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18420A - 황토판, 황토판 제조장치, 그 제조장치 및 황토판을 이용한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토판, 황토판 제조장치, 그 제조장치 및 황토판을 이용한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8420A
KR20100118420A KR1020090037257A KR20090037257A KR20100118420A KR 20100118420 A KR20100118420 A KR 20100118420A KR 1020090037257 A KR1020090037257 A KR 1020090037257A KR 20090037257 A KR20090037257 A KR 20090037257A KR 20100118420 A KR20100118420 A KR 20100118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cher
loess
ocher plate
compression 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0827B1 (ko
Inventor
이한우
Original Assignee
이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우 filed Critical 이한우
Priority to KR1020090037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827B1/ko
Publication of KR20100118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82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 B28B1/045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1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one or more rollers exert pressure on the material
    • B28B3/123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one or more rollers exert pressure on the material on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moving continuously underneath or between the rollers, e.g. on an endless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1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one or more rollers exert pressure on the material
    • B28B3/126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one or more rollers exert pressure on the material on material passing directly between the co-operat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2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the material is extrud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43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of plas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판, 황토판 제조장치, 그 제조장치 및 황토판을 이용한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게는 제작인 간편한 황토판을 제조하고, 외장철판 내부로 황토판을 형성한 샌드위치 판넬 표면에 내화페인트를 도포된 황토판, 황토판 제조장치, 그 제조장치 및 황토판을 이용한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가벼우면서도 견고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내화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여 화재 시 건축물의 전소 및 붕괴를 방지하며, 흡음 및 방음성이 우수한 황토를 이용한 효과가 있다.
황토, 건축물, 판넬, 외장재, 단열, 내화, 화재

Description

황토판, 황토판 제조장치, 그 제조장치 및 황토판을 이용한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 제조방법{Sandwich loess-panel making method using loess-plate and loess-plate, loess-plate making equipment, loess-plate making method}
본 발명은 황토판, 황토판 제조장치, 그 제조장치 및 황토판을 이용한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게는 제작인 간편한 황토판을 제조하고, 외장철판 내부로 황토판을 형성한 샌드위치 판넬 표면에 내화페인트를 도포된 황토판, 황토판 제조장치, 그 제조장치 및 황토판을 이용한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에 사용하는 샌드위치 판넬은 양측으로 철판이 구성되고 그 내부에 스티로폼과 같은 단열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샌드위치 판넬의 경우 화재 시에 건축물이 빠르게 전소하여 많은 인적 물적 피해를 가져온다 특히 건축물의 구성이 견고하지 않은 물류창고나 냉동창고 경우 그 피해가 심각한 수준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많은 내화재질을 이용한 샌드위치 판넬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내화재질의 샌드위치 판넬의 경우에도 견고성이 약해 화재가 크게 날 경우 오랜시간 즉 1시간 이내에 건축물이 전소되어 붕괴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선등록실용신안 제 20-0265998호는 조립식 판넬의 스치로폼의 일측에 황토와 볏집을 혼합한 황토반죽을 일정두께로 부착시킨 후 이를 건조시켜 황토보드를 형성시키고, 황토보드의 외측으로 마감보드를 부착시키고, 황토보드의 내측에는 격자형의 와이어 메쉬가 내장되게 황토반죽을 부착시킨것이다.
