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07622A - Adaptor for maxillary sinus lift - Google Patents

Adaptor for maxillary sinus lif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7622A
KR20100107622A KR1020090025776A KR20090025776A KR20100107622A KR 20100107622 A KR20100107622 A KR 20100107622A KR 1020090025776 A KR1020090025776 A KR 1020090025776A KR 20090025776 A KR20090025776 A KR 20090025776A KR 20100107622 A KR20100107622 A KR 20100107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xillary sinus
adapter
body portion
peripheral surface
elev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7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태경
Original Assignee
이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경 filed Critical 이태경
Priority to KR1020090025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7622A/en
Priority to PCT/KR2010/001885 priority patent/WO2010110629A2/en
Publication of KR20100107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622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2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inus lif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Sewag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악동 내막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거상시킬 수 있는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apter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is to provide an adapter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that can be safely elevated without causing damage to the maxillary sinus lining.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하부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부에 상기 중공부를 통하여 이동한 물이 상악동 내막으로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체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 단면을 가지는 매개부싱 및 상기 매개부싱의 하면에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체로 형성되는 어뎁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maxillary sinus adap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hollow portion therein, the body portion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portion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water moved through the hollow portion at the upper portion flows out into the maxillary sinus lin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termediate bushing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ush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dapter portion formed integrally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Description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ADAPTOR FOR MAXILLARY SINUS LIFT}Adapter for maxillary sinus cavities {ADAPTOR FOR MAXILLARY SINUS LIFT}

본 발명은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악동 내막의 손상을 방지하며 거상시킬 수 있는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apter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and to an adapter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that can elevate and prevent damage to the maxillary sinus lining.

임플란트는 본래 인체의 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이를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치아 이식을 말한다.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으로 만든 픽스츄어를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어서 유착시킨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시술이다.Implant is a substitute that recovers when the tissue of the human body is lost, but in the dentistry, it refers to an artificial tooth implant. It is a cutting-edge procedure to restore the original function of teeth by fixing artificial teeth after planting and fixing a fixture made of titanium without rejection to the human alveolar bone to replace the missing tooth root.

치과에서 임플란트 시술시, 일반적으로 픽스츄어는 치조골에 7㎜ 내지 14㎜의 깊이로 식립되며, 이때, 상기 치조골의 두께는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 깊이보다 두꺼워야 한다.In the dental implant procedure, the fixture is generally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with a depth of 7 mm to 14 mm,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alveolar bone should be thicker than the depth of implantation of the fixture.

한편, 상악동이 위치한 구치부는 상악골이 손실된 경우에, 발치 후의 잔존 상악골의 손실 정도와, 상악동의 크기 및 위치 등의 원인으로 상악골의 두께가 5 ㎜, 더욱 빈번하게는 그 이하의 두께로 잔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픽스츄어를 상악골에 그대로 식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maxillary sinus is located in the maxilla, the maxilla is lost to 5 mm, more frequently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maxillary sinus due to the loss of the remaining maxilla and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maxillary sinus.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ixture can not be placed in the maxilla as it is.

따라서, 상악골이 손실된 경우에는 상악골의 상부, 즉, 상악동 측으로 뼈 대체물을 채운 후 픽스츄어를 식립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maxilla is lost, the fixture can be implanted after filling the bone substitute to the upper part of the maxilla, that is, the maxillary sinus.

종래에 상악동 내막을 거상시켜 공간을 형성한 후 확보된 공간에 골 이식을 하고 여기에 픽스츄어를 식립하는 방법으로 수직접근법과 측방접근법이 있다.Conventionally, there is a vertical approach and a lateral approach as a method of implanting bone into a secured space after implanting the maxillary sinus lining to form a space.

