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15756A -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756A
KR20100115756A KR1020107017790A KR20107017790A KR20100115756A KR 20100115756 A KR20100115756 A KR 20100115756A KR 1020107017790 A KR1020107017790 A KR 1020107017790A KR 20107017790 A KR20107017790 A KR 20107017790A KR 20100115756 A KR20100115756 A KR 20100115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suction
control valve
discharge
comm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7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8163B1 (ko
Inventor
우재형
민경기
Original Assignee
캐리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리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캐리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115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16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four-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7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 F25B2400/075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with parallel 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1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on-off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압축기를 정지 또는 운전시킴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 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압축 용량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1 압축기와, 제2 압축기와, 제1 열교환기와, 제2 열교환기와, 팽창 기구와, 방향제어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압축기 및 제2 압축기는 각각 토출 유로와 흡입 유로를 포함하는 단속 압축기이다. 상기 제1 압축기의 토출 유로는 상기 제1 압축기의 토출측과 상기 방향제어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제1 토출 유로와 상기 방향제어밸브와 상기 공통 토출관을 연결하는 제2 토출 유로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압축기의 흡입 유로는 상기 공통 흡입관과 상기 방향제어밸브를 연결하는 제1 흡입 유로와 상기 방향제어밸브와 상기 제1 압축기의 흡입측을 연결하는 제2 흡입 유로로 구성된다.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상기 제1 압축기의 동작시 상기 제1 토출 유로와 상기 제2 토출 유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1 압축기의 정지시에는 상기 제1 토출 유로와 상기 제2 흡입 유로를 연통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HAVING MULTIPLE COMPRESSORS}
본 발명은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압축기를 정지 또는 운전시킴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 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냉방 또는 난방 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하는 용량 가변식 공기조화기가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770718호에는 그러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로서 도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공기조화기(10)는 필요 부하에 따라 작동 또는 정지되는 단속 압축기(12a)와 연속적으로 운전되는 연속 압축기(12b)를 포함한다. 압축기들(12a, 12b)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응축기(20)에서 응축된다. 응축된 냉매는 팽창기(30)에서 팽창되고, 다시 증발기(40)에서 증발된다. 압축기들(12a, 12b)의 흡입측에는 어큐뮬레이터(12a, 12b)가 배치되어서 증발기(40)에서 미처 증발되지 못한 액 냉매들을 거름으로써 액 냉매가 압축기들(12a, 12b) 내부로 유입되어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냉방 부하가 큰 경우 단속 압축기(12a)와 연속 압축기(12b) 모두 운전되고, 냉방 부하가 작아지면 단속 압축기(12a)의 동작이 정지된다. 단속 압축기(12a)의 토출 유로에는 방향제어밸브(60)가 배치되어서, 단속 압축기(12a)의 운전 또는 정지에 따라서 단속 압축기(12a)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흐름을 절환한다. 방향제어밸브(60)는 사방 밸브(four-way valve)로서, 고압부, 저압부, 유로, 플런저로 되어 있다. 고압부와 저압부의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플런저(64)를 이동시킴으로써 유로를 변경하면 냉매의 흐름이 절환된다. 고압부는 단속 압축기(12a) 또는 연속 압축기(12b)의 토출측과, 저압부는 단속 압축기(12a)의 흡입측과 연결되어 있다.
