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11774A -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1774A
KR20100111774A KR1020090030144A KR20090030144A KR20100111774A KR 20100111774 A KR20100111774 A KR 20100111774A KR 1020090030144 A KR1020090030144 A KR 1020090030144A KR 20090030144 A KR20090030144 A KR 20090030144A KR 20100111774 A KR20100111774 A KR 20100111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resent
parts
toxic
deodora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룡
배대준
Original Assignee
티에이치바이오제닉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에이치바이오제닉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에이치바이오제닉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0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1774A/ko
Publication of KR20100111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774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염화칼륨, 탄산칼륨, 염화마그네슘, 젖산칼슘, 구연산나트륨, 정백당, 정제포도당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은 주거공간의 복합된 악취를 순간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악취의 순간 소취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항균성 및 지속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독성이 없어 인체에 무해하고 안정성이 우수하며, 계면활성제 등의 잔류가 없어 친환경적인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무독성, 소취제, 항균, 탈취

Description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Composition for non-toxic deodorant}
본 발명은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거공간의 복합된 악취를 순간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악취의 순간 소취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항균성 및 지속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독성이 없어 인체에 무해하고 안정성이 우수하며, 계면활성제 등의 잔류가 없어 친환경적인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 주거환경 및 실내·외의 쾌적성 및 청결함을 위하여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악취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방향성의 향이 주성분인 방향제 제품이나 공기 청향제품과 세균 및 곰팡이 냄새 제거제 등의 제품이 오래 전부터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 주거공간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발생원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악취가스는 유황계, 질소계 등을 주로 하여 여러 성분이 복합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악취를 제거하는 기술은 다양하지만, 복합된 악취 원을 순간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방법, 화학적인 방법, 생물학 인 방법 및 감각적인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물리적인 방법은 활성탄,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알루미나, 세라믹 등의 다공성 물질에 의한 흡착, 계면활성제 등에 의한 흡수 등을 의미하며, 화학적 방법은 중화, 축합, 부가, 산화 및 환원 반응 등을 이용해 악취물질에 대해서 반응성이 높은 물질 또는 착체를 형성한 물질을 악취 원으로 작용시켜 악취물질을 증기압이 낮은 무취물질로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생물학적인 방법은 미생물, 효소의 작용, 계면활성제나 에틸렌글리콜 등에 의해서 살균작용 등 미생물을 작용시켜 소취하는 것을 의미하며, 악취자극을 향료 등으로 치환 또는 중화하는 것을 감각적인 소취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방향성의 향이 주성분인 방향제 제품이나 공기 청향 제품, 세균 및 곰팡이 냄새 제거제, 향수 비누 등의 제품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주거 환경 및 실내외의 쾌적성 및 청결함을 위하여 탈취 효과가 좋은 탈취용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일반적인 방향제들은 향료물질이 휘발되어 우리의 코에 전달됨으로써 우리가 향취를 느낄 수 있는 것이나, 이들은 각각 일정한 비등점을 가지며, 쉽게 휘산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자연 상태에서 오랫동안 향취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향취를 오랫동안 유지시키기 위하여 향료를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무기 담체에 흡착시키거나 고분자 물질로 향 성분을 에워싸는 마이크로인캡슐레이션(microencapsulation)방법을 이용하였으나, 효과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
상기 방향제 제형으로 가장 일반적인 젤 형 방향제는 젤라틴, 한천, 카르기 난 등의 다양한 겔화제가 있지만, 향 지속효과가 충분하지 않으며 옷장 등의 의류 및 섬유 제품을 보관하는 공간에 사용 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액체가 흘러나와 의류 등을 손상시킬 염려가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cellulose), 실리카겔(silica gel) 등과 같은 다공성 비드(bead), 부직포, 펄프(pulp) 등에 직접 향료와 액상 소취제를 함침시킨 제품들 이 있지만, 함침할 수 있는 양이 한정되어 있어 소취력과 향의 지속성이 미흡한 실정이다.
