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4781A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04781A KR20100104781A KR1020090023416A KR20090023416A KR20100104781A KR 20100104781 A KR20100104781 A KR 20100104781A KR 1020090023416 A KR1020090023416 A KR 1020090023416A KR 20090023416 A KR20090023416 A KR 20090023416A KR 20100104781 A KR20100104781 A KR 201001047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nt
- console
- air
- floor
- do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3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플로어 벤트와 콘솔 벤트를 구획하는 구획벽에 콘솔보조입구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콘솔보조입구를 플로어 도어를 통해 개폐하도록 구성하여 플로어 도어의 상류측 공기 일부를 콘솔 벤트측으로 공급함으로써, 공조모드에 관계없이 항상 콘솔 벤트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여 상품성을 개선하고 뒷좌석의 냉,난방성능도 향상함과 아울러 상기 콘솔보조입구의 하단에는 유로형성리브를 형성하여 콘솔보조입구측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함은 물론 콘솔 벤트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콘솔보조입구를 통해 플로어 벤트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불쾌감을 해소시킨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console auxiliary inlet on the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floor vent and the console vent and to open and close the console auxiliary inlet through the floor door of the floor door. By supplying part of the upstream air to the console vent side, air is always discharged to the console vent side regardless of the air conditioning mode to improve the productability, improve the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of the rear seat, and at the bottom of the console auxiliary inlet, The air conditioner for the vehicle which eliminates the discomfort of the occupants by preventing the air flowing into the floor vent side through the console auxiliary inlet as well as to allow the air to flow smoothly into the console auxiliary inlet side will be.
이에 본 발명은,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디프로스트 벤트(112), 페이스 벤트(113), 플로어 벤트(114,115) 및 상기 페이스 벤트(113)로부터 분기됨과 아울러 플로어 벤트(114,115)와 구획벽(110b)에 의해 구획되는 콘솔 벤트(116)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개폐하는 디프로스트 도어(117)와, 상기 페이스 벤트(113)를 개폐하는 페이스 도어(118)와,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를 개폐하는 플로어 도어(1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와 콘솔 벤트(116)를 구획하는 구획벽(110b)에는 상기 플로어 도어(119)의 상류측 공기 일부를 콘솔 벤트(116)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콘솔보조입구(120)가 형성되어, 항상 콘솔 벤 트(116)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let 111 is formed on the inlet side, branched from the defrost vent 112, the face vent 113, the floor vent 114, 115 and the face vent 113 on the outlet side and the floor vent An air conditioning case 110 having a console vent 116 partitioned by 114 and 115 and a partition wall 110b, a defrost door 117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efrost vent 112, and the face vent 113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face door 118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or door, and a floor door 119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or vents (114, 115), the floor vent (114, 115) and the console vent (116) for partitioning In the partition wall 110b, a console auxiliary inlet 120 is formed to supply a part of the upstream air of the floor door 119 to the console vent 116, so that air is always discharged to the console vent 116. It is characterized by.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플로어 벤트와 콘솔 벤트를 구획하는 구획벽에 콘솔보조입구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콘솔보조입구를 플로어 도어를 통해 개폐하도록 구성하여 플로어 도어의 상류측 공기 일부를 콘솔 벤트측으로 공급함으로써, 공조모드에 관계없이 항상 콘솔 벤트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여 상품성을 개선하고 뒷좌석의 냉,난방성능도 향상함과 아울러 상기 콘솔보조입구의 하단에는 유로형성리브를 형성하여 콘솔보조입구측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함은 물론 콘솔 벤트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콘솔보조입구를 통해 플로어 벤트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불쾌감을 해소시킨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console auxiliary inlet on the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floor vent and the console vent and to open and close the console auxiliary inlet through the floor door of the floor door. By supplying part of the upstream air to the console vent side, air is always discharged to the console vent side regardless of the air conditioning mode to improve the productability, improve the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of the rear seat, and at the bottom of the console auxiliary inlet, The air conditioner for the vehicle which eliminates the discomfort of the occupants by preventing the air flowing into the floor vent side through the console auxiliary inlet as well as to allow the air to flow smoothly into the console auxiliary inlet side will be.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 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In general,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s a vehicle interior that i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securing the driver's front and rear view by removing the frost that is caught in the windshield during the rainy season or the winter, or by cooling or heating the interior of the car during the summer or winter season. In addition, such an air conditioner is usually equipped with a heating device and an air conditioner at the same time to selectively introduce the outside air or bet, the air is heated or cooled and blown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o cool, heat or ventilate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Semi-Center type)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으로 대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dependent structure of the blower unit, the evaporator unit, and the heater core unit,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three piece type in which the three units are independently provided, and an evaporator unit and the heater core unit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The semi-center type, which is built-in and the blower unit is provided as a separate unit, and the center mounting type, in which all three units are built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can be roughly classified.