단속 압축기(12a)가 정지하는 경우 단속 압축기(12a)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는 통상의 토출 유로를 따라 흐르지 않고 단속 압축기(12a)의 흡입측으로 흐른다. 따라서, 단속 압축기(12a)는 연속 압축기(12b)와 분리된 독립적인 계를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 압축기(12b)는 연속적으로 운전되고, 단속 압축기(12a)는 냉방 부하에 따라 운전되거나 정지되므로, 구현 가능한 전체 압축 용량은 연속 압축기(12b)만의 압축 용량, 또는 연속 압축기(12b)의 압축 용량과 단속 압축기(12a)의 압축 용량을 더한 압축 용량의 두 가지로 제한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축 용량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제1 압축기, 제2 압축기, 제1 열교환기, 제2 열교환기, 팽창 기구 및 방향 제어 밸브를 포함한다. 제1 압축기 및 제2 압축기는 각각 토출 유로와 흡입 유로를 포함하는 단속 압축기이다. 제1 압축기의 토출 유로와 상기 제2 압축기의 토출 유로는 공통 토출관을 통해 제1 열교환기로 연결되고, 제1 열교환기는 상기 팽창 기구를 사이에 두고 제2 열교환기로 연결되고, 제2 열교환기는 공통 흡입관에 연결되고, 공통 흡입관은 그 하류측에서 제1 압축기의 흡입 유로 및 제2 압축기의 흡입 유로로 연결된다. 제1 압축기의 토출 유로는 제1 압축기의 토출측과 방향제어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제1 토출 유로와 방향제어밸브와 공통 토출관을 연결하는 제2 토출 유로로 구성된다. 제1 압축기의 흡입 유로는 공통 흡입관과 방향제어밸브를 연결하는 제1 흡입 유로와 방향제어밸브와 제1 압축기의 흡입측을 연결하는 제2 흡입 유로로 구성된다. 방향제어밸브는 제1 압축기의 동작시 제1 토출 유로와 제2 토출 유로를 연통시키고, 제1 압축기의 정지시에는 제1 토출 유로와 제2 흡입 유로를 연통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압축기의 토출 유로에는 역류 방지용 체크 밸브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제2 압축기의 토출 유로에 배치되는 제2 역류 방지용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통 흡입관의 하류에 배치되는 공용리시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용리시버의 냉매 일부는 제1 압축기의 제1 흡입 유로로 흐르고, 상기 공용리시버의 냉매 다른 일부는 제2 압축기의 흡입 유로로 흐르고, 상기 제2 압축기의 흡입 유로는 그 상류측과 하류측 사이에 상기 상류측 및 하류측보다 낮은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단속 압축기인 제1 압축기 및 제2 압축기를 포함함으로써 압축 용량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제2 압축기의 흡입 유로는 그 상류측과 하류측 사이에 상기 상류측 및 하류측보다 낮은 부분을 포함하므로, 상기 흡입 유로로 분기된 냉매 중의 오일은 상기 흡입 유로의 최하단에 축적되고, 제2 압축기로는 유입될 수 없다. 따라서, 제2 압축기만이 정지되는 경우, 오일이 정지된 제2 압축기에만 축적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제1 압축기로 흘러야 할 오일이 부족해지는 현상도 방지된다.
도1은 종래의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서 제1 및 제2 압축기가 모두 운전중인 경우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서 제1 압축기가 정지된 경우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서 제2 압축기가 정지된 경우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에서 일 방향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에서 도5와는 반대 방향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
도7은 3개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제1 및 제2 압축기가 모두 운전중인 경우의 냉매 흐름을 도시하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제1 압축기가 정지된 경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제2 압축기가 정지된 경우의 냉매 흐름을 도시한다.
공기 조화기는 제1 압축기(110a), 제2 압축기(110b), 제1 열교환기(120), 팽창 기구(130), 제2 열교환기(140), 방향제어밸브(160)를 구비한다. 제1 압축기(110a) 및 제2 압축기(110b)는 요구되는 부하에 따라 운전 또는 정지되는 단속 압축기이다. 제1 압축기(110a)의 토출 유로(150a, 150b)와 제2 압축기(110b)의 토출 유로(152)는 공통 토출관(154)을 통해 제1 열교환기(120)로 연결된다. 제1 열교환기(120)는 팽창 기구(130)를 사이에 두고 제2 열교환기(140)로 연결된다. 제2 열교환기(140)는 공통 흡입관(155)에 연결되고, 공통 흡입관(155)은 그 하류측에서 제1 압축기(110a)의 흡입 유로(156a, 156b)와 제2 압축기(110b)의 흡입 유로(158)로 분기된다. 분기점에는 공용리시버(190)가 배치된다. 상기 제2 압축기(110b)의 흡입 유로(158)은 그 상류측과 하류측 사이에 상기 상류측 및 하류측보다 낮은 부분을 포함한다.
제1 압축기(110a)의 제1 토출 유로(150a)는 제1 압축기(110a)의 토출측과 방향제어밸브(160) 사이를 연결하고, 제1 압축기(110a)의 제2 토출 유로(150b)는 방향제어밸브(160)와 공통 토출관(154)을 연결한다. 제1 압축기(110a)의 제1 흡입 유로(156a)는 공통 흡입관(155)과 방향제어밸브(160)를 연결하고, 제1 압축기(110a)의 제2 흡입 유로(156b)는 방향제어밸브(160)와 제1 압축기(110a)의 흡입측(110a)을 연결한다.
