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16742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742A
KR20100116742A KR1020090035311A KR20090035311A KR20100116742A KR 20100116742 A KR20100116742 A KR 20100116742A KR 1020090035311 A KR1020090035311 A KR 1020090035311A KR 20090035311 A KR20090035311 A KR 20090035311A KR 20100116742 A KR20100116742 A KR 20100116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mpartment
ice
refrigerator
ice ma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3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84805B1 (en
Inventor
박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90035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805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MX2011009933A priority patent/MX344533B/en
Priority to US13/265,354 priority patent/US20120031136A1/en
Priority to PCT/KR2009/005308 priority patent/WO2010123177A1/en
Priority to CN2009801587829A priority patent/CN102395845B/en
Priority to BRPI0924935-4A priority patent/BRPI0924935A2/en
Priority to EP09843705.6A priority patent/EP2422148A4/en
Priority to AU2009344951A priority patent/AU2009344951B2/en
Publication of KR20100116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7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805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6Refrigerators with a vertical mull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저장공간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ase of use and the efficiency of the storage space.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allows food to be stored at a low temperature in an interior storage space shielded by a door, and is stored by cool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using cold air generat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a refrigerant circulating in a refrigeration cycle. It is configured to keep foods in optimal condition.

그리고, 냉장고 내부의 저장공간으로는 섭씨 1~4도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채소와 같은 음식물이 신선한 상태로 보관되도록 하는 냉장실과, 섭씨 -18도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육류나 생선과 같은 음식물이 냉동 보관되도록 하는 냉동실이 제공되며,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의 배치 및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차폐하는 도어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냉장고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refrigerator is maintained in the range of 1 to 4 degrees Celsius,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to keep foods such as vegetables are kept in a fresh state, and foods such as meat or fish to be kept in the range of -18 degrees Celsius A freezer compartment for freezing and storing is provided, and the refrigerator may have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shape of the door that shield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그리고,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In addition, the refrigerator is gradually becoming larger and more versatil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diet and the quality of the product, and refrigerators with various structures and convenience devices are considered.

즉, 이와 같은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의 냉장고,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텀프리즈 타입(Bottom freez type)의 냉장고 그리고,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의 냉장고 등이 있으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원하는 타입의 냉장고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That is, such a refrigerator is a side by side refrigerator in which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a bottom freez type refrigerator in whic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disposed above the freezer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There is a top mount type refrigerator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frigerator, and a refrigerator of a desired type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그리고, 고내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아이스 메이커가 제공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본체의 내측 또는 본체를 차폐하는 도어에 구비된다. 이때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되는 냉장고 도어는 통상 회전식 도어이다.In addition, an ice maker for making and storing ice is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and the ice maker is provided at a door that shields the inside of the body or the body. In this case, the refrigerator door in which the ice maker is provided is usually a rotary door.

또한,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도록 냉장고 도어에는 디스펜서가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원하는 만큼의 얼음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efrigerator door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so that the ice made by the ice maker can be taken out from the outside, an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dispenser may be supplied with as much ice as desired.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냉장실을 회동식으로 개폐되는 투명한 냉장실 도어와, 서랍식으로 인출입 개폐되는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is selectively shielded by a transparent refrigerator door that opens and closes one refrigerator compartment in a rotational manner, and a sliding door that draws in and out.

또한, 상기 투명한 냉장실 도어를 통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수납된 식품을 확인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onfigured to check food stored in the sliding door through the transparen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 냉동실;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 상기 냉장실의 전면 일부를 개폐하는 회동식 도어와, 상기 냉장실의 전면 나머지 일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다수의 냉장실 도어; 상기 회동식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레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식 도어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고외측에서 상기 냉장실의 내부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수납된 식품을 확인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Freezer; A freezer compartment door to open and close the freezer compartment; A plurality of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including a rotatabl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sliding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 hinge for allowing the rotatable door to be rotatably mounted; It includes a rail member for guiding the withdrawal of the sliding door, the rotating door is formed transpar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d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sliding door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 냉동실;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 상기 냉장실의 일부를 개폐하는 회동식 도어와, 상기 냉장실의 나머지 일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다수의 냉장실 도어; 상기 회동식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레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상하 인접하게 배치되 는 제1도어와 제2도어로 구성되고,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사이에는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개폐시 회동되어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사이 냉기 유출을 차단하는 필러를 포함한다.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Freezer; A freezer compartment door to open and close the freezer compartment; A plurality of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including a rotatabl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sliding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 hinge for allowing the rotatable door to be rotatably mounted; And a rail member for guiding drawing in and out of the sliding door, wherein the sliding door includes a first door and a second door disposed up and down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first doo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And a filler which is rotated dur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door to block the outflow of cold air between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 냉동실;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 상기 냉장실의 전면 일부를 개폐하는 회동식 도어와, 상기 냉장실의 전면 나머지 일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다수의 냉장실 도어; 상기 회동식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레일부재;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후방에 제공되는 제빙실;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후방에 제공되며, 제빙된 얼음과 음용수를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인출시 고외측에서 사용 가능하며, 상기 회동식 도어의 개방시 고내측에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Freezer; A freezer compartment door to open and close the freezer compartment; A plurality of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including a rotatabl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sliding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 hinge for allowing the rotatable door to be rotatably mounted; A rail member for guiding drawing in and out of the sliding door; An ice making chamber provided at a rear of the sliding door; I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liding door, and includes a dispenser capable of taking out ice and drinking water, wherein the dispenser can be used at the high outside when the sliding door is pulled out, and the high inside when the rotating door is opened. Characterized in that available i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의 내부에 수납공간을 회동되는 냉장실 도어와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제1도어 및 제2도어에 의해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and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which is pulled in and out of the storage compartment is rotat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It is configured to be.

따라서, 상기 냉장실 내부의 수납공간을 선반의 형태와 팬트리의 형태로 동시에 구현 가능하여 전체적인 공간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can be simultaneously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helf and a pan tree, thereby improving the use efficiency of the overall spac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냉장실 도어를 투명하게 하는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를 통해 상기 제1도어 및 제2도어에 수납된 식품들을 확인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mak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transparent, and to check the foods stored in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throug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식품의 위치를 도어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빠르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quickly check the location of the desired food even without the door open,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consumer.

또한, 식품의 확인을 위해 불필요한 도어를 개방하지 않아도 되므로 소비전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냉동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open the unnecessary door for the confirmation of food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power consumption as well as to improve the freezing efficiency.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의 배면에는 식품이 수납되지 않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선반이 상기 냉장실의 전단까지 확장될 수 있게 되어 수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에 식품이 수납되지 않음으로 인해 냉장실 도어가 가벼워 지게 되어 개폐를 위한 조작성이 한층 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has a structure in which food is not stored, so that the shelf can be extended to the front end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reby improving the storage performance. In addition, since the refrigerator door is light because the food is not stored in the refrigerator door, the operability for opening and closing is further improv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and tha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devised by adding,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제공되는 다수의 도어에 의해 외형이 정의된다. 1 and 2,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ncludes a main body 10 forming a storage space and a plurality of door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he appearance is defined by

상기 본체(10)는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하로 구획되어 하부에 냉동 실(20)이 구비되고, 상부에 냉장실(30)과 저장실(100)이 형성된다. 이들 각각의 공간은 구획되어 독립적인 저장환경을 가질 수 있게 된다The main body 10 is formed so that the front surface is opened, and is partitioned up and down is provided with a freezing chamber 20 at the bottom,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30 and the storage chamber 100 is formed at the top. Each of these spaces can be partitioned to have an independent storage environment.

상세히, 상기 냉동실(20)은 상기 본체(10)의 하부를 형성하며, 서랍식으로 인출입 되는 냉동실 도어(2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20)의 상부 공간은 각각 좌우측으로 구획되어 각각 저장실(100)과 냉장실(30)을 형성하게 된다.In detail, the freezer compartment 20 forms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shielded by a freezer compartment door 22 which is pulled in and out. In addition, the upper spac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20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to form the storage compartment 100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respectively.

상기 냉장실(30)은 상기 냉동실(20) 상부의 우측(도 1에서 볼 때)에 형성되며, 상기 냉장실(30) 내부에는 다수의 서랍 및 선반이 제공되어 식품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냉장실 도어(32)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is formed on the right side (as shown in FIG. 1) above the freezing compartment 20, and a plurality of drawers and shelves are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to store food. In additio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rotatably mounted.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상기 냉장실(30)의 개구된 전면의 크기와 대응하게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게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3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opened front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heck the interior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한편, 상기 냉장실(30)의 좌측(도 1에서 볼 때)에는 저장실(storage room)(100)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실(100)은 상기 냉장실(30)과 베리어(40)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며, 서랍식으로 인출되는 도어(15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 storage room 100 is formed on the left side (see FIG. 1)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The storage compartment 100 is partitioned and formed by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nd the barrier 40, and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shielded by a door 150 that is drawn out in a drawer type.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실(30)을 개폐하기 위하여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냉장실 도어를 회동식 도어(pivotable door)로 정의하고, 상기 저장실(100)을 개폐하기 위하여 서랍식으로 제공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어를 슬라이딩 도 어(sliding door)로 정의할 수 있다. Hereinafter,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which is provided to be rotatable to open and clos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is defined as a pivot door, and one or more doors which are provided in a drawer type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100 are defined. It can be defined as a sliding door.

또한, 상기 냉장실(30)의 측방에 제공되는 상기 저장실(100)이 냉장실로 사용되는 경우, 냉장실 도어는 상기 회동식 도어 뿐아니라 상기 슬라이딩 도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해석에 일관되게, 상기 저장실(100)이 냉동실로 사용되는 경우 냉동실 도어에 포함될 것이고, 절환실로 사용될 경우에는 별도의 절환실 도어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storage compartment 10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is used a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the sliding door as well as the rotating door. Consistent with this analysis, when the storage compartment 100 is used as a freezer compartment, it will be inclu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and when used as a changeover compartment,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separate changeover compartment door.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 중 상기 냉장실(30)과 저장실(30)이 단일의 공간을 형성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식 도어와 슬라이딩 도어가 모두 냉장실 도어에 포함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I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nd the storage compartment 30 form a single space,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both the rotatable door and the sliding door are includ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용어 해석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상세 설명에서 사용되는 냉장실 도어는 회동식 도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다만,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되는 냉장실 도어는 상기 회동식 도어 뿐 아니라, 냉장실로 사용되는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딩 도어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In order to avoid confusion of the term interpretatio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as meaning a pivoting door. Howeve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to include a sliding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used a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s well as the rotating door.

상기 저장실(100)은 격벽에 의해 다시 상부와 하부로 구획되어, 상부에 형성되는 제1저장실(110)과 하부에 형성되는 제2저장실(120)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저장실(110)과 제2저장실(120)에는 제 1 도어(130)와 제 2 도어(140)가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저장실(100)은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고, 2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The storage compartment 100 may b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again by partition walls, and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torage chamber 110 formed at an upper portion and a second storage chamber 120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In addition, a first door 130 and a second door 140 are provided in 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and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so as to be able to draw in and out. Of course, if necessary, only one storage compartment 100 may be formed or two or more may be formed.

상기 제 1 도어(130)는 상기 저장실(100)에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 1 도어(130)의 완전한 인입에 의해 상기 제1저장실(110)이 완전히 차폐될 수 있 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130)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납부(134)가 형성된다.The first door 130 is mounted to the storage compartment 100 to be withdrawable, an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10 can be completely shielded by the complete retracting of the first door 130. In addition, an accommodating part 134 extending rearward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130.

상기 수납부(134)는 팬트리(Pantry) 선반과 같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제 1 도어(130)의 배면에서 상기 제1저장실(110)의 내측 후면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 그리고, 상기 수납부(134)는 상하 2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수납되는 식품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서 2단 이상의 다단 구조를 이룰 수도 있을 것이다.The accommodating part 134 may be provided in a shape such as a pantry shelf, and may be formed to extend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an inner rear surface of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10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130. Can be. . The accommodating part 134 may be configured in two stages up and down, and may have a multi-stage structure in two or more stages according to the type and shape of the food.

예컨데, 상기 수납부(134)는 도시된 것과 같이 양측에 랙이 구비되어 전용 용기가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와인 및 병 용기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바스켓 또는 선반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34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rack is provided at both sides to seat a dedicated container as shown, or may be configured in a corresponding shape to facilitate storage of wine and bottle containers. In addition, the housing portion may have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basket or shelf shape.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제1저장실(110)의 상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상기 수납부(134)가 1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저장실(110)의 상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상기 수납부(134)가 2단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is short, if necessary, the accommodating part 134 may be configured in one stage, and when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is long, the number may be increased. The payment 134 may be configured in two or more stages.

한편, 상기 제1저장실(110)의 하방에는 제2저장실(12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저장실(120) 또한 상기 제1저장실(110)과 같이 상기 냉장실(30) 및 냉동실(20)과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냉동실(20)의 상측에 형성된다.Meanwhile, a second storage chamber 120 is formed below 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also forms a space partitioned from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and the freezing chamber 20 like 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and is formed above the freezing chamber 20.

상기 제2저장실(120)에는 전후방으로 인출입 가능한 제 2 도어(140)가 제공되며, 상기 제 2 도어(140)의 인출입에 의해 상기 제2저장실(120)이 선택적으로 차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is provided with a second door 140 that can be pulled in and out in front and rear, and configured to selectively shield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by drawing out the second door 140. do.

한편, 상기 제 2 도어(140)의 배면에는 제빙실(1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160)은 얼음이 만들어지고 저장되는 공간으로 내부에는 적어도 얼음을 만들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162)가 구비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는 급수되는 물을 수용하여 얼음을 만드는 것으로, 급수와 이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n ice making chamber 160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oor 140. The ice making chamber 160 is a space where ice is made and stored therein and is provided with an ice maker 162 for making ice at least. The ice maker 162 accommodates water to be made water to make ice, so that water supply and ice can be automatically made.

상기 제2저장실(120)이 냉장실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빙실(160)의 내부가 상기 제2저장실(120)과 단열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별도의 단열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2저장실(120)과 제빙실(160)이 격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저장실(120)이 냉동실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단열 또는 격리를 위한 구조 없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를 비롯한 이송기구들이 상기 제2저장실(120) 내에 수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20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 interior of the ice making chamber 160 may be insulated from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20. That is,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and the ice making chamber 160 may be separated by a separate insulating structure. However, when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20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freezer compartment, transfer mechanisms including the ice maker 162 may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20 without a structure for separate insulation or isolation. It may be formed into a structure accommodated therein.

그리고, 상기 제빙실(160)은 상기 제 2 도어(140)의 배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도어(140)와 한 몸으로 인출입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ce making chamber 16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oor 140 to be drawn in and out of the body with the second door 140.

또한, 상기 제빙실(160)의 적어도 일부는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빙실(160) 내부의 아이스 메이커(162)에 대한 수리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160 may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ice maker 162 inside the ice making chamber 160 may be easily repaired and managed.

한편, 상기 제빙실(160)은 상기 제 2 도어(140)의 상대적으로 하측 영역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제빙실(160) 상부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제 2 도어(140)의 후방에는 음식물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부(146)가 형성될 수 있다.상기 수납부(146)는 전술한 상기 제 1 도어(130)의 수납부(134)와 같이 다양한 구조를 가지 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제 2 도어(140)의 인출입에 따라 수납된 식품들이 함께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146)에 저장되는 식품들은 상기 제1저장실(110) 내부의 온도에 따라 냉장 보관용 식품과 냉동 보관용 식품으로 구분되어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140)의 전면에는 제빙된 얼음의 취출 및/또는 음용수를 외부에서 취출 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142)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ice making chamber 160 may be provided in a relatively lower region of the second door 140, and food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econd door 140 corresponding to the upper region of the ice making chamber 160. An accommodating part 146 that can be accommodated may be formed. The accommodating part 146 may be formed to have various structures such as the accommodating part 134 of the first door 130 described above. Food stored in accordance with the withdrawal of the second door 140 may be configured to withdraw in and out together. Foods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46 may be divided into refrigerated foods and frozen food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side 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In addition, the front of the second door 140 may be provided with a dispenser 142 to take out the ice ice and / or drinking water from the outsid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서랍식도어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도 2의 A-A'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refrigerator drawe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of AA 'of FIG.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 2 도어(140)의 구성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 2 도어(140)의 배면에는 상기 제빙실(160)이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160)은 상기 제 2 도어(14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빙실(160)의 상부에는 수납부(146)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door 140 is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ice making chamber 160 protrudes back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oor 140. The ice making chamber 160 is formed under the second door 140, and an accommodating part 146 is formed above the ice making chamber 160.

상기 제빙실(160)의 내부에는 급수되는 물로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162)와, 제빙된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142)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기구(170)가 구비된다.The ice maker 162 includes an ice maker 162 for making ice with water to be supplied, and a transfer mechanism 170 for transferring the iced ice to the dispenser 142.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는 상기 제빙실(160)의 후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도어(140)가 완전히 인입되었을 때 급수와 냉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급수 유로 및 냉기덕트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ice maker 162 is formed in the second half of the ice making chamber 160, and a water supply flow path and a cold air duct are provided in the ice maker 162 so that water and cold air are supplied when the second door 140 is completely drawn in. Can be detachably connected.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빙실(160)에는 제빙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워터탱크가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워터 탱크에 물을 직접 채워 넣음으로써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로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Of course, if necessary, the ice making chamber 160 is provided with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for ice making, so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maker 162 by directly filling the water tank with water. It may be.

한편, 상기 제빙실(160)의 내측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로부터 이빙된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142)로 공급하는 이송기구(1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기구(17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의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취출구(144)로 얼음을 공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디스펜서(142)에 구비되는 상기 취출구(144)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은 이송 기구(170)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송기구(170)는, 제1이송기구(172)와, 제2이송기구(174) 및 제3이송기구(176)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side of the ice making chamber 160 may be provided with a transfer mechanism 170 for supplying the ice iced from the ice maker 162 to the dispenser 142. The transfer mechanism 170 may be for supplying ice to the outlet 144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ice maker 162. That is, when the outlet 144 provided in the dispenser 142 is located higher than the ice maker 162, a transfer mechanism 170 as shown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transfer mechanism 170 may include a first transfer mechanism 172, a second transfer mechanism 174, and a third transfer mechanism 176.

상세히, 상기 제1이송기구(172)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모터(178)에 의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기구(172)는 나선 또는 코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로부터 이빙되는 얼음이 상기 제빙실(160)의 전방, 즉 상기 제 2 도어(140)쪽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In detail,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72 may be provided below the ice maker 162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ice maker 162 and may be driven by the motor 178.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172 is formed in a spiral or coil shape so that the ice iced from the ice maker 162 is guided in front of the ice making chamber 160, that is, toward the second door 140.

한편, 상기 제2이송기구(174)는 상기 제1이송기구(172)의 전단부 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도어(140)와 평행하게 상하 방향으로 놓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기구(172)와 마찬가지로 별도 제공되는 모터(178)에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이송기구(172)의 전단부와 상기 제2이송기구(174)의 하단부가 베벨 기어와 같은 매개수단에 의하여 연결되어, 단일 모터에 의하여 구동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174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72, and may be pl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parallel with the second door 140. As in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72, the motor 178 may be rotated separately. However,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72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174 may be connected by an intermediary means such as a bevel gear, so as to be driven by a single motor.

상기 제2이송기구(174) 또한 나선 또는 코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이 송기구(172)에 의해 이송된 얼음을 상방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이송기구(174)의 상단이 상기 디스펜서(142)의 취출구(144)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174 is also formed in a spiral or coil shape to transfer the ice transferred by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72 upwards. In this case, an upper end of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174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outlet 144 of the dispenser 142.

한편, 상기 제2이송기구(174)의 상단에는 제3이송기구(1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이송기구(176)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제1이송기구(172)와 동일한 나선 또는 코일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별도 제공되는 모터(178)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2이송기구(174)에 의해 상방으로 이송된 얼음을 전방, 즉 상기 취출구(144)쪽으로 이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이송기구(174)와 제3이송기구(176)도 매개 수단에 의하여 연결되어 단일 구동 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취출구(144)에는 댐퍼(D)가 장착되어, 상기 취출구(144)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즉, 상기 댐퍼(D)의 동작에 의하여 얼음 취출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a third transfer mechanism 176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174. The third transfer mechanism 176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formed in the same spiral or coil shape as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72. In addition, the ice rotated by a separate motor 178 to be transported upward by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174 is transferred to the front, that is, toward the outlet 144. Here,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174 and the third transfer mechanism 176 may also be connected by the intermediary means so as to rotate by a single drive means. In addition, a damper (D) is mounted at the outlet 144 to selectively shield the outlet 144. That is, ice extraction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damper (D).

상기 이송기구(170)는 필요에 따라서 나선 또는 코일 형상이 아닌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기구(170)가 장착되는 상기 제빙실(160)의 내측에는 상기 이송기구(170)의 직경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갖는 이송통로(180)가 형성되어 제빙된 얼음이 상기 이송기구(170)를 따라서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The transfer mechanism 170 may be formed in a shape other than a spiral or coil shape as necessary, and the diameter of the transfer mechanism 170 inside the ice making chamber 160 in which the transfer mechanism 170 is mounted. A conveying passage 180 having a somewhat larger diameter may be formed to smoothly convey the iced ice along the conveying mechanism 170.

한편, 상기 제1저장실(110)과 제2저장실(120)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온도를 가변하여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전환 가능한 절환실로 사용될 수도 있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제빙실(160)은 상기 제2저장실(120)의 내부에서 완전히 독립된 단열공간을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and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may be used as a refrigerating chamber or a freezing chamber, and may be used as a switching room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refrigerating chamber or a freezing chamber by varying a temperature as necessary. Of course, in this case, the ice making chamber 160 should form a completely independent heat insulating space inside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냉동실(20)의 후방에 냉각을 위한 증발기가 구비되며,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냉기는 상기 냉동실(20)과 냉장실(30) 및 상기 저장실(100) 및 제빙실(160)로 공급되어 각각의 공간을 냉각하게 된다.Although not shown, an evaporator for cooling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reezing compartment 20, and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is the freezing compartment 20,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the storage compartment 100, and the ice making compartment 160. ) To cool each space.

특히, 상기 제 2 도어(140)가 닫힌 상태에서는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덕트가 상기 제빙실(160)과 연통되어, 상기 제빙실(16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에서 제빙작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door 140 is closed, a cold air duct for supplying cold air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ce making chamber 160, and the ice mak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ice maker 162 accommodated in the ice making chamber 160. You can do that.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냉장고(1)에 음식물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를 개방하여 내부에 저장을 위한 식품을 저장하고 상기 도어를 다시 닫게 된다.In order to store food in the refrigerator 1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oor is opened to store food for storage therein, and the door is closed again.

