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09941A - 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유도체, 그의 제법 및 치료제에서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유도체, 그의 제법 및 치료제에서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9941A
KR20100109941A KR1020107017147A KR20107017147A KR20100109941A KR 20100109941 A KR20100109941 A KR 20100109941A KR 1020107017147 A KR1020107017147 A KR 1020107017147A KR 20107017147 A KR20107017147 A KR 20107017147A KR 20100109941 A KR20100109941 A KR 20100109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idazo
pyridine
group
ylcarbonyl
pyrid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7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프랑수아 페이로넬
Original Assignee
사노피-아벤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73936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10994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사노피-아벤티스 filed Critical 사노피-아벤티스
Publication of KR20100109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94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sychiatr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sychology (AREA)
  • Addiction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기, 또는 산 부가염 형태의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I>
Figure pct00049

상기 식에서,
X 및 Y는 그들을 보유한 질소 원자와 함께, O, S 또는 N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개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포화 또는 부분 포화, 모노시클릭 또는 바이시클릭, 5원 내지 10원 아민을 형성하고, 이는 할로겐 원자, (C1-C6)알킬기, (C1-C6)알콕시기, 시아노, NRaRb, COOR8로 임의로 치환되고, 상기 (C1-C6)알킬 및 (C1-C6)알콕시 기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임의로 치환되고;
R1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C1-C6)알콕시기, (C1-C6)알킬기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C6)알킬기, 임의로 치환된 (C1-C6)알콕시기, (C2-C6)알케닐기, (C2-C6)알키닐기, -CO-R5 기, -CO-NR6R7 기, -CO-O-R8 기, -NR9-CO-R10 기, -N=CH-NRaRb 기, 할로겐 원자, 시아노, 니트로, 히드록시이미노알킬, 알콕시이미노알킬 기, (C1-C6)알킬티오기, (C1-C6)알킬술피닐기, (C1-C6)알킬술포닐기, (((C1-C6)알킬)3)실릴에티닐기, -SO2-NR9R10 기,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시클릭기이고;
R3은 수소 원자, (C2-C6)알킬기, (C1-C6)알콕시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R4는 수소 원자,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또는 불소 원자이다.

Description

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유도체, 그의 제법 및 치료제에서 그의 용도{IMIDAZO[1,2-A]PYRIDINE-2-CARBOXAMIDE DERIVATIVES, PREPARATION THEREOF AND APPLICATION THEREOF IN THERAPEUTICS}
본 발명은 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유도체, 그의 제법, 및 NR4A2, NOT, TINUR, RNR-1 및 HZF3으로도 공지된 Nurr-1 핵 수용체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서의 그의 치료학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상은 염기, 또는 산 부가염 형태의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X 및 Y는 그들을 보유한 질소 원자와 함께, O, S 또는 N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포화 또는 부분 포화, 모노- 또는 바이시클릭, 5원 내지 10원 시클릭 아민을 형성하고, 이는 할로겐 원자 또는 (C1-C6)알킬, (C1-C6)알콕시, 시아노, NRaRb 또는 COOR8 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상기 (C1-C6)알킬 및 (C1-C6)알콕시 기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임의로 치환되고;
R1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C1-C6)알콕시, (C1-C6)알킬 또는 NRcRd 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 및 알콕시 기의 경우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또는 히드록실, 아미노 또는 (C1-C6)알콕시 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R2는 하기 기 중 하나를 나타내고:
ㆍ 수소 원자,
ㆍ 히드록실, 할로겐 원자, NRaRb 기, (C1-C6)알콕시기 또는 페닐기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임의로 치환된 (C1-C6)알킬기,
ㆍ 히드록실, 할로겐 원자 또는 NRaRb 기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임의로 치환된 (C1-C6)알콕시기,
ㆍ (C2-C6)알케닐기,
ㆍ (C2-C6)알키닐기,
ㆍ -CO-R5 기,
ㆍ -CO-NR6R7 기,
ㆍ -CO-O-R8 기,
ㆍ -NR9-CO-R10 기,
ㆍ -N=CH-NRaRb 기,
ㆍ NR11R12 기,
ㆍ 할로겐 원자,
ㆍ 시아노, 니트로, 히드록시이미노알킬 또는 알콕시이미노알킬 기,
ㆍ (C1-C6)알킬티오기,
ㆍ (C1-C6)알킬술피닐기,
ㆍ (C1-C6)알킬술포닐기,
ㆍ ((C1-C6)알킬)3실릴에티닐기,
ㆍ -SO2-NR9R10 기,
ㆍ 할로겐, (C1-C6)알콕시, 시아노, NRaRb, -CO-R5, -CO-NR6R7, -CO-O-R8, 또는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또는 NRaRb 기로 임의로 치환된 (C1-C6)알킬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자 또는 기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
ㆍ 할로겐 원자 또는 (C1-C6)알킬, (C1-C6)알콕시, 시아노, NRaRb 또는 COOR8 기로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시클릭기 (상기 (C1-C6)알킬 및 (C1-C6)알콕시 기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또는 히드록실기로 임의로 치환됨);
R3은 수소 원자, (C2-C6)알킬기, (C1-C6)알콕시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4는 수소 원자,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또는 불소 원자를 나타내고;
R5는 수소 원자, 페닐기 또는 (C1-C6)알킬기를 나타내고;
R6 및 R7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C1-C6)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그들을 보유한 질소 원자와 함께, N, O 또는 S로부터 선택된 또다른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4원 내지 7원 고리를 형성하고;
R8은 (C1-C6)알킬기를 나타내고;
R9 및 R10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C1-C6)알킬기를 나타내고;
R11 및 R1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C1-C6)알킬기를 나타내고;
Ra 및 Rb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킬이거나, 또는 그들을 보유한 질소 원자와 함께 4원 내지 7원 고리를 형성하고;
Rc는 수소이고, Rd는 (C1-C6)알킬이되;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5-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 및 2-(4-티오모르폴린-1-일카르보닐)-6-클로로이미다조[1,2-a]피리딘은 제외한다.
화합물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5-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 및 2-(4-티오모르폴린-1-일카르보닐)-6-클로로이미다조[1,2-a]피리딘은 각각 데이타베이스에서 RN = 878113-13-4 및 RN = 951974-53-1의 번호로 인용되어 있다. 이들 화합물에 대해 약리학적 또는 치료적 활성이 증명되지 않았다. 이들은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로부터 제외된다.
게다가, 문헌 US 2006/0211747은 Cdc34 억제제인 화합물을 확인하는 방법을 교시하고 있으며, 확인된 화합물 중 하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에 포함되지 않는 이미다조[1,2-a]피리딘 유도체이다.
하기 명명법은 등가물로 간주된다:
-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5-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 및 (2,3-디히드로-1H-인돌-1-일)(5-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2-일)메타논, 및
- 2-(4-티오모르폴린-1-일카르보닐)-6-클로로이미다조[1,2-a]피리딘, 및 (6-클로로이미다조[1,2-a]피리딘-2-일)(4-티오모르폴리닐)메타논.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비대칭 탄소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은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들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라세미체 혼합물을 비롯한 이들의 혼합물은 본 발명 내에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염기, 또는 산 부가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염은 본 발명 내에 있다. 이들 염은 제약상 허용되는 산에 의해 제조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정제 또는 단리에 사용되는 다른 산의 염 또한 본 발명 내에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형태로, 즉 하나 이상의 물 분자와 또는 용매와 조합 또는 회합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수화물 및 용매화물 또한 본 발명 내에 있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 할로겐 원자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 알킬기는 포화, 선형, 분지형 또는 시클릭 알킬기로 임의로 치환된 포화, 선형, 분지형 또는 시클릭 지방족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또는 메틸시클로프로필 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 알케닐기는 예를 들면 1 또는 2개의 에틸렌성 불포화를 포함하는, 일불포화 또는 다불포화,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 알콕시기는 -O-알킬 라디칼 (알킬기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 알키닐기는 예를 들면 1 또는 2개의 에틸린성 불포화를 포함하는, 일불포화 또는 다불포화,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 시클릭 아민은 5 내지 10개의 고리 구성원을 포함하고 1개 이상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모노- 또는 바이시클릭 기를 의미하며, 이는 추가로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 기의 경우 포화 또는 부분 포화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 시클릭 아민의 예로 벤족사진, 인돌린, 이소인돌린,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모르폴린, 피페리딘, 피롤리딘, 피롤린, 테트라히드로피리딘, 테트라히드로퀴놀린, 티오모르폴린, 디히드록시벤족사진 또는 테트라히드로티에노피리딘을 들 수 있다.