그러나 조립식 패널에 황토보드가 형성되어 황토에서 방사되는 효과와 습도조절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나, 화재가 발생하면 스티로폼이 녹아 유독가스를 발생 시켜 인명피해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티로폼이 녹으면 건축물의 변형이 발생하여 붕괴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선등록특허 제 10-623395호는 외장재료를 외장재 위에 황토몰탈층을 설치하고 그 위에 기포황토층을 구성하고, 기포황토층 위에 황토, 숯몰탈층을 구성하며, 이를 내장재인 목재, 한지도배, 합판, 석고보드 등으로 마감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샌드위치 판넬의 취약점을 개선하여 화재 시의 막대한 피해와 황토시공의 취약점인 저효율의 단열, 비효율적인 시공방식을 탈피하는 불연성이며 단열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화재 시 발생하는 강한 열기로 인해 샌드위치 판넬이 뒤틀림이 발생하여 건축물의 붕괴가 발생할 수 있고, 내장재로 사용되는 목재, 한지도배, 합판 등은 화재가 발생하면 연소되는 성질로 인해 내화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별도로 내화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건축물 내장재로 황토판넬이 다양하 게 개발되었다. 이러한 황토판넬에 사용되는 황토판은 대부분 거푸집에 황토반죽을 몰탈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황토판을 제작하였다. 거푸집을 이용하기 때문에 거푸집에서 황토판이 건조된 후 거푸집을 탈착하는 번거러움이 발생하고 거푸집에서 황토판을 탈착할 시 황토판이 파손되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였다. 또한 거푸집을 이용할 경우 제작시간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한 황토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내화성이 우수한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을 단열성이 우수한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흡음 및 방음성이 높은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수단은 다음과 같다.
황토반죽을 공급하는 호퍼; 호퍼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황토반죽을 압출하는 스크류를 갖는 실린더; 실린더 일측에 형성되어 스크류에 풀리결합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모터; 실린더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판체형상의 황토판을 압출하는 장공의 압출공을 갖는 압출다이; 압출다이 일측 하단에 형성되어 압출된 황토판을 가이드하여 이송하는 제1이송틀; 제1이송틀 상부에 형성되어 압출된 황토판을 다져서 넓히는 다수개의 돌기를 타격판 하부면에 갖는 타격압축기; 제1이송틀 일측에 형성되어 황토판을 압축하는 압축롤러부; 압축롤러부 일측에 형성되어 압축롤러부 에 풀리결합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압축모터; 및 압축롤러부 일측에 형성되어 압축된 황토판을 이송하는 제2이송틀; 및 제2이송틀에서 황토판이 배출되는 끝단부에 황토판을 절단하는 커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축롤러부는, 제1이송틀 일측 끝단부에 형성되어 압축모터에 풀리결합된 하부압축롤러; 하부압축롤러 상부로 이격되어 제2이송틀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압축롤러; 하부압축롤러와 상부압축롤러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대; 하부압축롤러와 상부압축롤러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다른방향을 회전하도록 기어결합된 평행기어; 및 평형기어 중 어느 하나는 압축모터와 풀리결합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이송틀은, 압출된 황토판이 진입하는 부분의 폭보다 배출하는 부분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사다리꼴형상인 제1하부판; 및 제1하부판 양측면에 압출된 황토판이 진입하는 부분에서 배출하는 부분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제1이송벽;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이송틀은 소정길이를 갖는 제2하부판 및 제2하부판 양측단에 소정높이의 제2이송벽을 갖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이송틀 상부에 형성되어 압축된 황토판을 다지는 다짐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이송틀 끝단부 상부에 형성되어 압축된 황토판의 일면 또는 양면을 조면화하는 조면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이송틀 끝단에 형성되어 압축된 황토판 일면 또는 양면에 흡음홈을 형성 하는 프레스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황토반죽은, 순수황토 100중량% 또는 순수황토 60~99중량% 및 단열재인 퍼라이트 1~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황토판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압출식 및 압축식으로 제조되는 황토판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황토판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황토판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황토판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황토판을 이용한 건축 외장재로 사용되는 샌드위치 판넬 제조방법은, 