특히, 상기 제1저장실(110)의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 1 도어(130)의 도어핸들(132)을 잡고 상기 제 1 도어(130)를 슬라이딩 인출하여 상기 제1저장실(110)을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130)의 후방에 제공되는 상기 수납부(134)에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식품의 수납 후에는 상기 제 1 도어(130)를 인입시켜 상기 제1저장실(110)을 닫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10, the user grabs the door handle 132 of the first door 130 and slides the first door 130 to open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10. . In addition, the food may be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34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door 130. In addition, after the food is stored, the first door 130 is inserted to close 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마찬가지로, 제2저장실(120)의 경우도, 상기 제 2 도어(140)의 도어핸들(144)을 당겨서 상기 제 2 도어(140)를 슬라이딩 인출함으로써 상기 제2저장실(120)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 제 2 도어(140)의 인출시 상기 제 2 도어(140)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빙실(160)도 함께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60) 상방에 형성된 수납실 또한 상기 제 2 도어(140)와 함게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된다.Similarly, in the case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is opened by pulling the door handle 144 of the second door 140 and sliding out the second door 140. When the second door 140 is drawn out, the ice making chamber 160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door 140 is also drawn out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e storage chamber formed above the ice making chamber 160 is also drawn out together with the second door 140 and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제 2 도어(140)에 상기 디스펜서(142)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상기 저장실(100)의 개방시 상기 제빙실(160)의 적어도 일측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제 2 도어(140)를 개방한 상태에서 얼음을 직접 상기 제빙실(160)에서 꺼낼 수 있게 된다.When the dispenser 142 is not provided in the second door 140, at least one side of the ice making chamber 160 is opened when the storage compartment 100 is opened, so that the second door 140 is opened. The ice can be directly taken out of the ice making chamber 160 in the opened state.

한편, 상기 제 2 도어(140)는 상기 제2저장실(120)의 내측으로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물과 냉기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 2 도어(140)가 완전히 닫힌 후에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에서 얼음이 만들어지며, 제빙완료된 얼음은 하방으로 낙하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door 140 allows the supply of water and cold air in the state that is completely drawn into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so that the ice maker (after the second door 140 is completely closed) Ice is produced at 162, and the de-iced ice falls down.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 하방에 저장된 얼음은 상기 제1이송기구(172)에 의해 수평방향 이동된 후, 상기 제2이송기구(174)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3이송기구(176)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디스펜서(142)의 취출구(144)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디스펜서(142)의 조작을 통해 상기 취출구(144)로 이송된 얼음은 외부로 취출 가능하게 된다.The ice stored below the ice maker 162 is horizontally moved by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72 and then moved vertically by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174. Then, it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third transfer mechanism 176 is able to reach the outlet 144 of the dispenser 142. Finally, the ice transferred to the outlet 144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dispenser 142 may be taken out.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 또는 상기 이송기구(170)의 서비스를 위해서는 상기 제 2 도어(140)를 인출하여 상기 제빙실(16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 또는 이송기구(170)의 수리가 가능하며, 이를 위해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와 상기 이송기구(170)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of the ice maker 162 or the transfer mechanism 170 is withdrawn from the second door 140 so that the ice making chamber 160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state, the ice maker 162 or the transport mechanism 170 may be repaired. For this purpose, the ice maker 162 and the transport mechanism 170 may be detachably mounted.

또한, 상기 제 2 도어(140)의 상기 수납부(146)에 식품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2 도어(140)를 인출하여 상기 수납부(146)를 외부로 노출시킨 후 식품을 수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납부(146)에 저장되는 식품은 상기 제2저장실(120) 내부의 온도에 따라 냉장 또는 냉동 저장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store food in the storage unit 146 of the second door 140, the second door 140 is pulled out to expose the storage unit 146 to the outside and then store food. At this time,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6 is refrigerated or froze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side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various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제빙실이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배면에 일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ce making chamber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back of th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냉장실(30)과 냉동실(20), 제1저장실(110) 및 제2저장실(120)이 각각 구획되는 본체(10)와, 상기 냉장실(30)과 냉동실(20), 제1저장실(110) 및 제2저장실(120)을 각각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32)와, 냉동실도어(22), 제 1 도어(230) 및 제 2 도어(240)에 의해 외형이 정의된다.4 and 5,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in which a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 freezing compartment 20, a first storage compartment 110, and a second storage compartment 120 are respectively partitioned. 10,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the freezing compartment 20,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10 and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20, and a freezer compartment door 22, a first compartment. The appearance is defined by the door 230 and the second door 240.

한편, 상기 제2저장실(120)은 상기 제1저장실(110)의 하방에 제공되며, 상기 제2저장실(120)은 상기 제 2 도어(2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제 2 도어(240)는 상기 제2저장실(120)의 내측에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2 도어(240)의 배면에는 제빙 어셈블리(250)가 수용되는 제빙실(260)이 형성된다.Meanwhile,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is provided below 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and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second door 240. The second door 240 is provided to slide in and out of the inside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and an ice making chamber 260 in which an ice making assembly 250 is accommodated is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door 240. Is formed.

상기 제빙실(260)은 상기 제 2 도어(240)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빙실(260)의 하부에는 식품의 수납이 가능한 수납부(246)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246)는 상기 제빙실(26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후방으로 연장되며, 식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ice making chamber 260 extends from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door 240 to the rear, and a receiving part 246 capable of storing food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ice making room 260. The accommodating part 246 extends rearward to the same length as the length of the ice making chamber 260 and is formed to have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240)의 전면에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250)에서 제공되는 얼음을 외부로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2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42)는 상기 제빙실(260) 보다 하방에 위치하여 얼음의 배출이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242)가 상기 제 2 도어(240)의 상단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지점에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도 얼음이나 물을 취출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of the second door 240 may be provided with a dispenser 242 to take out the ice provided from the ice making assembly 250 to the outside. The dispenser 242 may be located below the ice making chamber 260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ice. In addition, the dispenser 242 may be formed at a point relatively closer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door 240 so that the user may take out ice or water without bending the waist.

상세히, 상기 제2저장실(120)이 냉동실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250)가 별도의 단열 부재에 의하여 격리되지 않는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저장실(120)이 냉장실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단열 벽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빙실(260)이 상기 제2저장실(120) 내부에서 별도의 격리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20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freezer compartment, the ice making assembly 250 may be mounted without being isolated by a separate insulation memb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20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 ice compartment 260 is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20 by a separate insulating wall structure To form a space.

한편, 상기 디스펜서(242)가 형성된 상기 제 2 도어(240)의 배면에는 상기 제빙실(260)과 디스펜서(242)를 연통하는 아이스슈트(248)가 형성된다. 상기 아이스슈트(248)는 상기 상기 제빙실(260)의 내측에 저장된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242) 로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슈트(248)에는 댐퍼(D)가 장착되어, 얼음 인출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시되는 다른 실시예들에도 상기 댐퍼(D) 구조가 제공될 수 있으며, 댐퍼(D)에 대한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댐퍼 구조가 적용 가능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Meanwhile, an ice chute 248 communicating with the ice making chamber 260 and the dispenser 242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door 240 in which the dispenser 242 is formed. The ice chute 248 is formed to allow the ice stored in the ice making chamber 260 to be supplied to the dispenser 242, and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user's manipulation. In addition, the ice chute 248 is equipped with a damper (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take out the ice. The damper (D) structure may also be provided in other embodiments presented below,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the damper structure is applicable even without a separate description of the damper (D).

상기 제빙실(260) 내부에 구비되는 제빙 어셈블리(250)는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252)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252)의 하방에 구비되어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뱅크(25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뱅크(254)에는 전동모터(256)에 의해 구동되는 오거(258)가 구비되어, 상기 아이스뱅크(254)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슈트(248)측으로 이동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빙 어셈블리(25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52)와, 상기 아이스 뱅크(254)와, 상기 오거(258)와, 상기 오거(258)로부터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되어 얼음을 분쇄하는 크러셔(257) 및 상기 오거(258)와 크러셔(257)를 회전시키는 전동모터(256)를 포함한다. The ice making assembly 250 provided in the ice making chamber 260 includes an ice maker 252 for making ice, and an ice bank 254 for storing ice provided in the ice maker 252. . And, the ice bank 254 is provided with an auger 258 driven by the electric motor 256, it is configured to move the ice stored in the ice bank 254 to the ice chute 248 side. In detail, the ice making assembly 250 is a crusher form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ice maker 252, the ice bank 254, the auger 258, and the auger 258. 257 and an electric motor 256 for rotating the auger 258 and the crusher 257.

한편, 상기 제2저장실(120)이 냉장실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빙실(260)에는 냉기 입구(262)와 냉기 출구(264)가 별도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도어(24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냉기 입구(262)와 냉기 출구(264)가 상기 제2저장실(120) 내측에 형성된 냉기덕트(280)와 서로 연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the ice making chamber 260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ld air inlet 262 and the cold air outlet 264, the second door ( The cold air inlet 262 and the cold air outlet 264 may be designed to communicate with the cold air duct 280 formed inside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while the 240 is completely drawn in.

상기 냉기덕트(280)는, 상기 냉기 입구(262)와 선택적으로 연통하여 증발기 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제빙실(260)로 공급하는 공급덕트(282)와, 상기 냉기 출구(264)와 선택적으로 연통하여 상기 제빙실(260)의 냉기를 상기 증발기측으로 안내하는 귀환덕트(28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저장실(120)의 내측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52)로 공급될 제빙용 물과 상기 디스펜서(242)로 공급될 음용수가 저장되는 워터탱크(29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탱크(290)는 급수 유로(292)에 의해 상기 아이스 메이커(252) 및 디스펜서(242)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ld air duct 280 selectively communicates with the cold air inlet 262 to supply cold air generated in an evaporator to the ice making chamber 260, and optionally with the cold air outlet 264. And a return duct 284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o guide the cold air of the ice making chamber 260 to the evaporator side. In addition, a water tank 290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in which ic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ice maker 252 and drink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dispenser 242 are stored. In addition, the water tank 290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ice maker 252 and the dispenser 242 by a water supply passage 292.

물론 상기 워터탱크(290)는 상기 제빙실(260) 측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급수원과 직결되는 방식에 의해 급수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급수하는 방식에 의해 급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24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급수 유로(292)는 어느 지점에서 분리되며, 분리되는 지점에 개폐 밸브(V)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도어(240)가 개방될 때 상기 개폐 밸브(V)가 폐쇄되어, 상기 디스펜서(242) 쪽으로 물 공급이 차단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240)가 완전히 닫히면, 상기 개폐 밸브(V)가 개방되어 상기 디스펜서(242) 쪽으로 물공급이 재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 밸브(V)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그리고, 이하에서 제시되는 도면들에서 동일한 개폐밸브(V)가 적용 가능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Of course, the water tank 290 may be mounted on the ice-making chamber 260 side, may be supplied by a method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or may be supplied by the user directly water supply. In addition, when the second door 240 is pulled forward, the water supply passage 292 may be separated at a certain point, and the opening / closing valve V may be mounted at the point of separation. That is, when the second door 240 is opened, the opening / closing valve V is closed to shut off the water supply toward the dispenser 242. When the second door 240 is completely closed, the opening / closing valve V may be opened to resume water supply toward the dispenser 242. 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the kind of the said switching valve V here. In addition, the same on-off valve (V) is applicable in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and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 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in various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는 아이스 메이커가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ce maker is integrally formed on the back of th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이다.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냉장고 본체(10)에는 제1저장실(110)과 제2저장실(120)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저장실(120)은 상기 제 2 도어(340)의 슬라이딩 인출입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first storage compartment 110 and a second storage compartment 120 are formed in the refrigerator body 10, and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20 is formed by sliding in and out of the second door 340. May b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shielded.

상기 제 2 도어(340)의 전면에는 제빙된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342)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352)가 구비된다.The front of the second door 340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342 for taking out the iced ice from the outside, the back of the second door 340 is provided with an ice maker 352 for making ice do.

상기 아이스 메이커(352)는 상기 제 2 도어(340)에 형성된 제빙실 상부(360)에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 상부(360)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빙실 하부(37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 상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35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ice maker 352 is formed to be accommod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360 formed in the second door 340. The upper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360 is selectively combined with the lower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370 to be described below to form an insulation space. The ice maker 352 protrudes rear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oor 340. ) Is formed to accommodate.

상기 제빙실 상부(360)의 하면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52)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개구부(36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 상부(360)의 후면에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공급덕트(282)와 연통되는 냉기 입구(364)가 형성된다.An opening 362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360 so that the ice made by the ice maker 352 may move downward. In addition, a cold air inlet 364 communicating with a supply duct 282 formed in the main body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360.

한편, 상기 제 2 도어(34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 커(352)의 직하방에는 아이스뱅크(354)가 구비된다. 상기 아이스뱅크(354)는 상기 제2저장실(120) 내부에 형성된 제빙실 하부(370)에 수용된다. 그리고, 전동모터(356)에 의해 오거(358)가 구동되어 아이스뱅크(354)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슈트(348) 쪽으로 안내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크러셔(357)가 구동하면 상기 아이스 슈트(348) 입구에서 얼음이 분쇄되어 상기 디스펜서(342)를 통해 취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빙실 상부(360)와 제빙실 하부(370)를 포함하는 영역이 제빙실로 정의되고, 상기 제빙실은 상기 제2저장실(120)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 상부(360)와 제빙실 하부(370)는, 상기 제빙실을 구획하기 위하여 독립적으로 만들어지는 구조물을 지칭하는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즉, 상기 제빙실 상부(360)를 정의하는 구조물 내에 아이스 메이커(352)가 수용되고, 제빙실 하부(370)를 정의하는 구조물 내에 아이스 뱅크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352), 아이스 뱅크354), 전동모터(356), 크러셔(357) 및 오거(358)는 제빙 어셈블리(350)에 포함된다. Meanwhile, an ice bank 354 is provided directly below the ice maker 352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door 340 is fully retracted. The ice bank 354 is accommodated in the ice making chamber lower portion 370 formed in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The auger 358 is driven by the electric motor 356 to guide the ice stored in the ice bank 354 toward the ice chute 348. In addition, when the crusher 357 is drive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ce is crushed at the inlet of the ice chute 348 to be taken out through the dispenser 342. Here, an area including the upper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360 and the lower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370 is defined as an ice making chamber, and the ice making chamber forms a part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360 and the lower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370 may be interpreted as referring to a structure that is independently formed to partition the ice making chamber. That is, the ice maker 352 is accommodated in the structure defining the ice making chamber upper part 360, and the ice bank is accommodated in the structure defining the ice making room lower part 370. The ice maker 352, the ice bank 354, the electric motor 356, the crusher 357, and the auger 358 are included in the ice making assembly 350.

한편, 상기 제빙실 하부(370)의 상면에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인입시 상기 제빙실 상부(360)의 개구부(362)와 연통되는 개구부(37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372)는 상기 귀환덕트(284)와 연통되어, 냉기가 상기 제빙실 상부(360)와 제빙실 하부(370)를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n opening 37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370 to communicate with the opening 362 of the upper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360 when the second door 340 is drawn in. The opening 372 communicates with the return duct 284 so that cold air can circulate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360 and the lower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370.

그리고, 상기 제빙실 하부(370)의 상측에는 상기 워터탱크(390)가 구비되며, 제빙을 위한 물과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 유로(392)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인입시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힌 상태에서 상 기 아이스 메이커(352)와 상기 디스펜서(342)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water tank 390 is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370, and a water supply passage 392 for supplying water and drinking water for ice making is selectively provided when the second door 340 is drawn in. Connected. Therefore, the second door 340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ice maker 352 and the dispenser 342 in a closed state.

상기 제2저장실(120)이 냉장실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빙실 상부(360)와 제빙실 하부(370)는 상기 제 2 도어(34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밀폐된 단열공간, 즉 하나의 제빙실을 형성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제2저장실(120)이 냉동실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기 제빙실 상부(360)와 제빙실 하부(370)가 반드시 단열 및 밀폐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즉, 상기 제빙실 상부(360)와 제빙실 하부(370)가 별개로 구획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아이스 메이커(352)와 아이스뱅크(354)가 장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When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20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emperature, the upper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360 and the lower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370 are closed while the second door 340 is completely inserted. An insulation space, that is, an ice making chamber, is form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20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freezer compartment temperature, the upper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360 and the lower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370 may not necessarily be insulated and sealed. That is, the ice maker 352 and the ice bank 354 may be mounted in a state where the upper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360 and the lower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are not separately divided.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 하부에는 식품의 수납이 가능한 수납부(346)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346)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인출시 상기 제빙실 상부(360)와 함께 인출되어 식품의 수납이 용이한 상태가 되며, 수납되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된다.In addition, an accommodating part 346 capable of storing food is formed at a lower rear surface of the second door 340. The accommodating part 346 is drawn out together with the upper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360 when the second door 340 is withdrawn, so that food is easily stored and is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being accommodated. .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종단면도이다.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는 도 6에서 제시된 구성과 대부분 동일하고, 다만 아이스 메이커(352)가 수용되는 제빙실 상부(360)는 상기 제 2 저장실(120) 내부 일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아이스 뱅크(354)가 수용되는 제빙실 하부(370)가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에 고정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제 2 도어(340)가 인출되면 상기 제빙실 하부(370)도 함께 인출되어, 상기 제빙실 상부(360)와 분리된다. Referring to FIG. 7,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6 is substantially the same, except that an ice maker upper part 360 in which the ice maker 352 is accommodated is fixed to one side wall of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20. The difference between the ice making chamber lower part 370 in which the ice bank 354 is accommodated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oor 340. That is, when the second door 340 is drawn out, the lower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370 is also drawn out and separa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ice making chamber 360.

또한, 급수원에 직접 연결되는 급수 유로(392)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352)로 물을 공급한다. 그러나, 도 6에서 제시된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워터 탱크가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음용수 취출을 위하여 상기 디스펜서(342)로 연장되는 급수 유로(392)의 어느 지점에 개폐 밸브(V)가 설치되어, 상기 제 2 도어(340)의 개방 여부에 따라 물공급이 선택적으로 차단되도록 한다. In addition, a water supply passage 392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supplies water to the ice maker 352.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attach a separate water tank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In addition, an opening / closing valve (V) is installed at any point of the water supply passage 392 extending to the dispenser 342 for discharging drinking water, and the water supply is selectively blocked according to whether the second door 340 is opened. Be sure to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in various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는 제빙 어셈블리와 디스펜서가 제1저장실과 제 1 도어 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ce making assembly and the dispenser are provided on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and the first door sid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냉장실(30)과 냉동실(20), 제1저장실(110) 및 제2저장실(120)이 구비된 본체(10)와 이들 각각을 차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32), 냉동실 도어(22), 제 1 도어(430) 및 제 2 도어(4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 freezing compartment 20, a first storage compartment 110, and a second storage compartment 120.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2, a freezer compartment door 22, a first door 430, and a second door 440 for shielding each one.

그리고, 상기 제1저장실(110)은 상기 본체(10)의 좌측 상부에 형성되며, 서랍식으로 슬라이딩 인출입되는 제 1 도어(4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is form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selectively shielded by the first door 430 sliding in and out of the drawer type.

상기 제 1 도어(430)의 배면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제빙 어셈블리(450)가 수용되기 위한 제빙실(460)이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460)은 상기 제1저장실(110) 내부 공기와 격리되는 별도의 밀폐된 단열공간을 형성하며,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도어(43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빙실(460) 내부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n ice making chamber 460 is formed at a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430 to accommodate an ice making assembly 450 for making and storing ice. The ice making chamber 460 forms a separate sealed insulation space that is isolated from the air inside 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and is formed above or below the first door 430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Since the inside of the ice making room 460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빙실(460)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 1 도어(430)의 후방에는 식품의 저장을 위한 수납부(43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430)의 전면에는 얼음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436)가 제공될 수 있다. An accommodation part 434 for storing food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first door 430 except for the ice making room 460. In addition, a dispenser 436 for extracting ice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oor 430.

상기 제1저장실(110)의 하부에는 제2저장실(12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도어(440)에는 적어도 1단 이상의 수납부(434)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434)는 상기 제 1 도어(430)와 함께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434)에는 다수의 전용용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저장 용기가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434)는 수납되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is formed below 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The second door 44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storage unit 434 or more, and the storage unit 434 may be configured to be pulled in and out together with the first door 430. A plurality of storage containers including a plurality of dedicated containers may be seated in the storage part 434, and the storage part 434 may be design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being stored.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in various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는 디스펜서가 저장실 도어의 배면, 즉 저장실 내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enser i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storage compartment door, that is,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냉장실(30)과 냉동실(20), 제1저장실(110) 및 제2저장실(120)이 구비된 본체(10)와, 이들 각각을 차 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32), 냉동실 도어(22), 제 1 도어(130) 및 제 2 도어(540)를 포함한다.9, a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 freezing compartment 20, a first storage compartment 110, and a second storage compartment 120,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2, a freezer compartment door 22, a first door 130 and a second door 540 for shielding each of them are included.

상기 제1저장실(110)은 상기 본체(10)의 좌측 상부에 형성되며, 서랍식으로 슬라이딩 인출입되는 제 1 도어(1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저장실(120)은 상기 제1저장실(110)의 하방에 형성되며, 서랍식으로 슬라이딩 인출입되는 제 2 도어(5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is form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first door 130 that slides in and out in a drawer manner.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is formed below 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and selectively shielded by a second door 540 sliding in and out of the drawer.

상기 제 2 도어(540)의 배면 상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빙실(560)이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560)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제빙 어셈블리(450)를 비롯한 제빙을 위한 다수의 구성이 구비된다. 상기 제빙실(560)은, 상기 제2저장실(120)이 냉장실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2저장실(120) 내부와 독립된 단열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An ice making chamber 560 extending rearward is formed on an upper rear surface of the second door 540. The interior of the ice making chamber 56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onents for ice making, including an ice making assembly 450 for making and storing ice. When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20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 ice making chamber 560 is formed to have a heat insulating space independent of the inside of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20.

한편, 제빙실(560)의 하부에는 디스펜서(542)와 수납부(546)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542)는 상기 제빙실(560)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빙실(560)의 하부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제 2 도어(540)의 배면에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a dispenser 542 and an accommodating part 546 are provided below the ice making room 560. The dispenser 542 allows the ice made in the ice making chamber 560 to be taken out, and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oor 540 corresponding to the lower region of the ice making chamber 560. have.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542)는 상기 제 2 도어(540)의 인출에 의해 노출되는 좌우 양측면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2 도어(540)를 좌측과 우측으로 이등분하는 면을 기준으로 좌측 공간 또는 우측 공간 중 어느 일측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펜서(542)의 사용을 위해서 상기 제 2 도어(540)를 인출한 후에 상기 제 2 도어(540) 후방의 측면 또는 배면에 서 음용수 또는 얼음의 취출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디스펜서(542)가 상기 제 2 도어(520)의 중심부 영역에 해당하는 배면에 제공되는 구조도 당업자가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In detail, the dispenser 542 may be formed on any one of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exposed by the withdrawal of the second door 540. In other words, the second door 540 may be formed in any one of a left space or a right space on the basis of a surface that is bisected to the left and the right. Therefore, after the user withdraws the second door 540 for use of the dispenser 542, drinking water or ice can be taken out from the side or the rear of the second door 540. Of course, the structure in which the dispenser 542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second door 520 may be easily desig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상기 수납부(546)는 상기 제빙실(560)의 하측 영역에 구비되며, 식품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상기 디스펜서(542)와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디스펜서(542)를 제외한 상기 제빙실(560)의 하측 영역이 수납부(546)가 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part 546 is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ice making chamber 560 and is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dispenser 542 to facilitate food storage. That is, the lower region of the ice making chamber 560 except for the dispenser 542 may be designed to be a storage unit 546.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in various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는 다수 개로 구획되는 저장실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고, 어느 일측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일부분이 다른 일측 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compartment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fferent sizes are formed, the por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ny one of the storage compartment to shield at least a portion of the other storage compartment.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기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10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냉장실(30)과 냉동실(20), 제1저장실(610) 및 제2저장실(620)이 구비된 본체(10)와, 이들 각각을 차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32), 냉동실 도어(22), 상기 제1저장실(610) 및 제2저장실(620)을 각각 차폐하는 제 1 도어(630), 제 2 도어(640)를 포함한다.10 and 11, a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 freezing compartment 20, a first storage compartment 610, and a second storage compartment 620. ), A first door 630 and a second door shield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22,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610, and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620 to shield each of them. 640).

