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9108A - Dual turn-table welding machine - Google Patents
Dual turn-table weld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19108A KR20100119108A KR1020090038054A KR20090038054A KR20100119108A KR 20100119108 A KR20100119108 A KR 20100119108A KR 1020090038054 A KR1020090038054 A KR 1020090038054A KR 20090038054 A KR20090038054 A KR 20090038054A KR 20100119108 A KR20100119108 A KR 201001191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turntable
- rotating bracket
- side rotating
- side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61—Welding ta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턴테이블 용접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종래와 달리 구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rntable welding machine, specifically, unlike the prior art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턴테이블을 회전축의 상하 양단에 축설하고 경사각을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피용접물의 종류 및 규격에 따라 편리하게 용접이 가능하며, 용접작업의 자세 제어가 용이하도록 착안된 듀얼 턴테이블 용접기에 관한 것이다. Dual turntable designed for easy welding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the welded object by placing the turntable rotated by the drive motor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otating shaft and stably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It relates to a welder.
본 발명에서는, 서로 마주하여 대향하도록 위치하며, 대향면에 원호 형상의 회전각 조절공(112a,113a)이 형성되는 제1측 프레임(112) 및 제2측 프레임(113), 상기 제1측 및 제2측 프레임(112,113) 사이에 위치하며, 내부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120)를 지지하는 축 케이싱(130), 상기 회전각 조절공(112a,113a)에 의하여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상기 축 케이싱(130)과 상기 제1측 프레임(112) 및 제2측 프레임(113)에 각 연결되는 제1측 회전 브라켓(114) 및 제2측 회전 브라켓(115), 상기 샤프트(120)의 양단부에 결합하는 제1 턴테이블(101) 및 제2 턴테이블(102) 및 상기 샤프트(120)에 동력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모터(14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턴테이블 용접기에 관하여 개시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ide frame 112 and the second side frame 113, the first side is positioned so as to face each other to face each other, the rotation angle adjusting holes (112a, 113a) of the arc shape i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And a shaft casing 130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side frames 112 and 113 and supporting the shaft 120 rotatably installed therethrough, and rotating by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rotation angle adjusting holes 112a and 113a. The first side rotating bracket 114 and the second side rotating bracket 115 and the shaft 120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haft casing 130, the first side frame 112, and the second side frame 113. Dual turntables comprising a first turntable 101 and a second turntable 102 coupled to both ends of the drive) and a driving motor 141 for power transmission to the shaft 120. Disclosed is a welding machine.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전식 용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축의 상하로 두 개의 턴테이블을 구비하여 동시에 여러 종류 및 규격의 피용접물을 신속하게 용접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작업자의 용접 자세제어가 편리하여 용접 효율이 매우 우수한 듀얼 턴테이블 용접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welding machine, more specifically, having two turntables above and below a rotating shaft, which enables to weld various types and specifications of welded objects at the same time, and the welding posture control of the operator is convenient for welding efficiency. This is a very good dual turntable welder.
회전식 용접기란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턴테이블 상에 용접하고자 하는 피용접물을 위치시킨 후 척 등으로 고정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기를 말한다. The rotary welding machine refers to a welding machine which performs welding manually or automatically by positioning a workpiece to be welded on a turntable rotated by a motor and then fixing it with a chuck or the like.
도 1은 종래의 턴테이블 용접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회전식 용접기(10)는 크게 본체(11), 상기 본체(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턴테이블(12) 및 상기 턴테이블(1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5) 및 감속기(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턴테이블(12) 위에는 피용접물이 척 등으로 고정하여 위치되며, 작업자가 회전하는 턴테이블(12) 상의 피용접물의 외주부 등을 용접하게 되는 것이다. 작업자가 피용접물의 형상이나 용접 위치에 따라 상기 턴테이블(12)의 경사각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경사각 조절핸들(13)을 이용하 여 턴테이블(12)을 기울여 경사각을 고정한 후 용접작업을 계속할 수 있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urntable welding machine. As shown, the conventional
이러한 종래의 턴테이블 용접기(10)는 하나의 턴테이블(12)면이 위로 향하도록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그 경사각에 변화를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서로 다른 규격이나 형상의 피용접물을 연속하여 용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매 작업시마다 피용접물을 턴테이블(12)에 척 등으로 고정하고 해제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되풀이 해야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는 작업자의 피로도를 증가시키고 작업의 집중력 및 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턴테이블(12)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더라도 본체(11)와 바닥면에 의하여 그 회전각이 제한되어 최대 90°이상은 기울일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다양한 형상이나 규격의 피용접물을 용접하다 보면 피용접물의 구석구석을 용접하기 위하여 턴테이블(12)을 90°이상의 둔각으로 경사 조절하여 용접해야 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럴 경우 종래에는 피용접물을 고정하는 척을 풀고 피용접물의 위치를 바꾸어 다시 턴테이블(12)에 척 등으로 재 고정한 후 용접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The conventional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도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샤프트의 양 단부에 턴테이블을 듀얼로 구성함으로써 피용접물의 종류나 규격 및 용접자세에 구애되지 않고 신속하게 연속으로 용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dual turntables at both ends of a shaft rotated by a driving motor, thereby being free from the type, size, and welding position of the welded object. It is to allow rapid and continuous welding.
