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18941A -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8941A
KR20100118941A KR1020100034936A KR20100034936A KR20100118941A KR 20100118941 A KR20100118941 A KR 20100118941A KR 1020100034936 A KR1020100034936 A KR 1020100034936A KR 20100034936 A KR20100034936 A KR 20100034936A KR 20100118941 A KR20100118941 A KR 20100118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handover
load
cells
base s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익
장성철
김현재
김성경
김은경
윤철식
안지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00118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941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06Hybrid resource partitioning, e.g. channel borrowing
    • H04W16/08Load shedd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58Management thereof based on metrics or performanc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셀이 중첩되어 있는 이동통신망에서 임의의 셀에 위치한 기지국이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이 인접 셀들의 경계 영역 의 부하를 확인한다. 여기서 경계 영역은 셀간 간섭이 발생하는 영역을 말한다. 그러면, 기지국은 인접 셀들의 경계 영역의 부하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한다. 기지국은 인접 셀 별로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를 다르게 설정하여 경계 영역의 부하가 상대적으로 큰 인접 셀로의 핸드오버 수행 시점은 지연시키고, 경계 영역의 부하가 상대적으로 작은 인접 셀로의 핸드오버 수행 시점은 앞당긴다.

Description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ANDOVER}
본 발명은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셀이 서로 중첩된 이동통신망에서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IEEE 802.16 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셀(Cell)이 서로 중첩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셀 구조는 둘 이상의 셀과, 각 셀을 관리하는 기지국으로 구성된다.
이때, 이동 단말이 셀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핸드오버(Hand-over)가 발생하는데, 둘 이상의 셀이 서로 중첩된 이동통신망에서는 그 구조상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가 더욱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셀 구조에서는 셀간 간섭(Inter-Cell Interference)이 셀 커버리지(Coverage)와 시스템 용량(Capacity)을 제한하는 중요한 원인들 중 하나이다. 따라서, 셀 커버리지 및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셀간 또는 섹터간 간섭을 완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들이 제안되었다. 그 중 단순하면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알고리즘인 주파수 재사용(Frequency Reuse) 알고리즘은 복수개의 셀 또는 섹터들 사이에서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셀 커버리지 또는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특히, 대표적인 방법이 부분 주파수 재사용(Fractional Frequency Reuse: FFR) 방법이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부분 주파수 재사용 방법이 적용된 이동통신망의 구조를 나타낸다. 즉 도 1 및 도 2는 종래에 부분 주파수 재사용 방법이 적용된 다중 셀 구조를 가진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낸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두 개의 셀(셀 A, 셀 B)이 서로 중첩되고, 하나의 셀(셀 A, 셀 B)은 중심 영역(center zone) 및 경계 영역(edge zone)으로 구분된다.
이때, 대표적인 주파수 재사용 알고리즘의 하나인 PUSC(Partial Usage of Subchannel)이 사용된다. 여기서, 셀의 중심 영역은 기지국으로부터 가깝기 때문에 인접 셀로부터의 공동-채널 간섭(co-channel interference)에서 안전하다. 따라서, 중심 영역에 위치하는 내부 사용자들은 사용 가능한 모든 부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셀의 경계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들은 사용 가능한 모든 부채널들 중 일부만을 사용할 수 있다. 셀이 서로 인접한 경계 영역에서, 각 셀은 서로 다른 부채널을 사용하도록 주파수를 할당한다. 즉 셀 A의 경계 영역에서 사용하는 부채널 주파수와 셀 B의 경계 영역에서 사용하는 부채널 주파수가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이때, 부분 주파수 재사용 방법에 의하면, 셀 간 간섭에 따라 중심 영역 및 경계 영역의 반경 크기는 동적으로 변화된다.
따라서, 도 2에 보인 것처럼 셀 간 간섭에 따라 중심 영역이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경계 영역이 증가함으로써 경계 영역 내의 부하가 증가할 수 있다.
재사용율(reuse factor)을 1로 사용하는 중심 영역에 비해 인접 셀과 간섭을 피하기 위해 서로 다른 세그먼트(segment)를 사용하는 경계 영역은 재사용율이 n(n: 세그먼트의 수)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중심 영역에 비해 이동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자원이 1/n 만큼 작아진다.
특히, 군용 이동통신망과 같은 긴급 안전망의 경우 기지국들이 무작위로 증설 즉 시스템 운용자에 의한 셀 플래닝이 수행되지 않는 환경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경우, 셀간 간섭 정도는 매우 심해질 것이고, 이에 따라 셀간 간섭에 취약한 중심 영역이 작아지고 경계 영역은 더욱 커지게 될 것이다. 그러면, 중심 영역에 비해 할당할 수 있는 자원이 적은 경계 영역은 자신에게 포함되는 사용자(이동 단말)의 수가 증가하게 되어 경계 영역의 부하를 증가시키게 된다.