본 실시예는, 상기 제 1 도어(630)가 상기 제1 저장실(610)의 개구된 정면 면적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저장실(620) 정면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빙 어셈블리(450)와 디스펜서(636)가 제 1 도어(630)의 배면에 제공되되,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는 제 1 저장실(610)에 수용되고, 상기 디스펜서(636)는 제 2 저장실(620)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door 630 is formed longer than the opened front area of the first storage chamber 610 to shield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620. In addition, an ice making assembly 450 and a dispenser 636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630, the ice making assembly 45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610, the dispenser 636 is a second Characteriz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620.

상세히, 상기 제1저장실(610)은 상기 냉장실(30)의 좌측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0)의 좌측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1저장실(610)의 크기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빙실(660)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storage chamber 610 is form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main body 10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The size of the first storage chamber 610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ice making chamber 660 to be described below.

즉, 상기 제1저장실(610)은 상기 제빙실(660)이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만 형성되고, 상기 제빙실(660)의 내부는 얼음을 제빙할 수 있는 영하의 온도 즉, 냉동실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저장실(620)은 상기 제1저장실(610)의 하방에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저장실(610)의 길이에 비하여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620)의 내부 온도를 절환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2저장실(620)이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storage chamber 610 is formed to be large enough to accommodate the ice making chamber 660, the interior of the ice making chamber 660 is a sub-zero temperature that can ice ice, that is, It can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torage chamber 620 is formed to be divided into a separate space below the first storage chamber 610, it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storage chamber 610. By chang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620,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620 may be used a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a freezing compartmen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한편, 상기 제1저장실(610)과 제2저장실(620)은 슬라이딩 인출입되는 제 1 도어(630)와 제 2 도어(6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Meanwhile, the first storage chamber 610 and the second storage chamber 620 are selectively shielded by the first door 630 and the second door 640 that slide in and out.

상세히, 상기 제 1 도어(630)는 상기 제1저장실(610) 전부 및 상기 제2저장실(620) 상부 일부를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제1저장실(610)의 상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1저장실(610)의 상하 길이가 제2저장실(620) 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하는 반면, 상기 제 1 도어(630)와 제 2 도어(640)의 상하 길이가 동일하거나, 적어도 상기 제 1 도어(630)의 상하 길이가 상기 제1저장실(610)의 상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door 630 shields the entirety of the first storage chamber 610 and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620, and is formed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storage chamber 610. More specifically, while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first storage chamber 610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620,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first door 630 and the second door 640 are the same or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at least the first door 630 may be longer than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first storage chamber 610.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630)의 배면에는 제빙실(660)이 형성된다. An ice making chamber 660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630.

상기 제빙실(660)은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제빙 어셈블리(450)가 수용되는 곳으로서, 상기 제빙실(660)은 상기 제1저장실(610)의 크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660)은 외부와 구획된 단열공간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내부 일부 또는 전체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ice making chamber 660 is a place where an ice making assembly 450 for making and storing ice is accommodated, and the ice making chamber 66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first storage chamber 610. The ice making room 660 may be formed as an insulating space partitioned from the outside, or may be formed so that a part or the whole of the ice making room is exposed.

상기 제 1 도어(630)의 전면에는 음용수 및 얼음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6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636)는 상기 제 1 도어(630)의 상단보다 하단에 더 가깝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빙실(660)과 연통되어 상기 제빙실(660) 내부의 얼음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636)가 상기 제 1 도어(630)의 하단부에 더 가깝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어린이와 같이 키가 작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얼음 또는 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 dispenser 636 for discharging drinking water and ice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oor 630. The dispenser 636 may be provided closer to the lower end than the upper end of the first door 63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ce making room 660 so that the ice inside the ice making room 660 can be taken out to the outside. It is composed. In detail, by allowing the dispenser 636 to be formed closer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door 630, a short user such as a child may conveniently draw out ice or water.

그리고, 상기 제빙실(660)의 하측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제 1 도어(630)의 배면에는 수납부(6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634)는 상기 제 1 도어(630)의 길이에 따라서 상하 2단 또는 1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구조 또한 저장되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n accommodating part 634 may be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630 corresponding to a lower region of the ice making chamber 660. The accommodating part 634 may be configured in two stages or one stag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door 630, the structure may also have a variety of structures depending on the type of food is stored.

예컨데, 상기 수납부(634)는 선반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거나 랙구조, 또는 바구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한 구조 등 다양한 구조가 적용 가능할 것이다.For example, the accommodating part 634 may be formed in a shelf-like structure, a rack structure, or a basket shape. In addition,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up and down height or a structure capable of sliding in and out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may be applicable.

상기 제 2 도어(640)는 상기 제 1 도어(630)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2저장실(620)에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제 2 도어(640)는 상기 제 1 도어(630)에 의해 차폐되지 않는 나머지 상기 제2저장실(620)의 하측을 차폐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The second door 640 is provided below the first door 630 and is mounted in the second storage chamber 620 so as to be slide in and out. The second door 640 is formed to have a length capable of shielding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620 that is not shielded by the first door 630.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640)의 배면에는 상기 수납부(646)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646)는 상기 제 2 도어(640)의 상하 길이에 따라서 1단 또는 2단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part 646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oor 640, and the accommodating part 646 may be configured in one or two stages according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second door 640. There will be.

한편, 상기 제 1 도어(630)의 하단과 제 2 도어(640)의 상단이 접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제2저장실(620) 전면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6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22)은 상기 제 1 도어(630) 하단부 배면 및 제 2 도어(640)의 상단부 배면 둘러지는 가스켓과 접하여 냉기를 단속하기 위한 배리어에 해당한다. Meanwhile, a frame 62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620 corresponding to an area where the lower end of the first door 63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door 640 contact each other. The frame 622 corresponds to a barrier for controlling cold air in contact with a gasket surrounding the bottom of the bottom of the first door 630 and the bottom of the top of the second door 640.

따라서, 상기 제2저장실(620)의 공간을 두 공간으로 구획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 1 도어(630)와 제 2 도어(640) 가 접하는 부분을 통하여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refore, without dividing the space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620 into two spaces, it is possible to block the leakage of cold air through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door 630 and the second door 640.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 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in various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는, 다수 개로 구획되는 저장실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직전 실시예와 동일하나,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들 각각은 해당 저장실만을 개폐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at the size of the storage compartment divided into a plurality is different, but each of the doors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is different in that the size is formed to open and close only the storage compartment.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이다.1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냉장실(30)과 냉동실(20), 제1저장실(710) 및 제2저장실(720)이 구비된 본체(10)와, 이들 각각을 차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32), 냉동실 도어(22), 상기 제1저장실(710) 및 제2저장실(720)을 차폐하는 제 1 도어(730) 및 제 2 도어(740)를 포함한다. 12,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 freezing compartment 20, a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and a second storage compartment 720. It include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a freezer compartment door 22, a first door 730 and a second door 740 to shield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and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720 for shielding each of them. do.

이때, 제1저장실(710)과 제2저장실(720)은 상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저장실(710)과 제2저장실(720)을 차폐하는 상기 제 1 도어(730)와 제 2 도어(740) 또한 상하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도어(730)는 제1저장실(710)만 개폐하고, 제 2 도어(740)는 제2저장실(720)만 개폐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first storage chamber 710 and the second storage chamber 720 may have different lengths up and down, and the first door 730 shielding the first storage chamber 710 and the second storage chamber 720. The second door 740 may also be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door 730 opens and closes only the first storage chamber 710, and the second door 740 has a size of opening and closing only the second storage chamber 720.

상세히, 상기 제1저장실(710)은 상기 냉장실(30) 좌측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0)의 좌측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1저장실(710)은 증발기에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저장실(710)은 격벽에 의하여 상기 제2저장실(720)과 구획되도록 할 수 있다. In detail, the first storage chamber 710 is form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main body 10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The first storage chamber 710 may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or the freezing chamber by the cold air supplied from the evaporator. The first storage chamber 710 may be partitioned from the second storage chamber 720 by a partition wall.

상기 제1저장실(710)은 상기 제2저장실(720)의 상하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상기 제1저장실(710)을 차폐하는 제 1 도어(730)는 상기 제 2 도어(74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torage chamber 710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720, and accordingly the first door 730 shielding the first storage chamber 710 is the second door ( It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740.

한편, 상기 제 1 도어(730)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빙실(760)이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760)은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제빙 어셈블리(45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도어(730)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도어(730)의 인출입시 함께 인출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Meanwhile, an ice making chamber 76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730. The ice making chamber 760 is formed to accommodate an ice making assembly 450 for making and storing ice, and is integrally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730 to be withdrawn when the first door 730 is pulled out. It is configured to be withdrawable.

상기 제빙실(760)은, 상기 제1저장실(710)이 냉장실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1저장실(710)로부터 격리되는 독립적인 단열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별도의 단열벽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빙실(760)이 상기 제1저장실(710)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760)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서비스 및 청소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 ice making chamber 760 is formed to have an independent insulation space that is isolated from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That is, the ice making chamber 760 is independently present in the first storage chamber 710 by a separate insulating wall structure.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 making room 760 may b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opened by a user so that service and cleaning may be performed.

그리고, 상기 제빙실(760)의 하부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제 1 도어(730)의 배면에는 수납부(7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754)는 상기 제 1 도어(730)의 길이에 따라 1단 또는 2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식품의 수납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an accommodating part 754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730 corresponding to the lower area of the ice making room 760. The storage unit 754 may be configured in one or two stage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door 730, it is formed to have a variety of structures that can accommodate food.

상기 제 1 도어(730)의 전면에는 상기 제빙실(760)로부터 공급되는 얼음을 외부로 취출하는 디스펜서(7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736)는 상기 제빙실(760)보다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도어(730)의 하단부 쪽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The front of the first door 730 may be provided with a dispenser 736 for taking out the ice supplied from the ice making chamber 760 to the outside. The dispenser 736 may be located below the ice making chamber 760 and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a lower end of the first door 730.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도어(730)의 길이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736)에 용이하게 접근하여, 음용수 또는 제빙된 얼음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length of the first door 730 may be form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pproach the dispenser 736 to easily extract the drinking water or iced ice.

한편, 상기 제2저장실(720)은 상기 제1저장실(710)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저장실(710)의 상하 길이보다는 다소 작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720) 또한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인출입되는 상기 제 2 도어(7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Meanwhile, the second storage chamber 720 may be provided below the first storage chamber 710 and may be designed to be somewhat smaller than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first storage chamber 710.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720 may also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second door 740 that slides in and out.

상기 제 2 도어(740)는 상기 제2저장실(720)의 개구된 전면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도어(740)의 배면에는 저장을 위한 식품이 수납되는 수납부(74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740)의 개방시 상기 제2저장실(720)이 개방되면서, 상기 수납부(744)가 외부로 노출되어 식품의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The second door 740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an open front surface of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720, and the receiving portion 744, the food is stored for storage on the back of the second door 740 is Is formed. Therefore, when the second storage chamber 720 is opened when the second door 740 is opened, the accommodating part 744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accommodate food.

상기 수납부(744)는 수납되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 2 도어(740)의 상하 길이에 따라 1단 또는 2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744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stored therein, and may be configured in one or two stages according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second door 740.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이다. 1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실이 상하로 구획되고, 제빙 어셈블리와 디스펜서가 서로 다른 공간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도어의 배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storage compartment is divided up and down, the ice making assembly and the dispenser are arranged in different space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back of the different door.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냉장고(1)의 냉장실(30) 측면에 서랍식 도어가 수용되는 별도의 저장실이 제공되고, 상기 저장실은 상기 냉장실(30)과 구분된다. Referring to FIGS. 13 and 14, a separate storage compartment in which a drawer-type door is accommodated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of the refrigerator 1, and the storage compartment is separated from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상세히, 상기 저장실은 격벽(190)에 의하여 제 1 저장실(710)과, 상기 제 1 저장실(710)의 하측에 제공되는 제 2 저장실(720)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저장실(710)은 제 1 도어(73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차폐되고, 상기 제 2 저장실(720)은 제 2 도어(74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730)의 배면에는 제빙실(460)이 구비되고, 상기 제빙실(460) 내부에는 제빙 어셈블리(450)가 수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빙 어셈블리(450)는 아이스 메이커(452)와, 아이스 뱅크(454), 오거(458) 및 크러셔(457)를 포함하는 이송 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전동 모터(456)를 포함한다. In detail, the storage compartment is partitioned into a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and a second storage compartment 720 provided below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by the partition wall 190.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first door 730, and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720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second door 740. An ice making chamber 460 is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730, and an ice making assembly 450 is accommodated in the ice making chamber 460. As described above, the ice making assembly 450 includes an ice maker 452, a transfer means including an ice bank 454, an auger 458, and a crusher 457, and an electric motor 456 for driving the transfer means. It includes.

또한, 상기 제 1 저장실(710)이 냉동실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빙실(710)을 정의하는 단열벽 구조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저장실(720)은 냉장실과 냉동실 중 어느 하나로 절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is used as a freezing compartment, a heat insulation wall structure defining the ice making compartment 710 may not be necessary. The second storage chamber 720 may be configured to be switched to any one of a refrigerating chamber and a freezing chamber.

또한, 상기 본체(10)를 정의하는 벽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는 공급덕트(282)와, 상기 제빙실(460) 또는 제 1 저장실(710)로 공급된 냉기가 증발기로 귀환하도록 하는 귀환 덕트(284)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740)의 배면에는 상기 아이스 뱅크(454)에 저장된 얼음을 인출하거나 음용수를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742)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742)의 후방에 해당하는 도어 배면에는 수납부(744)가 제공된다. 설계 방법에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736)에는 얼음 취출 구조만 제공되고, 음용수 취출 구조는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 고, 상기 제 2 저장실(720)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 및/또는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된 음용수 취출구로 물을 공급하기 워터 탱크(29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290)로부터 급수 유로(292)가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도어(730)와 제 2 도어(740)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하여 전방으로 인출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급수 유로(292)는 상기 워터 탱크(29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도어(730) 및/또는 제 2 도어(74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에는 상기 급수 유로(292)가 상기 워터 탱크(290)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 1 도어(730) 및/또는 제 2 도어(740)가 완전히 닫히면 상기 급수 유로(292)가 워터 탱크(290)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급수 유로(292)와 워터 탱크(290)의 연결 부위를 통하여 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실링 구조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a supply duct 282 for supplying cold air into the wall defining the main body 10 and a return duct for allowing cold air supplied to the ice making chamber 460 or the first storage chamber 710 to be returned to the evaporator ( 284 is extended. In addition, the back of the second door 740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742 for withdrawing the ice stored in the ice bank 454 or withdraw drinking water. In addition, an accommodation part 744 is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the rear of the dispenser 742. Depending on the design method, the dispenser 736 may be provided with only an ice extraction structure, and may not be provided with a drinking water extraction structure. In addition, a water tank 290 is provided at one inner side of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720 to supply water to the drinking water outlet provided in the ice making assembly 450 and / or the dispenser. The water supply passage 292 extends from the water tank 290. Here, since the first door 730 and the second door 740 are pulled forward by the sliding method, the water supply passage 292 may be detachably coupled from the water tank 290. . 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door 730 and / or the second door 740 is pulled forward, the water supply passage 292 is separated from the water tank 290, and the first door 730 and And / or when the second door 740 is completely closed, the water supply passage 292 may be fluidly connected to the water tank 290. In this case, a sealing structure for preventing water from leaking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water supply passage 292 and the water tank 290 should be provided.

한편, 상기 제 2 도어(740)의 배면에는 상기 아이스 뱅크(454)에 저장된 얼음이 디스펜서(742) 쪽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아이스 슈트(748)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뱅크(454)의 바닥부 일측에는 얼음 배출을 위한 디스차지 홀(461)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가 제빙실(460)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에는 제빙실(460)을 정의하는 단열벽들 중 바닥부분에도 디스차지 홀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격벽(190)에는 상기 디스차지 홀(461)과 상기 아이스 슈트(748)를 연결하는 디스차지 덕트(19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차지 덕트(191) 내부에는 댐퍼(D)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이스 뱅크(454)를 포함하는 제빙 어셈블리(450)와 상기 아이스 슈트(748) 간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상기 저장실(710,720)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는 상기 격벽(190)의 상부면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아이스 슈트(748)는 상기 격벽(190)의 하부면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만일,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와 아이스 슈트(748)가 상기 격벽(19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는 경우, 이격되는 거리에 해당하는 저장실 내부 공간이 수납 기능을 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 또는 상기 제빙실(460)의 바닥면이 상기 격벽(190)의 상부면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아이스 슈트(748)의 상단부가 상기 격벽(190)의 하부면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상기 디스펜서(742)의 형성 위치가 상기 제 2 도어(740)의 상단부 쪽에 더 가까워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742)의 상하 길이를 더 늘여서 상기 디스펜서(742)의 바닥부 위치는 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어린이와 같은 키가 작은 사용자도 상기 디스펜서(742)를 통하여 물이나 얼음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an ice chute 748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oor 740 to allow the ice stored in the ice bank 454 to be discharged toward the dispenser 742. A discharge hole 46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ice bank 454 to discharge ice. Of course, when the ice making assembly 450 is accommodated in the ice making chamber 460, it is natural that a discharge hole should b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insulating walls defining the ice making chamber 460. In addition, a discharge duct 191 connecting the discharge hole 461 and the ice chute 748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190. In addition, a damper (D) may be mounted in the discharge duct 191. Here,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distance between the ice making assembly 450 including the ice bank 454 and the ice chute 748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internal spaces of the storage compartments 710 and 720. Therefore, the ice making assembly 450 may be locat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190, and the ice chute 748 may be locat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190. If the ice making assembly 450 and the ice chute 748 are spaced apart from the partition 19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henomenon may occur in which the inner space corresponding to the spaced distance does not have a storage function. Accordingly, the bottom surface of the ice making assembly 450 or the ice making chamber 460 is positioned close to the top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90, and an upper end of the ice chute 748 is a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90. It is a good idea to place it close to. In this case, the position at which the dispenser 742 is formed may be closer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second door 740. Accordingly, the bottom position of the dispenser 742 may not be changed by further extending the vertical length of the dispenser 742. Then, even a short user such as a child can easily take out water or ice through the dispenser 742.

이와 같이, 제빙 어셈블리(450)를 포함하는 제빙실(460) 구조는 제 1 저장실(710) 내에 수용되고, 상기 디스펜서(742) 구조는 제 2 저장실(720) 내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는 고장으로 인한 수리가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냉장고(1) 외부로 노출될 일이 거의 없고, 외부 노출이 잦아질수록 제빙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는 제 1 저장실(710)에 별도로 위치되도록 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펜서(742) 구조는 제 2 도어(740)에 배치되도록 하 고, 상기 제 2 저장실(720)이 냉장실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면, 상기 급수 유로(292) 및 워터 탱크(290)가 결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 있다. As such, the structure of the ice making chamber 460 including the ice making assembly 45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and the dispenser 742 structure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720. Can be obtained. That is, the ice making assembly 450 is rare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1 except when repair due to a failure is required, and the ice making efficiency decreases as the external exposure increases. Accordingly, the ice making assembly 450 may be separately located in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so that this problem may be eliminated in advance. The dispenser 742 structure is disposed in the second door 740, and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720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 Can prevent freezing.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워터 탱크(290)와 같은 별도의 물 저장 용기가 냉장고(1)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제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6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급수 유로(290)가 급수원과 직접 연결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eparate water storage container, such as the water tank 290, has been shown to be mounted inside the refrigerator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shown in FIG. 6, the water supply passage 290 may be a water supply source. It can also be designed to connect directly with the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구조에서 약간의 변경을 가하면 다음과 같은 구조가 제시 가능하며, 이는 별도의 도면으로 제시하지 않더라도 본 실시예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설계 변경 가능할 것이다. In addition, if a slight change is made i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llowing structure can be presented, which can be easily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embodiment without presenting it in a separate drawing.

상세히, 상기 제 2 도어(740)가 디스펜서 영역과 그외의 영역으로 나뉘어 두 개의 도어를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도어(740)가 두 개로 나뉘어져서, 상기 제 2 저장실(720)이 두 개의 도어에 의하여 차폐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 1 저장실(710)에 수용되는 제빙실(460)을 차폐하는 제 1 도어와, 제 2 저장실(720)의 상측 일부분을 차폐하며, 디스펜서와 수납부가 구비되는 제 2 도어 및 상기 제 2 저장실(720)의 하측 일부분을 차폐하며, 수납부만 구비되는 제 3 도어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In detail, the second door 740 may be divided into a dispenser area and other areas to configure two doors. That is, the second door 740 may be divided into two, so that the second storage room 720 may be shielded by the two doors. For example, a first door that shields the ice making chamber 460 accommodated in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a second door that shields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720, and includes a dispenser and an accommodation par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720 may be shielded, and may be made of a third door having only an accommodation part.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6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이다. 1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는 제빙 어셈블리가 저장실 내부에 고정되고, 디스펜서 구조만 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배면에 제공되어, 도어와 함께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ce making assembly is fix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only the dispenser structure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nd is withdrawn from the door.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냉장실(30) 측면에 별도의 저장실이 구비되고, 격벽(190)에 의하여 상기 저장실이 상하로 구획되는 구조이며, 구획되는 저장실 중 어느 하나에 제빙 어셈블리가 고정되는 구조를 이룬다. 15 and 16,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e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nd the storage compartment is divided up and down by a partition wall 190. The structure of the ice making assembly is fixed to any one of the storage compartments.

상세히, 상기 저장실은 이전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격벽(190)에 의하여 제 1 저장실(710)과 제 2 저장실(720)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저장실(710)과 제 2 저장실(720)은 각각 제 1 도어(730) 및 제 2 도어(74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730) 및 제 2 도어(740)는 서랍식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저장실(710) 내부에 제빙 어셈블리(450)가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제 2 도어(740)의 배면에 디스펜서(736) 구조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상기 도 13 및 도 14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In detail, the storage compartment is partitioned into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and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720 by the partition wall 190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and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720 are selectively shielded by the first door 730 and the second door 740, respectively. The first door 730 and the second door 740 are provided in a drawer type. In addition, an ice making assembly 450 is fixedly mounted in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and a dispenser 736 structure is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door 740.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parts as the configurations of FIGS. 13 and 14.