상기 수직접근법은 임플란트 시술부위에 잔존골이 어느 정도 확보되었을 때, 구체적으로 잔존골의 두께가 4㎜ 이상일 때의 방법으로, 상악동 내막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오스테오톰을 이용하여 상악골을 여러 횟수 두드려 직경 2㎜ 내지 3㎜의 구멍을 낸 다음 구멍을 통해 이식골을 조금씩 넣는 방식이다.The vertical approach is when the remaining bone is secured to the implant site to some extent, specifically when the thickness of the remaining bone is 4mm or more, by tapping the maxillary bone several times using osteotomy to prevent damage to the maxillary sinus lining. A hole of 2 mm to 3 mm in diameter is then inserted into the graft bone little by little.

상기 수직접근법은 시술부위가 좁아 시술 후 환자에게서 부종 발생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시술과정에서 상악동 내막을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 그 과정을 X-Ray로 확인하면서 아주 조심스럽게 작업을 진행하게 되므로 시술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시술과정에서의 타격으로 인해 환자에게 상당한 불쾌감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vertical approach has the advantage of less swelling in the patient after the procedure because of the narrower surgical site, but because the lining of the maxillary sinus cannot be seen directly during the procedure, the procedure is performed very carefully while confirming the process with X-Ray. This takes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tient is accompanied by a significant discomfort due to the blow in the procedure.

상기 측방접근법은 임플란트 시술부위의 잔존골이 매우 부족할 때, 구체적으로 잔존골의 두께가 4㎜ 이하일 때의 방법으로, 상악동의 측면에 윈도우를 형성하여 상악동 내막을 거상시킨 후 이를 통해 골 이식을 하는 방식이다.The lateral approach is a method when the remaining bone of the implant site is very insufficient, specifically when the thickness of the remaining bone is less than 4mm, forming a window on the side of the maxillary sinus to elevate the inner lining of the maxillary sinus and then do bone graft through it. That's the way.

상기 측방접근법은 시술 중에 직접 보면서 상악동 내막을 거상할 수 있으므 로 상악동 내막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적고, 손상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후처리가 가능하고 한꺼번에 원하는 양의 골 이식재를 빨리 넣을 수 있어서 신속한 진행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시술 자체가 어렵고 커다란 판막을 형성해야 하기에 수술 후 심한 부종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Since the lateral approach can elevate the maxillary sinus lining directly during the procedure, there is little damage to the maxillary sinus lining, and even if damage occurs, post-treatment is possible and rapid implantation of the desired amount of bone graft can be done at once. There is a possible advantage, but the procedure itself is difficult to form a large valve there is a problem that occurs severe edema after surgery.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악동 내막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거상시킬 수 있는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apter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that can be safely elevated without causing damage to the maxillary sinus lin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 이상의 임플란트 시술시 상악동 내막에 다수의 상악동 거상부를 형성하여 폭 넓고 연속적인 상악동 거상부를 형성할 수 있는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를 제공할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adapter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that can form a wide and continuous maxillary sinus eleva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maxillary sinus elevations in the maxillary sinus lining during two or more implant procedur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악동 거상부에 충전제를 용이하게 공급하여 골 이식을 할 수 있는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를 제공할 수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dapter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that can be bone-grafted by easily supplying a filler to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하부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부에 상기 중공부를 통하여 이동한 물이 상악동 내막으로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체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 단면을 가지는 매개부싱 및 상기 매개부싱의 하면에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체로 형성되는 어뎁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maxillary sinus adap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hollow portion therein but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hollow inlet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inlet flows into the maxillary sinus lining An outlet par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urrounding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bushing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ushing, the adapter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또한, 상기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는 상기 유입구를 감싸며 결합하는 유동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xillary sinus adapter may include a flow hose surrounding the inlet and coupled.

또한, 상기 매개부싱은 외주면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mediate bushing may be a thread formed on the lower peripheral surface.

또한, 상기 나사산은 수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w thread may be formed of a male thread.

또한, 상기 매개부싱은 외주면 상부의 모서리를 따라 수렴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mediate bushing may be formed with a convergent portion along the upper edg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또한, 상기 어뎁터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각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apter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olygonal cross 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다각 단면은 육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ygonal cross section may be formed as a hexagonal cross section.