- 헤테로시클릭기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비롯하여 5 내지 10개의 원자를 포함하는 방향족, 불포화, 포화 또는 부분 포화 및 모노- 또는 바이시클릭 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헤테로시클릭기의 예로는 피롤, 푸란, 티오펜, 피라졸, 이미다졸, 트리아졸, 테트라졸, 옥사졸, 이속사졸, 옥사디아졸, 티아졸, 이소티아졸, 티아디아졸, 피리딘, 피리미딘, 피라진, 피리다진, 트리아진, 푸로푸란, 티에노티오펜, 피롤로피롤, 피롤로이미다졸, 피롤로피라졸, 피롤로트리아졸, 이미다조이미다졸, 이미다조피라졸, 푸로피롤, 푸로이미다졸, 푸로피라졸, 푸로트리아졸, 피롤로옥사졸, 이미다조옥사졸, 피라졸로옥사졸, 푸로옥사졸, 옥사졸로옥사졸, 옥사졸로이속사졸, 피롤로이속사졸, 이미다조이속사졸, 피라졸로이속사졸, 이속사졸로이속사졸, 푸로이속사졸, 이속사졸로옥사디아졸, 피롤로옥사디아졸, 푸로옥사디아졸, 이속사졸로옥사디아졸, 티에노피롤, 티에노이미다졸, 티에노피라졸, 티에노트리아졸, 피롤로티아졸, 이미다조티아졸, 피라졸로티아졸, 트리아졸로티아졸, 푸로티아졸, 옥사졸로티아졸, 옥사졸로이소티아졸, 피롤로이소티아졸, 이미다조이소티아졸, 피라졸로이소티아졸, 이속사졸로이소티아졸, 푸로이소티아졸, 피롤로티아디아졸, 이미다조티아디아졸, 푸로티아디아졸, 이속사졸로티아디아졸, 옥사졸로티아디아졸, 이소티아졸로티아디아졸, 인돌, 이소인돌, 벤즈이미다졸, 인다졸, 인돌리진, 벤조푸란, 이소벤조푸란, 벤조티오펜, 벤조[c]티오펜, 피롤로피리딘, 이미다조피리딘, 피라졸로피리딘, 트리아졸로피리딘, 테트라졸로피리딘, 피롤로피리미딘, 이미다조피리미딘, 피라졸로피리미딘, 피롤로피라진, 이미다조피라진, 피라졸로피라진, 피롤로피리다진, 이미다조피리다진, 피라졸로피리다진, 트리아졸로피리다진, 피롤로트리아진, 푸로피리딘, 푸로피리미딘, 푸로피라진, 푸로피리다진, 푸로트리아진, 옥사졸로피리딘, 옥사졸로피리미딘, 옥사졸로피라진, 옥사졸로피리다진, 이속사졸로피리딘, 이속사졸로피리미딘, 이속사졸로피라진, 이속사졸로피리다진, 옥사디아졸로피리딘, 벤즈옥사졸, 벤즈이속사졸, 벤즈옥사디아졸, 티에노피리딘, 티에노피리미딘, 티에노피라진, 티에노피리다진, 티에노트리아진, 티아졸로피리딘, 티아졸로피리미딘, 티아졸로피라진, 티아졸로피리다진, 이소티아졸로피리딘, 이소티아졸로피리미딘, 이소티아졸로피라진, 이소티아졸로피리다진, 티아디아졸로피리딘, 티아디아졸로피리미딘, 벤조티아졸, 벤조이소티아졸, 벤조티아디아졸, 퀴놀린, 이소퀴놀린, 신놀린, 프탈라진, 퀴녹살린, 퀴나졸린, 나프티리딘, 벤조트리아진, 피리도피리미딘, 피리도피라진, 피리도피리다진, 피리도트리아진, 피리미도피리미딘, 피리미도피라진, 피리미도피리다진, 피라지노피라진, 피라지노피리다진, 피라지노트리아진, 또는 피리다지노피리다진을 들 수 있다. 이들 기는 포화 또는 부분 포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하기 정의된 다양한 하위 군의 화합물 또한 본 발명 내에 있다.
상기 정의된 화학식 I의 화합물 중에서, 제1 군의 화합물은
R2가 수소 또는 염소 원자가 아니고,
다른 치환기들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것인, 염기, 또는 산 부가염 형태의 화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정의된 화학식 I의 화합물 중에서, 제2 군의 화합물은
R2가 하기 기 중 하나를 나타내고:
ㆍ (C1-C6)알콕시기,
ㆍ NR11R12 기,
ㆍ -CO-R5, 또는 그 자체가 히드록실로 임의로 치환된 (C1-C6)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
ㆍ NRaRb, 또는 그 자체가 히드록실로 임의로 치환된 (C1-C6)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시클릭기;
R5가 (C1-C6)알킬기를 나타내고;
R11 및 R12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C1-C6)알킬기를 나타내고;
Ra 및 Rb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킬이고;
다른 치환기들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것인, 염기, 또는 산 부가염 형태의 화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정의된 화학식 I의 화합물 중에서, 제3 군의 화합물은
R2가 하기 기 중 하나를 나타내고:
ㆍ (C1-C6)알콕시기,
ㆍ NR11R12 기,
ㆍ -CO-R5, 또는 그 자체가 히드록실로 임의로 치환된 (C1-C6)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
ㆍ NRaRb, 또는 그 자체가 히드록실로 임의로 치환된 (C1-C6)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피리딜기, 피라졸릴기, 푸릴기, 옥사졸릴기, 트리아졸릴기, 피롤릴기 또는 이미다졸릴기;
R5가 (C1-C6)알킬기를 나타내고;
R11 및 R12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C1-C6)알킬기를 나타내고;
Ra 및 Rb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킬이고;
다른 치환기들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것인, 염기, 또는 산 부가염 형태의 화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정의된 화학식 I의 화합물 중에서, 제4 군의 화합물은
R2가 하기 기 중 하나를 나타내고:
ㆍ (C1-C6)알콕시기,
ㆍ NR11R12 기,
ㆍ -CO-R5, 또는 그 자체가 히드록실로 임의로 치환된 (C1-C6)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
ㆍ 아미노기로 임의로 치환된 피리딜기, 피라졸릴기, 히드록시메틸기로 임의로 치환된 푸릴기, 옥사졸릴기, 트리아졸릴기, 피롤릴기 또는 이미다졸릴기;
R5가 (C1-C6)알킬기를 나타내고;
R11 및 R12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C1-C6)알킬기를 나타내고;
다른 치환기들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것인, 염기, 또는 산 부가염 형태의 화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정의된 화학식 I의 화합물 중에서, 제5 군의 화합물은
X 및 Y가 그들을 보유한 질소 원자와 함께, O 또는 S로부터 선택된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며 할로겐 원자로부터 선택된 기로 임의로 치환된, 포화 또는 부분 포화, 모노- 또는 바이시클릭, 5원 내지 10원 시클릭 아민을 형성하고;
다른 치환기들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것인, 염기, 또는 산 부가염 형태의 화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정의된 화학식 I의 화합물 중에서, 제6 군의 화합물은
-NXY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디히드로벤족사진, 인돌린, 이소인돌린, 모르폴린, 피페리딘, 피롤리딘, 피롤린, 테트라히드로피리딘, 테트라히드로퀴놀린, 티오모르폴린 또는 테트라히드로티에노피리딘 기를 나타내고;
다른 치환기들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것인, 염기, 또는 산 부가염 형태의 화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정의된 화학식 I의 화합물 중에서, 제7 군의 화합물은
-NXY가 할로겐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디히드로벤족사진, 인돌린, 이소인돌린, 모르폴린, 피페리딘, 피롤리딘, 피롤린, 테트라히드로피리딘, 테트라히드로퀴놀린, 티오모르폴린 또는 테트라히드로티에노피리딘 기를 나타내고;
R2가 하기 기 중 하나를 나타내고:
ㆍ (C1-C6)알콕시기,
ㆍ NR11R12 기,
ㆍ 할로겐, (C1-C6)알콕시기, 히드록실로 임의로 치환된 (C1-C6)알킬, 또는 C(O)R5 기로부터 선택된 기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
ㆍ NRaRb, 또는 그 자체가 히드록실로 임의로 치환된 (C1-C6)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피리딜기, 피라졸릴기, 푸릴기, 옥사졸릴기, 트리아졸릴기, 피롤릴기 또는 이미다졸릴기;
R5가 (C1-C6)알킬기를 나타내고;
R11 및 R12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C1-C6)알킬기를 나타내고;
Ra 및 Rb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킬이고;
R1, R3 및 R4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것인, 염기, 또는 산 부가염 형태의 화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정의된 화학식 I의 화합물 중에서, 제8 군의 화합물은
-NXY가 디히드로벤족사진기, 불소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인돌린기, 이소인돌린기, 모르폴린기, 피페리딘기, 피롤리딘기, 피롤린기, 테트라히드로피리딘기, 테트라히드로퀴놀린기, 티오모르폴린기 또는 테트라히드로티에노피리딘기를 나타내고;
R2가 메톡시기; 히드록시메틸, 히드록시에틸, 히드록시메틸에틸, 아세틸 또는 N-메틸기로 치환된 페닐기; 아미노기로 임의로 치환된 피리딜기; 피라졸릴기; 히드록시메틸기로 임의로 치환된 푸릴기; 옥사졸릴기; 트리아졸릴기; 피롤릴기 또는 이미다졸릴기를 나타내고;
R1, R3 및 R4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것인, 염기, 또는 산 부가염 형태의 화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정의된 화학식 I의 화합물 중에서, 제9 군의 화합물은
NXY가 불소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디히드로벤족사진, 인돌린, 이소인돌린,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모르폴린, 피페리딘, 피롤리딘, 피롤린, 테트라히드로피리딘, 테트라히드로퀴놀린, 티오모르폴린 또는 테트라히드로티에노피리딘 기를 나타내고;
R1, R3 및 R4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2가 메톡시기, 또는 히드록시메틸 또는 N-디메틸 기로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는 것인, 염기, 또는 산 부가염 형태의 화합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대상인 화학식 I의 화합물 중에서, 특히 하기 화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ㆍ {3-[2-(피페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3-[2-(2,3-디히드로-4H-1,4-벤족사진-4-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3-[2-(모르폴린-4-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N,N-디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
ㆍ {3-[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3-{2-[(6-플루오로-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3-[2-(2,5-디히드로-1H-피롤-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3-[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3-[2-(피롤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3-[2-(4,5,6,7-테트라히드로티에노[3,2-c]피리딘-5-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2-(2,3-디히드로-4H-1,4-벤족사진-4-일카르보닐)-N,N-디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
ㆍ {3-[2-(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3-[2-(1,3-디히드로-2H-이소인돌-2-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N,N-디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
ㆍ 2-(1,3-디히드로-2H-이소인돌-2-일카르보닐)-N,N-디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
ㆍ N,N-디메틸-2-(피페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
ㆍ 2-[(6-플루오로-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N,N-디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
ㆍ N,N-디메틸-2-(모르폴린-4-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
ㆍ 2-(2,5-디히드로-1H-피롤-1-일카르보닐)-N,N-디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
ㆍ {3-[2-(티오모르폴린-4-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N,N-디메틸-2-(피롤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
ㆍ 2-(4,5,6,7-테트라히드로티에노[3,2-c]피리딘-5-일카르보닐)-N,N-디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
ㆍ N,N-디메틸-2-(티오모르폴린-4-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
ㆍ 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6-메톡시-5-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
ㆍ 6-(피리딘-2-일)-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ㆍ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6-(피리딘-2-일)이미다조[1,2-a]피리딘
ㆍ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6-(1H-피라졸-3-일)이미다조[1,2-a]피리딘
ㆍ 6-(푸란-2-일)-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ㆍ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6-(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
ㆍ 6-(옥사졸-2-일)-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ㆍ 6-(푸란-3-일)-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ㆍ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6-(푸란-3-일)이미다조[1,2-a]피리딘
ㆍ 6-[5-(히드록시메틸)푸란-2-일]-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ㆍ [(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6-(1H-1,2,4-트리아졸-3-일)이미다조[1,2-a]피리딘
ㆍ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6-(1H-1,2,4-트리아졸-3-일)이미다조[1,2-a]피리딘
ㆍ 6-(6-아미노피리딘-2-일)-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및 그의 디히드로클로라이드
ㆍ 6-(6-아미노피리딘-2-일)-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및 그의 디히드로클로라이드
ㆍ 6-(1H-피롤-3-일)-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ㆍ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6-(1H-피롤-3-일)이미다조[1,2-a]피리딘
ㆍ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6-(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 및 그의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1·1)
ㆍ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6-[5-(히드록시메틸)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 및 그의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1·1)
ㆍ 6-(1H-이미다졸-4-일)-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ㆍ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6-(1H-이미다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
ㆍ 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6-(1H-1,2,3-트리아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
ㆍ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6-(1H-1,2,3-트리아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
ㆍ 6-(3-아세틸페닐)-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ㆍ (RS)-6-[3-(1-히드록시에틸)페닐]-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ㆍ 6-[3-(1-히드록시-1-메틸에틸)페닐]-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및
이들의 산 부가염.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에 기재된 공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ct00002
첫번째 합성 경로 (변환 A2)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따라 화학식 II의 2-아미노피리딘 (식 중, R1, R2, R3 및 R4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을 제조한 다음, 예를 들면 문헌 [J-J. Bourguignon et al. in Aust. J. Chem., 50, 719 (1997)] 및 [J.G. Lombardino in J. Org. Chem., 30, 2403 (1965)]에 기재된 방법과 유사하게 2-옥소프로피온아미드의 할로겐화된 유도체 (III) (식 중, Hal은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원자를 나타내고, X 및 Y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와 축합시킴으로써 이미다조[1,2-a]피리딘 고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2-옥소프로피온아미드의 할로겐화된 유도체 (III)는 예를 들면 문헌 [R. Kluger et al. in J. Am. Chem. Soc., 106, 4017 (1984)]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득할 수 있다.