종래에는 대부분 셀의 전체 부하에 대한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핸드오버 수행을 결정함으로써 부하 분산을 이루고자 하였다. 그러나, FFR을 사용하는 이동통신망에서는 셀 영역의 종류에 따라 할당되는 자원량이 다르기 때문에 셀 전체 부하에 기반한 부하 분산 방법은 신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즉, 셀의 전체 부하가 기준치보다 낮더라도 중심 영역에 비해 경계 영역 내에 위치한 단말이 훨씬 많은 경우 중심 영역에 유효 자원이 많더라도 경계 영역의 과부하로 인하여 신규 호나 핸드오버 호를 수락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셀의 경계 영역에서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은 중심 영역에서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보다 핸드오버 호의 실패율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접 셀들의 경계 영역의 부하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트리거링을 수행하는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핸드오버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복수의 셀이 중첩되어 있는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이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관리하는 셀의 경계 영역-여기서 경계 영역은 셀간 간섭이 발생하는 영역임-의 부하를 측정하는 단계; 인접 셀들로부터 상기 인접 셀들 각각의 경계 영역의 부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관리하는 셀 및 상기 인접 셀들의 경계 영역의 부하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핸드오버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복수의 셀이 중첩되어 있는 이동통신망에서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의 경계 영역-여기서 경계 영역은 셀간 간섭이 발생하는 영역임-의 부하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어느 하나의 셀의 인접 셀들로부터 상기 인접 셀들 각각의 경계 영역의 부하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셀 및 상기 인접 셀들의 경계 영역의 부하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를 위한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 셀들의 경계 영역의 부하를 기반으로 하여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를 동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인접 셀 별로 이동 단말들의 핸드오버 수행 시점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인접 셀간의 부하를 분산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에 부분 주파수 재사용 방법이 적용된 다중 셀 구조를 가진 이동통신망의 자원 할당 구조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제어 구성이 적용되는 다중 셀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 설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제어 방식에 따른 핸드오버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제어 방식에 따른 핸드오버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시퀀스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장치(terminal)는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장치(Base Station, BS)는 접속점(Access Point, AP), 무선 접속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속점, 무선 접속국, 노드B, eN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지역을 구분하기 위한 단위를 셀(cell)이라 하며, 통화를 유지하기 위한 셀 간의 주파수 채널 전환을 핸드오버(Handover)라고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구조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세 개의 셀(셀 A, 셀 B, 셀 C)(100)이 서로 중첩되고, 하나의 셀(셀 A, 셀 B, 셀 C)(100)은 중심 영역(center zone)(101) 및 경계 영역(edge zone)(103)으로 구분된다.
이때, 셀 A에 비해 셀 B와 셀 C가 서로 가까이 인접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셀 A에 비해 셀 B와 셀 C의 경계 영역(103)이 넓어진다. 따라서, 셀 B와 셀 C의 경계 영역(103)의 부하가 커지게 된다.
이하, 각 셀의 경계 영역(103)에 대한 부하 순서를“셀 B > 셀 C > 셀 A”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셀 C는 인접 셀인 셀 B의 경계 영역(103)의 부하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셀 C의 경계 영역(103)에 위치한 이동 단말들을 셀 B로 핸드오버 수행시키는 시점을 최대한 지연시킨다. 반면, 셀 C는 인접 셀인 셀 A의 경계 영역(103)의 부하는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셀 C의 경계 영역(103)에 위치한 이동 단말들을 셀 A로 최대한 빨리 핸드오버 시킨다.
또한, 셀 B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인접 셀인 셀 A 및 셀 C의 경계 영역(103) 의 부하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셀 B의 경계 영역(103)에 위치한 이동 단말들을 셀 A 및 셀 C로 최대한 빨리 핸드오버 시킨다. 이때, 셀 A의 경계 영역(103)의 부하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셀 C보다는 셀 A로의 핸드오버가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와 같이, 경계 영역(103)의 부하가 인접 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셀 B는 자신의 경계 영역(103)에 속한 이동 단말들을 인접 셀들로 일찍 핸드오버 시키므로, 자신의 경계 영역(103)의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셀 경계 영역(103)의 부하가 높아지면 상대적으로 경계 영역(103)의 부하가 낮은 인접 셀로 이동 단말들의 핸드오버 수행 시점을 앞당기게 되어 경계 영역(103)의 부하를 인접 셀로 이관시킬 수 있다. 또는 인접 셀의 경계 영역(103)의 부하가 자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그 인접 셀로 진입하는 이동 단말들의 핸드오버 수행 시점을 늦춤으로써 인접 셀에 대한 부하를 가중시키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상,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 다중 셀 구조에서의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핸드오버 제어 장치(300)는 측정부(301), 전송부(303), 수신부(305), 비교부(307) 및 설정부(309)를 포함한다.