방향제어밸브(160)는 사방 밸브로서 고압부와 저압부와 유로와 플런저를 구비한다. 고압부와 저압부의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플런저(164)를 이동시킴으로써 유로를 변경하면 냉매의 흐름이 절환된다. 방향제어밸브(16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축기(110a)의 동작시 제1 토출 유로(150a)와 제2 토출 유로(150b)를 연통시킨다. 방향제어밸브(160)는 제1 압축기(110a)의 정지시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토출 유로(150a)와 제2 흡입 유로(156b)를 연통시킨다.
제2 흡입 유로(156b) 상에는 어큐뮬레이터(112a)가 배치되고, 제2 압축기(110b)의 흡입 유로(158) 상에는 어큐뮬레이터(112b)가 배치된다.
제1 흡입 유로(156a)상에 역류 방지용 체크 밸브(170)가 배치되어 흡입 유동과 반대방향으로의 냉매 유동을 차단한다. 따라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축기(110a)가 정지한 경우, 제2 압축기(110b)에서 토출된 냉매가 제2 압축기(110b)의 흡입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2 압축기(110b)의 토출 유로(152)에는 또 다른 역류 방지용 체크 밸브(180)가 배치된다. 체크 밸브(18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압축기(110b)가 정지한 경우 제1 압축기(110a)에서 토출된 냉매가 제2 압축기(110b)의 토출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압축기(110b)의 토출 유로에 체크 밸브(180) 대신 제1 압축기(110a)의 토출 유로와 같은 방식으로 방향제어밸브가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요구되는 냉방 부하가 큰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축기(110a)와 제2 압축기(110b)가 모두 동작된다. 방향제어밸브(160)는 제1 토출 유로(150a)와 제2 토출 유로(150b)를 연통시키고, 제1 압축기(110a)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제2 압축기(110b)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와 공통 토출관(154)으로 합쳐진다. 냉매는 제1 열교환기(120)를 지나면서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에서 중온 고압의 액 냉매로 응축되면서 열을 주변으로 발산하고, 팽창 기구(130)를 지나면서 저온 저압의 냉매로 팽창되고, 제2 열교환기(140)를 지나는 도중에 기체 상태로 증발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한다. 즉, 제1 열교환기(120)는 응축기, 제2 열교환기(140)는 증발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 후, 공용리시버(190)를 거치면서 2개의 흐름으로 분기되고 각각의 흐름을 어큐뮬레이터(112a, 112b)를 거쳐 제1 압축기(110a) 및 제2 압축기(110b)로 흡입된다. 냉매 순환 과정에서는 오일이 냉매와 함께 유동한다. 냉매에 섞인 오일은 제1 및 제2 압축기(110a, 110b)의 냉매 압축 과정에서 윤활유로서 역할을 한다.
한편, 냉방 부하가 작은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축기(110a)가 정지되거나,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압축기(110b)가 정지된다. 제1 압축기(110a)와 제2 압축기(110b)의 압축 용량은 동일할 필요는 없다. 압축 용량을 달리함으로써 요구되는 냉방 부하의 변화에 보다 폭넓게 대응할 수 있다.
제1 압축기(110a)가 정지하고, 제2 압축기(110b)가 운전되는 경우 방향제어밸브(160)는 제1 토출 유로(150a)와 제2 흡입 유로(156b)가 연통하도록 한다. 제1 압축기(110a)의 제1 토출 유로(150a)를 통해 토출된 냉매는 제2 토출 유로(150b)를 통해 공통 토출관(154)으로 흐르지 않고, 제2 흡입 유로(156b)를 통해 제1 압축기(110a)의 흡입측으로 흐르는 반면, 제2 압축기(110b)의 토출 유로(152)를 통해 토출된 냉매는 공통 토출관(154)을 통해 제1 열교환기(120), 팽창 기구(130), 제2 열교환기(140)를 거쳐 공용리시버(190)로 흐른다. 따라서, 제1 압축기(110a) 외부의 냉매는 상기 제1 압축기(110a) 내로 흐를 수 없다. 또한, 상기 냉매와 함께 유동하는 오일도 또한 상기 제1 압축기(110a)내로 흐를 수 없다.