또한, 상기 몸체부는 외주면 상부의 모서리를 따라 제1 모따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first chamfer along the upper edg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또한, 상기 제1 모따기부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hamfer may be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또한, 상기 몸체부는 외주면 하부의 모서리를 따라 제2 모따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second chamfer along the edge of the lower peripheral surface.

또한, 상기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는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xillary sinus adapter may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에 의하면 수압을 이용하여 상악동 내막을 거상시키되 상악동 내막의 손상없이 안전하게 거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dapter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levating the lining of the maxillary sinus using hydraulic pressure, but safely elevating it without damaging the lining of the maxillary sinus.

또한, 2 이상의 임플란트 시술시 상악동 내막에 다수의 상악동 거상부를 형성하여 폭 넓고 연속적인 상악동 거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maxillary sinus elevations can be formed in the maxillary sinus lining during two or more implant procedures to form a wide and continuous maxillary sinus elevation.

또한, 상악동 거상부에 충전제를 용이하게 공급하여 골 이식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ne can be implanted by easily supplying a filler to the maxillary sinus epitheliu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in the drawings repres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의 투과 사시도, 도 2a는 정면도, 도 2b는 배면도, 도 2c는 일 측면도, 도 3a는 평면도, 도 3b는 저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유동호스와 결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의 투과 사시도이고, 도 5은 개폐부재와 결합된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의 투과 사시도이며, 도 6은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를 사용하여 상악동 내막을 거상 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실시도이다. 또한, 도 7a 및 도 7b는 다수의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를 사용하여 상악동 내막을 거상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실시도이고, 도 8은 다수의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를 사용하여 상악동 거상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실시도이며, 도 9는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를 사용하여 상악동 거상부에 충전제를 공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실시도이다. 더불어,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의 어뎁터부에 결합되는 그립의 사시도이고, 도 10b는 그립의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 제2007-0107408호로 출원한 발명인 스텐트를 보여주는 사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xillary sinus adap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front view, Figure 2b is a rear view, Figure 2c is a side view, Figure 3a is a plan view, Figure 3b is a bottom view. In addition, Figure 4 is a transmission perspective view of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adap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flow hose, Figure 5 is a transmission perspective view of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adapter coupl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Figure 6 is a maxillary sinus elevation This is an embodiment showing the appearance of elevating the maxillary sinus lining using an adapter. In addition, Figures 7a and 7b is an embodiment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maxillary sinus lining using a plurality of maxillary sinus adapters, Figure 8 is using a plurality of maxillary sinus adapters that the water flows out of the maxillary sinus Figure 9 is an embodiment showing the appearance of blocking, Figure 9 is an embodiment showing the appearance of supplying filler to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using the adapter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In addition, Figure 10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rip coupled to the adapter portion of the maxillary sinus adap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b is a plan view of the grip, Figure 11 is the applicant of the patent application No. 2007-0107408 A photograph showing a stent of one inven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는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와, 매개부싱(200) 및 어뎁터부(300)를 포함한다.The adapter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100, an intermediate bushing 200, and an adapter portion 300, as shown in FIGS. 1 to 3B.

상기 몸체부(10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유입된 물이 유동되는 중공부(150) 및 유동된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120)가 포함된다.The body part 10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ncludes an inlet 110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a hollow part 150 through which the inflowed water flows, and an outlet 120 through which the flowed water flows out.

상기 유입구(110)는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150)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120)는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에 형성된다.The inlet 11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0, the hollow portion 150 is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body portion 100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utlet 12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0).

상기 몸체부(100)는 외주면 상부의 모서리를 따라 제1 모따기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모따기부(130)는 유선형의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portion 100 may be formed with a first chamfer 130 along the upper edg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 this case, the first chamfer 130 may have a streamlined curved shape.

이는 상악동 거상술시, 상기 제1 모따기부(130)가 상악동 내막과 일시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데, 이때, 상악동 내막이 상기 제1 모따기부(130)와의 접촉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during maxillary sinus elevation, the first chamfer 130 may temporarily contact the maxillary sinus lining, so that the maxillary sinus lining is not damaged by contact with the first chamfer 130.

