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0504A -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10504A KR20100110504A KR1020090028870A KR20090028870A KR20100110504A KR 20100110504 A KR20100110504 A KR 20100110504A KR 1020090028870 A KR1020090028870 A KR 1020090028870A KR 20090028870 A KR20090028870 A KR 20090028870A KR 20100110504 A KR20100110504 A KR 201001105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tergent
- opening
- cabinet
- washing machine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상부에 설치되며, 개방부가 형성되는 커버부; 및 캐비닛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개방부를 개폐하는 세제공급부를 포함한다.An invention for a washing machine is disclosed. The disclosed invention comprises: an external cabinet; A cover part installed at an upper part of the cabinet and having an opening part; And a detergent supply unit installed at the front side of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본 발명에 의하면, 세제공급부가 캐비닛의 전방 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와 가까운 위치에 위치되므로, 사용자가 허리를 숙일 필요 없이 편안한 자세에서 세제 투입 및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tergent supply unit is provided at the front side of the cabinet and is locat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user, the user can easily perform detergent input and cleaning in a comfortable posture without having to bow down.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제를 자동으로 투입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laundry by automatically inserting a detergent.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펄세이터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 작용 및 펄세이터가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류, 침구 등 세탁물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for removing various contaminants attached to laundry, such as clothes and bedding, by using the emulsification of the detergent, the friction action of the water flow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and the impact action applied to the laundry by the pulsator.
이러한 세탁기 중 세탁물을 상측에서 투여하는 탑 로드형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는 저수조와, 저수조의 내부에 수용되고 세탁 또는 탈수시 회전하는 세탁조와, 저수조의 저면에 설치되어 펄세이터 및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세탁과정에서는 펄세이터와 세탁조를 모두 회전시키고 탈수과정에서는 세탁조만 회전시키도록 모터의 구동력의 전달방향을 결정하는 클러치를 포함한다.Among the washing machines, a top rod type washing machine for administering laundry from the upper side includes a cabinet forming an exterior, a storage tank accommodated inside the cabinet, a washing tank accommodated inside the storage tank and rotating when washing or dehydrating, and a bottom of the storage tank. It includes a motor installed to rotate the pulsator and the washing tank, and the clutch to determine the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to rotate both the pulsator and the washing tank in the washing process, and only the washing tank in the dehydration process.
한편, 캐비닛의 상부에는 탑 커버가 안착되어 설치된다. 탑 커버의 후방 상 측에는 세탁행정을 조작하는 다수의 조작버튼을 구비하고 조작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컨트롤 패널이 부착된다. 탑 커버의 중앙에는 세탁물을 세탁조에서 인출 또는 수용하기 위한 리드가 설치된다. 컨트롤 패널의 후면에는 세탁조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는 급수관이 연결되는 밸브 어셈블리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top cover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binet. On the rear upper side of the top cov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for operating the washing stroke and a control panel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us is attached. In the center of the top cover is provided a lid for taking out or accommodating the laundry in the washing tank. At the rear of the control panel, a valve assembly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wash water to the washing tank.
또한, 탑 커버의 후방 하측에는 세탁조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투입장치가 설치된다. 세제투입장치는 호스에 의해 밸브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된 세탁수를 공급받는다.In addition, a detergent dosing device for supplying detergent to the washing tank is installed at the rear lower side of the top cover. The detergent dos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valve assembly by a hose to receive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세제투입장치는, 탑 커버의 후방 하측에 설치되며 급수관과 연통되도록 개구되어 있는 세제 케이싱과, 세제 케이싱에 인출 및 철회가능하게 수용되며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일시 수용하여 분말형태의 세제를 용해시켜 세탁조 내에 액체상태로 공급하는 세제용기를 포함한다.Detergent dos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rear lower side of the top cover and the detergent casing is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s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is temporarily received by the detergent casing to dissolve the powder detergent And a detergent container for supplying the liquid in the washing tank.
이러한 세제투입장치에 세제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세제투입과정을 거쳐야 한다. 먼저 사용자는 리드를 열고 캐비닛 내부에 손을 집어넣은 후, 세제용기를 잡아당겨 세제 케이싱으로부터 세제용기를 인출한다. 그런 다음, 인출된 세제용기에 적정량의 세제를 투입한 후 세제용기를 다시 밀어넣음으로써 세제 케이싱에 세제용기를 장착한다.In order to inject detergent into the detergent dosing device, the following detergent dosing process is required. First, the user opens the lid, puts his hand inside the cabinet, and pulls the detergent container out of the detergent casing. Then, the detergent container is mounted on the detergent casing by putting an appropriate amount of detergent into the dispensed detergent container and then pushing the detergent container again.