샌드위치 판넬의 외장철판을 프레스하는 단계; 압출된 외장철판을 내화접착제를 이용하여 황토판을 고정하는 단계; 고정된 황토판을 감싸도록 내화접착제를 이용하여 외장철판을 결합하는 단계; 및 외장철판 표면에 내화페인트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장철판 프레스단계와 황토판 고정단계 사이에 황토판을 건조 온도에 따라 2~7일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건조된 황토판을 1100~1200℃가마에서 황토판을 소성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화페인트 도포단계는, 외장철판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바탕처리단계; 바탕처리된 외장철판 표면에 프리머 도포하는 하도도장단계; 프리머 상부에 베이스코트를 2회 도포하는 중도도장단계; 베이스코트 상부에 탑실을 도포하는 상도도장단계; 및 도포된 내화페인트를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화페인트를 도포하는 단계에서, 내화페인트는 샌드위치 판넬이 설치되어 외부로 드러나는 외측면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압출식 및 압축식으로 제조함으로써, 빠르고 간편하게 황토판을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샌드위치 판넬 내부의 황토판에 흡음홈과 같은 중공을 설치함으로써, 가벼우면서도 견고한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샌드위치 판넬외부에 내화페인트를 도포하고, 황토에 단열재를 혼합함으로써, 내화성 및 단열성이 우수한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샌드위치 판넬 내부의 황토판에 흡음홈을 형성함으로써, 흠음 및 방음성이 높은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은 견고하면서도 내화성이 높아 건축물의 화재 시 화재의 진행을 억제하고, 화재로 인한 건축물의 붕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 >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황토판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황토판제조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황토판제조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황토판 제조장치는 호퍼(2), 실린더(3), 실린더모터(32), 압출다이(4), 제1이송틀(5), 타격압축기(53), 압축롤러부(6), 압축모터(7), 제2이송틀(8) 및 커팅기(9)로 이루어진다. 호퍼(2)는 황토반죽을 공급한다. 이때, 황토반죽은 5~15% 수분을 함유할 수 있고, 황토반죽의 재질은 순수황토 100중량% 또는 순수황토 60~99중량% 및 단열재인 퍼라이트 1~40중량%을 사용한다. 또한, 호퍼(2)에 물과 황토반죽 혼합물을 함께 투입할 경우 실린더(3)에서 스크류(31)만으로 교반이 완벽하게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교반기에서 황토반죽을 교반하여 호퍼(2)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3)는 호퍼(2) 하부에 형성한다. 이때 실린더(3)는 내부에 황토반죽을 압출하는 스크류(31)를 형성하여 호퍼(2)에 투입된 황토반죽을 일측으로 압출한다. 또한, 실린더모터(32)를 실린더 일측에 형성하여 스크류(31)에 풀리결합하여 동력을 제공한다.
압출다이(4)는 실린더(3) 일측 끝단에 형성된다. 즉 호퍼(2)가 설치된 실린더(3)의 타측끝단에 형성된다. 이때 압출다이(4)는 황토판(1)을 압출하는 압출공(41)을 형성한다. 또한, 압출다이(4)를 관통하는 압출공(41)은 판체형상의 황토판(1)을 형성하기 위해 긴변이 수평인 직사각형의 장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이송틀(5)은 압출다이(4) 일측 하단에 형성한다. 이때, 제1이송틀(5)은 압출된 황토판(1)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제1이송틀(5)은, 제1하부판(51) 및 제1하부판(51) 양측면에 제1이송벽(52)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압출된 황토판(1)의 경우 압출롤러부(6)에서 소정의 폭을 갖도록 압축하기 위해 제 1이송틀(5)에서 압출하기 전 압출된 황토판(1)을 소정폭으로 펼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1하부판(51)을 압출된 황토판(1)이 진입하는 부분의 폭보다 배출하는 부분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제1이송벽은 압출된 황토판이 진입하는 부분에서 배출하는 부분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게 형성한다.
타격압축기(53)는 압출다이(4)의 압출공(41)에서 배출되는 압출된 황토판(1)은 실린더(3)에서 압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압출된 황토판(1)은 상단한 견고성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압출공(41)의 크기는 샌드위치 판넬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타격압축기(53)를 이용하여 소정의 폭을 갖도록 펴서 넓히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때. 압출된 황토판(1)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견고성으로 인해 펼치기 어렵기 때문에 타격압축기(53)의 타격판(54) 하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541)를 이용하여 압출된 황토판(1)을 타격해서 넓히는 것이다. 이렇게 타격압축기(53)에 의해 펼쳐진 황토판(1)은 압축롤러부(6)에서 양면이 평평하게 압축하는 것이다.
압축롤러부(6)는 제1이송틀(5) 일측에 형성한다. 이때, 압축롤러부(6)는 황토판(1)을 압축하기 위해 하부압축롤러(61), 상부압축롤러(62), 지지대(63) 및 평행기어(64)로 이루어진다.