도 1은 상기 세미 센터 타입 차량 공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써, 상기 공조장치(1)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각각 모드도어(16a,16b,16c)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2a), 페이스 벤트(12b) 및 플로어 벤트(12c,12d)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1)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미도시)와; 상기 공조케이스(10)에 내장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상기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P1)와 상기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유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G. 1 shows the semi-center type vehicle air conditioner. The
또한, 상기 히터코어(3)의 후방측 온풍유로(P2)와 상기 플로어 벤트(12c,12d)의 사이에는 가이드벽(17)이 형성되어 서로 구획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플로어 벤트(12c,12d)는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12c)와 뒷좌석용 플로어 벤트(12d)로 분기되어 있다.In addition, a
아울러, 상기 페이스 벤트(12b)는 차량 실내의 중앙측과 양측으로 각각 공기를 분할하여 토출할 수 있도록 센터 벤트(12f)와, 사이드 벤트(12g)로 분할 형성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앞좌석과 뒷좌석의 온도차가 심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플로어 벤트(12c,12d)의 후측에는 차량 실내의 중앙부인 콘솔박스(미도시)측으로 공기의 토출을 유도하여 뒷좌석 공간으로 공조 공기를 공급하는 콘솔 벤트(12e)가 설치된다.And, in order to solv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seat and the back seat is severe, the rear side of the floor vent (12c, 12d) induces the air discharge to the console box (not shown), which is the center of the vehicle interior air conditioning air into the rear seat space The supplying
상기 콘솔 벤트(12e)는 상기 페이스 벤트(12b)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페이스 벤트(12b)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를 콘솔박스쪽으로 가이드한 후 뒷좌석 공간을 냉,난방 하게 된다.The
이때, 상기 콘솔 벤트(12b)의 입구측에는 상기 페이스 벤트(12b)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콘솔 벤트(12b)측으로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분기 가이드(20)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러한 상기 분기 가이드(20)는 상기 페이스 벤트(12b)의 센터 벤트(12f)내에 형성되어 센터 벤트(12f)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를 콘솔 벤트(12e)측으로 가이드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1)에 의하면, 최대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15)는, 상기 냉풍유로(P1)를 개방함과 아울러 온풍유로(P2)를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를 거치면서 증발기(2)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뒤, 상기 냉풍유로(P1)를 통해 믹싱챔버(Mixing Chamber, MC)쪽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후 소정의 공조모드(벤트모드,바이레벨모드,플로어모드,믹스모드,디프로스트모드)에 따라 모드도어(16a,16b,16c)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According to the
또한, 최대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15)는, 상기 냉풍유로(P1)를 폐쇄함과 아울러 온풍유로(P2)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를 통과한 후 온풍유로(P2)를 통하여 히터코어(3)를 거치면서 히터코어(3)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뀐 뒤, 믹싱챔버(MC)쪽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후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모드도어(16a,16b,16c)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In addition, when the maximum heating mode is activated, the
그리고, 최대냉방모드가 아닌 냉방모드, 즉 1/2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에는, 상기 온도조절도어(15)는 중립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믹싱챔버(MC)에 대하여 상기 냉풍유로(P1) 및 상기 온풍유로(P2)를 모두 개방시킨다. 따라서, 증발기(2)를 거친 냉기와 히터코어(3)를 거친 온기가 믹싱챔버(MC) 쪽으로 유동하여 혼합된 후,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모드도어(16a,16b,16c)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When the cooling mode other than the maximum cooling mode, that is, the 1/2 cooling mode is operated, the
