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8394A - 미실링 잉여부를 구비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미실링 잉여부를 구비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18394A KR20100118394A KR1020090037216A KR20090037216A KR20100118394A KR 20100118394 A KR20100118394 A KR 20100118394A KR 1020090037216 A KR1020090037216 A KR 1020090037216A KR 20090037216 A KR20090037216 A KR 20090037216A KR 20100118394 A KR20100118394 A KR 201001183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sealed
- sealing
- secondary battery
- width
- surplu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52—Removing gases inside the secondary cell, e.g. by absorp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9)
-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밀봉되어 있는 이차전지로서, 전지케이스의 실링부와 전극조립체 사이에는 발생 가스를 포집할 수 있도록 미실링 상태의 잉여부(미실링 잉여부)가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실링부는,(a) 상기 전극조립체에 일치하는 크기의 수납부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를 장착하는 단계;(b) 상기 상부 및 하부 라미네이트 시트의 4 변 중 전극 단자의 위치를 포함한 3 변을 실링하는 단계;(c) 상기 미실링부를 통해 전해액을 주입하는 단계;(d) 전지를 초기 활성화하고, 발생 가스를 배출하는 단계;(e) 상기 미실링부를 실링하여, 해당 변의 폭을 기준으로 10 내지 40%의 폭으로 미실링 잉여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f) 상기 수납부와 접하는 상기 미실링 잉여부 일면을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와 접하는 상기 미실링 잉여부 일면은, 미실링 잉여부의 실링된 측면실링부 폭의 20 ~ 40%으로 실링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와 접하는 미실링 잉여부의 일면은, 미실링 잉여부의 실링된 측면실링부의 50 ~ 70%의 압력으로 실링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와 접하는 미실링 잉여부의 일면은, 40 ~ 80 N 범위 이내의 파단강도를 갖게끔 실링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실링 잉여부를 포함하는 변의 폭은 실링부를 포함하는 다른 변의 폭보다 10 내지 50%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 이후 및 단계(d) 이전에, 전해액을 주입한 미실링 부위의 외주면 단부부위(단부 실링부)만을 실링하여, 전지케이스 내부에 해당 변의 폭을 기준으로 30 내지 60%의 폭으로 가스포켓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부 실링부를 절취하여 활성화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를 제거하고 여부의 전해액을 제거 하거나 부족한 전해액을 주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실링 잉여부를 포함하는 변의 폭은 실링부를 포함하는 다른 변의 폭보다 15 내지 25% 크고, 상기 미실링 잉여부는 해당 변의 폭을 기준으로 20 내지 30%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전지 내에서 고압의 발생시 1차적으로 미실링 잉여부가 개방·팽창하면서 내압 상승을 억제하고, 임계값 이상의 고압 발생시 2차적으로 미실링 잉여부 인접 실링부가 벌어지면서 고압 가스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는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7216A KR101165066B1 (ko) | 2009-04-28 | 2009-04-28 | 미실링 잉여부를 구비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7216A KR101165066B1 (ko) | 2009-04-28 | 2009-04-28 | 미실링 잉여부를 구비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8394A true KR20100118394A (ko) | 2010-11-05 |
KR101165066B1 KR101165066B1 (ko) | 2012-07-12 |
Family
ID=4340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7216A Active KR101165066B1 (ko) | 2009-04-28 | 2009-04-28 | 미실링 잉여부를 구비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5066B1 (ko)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74217A3 (ko) * | 2010-12-02 | 2012-07-2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원심력을 이용한 이차전지의 탈기 방법 |
KR101271920B1 (ko) * | 2011-06-17 | 2013-06-0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US8834180B2 (en) | 2012-03-08 | 2014-09-16 | Samsung Sdi Co., Ltd. | Secondary battery |
KR20150014893A (ko) * | 2013-07-30 | 2015-02-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중 실링부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
KR20150061990A (ko) * | 2013-11-28 | 2015-06-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실란트로 실링되는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
KR20160054242A (ko) * | 2014-11-06 | 2016-05-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보조 실링부의 형성 과정을 포함하는 전지셀의 제조방법 |
KR20160096844A (ko) * | 2015-02-06 | 2016-08-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해액 주액 및 가스 배출이 용이한 전지셀 |
KR20190084747A (ko) * | 2018-01-09 | 2019-07-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히든형 가스 포켓부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이를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KR20200033665A (ko) | 2018-09-20 | 2020-03-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가스배출 탭을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디가스 장치 |
WO2020091487A1 (ko) * | 2018-11-02 | 2020-05-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해액 보충용 홈이 형성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
KR102284678B1 (ko) | 2020-05-22 | 2021-08-03 | 주식회사 알에스오토 |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가스 방법 |
KR102285961B1 (ko) | 2020-06-26 | 2021-08-04 | 주식회사 알에스오토 |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시스템 |
KR20240050265A (ko) | 2022-10-11 | 2024-04-18 | 이강민 | 이차전지의 내압력 평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의 내압력 평가방법 |
WO2024090996A1 (ko) * | 2022-10-25 | 2024-05-02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전지 제조방법 |
KR20240101114A (ko) | 2022-12-23 | 2024-07-02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전지의 디개싱 장치 및 디개싱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06411B1 (ko) * | 2013-08-22 | 2017-12-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가스이동파이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KR101818806B1 (ko) * | 2015-04-02 | 2018-01-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220012104A (ko) | 2020-07-22 | 2022-02-03 |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 이차전지 파우치 |
KR102785901B1 (ko) | 2020-08-06 | 2025-03-25 |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 이차전지 파우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68423B2 (ja) * | 2005-05-30 | 2012-07-04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リチウム電池の外装体 |