측정부(301)는 자신이 속하는 셀의 경계 영역의 부하를 측정한다.
전송부(303)는 측정부(301)가 측정한 셀의 경계 영역의 부하가 수록된 셀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복수의 인접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
수신부(305)는 복수의 인접 기지국(200)으로부터 인접 셀의 경계 영역의 부하를 각각 수신한다.
비교부(307)는 측정부(301)로부터 전달받은 자신이 속한 셀의 경계 영역의 부하 및 수신부(305)로부터 전달받은 인접 셀들의 경계 영역의 부하들 간의 크기를 비교한다.
설정부(309)는 비교부(307)의 경계 영역 부하 비교 결과를 토대로 인접 셀 별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를 설정한다.
이러한 핸드오버 제어 장치(300)의 구체적인 핸드오버 제어 동작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도 3 내지 도 5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측정부(301)는 셀의 경계 영역(103)의 부하를 측정(S101)하고, 전송부(303)는 이러한 경계 영역(103)의 부하가 수록된 셀 상태 정보를 생성(S103)하여 인접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 이때, 수신부(305)는 각각의 인접 기지국(200)으로부터 인접 셀들의 셀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S105).
비교부(307)는 측정부(301)가 측정(S101)한 경계 영역의 부하와 수신한(S105) 인접 셀들의 경계 영역(103)의 부하를 비교한다(S107). 그리고 설정부(309)는 셀 경계 영역(103)의 부하에 따른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를 설정한다(S109).
여기서,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 내의 트리거 값(relative value)은 핸드오버 수행 시점을 결정하는 변수이다. 이러한 핸드오버 트리거 값이 높으면 타겟 셀로의 핸드오버 수행 시점이 늦어지고 핸드오버 트리거 값이 낮으면 타겟 셀로의 핸드오버 수행 시점이 빨라진다.
각 셀에 위치한 설정부(309)는 주기적으로 혹은 사건발생(event-driven)시에 인접 셀의 경계 영역 부하에 반비례하여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relative value)을 증감시킨다. 즉 인접 셀 별로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를 다르게 설정한다.
이와 같이, 각 인접 셀의 경계 영역(103)의 부하에 따라 핸드오버 트리거 값을 각각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핸드오버 수행 시점을 인접 셀 별로 다르게 결정한다.
이때, S109 단계를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의 조건을 측정 타입이 RSSI(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ion)이고, 핸드오버 트리거 결정함수가 0x3일 경우를 일실시예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 도 7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 설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비교부(307)는 인접 셀들 간의 경계 영역(103)의 부하의 크기를 비교(S201)하여 부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인접 셀을 판단한다(S203).
이때, 설정부(309)는 부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인접 셀의 핸드오버 트리거링 정보는 증가(S205)시켜 해당 인접 셀로의 핸드오버 수행 시점을 최대한 지연시킨다.
그리고 설정부(309)는 부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인접 셀의 핸드오버 트리거링 정보는 감소(S207)시켜 해당 인접 셀로의 핸드오버가 더 많이 발생하도록 유도한다.
이와 같이, 설정부(309)는 인접 셀들 각각의 경계 영역(103)의 부하를 비교한 결과를 근거로 하여 인접 셀 별로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를 상대적으로 높게 혹은 낮게 설정한다(S209).
한편, 핸드오버 방법은 MCHO(Mobile Controlled Handover, 이하 'MCHO' 라 함) 및 NCHO(Network controlled Handover, 이하 'NCHO' 라 함)로 구분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여기서, MCHO는 이동 단말이 직접 핸드오버를 타겟 셀로 요구하는 방식이고, NCHO는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판단과 타겟 셀을 선택하여 직접 핸드오버를 처리하는 기법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한 핸드오버 제어 방법을 각각 MCHO 및 NCHO 방식에 적용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도 5의 핸드오버 제어 장치(300)는 기지국에 탑재된다.
먼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제어 방식에 따른 핸드오버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즉 MCHO 방식에 적용한 실시예에 해당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임의의 셀에 위치한 기지국은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01).
