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8437A - Terminal - Google Patents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18437A KR20100118437A KR1020090037291A KR20090037291A KR20100118437A KR 20100118437 A KR20100118437 A KR 20100118437A KR 1020090037291 A KR1020090037291 A KR 1020090037291A KR 20090037291 A KR20090037291 A KR 20090037291A KR 20100118437 A KR20100118437 A KR 201001184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terminal
- coupling
- barrel
- body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1—End pieces for multiconductor cables supported by the cable and for facilitating connections to other conductive members, e.g. for liquid cooled welding cab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H01R4/5033—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using wedge or pin penetrating into the end of a wire in axial direction of the wire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터미널(20)의 골격은 몸체부(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21)의 일단에는 상대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결합부(24)가 상기 몸체부(21)의 일단에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21)의 타단에는 바렐부(25)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25)는 와이어(W)의 외주면을 둘러 감싸 함께 압착되어 와이어(W)를 상기 터미널(2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부(21) 및 바렐부(25) 중 어느 일측에는 결합핀(27)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핀(27)은 상기 와이어(W)의 내부로 삽입되어 와이어(W)의 심선(W')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핀(27)은 상기 와이어(W)가 상기 터미널(20)의 바렐부(25)와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20)의 바렐부(25) 및 몸체부(21) 중 어느 일측에는 와이어(W)의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핀(27)이 형성되어 와이어(W)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는 것과 동시에 와이어(W)의 심선(W')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와이어(W)의 피복을 탈피할 필요 없이 터미널(20)과 전기적으로 정확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keleton of the terminal 20 is formed by the body portion 21.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21, a coupling portion 24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ting terminal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21.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21 is provided with a barrel portion 25. The barrel portion 25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re W and is compressed together to serve to couple the wire W to the terminal 20. A coupling pin 27 is formed at any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21 and the barrel portion 25. The coupling pin 27 is inserted into the wire W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e wire W 'of the wire W. The coupling pin 27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W is coupled to the barrel portion 25 of the terminal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ny one of the barrel portion 25 and the body portion 21 of the terminal 20 is formed with a coupling pin 27 is inserted into the wire (W) wire (W) Sinc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e wire (W ') of the wire (W) at the same time as guiding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it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ccurately connected to the terminal 20 without having to peel off the coating of the wire (W) There is this.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대 커넥터의 상대 터미널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and inserted into the mating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and electrically coupled thereto.
터미널은 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터미널에는 리셉터클 터미널과 탭터미널이 있는데,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내부로 탭터미널이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다.The terminal constitutes a connector and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to be coupled with the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Such a terminal includes a receptacle terminal and a tap terminal, and a tap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terminal and coupled to each other.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1)은 금속재질로 만들어 지는 것으로, 골격은 몸체부(3)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3)는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부(4) 및 바렐부(5)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명확하게 결합부(4) 및 바렐부(5)와 영역을 분리할 수는 없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상기 몸체부(3)의 일단에는 결합부(4)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4)는 상대 터미널(미도시)의 내부로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4)는 상대 터미널 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4)는 상대 터미널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One end of the
상기 몸체부(3)의 타단에는 바렐부(5)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5)는 크게 와이어바렐(5a)과 인슐레이션바렐(5b)로 나누어진다. 상기 와이어바렐(5a)은 와이어(W)의 심선(W')을 감싸도록 압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5b)은 상기 와이어(W)의 피복을 감싸도록 압착되어 터미널(1)과 와이어(W)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도록 한다.The other end of th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와이어바렐(5a)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와이어(W)의 피복 일부를 탈피시킨 후 상기 심선(W')을 상기 와이어바렐(5a)에 정확히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바렐(5a)을 압착시켜야 한다. 이때, 상기 심선(W')은 다수개가 구비되므로, 상기 와이어바렐(5a)이 상기 심선(W')을 압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심선(W')의 배열이 흩어지면서 상기 터미널(1)과 와이어(W)를 정확히 결합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perform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그리고 상기 터미널(1)과 와이어(W)의 압착 작업 시에 상기 와이어바렐(5a)과 인슐레이션바렐(5b)에 각각 심선(W')과 와이어(W)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구조가 없으므로, 상기 와이어바렐(5a) 및 인슐레이션바렐(5b)을 압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어(W)가 유동되어 상기 터미널(1)과 와이어(W)가 정확하게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의 피복에 의해 심선이 감싸진 상태에서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electrical connection in a state in which a core wire is wrapped by a wire coat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가 터미널의 바렐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wire from flowing in a state seated in the barrel portion of the terminal.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대 터미널이 연결되는 결합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의 피복과 함께 압착되는 바렐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바렐부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와이어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결합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A coupling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part and connected to a mating terminal; A barrel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pressed together with a coating of a wire; And a coupling pin extending from any on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barrel portion,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extends, and inserted into the wir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e wire of the wire. It is composed.