종래의 주거 공간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 조성물은 소취제, 유기산, 항균제, 기타 첨가물을 사용하는 것이어서 특정 악취 원에 대한 소취력은 우수하지만 복합된 악취원에 대한 소취력이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계면활성제가 남고 반응성이 큰 수용성 소취제에 의하여 오일상의 향료가 변성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강력한 탈취, 소취효과를 지닌 소취제 조성물을 개발하던 중, 염화칼륨, 탄산칼륨, 염화마그네슘, 젖산칼슘, 구연산나트륨, 정백당, 정제포도당 및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인체에 무해하며, 주거공간의 복합된 악취를 순간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균성 및 지속성이 좋은 효과가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염화칼륨, 탄산칼륨, 염화마그네슘, 젖산칼슘, 구연산나트륨, 정백당, 정제포도당 및 물을 포함하는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염화칼륨, 탄산칼륨, 염화마그네슘, 젖산칼슘, 구연산나트륨, 정백당, 정제포도당 및 물을 포함하는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50~60℃로 가열한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염화칼륨 8~10 중량부, 탄산칼륨 40~60 중량부, 염화마그네슘 1~2 중량부, 젖산칼슘 1~2 중량부, 구연산나트륨 3~7 중량부, 정백당 15~30 중량부 및 정제포도당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레이(spray), 디스펜서(dispenser), 에어졸(airsol)또는 겔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사용되는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자형(particle type), 비드형(bead type) 또는 펠렛형(pellet type)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일 향, 꽃 향과 같은 천연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향 중 선택된 1종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방향성분을 더 포함하는 무독성 소취 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향성분이 전체 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은 주거공간의 복합된 악취를 순간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악취의 순간 소취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항균성 및 지속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은 독성이 없어 인체에 무해하고 안정성이 우수하며, 계면활성제 등의 잔류가 없어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은 향료 및 소취 성분의 변성 없이 초기 소취력이 오랫동안 유지되고, 향취가 사용기간 내내 변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염화칼륨, 탄산칼륨, 염화마그네슘, 젖산칼슘, 구연산나트륨, 정백당, 정제포도당 및 물을 포함하는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60℃로 가열한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염화칼륨 8~10 중량부, 탄산칼륨 40~60 중량부, 염화마그네슘 1~2 중량부, 젖산칼슘 1~2 중량부, 구연산나트륨 3~7 중량부, 정백당 15~30 중량부 및 정제포도당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50~60℃로 가열한 정제수 1ℓ를 기준으로 염화칼륨 80~100g, 탄산칼륨 400~600g, 염화마그네슘 10~20g, 구연산나트륨 30~70g, 젖산칼슘 10~20g, 정백당 150~300g 및 정제포도당 20~50g을 첨가하고 용해하여 이온화시킴으로써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물은 물속에 존재하는 원생생물 및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취수원에서 보내진 원수를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정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여과를 통해 수행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활성탄 여과조 또는 초정밀 여과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여과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정제수에 미네랄 물질들을 용해시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제수를 가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가열한 정제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차가운 정제수를 사용할 경우, 미네랄 성분들이 완전히 용해되지 않은 채 침전물로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이며, 따라서 상기 가열은 혼합된 미네랄 성분들이 침전되지 않을 정도로 정제수를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은 물속에서 이온화되어 알칼리성을 띄는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및 칼슘의 미네랄 성분들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사용된 미네랄 성분 중 칼륨은 세포내 액의 주된 양이온으로 세포 외액의 주된 양이온인 나트륨과 함께 삼투압과 수분 평형 조절에 관여하며, 산과 알칼리의 균형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칼륨이 결핍되면 조직분해 또는 설사나 구토 증상이 유발될 수 있으며, 반면 칼륨을 과잉 섭취하게 되면 갑상선 기능 저하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체내에서 부작용이 없도록 정제수 1000ml에 대하여 염화칼륨을 80~100g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산칼륨은 400~600g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트륨은 칼륨과 함께 삼투압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고, 세포의 물질교환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정상적인 근육의 자극반응 및 흥분성을 유지하는데 관여 한다. 