더욱 상세히, 상기 제 1 저장실(710)의 전방 개구면은 단열벽(711)에 의하여 차폐되고, 상기 제 1 저장실(710) 내부는 냉동실(20)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저장실(710) 내부에는 제빙 어셈블리(450)가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아이스 메이커(452), 아이스 뱅크(454), 전동 모터(456), 크러셔(457) 및 오거(458)를 포함하며, 설계 조건에 따라 냉각팬(459)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459)은, 상 기 공급덕트(282)로부터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제 1 저장실(710) 내부에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로 냉기가 신속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냉각팬(459) 구조는 이전의 실시예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In more detail, the front opening surface of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may be shielded by a heat insulating wall 711, and the inside of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may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freezing compartment 20 temperature. In addition, an ice making assembly 450 is fixedly mounted inside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and the ice making assembly 450 is, as described above, an ice maker 452, an ice bank 454, and an electric motor 456. , A crusher 457 and an auger 458, and a cooling fan 459 may be further included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The cooling fan 459 has a function of allowing the cold air supplied from the supply duct 282 to be evenly distributed in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and allowing the cold air to be quickly supplied to the ice maker 452. do. Note that the cooling fan 459 structure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previous embodiments.

또한, 상기 제 2 저장실(720) 내부 일측에는 워터 탱크(290)가 장착되고, 상기 워터 탱크(290)에는 급수 유로(292)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유로(292)가 냉장고 본체(10)를 정의하는 벽을 따라 급수원과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도 13 및 도 14에서 제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In addition, a water tank 290 is mounted at one side of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720, and a water supply passage 292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water tank 290.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passage 292 for supplying water to the ice maker 452 is shown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along the wall defining the refrigerator body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Note that the same structure as the embodiment shown in 13 and FIG. 14 may be appli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도어(730)의 일부분이 상기 제 2 저장실(740)의 상측 일부 공간을 차폐하는 형태가 제시되었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730)의 하단부와 제 2 도어(740)의 상단부가 만나는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제 2 저장실(720)의 전방 측에는 냉기 누설 방지를 위한 프레임(7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도어(730)의 하단부 배면에 제공되는 가스켓과 상기 제 2 도어(740)의 상단부 배면에 제공되는 가스켓이 상기 프레임(722)의 전면에 밀착되어,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ortion of the first door 730 is shielded to partially cover the upper space of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740. Therefore, a frame 722 for preventing leakage of cold air is formed at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720 corresponding to a reg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first door 73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door 740 meet. That is, the gasket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door 730 and the gasket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door 74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722 to prevent cold air from leaking. do.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 1 도어(730)가 상기 제 1 저장실(710)만을 차폐하는 크기로 형성된다면, 별도의 프레임 구조가 필요없고, 상기 격벽(190)이 프레임의 기능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As another embodiment, if the first door 730 is formed to have a size that shields only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a separate frame structure is not required, and the partition wall 190 may perform a function of a frame. .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디스펜서(736)에 음용수 취출을 위한 취출구 구조가 제공되지 않고, 얼음 취출 구조만 제공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워터 탱크(290)와 음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 유로(292) 구조는 필요 없게 될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enser 736 may not be provided with the outlet structure for discharging drinking water, but only the ice dispensing structure. In this case, the structure of the water tank 290 and the water supply passage 292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will be unnecessary.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전 실시예에서 언급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도어(730)가 인출될 때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는 제 1 저장실(710) 내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는 사용자에 의하여 자주 외부로 노출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도어들(730,740)이 인출되더라도 제빙 어셈블리(4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ice making assembly 450 is fixed in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when the first door 730 is pulled out. That is, since the ice making assembly 450 does not need to be frequently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user, the ice making assembly 45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even when the doors 730 and 740 are drawn out.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가 제 1 저장실(710)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제빙 어셈블리(450) 전체를 감싸는 별도의 단열벽 구조가 제공될 필요가 없음을 재차 밝혀 둔다. 즉, 상기 단열벽(711) 구조만 제공되어도 충분할 것이다. 그러나, 설계 조건에 의하여 제빙실을 정의하는 별도의 단열벽이 제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단열벽(711)은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ice making assembly 450 remains fixed inside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it is again revealed that a separate insulating wall structure covering the entire ice making assembly 450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Put it. That is, only the insulation wall 711 structure may be provided. However,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separate insulating wall may be provided which defines the ice making chamber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In addition, the heat insulation wall 711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about an upper end portion thereof, to allow separation of the ice making assembly 450.

한편, 본 실시예에 제시된 구조로부터, 상기 제 1 저장실(710)과 제 2 저장실(720)을 개폐하는 도어가 하나인 구조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도어(730)와 제 2 도어(740)로 구분되지 않고, 단일 도어가 제공되어, 상기 제 1 저장실(710)과 제 2 저장실(720)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할 수 있을 것 이다. 이러한 구조를 다수의 저장실/단일의 도어 구조라고 할 수 있겠다. 이 경우, 상기 제 2 저장실(720)이 개방될 때, 상기 제 1 저장실(710)도 함께 개방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 1 저장실(710)은 상기 단열벽(711)에 의하여 외부 공기가 제 1 저장실(710)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차단된다. 뿐만 아니라, 단일 도어 구조로 변형될 경우, 상기 프레임(722) 구조는 필요 없게 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from the structure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possible to change to a structure having on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and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720. In other words, instead of being divided into the first door 730 and the second door 740, a single door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and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720. will be. Such a structure may be referred to as a plurality of storage rooms / single door structure.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720 is opened,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will also open together. However, in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the phenomenon that external air flows into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is blocked by the heat insulation wall 711. In addition, when transformed into a single door structure, the frame 722 structure would be unnecessary.

반대로, 제 1 도어(730)가 두 개의 도어로 분할되는 실시예도 제안 가능할 것이다. On the contrary,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door 730 is divided into two doors may be proposed.

상세히, 상기 제 1 도어(730)가 상기 제빙실(710) 만을 덮는 상측 도어와, 상기 디스펜서 부분을 포함하는 하측 도어로 분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벽(711) 대신 상기 상측 도어가 상기 제빙실을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 도어에는 디스펜서(736)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펜서(736)의 후방으로 수납부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저장실(720)은 상기 디스펜서(736)가 정의되는 하측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740)에 의하여 개폐될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다수의 저장실/다수의 도어 구조이면서, 하나의 도어는 하나의 저장실 전부 또는 일부를 개폐하는 구조라 할 수 있다. In detail, the first door 730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door covering only the ice making chamber 710 and a lower door including the dispenser portion. The upper door may open and close the ice making chamber instead of the heat insulation wall 711. In addition, a dispenser 736 may be formed in the lower door, and a receiving unit may be provided behind the dispenser 736. Therefore,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720 will be opened and closed by the lower door and the second door 740 in which the dispenser 736 is defined. Such a structure may b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 a plurality of door structures are used, and one door opens or closes all or part of one storage compartment.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8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이다. 1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는 제빙 어셈블리가 저장실 내부에 고정되고, 디스펜서 구조만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배면에 제공되며, 저장실이 단일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ce making assembly is fix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only the dispenser structure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torage compartment consists of a single space.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냉장실(30), 냉동실(20) 및 상기 냉장실(30)의 측방에 더 제공되는 저장실(760)을 포함한다. 17 and 18,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 freezing compartment 20, and a storage compartment 760 furth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

상세히, 상기 저장실(760)은 단일 공간으로 제공되며, 상기 저장실(760)의 상측부에는 제빙실(460)이 구비된다. 상기 제빙실(4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단열벽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저장실(760) 공간과 구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열벽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빙실(460) 내부 온도와 상기 저장실(760) 내부 온도가 다르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760) 내부에는 제빙 어셈블리(450)가 수용되며,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는, 아이스 메이커(452), 아이스 뱅크(454), 전동 모터(456), 크러셔(457), 오거(458) 및/또는 냉각팬(459)를 포함한다. In detail, the storage compartment 760 is provided as a single space, and an ice making chamber 46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compartment 760. As described above, the ice making room 460 may be partitioned from the storage compartment 760 by a separate heat insulating wall structure. By the heat insulation wall structur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ce making chamber 460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torage chamber 760 may be maintained differently. The ice making assembly 450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760, and the ice making assembly 450 includes an ice maker 452, an ice bank 454, an electric motor 456, a crusher 457, and an auger. 458 and / or cooling fan 459.

또한, 상기 제빙실(460)을 정의하는 단열벽들 중 전면부는 일측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460)을 정의하는 단열벽들 중 바닥부에는 얼음 배출을 위한 디스차지 홀(461)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front part of the heat insulation walls defining the ice making chamber 460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about one edge thereof, so that the ice making assembly 450 may be separated. A discharge hole 461 for discharging ice is formed in a bottom portion of the heat insulation walls defining the ice making chamber 460.

또한, 상기 저장실(760)의 전면 개구부는 도어(75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도어(750)는 이전 실시예들에서 제시된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가 하나로 합쳐진 형태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750)의 일측에는 디스펜서(736) 구조가 제공된다. 즉, 상기 도어(750)의 전면에는 용기가 수용되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배면에는 얼음 배출을 가이드하는 아이스 슈트(74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75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슈트(748)의 상단부는 상기 디스차지홀(461)과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뱅크(456)로부터 배출되는 얼음은 상기 디스차지홀(461)을 통과하고, 상기 아이스 슈트(748)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상기 디스펜서(736)로 배출된다.In addition, the front opening of the storage compartment 760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750. The door 750 may have a shape and size in which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shown in the previous embodiments are combined into one. In addition, one side of the door 750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736 structure. That is, the front of the door 750 is formed with a recess for receiving the container, the back is formed with an ice chute 748 for guiding the discharge of ice. In addition, when the door 750 is completely closed, the upper end of the ice chute 748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hole 461. Accordingly,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 bank 456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hole 461 and is guided by the ice chute 748 to be discharged to the dispenser 736.

한편, 도면으로 제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빙실(460)이 상기 도어(750)의 배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750)와 함께 인출입되는 구조도 제안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ice making room 460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door 750, it is also possible to propose a structure that draws in and out together with the door 750, it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Leave it on.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750)가 두 개로 분할되고, 상기 저장실(760)도 두 개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7과 18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설계 변경 가능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도어(750)는 상기 디스펜서(736) 및/또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제 1 도어와, 수납부만 구비되는 제 2 도어로 분할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실(760)도 격벽에 의하여, 상기 제빙 어셈블리(460)와 상기 디스펜서(736)의 후반부를 수용하는 제 1 저장실과, 상기 제 2 도어에 구비되는 수납부를 수용하는 제 2 저장실로 구획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분할된 제 1 저장실은 제 1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고, 상기 분할된 제 2 저장실은 제 2 도어에 의하여 개폐될 것이다. 물론, 상기 제빙 어셈블리(460)는 상기 분할된 제 1 저장실의 내부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다수의 저장실/다수의 도어 구조이면서, 하나의 도어는 하나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구조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750 may be divided into two, and the storage compartment 760 may be divided into two, which will be easily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FIGS. 17 and 18. In other words, the door 75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door including the dispenser 736 and / or an accommodation part and a second door having only the accommodation part. Correspondingly, the storage compartment 760 also includes a first storage compartment accommodating the second half of the ice making assembly 460 and the dispenser 736 by a partition wall, and a second storage compartment accommodat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second door. It may be partitioned into a storage compartment. Thus, the divided first storage compartment may be opened and closed by a first door, and the divided second storage compartment may be opened and closed by a second door. Of course, the ice making assembly 460 is fixed to the interior of the divided first storage compartment. Such a structure may be referred to 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 a plurality of door structures and one door open and close one storage compartment.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0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이다.19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는, 냉장실 및 냉동실과 별개로 제공되는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각각 단일의 공간 및 단일 도어로 제공되고, 상기 도어에 음용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만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torage compartment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door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as a single space and a single door,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only the dispenser for taking out the drinking water to the door.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본체(10)는 냉장실(30), 냉동실(20) 및 저장실(76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760)은 서랍식으로 슬라이딩 인출되는 도어(750)에 의하여 차폐된다. 19 and 20, the main body 10 of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rigerating chamber 30, a freezing chamber 20, and a storage chamber 760. In addition, the storage compartment 760 is shielded by a door 750 which is slidably drawn out.

상세히, 상기 도어(750)의 배면에는 수납부(754)가 적어도 1단 이상 제공되며, 상기 수납부(754)에는 각종 용기가 얹혀진다. 그리고, 상기 도어(750)의 전면에는 음용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756)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756)의 상부면으로 급수 유로(292)가 연장된다. In detail, at least one storage unit 754 is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door 750, and various containers are mounted on the storage unit 754. In addition, a dispenser 756 for drinking water extraction is recessed in the front of the door 750, and a water supply passage 292 extends to an upper surface of the dispenser 756.

더욱 상세히, 상기 저장실(760) 내부 일측에는 워터 탱크(290)가 장착되고, 상기 급수 유로(292)는 상기 워터 탱크(290)로부터 상기 디스펜서(756)까지 연장된다. 여기서, 음용수 공급을 위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 탱크(290)가 별도로 제공되는 것 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 유로(292)가 급수원에 직접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n more detail, a water tank 290 is mounted at one side of the storage chamber 760, and the water supply passage 292 extends from the water tank 290 to the dispenser 756. Here, in addition to the water tank 290 is provided separately as shown for drinking water supply,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supply passage 292 may als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또한, 상기 급수 유로(292)의 일단은 상기 급수 탱크(29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750)가 개방될 때에는 상기 급수 유로(292)가 급수 탱크(290)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도어(75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급수 유로(292)가 급수 탱크(290)에 결합된다. In addition, one end of the water supply passage 292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ank 290. Accordingly, when the door 750 is opened, the water supply passage 292 is separated from the water supply tank 290, and the water supply passage 292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ank 290 when the door 750 is completely closed. Combin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펜서(756)가 상기 도어(750)의 상측에 형성 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상기 디스펜서(756)가 상기 도어(750)의 하측에 가깝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어린이와 같이 키가 작은 사용자도 손쉽게 음용수를 취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Meanwhile, although the dispenser 756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above the door 75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enser 756 is to be formed closer to the lower side of the door 750 as shown by the dotted line. Can be. Then, even a short user such as a child will be able to easily take out drinking water.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얼음 취출용 디스펜서는 구비되지 않고 음용수 취출용 디스펜서만이 구비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와 저장실(737)을 개폐하는 도어(750)가 하나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 개인 경우도 상정 가능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that only the dispenser for drinking water taking out without the dispenser for taking out ice, it has been described taking the case that there is only one door 75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737, as an example It may be assumed that there are a plurality of door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예를 들어,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제공되고, 상기 음용수 취출용 디스펜서가 어느 한 쪽의 도어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실(760)도 복수 개로 구획되어 구획되는 각각의 공간이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respectively, and the drinking water dispensing dispenser may be provided at either door. In addition, the storage compartment 760 may also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to be maintained at different temperatures.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고, 도 2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 1 도어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2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 2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다. 2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first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23 is a view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Rear perspective view of two doors.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도어(730)가 제 1 저장실(710) 전부 및 제 2 저장실(720)의 일부를 차폐하고, 제 2 도어(740)가 제 2 저장실(720)의 나머지 일부를 차폐하는 구조를 이룬다. 나아가, 제빙 어셈블리(450)는 상기 제 2 저장실(720)의 일부를 차폐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제 1 도어(730)의 배면에 장착되고, 얼음 및/또는 물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746)는 상기 제 2 도어(740)의 배면에 장착되는 구조를 이룬다. 21 to 23,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door 730 shields all of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and a part of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720, and the second door 740 is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A structure for shielding the remaining portion of 720. Furthermore, the ice making assembly 450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730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720, and dispenser 746 for extracting ice and / or water. Forms a structure that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oor 740.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 및 상기 디스펜서(746)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유로(292)는 급수원에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제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730) 및/또는 제 2 도어(74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인출되면, 상기 급수 유로(292)는 어느 지점에서 분리되고, 분리되는 지점에 제공되는 개폐 밸브(V)에 의하여 물공급이 차단된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passage 292 for supplying water to the ice maker 452 and the dispenser 746 is presented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In addition, when the first door 730 and / or the second door 740 moves forward and is pulled out, the water supply passage 292 is separated at a certain point, and the opening / closing valve V provided at the point of separation. The water supply is cut off by

또한, 상기 제 1 도어(730)의 하단부와, 상기 제 2 도어(740)의 상단부 사이에는 격벽이나 프레임이 없고, 상기 제 1 도어(730)의 하단부 배면에 필러(pillar)(50)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상기 필러(50)의 구조 및 작동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re is no partition or fram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door 73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door 740, and the pillar 50 rotates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door 730. It is assumed that the mounting is possibl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filler 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한편,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의 저면 전방측에는 얼음 인출을 가이드하는 디스차지 덕트(462)가 상기 디스펜서(740)쪽으로 연장된다.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740)의 상측에는 얼음 인출을 가이드하는 아이스 슈트(74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의 단부는 상기 아이스 슈트(748)의 입구부에 근접하게 연장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duct 462 for guiding the extraction of ice extends toward the dispenser 740 on the bottom front side of the ice making assembly 450. In detail, an ice chute 748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enser 740 to guide ice extraction. The end of the discharge duct 462 extends close to the inlet of the ice chute 748.

여기서,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는 상기 제 2 도어(740)의 상단부보다 더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는 없다. 즉,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의 단부는 최대 상기 제 2 도어(740)의 상단부를 지나는 평면(L1)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2 도어(7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730)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가 상기 제 2 도어(74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Here, the discharge duct 462 may not extend further downward tha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door 740. That is, an end portion of the discharge duct 462 may extend up to a plane L1 passing through an upper end of the second door 740. This is to prevent the discharge duct 462 from interfering with the second door 740 when the first door 730 is opened while the second door 740 is closed.

또한, 상기 아이스 슈트(748)의 입구부는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 쪽으로 돌출될 수 있으나, 상기 필러(50)의 하단부를 지나는 평면(L2)보다 상측으로 더 연장될 수는 없다. 즉, 상기 제 1 도어(7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2 도어(740)를 개방할 때, 상기 아이스 슈트(748)의 입구부가 상기 필러(5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inlet portion of the ice chute 748 may protrude toward the discharge duct 462, but may not extend further upward through the plane L2 passing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filler 50. That is, when the second door 740 is opened while the first door 730 is closed, the inlet portion of the ice chute 748 is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filler 50.

또한,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와 상기 아이스 슈트(748) 내부에는 각각 댐퍼(D)가 장착되어, 상기 제 1 도어(730) 또는 제 2 도어(740) 중 어느 한 쪽만 개방될 때 얼음 인출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damper (D) is mounted in the discharge duct 462 and the ice chute 748, respectively, to extract ice when only one of the first door 730 and the second door 740 is opened. This can be limited.

상기와 같은 이유로부터,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의 단부와 상기 아이스 슈트(748)의 입구부는 밀착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댐퍼(D)의 조작을 통하여 제빙실(460)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제 2 저장실(720)로 누설되거나 디스펜서(746)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 중 하나로서, 얼음을 취출하는 과정을 제외하고는 상기 댐퍼(D)에 의하여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와 아이스 슈트(748)에 의하여 형성되는 통로가 차폐되도록 한다. For the above reason, the end of the discharge duct 462 and the inlet of the ice chute 748 may not be in close contac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cold air supplied into the ice making chamber 460 is leaked into the second storage chamber 720 or leaked out of the dispenser 746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damper D. As one of the method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assage formed by the discharge duct 462 and the ice chute 748 is shielded by the damper (D) except for extracting the ice. .

또한,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 덕트 단부의 내경(d1)이 상기 아이스 슈트(748)의 입구부 내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취출되는 얼음의 일부가 상기 제 2 저장실(720)로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diameter d1 of the end of the discharge duct 462 is formed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let of the ice chute 748, so that a part of the extracted ice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storage chamber 720. You can prevent it from falling.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부(734)의 양 측면에는 레일 부재(6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 부재(60)는 다단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일 부재(60)는 상기 수납부(734)의 양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 레일(61)과, 상기 고정 레일(61)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 레일(6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저장실(720)의 내부 측벽에는 상기 레일 부재(6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이후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레일 부재의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임을 밝혀 둔다. Referring to FIG. 21, rail members 60 may be mount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accommodating part 734, and the rail members 60 may be configured to be pulled out in multiple stages. That is, the rail member 60 includes a fixed rail 61 fix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accommodating part 734, and a moving rail 62 movably connected to the fixed rail 61. In addition, a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rail member 60 to be slidably movable may be provided on an inner sidewall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720. This turns out to be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 as that of the rail member to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24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21에서 제시된 냉장고와 구성에 있어서 대부분 동일하고, 다만 제빙실(460)이 저장실 내부에 고정되는 것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Referring to FIG. 2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refrigerator illustrated in FIG. 21 is the same, except that the ice making chamber 460 is fix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빙실(460)이 저장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저장실(720)의 후측벽에 고정되고, 제빙 어셈블리(450)가 상기 제빙실(460) 내부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730)의 상측 일부분은 상기 제 1 저장실(710) 전부를 차폐하고, 하측 일부분은 상기 제 2 저장실(720)의 일부분을 차폐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740)의 배면에는 디스펜서(746)가 제공되고, 상기 제 2 도어(740)는 상기 제 2 저장실(720)의 나머지 일부분을 차폐한다.As shown, the ice making chamber 460 is fixed to the rear wall of the storage chamber,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torage chamber 720, and the ice making assembly 450 is accommodated in the ice making chamber 460. Therefore,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door 730 shields the entirety of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710, and a lower portion shields a portion of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720. In addition, a dispenser 746 is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door 740, and the second door 740 shields the remaining part of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720.

여기서, 상기 제빙실(460)의 저면에는 디스차지 덕트(462)가 연장되며,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의 단부는 상기 디스펜서(746)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아이스 슈트(748) 쪽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는 전방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748)의 입구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제 1 도어(730)를 전방으로 인출하더라도 상기 제빙실(460)은 이동하 지 않으므로,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의 단부가 상기 제 2 도어(740)의 상단보다 낮은 지점까지 연장되어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이 상기 도 21에서 제시된 실시예와 다른 특징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의 하단과 상기 아이스 슈트(748) 입구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냉기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경우도,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와 아이스 슈트(748) 내부에 댐퍼(D)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Here, a discharge duct 462 extends on a bottom surface of the ice making chamber 460, and an end portion of the discharge duct 462 extends toward the ice chute 748 formed on the dispenser 746. . In other words, the discharge duct 462 may extend in an inclined forward direction and may extend to an inlet of the ice chute 748. Because the ice making chamber 460 does not move even when the first door 730 is pulled forward, the end of the discharge duct 462 extends to a point lower than an upper end of the second door 740. Because it is okay. This point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1. Therefore,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duct 462 and the inlet of the ice chute 748 can be minimized, leakage of cold air can be minimized. Of cours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amper (D) may be mounted in the discharge duct 462 and the ice chute 748, respectively.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제공되는 급수 유로 및 디스펜서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B-B'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다. 25 and 26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ower supply structur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assage and a dispenser provided in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FIG. 26.