제1 압축기(110a)가 운전되고, 제2 압축기(110b)가 정지하는 경우 방향제어밸브(160)는 제1 토출 유로(150a)와 제2 토출 유로(150b)가 연통하도록 한다. 제1 압축기(110a)의 제1 토출 유로(150a)를 통해 토출된 냉매는 제2 토출 유로(150b)를 통해 공통 토출관(154)으로 흐른다. 제1 압축기(110a)의 제1 및 제2 토출 유로(150a)를 통해 토출된 냉매는 공통 토출관(154)을 통해 제1 열교환기(120), 팽창 기구(130), 제2 열교환기(140)를 거쳐 공용리시버(190)로 흐른다. 그 후, 상기 냉매는 2개의 흐름으로 분기되어 각각 어큐뮬레이터(112a, 112b)를 거쳐 제1 압축기(110a) 및 제2 압축기(110b)로 흡입된다.
한편, 제2 압축기(110b)의 흡입 유로(158)는 그 상류측과 하류측 사이에 상기 상류측 및 하류측보다 낮은 부분을 가지므로, 상기 흡입 유로(158)로 분기된 냉매 중의 오일은 중력으로 인하여 상기 낮은 부분의 최하단에 축적되고, 제2 압축기(110b)로는 유입될 수 없다. 따라서, 제2 압축기(110b)만이 정지되는 경우, 오일이 정지된 제2 압축기(110b)에만 축적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제1 압축기(110a)로 흘러야 할 오일이 부족해지는 현상도 방지된다.
상기 흡입 유로(158)의 최하단으로부터 흡입 유로의 상류측 및 하류측까지의 높이는 제1 압축기(110a)의 제1 흡입 유로(156a)의 직경에 따라 결정된다. 제1 흡입 유로(156a)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운전 중인 제1 압축기(110a)의 제1 흡입 유로(156a)의 압력이 크므로, 흡입 유로(158) 내의 오일이 중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흡입 유로(158)의 상류로 상승하여, 제2 압축기(110b)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흡입 유로(156a)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흡입 유로(158)의 최하단으로부터 흡입 유로의 상류측 및 하류측까지의 높이는 길게 설정되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 압축기(110a)의 제1 흡입 유로(156a) 직경의 5배 이상이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200)를 도시한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시된다. 다만, 제2 실시예에서 제1 열교환기(120)는 실외 열교환기이고, 제2 열교환기(140)는 실내 열교환기이다.
공기조화기는 제2 방향제어밸브(210)를 더 포함한다.
제2 방향제어밸브(210)는 공통 토출관(154)을 통해 제1 압축기(110a)의 제2 토출 유로(150b)와 제2 압축기(110b)의 토출 유로(152)에 연결된다. 제2 방향제어밸브(210)는 공통 흡입관(155)을 통해 제1 압축기(110a)의 제1 흡입 유로(156a)와 제2 압축기(110b)의 흡입 유로(158)에 연결된다. 제1 연결관(157)은 제2 방향제어밸브(210)와 실외 열교환기(120)를 연결한다. 제2 연결관(159)은 제2 방향제어밸브(210)와 실내 열교환기(140)를 연결한다.