또한, 상기 몸체부(100)는 외주면 하부의 모서리를 따라 제2 모따기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모따기부(140)도 후술할 유동호스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 1모따기부(130)와 동일하게 유선형의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00 may be formed with a second chamfer 140 along the edge of the lower peripheral surface. In this case, the second chamfer 140 may also have a streamlined curved shape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chamfer 130 to facilitate coupling with the flow hose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매개부싱(200)은 상기 몸체부(100)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몸체부(100)에 일체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 단면을 가지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10)에 고정된 유도부싱(20)의 내주면에 결합된다.The intermediate bushing 200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and is integrally formed on the body portion 100 and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1, on the stent 10. It is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ed induction bushing 20.

상기 매개부싱(200)은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 하부에 나사산(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사산(210)은 상기 유도부싱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산과 대응하여 결합하도록 수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bushing 200 may be formed with a thread 210 und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shown in FIGS. 1 to 3B. In this case, the screw thread 210 may be formed of a male screw threa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emale screw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duction bushing.

상기 나사산(210)의 피치는 상기 유도부싱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산의 피치와 동일하도록 형성되는데, 이러한 나사산(210)은 하나 이상의 적절한 갯수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만일 상기 나사산(210)이 두 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itch of the thread 210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pitch of the female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duction bushing, the thread 210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one or more suitable number, if the thread 210 When two or more of these are formed, it is preferable to form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나사산(210)에 의해 상기 매개부싱(200)과 유도부싱의 결합은 강화되 며, 이로 인해 보다 원활하게 상악동 내막을 거상시킬 수 있다.The coupling of the intermediate bushing 200 and the induction bushing is enhanced by the thread 210, and thus, the upper lining of the maxillary sinus can be elevated more smoothly.

또한, 상기 매개부싱(200)은 외주면 상부의 모서리를 따라 수렴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mediate bushing 200 may be formed with a converging portion 220 along the edge of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상기 수렴부(220)는 상기 유도부싱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는 단차진 모서리를 갖는 스토퍼와 결합하여 수렴성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convergence unit 220 may generate a convergence by combining with a stopper having a stepped edge that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duction bushing.

상기 어뎁터부(300)는 상기 매개부싱(200)의 하면에 일체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부(100)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몸체부(100)에 일체로 형성된다.The adapter unit 30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ushing 200 and at the same time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unit 100 and is integrally formed on the body unit 100.

상기 어뎁터부(300)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각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다각 단면은 육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dapter part 300 may have a polygonal cross sec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is case, the polygonal cross section may be formed as a hexagonal cross section.

한편, 상기 어뎁터부(300)는 도 10a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600)의 회전모멘트에 의해 상기 매개부싱과 유도부싱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유도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0A to 10B, the adapter unit 300 induces the intermediate bushing and the guide bushing to be easily coupled by the rotation moment of the grip 600.

상기 그립(600)은 상기 어뎁터부에 결합되는 어뎁터결합부(610)와, 상기 어뎁터결합부(610)와 일체로 연결되는 손잡이부(620)를 포함한다.The grip 600 includes an adapter coupling portion 610 coupled to the adapter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620 integrally connected to the adapter coupling portion 610.

상기 어뎁터결합부(61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상기 어뎁터부 외측의 다각 단면을 감싸며 결합하도록 상기 다각 단면에 대응하는 다각 단면이 형성된 중공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어뎁터부가 외측에 육각 단면이 형성된 경우, 상기 어뎁터결합부(610)도 내부에 이에 대응하는 육각 단면이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The adapter coupling part 6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hollow portion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polygonal cross section is formed therein so as to surround and engage the polygonal cross section of the outside of the adapter portion. Therefore, when the hexagonal cross section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adapter portion, the adapter coupling portion 610 also has a hexagonal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hereto.

또한, 상기 어뎁터결합부(610)는 상기 다각 단면이 형성된 중공부 내부에 상기 어뎁터부 하부의 몸체부를 감싸며 결합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대응하는 원형 단면이 형성된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apter coupling part 610 may be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portion to surround the body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adapter inside the hollow formed with the polygonal cross section.