또한, 듀얼 턴테이블의 최대 경사각을 크게 하여 용접 포지션 설정이 용이하도록 하며, 경사각이 조절된 턴테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의 턴테이블 용접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o increase the maximum inclination angle of the dual turntable to facilitate the welding position setting, and to provide a turntable welder having a structure that can stably support and fix the turntable with the adjusted inclination angl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서로 마주하여 대향하도록 위치하며, 대향면에 원호 형상의 회전각 조절공(112a,113a)이 형성되는 제1측 프레임(112) 및 제2측 프레임(113), 상기 제1측 및 제2측 프레임(112,113) 사이에 위치하며, 내부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120)를 지지하는 축 케이싱(130), 상기 회전각 조절공(112a,113a)에 의하여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상기 축 케이싱(130)과 상기 제1측 프레임(112) 및 제2측 프레임(113)에 각 연결되는 제1측 회전 브라켓(114) 및 제2측 회전 브라켓(115), 상기 샤프트(120)의 양단부에 결합하는 제1 턴테이블(101) 및 제2 턴테이블(102) 및 상기 샤프트(120)에 동력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모터(14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턴테이블 용접기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기서, 상기 제1측 회전 브라켓(114) 및 상기 제2측 회전 브라켓(115)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상하로 엇갈리도록 위치하며, 각각의 회전 중심이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irst
상기 제1측 회전 브라켓(114)의 상부 및 상기 제2측 회전 브라켓(115)의 하부에는 일단이 상기 샤프트(120)에 접촉하는 어스 유닛(151,152)이 상기 축 케이싱(13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Earth
상기 제1 턴테이블(101)과 상기 축 케이싱(130) 사이의 상기 샤프트(120)에는 축기어(125)가 축결합하고, 상기 구동모터(141)에 동력 연결되는 모터기어(145)가 상기 축기어(125)에 치합한다. A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하나의 용접기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규격이나 형상의 피용접물을 동시에 그리고 연속하여 용접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용접이 신속하고 효율적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for an operator to weld welded object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or shapes simultaneously and continuously using one welding machine, so that welding is quick and efficient.
또한, 한 종류의 피용접물이라 하더라도 용접되는 부위에 따라 두 개의 턴테이블을 기울여 경사각을 조절해 가며 용접하면 되므로 종래의 용접기에서처럼 피용접 부위에 따른 용접 포지션을 설정하기 위하여 피용접물을 턴테이블에 고정 및 해제하는 동작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one type of welded object, the welding angle is adjusted by tilting two turntables according to the welded area, and thus the welded object is fixed and released on the turntable in order to set the weld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welded area as in a conventional welding machine. This can prevent the hassle of repeating the operation.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피용접물에 대항 용접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피용접물의 잦은 고정 및 해제 등에 의한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시간의 낭비를 막을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라는 잇점이 있다. Due to these advantages, welding against the welded object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accurately, and it is very economical because it can reduce worker's fatigue and prevent waste of time due to frequent fixation and release of the welded object.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턴테이블 용접기의 후방에서 바라본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턴테이블 용접기의 개략적인 평면 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정면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개략적인 측면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측 및 제2측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rear of the dual turntable wel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plan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al turntable wel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chematic view of FIG. 3. Phosphorus is a longitudin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FIG. 5 is a schematic sid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and FIG. 6 is a side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듀얼 턴테이블 용접기(100)는 기본적으로 상하 두 개의 턴테이블을 가진다. 