상기와 같은 세탁기에 따르면, 세제투입장치가 탑커버의 후방 하측에 설치됨으로 인해 세제 투입 및 청소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세제투입장치는, 탑커버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로부터 먼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리드를 열고 허리를 숙인 상태에서 캐비닛 내부에 손을 집어넣어야 세제 투입 및 청소가 가능한 위치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세제 투입 및 청소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washing machin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etergent input device is installed on the rear lower side of the top cover, detergent input and cleaning are inconvenient. That is, the detergent dispensing apparatus is not only located at a position far from the user located in front of the top cover, but also a position where the detergent can be put in and cleaned only when the user puts his / her hand inside the cabinet while the lid is opened and the waist is bowed. Since it is located in, there is a problem in the detergent input and cleaning is inconvenient.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세제 투입 및 청소가 용이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facilitate detergent input and cleaning.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설치되며, 개방부가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캐비닛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세제공급부를 포함한다.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binet forming an appearance; A cover part installed at an upper part of the cabinet and having an opening part; And a detergent supply unit installed at the front side of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또한, 상기 세제공급부는, 상기 커버부와 상기 캐비닛의 사이에 설치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세제함부; 및 상기 세제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etergent supply unit, and a case unit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cover portion and the cabinet; Detergent box accommodated in the case portion retractable; And a handle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detergent compartment.
또한,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부에 관통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 를 개폐하는 회전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ndle part may include an opening formed through the handle part;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rotating cover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또한, 상기 핸들부는 상기 개구부를 개방한 상기 회전커버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n elastic portion for returning the rotating cover portion which opened the opening to its original position.
또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커버부와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preferably forms the same plane as the cover portion.
본 발명의 세탁기에 따르면, 세제공급부가 캐비닛의 전방 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와 가까운 위치에 위치되므로, 사용자가 허리를 숙일 필요 없이 편안한 자세에서 세제 투입 및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tergent supply unit is provided at the front side of the cabinet and locat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user, the user can easily perform detergent input and cleaning in a comfortable posture without having to bow down.
또한, 본 발명은 세제 투입시 외에는 개방부가 핸들부에 의해 폐쇄되어 커버부 전체가 절개되거나 개방된 부분 없이 동일 평면을 이루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세제 공급 기능을 가지면서 세탁기 전체의 미관을 미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pening portion is closed by the handle portion except at the time of detergent input so that the entire cover portion is formed in the same plane without being cut or opened, thereby maintaining a beautiful appearance of the entire washing machine while having a detergent supply function. You can.
또한, 본 발명은 세제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부를 구비함으로써, 세제의 투입 공간을 좀 더 넓게 확보하여 세제의 투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handle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detergent compartment, it is possible to secure a more wide space for the detergent dispens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detergent dispenser.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제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세제공급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etergent supply unit shown in FIG. 1, and FIGS. 3 to 6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detergent supply unit illustrated in FIG. 2. It is sectional drawing.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는 캐비닛(110)과, 커버부(120) 및 세제공급부(130)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3, a
캐비닛(110)은 세탁기(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저수조(미도시)가 수용되며, 저수조의 내부에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조(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아울러, 캐비닛(110)의 일측, 좀 더 구체적으로는 캐비닛(110)의 후방 측에는 급수부(111)가 설치된다. 급수부(111)는 외부의 수원(水源)과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세탁수를 후술할 세제공급부(130)를 통해 저수조로 공급한다.In addition, the
캐비닛(110)의 상부에는 커버부(120)가 설치된다. 커버부(120)는 캐비닛(110)과 함께 세탁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커버부(120)의 내측에는 캐비닛(110) 및 커버부(12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도어(115)가 설치된다.The
아울러, 커버부(120)에는 개방부(122)가 형성된다. 개방부(122)는 캐비 닛(110)의 타측, 좀 더 구체적으로는 급수부(111)가 설치되는 캐비닛(110)의 후방 측과 마주보는 캐비닛(110)의 전방 측에 인접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an
세제공급부(130)는 캐비닛(110)의 타측, 즉 캐비닛(110)의 전방 측에 설치되며, 개방부(122)를 개폐한다. 이러한 세제공급부(130)는 케이스부(132)와 세제함부(134) 및 핸들부(136)를 포함한다.The
케이스부(132)는 캐비닛(110)의 타측에 설치된다. 케이스부(132)는 캐비닛(110)과 커버부(120) 사이에 배치되며, 캐비닛(110)과 커버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됨으로써 캐비닛(110)의 타측에 설치될 수 있다.The
이러한 케이스부(132)는 급수부(111)와 연결되어 급수부(111)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는다. 케이스부(132)는 급수부(111)로부터 커버부(120)의 하부를 통해 연장되는 급수호스(미도시)와 연결됨으로써 급수부(111)와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부(132)의 내부에는 급수부(111)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가 통과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아울러, 케이스(132)의 일측은 케이스(132)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이 저수조와 연통될 수 있도록 저수조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세제함부(134)는 케이스부(132)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된다. 세제함부(134)는 케이스부(132)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케이스부(132)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세제함부(134)에는 세제, 섬유 유연제 등(이하 '세제'라 한다)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획된 다수의 세제수용부(부호생략)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제함부(134)는 인입시 케이스부(132)에 수용되며, 인출시 커버 부(120)에 형성된 개방부(12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The