화학식 II의 2-아미노피리딘 (식 중, R1, R2, R3 및 R4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은 예를 들면 변환 A1을 통해, 즉,
- 화학식 IV의 2-아미노피리딘 유도체 (식 중, R1, R3 및 R4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Z는 보릴, 스탄닐 또는 실릴 기를 나타냄)와 R2-Z' 유도체 (V) (식 중, R2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Z'는 할로겐 원자, 예컨대 브롬 또는 요오드, 또는 술포닐옥시기를 나타냄)의 커플링 반응을 통해,
- 화학식 IV의 2-아미노피리딘 유도체 (식 중, R1, R3 및 R4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Z는 할로겐 원자, 예컨대 브롬 또는 요오드를 나타냄)와 R2-Z' 유도체 (V) (식 중, R2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Z'는 반응성 기, 예컨대 보릴, 스탄닐 또는 실릴 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냄)의 커플링 반응을 통해,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다른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두번째 합성 경로 (변환 B2)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따라 화학식 VI의 이미다조피리딘-2-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 중 하나 (식 중, R1, R2, R3 및 R4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W는 히드록실기, 할로겐 원자 또는 (C1-C6)알콕시기를 나타냄)와 화학식 VII의 시클릭 아민 X-NH-Y (식 중, X 및 Y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를 커플링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산을 사전에 그의 반응성 유도체 중 하나, 예컨대 산 할라이드, 무수물, 혼합 무수물 또는 활성화된 에스테르로 전환시킨 다음, 염기, 예컨대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또는 피리딘의 존재하에, 비활성 용매, 예컨대 THF, DMF 또는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아민 (VII)과 반응시킬 수 있다. 상기 커플링은 또한 반응성 중간체를 단리하지 않고 동일한 조건하에, 커플링제, 예컨대 CDI, EDCI, HATU 또는 HBTU의 존재하에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아민 (VII)을 문헌 [Weinreb. S. et al., Tet. Lett. (1977), 18, 4171]의 방법에 따라 촉매, 예컨대 트리메틸알루미늄, 또는 지르코늄 tert-부톡사이드의 존재하에 화학식 VI의 산의 에스테르와 반응시킬 수 있다.
화학식 VI의 이미다조피리딘-2-카르복실산의 유도체 (식 중, R1, R2, R3 및 R4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W는 (C1-C6)알콕시, 히드록시 또는 할로겐임)는, 화학식 II의 유도체와 화학식 III의 유도체의 축합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조건하에, 화학식 II의 2-아미노피리딘 (식 중, R1, R2, R3 및 R4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과 화학식 VIII의 3-할로-2-옥소프로피온산 에스테르 (식 중, Hal은 할로겐을 나타내고, W는 (C1-C6)알콕시임)를 축합시킨 후, 적절한 경우 상기 에스테르를 산으로 전환시킨 다음, 이를 산 클로라이드 또는 또다른 반응성 유도체로 전환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변환 B1).
세번째 합성 경로 (변환 C2)는 화학식 IX의 유도체 (식 중, R1, R3, R4, X 및Y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Z는 할로겐 원자, 예컨대 브롬 또는 요오드, 술포닐옥시기, 또는 반응성 기, 예컨대 보릴, 스탄닐 또는 실릴을 나타냄)와 화학식 V의 R2-Z' 유도체 (식 중, R2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Z가 할로겐 원자 또는 술포닐옥시기를 나타내는 경우 Z'는 반응성 기, 예컨대 보릴, 스탄닐 또는 실릴 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거나, 또는 Z가 반응성 기, 예컨대 보릴, 스탄닐 또는 실릴 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경우 Z'는 할로겐 원자, 예컨대 브롬 또는 요오드를 나타냄)를 커플링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화학식 IX의 유도체 (식 중, R1, R3, R4, X, Y 및 Z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는
-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전환시키기 위해 언급된 방법에 따라, 화학식 IV의 2-아미노피리딘 (식 중, R1, R3, R4 및 Z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과 2-옥소프로피온아미드 유도체 (III) (식 중, Hal은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원자를 나타내고, X 및 Y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를 축합시킴으로써 (변환 C1), 또는
- 화학식 VI의 화합물을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전환시키기 위해 언급된 방법에 따라, 화학식 X의 이미다조피리딘-2-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 중 하나 (식 중, R1, R2, R3 및 R4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W는 히드록실기, 할로겐 원자 또는 (C1-C6)알콕시기를 나타냄)를 화학식 VII의 아민 X-NH-Y (식 중, X 및 Y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로 아미드화시킴으로써 (변환 D2)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X의 이미다조피리딘-2-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 (식 중, R1, R3 및 R4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W는 (C1-C6)알콕시, 히드록실 또는 할로겐이고, Z는 보릴, 스탄닐 또는 실릴 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냄)는, 변환 B1에 따라 화학식 II의 2-아미노피리딘과 화학식 VIII의 유도체를 축합시켜 화학식 VI의 이미다조피리딘-2-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수득하기 위해 상기 언급된 것과 유사한 조건하에, 화학식 IV의 2-아미노피리딘 (식 중, R1, R3 및 R4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Z는 보릴, 스탄닐 또는 실릴 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냄)과 화학식 VIII의 3-할로-2-옥소프로피온산 에스테르 (식 중, Hal은 할로겐을 나타내고, W는 (C1-C6)알콕시임)를 축합시킨 후, 적절한 경우 상기 에스테르를 산으로 전환시킨 다음, 이를 산 클로라이드 또는 다른 반응성 유도체로 전환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변환 D1).
화학식 VI의 이미다조피리딘-2-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 (식 중, R1, R2, R3 및 R4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W는 (C1-C6)알콕시, 히드록실 또는 할로겐임)는 또한 화학식 X의 유도체 (식 중, R1, R3 및 R4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W는 (C1-C6)알콕시이고, Z는 할로겐 원자, 예컨대 브롬 또는 요오드, 술포닐옥시기, 또는 반응성 기, 예컨대 보릴, 스탄닐 또는 실릴을 나타냄)와 화학식 V의 R2-Z' 유도체 (식 중, R2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Z가 할로겐 원자 또는 술포닐옥시기를 나타내는 경우 Z'는 반응성 기, 예컨대 보릴, 스탄닐 또는 실릴 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거나, 또는 Z가 반응성 기, 예컨대 보릴, 스탄닐 또는 실릴 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경우 Z'는 할로겐 원자, 예컨대 브롬 또는 요오드를 나타냄)를 커플링시킨 후, 적절한 경우 상기 에스테르를 산으로 전환시킨 다음, 이를 산 클로라이드 또는 다른 반응성 유도체로 전환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변환 E1).