따라서, 나트륨이 결핍되면 식욕부진, 소화불량, 근육위축, 장내가스 축적 등의 원인이 될 수 있고, 나트륨이 과도하면 피로, 신경불안증, 발작, 두통 및 잇몸질환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제수 1000ml에 대하여 구연산나트륨을 30~70g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슘은 물과 매우 격렬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알칼리성의 용액 제조에 사용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적절한 양의 칼슘을 첨가하여 다른 미네랄 성분들과 함께 단시간에 알칼리성을 유지하는 수용액을 만들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제수 1000ml에 대하여 젖산칼슘을 10~20g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슘은 물속에서 물과 반응하여 마그네슘이 산화됨으로써 수산화이온을 형성하게 되고 형성된 수산화이온에 의해 물은 알칼리성을 띄게 되며 동시에 형성 된 수소분자에 의해 환원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마그네슘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너무 많은 양으로 포함될 경우, 물속에서 쉽게 산화마그네슘으로 산화되어 마그네슘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물을 알칼리성으로 만드는 능력이 급속이 낮아지게 되며, 반면 너무 적은 양으로 포함될 경우 용액을 알칼리화하는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제수 1000ml에 대하여 염화마그네슘을 10~20g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포도당 및 정백당은 이온화된 미네랄 성분들이 재결합하는 것을 방지하여 용액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제수 1000ml에 대하여 정백당을 150~300g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제포도당은 20~50g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은 주거공간의 복합된 악취를 순간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악취의 순간 소취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항균성 및 지속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은 독성이 없어 인체에 무해하고 안정성이 우수하며, 계면활성제 등의 잔류가 없어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은 향료 및 소취 성분의 변성 없이 초기 소취력이 오랫동안 유지되고, 향취가 사용기간 내내 변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소취제 조성물은 주거 공간에서 조성물을 사용할 때 신선한 향을 부여하기 위해 방향성분(향료)을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방향성분은 과일 향, 꽃 향과 같은 천연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향 중 선택된 1종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고, 그 조성은 0.01 내지 5 중량%가 바람직하다. 0.01 중량% 미만에서는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5 중량%를 초과하면 경제성이 떨어진다.천연 추출물 향의 방향성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소취제 조성물은 추가적인 소취효과를 더 발휘하게 하기 위하여, 0.05 내지 10중량%의 소취 보조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소취 보조제로는 활성탄, 참나무숯, 대나무숯, 녹차추출물, 구연산, 사과산 및 호박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소취 보조제의 함량은 소취제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3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03중량% 미만에서는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소취 성능을 발휘하기 어렵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증가된 함량에 따른 소취 성능을 더 이상 기대할 수 없어 비경제적이며, 안정성에 있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가구, 의류, 섬유, 각종 기물 등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 용도로는 일반 가정내의 애완동물과 애완동물집의 소취, 음식물 쓰레기, 화장실, 화장실 변기, 욕실, 주방, 씽크대 내부, 배수구, 창고, 신발장, 신발냄새의 제거, 신발장, 현관, 에어컨, 커튼, 카페트, 옷장, 소파, 침대, 자동차 내부, 담배냄새, 발냄새 , 김치냄새 등 질소산화물, 황화산화물, 알데히드 및 아세트산 냄새 등 광범위한 악취 제거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스프레이(spray), 디스펜서(dispenser), 에어 졸(airsol) 또는 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우수한 제균, 항균, 탈취 그리고 소취 작용을 동시에 신속하게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입자형(particle type), 비드형(bead type), 펠렛형(pellet type)의 제형으로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내지 3>
본 발명에 따른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비로 본 발명에 따른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정제수 1000ml을 50~60℃로 가온 유지한 후에, 염화칼륨, 탄산칼륨, 염화마그네슘, 구연산나트륨, 젖산칼슘, 정백당 및 정제포도당을 하기 조성 비율에 맞춰 차례로 넣고 서서히 교반하여 용해시킨 다음, 정치하여 안정화시킨 후 구멍 직경이 0.2㎛인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맑은 연한 미색의 액상 혼합액을 수득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정제수 1000㎖ 1000㎖ 1000㎖
염화칼륨 100g 100g 80g
탄산칼륨 600g 540g 400g
염화마그네슘 20g 15g 20g
구연산나트륨 50g 70g 30g
젖산칼슘 20g 10g 20g
정백당 150g 180g 300g
정제포도당 30g 20g 50g
< 비교예 >
비교예1은 시중에서 판매하는 일반 겔형 방향제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 따른 소취제 조성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 실험예 1>
본 발명의 조성물에 따른 순간 소취력 평가 실험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소취제 조성물에 대하여 대표적 악취물질 중에서 검지관법으로 실험이 용이한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메틸머캅탄을 악취 대상 물질로 선정하여 순간소취 효과를 측정하였다.
검지관법은 작업 환경 중 인체에 해로운 가스를 간이 측정하는 기구로 정밀도와 정확도에선 GC 분석에 미칠 수 없으며, ppm 미만의 미량 농도 측정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규제되는 악취의 농도가 ppm 수준의 고농도이며, 실제 냉장고와 같은 작은 공간에서 악취의 제거를 실험하므로 인지 농도보다 수십∼수백배 농축된 ppm 범위의 실험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방향 소취제 조성물에 대한 소취력을 암모니아(NH3)는 가스텍(GASTEC)검지관 no.3La, 트리메틸아민(N(CH3)3)은 no.180, 메틸머캅탄(CH3SH)은 no.71을 사용하여 각각의 결과를 얻었다.