이때, 기지국은 S301 단계에서 설정된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가 수록된 주변 기지국 광고 메시지를 생성(S303)하여 해당 셀 내에 위치한 모든 이동 단말들에게 전송한다(S305).
이때, 주변 기지국 광고 메시지는 기지국이 이동 단말들에게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인접 셀 정보를 방송하기 위해 규정된 인접 셀 리스트 방송정보(MOB_NBR-ADV)를 말한다. 기지국은 인접 셀 리스트 방송정보에 각 인접 셀마다 다른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단말로 방송할 수 있다.
이러한 인접 셀 리스트 방송정보에는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Neighbor BS Trigger TLV)를 포함한다.
여기서,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는 측정 타입, 핸드오버 트리거 결정함수, 핸드오버 트리거값(relative value) 및 핸드오버 트리거 평균기간을 포함한다.
이때, 측정 타입은 CINR(Carrier to Interference-and-Noise Ratio), RSSI, RTD(record type definition)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또한, 핸드오버 결정 함수는 0x3(Metric of neighbor BS is greater than sum of serving BS metric and relative value), 0x4(Metric of neighbor BS is less than sum of serving BS metric and relative value)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또한, 핸드오버 트리거 값은 핸드오버 수행 시점을 결정하는 변수이다.
즉 기지국은 인접 셀의 경계 영역 부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인접 셀의 핸드오버 트리거 값을 증감시켜 인접 셀 별로 핸드오버 트리거 값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다.
이후, 이동 단말은 S305 단계에서 수신된 주변 기지국 광고 메시지에 포함된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를 확인한다(S307). 또한, 이동 단말은 인접 셀들의 신호 세기(RSSI)를 측정한다(S309).
그리고 이동 단말은 S309 단계에서 측정한 인접 셀의 신호 세기와 S307 단계에서 확인한 해당 인접 셀의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를 비교한다(S311).
이때, 이동 단말은 신호 세기가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에 수록된 핸드오버 트리거 값을 초과하는 인접 셀을 타겟 셀로 하는 핸드오버를 결정한다(S313).
다음,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제어 방식에 따른 핸드오버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즉 NCHO 방식에 적용한 실시예에 해당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임의의 셀에 위치한 기지국은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401).
이후, 주기적으로 해당 셀 내에 위치한 이동 단말들로부터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한다(S403). 이러한 측정 보고 메시지는 이동 단말이 측정한 기지국의 수신 신호 세기 값 및 인접 셀의 수신 신호 세기 값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S403 단계로부터 수신한 측정 보고 메시지로부터 이동 단말이 측정한 인접 셀의 신호 세기를 추출한다(S405). 그리고 추출한 인접 셀의 신호 세기와 S401 단계에서 설정한 해당 인접 셀의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를 비교한다(S407).
이때, 기지국은 S405 단계에서 추출한 인접 셀의 신호 세기 중에서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에 수록된 핸드오버 트리거 값을 초과하는 신호 세기인 인접 셀을 타겟 셀로 하는 핸드오버를 결정한다(S409).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셀 101: 중심 영역
103: 경계 영역 200: 인접 기지국
300: 핸드오버 제어 장치 301: 측정부
303: 수신부 305: 비교부
307: 설정부

Claims (12)

  1. 복수의 셀이 중첩되어 있는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이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관리하는 셀의 경계 영역-여기서 경계 영역은 셀간 간섭이 발생하는 영역임-의 부하를 측정하는 단계;
    인접 셀들로부터 상기 인접 셀들 각각의 경계 영역의 부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관리하는 셀 및 상기 인접 셀들의 경계 영역의 부하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관리하는 셀의 경계 영역의 부하가 포함된 셀 상태 정보를 상기 인접 셀들을 관리하는 각각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접 셀들을 관리하는 각각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인접 셀들 각각의 경계 영역의 부하가 수록된 셀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관리하는 셀 및 상기 인접 셀들의 경계 영역의 부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계 영역의 부하를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인접 셀 별로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여기서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는 핸드오버 수행 시점을 결정함-를 다르게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경계 영역의 부하가 상대적으로 큰 인접 셀의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경계 영역의 부하가 상대적으로 작은 인접 셀의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는 증가될수록 핸드오버 수행 시점이 지연되고, 감소될수록 핸드오버 수행 시점이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인접 셀 별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가 수록된 인접 셀 리스트 방송 정보를 상기 기지국이 관리하는 셀에 위치한 이동 단말들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버 제어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인접 셀 별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접 기지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를 위한 타겟 셀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버 제어 방법.