하부압축롤러(61)는 제1이송틀(5)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다. 이때, 하부압축롤러(61)는 압축모터(7)에 풀리결합된다. 상부압축롤러(62)는 하부압축롤러(61) 상부로 이격되어 제2이송틀(8) 일측 상부에 형성된다. 지지대(63)는 하부압축롤러(61)와 상부압축롤러(62) 양측을 지지한다. 평행기어(64)는 하부압축롤러(61)와 상부압축롤러(62) 일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하부압축롤러(61)와 상부압축롤러(62)를 평행기어(64)로 기어 결합한 것은 압출된 황토판(1)을 일측방향으로 압축하면서 배출하기 위해 하부압축롤러(61)와 상부압축롤러(62)가 서로 다른방향을 회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하부압축롤러(61)는 압축모터(7)에 풀리결합할 수 있으나, 평형기어(64) 중 어느 하나는 압축모터(7)와 풀리결합할 수도 있다.
압축모터(7)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역할을 하기 위해 압축롤러부(6) 일측에 형성되어 압축롤러부(6)에 제공한다.
제2이송틀(8)은 압축롤러부(6)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제2이송틀(8)은 압축된 황토판(1)을 이송하는 사용한다. 또한, 제2이송틀(8)은 소정길이를 갖는 제2하부판(81) 및 제2하부판(81) 양측단에 소정높이의 제2이송벽(82)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압축된 황토판의 형태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배출하기 위함이다.
제2이송틀(8)에서 황토판(1)이 배출되는 끝단부에 황토판(1)을 절단하는 커팅기(9)를 구비한다. 이때 커팅기(9)는 하단에 황토판(1)을 커팅하는 절단판(91)과 절단판(91)을 상·하 왕복운동하는 절단실린더(92)를 구비한다. 따라서, 황토판(1)이 이송틀(8)에서 소정거리 만큼 배출될 때마다 절단실런더(92)에 의해 작동되는 절단판(91)이 황토판(1)을 일정 규격에 따라 절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커팅기(9)는 받침대(93)를 이용하여 제2이송틀(8) 상부에 고정된다.
제2이송틀(8)이 일측에는 바닥면으로 소정경사각을 갖도록하여 황토판(1)을 배출하는 배출판(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배출판(14)외에 제2이송틀(8) 일측에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하여 황토판(1)을 배출할 수 있다.
<제 2실시예에 따른 구성>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황토판제조장치를 도시한 측면구성도이다. 이와 더불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제1실시예의 구성을 포함하고 제2이송틀(8) 상부에 황토판(1)을 다지는 다짐기(10)를 더 구비한다. 다짐기(10)는 받침대를 이용하여 제2이송틀(8) 상부에 형성하는 것으로, 상부에 완충기(101)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판체 형상의 다짐판(102)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완충기(101)의 완충력에 의해 압축된 황토판(1)의 상부를 다짐판(102)이 2차적으로 다지므로써, 강도 높은 황토판(1)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조면기(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조면기(12)는 제2이송틀(8) 끝단부 상부에 형성되어 압축된 황토판(1)의 일면 또는 양면을 조면화한다. 즉, 황토판(1)의 일면 또는 양면을 거칠게 하여 황토판을 이용한 샌드위치 판넬 제조시 황토판을 외장판넬을 고정시키는 내화접착제가 견고하게 황토판을 결합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조면기(12)는 압축롤러부(6) 동일하게 상·하로 이격되게 한쌍으로 형성되고, 조면기(12) 와이어가 다수개 외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황토판(1)을 조 면화 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도면에 표기되어 있지 않으나, 한쌍의 조면기(12)를 이루는 상부롤러 및 하부롤러 일측에 평행기어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평행기어중 적어도 하나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조면기(12) 고정수단은 압축롤러부(6)과 같은 받침대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방음 및 흡음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압축된 황토판(1) 일면 또는 양면에 다수개의 흡음홈(11)을 형성하는 프레스(13)를 더 구비한다. 이때, 흡음공(11)의 형상의 내측 측면이 30~60°로 테이퍼진 정사각형 형상하기 위해 금형(131)에 흡음공형성구(132)를 금형(131)의 일측면에 다수개 형성한다. 이때, 금형(131)을 압축하는 프레스실린더(133)를 금형(131) 상부에 형성한다. 또한 흡음공(11)의 테이퍼진 기울기는 45°로 되어 있는 것이 흠음 및 방음효과가 가장 우수하다.