상기 손잡이부(620)는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꺽임부(621)가 형성될 수 있다.The handle portion 620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bent portion 621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유입구(110)를 감싸며 결합하는 유동호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axillary sinus adap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low hose 400 surrounding and coupled to the inlet 110 of the body portion 100, as shown in FIG.

상기 유동호스(400)는 상기 몸체부(10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low hose 40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facilitate coupling with the body portion 100.

상기 유동호스(400)에 의해 상기 유입구(110)로 공급된 물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부를 거쳐 이동하며, 상기 유출구를 통해 상악동 내막(40)으로 유출되면서 상악동 내막(40)을 거상시킬 수 있다.The water supplied to the inlet 110 by the flow hose 400 moves through the hollow part as shown in FIG. 6, and flows out into the maxillary sinus lining 40 through the outlet, and thus the maxillary sinus lining 40. Can eleva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xillary sinus adap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of the body portion 100, as shown in FIG.

상기 개폐부재(500)는 상기 몸체부(10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탄 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facilitate coupling with the body portion 100.

상기 개폐부재(500)는 상악동 내막에 공급된 물이 거상부를 형성하는 일정시간 동안 입안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0 prevents water supplied to the maxillary sinus lining from leaking into the mouth for a predetermined time forming the upper portion.

한편, 상악동 내막을 거상시켜 상악동 거상부를 형성한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를 이용하여 상기 상악동 거상부에 충전제를 공급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골 이식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elevating the maxillary sinus lining to form a maxillary sinus epithelium, bone implants for implantation can be performed by supplying a filler to the maxillary sinus epithelium using an adapter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호스(400)에 물 대신 충전제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호스(400)를 대체하여 상기 몸체부(100)에 충전제 전용호스를 결합하고, 상기 충전제 전용호스를 이용하여 충전제를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a filler may be supplied to the flow hose 400 instead of water. At this tim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filler dedicated hose to the body portion 100 to replace the flow hose 400, and the filler can be supplied using the filler dedicated hose.

상기 유동호스(400)에 의해 상기 유입구(110)로 이동된 충전제는 상기 중공부를 거치게 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출구를 통해 상악동 거상부(50)로 유출되면서 상기 상악동 거상부(50)에 충진될 수 있다.The filler moved to the inlet 110 by the flow hose 400 passes through the hollow portion, and as shown in FIG. 9,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50 is discharged to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50 through the outlet. 50).

한편, 상기 상악동 거상부(50)에 공급되는 충전제는 생체친화성 젤(gel)과 뼈조각을 섞은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filler supplied to the maxillary sinus ridge 50 may be made of a mixture of biocompatible gels and bone fragments.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adap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악동이 위치한 구치부에 임플란트 시술을 하려면 상악동 내막을 거상시켜 상악동 거상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악동 거상부에 충전제를 공급하여 골 이식을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In order to perform implantation on the posterior part of the maxillary sinus, a process of bone graft is required by raising the maxillary sinus lining to form a maxillary sinus epithelium and supplying a filler to the maxillary sinus epithelium.