화학식 IV, IX 또는 X의 유도체와 화학식 V의 생성물의 커플링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통해, 특히 예를 들면 하기 참고 문헌 및 그에 인용된 참고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또는 그와 유사하게 구리- 또는 팔라듐-기재 촉매, 또는 리간드, 예컨대 포스핀의 존재하에 작업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 스즈끼(Suzuki) 유형의 반응의 경우: 문헌 [N. Miyaura, A. Suzuki, Chem. Rev., 95, 2457, (1995)],
- 스틸(Stille) 유형의 반응의 경우: 문헌 [V. Farina et al., Org. React., 50, 1 (1997)],
- 히야마(Hiyama) 유형의 반응의 경우: 문헌 [T. Hiyama et al., Top. Curr. Chem., 2002, 219, 61 (2002)],
- 네기쉬(Negishi) 유형의 반응의 경우: 문헌 [E. Negishi et al., Chem. Rev., 103, 1979 (2003)],
- 벨리나(Bellina) 유형의 반응의 경우: 문헌 [M. Miura et al., Chem. Lett., 200 (2007)].
또한, 유기금속 유도체, 예컨대 아연 유도체를 중간체 (이를 단리하지 않음)로 형성하기 위해 커플링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식 I, VI 및 II의 화합물은 또한 하기 반응식 2에 기재된 공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pct00003
이 합성 경로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따라 화학식 XI, XII 또는 XIII의 화합물 (식 중, R1, R3, R4, X, Y 및 W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V는 화학식 R2의 헤테로사이클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전구체 기임)을 전환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V는
- 2-할로아실기, 예컨대 브로모아세틸, 또는 1-할로-2-옥소알킬 기, 예컨대 1-브로모-2-옥소에틸을 나타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들은 티오우레아, 티오아미드, 구아니딘, 우레아 또는 아미드 유도체로의 처리에 의해 티아졸릴, 이미다졸릴 또는 옥사졸릴 기로 전환될 수 있고,
- 알키닐기, 예컨대 에티닐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1,2,3-트리아졸-4-일기로 전환될 수 있고,
- 아실기, 예컨대 포르밀을 나타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는 1,3-디옥솔란-2-일 또는 옥사졸릴 기로 전환될 수 있고,
- 시아노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는 디히드로이미다졸릴(2) 또는 1,3,4-트리아졸-2-일 기로 전환될 수 있다.
화학식 XI의 화합물은, 변환 B2를 통한 화학식 VI의 이미다조피리딘-2-카르복실산 유도체로부터 화합물 (I)의 제조에 대해 기재된 조건하에, 화학식 XII의 화합물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화학식 XII의 이미다조피리딘-2-카르복실산 유도체는, 변환 A2를 통한 화학식 II의 아미노피리딘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로의 전환에 대해 기재된 조건하에, 화학식 XIII의 아미노피리딘으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생성물, 및 화학식 II 또는 IV의 그의 전구체를, 바람직한 경우 그리고 필요에 따라, 화학식 I의 생성물을 수득하기 위해 또는 화학식 I의 다른 생성물로 전환시키기 위해, 하기 변환 반응 중 하나 이상에 임의의 순서로 적용할 수 있다:
a) 산 관능기를 에스테르화 또는 아미드화시키는 반응,
b) 에스테르 관능기를 가수분해하여 산 관능기를 수득하는 반응,
c) 아민 관능기를 아미드화시키는 반응,
d) 히드록실 관능기를 알콕시 관능기로 변환시키는 반응,
e) 알코올 관능기를 산화시켜 알데히드 또는 케톤 관능기로 수득하는 반응,
f) 알데히드 또는 케톤 관능기를 환원에 의해 또는 유기금속 화합물, 예컨대 유기마그네슘 화합물의 작용에 의해 변환시켜 알코올 관능기를 수득하는 반응,
g) 알데히드 또는 케톤 관능기를 전환시켜 옥심 유도체를 수득하는 반응,
h) 니트릴 라디칼을 변환시켜 알데히드 관능기를 수득하는 반응,
i) 니트릴 라디칼을 변환시켜 케톤 관능기를 수득하는 반응,
j) 알케닐기를 산화시켜 알데히드 또는 케톤 관능기를 수득하는 반응,
k) 알데히드 또는 케톤 관능기를 올레핀화시켜 알케닐기를 수득하는 반응,
l) 히드록시알킬기를 탈수화시켜 알케닐기를 수득하는 반응,
m) 알케닐 또는 일키닐 기를 전체 또는 부분 수소화시켜 알케닐 또는 알킬 기를 수득하는 반응,
n)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치환기를 도입하기 위해 유기금속 유도체, 예컨대 붕소, 주석 또는 규소 유도체와 할로겐화된 유도체를 촉매적 커플링시키는 반응,
o) 니트로기를 환원시켜 1급 아미노기를 수득하는 반응,
p) 환원성 아민화 또는 알킬화에 의해 1급 또는 2급 아미노기를 2급 또는 3급 아미노기로 전환시키는 반응,
q) 1급 아미노기를 아미딘기로 전환시키는 반응,
r) 반응성 관능기를 탈보호시키는 반응,
s) 보호된 반응성 관능기가 가질 수 있는 보호기를 제거하는 반응,
t) 상응하는 염을 수득하기 위해 무기산 또는 유기산으로 또는 염기로 염화시키는 반응,
u) 라세미체 형태를 거울상이성질체로 분할시키는 반응 (이렇게 수득한 상기 화학식 I의 생성물은 적절한 경우 모든 가능한 이성질체 형태, 라세미체 혼합물,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호변이성질체 형태를 가짐).
반응식 1 및 2에서, 출발 물질 및 시약은 그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지 않은 경우, 시판되거나 문헌에 기재된 것이거나, 또는 상기 문헌에 기재되거나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일부 화합물의 제법을 기재한다. 이들 실시예는 비제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만 제공된다. 예시된 화합물의 번호는 하기 표에 주어진 것을 인용하며, 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부 화합물의 화학 구조 및 물리적 특성을 설명한다.
실시예 1 (화합물 번호 1): {3-[2-(피페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톨루엔 중 트리메틸알루미늄의 2M 용액 253 ㎕를 아르곤하에 0℃에서 1 mL의 크실렌 중 40 ㎕의 피페리딘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얼음조를 제거하고, 100 mg의 6-[3-(히드록시메틸)페닐]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중간체 3)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30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물로 희석하고, 1N 염산을 이용하여 pH 3으로 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에 이어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에 의해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및 메탄올 (47/50/3 -> 0/84/16)의 구배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72 mg의 {3-[2-(피페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을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화합물 번호 2): {3-[2-(2,3-디히드로-4H-1,4-벤족사진-4-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76 mg의 피페리딘을 2 mL의 무수 피리딘 중 50 mg의 6-[3-(히드록시메틸)페닐]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중간체 3) 및 72 mg의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의 아르곤하에 둔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48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하에 농축에 의해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3 mL의 클로로포름으로 희석하고, 1 mL의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에 의해 건조시켰다. 고체를 메탄올로 연화처리하고, 여과한 다음, 건조시켜, 42 mg의 {3-[2-(2,3-디히드로-4H-1,4-벤족사진-4-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을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3 (화합물 번호 3): {3-[2-(모르폴린-4-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24.4 ㎕의 모르폴린을 1 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 50 mg의 6-[3-(히드록시메틸)페닐]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중간체 3), 95.5 ㎕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07 mg의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 1-옥사이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ATU) 및 38 mg의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HOAt)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고, 1.6 mL의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1 mL의 물로 희석한 다음,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5 mL의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이어서 5 mL의 물로 2회 및 5 mL의 헥산으로 2회 세척하여, 48 mg의 {3-[2-(모르폴린-4-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을 베이지색-핑크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4 (화합물 번호 4): 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N,N-디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
160 ㎕의 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을 2 mL의 무수 피리딘 중 120 mg의 6-디메틸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중간체 1) 및 224 mg의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의 아르곤하에 둔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48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하에 농축에 의해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및 메탄올 (47/50/3 -> 0/84/16)의 구배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90 mg의 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N,N-디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을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하기 기재된 중간체들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에 유용하다.