< 제1실시예 제2실시예에 따른 황토판 제조방법 >
한편, 제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황토판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압출식 및 압축식으로 제조된 황토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황토판 제조방법은 실린더(3)를 이용하여 압출다이(4)를 통해 압출된 황토판(1)을 형성하는 단계(S10)를 거친후 압출된 황토판을 압착롤러부에 의해 압착되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 제1실시예 제2실시예에 따른 황토판 >
도 5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황토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황토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한편,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황토판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황토판(1)을 제공한다. 이때, 황토판(1)의 형상은 양면이 평면인 황토판(1)과 일면 또는 양면에 흡음홈(11)이 다수개 형성된 황토판(1)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황토판(1)의 재질은 순수황토 100중량% 또는 순수황토 60~99중량% 및 단열재인 퍼라이트 1~40중량%를 사용함으로써, 내화성이 우수하고, 단열성이 우수하며, 흡음 및 방음효과가 우수한 황토판(1)을 제조할 수 있다.
< 제1실시예 제2실시예에 따른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의 제조방법 >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로 사용되는 샌드위치 판넬 제조방법은 황토판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황토판(1)을 이용하는 것으로, 외장철판 프레스단계(S100), 황토판 고정단계(S200), 외장철판 결합단계(S300) 및 내화페인트 도포단계(S400)로 이루어진다.
외장철판 프레스단계(S100)는 샌드위치 판넬의 외장철판(15)을 압출하는 것으로, 판체형상의 외장철판(15)을 샌드위치 판넬의 형상에 따라 통상의 프레스를 통해 압출한다. 이때, 외장철판(15)은 일측과 타측이 하나로 연결된 일체형 또는 일측과 타측이 분리되는 분리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외장철판을 결합단계(300)는, 외장철판(15)이 일측과 타측으로 분리형성되어 있을 때 이를 결합하는 것이다. 이때, 외장철판(15)의 양측 개구부에 보조부재로 밀폐도 가능하다.
외장철판(15)은 샌드위치 판넬을 이루기 위해 그 형상은 내측면 및 외측면 외장철판(15)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그 양측단이 결합하도록 형성한다.
황토판 고정단계(S200)는 압출된 외장철판(15)을 내화접착제를 이용하여 황토판(1)에 고정한다. 즉, 외장철판(15) 내측면에 내화접착제를 도포한 후 황토판(1)을 그 상부에 고정한다. 이때, 내화접착제를 사용하는 이유는 화재에 의해 인화성물질을 배제하여 화제시 유독가스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황토판 고정단계(S200)에서 황토판(1)은 외장철판(15)이 크기에 따라 1개에서 4개까지 설치가 가능하다. 이때, 황토판(1)을 다수개 설치할 경우 각각의 황토판(1)이 만나는 사이면에 내화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외장철판 프레스단계(S100)와 황토판 고정단계(S200) 사이에 황토판 건조단계(S21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황토판 소성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황토판 건조단계(S210)는 외부의 건조 온도에 따라 2~7일이 소요된다. 그러나, 제조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대형송풍기를 구비한 건조장을 이용하여 보다 빠르게 황토판(1)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급격한 수분의 증발은 황토판(1)의 균열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됨으로 습도 및 온도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토판 소성단계(S220)는 건조된 황토판(1)을 1100~1200℃가마에서 소정시 간 소성한다. 이때 소성시간은 12~36시간이 적절하다. 여기서 황토판(1)을 선택적으로 소성하는 이유는 황토판(1)의 제작비용의 증가에 영향이 있다. 그러나, 가볍고 강도가 높기 때문에 고급형 외장재용 샌드위치 판넬에 사용할 수 있다.