제2 방향제어밸브(21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토출관(154)을 실외 열교환기(120)에 연결하는 동시에 실내 열교환기(140)를 공통 흡입관(155)에 연결한다. 이 경우 실외 열교환기(120)는 응축기, 실내 열교환기(140)는 증발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는 제2 방향제어밸브(21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토출관(154)을 실내 열교환기(140)에 연결하는 동시에 실외 열교환기(120)를 공통 흡입관(155)에 연결한다. 이 경우 실내 열교환기(140)는 응축기, 실외 열교환기(120)는 증발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제2 방향제어밸브(210)를 구비하여 냉매 사이클의 흐름 방향을 절환시킴으로써, 냉방과 난방 작동을 함께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을 위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은 단지 그 설명 목적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두 개의 압축기를 포함하고 있지만, 제3 압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축기(110a)와 제2 압축기(110b)의 제1 공통 토출관(154)에 방향제어밸브(260)를 배치함으로써 제3 압축기(110c)를 더 포함하는 변형예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향제어밸브(260)는 제1 압축기(110a) 및 제2 압축기(110b)가 모두 정지되고, 제3 압축기(110c)가 운전되는 경우, 제1 압축기(110a)와 제2 압축기(110b)의 제1 공통 토출관(154)과 제1 공통 흡입관(155)이 연통하도록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N개의 압축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일반화된 실시예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방향제어밸브는 N-1개이고, 상기 방향제어밸브들 중 제K 번째 방향제어밸브는 제1 내지 제K 단속 압축기가 모두 정지되고, 제K+1 내지 제N 압축기들 중 어느 한 압축기가 운전되는 경우, 제K-1 공통 토출관과 제K-1 공통 흡입관이 연통하도록 할 것이다.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자명한 변형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110a: 제1 압축기
110b: 제2 압축기
120: 제1 열교환기
130: 팽창 기구
140: 제2 열교환기
160: 방향제어밸브
150a: 제1 토출 유로
150b: 제2 토출 유로
154: 공통 토출관
156a: 제1 흡입 유로
156b: 제2 흡입 유로
190: 공용 리시버
164: 플런저
112a, 112b: 어큐뮬레이터
170: 역류 방지용 체크 밸브

Claims (12)

  1. 제1 압축기와,
    제2 압축기와,
    제1 열교환기와,
    제2 열교환기와,
    팽창 기구와,
    방향 제어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압축기 및 제2 압축기는 각각 토출 유로와 흡입 유로를 포함하는 단속 압축기이고,
    상기 제1 압축기의 토출 유로와 상기 제2 압축기의 토출 유로는 공통 토출관을 통해 상기 제1 열교환기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열교환기는 상기 팽창 기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열교환기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열교환기는 공통 흡입관에 연결되고, 상기 공통 흡입관은 그 하류측에서 상기 제1 압축기의 흡입 유로 및 상기 제2 압축기의 흡입 유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압축기의 토출 유로는 상기 제1 압축기의 토출측과 상기 방향제어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제1 토출 유로와 상기 방향제어밸브와 상기 공통 토출관을 연결하는 제2 토출 유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압축기의 흡입 유로는 상기 공통 흡입관과 상기 방향제어밸브를 연결하는 제1 흡입 유로와 상기 방향제어밸브와 상기 제1 압축기의 흡입측을 연결하는 제2 흡입 유로로 구성되고,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상기 제1 압축기의 동작시 상기 제1 토출 유로와 상기 제2 토출 유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1 압축기의 정지시에는 상기 제1 토출 유로와 상기 제2 흡입 유로를 연통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압축기의 토출 유로에는 역류 방지용 체크 밸브가 배치되는,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축기의 토출 유로에는 제2 역류 방지용 체크 밸브가 배치되는,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흡입관의 하류에는 공용리시버가 배치되는,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리시버의 냉매 일부는 제1 압축기의 제1 흡입 유로로 흐르고, 상기 공용리시버의 냉매 다른 일부는 제2 압축기의 흡입 유로로 흐르고, 상기 제2 압축기의 흡입 유로는 그 상류측과 하류측 사이에 상기 상류측 및 하류측보다 낮은 부분을 포함하는,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축기의 흡입 유로의 최하단으로부터 흡입 유로의 상류측과 하류측까지의 높이는 제1 압축기의 제1 흡입 유로 직경의 5배 이상인,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축기 및 제2 압축기는 서로 다른 압축 용량을 구비하는,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7. 제1 압축기와,
    제2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와,
    실내 열교환기와,
    팽창 기구와,
    제1 방향 제어 밸브와,
    제2 방향 제어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압축기 및 제2 압축기는 각각 토출 유로와 흡입 유로를 포함하는 단속 압축기이고,