한편, 상기 최대냉방모드, 최대난방모드, 1/2냉방모드시, 상기 페이스 벤트(12b)로 공급되는 공기 중 일부는 페이스 벤트(12b)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앞좌석 공간을 냉,난방하게 되고, 일부는 상기 분기 가이드(20)를 통해 콘솔 벤트(12e)로 공급된 후 차실내 콘솔박스 후방측으로 토출되어 뒷좌석 공간을 냉,난방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maximum cooling mode, the maximum heating mode, 1/2 cooling mode, some of the air supplied to the face vent (12b) is discharged into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the face vent (12b) to cool and heat the front seat space The part is supplied to the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공조장치(1)는, 상기 모드도어(16a,16b,16c)의 제어를 통한 공조모드(페이스모드,바이레벨모드,플로어모드,믹스모드,디프로스트모드)에 따라 상기 콘솔 벤트(12e)로 공기를 선택적으로 토출할 수 있는데, 즉, 페이스모드나 바이레벨모드에서는 상기 모드도어(16b)가 상기 페이스 벤트(12b) 및 콘솔 벤트(12e)의 입구를 동시에 개방하기 때문에 콘솔 벤트(12e)로 공기 토출할 수 있지만, 플로어모드나 믹스모드와 같이 상기 모드도어(16b)가 페이스 벤트(12b) 및 콘솔 벤트(12e)의 입구를 폐쇄할 경우에는 콘솔 벤트(12e)로 공기를 토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이처럼 플로어모드나 믹스모드에서는 콘솔 벤트(12e)로 공기를 토출할 수 없기 때문에 상품성이 저하됨은 물론 뒷좌석의 냉,난방에 불리한 문제가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loor mode or the mixed mode, air cannot be discharged to the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로어 벤트와 콘솔 벤트를 구획하는 구획벽에 콘솔보조입구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콘솔보조입구를 플로어 도어를 통해 개폐하도록 구성하여 플로어 도어의 상류측 공기 일부를 콘솔 벤트측으로 공급함으로써, 공조모드에 관계없이 항상 콘솔 벤트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여 상품성을 개선하고 뒷좌석의 냉,난방성능도 향상함과 아울러 상기 콘솔보조입구의 하단에는 유로형성리브를 형성하여 콘솔보조입구측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함은 물론 콘솔 벤트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콘솔보조입구를 통해 플로어 벤트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불쾌감을 해소시킨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to form a console auxiliary inlet in the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floor vent and the console vent and to open and close the console auxiliary inlet through the floor door upstream of the floor door. By supplying a part of the air to the console vent side, air is always discharged to the console vent side regardless of the air conditioning mode,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ability and improving the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of the rear seat, and a flow path forming rib at the bottom of the console auxiliary inlet. Forming the air inlet to the console auxiliary inlet side smoothly, as well as preventing the air flowing into the floor vent side through the console auxiliary inlet to provide a vehicle air conditioner to solve the discomfort of the occupants hav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구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디프로스트 벤트, 페이스 벤트, 플로어 벤트 및 상기 페이스 벤트로부터 분기됨과 아울러 플로어 벤트와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는 콘솔 벤트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를 개폐하는 디프로스트 도어와, 상기 페이스 벤트를 개폐하는 페이스 도어와, 상기 플로어 벤트를 개폐하는 플로어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벤트와 콘솔 벤트를 구획하는 구획벽에는 상기 플로어 도어의 상류측 공기 일부를 콘솔 벤트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콘솔보조입구가 형성되어, 항상 콘솔 벤트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 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air inlet is formed on the inlet side, the defrost vent, the face vent, the floor vent and branched from the face vent and the console vent partitioned by the floor vent and partition wall An air conditioning case including a defrost door, a defrost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efrost vent, a fac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ace vent, and a floor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or vent, wherein the floor vent and The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console vent is provided with a console auxiliary inlet to supply a portion of the upstream air of the floor door to the console vent s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s always discharged to the console vent.