외장철판(15) 결합단계(S300)는 일측이 외장철판(15)에 고정된 황토판(1)의 타측을 감싸도록 외장철판(15)과 황토판(1)사이에 내화접착제를 도포하여 샌드위치 판넬의 각각 외장철판(15)을 결합한다.
결합된 외장철판(15)은 표면에 내화페인트 도포단계(S400)에서 내화페인트를 도포한다. 이때 내화페인트 도포단계(S400)에서, 내화페인트는 샌드위치 판넬이 설치되는 외측면만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화페인트 도포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화페인트 도포단계(S400)는, 외장철판(15)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바탕처리단계(S410), 바탕처리된 외장철판 표면에 프리머를 도포하는 하도도장단계(S420), 프리머 상부에 베이스코트를 2회 도포하는 중도도장단계(S430), 베이스코트 상부에 탑실을 도포하는 상도도장단계(S440) 및 도포된 내화페인트를 건조하는 건조단계(S450)를 포함한다.
바탕처리단계(S410)는, 내화페인트를 외장철판(15)에 도포하기 위한 전처리단계이다. 이때, 바탕처리단계(S410)는 내화페인트를 도장에 아주 주요한 요인이고, 바탕처리단계(S410)는 수작업 또는 바탕정리를 위한 기술수단 즉 에어분사 및 열건조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하도도장단계는(S420), 바탕처리된 외장철판 표면에 프리머 도포한다. 이때, 프리머는 외장철판(15)의 방청을 목적으로 한다.
중도도장단계(S430)는, 프리머 상부에 베이스코트를 2회 도포한다. 이때 베이스코트는 1회 더 도포가 가능하고, 에어 스프레이로 시공하는 것이 원칙이다.
여기서, 베이스코트는 내화페인트의 주재료로 열을 받으면 발포 팽창하여 단열층을 형성하여 우수한 단열성능으로 외장철판(15)을 화재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도도장단계(S440)는, 베이스코트 상부에 탑실을 도포한다. 이때, 탑실은 중도도장단계에서 도포한 베이스코트를 보호하기 위한 도막이다.
여기서, 탑실은 다양한 도장재료의 사용이 가능하나 중도도장단계(S430)에서 도포한 베이스코트와 부착성, 내수성 및 내후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하는 색상의 선택이 가능하여 건축물의 미관으로 사용하는 외장재로 사용이 용이하다.
이상의 하도도장단계(S420), 중도도장단계(S430) 및 상도도장단계(S440)에서 도포된 내화페인트의 두께는 1~6㎜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단계(S450)는, 도포된 내화페인트를 건조하기 위한 것으로, 내화페인트의 건조시간은 외기 즉 건조하는 위치의 온도에 따라 최소 72시간 이상소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적으로 건조시간은 외기온도와 상관없이 통상 4~6일이 지나면 완료된다.