상기 두 개의 턴테이블은 각각 제1측 턴테이블(101) 및 제2측 턴테이블(102)로서 회전하는 하나의 샤프트(120)의 양 단부에 고정된다. As shown, the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111) 상에 서로 대향하여 마주보는 제1측 프레임(112) 및 제2측 프레임(113)이 고정 결합한다. 상기 제1측 및 제2측 프레임(112,113)의 측면, 즉 넓이를 가지는 측면에는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원호 형상의 회전각 조절공(112a,113a)이 각각 형성된다. The
상기 제1측 및 제2측 프레임(112,113) 사이 공간인 중앙부에는 회전축인 샤프트(120)가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120)를 지지하는 축케이싱(130)이 위치한다. 상기 축케이싱(130)은 상부의 제1 샤프트 브라켓(131), 하부의 제2 샤프트 브라켓(132) 및 도면에서 좌측의 제1측 포지션 프레임(133) 및 도면에서 우측의 제2측 포지션 프레임(1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축케이싱(130)의 전면부에는 도시하 지는 않았으나, 온오프 스위치 및 턴테이블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회로를 내장한 제어판이 결합하며, 후면부에는 후술할 구동모터 유닛(140)이 결합한다. A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 브라켓(131,132)에는 축베어링(121,122)이 각각 내설되어 상기 샤프트(120)의 회전을 지지한다.
상기 샤프트(120)의 양 단부에는 제1 턴테이블(101) 및 제2 턴테이블(102)이 볼트 등에 의하여 결합한다.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턴테이블(101) 및 상기 제1 샤프트 브라켓(131)의 사이에 위치하는 샤프트(120) 상에는 축기어(125)가 결합한다. 상기 제1 및 제2 턴테이블(101,102)은 상기 샤프트(120)에 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 결합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01a 및 102a는 턴테이블에 관통 형성되는 축결합공을 나타내며, 120a 및 120b는 샤프트(120)에 형성되는 볼트공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턴테이블(101,102)의 축결합공(101a, 102a)을 상기 볼트공(120a,120b)에 일치시켜 둘 사이를 볼트 등으로 체결하면 턴테이블(101,102)이 샤프트(12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 경우 볼트를 사용한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볼트공(120a,120b)의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턴테이블(101)의 축결합공(101a)은 원형으로 다수개가 배치되는데, 상기 축결합공(101a)의 외측으로는 다수의 볼트공(101b)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볼트공(125a)이 상기 축기어(125)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1 턴테이블(101) 상의 볼트공(101b)과 상기 축기어(125) 상의 볼트공(125a) 사이에는 중공관 형상의 지지관(126)이 위치하여 볼트에 의하여 결합한다. 즉, 볼트가 상기 제1 턴테이블(101) 상의 볼트공(101b), 지지관(126) 및 상기 축기어(125) 상의 볼트공(125a)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한다. 그리하여, 상기 제1 턴테이블(101)은 샤트프(120) 및 축기어(125)에 의하여 공고히 지지되는 것이다. The
상기 축케이싱(130)은 상기 제1측 및 제2측 회전 브라켓(114,115)에 의하여 상기 제1측 및 제2측 프레임(112,1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즉, 상기 제1측 회전 브라켓(114)의 일단은 상기 제1측 포지션 프레임(133)에 고정되고, 상기 제2측 회전 브라켓(115)의 일단은 상기 제2측 포지션 프레임(134)에 고정 결합한다. 상기 제1측 회전 브라켓(114)의 타단은 상기 제1측 프레임(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2측 회전 브라켓(115)의 타단은 상기 제2측 프레임(1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제1 및 제2측 프레임(112,113)의 측면에는 도시한 바와 같은 원호 형상의 회전각 조절공(112a,113a)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측 및 제2측 회전 브라켓(114,115)이 여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다. 제1측 회전 브라켓(114)과 제2측 회전 브라켓(115)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며, 상하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말하면, 상기 제1측 회전 브라켓(114)은 상기 축케이싱(130)의 좌측 하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2측 회전 브라켓(115)은 축케이싱(130)의 우측 상단부에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측 회전 브라켓(114)의 타단 측면 상부에는 피봇축 결합공(114a)이 형성되고, 측면 하부에는 조절노브 결합공(114b)이 형성된다. 상기 제2측 회전 브라켓(115)의 타단 측면 상부에는 조절노브 결합공(115b)이 형성되고, 측면 하부에는 피봇축 결합공(115a)이 형성된다. 