshimasa Honda Video reception device, video transmission device, and video transmission system
KR100615698B1 (ko) * 2004-07-22 2006-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환경하에서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시스템
US8355434B2 (en) * 2005-01-10 2013-01-15 Qualcomm Incorporated Digital video line-by-line dynamic rate adaptation
JP4821194B2 (ja) * 2005-07-11 2011-11-24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75703B2 (ja) * 2005-10-05 2011-09-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無線テレビシステム、無線テレビ受信装置及び送信装置
WO2008111257A1 (ja) * 2007-03-13 2008-09-18 Sony Corporation 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8671302B2 (en) * 2007-05-14 2014-03-11 Picongen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lock regeneration
US9426414B2 (en) * 2007-12-10 2016-08-23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election for video interpolation or extrapol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714A (ko) * 2016-08-31 2018-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77490A1 (en)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9354A (ko) 표시 장치와 그 구동 방법
US11004399B2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611921B1 (ko)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US7847779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data signals and control signals via an LVDS interface
KR101859219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03566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corrected image data and method of driv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US2016003529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60045215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JP2014115477A (ja) パネル表示装置、表示パネルドライバ、及び、表示装置の動作方法
KR101341028B1 (ko) 표시 장치
KR20090039506A (ko) 타이밍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080033038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00130283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2017028741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message signal within timing controller integrated circuit, timing controller integrated circuit and display panel
CN102201191B (zh) 显示装置
KR20120114815A (ko)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50139101A (ko) 픽셀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채용한 표시 시스템
KR102135923B1 (ko) 입력 비디오 정보를 이용한 충전 시간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US7898539B2 (en) Display drive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generating system clock signal
KR101726628B1 (ko)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TWI406245B (zh) 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KR20070037900A (ko) Lcd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타이밍 제어옵션 수행 방법
KR20170124913A (ko) 표시장치, 데이터 드라이버, 전원 관리 집적회로 및 전원 관리 집적회로의 구동 방법
KR20160079561A (ko) 영상 표시 시스템
KR101830603B1 (ko) 평판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9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4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4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30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