    상기 제2 방향 제어 밸브는, 공통 토출관을 통해 상기 제1 압축기의 토출 유로와 상기 제2 압축기의 토출 유로에 연결되고, 제1 연결관을 통해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연결되고, 제2 연결관을 통해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 연결되고, 공통 흡입관을 통해 상기 제1 압축기의 흡입 유로와 상기 제2 압축기의 흡입 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상기 팽창 기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압축기의 토출 유로는 상기 제1 압축기의 토출측과 상기 제1 방향제어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제1 토출 유로와 상기 제1 방향제어밸브와 상기 공통 토출관을 연결하는 제2 토출 유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압축기의 흡입 유로는 상기 공통 흡입관과 상기 제1 방향제어밸브를 연결하는 제1 흡입 유로와 상기 제1 방향제어밸브와 상기 제1 압축기의 흡입측을 연결하는 제2 흡입 유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방향제어밸브는 상기 제1 압축기의 동작시 상기 제1 토출 유로와 상기 제2 토출 유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1 압축기의 정지시에는 상기 제1 토출 유로와 상기 제2 흡입 유로를 연통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방향제어밸브는 냉방 운전 모드인 경우, 상기 공통 토출관을 상기 제1 연결관에, 상기 공통 흡입관은 상기 제2 연결관에 각각 연결하고, 난방 운전 모드인 경우, 상기 공통 토출관을 상기 제2 연결관에, 상기 공통 흡입관을 상기 제1 연결관에 각각 연결하고,
    상기 제2 압축기의 토출 유로에는 역류 방지용 체크 밸브가 배치되는,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축기의 토출 유로에는 제2 역류 방지용 체크 밸브가 배치되는,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흡입관의 하류에는 공용리시버가 배치되는,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리시버의 냉매 일부는 제1 압축기의 제1 흡입 유로로 흐르고, 상기 공용리시버의 냉매 다른 일부는 제2 압축기의 흡입 유로로 흐르고, 상기 제2 압축기의 흡입 유로는 그 상류측과 하류측 사이에 상기 상류측 및 하류측보다 낮은 부분을 포함하는,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로의 최하단으로부터 흡입 유로의 상류측과 하류측까지의 높이는 제1 압축기의 제1 흡입 유로 직경의 5배 이상인,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축기 및 제2 압축기는 서로 다른 압축 용량을 구비하는,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20107017790A 2008-01-18 2008-01-18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2281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0344 WO2009091096A1 (en) 2008-01-18 2008-01-18 Air conditioner having multiple compress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756A true KR20100115756A (ko) 2010-10-28
KR101228163B1 KR101228163B1 (ko) 2013-01-30

Family

ID=40885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790A Expired - Fee Related KR101228163B1 (ko) 2008-01-18 2008-01-18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28163B1 (ko)
WO (1) WO20090910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7167A (zh) * 2020-03-23 2020-07-10 广东海悟科技有限公司 双变频系统及其变频压缩机控制方法、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8621A (zh) * 2010-05-26 2010-10-13 广东欧科空调制冷有限公司 多联式空调机组及其工作方法
EP3167234B1 (en) 2014-07-09 2020-04-01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441B1 (ko) * 2002-07-03 2005-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2개의 압축기를 적용한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동작방법
KR100630449B1 (ko) * 2004-06-18 2006-10-02 캐리어 주식회사 에어컨 냉방장치
KR100770718B1 (ko) * 2006-08-25 2007-10-29 캐리어 주식회사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7167A (zh) * 2020-03-23 2020-07-10 广东海悟科技有限公司 双变频系统及其变频压缩机控制方法、存储介质
CN111397167B (zh) * 2020-03-23 2021-11-05 广东海悟科技有限公司 双变频系统及其变频压缩机控制方法、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91096A1 (en) 2009-07-23
KR101228163B1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1377B2 (en) Simultaneous heating/cooling multi air conditioner
JP6034418B2 (ja) 空気調和機
EP1788325B1 (en) Freezing apparatus
KR101319778B1 (ko) 공기조화기
AU749518B2 (en) Refrigerating device
WO2007105511A1 (ja) 冷凍装置
JP2009109065A (ja) 冷凍装置
KR100743344B1 (ko) 공기 조화 장치
US11112140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20070245768A1 (en) Refrigeration System
JP2004037006A (ja) 冷凍装置
WO2006013769A1 (ja) 空気調和装置
WO2011074028A1 (ja) 空気調和装置
KR20070007771A (ko) 냉동장치
KR101228163B1 (ko)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090078023A (ko) 공기 조화기
KR101156919B1 (ko)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0770718B1 (ko)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JP2017110820A (ja) 空気調和装置
KR100606277B1 (ko) 히트펌프식 공조기의 냉난방 시스템
US20240068715A1 (en) Heat pump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194842B2 (ja) 冷凍装置
KR100675797B1 (ko) 공기조화기
KR100488532B1 (ko) 냉동시스템
KR20080028144A (ko)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