도 25 내지 도 27에서 제시되는 급수 유로 및 전선에 대한 실시예는 이전의 실시예들 및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두며, 이러한 급수 유로는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지나지 않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 21에 제시되는 냉장고 구성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flow path and the wires shown in FIGS. 25 to 27 can be applied in common to both the previous embodiments and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which are among the various embodiments. Make sure it's just on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refrigerator configuration shown in FIG. 21 will be described.

도 25를 참조하면, 워터 탱크 또는 급수원으로부터 연장되는 급수 유로(292)가 냉장고 본체(10)의 측벽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 유로(292)는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측벽의 전면부에서 연장이 중단되고, 단부에 개폐 밸브(V)가 장착된다. Referring to FIG. 25, a water supply passage 292 extending from a water tank or a water supply source extends forward along the sidewall of the refrigerator body 10.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assage 292 is extended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side wall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10 is stopped,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V) is mounted at the end.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도어(740) 내부에도 음용수 취출을 위한 급수 유로(292)가 상기 디스펜서 쪽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740)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급수 유로(292)의 단부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되는 급수 유로(292)의 단부는 상기 개폐 밸브(V)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제 2 도어(740)가 완전히 닫히면, 상기 냉장고 본체(10) 측 급수 유로와 상기 제 2 도어(740) 측 급수 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개폐 밸브(V)는 개방된다. Referring to FIG. 26, a water supply flow path 292 is extended toward the dispenser in the second door 740 to draw drinking water. In addition, an end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assage 292 protrudes from the rear edge of the second door 740. In addition, an end portion of the protruding water supply passage 292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open / close valve V. FIG. That is, when the second door 740 is completely closed, the water supply passage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10 side and the water supply passage of the second door 740 are connected, and the opening / closing valve V is opened.

본 도면에서는 음용수 취출을 위한 급수 유로만이 냉장고 본체를 따라 디스펜서로 연장되는 것에 대해서 제시되어 있으나, 제빙실이 제 1 도어 또는 제 2 도어에 고정되는 구조에서는, 제빙용 급수 유로도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figure, only the water supply passage for drinking water is extended to the dispenser along the refrigerator body. However,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ice making chamber is fixed to the first door or the second door, the water supply passage for ice making is also implemented in the same manner. Could b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734)의 바닥에 해당하는 부분의 양 측면에는 레일 부재(60)가 장착된다. 그리고, 어느 일측의 레일 부재(60) 내측으로 전선(P)이 연장되어, 상기 제 2 도어(740)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펜서(736)를 구동하는 제어부(미도시)로 연결된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rail member 60 is mount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of the housing 734. In addition, the wire P extends inside the rail member 60 on one side and is connected to a controller (not shown) for driving the display or dispenser 736 provided in the second door 740.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부(734)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61)의 내부에 상기 전선(P)이 수용되고, 상기 전선(P)은 나선형으로 감기고 소정의 탄력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선(P)은 상기 제 2 도어(740)의 전후방 이동에 따라 늘어났다가 원상태로 복귀하여, 전선의 파손 문제가 예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7, the wire P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xing rail 61 fixed to the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734, and the wire P may be spirally wound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elasticity. . Therefore, the wires P may increase and move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econd door 740, thereby preventing the wire breakage problem.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28 and 29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ower supply structure connected to a dispense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상기 도 25 및 도 26에서 제시되는 냉장고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되, 전원 공급 구조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 서, 전원 공급 구조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28 and 29,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refrigerator structure shown in FIGS. 25 and 26, but the power supply structure is different. Therefore, redundant description of components other than the power supply structure will be omitted.

상세히, 본 실시예에서는, 냉장고 본체(10)의 측벽 내부를 따라 전선(P)이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측벽 전면, 즉 상기 제 1 도어(730) 또는 제 2 도어(740)의 배면에 접촉되는 면에 소켓(600)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P)은 상기 소켓(600)에 연결된다. In detai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res P extend along the sidewalls of the refrigerator body 10. In addition, the socket 600 may be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refrigerator body 10, that is, a surface conta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730 or the second door 740. In addition, the wire P is connected to the socket 600.

또한, 상기 제 2 도어(740)(또는 제 1 도어(730))의 배면 중 상기 소켓(600)에 대응하는 면에는 플러그(601)가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740) 내부에는 충전을 위한 배터리(602)가 매설되고, 상기 플러그(60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602)는 상기 제 2 도어(740)의 전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기타 전기 부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상기 플러그(601)가 냉장고 본체(10) 쪽에 제공되고, 상기 소켓(600)이 상기 제 2 도어(740) 쪽에 제공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In addition, a plug 601 may protrude from a surface of the second door 740 (or the first door 730) corresponding to the socket 600. In addition, a battery 602 for charging may be embedded in the second door 740 and connected to the plug 601. The battery 60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nd other electrical component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second door 740. Of course, it is obvious that the plug 601 may be provided on the refrigerator main body 10 side, and the socket 600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door 740 sid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2 도어(74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플러그(601)가 상기 소켓(600)에 끼워져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602)가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74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플러그(601)가 상기 소켓(600)으로부터 분리되어 충전이 중단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econd door 740 is completely closed, the plug 601 is inserted into the socket 600 so that a current flows. Then, the battery 602 is charged. When the second door 740 moves forward, the plug 601 is separated from the socket 600 to stop charging.

또한, 상기 제 2 도어(7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전선(P)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류에 의하여 상기 제 2 도어(74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각종 전장 부품이 동작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 2 도어(74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배터리(602)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및 다른 전장 부품이 동 작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door 740 is closed, various electric components including the display installed in the second door 740 are operated by the current supplied through the wire P. On the contrary, 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door 740 is opened, the display and the other electric component are operated by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battery 602.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들이다. 30 and 31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실 도어의 배면에 제빙실이 장착되고, 상기 제빙실 내부에 제빙 어셈블리 및 디스펜서 구조가 모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빙용 급수 유로와 음용수 취출을 위한 급수 유로가 저장실 도어 쪽으로 연장되는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30 and 31,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ice making chamber is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door, and both an ice making assembly and a dispenser structure are accommodated in the ice making chamber.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flow path for making ice and the water supply flow path for taking out the drinking water are shown in detail for the structure of the storage compartment door.

이하에서는 설명을 돕기 위하여 제 2 저장실을 개폐하는 제 2 도어(740)의 배면에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가 구현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oor 740 that opens and closes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상세히, 상기 제 2 도어(740)의 배면에는 제빙실(770)이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빙실(770)의 일 측면에 제빙실 도어(771)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In detail, an ice making chamber 770 extends upward and downward on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door 740, and an ice making chamber door 771 is rotat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ice making chamber 770.

또한, 상기 제빙실(770)의 내부에는 제빙 어셈블리(450)를 구성하는 아이스 메이커(452)와 아이스 뱅크(454)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뱅크(454) 내부에는 오거(458) 및 크러셔(457)가 제공되며, 상기 오거(458) 및 크러셔(457)를 구동하는 전동모터(미도시)는 상기 제 2 도어(740)의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는 상기 제빙실(770) 내부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상기 아이스 뱅크(454)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의 직하방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뱅크(454)의 하측에 해당하는 공간에는 아이스 슈트(748)를 가지는 디스펜서(746)가 제공된다. 즉, 상기 아이스 뱅크(454)는 상기 디스펜서(748)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뱅크(454)는 상기 디스펜서(748)의 상부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2 도어(740)를 인출한 상태에서, 상기 제빙실 도어(771)를 열어 상기 아이스뱅크(454)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n ice maker 452 and an ice bank 454 constituting the ice making assembly 450 are accommodated in the ice making chamber 770. In addition, an auger 458 and a crusher 457 are provided inside the ice bank 454, and an electric motor (not shown) for driving the auger 458 and the crusher 457 is the second door 740. It may be embedded in the interior of the. In detail, the ice maker 452 may be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ce making chamber 770, and the ice bank 454 may be detachably mounted directly below the ice maker 452. In addition, a dispenser 746 having an ice chute 748 is provided in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ice bank 454. That is, the ice bank 454 may be detachably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ispenser 748. In addition, the ice bank 454 may be provided to be slidably moved laterally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dispenser 748.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ice bank 454 by opening the ice making chamber door 771 while the second door 740 is drawn out.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거(458)와 크러셔(457)를 포함하는 이송 수단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제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예컨대, 미국 등록 번호 제6,082,103호에서 제시되는 수직향 오거 구조도 적용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한국공개특허 제2008-0052503호에서 제시되는 회전축이 경사지는 오거 구조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 2 도어(740)와 교체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상기 제 2 도어(740)와 평행하게 연장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nsport means including the auger 458 and the crusher 457 is presented in a structur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vertical auger structure shown in US Pat. No. 6,082,103 is also applicable. In addition, the auger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ng shaft is inclined in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8-0052503 may be applicable. Here, the rotation shaft may be incl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left and right while extending in the direction to be replaced with the second door 740, or may be incl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second door 740.

또한, 상기 제 2 도어(740)에 의하여 개폐되는 제 2 저장실(720) 측벽 내부에는 한 쌍의 급수 유로(292)가 전방으로 연장되고, 전단부에 개폐 밸브(V)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740)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개폐 밸브(V)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급수 유로(292)의 단부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로 구조에 대해서는 이전에 설명되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a pair of feed water passages 292 may extend in the forward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720 opened and closed by the second door 740, and an opening / closing valve V may be mounted at the front end portion. In addition, an end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assage 292 may be protruded from the rear edge of the second door 740 to selectively couple to the opening / closing valve V. Since the water supply flow path structure has been described previously,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제빙실(770)의 후방에는 수납부(744)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744)의 양 측면에는 레일 부재(60)가 장착되어, 상기 제 2 도어(740)가 전방 인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accommodating part 744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ice making chamber 770, and rail members 60 may be mounted at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ng part 744, and the second door 740 may be forward. You can make it withdrawable.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어셈블리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3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ice making assembly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실 도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관성력에 의하여 제빙 어셈블리로 공급된 물이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넘침 방지 수단을 보여준다. Referring to FIG. 32, the present embodiment shows water overflow prevention means for prevent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ice making assembly from overflowing by the inertial force generated while the storage door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세히, 제빙실(460) 내부에는 아이스 메이커(452)가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460)을 가로질러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 쪽으로 급수 유로(292)가 연장된다. In detail, the ice maker 452 is mounted in the ice making room 46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The water supply passage 292 extends across the ice making chamber 460 toward the ice maker 452.

또한, 상기 제빙실(460)의 바닥에는 디스차지 홀(461)이 형성되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로부터 분리되는 얼음이 상기 디스차지 홀(461) 쪽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 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 판(459)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판(459)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의 상부면 측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디스차지 홀(461)에 근접한다. In addition, a discharge hole 461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ce making chamber 460, and a guide member is provided to transfer ice separated from the ice maker 452 toward the discharge hole 461. The guide member may be a guide plate 459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ice maker 452. In detail, the guide plate 459 extends incline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surface side of the ice maker 452 to approach the discharge hole 461.

또한,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의 상부면 가장자리에는 물넘침 방지부(453)가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빙실(460)이 저장실 도어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저장실 도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에 저장된 물이 관성에 의하여 흘러 넘칠 수 있다. 이러한 물넘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물넘침 방지부(45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물넘침 방지부(453)는 관성에 의하여 흘러 넘치는 물이 다시 아이스 메이커(452)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관성의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가 라 운드지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로부터 위로 솟아 오르는 물이 상기 물넘침 방지부(453)의 내주면을 타고 흘러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로 재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물넘침 방지부(453)는 상기 제빙실(460) 내부의 구조 및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의 장착 방향 등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의 바닥면에 흘러넘친 물을 받을 수 있는 잔수 트레이가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 water overflow prevention portion 453 may extend at an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maker 452. In detail, when the ice making chamber 460 is mounted on the storage door, water stored in the ice maker 452 may overflow by inertia while the storage door mov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order to prevent such a water overflow phenomenon, the water overflow prevention unit 453 may be formed, and the water overflow prevention unit 453 may be configured to return the water overflowed by inertia back to the ice maker 452. It may be made of. That is, it may exten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direction of inertia, and the upper portion may be formed round. Then, water rising upward from the ice maker 452 may flow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verflow prevention unit 453 to be re-introduced into the ice maker 452. The water overflow prevention unit 453 may be designed in a suitable form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ice making chamber 460 and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ice maker 452. Alternatively, the bottom tray of the ice maker 452 may be equipped with a residual tray capable of receiving overflowed water.

본 발명에서 상기 제빙 어셈블리는 제빙 메커니즘으로 정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빙 어셈블리와 제빙실을 포함하는 구조도 제빙 메커니즘으로 포괄하여 정의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즉, 적어도 제빙 어셈블리를 가지는 구성은 제빙 메커니즘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은 상기 제빙 어셈블리를 감싸는 단열벽 구조와 같은 물리적 형상뿐 아니라, 상기 단열벽 구조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넓게 해석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ice making assembly can be defined as an ice making mechanism, but also a structure including an ice making assembly and an ice making chamber can be defined as an ice making mechanism. That is, a configuration having at least an ice making assembly can be defined as an ice making mechanism. The ice making chamber is defined as being broadly interpreted as meaning not only a physical shape such as a heat insulating wall structure surrounding the ice making assembly, but also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heat insulating wall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저장실, 즉 제 1 저장실 및 제 2 저장실은 냉장실과 냉동실 중 어느 하나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 또는 운전 조건에 따라 냉장실과 냉동실 상화간의 전환이 가능한 절환실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In addition, the storage compartments, ie,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y one of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freezing compartment, and can be used as a switching room that can switch between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r operating conditions. It is revealed.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나타난 냉장고의 구조는, 냉장고 본체의 어느 일 측방에는 회동식 도어가 아닌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방식 도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냉장고가 실내 공간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경우, 벽쪽에 밀착되는 쪽의 도어가 벽면에 의하여 90도 이상으로 회동하지 못 하는 단점이 극복되는 장점이 있다. The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show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ide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liding door that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stead of the rotational door. Therefore, when the refrigerator is installed at the corner portion of the indoor spa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isadvantage that the door of the side close to the wall can not be rotated by more than 90 degrees by the wall surface is overcome.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저장실의 경우 냉장실에 비하여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반면, 병과 같은 길이가 긴 용기를 수납하기에 용이하므로, 냉장고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compartmen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narrow width as compared 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is easy to store a long container such as a bottle, and thus has an advantage of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inside the refrigerator.

도 3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FIG. 3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3과 도 3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도 1과 도 2에서 제시되는 냉장고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되 냉장실의 내측을 구획하는 베리어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하나의 공간으로 구성된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가 회동식 도어와 다수의 슬라이딩 도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3 and 34,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refrigerator structure shown in Figures 1 and 2, but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ing chamber consisting of a single space without a barrier for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is provided separately; The door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rotary door and a plurality of sliding doors.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30)과 냉동실(20)이 각각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냉장실(30)과 냉동실(20)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32), 냉동실 도어(22), 제1도어(130) 및 제2도어(140)에 의해 외형이 정의된다.In detail,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ody 10 in whic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20 are formed,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which selectively shield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20. The appearance is defined by the freezer door 22, the first door 130, and the second door 140.

상기 냉장실(30)과 냉동실(20)은 각각 상기 본체(10)의 상부와 하부에 구획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은 상기 냉장실 도어(32)와 제1도어(130) 및 제2도어(140)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냉동실(20)은 냉동실 도어(22)에 의해 차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refrigerating chamber 30 and the freezing chamber 20 are formed by partition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body 1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is shielded by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the first door 130, and the second door 14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20 may be shielded by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22. It is composed.

상세히,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상기 냉장실(30)의 개구된 전면 일부를 차 폐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힌지(34)에 의해 상기 본체(10)와 결합된다.In detail,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shields a part of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nd is rotat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10. To this e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 by a hinge 34.

상기 냉장실 도어(32)의 세로방향 높이는 상기 냉장실(30)의 세로방향 높이에 대응하며, 가로방향 폭은 상기 냉장실(30)의 가로방향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회동에 의해 상기 냉장실(30)의 가로방향 일정폭 만큼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vertical heigh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corresponds to the vertical heigh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nd the horizontal width thereof is smaller than the horizontal width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Therefor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is configured to shield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by rotation.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외부에서 상기 냉장실(3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유리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통해 상기 냉장실(30)의 내부를 볼 수 있으며, 특히 아래에서 설명할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내부에 수납된 식품 까지도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통해서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glass material so that at least par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is visible from the outside. Therefore, the user can se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throug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and in particular, even the food stored in the first door 130 and the second door 140 to be described below. Through the door 32 can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상기 냉장실 도어(32)의 전면은 유리소재로 형성되며, 둘레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32)의 유리를 통해 외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상기 냉장고(1)의 작동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is formed of a glass material, the periphery may be formed of a plastic or metal material. In addition, data input from the outside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glass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refrigerator 1 may be displayed.

상기 냉장실 도어(32)에 의해 차폐되지 않는 상기 냉장실(30)의 전면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에 의해 각각 차폐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장실(30)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냉장실 도어(32)와 다른 하나의 도어에 의해 차폐될 수도 있으며, 2개 이상의 도어에 의해 차폐될 수도 있다.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which is not shielded by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may be shielded by the first door 130 and the second door 14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Of course,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may be shielded by one door different from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or may be shielded by two or more doors.

한편, 상기 냉장실(30)의 내부에는 음식물의 수납을 위한 다수의 선반(12)과 서랍(14)이 제공된다. 상기 선반(12) 및 서랍(14)은 상기 냉장실 도어(32)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32)의 가로방향 폭보다 크지 않게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32)만을 개방한 후에 상기 서랍(14)과 선반(12)을 간섭없이 인출입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helves 12 and drawers 14 for storing food. The shelf 12 and the drawer 14 ar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and are formed not to be larger than the horizontal width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to open only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The 14 and the shelf 12 can be pulled out without interference.

그리고, 상기 선반(12)은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후벽면에 캔틸레버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공간에서 탈착에 의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shelf 12 is detachably provided to the inner rear wall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in a cantilever manner, and is configured to be height-adjustable by detaching the inner sp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한편,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는 상기 냉장실 도어(32)의 좌측에 구비되어 상기 냉장실(30)의 좌측공간을 차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1도어(130)는 상기 제2도어(14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door 130 and the second door 140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to shield the left sp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the first door 130 )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door 140.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는 서랍식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전면에는 도어핸들(132,144)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후방에는 음식물의 수납을 위한 수납부(도 3에서, 134,146)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도어(140)의 후방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제빙실(도 3에서, 160)이 형성된다.The first door 130 and the second door 140 may be configured to be pulled in and out of a drawer type, and door handles 132 and 144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s of the first door 130 and the second door 140. have. And, the rear of the first door 130 and the second door 140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134, 146, in Figure 3) for storing food, the rear of the second door 140 An ice making chamber (in FIG. 3, 160) for forming and storing the same is formed.

상기 제2도어(140)의 전면에는 음용수 및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142)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142)는 상기 제빙실(160)의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빙실(160)과 연통되며, 음용수의 공급을 위해 외부의 급수원과 급수 유로에 의해 연결된다.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140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142 to draw drinking water and ice from the outside. The dispenser 142 communicates with the ice making chamber 160 to extract the ice of the ice making chamber 160 from the outside, and is connected by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and a water supply passage to supply drinking water.

그리고, 디스펜서(142)에는 제빙된 얼음과 음용수가 취출되는 각각의 취출구 및 조작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142)의 하방에는 얼음 또는 음용수의 취출 중 발생되는 잔수를 받기 위한 잔수받이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142)의 상방에는 냉장고의 작동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spenser 142 may be provided with respective outlets and operating means through which iced ice and drinking water are taken out, and the water receiver under the dispenser 142 receives a residual water generated during taking out ice or drinking water. It may be provided detachably. In addition, a display for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refrigerator may be provided above the dispenser 142.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도어와 제2도어가 인출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6은 도 35에서 제1도어가 닫힌 상태의 C-C'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다.FIG. 3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door and a second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6 is cut along the line C-C ′ of the first door in FIG. 35. It is a cross section.

도 35와 36을 참조하면,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는 레일 부재(60)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내측에서 전후방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5 and 36, the first door 130 and the second door 140 may be configured to be pulled in and out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by the rail member 60.

상기 레일 부재(60)는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레일 장착부재(70)에 장착되는 장착 레일(63)과, 상기 장착 레일(63)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 레일(62)과, 상기 제1도어(130) 또는 제2도어(140)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레일(62)을 따라 슬라이딩 되며, 슬라이딩 도어와 연결되는 고정 레일(61)로 구성된다.The rail member 60 includes a mounting rail 63 mounted on the rail mounting member 7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 moving rail 62 sliding sliding inside the mounting rail 63, and It is mounted on the first door 130 or the second door 140 and is slid along the moving rail 62, it is composed of a fixed rail 61 is connected to the sliding door.

상기 레일 부재(60)는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인출시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에 제공되는 수납부(134,146)가 완전하게 외부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다단으로 연장 될 수 있다.The rail member 60 is completely external to the receiving parts 134 and 146 provided in the first door 130 and the second door 140 when the first door 130 and the second door 140 are drawn out. It may be extended in multiple stages so as to have a sufficient length to be pulled out to the side.

따라서, 상기 레일 부재(60)에 의해 상기 제1도어(130) 및 제2도어(140)는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입 되면서 상기 냉장실(30)의 일부를 개폐하고 상기 수납부(134,146)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door 130 and the second door 140 slide in and out by the rail member 60 to open and close part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and slide the storage units 134 and 146 to the outside. It becomes possible to expose.

한편, 상기 레일 부재(60)는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좌우측 중 일측을 제외한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상측 및/또는 하측과 좌우측 중 다른 일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ail member 60 and the upper and / or lower side of the first door 130 and the second door 140 except for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door 130 and the second door 140 and It may be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상세히, 상기 제1도어(130)와 인접하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벽면에는 레일 장착부재(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장착부재(70)는 상기 레일 부재(60)의 지지 및 장착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도어(130)의 인출입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도어(130)의 상면 및 좌측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In detail, a rail mounting member 70 may be provid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adjacent to the first door 130. The rail mounting member 70 is for supporting and mounting the rail member 60. The rail mounting member 70 is formed to be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ich is a drawout direction of the first door 130, and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door 130.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제1도어(130)의 좌측면과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벽면에 구비되는 상기 레일 장착부재(70)는 상기 제1도어(130)의 상하 길이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ail mounting member 70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first door 130 may have one or more along the length of the first door 130. It may be provided.