중간체 1: 에틸 6-디메틸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및 6-디메틸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1.1: 에틸 6-디메틸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26.2 mL의 에틸 브로모피루베이트를 380 mL의 DME 중 19.05 g의 5-디메틸아미노피리딘-2-아민 (J. Chem. Soc. Perkin 1, 68 (1973))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380 mL의 에탄올을 첨가한 후, 20 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최종적으로 냉각시킨 후,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고체를 350 mL의 에틸 에테르 중에 환류하에 2회 녹이고, 고온 여과한 다음, 35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 환류하에 2회 녹이고, 고온 여과하여, 39.66 g의 조 에틸 6-디메틸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히드로브로마이드를 수득하였다. 이 염을 800 mL의 물에 녹이고, 강력 교반하면서 pH 8-9에 도달할 때까지 고체 탄산나트륨으로 처리하였다. 수성 상을 50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추출하고, 합한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에 의해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 (5/1 -> 1/1)의 혼합물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컬럼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16.7 g의 에틸 6-디메틸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녹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04
1.2: 6-디메틸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107 mL의 2N 수산화리튬 수용액을 0℃에서 220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9.5 mL의 메탄올의 혼합물 중 16.7 g의 에틸 6-디메틸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후속적으로, 반응 혼합물을 20℃로 재가열하고,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0℃로 냉각된 반응 혼합물에 pH 4-5에 도달할 때까지 2N 염산을 적가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50 mL의 에틸 에테르로 2회 세척하여, 14.8 g의 6-디메틸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을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05
중간체 2: 에틸 6-메톡시-5-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및 6-메톡시-5-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2.1: 에틸 6-메톡시-5-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이 생성물은 5-디메틸아미노피리딘-2-아민 대신에 5-메톡시-6-메틸피리딘-2-아민을 사용하여 에틸 6-디메틸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6
2.2: 6-메톡시-5-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이 생성물은 6-디메틸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의 제조에 대해 기재된 것과 유사한 조건하에 에틸 6-메톡시-5-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감화시켜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7
중간체 3: 에틸 6-[3-(히드록시메틸)페닐]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및 6-[3-(히드록시메틸)페닐]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3.1: 에틸 6-[3-(히드록시메틸)페닐]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사전에 탈기된 톨루엔 및 물 (5/1)의 혼합물 475 mL를 아르곤 분위기하에 25 g의 에틸 6-브로모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13 g의 3-(히드록시메틸)페닐보론산, 5 g의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바이페닐, 1.6 g의 팔라듐 아세테이트 및 19 g의 인산칼륨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였다. 20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2회 추출한 후, 합한 유기상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에 의해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메탄올 (100/0 -> 96/4)의 혼합물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컬럼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16.1 g의 에틸 6-[3-(히드록시메틸)페닐]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밝은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08
3.2: 6-[3-(히드록시메틸)페닐]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90 mL의 2N 수산화리튬 수용액을 180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9 mL의 메탄올의 혼합물 중 17.9 g의 에틸 6-[3-(히드록시메틸)페닐]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후속적으로,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0℃로 냉각된 반응 혼합물에 pH 4-5에 도달할 때까지 2N 염산을 적가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50 mL의 에틸 에테르로 2회 세척하여, 15.3 g의 6-[3-(히드록시메틸)페닐]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을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09
중간체 4: 6-(6-{[(1,1-디메틸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4.1: 에틸 6-(6-아미노피리딘-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350 mg의 2-아미노-6-브로모피리딘, 750 mg의 2-에톡시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보론산 및 57 mg의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을 진공하에 탈기시킨 다음, 아르곤하에 20 mL의 탈기된 디옥산에 현탁시켰다. 2 mL의 2N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한 후, 혼합물을 진공하에 탈기시키고, 아르곤하에 두고, 5 시간 동안 90℃에서 가열한 다음, 냉각시키고, 희석하고, 50 mL의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 및 50 mL의 디클로로메탄의 혼합물 중에서 교반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에 의해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헥산의 혼합물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목적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하고, 감압하에 농축에 의해 건조시켜, 446 mg의 에틸 6-(6-아미노피리딘-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10
4.2: 에틸 6-(6-{[(1,1-디메틸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및 에틸 6-(6-{비스[(1,1-디메틸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5 mL의 아세토니트릴 중 700 mg의 에틸 6-(6-아미노피리딘-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및 25 mg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의 현탁액에 1.14 mL의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6 시간 동안 25℃에서 교반한 다음,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헥산 (50/50 -> 100/0)의 구배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370 mg의 에틸 6-(6-{비스[(1,1-디메틸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11
및 163 mg의 에틸 6-(6-{[(1,1-디메틸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12
4.3: 6-(6-{[(1,1-디메틸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0.9 mL의 2 M 수산화리튬 수용액을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메탄올의 50:1 혼합물 4.73 mL 중 292 mg의 에틸 6-(6-{비스[(1,1-디메틸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 시간 동안 25℃에서 교반한 다음, pH 3에 도달할 때까지 0℃에서 2 N 염산으로 적가 처리하였다. 20 분 후 형성된 침전물을 흡인에 의해 여과하고, 물 (20 mL) 및 디에틸 에테르 (20 ml)로 세척한 다음, 감압하에 건조시켜, 195 mg의 6-(6-{[(1,1-디메틸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을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13
중간체 5: 6-(피리딘-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5.1: 에틸 (6-피리딘-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3.18 g의 탄산세슘, 25 mL의 디옥산, 9.3 mL의 물, 500 mg의 2-요오도피리딘, 89 mg의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 및 848 mg의 에틸 6-(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히드로브로마이드 (1:1)의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110℃에서 가열한 다음, 부분적으로 농축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여과하였다. 유기상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에 의해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및 시클로헥산 (80/20)의 혼합물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카트리지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목적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하고, 감압하에 농축에 의해 건조시켜, 317 mg의 에틸 6-(피리딘-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갈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14
5.2: 6-(피리딘-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317 mg의 에틸 6-(피리딘-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중간체 4 (단계 4.3)의 제조에 대해 기재된 것과 유사한 조건하에 감화시켜, 280 mg의 6-(피리딘-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을 페이스트성 핑크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15
중간체 6: 에틸 6-(1-트리페닐메틸-1H-이미다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및 6-(1-트리페닐메틸-1H-이미다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6.1: 에틸 6-(1-트리페닐메틸-1H-이미다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873 mg의 4-요오도-1-(트리페닐메틸)이미다졸, 750 mg의 2-에톡시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보론산, 23 mg의 팔라듐 아세테이트 및 70 mg의 (2-바이페닐)디시클로헥실포스핀을 진공하에 탈기시킨 다음, 아르곤하에 15 mL의 톨루엔, 5 mL의 물 및 5 mL의 N-메틸피롤리돈의 탈기된 혼합물에 현탁시켰다. 950 mg의 인산칼륨을 첨가한 후, 혼합물을 진공하에 탈기시킨 다음, 아르곤하에 두고, 15 분 동안 100℃에서 극초단파에 의해 가열한 다음, 냉각시키고, 희석시키고, 50 mL의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 및 50 mL의 디클로로메탄의 혼합물 중에서 교반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에 의해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헥산의 혼합물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목적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하고, 감압하에 농축에 의해 건조시켜, 508 mg의 에틸 6-(1-트리페닐메틸-1H-이미다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16
6.2: 6-(1-트리페닐메틸-1H-이미다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500 mg의 에틸 6-(1-트리페닐메틸-1H-이미다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중간체 4 (단계 4.3)의 제조에 대해 기재된 것과 유사한 조건하에 감화시켜, 346 mg의 6-(1-트리페닐메틸-1H-이미다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17
중간체 7: 6-(1H-피롤-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7.1: 에틸 6-[1-(트리이소프로필실릴)-1H-피롤-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100 mg의 에틸 6-요오도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135 mg의 1-(트리이소프로필실릴)피롤-3-보론산 및 18 mg의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을 진공하에 탈기시킨 다음, 아르곤하에 1.5 mL의 1,2-디메톡시에탄, 1.5 mL의 에탄올 및 316 ㎕의 2N 탄산나트륨 수용액의 탈기된 혼합물에 현탁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4 시간 동안 환류한 다음, 냉각시키고, 희석시키고, 5 mL의 반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및 5 mL의 디클로로메탄의 혼합물과 함께 교반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에 의해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헥산 (50/50)의 혼합물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목적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하고, 감압하에 농축에 의해 건조시켜, 121 mg의 에틸 6-[1-(트리이소프로필실릴)-1H-피롤-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18
7.2: 6-(1H-피롤-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히드로클로라이드 (1:1)
292 mg의 에틸 6-[1-(트리이소프로필실릴)-1H-피롤-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중간체 4 (단계 4.3)의 제조에 대해 기재된 것과 유사한 조건하에 감화시켜, 140 mg의 6-(1H-피롤-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히드로클로라이드 (1:1)를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중간체 8: 6-(1H-피라졸-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8.1: 에틸 6-(1H-피라졸-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이 생성물은 1-(트리이소프로필실릴)피롤-3-보론산을 피라졸-3-보론산으로 교체하여 중간체 7 (단계 7.1)의 제조에 대해 기재된 것과 유사한 조건하에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20
8.2: 6-(1H-피라졸-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128 mg의 에틸 6-(1H-피라졸-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중간체 4 (단계 4.3)의 제조에 대해 기재된 것과 유사한 조건하에 감화시켜, 113 mg의 6-(1H-피라졸-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21
중간체 9: 6-(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9.1: 에틸 6-(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이 생성물은 1-(트리이소프로필실릴)피롤-3-보론산을 푸란-2-보론산으로 교체하여 중간체 7 (단계 7.1)의 제조에 대해 기재된 것과 유사한 조건하에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22
9.2: 6-(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384 mg의 에틸 6-(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중간체 1 (단계 1.3)의 제조에 대해 기재된 것과 유사한 조건하에 감화시켜, 256 mg의 6-(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23
중간체 10: 6-(푸란-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10.1: 에틸 6-(푸란-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이 생성물은 1-(트리이소프로필실릴)피롤-3-보론산을 푸란-3-보론산으로 교체하여 중간체 7 (단계 7.1)의 제조에 대해 기재된 것과 유사한 조건하에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24
10.2: 6-(푸란-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384 mg의 에틸 6-(푸란-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중간체 4 (단계 4.3)의 제조에 대해 기재된 것과 유사한 조건하에 감화시켜, 287 mg의 6-(푸란-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25