상기 결합핀은,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결합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와이어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upling pin may include a support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length direction of the coupling part to support one end of the wire; And an insertion part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part extends from the support part and inserted into the wir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e wire of the wire.
본발명에서 터미널의 바렐부의 일단에는 와이어의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핀이 형성되어 와이어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는 것과 동시에 와이어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의 피복을 탈피할 필요 없이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정확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공수가 줄어들고 제품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barrel portion of the terminal is formed with a coupling pin which is inserted into the wire to guide the direction of coupling of the wir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e of the wire. Therefore, since it is possible to electrically connect with the terminal accurately without having to peel off the coating of the wi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ork maneuver is reduced and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에서 터미널의 바렐부에 와이어를 압착시키기 전, 터미널에 형성된 결합핀이 와이어의 내부로 삽입되어 와이어의 심선과 결합되므로, 상기 와이어가 터미널에 가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의 바렐부가 와이어와 함께 압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어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결합 품질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wire is crimped to the barrel portion of the terminal, the coupling pin formed in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wire and coupled to the core of the wire, so that the wire is temporarily fixed to the terminal. Therefore, since the wire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in the process in which the barrel part of the terminal is pressed together with the wire, the coupling quality is improved and the work efficiency is also improv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 및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FIGS. 3 and 4 show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터미널(20)은 도전성 금속재질을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타발 및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골격은 몸체부(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21)는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부(24) 및 바렐부(25)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명확하게 결합부(24) 및 바렐부(25)와 영역을 분리할 수는 없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상기 몸체부(21)의 양측 선단에는 한 쌍의 스테빌라이져(23)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져(23)는 상기 터미널(20)이 커넥터하우징(미도시)에 오삽 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A pair of
상기 몸체부(21)의 일단에는 결합부(24)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24)는 상기 몸체부(21)의 일단에서 상대 터미널(미도시)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4)는 상기 상대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One end of the
상기 몸체부(21)의 타단에는 바렐부(25)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25)는 와이어(W)의 외주면을 둘러 감싸 함께 압착되어 와이어(W)를 상기 터미널(2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바렐부(25)는 와이어(W)의 피복을 둘러 감싸 압착되어 상기 와이어(W)가 터미널(20)과 물리적으로 결합되게 한다.The other end of the
상기 바렐부(25)의 양단 중 상기 몸체부(21)와 연결된 단에는 결합핀(27)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핀(27)은 상기 와이어(W)의 내부로 삽입되어 와이어(W)의 심선(W')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핀(27)은 상기 와이어(W)가 상기 터미널(20)과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핀(27)은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28)와 상기 지지부(28)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W)의 심선(W')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삽입부(29)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핀(27)은 상기 와이어(W)가 바렐부(25)에 압착되기 전, 상기 와이어(W)를 상기 터미널(20)에 가고정시키는 역할도 한다.The
상기 지지부(28)는 상기 바렐부(25)의 양단 중 상기 몸체부(21)과 연결된 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24)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8)는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 기 지지부(28)는 와이어(W)가 상기 바렐부(25)에 결합되는 위치를 규제하는 역할도 한다. The
상기 삽입부(29)는 상기 지지부(28)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결합부(24)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부(29)는 와이어(W)가 터미널(20)에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29)는 와이어(W)의 피복 내부로 삽입되어 와이어(W)의 심선(W')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터미널(20)은 상기 삽입부(29)가 와이어(W)의 심선(W')과 결합됨으로써 와이어(W)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렐부(25)에는 관통슬릿(30)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슬릿(30)은 상기 결합부(24)를 향해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슬릿(30)은 상기 결합핀(27)에 의해 형성된 부분이다. 즉,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타발하여 상기 결합핀(27)의 모양을 형성한 후, 상기 와이어(W)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절곡하여 상기 결합핀(27)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관통슬릿(30)이 형성된 것이다. As shown in FIG. 4, th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작업자는 상기 와이어(W)를 파지하여 상기 터미널(20)의 바렐부(25)를 향해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을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결합핀(27)의 삽입부(29)의 선단이 상기 와이어(W)의 심선(W')과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29)를 상기 와이어(W)의 내부를 향해 삽입하여 상기 심선(W')과 밀착시킨다. 이때, 다수개의 상기 심선(W')은 와이어(W)의 피복에 의해 둘러 감싸여진 상태이다. First, the worker grips the wire W to position one end of the wire W toward the