상기 과정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를 이용하면 상악동 내막의 손상을 방지하며 안전하게 상악동 거상부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상악동 거상부에 용이하게 골 이식을 할 수 있다. By using the adapter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process to prevent damage to the maxillary sinus lining and safely form the maxillary sinus epithelium, can be easily implanted into the maxillary sinus epithelium.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10)에 고정된 중공 원통형상의 유도부싱(20)에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의 매개부싱(200)을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매개부싱(200)의 하면에 일체로 연결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다각 단면, 구체적으로 육각 단면을 가지는 어뎁터부(300)를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intermediate bushing 200 of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adap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to 3B in the hollow cylindrical induction bushing 20 fixed to the stent 10. To be easi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ushing 20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form an adapter portion 300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specifically a hexagonal cross-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어뎁터부(300)는 도 10a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600)에 구비된 어뎁터결합부(610)와 결합되고, 전달받은 회전모멘트에 의해 상기 매개부싱과 유도부싱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유도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개부싱(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유도부싱(2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이 나사결합되며, 상기 매개부싱(200)의 수렴부와 상기 유도부싱(20)의 스토퍼가 상호 접촉에 의하여 수렴함으로써 상기 매개부싱(200)과 유도부싱(20)의 결합이 강화된다.10A to 10B, the adapter 300 is coupled to the adapter coupling part 610 provided in the grip 600, and the intermediate bushing and the induction bushing are easily formed by the transmitted rotation moment. Induce to bon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6, the male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ushing 200 and the female thread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duction bushing 20 is screwed, the converging portion and the induction of the intermediate bushing 200 As the stopper of the bushing 20 converges by mutual contact, the coupling between the intermediate bushing 200 and the induction bushing 20 is strengthened.

상악동 내막을 거상시키기 위해 유동호스(400)에 물을 공급한다. 공급된 물 은 몸체부(100)의 유입구와, 중공부 및 유출구를 이동하여 상악동 내막(40)으로 분출되고 수압에 의해 상악동 내막(40)을 거상시킨다. 따라서, 골 이식을 위한 상악동 거상부(50)가 형성된다.Water is supplied to the flow hose 400 to elevate the maxillary sinus lining. The supplied water is ejected into the maxillary sinus lining 40 by moving the inlet, the hollow portion, and the outlet of the body part 100 and elevates the maxillary sinus lining 40 by hydraulic pressure. Thus, the maxillary sinus epithelium 50 for bone graft is formed.

한편, 상기 상악동 거상부를 형성하되, 2 이상의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서 상악동 거상부(50)를 폭 넓고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ile forming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50 can be formed broadly and continuously for two or more implant procedures.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이하, “ 어뎁터 ” 라 한다)를 이용하여 각 어뎁터의 유출구와 대응하는 상악동 내막(40)을 거상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넓은 영역의 상악동 거상부(50)를 형성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7A, the maxillary sinus lining 40 corresponding to the outlet of each adapter is elevated using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adap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dap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50 can be formed as a whole.

이때, 상악동 내막(40)으로 공급된 물이 넓은 영역의 상악동 거상부(50)를 형성하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어뎁터의 유입구에 개폐부재(500)를 결합시켜 일정시간 물이 입안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ter supplied to the maxillary sinus lining 40 forms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50 in a wide area, as shown in FIG.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어뎁터를 이용하되 도 4에 도시된 유동호스(400)를 결합한 어뎁터와 도 5에 도시된 개폐부재(500)를 결합한 어뎁터를 같이 사용하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호스(400)를 결합한 어뎁터의 유출구와 대응하는 상악동 내막(40)을 거상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넓은 영역의 상악동 거상부(50)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B, a plurality of adapters are used, but the adapter combining the flow hose 400 shown in FIG. 4 and the adapter combining the opening / closing member 500 shown in FIG. 5 are used together in FIG. 7B. As shown,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50 can be formed as a whole by elevating the maxillary sinus lining 40 corresponding to the outlet of the adapter to which the flow hose 400 is coupled.

상기 상악동 거상부(50)를 형성한 후, 상악동 거상부(50)에 골 이식을 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호스(400)에 충전제를 공급한다. 상기 충전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호스(400)에 연결된 상기 몸체부(100)의 유입구와, 중공부 및 유출구를 거쳐 상기 상악동 거상부(50)로 충진되고, 이로 인해 상기 상악동 거상부(50)에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골이 형성될 수 있다.After forming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50, in order to implant bone into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50, a filler is supplied to the flow hose 400, as shown in FIG. 4. As shown in FIG. 9, the filler is filled with the maxillary sinus coagulum 50 through the inlet, the hollow part, and the outlet of the body part 100 connected to the flow hose 400, thereby the maxillary sinus A bone for implant treatment may b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5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ing the upper jaw adap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의 투과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xillary sinus elevation adap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의 정면도.Figure 2a is a front view of the adapter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의 배면도.Figure 2b is a rear view of the adapter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의 일 측면도.Figure 2c is a side view of the adapter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의 평면도.Figure 3a is a plan view of the adapter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의 저면도.Figure 3b is a bottom view of the adapter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유동호스와 결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의 투과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mission of the maxillary sinus adap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flow hose.