본 발명은, 플로어 벤트와 콘솔 벤트를 구획하는 구획벽에 콘솔보조입구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콘솔보조입구를 플로어 도어를 통해 개폐하도록 구성하여 플로어 도어의 상류측 공기 일부를 콘솔 벤트측으로 공급함으로써, 공조모드에 관계없이 항상 콘솔 벤트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여 상품성을 개선하고 뒷좌석의 냉,난방성능이 향상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sole auxiliary inlet on the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floor vent and the console vent, and opens and closes the console auxiliary inlet through the floor door to supply a part of the upstream air of the floor door to the console vent side. Regardless of the air conditioning mode, air is always discharged to the console vent side to improve the merchandise and improve the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of the rear seat.
또한, 상기 콘솔보조입구의 하단에는 유로형성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콘솔보조입구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확보하여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콘솔 벤트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콘솔보조입구를 통해 플로어 벤트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탑승자의 불쾌감이 해소된다.In addition, by forming a flow path forming rib at the lower end of the console subsidiary inlet, to ensure the flow path of air flowing into the console subsidiary inlet side to ensure that the air flows smoothl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console vent inlet is By preventing the flow into the floor vent side through the discomfort of the occupant is eliminated.
그리고, 상기 플로어 벤트를 개폐하는 플로어 도어를 이용하여 콘솔보조입구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콘솔 벤트측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도어가 필요없게 되어 구조가 단순화되고 부품수도 감소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된다.Further, by opening and closing the console subsidiary entrance using a floor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or vent, a separate door for supplying air to the console vent side is not required,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페이스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콘솔보조입구 및 유로형성리브 부분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플로어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이레벨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믹싱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ace mo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 enlarged portion of the console auxiliary inlet and the flow path forming ribs in Figure 3, Figure 5 is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loor mo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i-level mo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ehicle air conditio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mixing mode of an apparatu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다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의 공기유로상에는 냉풍유로(P1)와 온풍유로(P2)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부의 공기유로상에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P1)와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온풍유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에는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미도시)가 설치된다.In addition, an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측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토출구는, 차량의 앞유리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앞좌석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페이스 벤트(113)와,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플로어 벤트(114,115)가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air discharge ports formed at the outlet side of the
여기서, 상기 페이스 벤트(113)는 차량 실내의 중앙측과 양측으로 각각 공기를 분할하여 토출할 수 있도록 센터 벤트(113a)와, 사이드 벤트(113b)로 분할 형성된다.Here, the
상기 센터 벤트(113a)와 사이드 벤트(113b)는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내측에 형성되는 격벽(113c)에 의해 분할되며, 이때, 상기 센터 벤트(113a)는 페이스 벤트(113)의 중앙측에 위치하고 상기 사이드 벤트(113b)는 상기 센터 벤트(113a)의 양측에 위치하게 된다.The