상기 결합핀(27)의 삽입부(29)를 상기 와이어(W)의 내부로 계속 삽압하게 되면, 상기 결합핀(27)의 지지부(28)에 의해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이 지지되면서 상기 삽입부(29)가 상기 와이어(W)의 내부로 계속 삽입되는 것이 규제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W)는 상기 터미널(20)에 상기 결합핀(27)에 의해 가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와이어(W)에 상기 바렐부가 압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어(W)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터미널(20)은 상기 와이어(W)의 심선(W')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When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바렐부(25)를 상기 와이어(W)와 함께 압착시킨다. 이와 같이 되면, 외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W)가 잡아 당겨지게 되더라도, 상기 와이어(W)가 상기 터미널(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In this state, the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W)의 피복을 탈피시킬 필요 없이 상기 터미널(20)의 결합핀(27)을 상기 와이어(W)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와이어(W)의 심선(W')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므로, 상기 터미널(20)과 와이어(W)를 연결시키기 위한 작업공수가 줄어들게 된다.As such, the coupling pins 27 of the terminal 20 are inserted into the wires W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e wires W 'of the wires W without removing the coating of the wires W. Since it is connected to, the workman for connecting the terminal 20 and the wire (W) is reduced.
그리고 상기 결합핀(27)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터미널(20)의 바렐부(25)에 상기 와이어(W)가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터미널(20)과 와이어(W)의 심선(W')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정확하게 될 수 있다. And the wire (W) is guided by the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될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 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what is stated in the claim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self evident.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결합핀(27)이 터미널(20)의 바렐부(25)에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결합핀(27)은 터미널(20)의 몸체부(2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결합부(24)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부(24) 및 와이어(W)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바렐부(25)가 일체로 구성되는 터미널(20)을 예로 들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몸체부와, 결합부 및 바렐부가 다양한 형태으로 형성되는 터미널에도 본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터미널 21: 몸체부20: terminal 21: body
23: 스테빌라이져 24: 결합부23: stabilizer 24: coupling portion
25: 바렐부 27: 결합핀25: barrel portion 27: coupling pin
28: 지지부 29: 삽입부28: support portion 29: insertion portion
30: 관통슬릿30: through slit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7291A KR20100118437A (en) | 2009-04-28 | 2009-04-28 |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7291A KR20100118437A (en) | 2009-04-28 | 2009-04-28 |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8437A true KR20100118437A (en) | 2010-11-05 |
Family
ID=43404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7291A Ceased KR20100118437A (en) | 2009-04-28 | 2009-04-28 |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18437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4987A (en) | 2021-12-06 | 2023-06-13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Terminal |
WO2023132600A1 (en) * | 2022-01-06 | 2023-07-13 | 엘에스일렉트릭 (주) | Terminal structure |
-
2009
- 2009-04-28 KR KR1020090037291A patent/KR20100118437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4987A (en) | 2021-12-06 | 2023-06-13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Terminal |
WO2023132600A1 (en) * | 2022-01-06 | 2023-07-13 | 엘에스일렉트릭 (주) | Terminal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65970B2 (en) | Plug-in contact | |
US10680359B2 (en) | Plug contact | |
EP3007276B1 (en) | Single element connector | |
CN108933336B (en) | Terminal for peeling-free electric wire connector | |
JP2015056209A (en) |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 |
US7118409B2 (en) | Connector and cable retainer | |
KR102076247B1 (en) | Electrical Contact | |
US9048549B2 (en) | Wire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fiber-core conductor | |
JP4391975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2006236854A (en) | Connector for pressure contact connection | |
KR101521386B1 (en) | Method of connecting a cable with a cable connector | |
KR102513547B1 (en) | Coil end connecting structure | |
KR20100118437A (en) | Terminal | |
CN110690607A (en) |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 |
KR100982942B1 (en) | connector | |
JP2018049742A (en) | L-shaped coaxial plug | |
CN107305983A (en) | Electric wire connector | |
KR200442224Y1 (en) | Wire connector | |
KR200437688Y1 (en) | Receptacle Terminal | |
CN106450865B (en) | Plug connector assembly | |
KR20090073779A (en) | Receptacle Terminal | |
KR100957488B1 (en) | Receptacle Terminal | |
CN110301070B (en) | Conductor connection device, connection pie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or connection device | |
KR200432361Y1 (en) | Splice terminals | |
CN110892585B (en) |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3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0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