도 5은 개폐부재와 결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의 투과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mission of the maxillary sinus adap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도 6은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를 사용하여 상악동 내막을 거상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실시도.Figure 6 is an embodiment showing the appearance of elevating the maxillary sinus using the maxillary sinus adapter.

도 7a은 다수의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를 사용하여 상악동 내막을 거상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제1 실시도.Figure 7a is a first embodiment showing the appearance of elevating the maxillary sinus using a plurality of maxillary sinus adapters.

도 7b는 다수의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를 사용하여 상악동 내막을 거상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제2 실시도.Figure 7b is a second embodiment showing the appearance of elevating the maxillary sinus using the plurality of maxillary sinus adapters.

도 8은 다수의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를 사용하여 상악동 거상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일 실시도.Figure 8 is an embodiment showing the appearance of blocking the outflow of water to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using a plurality of maxillary sinus adapters.

도 9는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를 사용하여 상악동 거상부에 충전제를 공급하 는 모습을 보여주는 실시도.9 is an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ler is supplied to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using the maxillary sinus adapter.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의 어뎁터부에 결합되는 그립의 사시도.10A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p coupled to an adapter portion of a maxillary sinus elevation adapt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의 어뎁터부에 결합되는 그립의 평면도.Figure 10b is a plan view of the grip coupled to the adapter portion of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adap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는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 제2007-0107408호로 출원한 발명인 스텐트를 보여주는 사진.Figure 1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inventor stent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atent application No. 2007-0107408.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몸체부 110:유입구100: body 110: inlet

120:유출구 130:제1 모따기부120: outlet 130: first chamfer

140:제2 모따기부 150:중공부140: second chamfer 150: hollow

200:매개부싱 210:나사산200: Bushing 210: Threaded

220:수렴부 300:어뎁터부220: convergence part 300: adapter part

400:유동호스 500:개폐부재400: flow hose 500: opening and closing member

600:그립 610:어뎁터결합부600: grip 610: adapter coupling portion

620:손잡이부 621:꺽임부620: handle part 621: bending part

10:스텐트 20:유도부싱10: stent 20: guide bushing

30:상악골 40:상악동 내막30: maxilla 40: maxillary sinus lining

50:상악동 거상부50: maxillary sinus

Claims (12)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하부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부에 상기 중공부를 통하여 이동한 물이 상악동 내막으로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몸체부;A hollow body having a hollow formed therein, the body portion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par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water moved through the hollow part flows out into the maxillary sinus lining;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체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 단면을 가지는 매개부싱; 및An intermediate bushing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nd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상기 매개부싱의 하면에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체로 형성되는 어뎁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An adapter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ushing and includes an adapter portion that is integrally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입구를 감싸며 결합하는 유동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Adapter for maxillary sin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ow hose that wraps around the inle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매개부싱은 외주면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The intermediate bushing adapter for maxillary sinu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ead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나사산은 수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Adapter for maxillary sin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thread is formed of a male threa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매개부싱은 외주면 상부의 모서리를 따라 수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The intermediate bushing is an adapter for maxillary sin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rgent portion is form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어뎁터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각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Adapter for maxillary sinu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have a polygonal cross 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다각 단면은 육각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The polygonal cross-section adapter for maxillary sin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hexagonal cross-sec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몸체부는 외주면 상부의 모서리를 따라 제1 모따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The body portion of the maxillary sinus adap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hamfer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1 모따기부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The first chamfering portion adapter for the maxillary sin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eamlin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몸체부는 외주면 하부의 모서리를 따라 제2 모따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The body portion of the maxillary sinus adap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hamfer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Adapter for maxillary sin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개폐부재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an adapter for maxillary sinu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KR1020090025776A 2009-03-26 2009-03-26 Adaptor for maxillary sinus lift Ceased KR20100107622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776A KR20100107622A (en) 2009-03-26 2009-03-26 Adaptor for maxillary sinus lift
PCT/KR2010/001885 WO2010110629A2 (en) 2009-03-26 2010-03-26 Adaptor for lifting a sin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776A KR20100107622A (en) 2009-03-26 2009-03-26 Adaptor for maxillary sinus lif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622A true KR20100107622A (en) 2010-10-06