세제함부(134)가 인입되어 케이스부(132)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세제함부(134)에 수용된 세제를 세탁수와 함께 저수조 및 세탁조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즉, 세탁기(100)의 세탁 행정시, 급수부(111)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는 케이스부(132)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고, 케이스부(132)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는 세탁수는 케이스부(132)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 세제함부(134)로 유입되며, 세제함부(134)로 유입되는 세탁수는 세제수용부에 수용된 세제과 혼합되어 저수조 및 세탁조로 공급된다.That is, during the washing stroke of the
또한, 세제함부(134)가 인출되어 개방부(12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세제함부(134)에 세제를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인출된 세제함부(134)는 캐비닛(110)의 전방 측에서 외부로 노출되므로, 캐비닛(110)의 전방 측에 위치한 사용자와 가까운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노출된다.In addition, when the
핸들부(136)는 세제함부(134)와 결합된다. 이러한 핸들부(136)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세제함부(134)를 인출 또는 인입시키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The
핸들부(136)는 개방부(122)가 형성된 부분에 배치되되, 바람직하게는 개방부(12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들부(136)는 커버부(120)와 동일 평면에 위치되어 개방부(122)를 개폐한다.The
즉, 핸들부(136)는 세제함부(134)가 인입된 상태에서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20)와 동일 평면에 위치되어 개방부(122)를 폐쇄함으로써 커버부(120)와 핸들부(136)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하고, 세제함부(134)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함부(134)가 개방부(12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부(122)를 개방한다.That is, the
이러한 핸들부(136)에 의해, 세제 투입시 외에는 개방부(122)가 핸들부(136)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커버부(120) 전체가 절개되거나 개방된 부분 없이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되므로, 세제공급부(130)는 세탁기(100) 전체의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세탁기(100)에 설치될 수 있다.By the
상기와 같은 핸들부(136)에는 개구부(137; 도 4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37)는 핸들부(136)의 내측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개구부(137)는 사용자가 핸들부(136)를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개구부(137)의 크기는 사용자의 손가락 서너 개 정도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An opening 137 (see FIG. 4) may be formed in the
또한, 핸들부(136)에는 회전커버부(13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회전커버부(138)는 개구부(137)가 형성된 위치에 배치되고, 개구부(13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힌지(부호생략)를 매개로 핸들부(13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구부(137)를 개폐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회전커버부(138)는 핸들부(136) 전체가 커버부(120)와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핸들부(136)와 동일 평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아울러, 핸들부(136)에는 탄성부(13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139)는 토션 스프링이나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부(139)가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In addition, the
상기 토션 스프링은, 힌지를 중심으로 그 일측이 핸들부(136)에 결합되고 타측이 회전커버부(138)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부(139)는 개구부(137)를 개방한 회전커버부(138)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The torsion spring is provided such that one side of the torsion spring is coupled to the
상기와 같은 탄성부(139)와 결합되는 회전커버부(13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사용자가 개구부(137)를 통해 핸들부(136)를 잡을 수 있도록 개구부(137)를 개방하며, 사용자가 핸들부(136)를 놓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13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개구부(137)를 폐쇄함으로써, 핸들부(136) 전체가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4, the
한편, 핸들부(136)는 세제함부(134)에 결합되되, 힌지(부호생략)를 매개로 세제함부(13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들부(13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함부(134)가 인출된 상태, 즉 핸들부(136)가 개방부(122)를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처럼 핸들부(136)가 회전되면, 핸들부(136)에 의해 덮여진 세제함부(134)의 일부분이 핸들부(136)의 회전에 의해 좀 더 개방될 수 있게 되므로, 세제의 투입 공간이 좀 더 넓게 확보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세제의 투입 편의성이 향상된다.When the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함부(134)가 케이스부(132)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핸들부(136)는 커버부(120)와 동일 평면에 위치되어 개방부(122)를 폐쇄한다.As shown in FIG. 3, in the state where the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제를 투입하기 위하여 회전커버부(138)를 눌러주면, 회전커버부(13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힘에 의해 회전하여 개구부(137)를 개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개방된 개구부(137)를 통해 핸들부(136)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presses the
그런 다음 사용자가 핸들부(136)를 당기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36)가 이동되면서 개방부(122)를 개방함과 동시에, 세제함부(134)가 케이스부(132)로부터 인출되어 개방된 개방부(12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Then, when the user pulls the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부(136)를 회전시켜 주면, 핸들부(13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여 핸들부(136)에 의해 덮여진 세제함부(134)의 일부분을 좀 더 개방시켜줌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세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user rotates th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세탁기(100)는, 세제공급부(130)가 캐비닛(110)의 전방 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와 가까운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사용자가 허리를 숙일 필요 없이 편안한 자세에서 세제 투입 및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The
또한, 본 실시예의 세탁기(100)는 세제 투입시 외에는 커버부(120) 전체가 절개되거나 개방된 부분 없이 동일 평면을 이루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세제 공급 기능을 가지면서 세탁기(100) 전체의 미관을 미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실시예의 세탁기(100)는 세제의 투입 공간을 좀 더 넓게 확보하여 세제의 투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제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etergent supply unit illustrated in FIG. 1.