중간체 11: 6-[5-(히드록시메틸)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11.1: 에틸 6-(5-포르밀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2 g의 에틸 6-요오도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1.42 g의 5-포르밀푸란-2-보론산 및 231 mg의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을 진공하에 탈기시킨 다음, 아르곤하에 30 mL의 디옥산 및 9.4 mL의 2N 탄산나트륨 수용액의 탈기된 혼합물에 현탁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5 시간 동안 90℃에서 가열한 다음, 16 시간 동안 20℃에서 교반하고, 농축에 의해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헥산 (90/10)의 혼합물, 에틸 아세테이트,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 및 메탄올 (99/1)의 혼합물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목적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하고, 감압하에 농축에 의해 건조시켜, 884 mg의 에틸 6-(5-포르밀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26
11.2: 에틸 6-[5-(히드록시메틸)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15 mL의 에탄올 중 770 mg의 에틸 6-(5-포르밀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의 현탁액에 123 mg의 수소화붕소나트륨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90 분 동안 교반한 다음, 희석시키고, 10 mL의 디클로로메탄 및 3 mL의 반포화 탄산나트륨 수용액과 함께 교반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및 메탄올 (98/2)의 혼합물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목적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하고, 감압하에 농축에 의해 건조시켰다. 수득한 고체를 5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연화처리하고, 여과하고, 건조시켜, 403 mg의 에틸 6-[5-포르밀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27
11.3: 6-[5-(히드록시메틸)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400 mg의 에틸 6-[5-(히드록시메틸)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중간체 4 (단계 4.3)의 제조에 대해 기재된 것과 유사한 조건하에 감화시켜, 346 mg의 6-[5-(히드록시메틸)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을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28
중간체 12: 6-(옥사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12.1: 에틸 6-(옥사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1 g의 에틸 6-요오도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350 mg의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및 360 mg의 염화리튬을 진공하에 탈기시킨 다음, 아르곤하에 15 mL의 탈기된 디옥산에 현탁시켰다. 5 g의 2-[트리-(n-부틸)스탄닐]옥사졸을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3.5 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냉각시키고, 희석시키고, 100 mL의 1M 불화칼륨 수용액 및 20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의 혼합물과 함께 교반하였다. 수성상을 20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에 의해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헥산 (80/20 -> 100/0)의 구배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목적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하고, 감압하에 농축에 의해 건조시켜, 530 mg의 에틸 6-(옥사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29
12.2: 6-(옥사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512 mg의 에틸 6-(옥사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중간체 4 (단계 4.3)의 제조에 대해 기재된 것과 유사한 조건하에 감화시켜, 365 mg의 6-(옥사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을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30
중간체 13: 6-(1H-1,2,4-트리아졸-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13.1: 에틸 6-[에톡시(이미노)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470 mg의 나트륨 에탄티올레이트를 15 mL의 에탄올 및 10 mL의 디클로로메탄의 혼합물 중 1 g의 에틸 6-시아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J. Med. Chem. (1998), 41(22), 4317)의 0℃로 냉각된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 시간 동안 25℃에서 교반하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증발에 의해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및 메탄올 (98/2)의 혼합물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625 mg의 에틸 6-[에톡시(이미노)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담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31
13.2: 에틸 6-[히드라지노(이미노)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12 mL의 에탄올 중 625 mg의 에틸 6-[에톡시(이미노)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의 용액에 0-5℃에서 0.2 mL의 히드라진 수화물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추가 73 ㎕의 히드라진 수화물을 첨가하고, 온도를 25℃로 상승시키면서 혼합물을 2 시간 더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에 의해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건조시켜, 600 mg의 에틸 6-[히드라지노(이미노)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수득하였고, 이를 나머지 합성에서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Figure pct00032
13.3: 에틸 6-(1H-1,2,4-트리아졸-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6 mL의 포름산 중 580 mg의 에틸 6-[히드라지노(이미노)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의 현탁액을 20 시간 동안 85℃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그의 초기 부피의 20% 미만으로 농축시키고, 20 mL의 물로 희석하였다. pH 8-9에 도달할 때까지 고체 탄산나트륨을 0-5℃에서 첨가하였다. 침전물을 흡인에 의해 여과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및 메탄올 (98/2)의 혼합물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320 mg의 에틸 6-(1H-1,2,4-트리아졸-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33
13.4: 6-(1H-1,2,4-트리아졸-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320 mg의 에틸 6-(1H-1,2,4-트리아졸-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중간체 4 (단계 4.3)의 제조에 대해 기재된 것과 유사한 조건하에 감화시켜, 238 mg의 6-(1H-1,2,4-트리아졸-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을 회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34
중간체 14: 6-(1H-1,2,3-트리아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14.1: 에틸 6-[(트리메틸실릴)에티닐]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4 g의 에틸 6-요오도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2.63 mL의 에티닐트리메틸실란 및 888 mg의 디클로로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의 혼합물을 진공하에 탈기시켰다. 240 mg의 탈기된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3.52 mL의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하에 탈기시키고, 50℃에서 50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냉각시키고, 20 mL의 물로 희석하였다. 침전물을 흡인에 의해 여과하고, 5 mL의 물로 세척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헥산 (50/50 -> 90/10)의 혼합물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목적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하고, 감압하에 농축에 의해 건조시켜, 3.6 g의 에틸 6-[(트리메틸실릴)에티닐]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회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35
14.2: 에틸 6-에티닐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10 mL의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500 mg의 에틸 6-[(트리메틸실릴)에티닐]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의 0℃로 냉각된 용액에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의 1M 용액 1.58 mL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0 분 동안 교반한 다음, 5 mL의 물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2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추출하였다.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헥산 (1/3 -> 1/1)의 혼합물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목적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하고, 감압하에 농축에 의해 건조시켜, 280 mg의 에틸 6-에티닐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36
14.3: 에틸 6-(1H-1,2,3-트리아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메탄올의 혼합물 (9/1) 4 mL 중 220 mg의 에틸 6-에티닐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및 0.21 mL의 아지도트리메틸실란의 용액에 9.8 mg의 요오드화 제1구리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100℃에서 교반한 다음, 냉각시키고, 4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알루미나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에 의해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및 에탄올 (97/3)의 혼합물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목적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하고, 감압하에 농축에 의해 건조시켜, 125 mg의 에틸 6-(1H-1,2,3-트리아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회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37
14.4: 6-(1H-1,2,3-트리아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125 mg의 에틸 6-(1H-1,2,3-트리아졸-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중간체 4 (단계 4.3)의 제조에 대해 기재된 것과 유사한 조건하에 감화시켜, 72 mg의 6-(1H-1,2,3-트리아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을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38
하기 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일부 실시예의 화학식 I의 화학 구조 (표 1) 및 분광학적 특징 (표 2)이 설명된다.
표 1에서, "염" 란에서 "-"는 유리 염기 형태의 화합물을 나타내고, "HCl"은 히드로클로라이드 형태의 화합물을 나타내고, "CH3COOH"는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형태의 화합물을 나타내고, 괄호 안의 비는 (염기:산) 비이다.
<표 1>
Figure pct00039
Figure pct00040
Figure pct00041
Figure pct00042
<표 2>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Figure pct00045
Figure pct00046
Figure pct00047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NOT에 대한 그들의 조절 효과를 측정 가능하게 하는 약리 시험의 대상이었다.
N2A 세포에 대한 시험관내 활성의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활성은 마우스 Nurr1 수용체를 내인적으로 발현하고, 루시페라제 리포터 유전자에 커플링된 NOT 결합 반응 요소 (NBRE)로 안정하게 트랜스펙션된 세포주 (N2A)에서 평가하였다. EC50 값은 0.01 내지 1000 nM이었다. 시험을 하기 기재된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Neuro-2A 세포주는 상업적인 표준 공급원 (ATCC)으로부터 구하였다. Neuro-2A 클론은 알.제이 클레베(R.J Klebe) 등에 의해 생성된 마우스 A 알비노 계통으로부터 유래한 자연발생 종양으로부터 입수하였다. 그 후, 이 Neuro-2A 세포주를 8NBRE-루시페라제로 안정하게 트랜스펙션시켰다. N2A-8NBRE 세포를 10%의 태아 소 혈청, 4.5 g/ℓ의 글루코스 및 0.4 mg/mL의 게네티신으로 보충된 DMEM을 함유하는 75 ㎠ 배양 플라스크에서 전면생장까지 배양시켰다. 1 주일 배양 후, 세포를 0.25% 트립신으로 30 초 동안 회수한 다음, 페놀 레드는 함유하지 않고, 4.5 g/ℓ의 글루코스 및 10%의 하이클론(Hyclone) 탈지 혈청을 함유하는 DMEM에 재현탁시키고, 백색의 투명-바닥 96-웰 플레이트에 침착시켰다. 세포를 24 시간 동안 75 ㎕의 웰 당 60 000 개의 비율로 침착시킨 후, 생성물을 첨가하였다. 생성물을 25 ㎕로 가하고, 24 시간 더 인큐베이션하였다. 측정하는 날, 동일한 부피 (100 ㎕)의 스테디라이트(Steadylite)를 각 웰에 첨가한 후, 세포의 완전한 용해 및 신호의 최대 생성을 달성하기 위해 30 분 동안 방치하였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접착 필름으로 밀봉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대한 발광 카운터에서 측정하였다. 생성물을 10-2 M의 원액의 형태로 제조한 다음, 100%의 DMSO로 희석하였다. 각 생성물 농도는 세포와 함께 인큐베이션하기 전에, 최종 농도 0.625%의 DMSO를 함유하도록 배양 배지로 미리 희석시켰다.
예를 들면, 화합물 번호 7, 8, 17, 30, 35 및 43은 각각 5 nM, 0.8 nM, 6.7 nM, 56 nM, 11 nM 및 2.4 nM의 EC50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NOT에 대해 조절 효과를 갖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5-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 및 2-(4-티오모르폴린-1-일카르보닐)-6-클로로이미다조[1,2-a]피리딘, 및 이들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산과의 부가염은 NOT 수용체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서의 그들의 치료학적 적용을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의 대상은 상기 정의된 화학식 I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5-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 및 2-(4-티오모르폴린-1-일카르보닐)-6-클로로이미다조[1,2-a]피리딘, 및 이들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산과의 부가염을 포함하는, 더욱 특별하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산과의 부가염 중 하나를 포함하는 의약이다.
이들 의약은 치료제로서, 특히 신경변성 질환, 예컨대 파킨슨 질환, 알츠하이머 질환 또는 타우병증 (예를 들면, 진행성 상핵 마비, 전측두엽성 치매, 피질 기저핵 변성 또는 피크(Pick) 질환); 뇌 외상, 예컨대 허혈 및 두개 외상, 및 간질, 정신의학적 질환, 예컨대 정신분열증, 우울증, 물질 의존증, 또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중추신경계의 염증 질환, 예컨대 다발성 경화증, 뇌염, 척수염 및 뇌척수염, 및 다른 염증 질환, 예컨대 혈관 질병,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관절 염증, 관절증, 또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관절염, 크론(Crohn) 질환, 궤양성 대장염; 알레르기성 염증 질환, 예컨대 천식, 자가면역 질환, 예컨대 제1형 당뇨병, 루푸스, 피부경화증, 길랑-바레(Guillain-Barre) 증후군, 애디슨(Addison) 질환 및 다른 면역매개 질환; 골다공증; 또는 암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질환 중 하나의 치료 및 예방에서 상기 정의된 화학식 I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5-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 및 2-(4-티오모르폴린-1-일카르보닐)-6-클로로이미다조[1,2-a]피리딘, 및 이들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산과의 부가염을 목표로 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이들 의약은 암을 제외한 상기 언급된 질환 중 하나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질환 중 하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의도된 의약의 제조에서의 상기 언급된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들 화합물은 또한 줄기 세포 이식 및/또는 그라프트와 조합된 치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상기 정의된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들 제약 조성물은 유효량의 상기 정의된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함유한다.