JP5261908B2 (ja) | 2006-09-20 | 2013-08-14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扁平型電気化学セル |
-
2009
- 2009-04-28 KR KR1020090037216A patent/KR101165066B1/ko active Active
Cited B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74217A3 (ko) * | 2010-12-02 | 2012-07-2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원심력을 이용한 이차전지의 탈기 방법 |
US9214696B2 (en) | 2010-12-02 | 2015-12-15 | Lg Chem, Ltd. | Degassing method of secondary battery using centrifugal force |
KR101271920B1 (ko) * | 2011-06-17 | 2013-06-0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US8834180B2 (en) | 2012-03-08 | 2014-09-16 | Samsung Sdi Co., Ltd. | Secondary battery |
KR20150014893A (ko) * | 2013-07-30 | 2015-02-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중 실링부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
US9735402B2 (en) | 2013-07-30 | 2017-08-15 | Lg Chem, Ltd. | Battery cell having double sealing structure |
KR20150061990A (ko) * | 2013-11-28 | 2015-06-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실란트로 실링되는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
KR20160054242A (ko) * | 2014-11-06 | 2016-05-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보조 실링부의 형성 과정을 포함하는 전지셀의 제조방법 |
KR20160096844A (ko) * | 2015-02-06 | 2016-08-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해액 주액 및 가스 배출이 용이한 전지셀 |
WO2019139323A1 (ko) * | 2018-01-09 | 2019-07-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히든형 가스 포켓부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이를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KR20190084747A (ko) * | 2018-01-09 | 2019-07-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히든형 가스 포켓부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이를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KR20200033665A (ko) | 2018-09-20 | 2020-03-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가스배출 탭을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디가스 장치 |
WO2020091487A1 (ko) * | 2018-11-02 | 2020-05-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해액 보충용 홈이 형성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
JP2021508141A (ja) * | 2018-11-02 | 2021-02-25 |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 電解液補充用溝が形成されたパウチ型二次電池 |
US20210074989A1 (en) * | 2018-11-02 | 2021-03-11 | Lg Chem, Ltd. |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Electrolytic Solution Supplement Recess Portion Formed Therein |
US12148947B2 (en) | 2020-05-22 | 2024-11-19 | Sk On Co., Ltd. | Degassing apparatus of pouch for secondary battery and degassing method using the same |
KR102284678B1 (ko) | 2020-05-22 | 2021-08-03 | 주식회사 알에스오토 |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가스 방법 |
KR102285961B1 (ko) | 2020-06-26 | 2021-08-04 | 주식회사 알에스오토 |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시스템 |
US11811084B2 (en) | 2020-06-26 | 2023-11-07 | Sk On Co., Ltd. | Degassing system of pouch for secondary battery |
EP3928852A1 (en) | 2020-06-26 | 2021-12-29 | SK Innovation Co., Ltd. | Degassing system of pouch for secondary battery |
KR20240050265A (ko) | 2022-10-11 | 2024-04-18 | 이강민 | 이차전지의 내압력 평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의 내압력 평가방법 |
WO2024090996A1 (ko) * | 2022-10-25 | 2024-05-02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전지 제조방법 |
KR20240101114A (ko) | 2022-12-23 | 2024-07-02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전지의 디개싱 장치 및 디개싱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65066B1 (ko) | 2012-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5066B1 (ko) | 미실링 잉여부를 구비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
KR100876455B1 (ko) | 미실링 잉여부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
KR100614381B1 (ko) | 리튬 이온 이차 전지 | |
KR101499471B1 (ko) |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이차전지 | |
KR100709834B1 (ko) | 이차 전지 | |
KR101123061B1 (ko) | 향상된 안전성의 이차전지 | |
KR101159099B1 (ko) | 가스 포집용 잉여부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 |
KR100995764B1 (ko) | 용량이 증가된 원통형 전지 | |
KR20170021102A (ko) | 전지 셀 | |
KR101424003B1 (ko) | 스웰링 현상을 방지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
JP7202532B2 (ja)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
US20180219208A1 (en) | Lithium storage battery with integrated circuit-breaker for improved operating safety | |
US20180219209A1 (en) | Lithium storage battery with integrated circuit-breaker for improved operating safety | |
US11876185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 |
JP2010186786A (ja) | 蓄電デバイスおよび蓄電デバイスモジュール | |
KR101179034B1 (ko) | 밀봉성이 우수한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 |
KR101596489B1 (ko) | 이차 전지용 파우치 및 전지 성능 발현이 장기화된 파우치형 이차 전지,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 |
EP4228072A1 (en) |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 |
KR100601536B1 (ko) | 리튬 이온 이차 전지 | |
KR20220048791A (ko) |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 |
US20230291066A1 (en) | Cell tab with an integrated rupture valve for a battery cell, and a battery cell comprising said cell tab | |
KR101023142B1 (ko) | 리튬 이차전지 | |
JP2000182588A (ja) | リチウム二次電池 | |
KR20240162683A (ko) |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 및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의 제조 방법 | |
KR100502325B1 (ko) |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8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4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4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