도 3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세제공급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3 to 6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detergent supply unit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세탁기 110 : 캐비닛100: washing machine 110: cabinet
120 : 커버부 130 : 세제공급부120: cover 130: detergent supply unit
132 : 케이스부 134 : 세제함부132: case part 134: detergent box
136 : 핸들부 137 : 개구부136: handle portion 137: opening
138 : 회전커버부 139 : 탄성부138: rotary cover 139: elastic portion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8870A KR20100110504A (en) | 2009-04-03 | 2009-04-03 | Wash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8870A KR20100110504A (en) | 2009-04-03 | 2009-04-03 | Washing machi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0504A true KR20100110504A (en) | 2010-10-13 |
Family
ID=43131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8870A KR20100110504A (en) | 2009-04-03 | 2009-04-03 | Wash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10504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040463A1 (en) * | 2015-01-05 | 2016-07-06 | LG Electronics Inc. | Washing machine |
US20160194810A1 (en) * | 2015-01-05 | 2016-07-07 | Lg Electronics Inc. | Washing machine |
US20160194811A1 (en) * | 2015-01-05 | 2016-07-07 | Lg Electronics Inc. | Washing machine |
CN107304512A (en) * | 2016-04-25 | 2017-10-31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A kind of control panel rest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
-
2009
- 2009-04-03 KR KR1020090028870A patent/KR20100110504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040463A1 (en) * | 2015-01-05 | 2016-07-06 | LG Electronics Inc. | Washing machine |
US20160194810A1 (en) * | 2015-01-05 | 2016-07-07 | Lg Electronics Inc. | Washing machine |
US20160194811A1 (en) * | 2015-01-05 | 2016-07-07 | Lg Electronics Inc. | Washing machine |
US20160194809A1 (en) * | 2015-01-05 | 2016-07-07 | Lg Electronics Inc. | Washing machine |
KR20160084076A (en) * | 2015-01-05 | 2016-07-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KR20160084075A (en) * | 2015-01-05 | 2016-07-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US9797084B2 (en) | 2015-01-05 | 2017-10-24 | Lg Electronics Inc. | Washing machine |
US10036116B2 (en) * | 2015-01-05 | 2018-07-31 | Lg Electronics Inc. | Washing machine |
US10378138B2 (en) * | 2015-01-05 | 2019-08-13 | Lg Electronics Inc. | Washing machine |
CN107304512A (en) * | 2016-04-25 | 2017-10-31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A kind of control panel rest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
WO2017186105A1 (en) * | 2016-04-25 | 2017-11-02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Control panel base of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
CN107304512B (en) * | 2016-04-25 | 2020-04-14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Washing machine control panel seat and washing mach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47026B2 (en) | Washing machine | |
EP3202968B1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
US20070125134A1 (en) | Detergent supply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 |
EP3293303B1 (en) |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a slidable dispenser | |
KR20080104641A (en) | Top Load Washer | |
KR20100110504A (en) | Washing machine | |
US20210310176A1 (en) |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dispenser | |
CN102444000A (en) | Drum type washing machine | |
KR20070059437A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detergent supply device of drum washing machine. | |
KR20160084077A (en) | Washing machine | |
EP3617376B1 (en) | Laundry treatment appliance with improved drawer | |
JP6378940B2 (en) | Drum washing machine | |
CN201793950U (en) | Washing machine | |
KR20170096321A (en) | Apparatus for injecting liquid additive in washing machine | |
KR101256139B1 (en) | Throwing device of detergent for auto washer | |
KR101474433B1 (en) | Cleaning material feeder for washer | |
KR20080104642A (en) | Top Load Washer | |
KR101256143B1 (en) | Dual detergent throwing device for auto washer | |
EP4361337A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20100081234A (en) | Unlocking device of door for washing machine | |
KR101192193B1 (en) | Dual detergent throwing device for auto washer | |
JPH11319380A (en) | Washing machine | |
KR20110004747A (en) | Detergent injector of automatic washing machine | |
AU2023222923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101256138B1 (en) | Throwing device of detergent for auto wash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