이와 같이, 상기 이동 레일(62)은 상기 레일 장착부재(70)에 장착된 장착 레일(63)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레일(61)은 상기 제1도어(130)의 상면과 좌측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 레일(63)과 이동 레일(62), 고정 레일(61)은 각각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130)는 상기 냉장실(30) 내측의 상측과 좌측에 매달린 상태로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As such, the movable rail 62 is fixed to the mounting rail 63 mounted on the rail mounting member 70, and the fixing rail 61 is fixed to the upper and left surfaces of the first door 130. do. The mounting rails 63, the moving rails 62, and the fixed rails 61 are each slidably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the first door 130 can be pulled in and out in a state suspended from the upper side and the left side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한편, 상기 제2도어(140)와 인접하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도 상기 레일 장착부재(70)가 구비된다. 상기 레일 부재(60) 및 레일 장착부재(70)는 상게 제1도어(130)의 인출입을 위한 상기 레일 부재(60) 및 레일 장착부재(70)와 그 장착 위치만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rail mounting member 70 is also provided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adjacent to the second door 140. The rail member 60 and the rail mounting member 70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rail member 60 and the rail mounting member 70 and the mounting positions thereof for the draw-out of the first door 130. Sinc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상세히, 상기 레일 장착부재(70)는 상기 제2도어(140)의 하면과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30) 내측의 바닥면과, 상기 제2도어(140)의 좌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30) 내측의 좌측면에 구비된다. In detail, the rail mounting member 70 has a bottom surface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door 140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corresponding to the left surface of the second door 140. )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inner side.

그리고, 상기 레일 장착부재(70)에는 상기 레일 부재(60)의 장착 레일(63)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 레일(63)에는 이동 레일(62)이 장착되며, 상기 제2도어(140)의 좌측면과 하면에는 고정 레일(61)이 장착되어 상기 제2도어(140)가 상기 냉장실(30)의 하면과 좌측면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인출입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ail mounting member 70 is mounted with a mounting rail 63 of the rail member 60, the mounting rail 63 is mounted with a moving rail 62, the second door 140 of A fixing rail 61 is mounted on the left side and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second door 140 can be drawn in and out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bottom and left sides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레일 장착부재(70) 및 레일 부재(6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벽면에 구비되지만,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인접하는 서랍(14) 또는 저장실(도 41에서 102)과 같은 별도의 저장공간이 제공되는 경우 이와 같은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인출입을 보조할 수도 있다.The rail mounting member 70 and the rail member 6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re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but the drawer 14 or the storage compartment adjacent to the sliding door (102 in FIG. 41) When a separate storage space is provided, it may be mounted at such a position to assist withdrawal of the sliding door.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상면 및/또는 하면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인출입시 유동을 방지하는 인출가이드(4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인출가이드(42)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측면과 접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측면 상단 또는 하단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인출시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withdrawal guide 42 may be formed to protrude perpendicularly to the inner upper and / or lowe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to prevent flow during withdrawal of the sliding door. The withdrawal guide 42 is protru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sliding door, and is in contact with the top or bottom of the side of the sliding door. And, it is formed lo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can be stably guided when the sliding door withdrawal.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인출가이드(42)에 상기 레일 장착부재(70)와 레일 부재(60)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인출가이드(42)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제공되는 수납되는 식품들을 가리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Of course, if necessary, the rail mounting member 70 and the rail member 60 may be provided in the take-out guide 42, and the take-out guide 42 may be formed so as not to cover foods stored in the sliding door. Can be.

한편, 상기 제2도어(140)의 배면 하측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상기 제 빙실(160)이 구비되며, 상기 제빙실(160)은 상기 디스펜서(142)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서로 인접하는 제빙실(160)의 우측면과 상기 서랍(14)의 좌측면 사이에 상기 제2도어(140)의 인출입을 안내할 수 있는 추가의 레일 부재(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ce making chamber 160 for making and storing ice is provided under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oor 140, the ice making chamber 16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dispenser 142. In addition, an additional rail member 60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ice making chamber 160 and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drawer 14 adjacent to each other as needed to guide the drawout of the second door 140. Can be.

물론, 상기 제빙실(160)은 상기 제2도어(14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수납부(146)의 위치 또한 상기 제빙실(160)의 상부 하부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Of course, the ice making chamber 160 may be formed at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second door 140, and thus the posi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146 may also be disposed at the upper lower portion of the ice making chamber 160. Will be.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고, 도 38은 도 37에서 제1도어가 닫힌 상태의 D-D'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고, 도 3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도어의 배면 사시도이다.FIG. 3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 first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the first door in FIG. 37, and FIG. Back perspective view of a first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6 내지 도 3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도 8에서 제시되는 냉장고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되 냉장실의 내측을 구획하는 베리어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하나의 공간으로 구성된 냉장실을 냉장실 도어와 제1도어 및 제2도어가 차폐하며,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사이에 필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6 to 39, the present embodiment is mostly the same as the refrigerator structure shown in FIG. 8, but does not include a barrier for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include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nd a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is shiel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ler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상세히, 상기 본체(10)는 냉장실(30)과 냉동실(20)로 상하 구획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의 일부는 상기 냉장실 도어(32)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냉장실(30)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에 의해 차폐된다.In detail, the main body 10 is formed by vertically partitioning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and the freezing chamber 20. A par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is shielded by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and another par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is shielded by the first door 430 and the second door 440.

이때,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상기 본체(10)와 힌지(34)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에 의해 개폐되며,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는 상기 냉장실 도어(32)의 측방에서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레일 부재(60)에 의해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is coupled by the main body 10 and the hinge 34 and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it may be formed transparent to enable the perspective of the interior. In addition, the first door 430 and the second door 440 are disposed up and down on the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and the sliding doors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may be slid in and out by the rail member 60. It can be mounted on the inside.

이때, 상기 제1도어(430)의 인출입을 위한 레일 부재(60)는 상기 냉장실(30) 내측의 상면과 좌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430)의 지지 및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도어(440)의 인출입을 위한 레일 부재(60)는 상기 냉장실(30) 내측의 하면과 좌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430)의 지지 및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At this time, the rail member 60 for drawing in and out of the first door 430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eft surfaces of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to support and slide the first door 430. In addition, the rail member 60 for drawing in and out of the second door 440 is provided on the bottom and left surfaces of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to support and slide the first door 430.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수납부(434,442)가 형성되며, 상기 제1도어(430)의 전면에는 물과 얼음의 취출을 위한 상기 디스펜서(43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디스펜서(436)는 사용자의 키를 고려하여 상기 제1도어(4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door 430 and the second door 440 are provided with receiving portions 434 and 442 for storing food, and the dispenser 436 for taking out water and ice on the front of the first door 430. ) Is provided. In this case, the dispenser 436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door 430 in consideration of a user's key.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의 상측에는 제빙실(460)이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460)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와, 상기 아이스뱅크(454)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냉장실(30)의 내부에서 독립된 단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n ice making chamber 46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oor 430. The ice making room 460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ice maker 452 and the ice bank 454 are accommodated, and is configured to form an independent thermal insulation space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상기 제빙실(460)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1도어(430)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도어(430)의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ice making chamber 460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ember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430, and integrally formed by a door liner forming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430. May be

상기 제빙실(460)은 상기 제1도어(43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냉장실(30)의 후벽면과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의 완전한 인입시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제공되는 냉기덕트(480)와 상기 제빙실(460)의 내부는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ce making chamber 460 may exten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430 to be adjacent to the rear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The cold air duct 480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the inside of the ice making chamber 460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door 430 is fully drawn in.

상세히, 상기 냉기덕트(480)는 상기 제빙실로 냉기를 안내하는 공급덕트(482)와, 증발기측으로 냉기를 안내하는 귀환덕트(484)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 공급덕트(482) 및 귀환덕트(484)와 대응하는 상기 제빙실(460)의 후벽에는 냉기 입구(462)와 냉기 출구(464)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In detail, the cold air duct 480 includes a supply duct 482 for guiding the cold air to the ice making chamber and a return duct 484 for guiding the cold air to the evaporator side, and the supply duct 482 and the return duct 484, respectively. The cold air inlet 462 and the cold air outlet 464 are formed in the rear wall of the ice making chamber 460 corresponding to

따라서, 상기 제1도어(43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덕트(482)는 상기 냉기 입구(462)와 연통되고, 상기 냉기 출구(464)는 상기 귀환덕트(484)와 연통되어 상기 제빙실(460)과 증발기측 사이에 지속적인 냉기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door 430 is fully retracted, the supply duct 482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ld air inlet 462, and the cold air outlet 464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eedback duct 484. Continuous circulation of cold air can be achieved between the ice making chamber 460 and the evaporator side.

상기 제빙실(460) 내부의 아이스뱅크(454)에는 전동 모터(456)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오거(458)와, 동일한 회전축상에 제공되어 얼음을 분쇄하는 크러셔(457)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뱅크(454)의 전동 모터(456) 및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의 동작을 위한 전원은 상기 제1도어(430)의 완전한 인입시 연결되는 전원 커넥터(466)에 의해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ice bank 454 inside the ice making chamber 460 is provided with the auger 458 driven by the electric motor 456 and a crusher 457 provided on the same rotating shaft to crush the ice. In addition, the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456 and the ice maker 452 of the ice bank 454 is configured to be input by the power connector 466 connected when the first door 430 is fully pulled in. Can be.

한편, 상기 제빙실(460)의 일측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 및 디스펜서(436) 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워터탱크(490)가 구비된다. 상기 워터탱크(490)는 착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의 물을 급수하여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430)의 인출입시 상기 제빙실(460)과 함께 상기 워터탱크(490) 또한 상기 제1도어(430)와 함께 전후방으 로 인출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ice making room 460 is provided with a water tank 490 for supplying water to the ice maker 452 and the dispenser 436 side. The water tank 490 may be detachably provided and configured to replenish water by supplying water as needed by a user. Therefore, the water tank 490 together with the ice making chamber 460 may be configured to be withdrawn from the front and rear together with the first door 430 when the first door 430 is withdrawn.

그리고, 상기 워터탱크(490)의 물은 급수 유로(492)에 의해 각각 상기 디스펜서(436)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로(492)는 상기 워터탱크(490)와 상기 디스펜서(436) 및 아이스 메이커(452)를 연결하며, 상기 제1도어(430)의 내측에 발포 충진된 단열재 내측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될 수 있다.The water in the water tank 490 may be supplied to the dispenser 436 and the ice maker 452 by the water supply passage 492, respectively. The water supply passage 492 connects the water tank 490, the dispenser 436, and the ice maker 452,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assage 492 is buried inside the insulation filled with foam in the first door 430. Can be.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제빙실(460)과 떨어진 본체(10)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와 디스펜서(436)로 급수원과 직결된 급수유로가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제1도어(430)의 인입에 따라 상기 제빙실(460) 일측에 제공된 연결부(468)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급수유로에는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The water tank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way from the ice making chamber 460, and a water supply passage directly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may be connected to the ice maker 452 and the dispenser 436. In this case, the water supply passage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468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ce making chamber 460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the first door 430, and a valve may be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assage.

한편,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의 배면에는 상기 냉장실(30) 내부의 냉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438)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가 서로 인접하는 사이에는 필러(50)가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the back of the first door 430 and the second door 440 is provided with a gasket 438 for preventing the leakage of cold air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The filler 5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door 430 and the second door 440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필러(piller)(50)는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도어(430)의 배면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430)의 인출입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 사이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filler 50 is used to shield a space between the first door 430 and the second door 440, and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430, and the first door. In accordance with the withdrawal of the 430 is selectively rotated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shield between the first door 430 and the second door 440.

상세히, 상기 필러(50)는 상기 제1도어(430)의 가로방향 폭과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의 인입시 회동되어 상기 필러(50)의 전면에 상기 제1도어(430)의 하단과 제2도어(440)의 상단이 접하여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사이로 상기 냉장실(30) 내부의 냉기 누설을 단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detail, the pillar 50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door 430. In addition, when the first door 430 is rotated, the first door 430 and the second door 440 are contacted with the lower end of the first door 43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door 440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ller 50. It is configured to intervene the leakage of cold air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during the interval.

상기 필러(50)는 상기 제1도어(43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필러(50)에 제공되는 탄성부재(52)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필러(50)의 전면이 하방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제1도어(430)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필러(50)는 상기 제1도어(430)의 전면에 의해 가려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도어(430)를 전방에서 볼 때 상기 필러(50)가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The filler 50 is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door 43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the filler (in the state that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the elastic member 52 provided to the filler 50) The front surface of the 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door 430 in a downward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ller 50 is configured to be covered by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oor 430 is configured so that the filler 50 is not exposed when the first door 430 is viewed from the front.

상기 필러(50)에 제공되는 탄성부재(52)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2)는 상기 필러(50)와 상기 제1도어(430) 일측을 연결하며, 상기 필러(5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탄성부재(52)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도어(430)의 하단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elastic member 52 provided in the filler 50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as a coil spring.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52 connects the filler 50 and one side of the first door 430, and the filler 50 is elastically provided by the elastic member 52 unles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reto. The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first door 430 can be maintained.

물론, 상기 탄성부재(52)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장착 위치 또한 상기 필러(50)의 회전 축 등에 상기 필러(5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Of course, the elastic member 52 may be provided in a form other than the form of the coil spring, the mounting position also in various positions that can provide the elastic force to the filler 50, such as the axis of rotation of the filler 50 Can be arranged.

그리고, 상기 필러(50)의 일측단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54)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54)는 상기 냉장실(30) 내측의 대응하는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70)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필러(50)의 자연스러운 회전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홈(70)과 가이드 돌기(54)의 대응하는 면은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In addition, a guide protrusion 54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ller 50. The guide protrusion 54 may move along a guide groove 70 formed on a corresponding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nd guide the guide groove 70 and the guide to guide natural rotation of the filler 50.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protrusion 54 is rounded to a predetermined curvature.

상세히, 상기 가이드 홈(70)은 전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70)은 내측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70)과 접하는 상기 가이드 돌기(54)에는 상기 가이드 홈(70)의 곡률과 대응하는 만곡부(5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축결합된 상기 필러(50)의 가이드 돌기(54)가 상기 냉장실(30) 내측 벽면에 고정된 가이드 홈(70)을 따라서 이동될 때 상기 필러(50)가 회전 가능하게 된다.In detail, the guide groove 70 is opened forward and is formed to be recessed inward. In addition, the guide groove 70 is formed to be curv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inward, and the guide protrusion 54 contacting the guide groove 70 has a curv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guide groove 70. 56) is formed. Therefore, the pillar 50 is rotatable when the guide protrusion 54 of the axially coupled pillar 50 is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70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도 4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러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40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sequentially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7 내지 도 40을 참조하면, 상기 제1도어(4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필러(50)는 상기 탄성부재(52)가 제공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필러(50)의 전면이 하방을 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37 to 40,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door 430 is opened, the filler 50 has the front surface of the filler 50 downward by an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ed by the elastic member 52. It will stay in the direction of.

상기 제1도어(430)를 후방으로 인입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 돌기(54)의 만곡부(56)가 상기 가이드 홈(70)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를 지속적으로 더 인입하게 되면, 상기 필러(50)는 상기 제1도어(43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돌기(54)에 형성된 상기 만곡부(56)는 상기 가이드 홈(70)의 내측을 따라서 슬라이딩 하게 된다.When the first door 430 is pulled backward, the curved portion 56 of the guide protrusion 54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70. Further, when the first door 430 is continuously drawn in further, the filler 5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round the rotation axis while moving backward along the first door 430. At this time, the curved portion 56 formed in the guide protrusion 54 slides along the inner side of the guide groove 70.

한편, 상기 제1도어(430)를 완전하게 인입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 돌기(54) 의 만곡부(56)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완전히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필러(50)의 전면은 전방을 향하게 되며, 상기 제1도어(430)의 하단은 물론 상기 제2도어(440)의 상단이 접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door 430 is completely inserted, the curved portion 56 of the guide protrusion 54 is completely rotated along the guide groove. At this time, the front surface of the filler 50 is facing forward, the lower end of the first door 430, as well as the upper end of the second door 440 is in contact.

이때, 상기 필러(50)의 만곡부(56)는 상기 가이드 홈(70)의 내측과 형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필러(50)의 전면은 상기 제1도어(430)가 개방된 상태와 비교할 때 90°각도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가 되고, 상기 냉장고(1)의 전방을 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urved portion 56 of the filler 50 is in a state of being mated with the inside of the guide groove 70. 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ller 5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90 ° as compared to the first door 430 is opened,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1).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52)는 가장 인장된 상태가 되며, 상기 제1도어(430)를 다시 인출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5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필러(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필러(50)는 상기 가이드 홈(70)의 안내에 의해 상기 만곡부(56)가 상기 가이드 홈(7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elastic member 52 is in the most tensioned state, and when the first door 430 is pulled out again, the filler 50 is clockwis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2. Will rotate. Of course, even at this time, the filler 50 is slidably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70 by the curved portion 56 by the guide of the guide groove 70.

도 4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4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상기 도 37에서 제시되는 냉장고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되, 상기 냉장실의 일측에 별도의 저장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내부의 공간 구성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41, the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refrigerator structure shown in FIG. 37, but a separate storage compartmen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refore, duplicat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about the structure other than the space structure in the said refrigerator compartment.

상세히, 본 실시예에서의 본체(10)는 상하로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30)과 냉동실(2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은 냉장실 도어(32)와 제1도어(4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냉동실(20)은 냉동실 도어(22)에 의 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이때, 상기 냉장실(30)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0)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냉장실 도어(32)와 제1도어(430) 및 제2도어(4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In detail, the main body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divided up and down to form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and the freezing chamber 2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and the first door 43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20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22. In this case,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corresponding 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the first door 430, and the second door 440.

상세히,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상기 본체(10)에 힌지(34)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냉장실(30)의 개구된 전면 우측부를 회동에 의해 차폐하며, 수납부(434)가 형성된 상기 제1도어(430)는 서랍식으로 전후방 인출입되면서 상기 냉장실(30)의 나머지 좌측부 중 상부를 차폐할 수 있게 된다.In detail,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 by a hinge 34 to shield the opened front right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by rotation, and the receiving part 434 is formed in the first portion. The door 430 is able to shield the upper part of the remaining left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while drawing in and out of the front and rear.

한편, 상기 냉장실(30)에는 별도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저장실(1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장실(102)은 상기 제2도어(440)와 대응하는 좌측 하부 모서리측에 형성되며, 상기 냉장실(30)과 구분되도록 단열벽에 의해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102)은 상기 냉장실(30)과 같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냉동 식품의 저장을 위해 냉동실(20)과 같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may be form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102 formed separately. In detail, the storage compartment 102 is formed at a lower left corner si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oor 440 and is partitioned by a heat insulating wall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In addition, the storage compartment 102 may be maintained at the same temperature a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nd may be maintained at the same temperature as the freezing compartment 20 for storage of frozen food, if necessary.

상기 저장실(102)은 제2도어(44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도어(440)는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도어(440)의 배면에는 펜트리(Pantry)와 구조를 가지는 수납부(44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440)의 인출입에 의해 상기 수납부(442)에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The storage compartment 102 is formed to be shielded by the second door 440, and the second door 440 is provided to be slidable in and out. In addition, an accommodating part 442 having a structure with a pentree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door 440. Therefore, the food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part 442 by the withdrawal of the second door 440.

한편, 상기 제2도어(440)의 상부에는 제1도어(430)가 제공된다. 상기 제1도어(430)의 전면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이 가능한 디스펜서(436)가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430)의 배면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제빙실(460)이 상기 디스펜서(436)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Meanwhile, a first door 430 is provided on the second door 440. The front of the first door 430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436 capable of taking out water or ice, and the ice making chamber 460 for making and storing ice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door 430. It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상기 디스펜서(436)에는 음용수 취출구와 얼음 취출구 및 이들 각각의 취출 조작수단 그리고 잔수받이가 더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436)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다.The dispenser 436 is further provided with a drinking water outlet, an ice outlet, their respective takeout operation means, and a reservoir, and a display is provided on the dispenser 436.

한편, 상기 제빙실(460)은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 배치되므로 상기 냉장실(30)과는 단열된 별도의 독립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460)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452)와 제빙된 얼음을 저장 및 이송시키는 아이스뱅크(454)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ice making room 460 is disposed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it may form a separate independent space that is insulated from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In addition, an ice maker 452 for making ice and an ice bank 454 for storing and transferring iced ice are provided in the ice making room 460.

상기 제빙실(460)은 상기 제1도어(430)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빙실(460) 하부에는 수납부(434)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434)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통해 투시 가능한 위치에 제공되어 고외측에서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식품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he ice making chamber 460 is provided above the first door 430, and an accommodating part 434 is formed below the ice making chamber 460. The accommodating part 434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nd is provided at a position that can be viewed throug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so that food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can be identified from the outside.

한편, 상기 제1도어(430)는 상기 레일 부재(60)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도어(43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상면과 상기 좌측 벽면에 인접하게 되므로, 상기 레일 부재(60) 및 상기 레일 부재(60)가 장착되는 상기 레일 장착부재(70)는 상기 냉장실(30)의 상면과 좌측 벽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43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상면과 좌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door 430 is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by the rail member 60 is configured to be sliding in and out.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door 430 is adjacent to the inner upper surface and the left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the rail mounting member 70 on which the rail member 60 and the rail member 60 are mounte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eft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Therefore, the first door 430 can slide in and out in a state support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and the lef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그리고, 상기 제2도어(440)에도 상기 레일 부재(60)가 구비되어 상기 제2도 어(440)의 슬라이딩 인출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레일 부재(60)는 상기 저장실(102) 내측의 상하 좌우측면 어디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좌측면과 하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door 440 is also provided with the rail member 60 to enable sliding in and out of the second door 440. In this case, the rail member 60 may be disposed on any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orage compartment 102, and may be disposed only on the left side and the bottom sid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는 인입시 상기 제1도어(430)의 하단과 상기 제2도어(440)의 상단은 상기 저장실(102)의 상단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의 사이로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door 430 and the second door 440 are configured to contact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compartment 102 wh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door 43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door 440 are inser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akage of cold air between the first door 430 and the second door 440 in a state where the first door 430 and the second door 440 are closed.

도 4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4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상기 도 41에서 제시되는 냉장고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되, 상기 냉장실의 일측에 별도의 저장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내부의 공간 구성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42, the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refrigerator structure shown in FIG. 41, but a separate storage compartmen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refore, duplicat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about the structure other than the space structure in the said refrigerator compartment.

상세히, 본 실시예에서의 본체(10)는 상하로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30)과 냉동실(2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은 냉장실 도어(32)와 제2도어(4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냉동실(20)은 냉동실 도어(2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이때, 상기 냉장실(30)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0)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냉장실 도어(32)와 제1도어(430) 및 제2도어(4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In detail, the main body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divided up and down to form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and the freezing chamber 2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and the second door 44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20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22. In this case,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corresponding 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the first door 430, and the second door 440.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상기 본체(10)와 힌지(34)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냉 장실(30)의 개구된 전면 일부를 회동에 의해 차폐하며, 수납부(442)가 형성된 상기 제2도어(440)는 서랍식으로 전후방 인출입되면서 상기 냉장실(30)의 나머지 부분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is coupled by the main body 10 and the hinge 34 to shield a part of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by rotation, and the second door in which an accommodating part 442 is formed. 440 is able to shiel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while the drawer draws back and forth.