한편, 황토를 이용한 외장재용 샌드위치 판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외 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을 더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황토판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황토판제조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황토판제조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황토판제조장치를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5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황토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황토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화페인트 도포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황토판 2: 호퍼
3: 실린더 31: 스크류
32: 압출실린더 4: 압출다이
41: 성형공 5: 제1이송틀
51: 제1하부판 52: 제1이송벽
6: 압축롤러부 61: 하부압축롤러
62: 상부압축롤러 7: 압축모터
8: 제2이송판 81: 제2하부판
82: 제2이송벽 9: 커팅기
91: 절단판 92: 절단실린더
10: 다짐기 11: 흡음홈
12: 조면기 13: 프레스
14: 배출판

Claims (14)

  1. 황토반죽을 공급하는 호퍼(2);
    상기 호퍼(2)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황토반죽을 압출하는 스크류(31)를 갖는 실린더(3);
    상기 실린더(3)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31)에 풀리결합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모터(32);
    상기 실린더(3)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판체형상의 황토판(1)을 압출하는 장공의 압출공(41)을 갖는 압출다이(4);
    상기 압출다이(4) 일측 하단에 형성되어 압출된 황토판(1)을 가이드하여 이송하는 제1이송틀(5);
    상기 제1이송틀(5)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압출된 황토판(1)을 다져서 넓히는 다수개의 돌기(541)를 타격판(54) 하부면에 갖는 타격압축기(53);
    상기 제1이송틀(5)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다져서 넓혀진 황토판(1)을 압축하는 압축롤러부(6);
    상기 압축롤러부(6)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롤러부(6)에 풀리결합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압축모터(7);
    상기 압축롤러부(6)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된 황토판(1)을 이송하는 제2이송틀(8); 및
    상기 제2이송틀(8)에서 상기 황토판(1)이 배출되는 끝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황토판(1)을 절단하는 커팅기(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판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롤러부(6)는,
    상기 제1이송틀(5) 일측 끝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모터에 풀리결합된 하부압축롤러(61);
    상기 하부압축롤러(61) 상부로 이격되어 상기 제2이송틀(8)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압축롤러(62);
    상기 하부압축롤러(61)와 상부압축롤러(62)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대(63);
    상기 하부압축롤러(61)와 상부압축롤러(62)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다른방향을 회전하도록 기어결합된 평행기어(64); 및
    상기 평형기어(64)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압축모터(7)와 풀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판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틀(5)은,
    상기 압출된 황토판(1)이 진입하는 부분의 폭보다 배출하는 부분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사다리꼴형상인 제1하부판(51); 및
    상기 제1하부판(51) 양측면에 압출된 황토판이 진입하는 부분에서 배출하는 부분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제1이송벽(52);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판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틀(8)은 소정길이를 갖는 제2하부판(81) 및 상기 제2하부판(81) 양측단에 소정높이의 제2이송벽(82)을 갖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판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틀(8)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된 황토판(1)를 다지는 다짐기(1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판 제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틀(8) 끝단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된 황토판(1)의 일면 또는 양면을 조면화하는 조면기(12)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판 제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틀(8)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된 황토판(1) 일면 또는 양면에 흡음홈(11)을 형성하는 프레스(13)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판 제 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반죽은, 순수황토 100중량% 또는 순수황토 60~99중량% 및 단열재인 퍼라이트 1~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판 제조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을 이용하여 압출식 및 압축식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판 제조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판.
  11.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황토판(1)을 이용한 건축 외장재로 사용되는 샌드위치 판넬 제조방법은,
    상기 샌드위치 판넬의 외장철판(15)을 프레스하는 단계(S100);
    상기 압출된 외장철판(15)을 내화접착제를 이용하여 황토판(1)을 고정하는 단계(S200);
    상기 고정된 황토판(1)을 감싸도록 내화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외장철판(15)을 결합하는 단계(S300); 및
    상기 외장철판(15) 표면에 내화페인트를 도포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판을 이용한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철판 프레스단계(S100)와 황토판 고정단계(S200) 사이에 상기 황토판(1)을 건조 온도에 따라 2~7일 건조하는 건조단계(S210)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된 황토판(1)을 1100~1200℃가마에서 황토판을 소성하는 단계(S220)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판을 이용한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의 제조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페인트 도포단계(S400)는,
    상기 외장철판(15)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바탕처리단계(S410);
    상기 바탕처리된 외장철판(15) 표면에 프리머 도포하는 하도도장단계(S420);
    상기 프리머 상부에 베이스코트를 2회 도포하는 중도도장단계(S430);
    상기 베이스코트 상부에 탑실을 도포하는 상도도장단계(S440); 및
    상기 도포된 내화페인트를 건조하는 건조단계(S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외장재용 샌드위치 판넬의 제조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페인트 도포단계(S400)에서, 상기 내화페인트는 상기 샌드위치 판 넬이 설치되는 외부로 드러나는 외측면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판을 이용한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의 제조방법.