Family

ID=42781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776A Ceased KR20100107622A (en) 2009-03-26 2009-03-26 Adaptor for maxillary sinus lif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107622A (en)
WO (1) WO2010110629A2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8479A1 (en) * 2011-10-19 2013-04-25 Kim Sung Yoon Water injection device for lifting maxillary sinus membrane
CN104161598A (en) * 2014-08-21 2014-11-26 杭州六维齿科医疗技术有限公司 Spiral type internal maxillary sinus lifting device and lifting system
KR20160001352A (en) * 2014-06-27 2016-01-06 주식회사 디오 apparatus for lifting membrain
CN106725940A (en) * 2017-02-07 2017-05-31 吴大怡 Adjustable ra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5578A (en) * 2008-01-04 2009-07-08 김대연 Maxillary sinus endometrial elevation device using hydraulic pressure
KR100889233B1 (en) * 2008-08-21 2009-03-16 이홍찬 Piezo inserts for implant procedures
KR101019121B1 (en) * 2008-08-28 2011-03-09 우재현 Periosteal hyperphase due to hydrostatic pressure in the maxillary sin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8479A1 (en) * 2011-10-19 2013-04-25 Kim Sung Yoon Water injection device for lifting maxillary sinus membrane
KR20160001352A (en) * 2014-06-27 2016-01-06 주식회사 디오 apparatus for lifting membrain
CN104161598A (en) * 2014-08-21 2014-11-26 杭州六维齿科医疗技术有限公司 Spiral type internal maxillary sinus lifting device and lifting system
CN104161598B (en) * 2014-08-21 2017-12-15 杭州六维齿科医疗技术有限公司 Lifting device and lifting system in a kind of spiral maxillary sinus
CN106725940A (en) * 2017-02-07 2017-05-31 吴大怡 Adjustable 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0629A3 (en) 2011-03-03
WO2010110629A2 (en) 201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774B1 (en) Surgical guide system for dental implant having external irrigation device
CN101366664B (en) Hollow short implant for dental implant
KR100981719B1 (en) Dental Implant Fixtures
KR100850437B1 (en) Implant Aids
CN102160821B (en) Oral implant with appropriate initial-stage load stimulation
EP3003205B1 (en) Dental implant device
US8662891B2 (en) Implants, tools, and methods for sinus lift and lateral ridge augmentation
US9925021B2 (en) Dental implant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intra cavity areas therethrough
CN103550002A (en) Artificial dental abutment, artificial dental multi-part implanting system and implanting method
CN215306865U (en) A new type of oral implant structure
KR20100107622A (en) Adaptor for maxillary sinus lift
US20110143308A1 (en) Piezo insert for implant surgical operation
KR101516949B1 (en) apparatus for bone flattening drill
CN113081337B (en) Trabecular Bionics and Implants
KR102258699B1 (en) apparatus for lifting membrain
CN206526295U (en) Canalis radicis dentis filling point
KR101699498B1 (en) Saddle type implant assembly and producting method thereof
WO2009085023A1 (en) Dental implant that increases bone support
KR101198082B1 (en) Injection device of artificial bone for implant
KR20100019276A (en) Bone carrier for operating implant
TWI795699B (en) Dental Removal Devices
KR100760610B1 (en) Artificial tooth abutment
CN102920517A (en) Artificial tooth implant fixing structure
CN103054653B (en) Cheek bone implanting device capable of regulating angle randomly
TWM611689U (en) Dental clinic remov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3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