상기 부형제는 제약 형태 및 목적하는 투여 방법에 따라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부형제로부터 선택된다.
경구, 설하, 피하, 근육내, 정맥내, 국소, 국부, 기관내, 비강내, 경피 또는 직장 투여를 위한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에서, 상기 정의된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활성 성분, 또는 그의 염은 상기 장애 또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통상의 제약 부형제와의 혼합물로서 단위 투여 형태로 동물 및 인간에게 투여될 수 있다.
적합한 단위 투여 형태에는 경구 형태, 예컨대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캡슐, 분말, 과립 및 경구 용액 또는 현탁액, 설하, 협측, 기관내, 안내 또는 비강내 투여 형태, 흡입에 의한 투여 형태, 국소, 경피, 피하, 근육내 또는 정맥내 투여 형태, 직장 투여 형태, 및 임플란트가 포함된다. 국소 투여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크림, 겔, 연고 또는 로션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정제 형태의 단위 투여 형태는 하기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50.0 mg
만니톨: 223.75 mg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6.0 mg
옥수수 전분: 15.0 mg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2.25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3.0 mg
더 많거나 적은 투여량이 적절한 특별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통상적인 실무에 따르면, 각각의 환자에게 적절한 투여량은 투여 방법, 및 상기 환자의 체중 및 반응에 따라 전문의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유효량의 상기 정의된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중 하나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나타낸 질병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정의된 모든 본 발명의 대상, 특히 의약, 제약 조성물 및 치료 방법은 또한 상기 정의된 화합물의 하위 군과 더욱 특별하게 관련됨을 이해한다.

Claims (20)

  1. 염기, 또는 산 부가염 형태의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
    Figure pct00048

    상기 식에서,
    X 및 Y는 그들을 보유한 질소 원자와 함께, O, S 또는 N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포화 또는 부분 포화, 모노- 또는 바이시클릭, 5원 내지 10원 시클릭 아민을 형성하고, 이는 할로겐 원자 또는 (C1-C6)알킬, (C1-C6)알콕시, 시아노, NRaRb 또는 COOR8 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상기 (C1-C6)알킬 및 (C1-C6)알콕시 기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임의로 치환되고;
    R1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C1-C6)알콕시, (C1-C6)알킬 또는 NRcRd 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 및 알콕시 기의 경우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또는 히드록실, 아미노 또는 (C1-C6)알콕시 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R2는 하기 기 중 하나를 나타내고:
    ㆍ 수소 원자,
    ㆍ 히드록실, 할로겐 원자, NRaRb 기, (C1-C6)알콕시기 또는 페닐기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임의로 치환된 (C1-C6)알킬기,
    ㆍ 히드록실, 할로겐 원자 또는 NRaRb 기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임의로 치환된 (C1-C6)알콕시기,
    ㆍ (C2-C6)알케닐기,
    ㆍ (C2-C6)알키닐기,
    ㆍ -CO-R5 기,
    ㆍ -CO-NR6R7 기,
    ㆍ -CO-O-R8 기,
    ㆍ -NR9-CO-R10 기,
    ㆍ -N=CH-NRaRb 기,
    ㆍ NR11R12 기,
    ㆍ 할로겐 원자,
    ㆍ 시아노, 니트로, 히드록시이미노알킬 또는 알콕시이미노알킬 기,
    ㆍ (C1-C6)알킬티오기,
    ㆍ (C1-C6)알킬술피닐기,
    ㆍ (C1-C6)알킬술포닐기,
    ㆍ ((C1-C6)알킬)3실릴에티닐기,
    ㆍ -SO2-NR9R10 기,
    ㆍ 할로겐, (C1-C6)알콕시, 시아노, NRaRb, -CO-R5, -CO-NR6R7, -CO-O-R8, 또는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또는 NRaRb 기로 임의로 치환된 (C1-C6)알킬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자 또는 기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
    ㆍ 할로겐 원자 또는 (C1-C6)알킬, (C1-C6)알콕시, 시아노, NRaRb 또는 COOR8 기로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시클릭기 (상기 (C1-C6)알킬 및 (C1-C6)알콕시 기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또는 히드록실기로 임의로 치환됨);
    R3은 수소 원자, (C2-C6)알킬기, (C1-C6)알콕시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4는 수소 원자,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또는 불소 원자를 나타내고;
    R5는 수소 원자, 페닐기 또는 (C1-C6)알킬기를 나타내고;
    R6 및 R7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C1-C6)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그들을 보유한 질소 원자와 함께, N, O 또는 S로부터 선택된 또다른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4원 내지 7원 고리를 형성하고;
    R8은 (C1-C6)알킬기를 나타내고;
    R9 및 R10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C1-C6)알킬기를 나타내고;
    R11 및 R1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C1-C6)알킬기를 나타내고;
    Ra 및 Rb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킬이거나, 또는 그들을 보유한 질소 원자와 함께 4원 내지 7원 고리를 형성하고;
    Rc는 수소이고, Rd는 (C1-C6)알킬이되;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5-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 및 2-(4-티오모르폴린-1-일카르보닐)-6-클로로이미다조[1,2-a]피리딘은 제외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R2가 수소 또는 염소 원자가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2가 하기 기 중 하나를 나타내고:
    ㆍ (C1-C6)알콕시기,
    ㆍ NR11R12 기,
    ㆍ -CO-R5, 또는 그 자체가 히드록실로 임의로 치환된 (C1-C6)알킬기로부터 선택된 기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
    ㆍ NRaRb 기로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시클릭기;
    R5가 (C1-C6)알킬기를 나타내고;
    R11 및 R12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C1-C6)알킬기를 나타내고;
    Ra 및 Rb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 및 Y가 그들을 보유한 질소 원자와 함께, O 또는 S로부터 선택된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며 할로겐 원자로부터 선택된 기로 임의로 치환된, 포화 또는 부분 포화, 모노- 또는 바이시클릭, 5원 내지 10원 시클릭 아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XY가 할로겐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디히드로벤족사진, 인돌린, 이소인돌린, 모르폴린, 피페리딘, 피롤리딘, 피롤린, 테트라히드로피리딘, 테트라히드로퀴놀린, 티오모르폴린 또는 테트라히드로티에노피리딘 기를 나타내고;
    R2가 하기 기 중 하나를 나타내고:
    ㆍ (C1-C6)알콕시기,
    ㆍ NR11R12 기,
    ㆍ 할로겐, (C1-C6)알콕시기, 히드록실로 임의로 치환된 (C1-C6)알킬, 또는 C(O)R5 기로부터 선택된 기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
    ㆍ NRaRb, 또는 그 자체가 히드록실로 임의로 치환된 (C1-C6)알킬기로 임의로 치환된, 피리딜기, 피라졸릴기, 푸릴기, 옥사졸릴기, 트리아졸릴기, 피롤릴기 또는 이미다졸릴기;
    R5가 (C1-C6)알킬기를 나타내고;
    R11 및 R12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원자 또는 (C1-C6)알킬기를 나타내고;
    Ra 및 Rb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킬이고;
    R1, R3 및 R4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XY가 디히드로벤족사진기, 불소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인돌린기, 이소인돌린기, 모르폴린기, 피페리딘기, 피롤리딘기, 피롤린기, 테트라히드로피리딘기, 테트라히드로퀴놀린기, 티오모르폴린기 또는 테트라히드로티에노피리딘기를 나타내고;
    R2가 메톡시기; 히드록시메틸, 히드록시에틸, 히드록시메틸에틸, 아세틸 또는 N-메틸기로 치환된 페닐기; 아미노기로 임의로 치환된 피리딜기; 피라졸릴기; 히드록시메틸기로 임의로 치환된 푸릴기; 옥사졸릴기; 트리아졸릴기; 피롤릴기 또는 이미다졸릴기를 나타내고;
    R1, R3 및 R4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 또는 산 부가염 형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ㆍ {3-[2-(피페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3-[2-(2,3-디히드로-4H-1,4-벤족사진-4-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3-[2-(모르폴린-4-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N,N-디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
    ㆍ {3-[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3-{2-[(6-플루오로-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3-[2-(2,5-디히드로-1H-피롤-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3-[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3-[2-(피롤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3-[2-(4,5,6,7-테트라히드로티에노[3,2-c]피리딘-5-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2-(2,3-디히드로-4H-1,4-벤족사진-4-일카르보닐)-N,N-디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
    ㆍ {3-[2-(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3-[2-(1,3-디히드로-2H-이소인돌-2-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N,N-디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
    ㆍ 2-(1,3-디히드로-2H-이소인돌-2-일카르보닐)-N,N-디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
    ㆍ N,N-디메틸-2-(피페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
    ㆍ 2-[(6-플루오로-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N,N-디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
    ㆍ N,N-디메틸-2-(모르폴린-4-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
    ㆍ 2-(2,5-디히드로-1H-피롤-1-일카르보닐)-N,N-디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
    ㆍ {3-[2-(티오모르폴린-4-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페닐}메탄올
    ㆍ N,N-디메틸-2-(피롤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
    ㆍ 2-(4,5,6,7-테트라히드로티에노[3,2-c]피리딘-5-일카르보닐)-N,N-디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
    ㆍ N,N-디메틸-2-(티오모르폴린-4-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아민
    ㆍ 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6-메톡시-5-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
    ㆍ 6-(피리딘-2-일)-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ㆍ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6-(피리딘-2-일)이미다조[1,2-a]피리딘
    ㆍ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6-(1H-피라졸-3-일)이미다조[1,2-a]피리딘
    ㆍ 6-(푸란-2-일)-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ㆍ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6-(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
    ㆍ 6-(옥사졸-2-일)-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ㆍ 6-(푸란-3-일)-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ㆍ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6-(푸란-3-일)이미다조[1,2-a]피리딘
    ㆍ 6-[5-(히드록시메틸)푸란-2-일]-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ㆍ [(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6-(1H-1,2,4-트리아졸-3-일)이미다조[1,2-a]피리딘
    ㆍ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6-(1H-1,2,4-트리아졸-3-일)이미다조[1,2-a]피리딘
    ㆍ 6-(6-아미노피리딘-2-일)-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및 그의 디히드로클로라이드
    ㆍ 6-(6-아미노피리딘-2-일)-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및 그의 디히드로클로라이드
    ㆍ 6-(1H-피롤-3-일)-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ㆍ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6-(1H-피롤-3-일)이미다조[1,2-a]피리딘
    ㆍ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6-(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 및 그의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1·1)
    ㆍ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6-[5-(히드록시메틸)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 및 그의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1·1)
    ㆍ 6-(1H-이미다졸-4-일)-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ㆍ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6-(1H-이미다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
    ㆍ 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6-(1H-1,2,3-트리아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
    ㆍ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6-(1H-1,2,3-트리아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
    ㆍ 6-(3-아세틸페닐)-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ㆍ (RS)-6-[3-(1-히드록시에틸)페닐]-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ㆍ 6-[3-(1-히드록시-1-메틸에틸)페닐]-2-[(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딘-1-일)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 및
    이들의 산 부가염
    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5-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 또는 2-(4-티오모르폴린-1-일카르보닐)-6-클로로이미다조[1,2-a]피리딘, 및 이들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산과의 부가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들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산과의 부가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 조성물.