그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은 비교예과 비교하여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메킬머캅탄의 3대 악취제에 대하여 우수한 소취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따른 순간 소취효과 측정결과
구분 소취력(%)
암모니아(NH3) 트리메틸아민(N(CH3)3) 메틸머캅탄(CH3SH)
실시예1 93.6 92.1 90.6
실시예2 91.8 93.1 90.6
실시예3 92.5 91.8 91.2
비교예 49.1 35.3 29.2
< 실험예 2>
본 발명의 조성물에 따른 방향성 시험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소취제 조성물에 대하여 향기 지속성을 비교 시험하였다. 시험 방법은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시료들을 각각 25~30℃의 상온에서 채광 및 통풍이 잘되는 실내에 정치하고 5~60일 동안 후각이 잘 발달된 패널요원 10명을 임의로 선출하여 5점 척도법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통의 후각으로 느끼기에 충분한 향기가 50일 이상 지속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따른 방향성 시험 결과
7일후 14일후 21일후 28일후 35일후 42일후 48일후 56일후
실시예1 5 4.6 4.2 4.0 3.8 3.5 3.2 2.9
실시예2 5 4.5 4.1 3.9 3.7 3.3 3.1 2.8
실시예3 4.8 4.5 4.2 4.0 3.8 3.6 3.3 3.1
비교예 5 4.1 3.8 3.2 2.8 2.4 1.9 1.4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염화칼륨, 탄산칼륨, 염화마그네슘, 젖산칼슘, 구연산나트륨, 정백당, 정제포도당 및 물을 포함하는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50~60℃로 가열한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염화칼륨 8~10 중량부, 탄산칼륨 40~60 중량부, 염화마그네슘 1~2 중량부, 젖산칼슘 1~2 중량부, 구연산나트륨 3~7 중량부, 정백당 15~30 중량부 및 정제포도당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프레이(spray), 디스펜서(dispenser), 에어졸(airsol)또는 겔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사용되는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입자형(particle type), 비드형(bead type) 또는 펠렛형(pellet type)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과일 향, 꽃 향과 같은 천연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향 중 선택된 1종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방향성분을 더 포함하는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분은 전체 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
KR1020090030144A 2009-04-08 2009-04-08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 Withdrawn KR201001117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144A KR20100111774A (ko) 2009-04-08 2009-04-08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144A KR20100111774A (ko) 2009-04-08 2009-04-08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774A true KR20100111774A (ko) 2010-10-18

Family

ID=43131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144A Withdrawn KR20100111774A (ko) 2009-04-08 2009-04-08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17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743B1 (ko) * 2019-04-04 2019-07-16 주식회사 에코씨 친환경 살균 및 탈취 블록, 이를 포함하는 탈취 기구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743B1 (ko) * 2019-04-04 2019-07-16 주식회사 에코씨 친환경 살균 및 탈취 블록, 이를 포함하는 탈취 기구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6220B2 (en) Disinfecting and deodorizing agent
JP4637521B2 (ja) 抗菌性消臭剤
KR101640061B1 (ko) 향기 지속성이 향상된 액상 섬유 탈취제 조성물
KR20030093612A (ko) 액상 항균 소취제 조성물
JPH10236904A (ja) 抗菌・消臭剤組成物
JP2012024537A (ja) 高分子ポリマー系消臭剤組成物
JP4177706B2 (ja) 消臭剤
JPH0240339B2 (ko)
KR20100111774A (ko)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
CN110665355A (zh) 一种含木本植物精油的除臭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3757679B2 (ja) 消臭剤
KR100456757B1 (ko) 방향 소취제 조성물
JP4611498B2 (ja) 消臭剤組成物
JP2804823B2 (ja) 消臭剤
KR100837527B1 (ko) 탈취제 조성물
JP3458808B2 (ja) 消臭剤
JP2005270453A (ja) 消臭剤
JP2804822B2 (ja) 消臭剤
KR100789621B1 (ko) 스팀청소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JP2019115646A (ja) 消臭剤
CN116509732B (zh) 一种清洁杀菌除臭宠物卫生湿巾浓缩液及其制备方法
JP5697135B2 (ja) 消臭方法
JP3970548B2 (ja) 消臭剤
JP5392551B2 (ja) 新規消臭剤
JP2006296807A (ja) 消臭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