상기 제1측 회전 브라켓(114)에 형성되는 피봇축 결합공(114a) 및 상기 제2측 회전 브라켓(115) 상에 형성되는 피봇축 결합공(115a)은 동일 선상에 배 치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피봇축 결합공(114a,115a)에 피봇축(151)을 결합하면, 상기 제1측 회전 브라켓(114) 및 제2측 회전 브라켓(115)이 상기 피봇축(151)을 중심으로 회전각 조절공(112a,113a)을 타고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절노브 결합공(114b,115b)에는 회전각 조절노브(152)가 결합하는데, 상기 조절노브 결합공(114b,115b)의 내경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여기에 수나나산이 형성된 상기 회전각 조절노브(152)를 나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턴테이블(101,102)의 경사각(또는 기울기)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회전각 조절노브(152)의 나사 결합을 해제하고 원하는 각도로 상기 샤프트(120)를 기울인 다음 다시 회전각 조절노브(152)의 나사를 죄어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샤프트(120)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상태에서 샤프트(120)를 기울여 경사각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1측 회전 브라켓(114)에 결합하는 회전각 조절노브(152)는 회전각 조절공(112a)을 따라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고, 제2측 회전 브라켓(115)에 결합하는 회전각 조절노브(152)는 회전각 조절공(113a)을 따라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The
상기 샤프트(120)에는 접지를 위한 두 개의 어스 유닛(151,152)이 각각 접촉하여 결합한다. 한 개의 어스 유닛(151)은 상기 제1측 회전 브라켓(114)의 상부 측에 위치하여, 다른 한 개의 어스 유닛(152)은 상기 제2측 회전 브라켓(115)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각 어스 유닛(151,152)은 금속 재질의 어스 코어(151a,152a), 상기 어스 코어 지지구(151c,152c) 및 어스 코어 지지구(151c,152c)와 어스 코어(151a,152a)의 헤드부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151b,152b)으로 구성된다. 상기 어스 코어 지지구(151c,152c)는 원통형인 상기 어스 코어(151a,152a)의 몸체가 통과하도록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판재로서 상기 축케이싱(130)에 결합한다. 따라서, 어스 코어(151a,152a)는 상기 어스 코어 지지구(151c,152c) 및 축케이싱(130)을 관통하여 삽입 결합하며 그 단부가 샤프트(120)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어스 코어(151a,152a)의 단부가 항시 상기 샤프트(12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압축 스프링(151b,152b)를 사용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20)에 접촉하는 상기 어스 코어(151a,151a)의 헤드부를 원통형의 몸체부와 단차지게 형성한 후 상기 헤드부와 어스 단자 지지구(151c,152c) 사이의 원통형 몸체에 스프링(151b,152b)을 장착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샤프트(120)가 회전하는 중에도 어스 코어(151a,152a)의 헤드부가 항상 샤프트(12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wo
도 6에서 미설명 부호 151a는 피봇축(151)을 제1측 프레임(112)에 결합하기 위한 관통공을 나타낸다. In FIG. 6,
도 1은 종래의 턴테이블 용접기의 외관 사시도.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urntable welding machin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턴테이블 용접기의 후방에서 바라본 외관 사시도.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rear of the dual turntable wel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턴테이블 용접기의 개략적인 평면 횡단면도. 3 is a schematic plan cross-sectional view of a dual turntable welder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정면 종단면도. 4 is a schematic front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도 5는 도 3의 개략적인 측면 종단면도. FIG. 5 is a schematic side sectional view of FIG. 3; FIG.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측 및 제2측 프레임의 측면도.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듀얼 턴테이블 용접기 101,102: 제1 및 제2 턴테이블100: dual turntable welding machine 101,102: first and second turntable
101a,102a: 축결합공 101b: 볼트공101a, 102a:
111: 베이스 프레임 112,113: 제1 및 제2측 프레임111:
114,115: 제1측 및 제2측 회전 브라켓 114a,115a: 피봇축 결합공114, 115: first and second
114b,115b: 조절노브 결합공 120: 샤프트114b, 115b: adjusting knob coupling hole 120: shaft
120a,120b: 볼트공 125: 축기어120a, 120b: Bolt hole 125: Shaft gear
126: 지지관 130: 축케이싱126: support tube 130: shaft casing
131,132: 제1 및 제2 샤프트 브라켓 133,134: 제1측 및 제2측 포지션 프레임131, 132: first and
141: 구동모터 142: 감속기141: drive motor 142: reducer
145: 모터기어 151: 피봇축145: motor gear 151: pivot shaft
152: 회전각 조절노브152: rotation angle adjustment knob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8054A KR101118767B1 (en) | 2009-04-30 | 2009-04-30 | Dual turn-table device for wel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8054A KR101118767B1 (en) | 2009-04-30 | 2009-04-30 | Dual turn-table device for weld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9108A true KR20100119108A (en) | 2010-11-09 |