  11. 신경변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의도된 의약의 제조에서의 제6항 또는 제7항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
  12. 뇌 외상 및 간질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의도된 의약의 제조에서의 제6항 또는 제7항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
  13. 정신의학적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의도된 의약의 제조에서의 제6항 또는 제7항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
  14. 염증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의도된 의약의 제조에서의 제6항 또는 제7항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
  15. 골다공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의도된 의약의 제조에서의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
  16. 암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의도된 의약의 제조에서의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
  17. 파킨슨 질환, 알츠하이머 질환, 타우병증 또는 다발성 경화증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의도된 의약의 제조에서의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
  18. 정신분열증, 우울증, 물질 의존증 또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의도된 의약의 제조에서의 제6항 또는 제7항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
  19. 하기 화합물:
    에틸 6-메톡시-5-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6-메톡시-5-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에틸 6-[3-(히드록시메틸)페닐]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6-[3-(히드록시메틸)페닐]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에틸 6-(6-{[(1,1-디메틸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6-(6-{[(1,1-디메틸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에틸 6-(피리딘-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6-(피리딘-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에틸 6-(1-트리페닐메틸-1H-이미다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6-(1-트리페닐메틸-1H-이미다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에틸 6-[1-(트리이소프로필실릴)-1H-피롤-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6-(1H-피롤-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에틸 6-(1H-피라졸-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6-(1H-피라졸-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에틸 6-(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6-(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에틸 6-(푸란-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6-(푸란-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에틸 6-[5-(히드록시메틸)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6-[5-(히드록시메틸)푸란-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에틸 6-(옥사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6-(옥사졸-2-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에틸 6-(1H-1,2,4-트리아졸-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6-(1H-1,2,4-트리아졸-3-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에틸 6-(1H-1,2,3-트리아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및
    6-(1H-1,2,3-트리아졸-4-일)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산.
  20. 제6항 또는 제7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의 합성에서의 제15항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
KR1020107017147A 2008-01-02 2008-12-31 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유도체, 그의 제법 및 치료제에서 그의 용도 KR201001099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00004A FR2925902B1 (fr) 2008-01-02 2008-01-02 DERIVES D'IMIDAZO°1,2-a!PYRIDINE-2-CARBOXAMIDES,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FR0800004 2008-0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941A true KR20100109941A (ko) 2010-10-11

Family

ID=39739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147A KR20100109941A (ko) 2008-01-02 2008-12-31 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유도체, 그의 제법 및 치료제에서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20100317656A1 (ko)
EP (1) EP2225244A1 (ko)
JP (1) JP2011508759A (ko)
KR (1) KR20100109941A (ko)
CN (1) CN101959886A (ko)
AR (1) AR070073A1 (ko)
AU (1) AU2008352728A1 (ko)
BR (1) BRPI0822223A2 (ko)
CA (1) CA2710797A1 (ko)
CL (1) CL2008003927A1 (ko)
CO (1) CO6331307A2 (ko)
EA (1) EA201070817A1 (ko)
FR (1) FR2925902B1 (ko)
IL (1) IL206673A0 (ko)
MA (1) MA32057B1 (ko)
MX (1) MX2010007351A (ko)
PA (1) PA8810101A1 (ko)
PE (1) PE20091182A1 (ko)
TW (1) TW200932746A (ko)
UY (1) UY31588A1 (ko)
WO (1) WO20091126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5907B1 (fr) * 2008-01-02 2010-10-15 Sanofi Aventis DERIVES DE 2-HETEROAROYL-IMIDAZO°1,2-a!PYRIDINE,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US8809541B2 (en) * 2010-08-25 2014-08-19 Neopharm Co., Ltd. Heterocyclic compoun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using same
EP3259264B1 (en) 2015-02-20 2022-07-27 Rigel Pharmaceuticals, Inc. Gdf-8 inhibitors
SG11202002032SA (en) 2017-09-22 2020-04-29 Jubilant Epipad LLC Heterocyclic compounds as pad inhibitors
MX2020003341A (es) 2017-10-18 2020-09-17 Jubilant Epipad LLC Compuestos de imidazo-piridina como inhibidores de pad.
EP3707135A1 (en) 2017-11-06 2020-09-16 Jubilant Prodel LLC Pyrimidine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pd1/pd-l1 activation
CN107915752B (zh) * 2017-11-14 2018-09-18 牡丹江医学院 一种治疗白内障的药物及其制备方法
HRP20240736T1 (hr) 2017-11-24 2024-11-08 Jubilant Episcribe Llc Heterociklički spojevi kao inhibitori prmt5
BR112020018610A2 (pt) 2018-03-13 2020-12-29 Jubilant Prodel LLC Compostos de fórmula i, fórmula ii, fórmula iii, fórmula iv, fórmula v, fórmula vi, ou seus polimorfos, estereoisômeros, tautômeros, profármacos, solvatos e sais farmaceuticamente aceitáveis dos mesmos e uso dos mesmos; processo de preparação;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método para o tratamento e/ou prevenção de várias doenças, que incluem câncer e doenças infecciosa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27189D0 (en) * 1988-11-21 1988-12-29 Fujisawa Pharmaceutical Co 2(1h)-quinolinone compounds processes for preparation thereof &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me
US5716964A (en) * 1989-12-04 1998-02-10 G.D. Searle & Co. Tetrazolyl substituted imidazo 1,2-a!pyridinylalkyl compounds for treatment of neurotoxic injury
FR2696177B1 (fr) * 1992-09-28 1995-05-12 Synthelabo Dérivés de pipéridine, leur pré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érapeutique.
GB0420519D0 (en) * 2004-09-15 2004-10-20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US20120121540A1 (en) * 2007-08-10 2012-05-17 Franz Ulrich Schmitz Certain Nitrogen Containing Bicyclic Chemical Entities For Treating Viral Infections
EP2219646A4 (en) * 2007-12-21 2010-12-22 Univ Rochester PROCESS FOR EXTENDING THE LIFE OF EUKARYOTIC ORGANIS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25902A1 (fr) 2009-07-03
CA2710797A1 (fr) 2009-09-17
CN101959886A (zh) 2011-01-26
MX2010007351A (es) 2010-10-05
IL206673A0 (en) 2010-12-30
UY31588A1 (es) 2009-08-03
EP2225244A1 (fr) 2010-09-08
PE20091182A1 (es) 2009-08-31
US20100317656A1 (en) 2010-12-16
AR070073A1 (es) 2010-03-10
EA201070817A1 (ru) 2011-02-28
BRPI0822223A2 (pt) 2015-06-23
MA32057B1 (fr) 2011-02-01
TW200932746A (en) 2009-08-01
CO6331307A2 (es) 2011-10-20
JP2011508759A (ja) 2011-03-17
FR2925902B1 (fr) 2011-01-07
WO2009112651A1 (fr) 2009-09-17
PA8810101A1 (es) 2009-08-26
AU2008352728A1 (en) 2009-09-17
CL2008003927A1 (es) 201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53232B2 (en) Polysubstituted derivatives of 6-heteroaryl-imidazo[1,2-a] pyridines, and preparation and therapeutic use thereof
KR20100109941A (ko) 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유도체, 그의 제법 및 치료제에서 그의 용도
BRPI0908907A2 (pt) derivados polissubstituídos de 2-heteroaril-6-fenil-imidazo[1,2-alfa]piridinas, e o respectivo preparo e a respectiva aplicação em terapêutica
US20100317673A1 (en) N-HETEROCYCLIC-IMIDAZO[1,2-a]PYRIDINE-2-CARBOXAMIDE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THERAPEUTIC APPLICATION
KR101600635B1 (ko) 6-헤테로시클릭-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의 유도체, 그의 제법 및 그의 치료학적 용도
KR20100103660A (ko) N-헤테로시클릭-6-헤테로시클릭-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의 유도체, 그의 제법 및 그의 치료학적 용도
KR20100099245A (ko) N-페닐-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의 유도체, 그의 제법 및 그의 치료학적 용도
AU2008352729B2 (en) 2-benzoylimidazo[1,2-a]pyridine derivatives, preparation thereof and therapeutic use thereof
US20100317688A1 (en) 2-HETEROAROYLIMIDAZOL[1,2-a]PYRIDINE DERIVATIVES, PREPARATION AND THERAPEUTIC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