  7. 복수의 셀이 중첩되어 있는 이동통신망에서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의 경계 영역-여기서 경계 영역은 셀간 간섭이 발생하는 영역임-의 부하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어느 하나의 셀의 인접 셀들로부터 상기 인접 셀들 각각의 경계 영역의 부하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셀 및 상기 인접 셀들의 경계 영역의 부하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를 위한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를 설정하는 설정부
    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어느 하나의 셀의 경계 영역의 부하가 포함된 셀 상태 정보를 상기 인접 셀들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인접 셀들로부터 상기 인접 셀들 각각의 경계 영역의 부하가 수록된 셀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핸드오버 제어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셀 및 상기 인접 셀들의 경계 영역의 부하를 비교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비교부의 상기 경계 영역의 부하를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인접 셀 별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여기서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는 핸드오버 수행 시점을 결정함-를 다르게 설정하는 핸드오버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경계 영역의 부하가 상대적으로 큰 인접 셀의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를 증가시켜 상기 인접 셀로의 핸드오버 수행 시점을 지연시키고, 상기 경계 영역의 부하가 상대적으로 작은 인접 셀의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를 감소시켜 상기 인접 셀로의 핸드오버 수행 시점을 앞당기는 핸드오버 제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인접 셀 별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가 수록된 인접 셀 리스트 방송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핸드오버 제어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인접 셀 별 핸드오버 트리거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접 기지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를 위한 타겟 셀을 결정하고, 상기 타겟 셀로 상기 이동 단말을 핸드오버 시키는 핸드오버 제어 장치.
KR1020100034936A 2009-04-29 2010-04-15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Withdrawn KR201001189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714 2009-04-29
KR20090037714 2009-04-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941A true KR20100118941A (ko) 2010-11-08

Family

ID=43405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936A Withdrawn KR20100118941A (ko) 2009-04-29 2010-04-15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894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816B1 (ko) * 2013-03-04 2013-07-10 (주) 대서엔지니어링 복수의 셀을 이용한 통신 장치
KR20140073550A (ko) * 2011-09-29 2014-06-16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부하에 기초한 핸드오버 관리
WO2015002506A1 (en) * 2013-07-04 2015-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ell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381806A4 (en) * 2021-08-04 2025-04-09 Apple Inc. CONDITIONAL HANDOVER FOR NON-TERRESTRIAL NETWORK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3550A (ko) * 2011-09-29 2014-06-16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부하에 기초한 핸드오버 관리
US9173140B2 (en) 2011-09-29 2015-10-2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s and apparatus for handover management
KR101284816B1 (ko) * 2013-03-04 2013-07-10 (주) 대서엔지니어링 복수의 셀을 이용한 통신 장치
WO2015002506A1 (en) * 2013-07-04 2015-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ell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50005422A (ko) * 2013-07-04 2015-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셀 선택 방법 및 장치
US9693294B2 (en) 2013-07-04 2017-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ell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381806A4 (en) * 2021-08-04 2025-04-09 Apple Inc. CONDITIONAL HANDOVER FOR NON-TERRESTRIAL NETWOR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3720B2 (en)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US11218922B2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mobility and classification based restricted measurement list creation in virtual cells
KR10162279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US109997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ell load distribution and interference mitig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38925B2 (en) Method and a network node for determining an offset for selection of a cell of a first radio network node
JP6824178B2 (ja) 特定セル確率負荷分散の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3621139B (zh) 用于控制用户设备的切换决定的无线电网络节点中的方法
US9913179B2 (en) Method and system to trigger UE handover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JP2020509654A (ja) 通信デバイス及びそれにより実行される方法
JP2017201808A (ja) ユーザー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EP28808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09743779B (zh) 一种共享基站的资源分配方法及装置
KR20130010722A (ko) Lte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u et al. Dynamic switching off algorithms for pico base stations in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s
Zhang et al. A two-layer mobility load balancing in LTE self-organization networks
WO2017020192A1 (zh) 一种负载均衡方法及装置
US9826446B2 (en) Downlink power management
KR20100118941A (ko)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20140045502A1 (en)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base station
WO2012130310A1 (en) Method for calculating a transmit power for a user equipment
US10080164B2 (en) Fast UE measurement events activation
US20160227487A1 (en) Control apparatus, radio station, radio terminal, radio system,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230028383A1 (en) Beam optimization based on signal measurements in neighboring cells
Sarddar et al.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based handoff management for next-generation wireless systems
Fotiadis et al. Load-based traffic steering in multi-layer scenarios: Case with & without carrier aggreg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