한편, 상기 냉장실(30)에는 별도로 구획되는 저장실(104)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장실(104)은 상기 제1도어(430)와 대응하는 좌측 상부 모서리측에 형성되며, 상기 냉장실(30)과 구분되도록 단열벽에 의해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104)은 제빙 및 냉동 식품의 저장을 위해 냉동실(20)과 같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냉장실(30)과 같은 온도로 유지될 수도 있다.Meanwhile, a storage compartment 104 may be form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In detail, the storage chamber 104 is formed at the upper left corner sid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oor 430 and is partitioned by a heat insulating wall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The storage compartment 104 may be maintained at the same temperature as the freezing compartment 20 for ice making and storage of frozen food, and may be maintained at the same temperature a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s necessary.

상기 저장실(104)은 제1도어(43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도어(430)는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도어(430)의 전면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이 가능한 디스펜서(436)가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430)의 배면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제빙실(460)이 상기 디스펜서(436)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The storage chamber 104 is formed to be shielded by the first door 430, and the first door 430 is provided to slide in and out. The front of the first door 430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436 capable of taking out water or ice, and the ice making chamber 460 for making and storing ice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door 430. It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상기 디스펜서(436)에는 음용수와 얼음의 취출을 위한 취출구 및 이들 각각의 취출 조작을 위한 조작수단 그리고 잔수받이가 더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436)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다.The dispenser 436 is further provided with an outlet for discharging drinking water and ice, an operation means for discharging each of them, and a water reservoir, and a display is provided on the dispenser 436.

상기 제빙실(460)은 상기 제1도어(430)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빙실(460) 하부에는 수납부(43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빙실(460)과 수납부(434)는 상기 제1도어(430)가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저장실(104)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1도어(430)의 개폐조작에 따라서 상기 저장실(104)의 내외측 으로 선택적으로 인출입될 수 있다.The ice making chamber 460 is provided above the first door 430, and an accommodating part 434 is formed below the ice making chamber 460. Therefore, the ice making chamber 460 and the receiving unit 434 are positioned inside the storage chamber 104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door 430 is retract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irst door 430 is performed. Therefore, the storage chamber 104 may be selectively withdrawn in and out.

이를 위해, 상기 제1도어(430)와 인접하는 냉장실(30)의 상면과 좌우 측면에는 상기 레일 장착부재(70)가 구비되고, 상기 제1도어(430)의 좌측면과 상면을 지지하기 위한 레일 부재(60)가 상기 레일 장착부재(70)에 장착된다. 물론, 상기 레일 장착부재(70)와 상기 레일 부재(60)는 상기 저장실(104) 내부의 양측 벽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rail mounting member 70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adjacent to the first door 430, and for supporting the left sid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oor 430. Rail member 60 is mounted to the rail mounting member 70. Of course, the rail mounting member 70 and the rail member 6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 walls of the storage chamber 104.

한편, 상기 저장실(104)의 내측이 냉동실(20) 온도와 같이 영하의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빙실(460)은 별도의 단열공간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제빙실(460)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와 아이스뱅크(454)의 장착을 위한 공간만을 제공하며, 상기 저장실(104)의 냉기에 노출되어 제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의 배면의 수납부(434)에는 냉동 저장을 위한 식품이 수납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104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below zero, such as the freezer compartment 20, the ice making chamber 460 may not form a separate heat insulating space. In detail, the ice making chamber 460 provides only a space for mounting the ice maker 452 and the ice bank 454, and may be configured to be exposed to cold air of the storage compartment 104 to make ice making.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434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430 may accommodate food for frozen storage.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 구비되는 선반(12)은 상기 냉장실(30) 우측 벽면과 상기 저장실(104)의 우측 벽면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선반(12)은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벽면과 상기 저장실(104)의 외측 벽면에 돌출 형성된 안착부(13)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shelf 12 provided insid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right side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nd the right wall surf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104, in which case the shelf 12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a seating portion 13 protruding from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and an outer wall surface of the storage chamber 104.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의 하방에는 제2도어(440)가 구비된다. 상기 제2도어(440)는 상기 레일 부재(60)에 의해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door 440 is provided below the first door 430. The second door 440 may be mounted to slide in and out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by the rail member 60.

상세히, 상기 제2도어(44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하면과 상기 좌측 벽면에 인접하게 되므로, 상기 레일 부재(60) 및 상기 상기 레일 장착부재(70)는 상기 냉장실(30)의 하면과 좌측 벽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44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상면과 좌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In detail, since the second door 440 is adjacent to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nd the left wall surface, the rail member 60 and the rail mounting member 70 are the lowe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nd the left wall is provided. Therefore, the second door 440 is capable of sliding in and out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and the lef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상기 제2도어(440)의 수납부(442)는 상기 제2도어(4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실(30)의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투명한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통해서 상기 제2도어(440)의 수납부(442)에 보관되는 식품을 상기 냉장실 도어(32) 및 제2도어(440)를 개방하지 않고도 확인 할 수 있게 된다.The accommodating part 442 of the second door 440 is disposed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when the second door 440 is closed. Therefore, the food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442 of the second door 440 throug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can be confirmed without open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and the second door 440. do.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는 인입시, 상기 제1도어(430)의 하단과 상기 제2도어(440)의 상단이 상기 저장실(104)의 전면 상단과 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의 완전한 인입시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 사이로 누설되는 냉기를 단속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door 430 and the second door 440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door 43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door 440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front of the storage chamber 104 when the first door 430 and the second door 440 are inserted. do. Therefore, when the first door 430 and the second door 440 is completely drawn i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ld air leaking between the first door 430 and the second door 440.

도 4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4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3은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상기 도 40에서 제시되는 냉장고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되, 상기 냉장실 내부에 별도의 저장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내부의 공간 구성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43,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refrigerator structure shown in FIG. 40, but a separate storage compartment is formed insid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refore, duplicat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about the structure other than the space structure in the said refrigerator compartment.

상세히, 본 실시예에서의 본체(10)는 상하로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30)과 냉 동실(2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은 냉장실 도어(32)와 제1도어(430) 및 제2도어(4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냉동실(20)은 냉동실 도어(2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In detail, the main body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divided up and down to form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and the freezing chamber 2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the first door 430, and the second door 44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20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22. do.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상기 본체(10)에 힌지(34)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냉장실(30)의 개구된 전면 일부를 회동에 의해 차폐하며, 수납부(434,442)가 형성된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는 서랍식으로 전후방 인출입되면서 상기 냉장실(30)의 나머지 부분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 by a hinge 34 to shield a part of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by rotation, and the first door having the receiving parts 434 and 442 formed therein. 430 and the second door 440 is able to shiel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while drawing out the front and rear.

한편, 상기 냉장실(30)에는 별도로 구획되는 저장실(106)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장실(106)은 상기 제1도어(430)의 배면에 구비되는 제빙실(460)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빙실(460)이 인출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storage compartment 106 may be form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In detail, the storage compartment 106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ce making chamber 46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430, and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ice making chamber 460. It can be formed to be.

그리고, 상기 저장실(106)은 상기 제빙실(460)의 위치와 대응하는 냉장실(30) 내부 좌측 상부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얼음을 얼릴 수 있는 영하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냉장실(30)과 단열벽에 의해 구획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torage compartment 106 may be formed at an upper left corner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ice making chamber 460,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may be maintained at a sub-zero temperature at which ice may be frozen. And partitioned by a heat insulating wall.

상기 저장실(106)은 제1도어(430)에 형성된 제빙실(460)과 대응하는 제1도어(430)의 일부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제1도어(430)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냉장실(30)의 일부 공간을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torage chamber 106 is shielded by a part of the first door 430 corresponding to the ice making chamber 460 formed in the first door 430,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first door 430 is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It can be configured to shield some space of).

상기 제1도어(430)의 전면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이 가능한 디스펜서(436)가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430)의 배면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제빙실(460) 이 상기 디스펜서(436)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The front of the first door 430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436 capable of taking out water or ice, and the ice making chamber 460 for making and storing ice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door 430. It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상기 디스펜서(436)에는 음용수 취출구와 얼음 취출구 및 이들 각각의 취출 조작수단 그리고 잔수받이가 더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436)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다.The dispenser 436 is further provided with a drinking water outlet, an ice outlet, their respective takeout operation means, and a reservoir, and a display is provided on the dispenser 436.

한편, 상기 저장실(106)의 내측이 냉동실(20) 온도와 같이 영하의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빙실(460)은 별도의 단열공간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제빙실(460)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와 아이스뱅크(454)의 장착을 위한 공간만을 제공하며, 상기 저장실(106)의 냉기에 노출되어 제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106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below zero, such as the freezer compartment 20, the ice making chamber 460 may not form a separate heat insulating space. In detail, the ice making chamber 460 provides only a space for mounting the ice maker 452 and the ice bank 454, and may be configured to be exposed to cold air of the storage compartment 106 to make ice making.

상기 제빙실(460)은 상기 제1도어(430)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빙실(460) 하부에는 수납부(43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4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빙실(460)은 상기 저장실(106)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수납부(434)는 상기 저장실(106) 하방의 상기 냉장실(30)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The ice making chamber 460 is provided above the first door 430, and an accommodating part 434 is formed below the ice making chamber 460. Accordingly,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door 430 is closed, the ice making chamber 460 is locat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106, and the storage unit 434 is locat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below the storage compartment 106. 30) It is located inside.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의 상면과 좌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실(106)의 상면과 좌측면에는 레일 부재(60)가 구비되며, 상기 레일 부재(60)에 의해 상기 제1도어(430)는 전후방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레일 부재(60) 중 상기 제1도어(430)의 좌측면에 구비되는 레일 부재(60)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빙실(460)과 수납부(434)의 좌측면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rail member 60 is provided on the top and left surfaces of the storage compartment 106 corresponding to the top and left surfaces of the first door 430, and the first door ( 430 may be withdrawn in front and rear. Among the rail members 60, a plurality of rail members 60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door 430 may be provided, and in this case, the left side of the ice making chamber 460 and the storage part 434. Can be mounted on each.

한편, 상기 제1도어(430)의 인출입에 따라서 상기 저장실(106)과 상기 냉장실(30)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차폐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1도어(430)의 인출시 상 기 제빙실(460) 및 상기 수납부(434)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430)의 수납부(434)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게 된다.Meanwhile, a portion of the storage compartment 106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may be selectively shielded according to the withdrawal of the first door 430, and the withdrawal of the first door 430 may be performed. The 460 and the accommodating part 434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receiving part 434 of the first door 430 is positioned insid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door 430 is retracted, an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It becomes possible to confirm.

상기 제1도어(430)의 하방에는 제2도어(440)가 구비된다. 상기 제2도어(440)는 상기 레일 부재(60)에 의해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second door 440 is provided below the first door 430. The second door 440 may be mounted to slide in and out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by the rail member 60.

상세히, 상기 제2도어(44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하면과 상기 좌측 벽면에 인접하게 되므로, 상기 레일 부재(60) 및 상기 레일 부재(60)가 장착되는 상기 레일 장착부재(70)는 상기 냉장실(30)의 하면과 좌측 벽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44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상면과 좌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In detail, since the second door 440 is adjacent to the inner bottom surface and the left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the rail mounting member 70 on which the rail member 60 and the rail member 60 are mounted.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left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Therefore, the second door 440 is capable of sliding in and out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and the lef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상기 제2도어(440)의 수납부(442)는 상기 제2도어(4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실(30)의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투명한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통해서 상기 제2도어(440)의 수납부(442)에 보관되는 식품을 상기 냉장실 도어(32) 및 제2도어(440)를 개방하지 않고도 확인 할 수 있게 된다.The accommodating part 442 of the second door 440 is disposed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when the second door 440 is closed. Therefore, the food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442 of the second door 440 throug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can be confirmed without open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and the second door 440. do.

한편, 상기 제1도어(430)의 하단에는 상기 필러(50)가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가 닫힌 경우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 사이의 냉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ller 5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door 430, when the first door 430 and the second door 440 is closed, the first door 430 and the second door 44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akage of cold air between.

도 4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 다.4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상기 도 37에서 제시되는 냉장고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되, 상기 냉장실 내부에 별도의 제빙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내부의 공간 구성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44,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refrigerator structure shown in FIG. 37, but a separate ice making chamber is provided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Therefore, duplicat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about the structure other than the space structure in the said refrigerator compartment.

상세히, 본 실시예에서의 본체(10)는 상하로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30)과 냉동실(2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은 냉장실 도어(32)와 제1도어(430) 및 제2도어(4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냉동실(20)은 냉동실 도어(2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In detail, the main body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divided up and down to form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and the freezing chamber 2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the first door 430, and the second door 44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20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22. do.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힌지(34)에 의해 상기 본체(10)에 연결되어 상기 냉장실(30)의 개구된 전면 일부를 회동에 의해 차폐하며, 수납부(434,442)가 형성된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는 서랍식으로 전후방 인출입되면서 상기 냉장실(30)의 나머지 부분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by a hinge 34 to shield a part of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by rotation, and the first door having the receiving parts 434 and 442 formed therein. 430 and the second door 440 is able to shiel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while drawing out the front and rear.

한편, 상기 냉장실(30)에는 별도의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실(108)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장실(108)은 상기 제1도어(430)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도어(830)가 닫힐 때 전면이 차폐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108)의 내부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와 아이스뱅크(454)가 구비되며, 상기 저장실(108)의 전면은 커버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storage compartment 108 may be form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to form a separate insulation space. In detail, the storage compartment 108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rst door 430 and is formed to shield the front surface when the first door 830 is closed. In addition, the ice maker 452 and the ice bank 454 are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108,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108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cover.

상기 저장실(108)은 상기 냉장실(30) 내부 좌측 상부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얼음을 얼릴 수 있는 영하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냉장실(30)과 단 열벽에 의해 구획되도록 형성된다.The storage compartment 108 may be formed at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nd may be partitioned by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nd the insulation wall so as to be maintained at a sub-zero temperature at which ice may be frozen.

상기 제1도어(430)의 전면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이 가능한 디스펜서(436)가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430)의 배면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저장실(108)이 상기 디스펜서(436)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The front of the first door 430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436 capable of extracting water or ice, and the storage chamber 108 for making and storing ice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door 430. It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상기 디스펜서(436)에는 음용수 취출구와 얼음 취출구 및 이들 각각의 취출 조작수단 그리고 잔수받이가 더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436)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다.The dispenser 436 is further provided with a drinking water outlet, an ice outlet, their respective takeout operation means, and a reservoir, and a display is provided on the dispenser 436.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의 상면과 좌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실(108)의 상면과 좌측면에는 레일 부재(60)가 구비되며, 상기 레일 부재(60)에 의해 상기 제1도어(430)는 전후방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레일 부재(60) 중 상기 제1도어(430)의 좌측면에 구비되는 레일 부재(60)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저장실(108)과 수납부(434)의 좌측면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rail member 60 is provided on the top and left surfaces of the storage compartment 108 corresponding to the top and left surfaces of the first door 430, and the first door ( 430 may be withdrawn in front and rear. Among the rail members 60, a plurality of rail members 60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door 430 may be provided, and in this case, the left 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108 and the storage part 434 may be provided. Each can be mounted.

한편, 상기 제1도어(430)의 인출입에 따라서 상기 저장실(108)의 전면과 상기 냉장실(30)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차폐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1도어(430)의 인출시 상기 제빙실(460) 및 상기 수납부(434)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108 and a par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may be selectively shielded according to the withdrawal of the first door 430 and the first door 430 may be shielded. The ice chamber 460 and the storage unit 434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430)의 수납부(434)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eceiving part 434 of the first door 430 is positioned insid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door 430 is retracted, an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It becomes possible to confirm.

상기 제1도어(430)의 하방에는 제2도어(440)가 구비된다. 상기 제2도어(440)는 상기 레일 부재(60)에 의해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 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second door 440 is provided below the first door 430. The second door 440 may be mounted to slide in and out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by the rail member 60.

상세히, 상기 제2도어(44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하면과 상기 좌측 벽면에 인접하게 되므로, 상기 레일 부재(60) 및 상기 레일 부재(60)가 장착되는 상기 레일 장착부재(70)는 상기 냉장실(30)의 하면과 좌측 벽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44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상면과 좌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In detail, since the second door 440 is adjacent to the inner bottom surface and the left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the rail mounting member 70 on which the rail member 60 and the rail member 60 are mounted.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left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Therefore, the second door 440 is capable of sliding in and out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and the lef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상기 제2도어(440)의 수납부(442)는 상기 제2도어(4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실(30)의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투명한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통해서 상기 제2도어(440)의 수납부(442)에 보관되는 식품을 상기 냉장실 도어(32) 및 제2도어(440)를 개방하지 않고도 확인 할 수 있게 된다.The accommodating part 442 of the second door 440 is disposed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when the second door 440 is closed. Therefore, the food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442 of the second door 440 throug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can be confirmed without open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and the second door 440. do.

한편, 상기 제1도어(430)의 하단에는 상기 필러(50)가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가 닫힌 경우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 사이의 냉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ller 5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door 430, when the first door 430 and the second door 440 is closed, the first door 430 and the second door 44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akage of cold air between.

도 4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4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상기 도 37에서 제시되는 냉장고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되,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구성 및 디스펜서의 위치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제1도어와 제2도어 및 디스펜서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45,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refrigerator structure shown in FIG. 37, but the first and second doors are configured and the position of the dispenser. Therefore, duplicate descriptions of components other tha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first door, the second door, and the dispenser will be omitted.

상세히, 본 실시예에서의 본체(10)는 상하로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30)과 냉 동실(2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은 냉장실 도어(32)와 제1도어(830) 및 제2도어(8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냉동실(20)은 냉동실 도어(2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In detail, the main body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divided up and down to form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and the freezing chamber 2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the first door 830, and the second door 84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20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22. do.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상기 본체(10)에 힌지(34)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냉장실(30)의 개구된 전면 일부를 회동에 의해 차폐하며, 수납부(834,842)가 형성된 상기 제1도어(830)와 제2도어(840)는 서랍식으로 전후방 인출입되면서 상기 냉장실(30)의 나머지 부분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by a hinge 34 to shield a part of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by rotation, and the first door having receiving parts 834 and 842 formed therein. 830 and the second door 840 is able to shiel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while drawing out the front and rear.

상기 제1도어(830)와 제2도어(840)는 상기 냉장실 도어(32)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830)는 상기 제2도어(840)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도어(830)에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30)의 상면과 좌측면에는 상기 제1도어(830)의 슬라이딩 인출입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 부재(60)가 구비되며, 상기 레일 부재(60)는 레일 장착부재(70)에 의해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 고정 장착된다.The first door 830 and the second door 840 are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and the first door 83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door 840. Upper and left surfaces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corresponding to the first door 830 are provided with a rail member 60 for guiding sliding in and out of the first door 830, and the rail member 60. Is fixedly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by the rail mounting member 70.

상기 제1도어(830)는 상기 제2도어(840)의 상하길이보다 다소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830)의 배면 상부에는 제빙실(860)이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860)은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아이스 메이커(452)와 아이스뱅크(454)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first door 830 may be formed somewhat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second door 840. In addition, an ice making chamber 860 is formed on an upper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830. The ice making room 860 is for making and storing ice, and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ice maker 452 and the ice bank 454.

상기 제빙실(860)의 내부는 제빙을 위해 영하의 온도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상기 제빙실(860)은 상기 냉장실(30)과는 구획된 단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830)의 후방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이 가능한 디스펜서(836)가 구비된다. Since the interior of the ice making chamber 860 must maintain a sub-zero temperature for ice making, the ice making chamber 860 may form an insulation space partitioned from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In addition, a dispenser 836 capable of extracting water or ice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door 830.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836)는 상기 제빙실(860)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펜서(836)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높이인 상기 제1도어(830)의 중간 또는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836)는 상기 제빙실(860)과 연통되어 상기 제빙실(860)로부터 제빙된 얼음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In detail, the dispenser 836 is provided below the ice making room 860, and the dispenser 836 is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n the middle of the first door 830, which is easily accessible by the user. It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In addition, the dispenser 836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ice making chamber 860 to receive ice ice from the ice making chamber 860.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836)는 상기 냉장실(30)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도어(83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통해 상기 수납부(834)와 함께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836)는 상기 제1도어(830)를 슬라이딩 인출하였을 때 상기 냉장실(30) 외측의 측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ispenser 836 is disposed to fac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so that the dispenser 836 can be identified from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storage unit 834 throug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even when the first door 830 is closed. It is configured to. In addition, the dispenser 836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when the first door 830 is slid out.

한편, 상기 디스펜서(836)에는 음용수 취출구와 얼음 취출구 및 이들 각각의 취출 조작수단 그리고 잔수받이가 더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836)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다. Meanwhile, the dispenser 836 is further provided with a drinking water outlet, an ice outlet, their respective take-out operation means, and a reservoir, and a display is provided on the dispenser 836.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836)의 후방 및 하방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수납부(834)가 각각 다단으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receiving unit 834 for storing food is formed in multiple stages at the rear and the lower side of the dispenser 836.

상기 제1도어(830)의 하방에는 제2도어(840)가 구비된다. 상기 제2도어(840)는 상기 레일 부재(60)에 의해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second door 840 is provided below the first door 830. The second door 840 may be mounted to be slidable in and out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by the rail member 60.

상세히, 상기 제2도어(84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하면과 상기 좌측 벽면에 인접하게 되므로, 상기 레일 부재(60) 및 상기 레일 부재(60)가 장착되는 상 기 레일 장착부재(70)는 상기 냉장실(30)의 하면과 좌측 벽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84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상면과 좌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In detail, since the second door 840 is adjacent to the inner bottom surface and the left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the rail mounting member 70 on which the rail member 60 and the rail member 60 are mounted is mounted. )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left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Therefore, the second door 840 is able to slide in and out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and the lef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상기 제1도어(830)에 다단으로 구성되는 수납부(834)와, 상기 제2도어(840)의 제공되는 수납부(842)는 상기 제1도어(830)와 제2도어(8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실(30)의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32)가 닫힌 상태에서도 투명한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통해서 상기 제1도어(830) 및 제2도어(840)의 수납부(834,842)에 보관되는 식품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door 830 and the second door 840 may include the accommodating part 834 formed in multiple stages in the first door 830 and the accommodating part 842 provided in the second door 840. In the closed state is disposed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Therefore, even whe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2 is closed,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units 834 and 842 of the first door 830 and the second door 840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transparen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2. .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를 회동시켜 상기 냉장실(30)을 개방하게 되면, 상기 디스펜서(836)가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으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1도어(830)를 개방하지 않고도 상태로 상기 디스펜서(836)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is rotated to ope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the dispenser 836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open the first door 830. In this state, the dispenser 836 can be used.