KR1020090037257A 2009-04-28 2009-04-28 황토판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120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257A KR101120827B1 (ko) 2009-04-28 2009-04-28 황토판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257A KR101120827B1 (ko) 2009-04-28 2009-04-28 황토판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838A Division KR101084396B1 (ko) 2011-06-22 2011-06-22 황토판을 이용한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420A true KR20100118420A (ko) 2010-11-05
KR101120827B1 KR101120827B1 (ko) 2012-03-15

Family

ID=43404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257A Expired - Fee Related KR101120827B1 (ko) 2009-04-28 2009-04-28 황토판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8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0133A (zh) * 2015-04-04 2015-07-08 朱国家 一种建筑装饰构件的生产设备及其制备工艺
CN105856389A (zh) * 2014-05-08 2016-08-17 沈棋 一种具备保护功能的陶瓷容器泥坯成型机
CN108247815A (zh) * 2018-02-07 2018-07-06 安徽宇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保温板成型装置
KR102500215B1 (ko) * 2022-08-03 2023-02-17 주식회사 가온 황토벽체 구조물 제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0132B (zh) * 2015-04-08 2017-03-22 裴庭胜 一种生成纤维增强水泥轻质多孔隔墙条板的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367A (ko) * 2000-11-24 2002-05-30 최봉석 황토를 주재로한 보드판의 제조방법
KR20040096033A (ko) * 2003-05-07 2004-11-16 주식회사 동양하이켐 바닥 조립용 패널 제조방법
KR100730402B1 (ko) 2006-12-18 2007-06-19 윤윤진 황토 보드 제조시스템
KR100883552B1 (ko) * 2007-02-16 2009-02-13 김태환 순황토판넬보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6389A (zh) * 2014-05-08 2016-08-17 沈棋 一种具备保护功能的陶瓷容器泥坯成型机
CN106003379A (zh) * 2014-05-08 2016-10-12 沈棋 具备保护功能的陶瓷容器泥坯滚压成型机
CN105856389B (zh) * 2014-05-08 2017-12-26 广东宝丰陶瓷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具备保护功能的陶瓷容器泥坯成型机
CN106003379B (zh) * 2014-05-08 2018-06-26 沈棋 具备保护功能的陶瓷容器泥坯滚压成型机
CN104760133A (zh) * 2015-04-04 2015-07-08 朱国家 一种建筑装饰构件的生产设备及其制备工艺
CN108247815A (zh) * 2018-02-07 2018-07-06 安徽宇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保温板成型装置
KR102500215B1 (ko) * 2022-08-03 2023-02-17 주식회사 가온 황토벽체 구조물 제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0827B1 (ko)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7086A1 (en) Building Panels with Support Members Extending Partially Through the Panels and Method Therefor
KR101120827B1 (ko) 황토판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20167507A1 (en) Building Panels with Support Members Extending Partially Through the Panels and Method Therefor
CN1429305A (zh) 复合建筑构件
RU2181081C2 (ru)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й экструз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отходов органических материалов
KR20200035815A (ko)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상하 결합구조
KR101084396B1 (ko) 황토판을 이용한 외장재용 샌드위치 황토판넬 제조방법
WO2009120092A1 (en) Structural wall
CN201979598U (zh) 外墙保温装饰一体板的生产线
CN109457884A (zh) 一种保温饰板外墙外保温系统及安装方法
CN102172981B (zh) 外墙保温装饰一体板的生产设备
JP6497924B2 (ja) 木造建築物の外張り断熱耐火外壁構造
JP6497922B2 (ja) 木造建築物の外張り断熱耐火外壁構造
KR102136756B1 (ko)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결합구조
KR20200035817A (ko)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하부 결합구조
JP2021059852A (ja) 建築用プラスチック板材の構造
KR100682541B1 (ko) 무석면 섬유보강 칼슘실리케이트 시멘트보드 월패널 및이를 이용한 비내력벽체의 시공방법
KR102136757B1 (ko)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의 구조
IE20080571A1 (en) An insulated panel
CN114718225A (zh) 金属中空内模墙体系统
CN201241422Y (zh) 绝热保温隔音防火轻质复合墙体板
RU217124U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RU177937U1 (ru) Элемент строите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JP2016113824A (ja) 木造建築物の外張り断熱耐火外壁構造
CN104032852A (zh) 保温外立面一体化轻型墙体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62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