KR101118767B1 KR101118767B1 (en) | 2012-03-20 |
Family
ID=43405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8054A Active KR101118767B1 (en) | 2009-04-30 | 2009-04-30 | Dual turn-table device for weld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876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38110A (en) * | 2016-10-05 | 2018-04-16 | 주식회사 포스코 | Workpiece setting apparatus |
KR20210115559A (en) * | 2020-03-13 | 2021-09-27 | 지엠기공 주식회사 | Portable Welding Chuck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8394A (en) | 2018-10-30 | 2020-05-08 | 지엠기공 주식회사 | Welding turntable device directly coupled to drive motor shaft |
KR20200048396A (en) | 2018-10-30 | 2020-05-08 | 지엠기공 주식회사 | Welding turntable chuck unit |
KR20200048395A (en) | 2018-10-30 | 2020-05-08 | 지엠기공 주식회사 | Welding turntable device capable of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
KR102781178B1 (en) | 2024-03-29 | 2025-03-14 | 주식회사 대영이엔씨 | Two-way rotary welding table |
KR102781702B1 (en) | 2024-11-21 | 2025-03-13 | 이정율 | Turntable welding device and its welding monitoring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0575Y1 (en) * | 2000-02-01 | 2000-08-01 | 서춘식 | Apparatus for welding t-shape joint pipe |
JP4150204B2 (en) * | 2002-04-18 | 2008-09-17 | セントラル自動車株式会社 | Jig rotation switching device |
-
2009
- 2009-04-30 KR KR1020090038054A patent/KR101118767B1/en active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38110A (en) * | 2016-10-05 | 2018-04-16 | 주식회사 포스코 | Workpiece setting apparatus |
KR20210115559A (en) * | 2020-03-13 | 2021-09-27 | 지엠기공 주식회사 | Portable Welding Chuck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18767B1 (en) | 2012-03-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8767B1 (en) | Dual turn-table device for welding | |
KR102046631B1 (en) | Automatic welding apparatus for H beam | |
US11370137B2 (en) | Carriage for pipe machining | |
KR101136104B1 (en) | Jig apparatus for pipe welding | |
JP5329875B2 (en) | Manhole inner wall cutting machine and jig for manhole inner wall cutting machine | |
KR100814620B1 (en) | Positioning device for welding and rotary weld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
CN213105289U (en) | Welding device | |
KR102068406B1 (en) | A tube sheet welding apparatus | |
KR200444617Y1 (en) | Pipe cutting device capable of diagonal cutting | |
KR20020086124A (en) | machine for welding muffler | |
KR101594931B1 (en) | Avoid versatile weld fasteners | |
US8056889B2 (en) | Positioning device for the fabrication of compressor impellers | |
KR101780623B1 (en) | A device for installing a lug | |
JP4402487B2 (en) | Torch guide device | |
JPH06254677A (en) | Welding method for long size cylindrical body inside using long size torch | |
KR20200048396A (en) | Welding turntable chuck unit | |
JP7004311B2 (en) | Welding bead cutting equipment | |
KR20220153252A (en) | Position device for welding and a rotary type welding apparatus with the same | |
KR100624577B1 (en) | Multifunctional jig device for laser welding | |
KR20220039577A (en) | Pipe rotation apparatus for flange welding | |
JPH09327794A (en) | Angle adjusting device of rail in welding torch traveling device | |
CN221110525U (en) | Rotary welding platform | |
CN112404844A (en) | Steel welding platform with adjustable convenient position that removes | |
CN218695673U (en) | Positioning device for pipeline welding | |
KR20200048394A (en) | Welding turntable device directly coupled to drive motor shaf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02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51023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