한편, 상기 제1도어(830)와 제2도어(840)의 상하 길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그 길이에 따라서 상기 제1도어(830)와 제2도어(840)에 구비되는 수납부(834,842)의 배열 또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first door 830 and the second door 840 may be variously formed as necessary, and provided in the first door 830 and the second door 840 according to the length thereof. The arrangement of the receiving parts 834 and 842 may also be variously configured.

그리고, 상기 제1도어(830)의 하단에는 상기 필러(50)가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830)와 제2도어(840)가 닫힌 경우 상기 제1도어(830)와 제2도어(840) 사이로 냉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first door 830 and the second door 840 are closed, the first door 830 and the second door 840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door 8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akage of cold air.

도 4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4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도 37에서 제시되는 냉장고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되,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구성 및 디스펜서의 위치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제1도어와 제2도어 및 디스펜서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46,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refrigerator structure shown in FIG. 37, but features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oors and the position of the dispenser. Therefore, duplicate descriptions of components other tha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first door, the second door, and the dispenser will be omitted.

상세히, 본 실시예에서의 본체(10)는 상하로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30)과 냉동실(2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은 냉장실 도어(32)와 제1도어(930) 및 제2도어(9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냉동실(20)은 냉동실 도어(2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In detail, the main body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divided up and down to form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and the freezing chamber 2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the first door 930, and the second door 94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20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22. do.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상기 냉장실(30)의 개구된 전면 일부를 회동에 의해 차폐하며, 수납부(934,942)가 형성된 상기 제1도어(930)와 제2도어(940)는 서랍식으로 전후방 인출입되면서 상기 냉장실(30)의 나머지 부분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shields a part of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by rotation, and the first door 930 and the second door 940 in which the accommodating parts 934 and 942 are formed are pulled out front and rear in a drawer type. While entering, it is possible to shield the remaining part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상기 제1도어(930)와 제2도어(940)는 상기 냉장실 도어(32)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930)는 상기 제2도어(940)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도어(930)에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30)의 상면과 좌측면에는 상기 제1도어(930)의 슬라이딩 인출입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 부재(60)가 구비되며, 상기 레일 부재(60)는 레일 장착부재(70)에 의해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 고정 장착된다.The first door 930 and the second door 940 are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and the first door 93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door 940. Upper and left surfaces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corresponding to the first door 930 are provided with a rail member 60 for guiding sliding in and out of the first door 930, and the rail member 60. Is fixedly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by the rail mounting member 70.

상기 제1도어(930)의 후방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수납부(93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934)는 1단 또는 2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식품이 저장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At the rear of the first door 930, accommodating portions 934 for storing food are respectively formed. The storage unit 934 may be configured in one or two stages, and may have various structures to store various foods.

한편, 상기 제1도어(930)의 하방에는 제2도어(940)가 구비된다. 상기 제2도 어(940)는 상기 레일 부재(60)에 의해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door 940 is provided below the first door 930. The second door 940 may be mounted to slide in and out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by the rail member 60.

상세히, 상기 제2도어(94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하면과 상기 좌측 벽면에 인접하게 되므로, 상기 레일 부재(60) 및 상기 상기 레일 장착부재(70)는 상기 냉장실(30)의 하면과 좌측 벽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94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상면과 좌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In detail, since the second door 940 is adjacent to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nd the left wall surface, the rail member 60 and the rail mounting member 70 are the lowe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And the left wall is provided. Therefore, the second door 940 is able to slide in and out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and the lef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0.

그리고, 상기 제2도어(940)의 배면 상부에는 제빙실(960)이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960)은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아이스 메이커(452)와 아이스뱅크(454)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An ice making chamber 96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oor 940. The ice making room 960 is for making and storing ice, and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ice maker 452 and the ice bank 454.

상기 제빙실(960)의 내부는 제빙을 위해 영하의 온도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상기 제빙실(960)은 상기 냉장실(30)과는 구획된 단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960)과 연통되는 상기 제2도어(940)의 배면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이 가능한 디스펜서(936)가 구비된다. Since the interior of the ice making room 960 must maintain a sub-zero temperature for ice making, the ice making room 960 may form an insulation space partitioned from the refrigerating room 30. In addition, a dispenser 936 capable of extracting water or ice is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door 940 that communicates with the ice making chamber 960.

상기 디스펜서(936)는 상기 제빙실(96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송기구에 의해 상기 제빙실(960) 내부의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936) 측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ispenser 936 may be disposed above the ice making chamber 960,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ice in the ice making chamber 960 is guided to the dispenser 936 by a transfer mechanism.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936)에는 음용수 취출구와 얼음 취출구 및 이들 각각의 취출 조작수단 그리고 잔수받이가 더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936)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dispenser 936 may further include a drinking water outlet, an ice outlet, their respective extraction operation means, and a reservoir, and a display may be provided on the dispenser 936.

한편, 상기 제1도어(930) 및 제2도어(940)에 제공되는 수납부(934,942)는 상기 제1도어(930)와 제2도어(9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실(30)의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32)가 닫힌 상태에서도 투명한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통해서 상기 제1도어(930) 및 제2도어(940)의 수납부(934,942)에 보관되는 식품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accommodating parts 934 and 942 provided in the first door 930 and the second door 940 have an interior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when the first door 930 and the second door 940 are closed. Is placed on. Therefore, even whe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2 is closed, the food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s 934 and 942 of the first door 930 and the second door 940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transparen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2. .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의 개방시 상기 디스펜서(936)가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으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2도어(940)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개방하여 디스펜서(936)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dispenser 936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whe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0 is opened, the user may ope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2 without opening the second door 940. By opening the use of the dispenser 936 is possible.

한편, 상기 제1도어(930)의 하단에는 상기 필러(50)가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930)와 제2도어(940)가 닫힌 경우, 상기 제1도어(930)와 제2도어(940) 사이의 냉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ller 5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door 930 and the first door 930 and the second door 940 are closed, the first door 930 and the second door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d air leakage between the 940.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서랍식도어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refrigerator pull-out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종단면도.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10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상기 냉장고의 측단면도.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1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1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14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1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16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1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18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19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20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종단면도.2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 1 도어의 저면 사시도.2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2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 2 도어의 배면 사시도.2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24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제공되는 급수 유로 및 디스펜서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25 and 26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ower supply structur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assage and a dispenser provided in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7은 도 26의 B-B'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FIG. 2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FIG. 26.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28 and 29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ower supply structure connected to a dispense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30 and 31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어셈블리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3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ice making assembly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3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3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ned.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도어와 제2도어가 인출된 모 습을 보인 분해사시도.3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door and a second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6은 도 35에서 제1도어가 닫힌 상태의 C-C'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다.FIG. 3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 of FIG. 35 with the first door closed.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도어가 개방된 사시도.FIG. 3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 first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도 38은 도 37에서 제1도어가 닫힌 상태의 C-C'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FIG. 3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 in the closed state of the first door in FIG. 37.

도 3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도어의 배면 사시도.39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러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작동 상태도.40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sequentially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4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4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ope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4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open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4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4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4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9)

냉장실;Cold room; 냉동실;Freezer;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A freezer compartment door to open and close the freezer compartment; 상기 냉장실의 전면 일부를 개폐하는 회동식 도어와, 상기 냉장실의 전면 나머지 일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다수의 냉장실 도어;A plurality of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including a rotatabl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sliding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상기 회동식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A hinge for allowing the rotatable door to be rotatably mounted;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레일부재를 포함하며,It includes a rail member for guiding the draw in and out of the sliding door, 상기 회동식 도어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고외측에서 상기 냉장실의 내부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수납된 식품을 확인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rotatable door is formed to be transparent,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food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sliding door from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레일 부재는,The rail member, 상기 냉장실 내측의 하면에 제공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인출시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하부레일과,A lower rail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supporting the sliding door from below when the sliding door is pulled out; 상기 냉장실 내측의 상면에 제공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인출시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상방에서 홀딩하는 상부레일로 구성되는 냉장고.And an upper rail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configured to hold the sliding door from above when the sliding door is pulled ou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레일 부재는,The rail member,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좌우 양측면 중 상기 냉장실의 내측벽과 가까운 일측 벽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refrigerator of claim 1, wherein the refrigerator is mounted on one side wall close to the inner wall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mo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liding do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레일 부재는 다단으로 연장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the rail member is provided to extend in multiple stag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상기 회동식 도어의 일측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sliding door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otary do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다수개의 슬라이딩 도어는 서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sliding doo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liding doors are arranged in succession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The sliding door, 상기 회동식 도어의 좌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1도어와,A first door provided at an upper left side of the pivot door; 상기 제1도어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2도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 장고.A refrigerator comprising: a second door provided below the first door.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레일 부재는,The rail member, 상기 제1도어의 상측 그리고 좌우측 중 어느 일측에 각각 구비되고,It is provided on any one of the upper side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door, 상기 제2도어의 하측 그리고 좌우측 중 어느 일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any one of the lower side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do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냉장실 내부에 제공되는 선반 및 서랍은 상기 회동식 도어의 가로방향 폭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shelf and the drawer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tor is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horizontal do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냉장실 내부에 제공되는 선반 및 서랍은 상기 회동식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shelf and the drawer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tor is configured to be withdrawable in the open state the open do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배면에는 팬트리(pantry)구조를 가지는 수납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a storage unit having a pantry structure on a rear surface of the sliding do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후방에는,At the rear of the sliding door, 상기 냉장실의 내부와 단열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얼음을 제빙 또는 저장 하는 제빙실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a space for forming a space insulated from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further comprising an ice making chamber for ice making or storing ice. 제 12 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전면에는 상기 제빙실과 연통되는 디스펜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 front side of the sliding door further comprises a dispenser communicating with the ice making chamber. 제 12 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빙실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인출입시 함께 인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ice making room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withdrawal at the time of withdrawal of the sliding door. 제 12 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빙실은 상기 냉장실과 분리된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the ice making chamber forms a heat insulating space separate from the refrigerating cha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냉장실의 내측에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차폐될 수 있도록 구획된 별도의 공을 형성하는 저장실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refrigerator further comprises a storage compartment insid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o form a separate ball partitioned to be shielded by the sliding door.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저장실은 단열공간을 형성하며, 냉동실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storage compartment forms a heat insulating sp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tor to be maintained at the freezer temperature.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the storage compartment is adjustable to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a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a freezing compartment.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저장실의 내측에는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ce maker for making ice is accommodat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냉장실;Cold room; 냉동실;Freezer;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A freezer compartment door to open and close the freezer compartment; 상기 냉장실의 일부를 개폐하는 회동식 도어와, 상기 냉장실의 나머지 일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다수의 냉장실 도어;A plurality of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including a rotatabl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sliding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상기 회동식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A hinge for allowing the rotatable door to be rotatably mounted;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레일부재를 포함하며,It includes a rail member for guiding the draw in and out of the sliding door,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상하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도어와 제2도어로 구성되고, The sliding door is composed of a first door and a second door disposed up and down adjacent,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사이에는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개폐시 회동되어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사이 냉기 유출을 차단하는 필러를 포함하는 냉장고.And a fill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to rotate when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are opened and closed to block the outflow of cold air between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필러의 측단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The side end of the filler is formed with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laterally, 상기 냉장실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선택적으로 접하며, 상기 필러의 회전을 위해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selectively contact with the guide protrusion, rounded inward for the rotation of the filler.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필러는 상기 제1도어의 하단 또는 상기 제2도어의 상단 중 어느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the filler is rotatably mounted on either one of a lower end of the first door or an upper end of the second door.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필러에는,In the filler,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시 상기 필러가 회동에 의해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maintain the folded state by the filler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sliding door further comprises.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필러는 상기 제2도어의 상측에 제공되는 상기 제1도어의 배면 하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filler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bottom lower back of the first doo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door. 제 2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필러에는,In the filler, 상기 제1도어가 열릴 때 상기 필러가 상기 제1도어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a resilient member providing elastic restoring force such that the fill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door when the first door is opened. 제 2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제1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필러는 제1도어의 전면에 의해 가려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the filler is configured to be covered by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oor while the first door is open.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회동식 도어는 상기 냉장실 내부 전체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rotatable door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to see the entire interior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레일 부재는,The rail member, 상기 냉장실 내측의 하면에 제공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인출시 상기 슬 라이딩 도어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하부레일과,A lower rail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supporting the sliding door from below when the sliding door is pulled out; 상기 냉장실 내측의 상면에 제공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인출시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상방에서 홀딩하는 상부레일로 구성되는 냉장고.And an upper rail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configured to hold the sliding door from above when the sliding door is pulled out.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레일 부재는,The rail member, 상기 제1도어의 상측 그리고 좌우측 중 어느 일측에 각각 구비되고,It is provided on any one of the upper side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door, 상기 제2도어의 하측 그리고 좌우측 중 어느 일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any one of the lower side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door. 냉장실;Cold room; 냉동실;Freezer;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A freezer compartment door to open and close the freezer compartment; 상기 냉장실의 전면 일부를 개폐하는 회동식 도어와, 상기 냉장실의 전면 나머지 일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다수의 냉장실 도어;A plurality of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including a rotatabl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sliding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상기 회동식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A hinge for allowing the rotatable door to be rotatably mounted;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레일부재;A rail member for guiding drawing in and out of the sliding door;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후방에 제공되는 제빙실;An ice making chamber provided at a rear of the sliding door;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후방에 제공되며, 제빙된 얼음과 음용수를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며,I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liding door, and includes a dispenser for taking out ice and drinking water, 상기 디스펜서는,The dispenser,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인출시 고외측에서 사용 가능하며, 상기 회동식 도어의 개방시 고내측에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refrigerator may be used at the high outside when the sliding door is pulled out, and may be used at the high inside when the pivoting door is opened. 제 30 항에 있어서,31. 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회동식 도어는,The pivot door is, 상기 냉장실 내부 및 상기 도어에 형성되는 수납부에 수납된 식품을 고외에서 확인 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so that the food stored in the receptacle form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door can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제 30 항에 있어서,31. 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냉장실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냉장실의 내측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the dispenser is disposed to face an inner sp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opened and closed by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제 30 항에 있어서,31. 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The sliding door, 상기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도어와,A first door disposed abov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상기 제1도어와 인접하도록 상기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도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a second door disposed below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so as to be adjacent to the first door. 제 3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제빙실은 상기 제1도어의 상부에 구비되며, The ice making chamber is provided above the first door,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제빙실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the dispenser is disposed below the ice making chamber. 제 3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상기 제1도어의 상하길이는 상기 제2도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The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door is longer than that of the second door,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제1도어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dispenser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door. 제 3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제빙실은 상기 제2도어의 하부에 구비되며, The ice making chamber is provided below the second door,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제빙실의 상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the dispenser is disposed above the ice making chamber. 제 36 항에 있어서,37. The method of claim 36,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제2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실의 내측을 향하여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the dispenser is ex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n a state where the second door is closed. 제 30 항에 있어서,31. 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레일 부재는,The rail member, 상기 냉장실 내측의 하면에 제공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인출시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하부레일과,A lower rail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supporting the sliding door from below when the sliding door is pulled out; 상기 냉장실 내측의 상면에 제공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인출시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상방에서 홀딩하는 상부레일로 구성되는 냉장고.And an upper rail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configured to hold the sliding door from above when the sliding door is pulled out. 제 3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레일 부재는,The rail member, 상기 제1도어의 상측 그리고 좌우측 중 어느 일측에 각각 구비되고,It is provided on any one of the upper side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door, 상기 제2도어의 하측 그리고 좌우측 중 어느 일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any one of the lower side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door.
KR1020090035311A 2009-04-23 2009-04-23 Refrigerator Expired - Fee Related KR1015848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311A KR101584805B1 (en) 2009-04-23 2009-04-23 Refrigerator
US13/265,354 US20120031136A1 (en) 2009-04-23 2009-09-17 Refrigerator
PCT/KR2009/005308 WO2010123177A1 (en) 2009-04-23 2009-09-17 Refrigerator
CN2009801587829A CN102395845B (en) 2009-04-23 2009-09-17 Refrigerator
MX2011009933A MX344533B (en) 2009-04-23 2009-09-17 Refrigerator.
BRPI0924935-4A BRPI0924935A2 (en) 2009-04-23 2009-09-17 Refrigerator
EP09843705.6A EP2422148A4 (en) 2009-04-23 2009-09-17 Refrigerator
AU2009344951A AU2009344951B2 (en) 2009-04-23 2009-09-17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311A KR101584805B1 (en) 2009-04-23 2009-04-23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742A true KR20100116742A (en) 2010-11-02
KR101584805B1 KR101584805B1 (en) 2016-01-12

Family

ID=43011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311A Expired - Fee Related KR101584805B1 (en) 2009-04-23 2009-04-23 Refrigerator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031136A1 (en)
EP (1) EP2422148A4 (en)
KR (1) KR101584805B1 (en)
CN (1) CN102395845B (en)
AU (1) AU2009344951B2 (en)
BR (1) BRPI0924935A2 (en)
MX (1) MX344533B (en)
WO (1) WO2010123177A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0026A (en) * 2013-10-04 201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50040025A (en) * 2013-10-04 201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60035532A (en) * 2014-09-23 2016-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US10309708B2 (en) 2014-09-23 2019-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a rotatable door for the ice making compartment forming the exterior appearance
KR20190097325A (en) * 2014-10-17 2019-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00092284A (en) * 2013-10-04 2020-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O2024128874A1 (en) * 2022-12-16 2024-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92267A1 (en) * 2011-05-17 2012-11-22 Mellanox Technologies Ltd. Mounting rail with internal power cable
WO2013020807A1 (en) * 2011-08-05 2013-02-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 cooling device with an ice machine
KR101907166B1 (en) * 2011-12-30 2018-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40001465A (en) * 2012-06-27 201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1860713B1 (en) * 2013-02-23 2018-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Slid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05089439B (en) * 2014-05-12 2016-10-12 Tcl集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cabinet body structure and use the cold storage plant of this cabinet body structure
EP3258196B1 (en) 2015-02-13 2022-05-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802903B1 (en) * 2015-02-13 2017-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EP3256800B1 (en) * 2015-02-13 2024-08-2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732166B1 (en) * 2015-06-18 2017-05-02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DE102015214024A1 (en) * 2015-07-24 2017-01-26 BSH Hausgeräte GmbH Refrigerating appliance with a dispensing door
US9726423B1 (en) 2016-04-06 2017-08-0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liding shelf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KR102573774B1 (en) * 2016-07-13 202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IT201600093591A1 (en) * 2016-09-16 2018-03-16 Marcello Carluccio FRIDGE
CN107940850B (en) * 2017-05-05 2021-10-29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an ice crusher
US10712074B2 (en) 2017-06-30 2020-07-14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tandem evaporators
US10837690B2 (en) * 2017-12-08 2020-11-17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US11525615B2 (en) 2017-12-08 2022-12-13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DE102018126649A1 (en) * 2018-08-03 2020-02-06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Freezer or fridge / freezer combination
CN109269207B (en) * 2018-09-29 2020-10-09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Water tank assembly and refrigerator
US10852046B2 (en) 2018-12-10 2020-12-01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door-mounted fluid dispenser
CN111380296A (en) * 2018-12-29 2020-07-07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A kind of refrigerator
US11293680B2 (en) * 2019-06-14 2022-04-05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multiple ice movers
KR20210061102A (en) 2019-11-19 2021-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WO2021243864A1 (en) * 2020-06-01 2021-12-09 Chun Kit Lai Ice dispensing system
US11723459B2 (en) 2021-05-04 2023-08-1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helf system for a beverage cabinet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44887A (en) * 1945-02-17 1948-07-06 Ralph S Wyeth Supplemental food-storage cabinet for use in conjunction with refrigerators
US5135645A (en) * 1991-03-28 1992-08-04 Raytheon Company Refrigerator water filter
US6059420A (en) * 1999-02-17 2000-05-09 Rogers; Thomas See through refrigerator door construction
US6253568B1 (en) * 1999-12-23 2001-07-03 David A. Peffley Refrigerator with enhanced freeze compartment access
KR20040049058A (en) * 2002-12-03 2004-06-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ower Supply Structure of Slide Door for Vehicles
KR20040059041A (en)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Door mount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KR100565606B1 (en) * 2003-08-26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ice maker
KR100577422B1 (en) * 2003-12-11 2006-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Storage cabinet
KR100621236B1 (en) * 2004-05-17 2006-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Grill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refrigerating room door ice room
KR100626459B1 (en) * 2004-08-26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Switchgear of the refrigerator
US7228702B2 (en) * 2004-10-26 2007-06-12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KR20060085985A (en) * 2005-01-25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0700784B1 (en) * 2005-04-18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door closing device
KR101093900B1 (en) * 2005-07-12 2011-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Rail assembly of drawer type refrigerator
JP4470856B2 (en) * 2005-10-28 2010-06-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refrigerator
US8075074B2 (en) * 2006-03-24 2011-12-13 Whirlpool Corporation Door to cabinet interface for refrigerator
KR100765196B1 (en) * 2006-07-20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DE102006061093A1 (en) * 2006-12-22 2008-06-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Refrigerating appliance and ice storage container for it
DE102006061100A1 (en) * 2006-12-22 2008-06-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Ice maker, equipped refrigeration unit and ice making process
CN101012993A (en) * 2007-02-15 2007-08-08 海尔集团公司 Transparent refrigerator
KR20080079113A (en) * 2007-02-26 200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US8966926B2 (en) * 2008-05-08 2015-03-03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easy access drawer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0026A (en) * 2013-10-04 201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50040025A (en) * 2013-10-04 201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00092284A (en) * 2013-10-04 2020-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60035532A (en) * 2014-09-23 2016-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US10309708B2 (en) 2014-09-23 2019-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a rotatable door for the ice making compartment forming the exterior appearance
US10634408B2 (en) 2014-09-23 2020-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a rotatable door for the ice making compartment forming the exterior appearance
KR20190097325A (en) * 2014-10-17 2019-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US10900710B2 (en) 2014-10-17 2021-01-2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24128874A1 (en) * 2022-12-16 2024-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31136A1 (en) 2012-02-09
AU2009344951A1 (en) 2011-09-22
KR101584805B1 (en) 2016-01-12
CN102395845B (en) 2013-12-11
EP2422148A4 (en) 2016-01-13
WO2010123177A1 (en) 2010-10-28
EP2422148A1 (en) 2012-02-29
CN102395845A (en) 2012-03-28
MX2011009933A (en) 2011-10-06
BRPI0924935A2 (en) 2015-07-07
MX344533B (en) 2016-12-19
AU2009344951B2 (en)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806B1 (en) Refrigerator
KR101584805B1 (en) Refrigerator
KR101621578B1 (en) Refrigerator
EP1653179B1 (en)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EP4056930B1 (en) Refrigerator
EP2381195B1 (en) Refrigerator having drawer
EP1653175B1 (en)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KR101761739B1 (en) Refrigerator having a drawer
EP2455691B1 (en) Refrigerator
EP1653176B1 (en)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EP1657510B1 (en)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KR101050303B1 (en) Refrigerator
KR20130028324A (en) Refrigerator
KR20110081704A (en) Refrigeration and freezing system of refrigerators
KR20110046403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1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