또한,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는, 앞좌석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114)와, 뒷좌석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뒷좌석용 플로어 벤트(115)로 분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아울러,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페이스 벤트(113)와, 플로어 벤트(114,115)는 각각 모드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면서 그 개도가 조절되는데, 즉, 상기 모드 도어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개폐하는 디프로스트 도어(117)와, 상기 페이스 벤트(113)를 개폐하는 페이스 도어(118)와,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를 개폐하는 플로어 도어(119)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온도조절도어(130)와 모드도어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벽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측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Here, the
또한, 상기 히터코어(102)의 후방측 온풍유로(P2)와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의 사이에는 가이드벽(110a)이 형성되어 서로 구획되어 있다.In addition, a
한편, 상기 온도조절도어(130)와 모드도어들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외측면에 설치된 엑츄에이터(미도시)로 구동되는 캠(미도시)이나 레버(미도시) 등에 연결되어 회전 작동하면서 상기 냉,온풍유로(P1)(P2)와 상기 각 벤트(112~115)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에는 상기 벤트(112)(113)(114,115)들 중 적어 도 어느 하나로부터 분기되는 콘솔 벤트(116)가 형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콘솔 벤트(116)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페이스 벤트(113)로부터 분기되어 공조케이스(110)의 플로어 벤트(114,115) 후방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와는 구획벽(110b)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Here, the
이때, 상기 콘솔 벤트(116)의 입구(116a)는 상기 페이스 벤트(113)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페이스 벤트(113)와 콘솔 벤트(116)의 입구(116a)는 모두 상기 페이스 도어(118)에 의해 개폐된다.In this case, the
이러한, 상기 콘솔 벤트(116)는 차량 실내의 특정 영역(리어 콘솔(뒷좌석) 또는 B-필러 등)으로 공조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콘솔 벤트(116)의 입구(116a)측에는 상기 페이스 벤트(113)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 공기를 콘솔 벤트(116)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분기 가이드(125)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상기 분기 가이드(125)는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센터 벤트(113a) 내측에 위치하되 상기 콘솔 벤트(116)의 입구(116a) 상단에 일정길이 및 면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센터 벤트(113a)의 일정영역을 막도록 설치된다.The
그리고,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와 콘솔 벤트(116)를 구획하는 구획벽(110b)에는 상기 플로어 도어(119)의 상류측 공기 일부를 콘솔 벤트(116)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콘솔보조입구(120)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onsole
여기서, 상기 콘솔보조입구(120)는 상기 앞좌석 플로어 벤트(114)에서부터 콘솔 벤트(116)의 입구(116a) 사이의 구획벽(110b)상에 형성되는데, 보다 바람직하 게는 상기 플로어 도어(119)와 인접한 위치의 구획벽(110b)상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플로어 도어(119)를 통해 플로어 벤트(114,115)와 함께 개폐되게 된다.Here, the
이처럼 상기 콘솔보조입구(120)는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를 개폐하는 플로어 도어(119)를 통해 개폐가 이루어지고, 상기 콘솔 벤트(116)의 입구(116a)는 상기 페이스 벤트(113)를 개폐하는 페이스 도어(118)를 통해 개폐가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콘솔 벤트(116)측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도어가 필요없게 되어 구조가 단순화되고 부품수도 감소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된다.As such, the console
상기 플로어 도어(119)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19a)과, 상기 회전축(119a)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를 개폐하되 일측 플레이트가 상기 콘솔보조입구(120)를 함께 개폐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119b)로 이루어진다.The
즉, 상기 플로어 도어(119)의 한 쌍의 플레이트(119b) 중 하나의 플레이트는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를 개폐하지만, 다른 하나의 플레이트는 플로어 벤트(114,115)와 콘솔보조입구(120)를 함께 개폐하게 된다.That is, one plate of the pair of
그리고,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콘솔보조입구(120)의 하단에는 상기 플로어 도어(119)의 상류측 공기가 콘솔보조입구(120)측으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유로를 형성해주는 유로형성리브(121)가 연장 형성된다.3 and 4, a flow
이때, 상기 유로형성리브(121)는 상기 플로어 도어(119)의 회전중심(회전축)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flow
이러한 상기 유로형성리브(121)는 상기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114,115)의 상 류에 구획되게 형성되어 콘솔보조입구(120)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확보하게 되며, 또한 상기 플로어 도어(119)를 통한 콘솔보조입구(120) 폐쇄시 상기 콘솔 벤트(116)의 입구(116a)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콘솔보조입구(120)를 통해 플로어 벤트(114,115)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flow
즉, 상기 유로형성리브(121)가 없게 되면, 도 3과 같은 페이스 모드시 페이스 벤트(113)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콘솔 벤트(116)측으로 공급되는데, 이때 콘솔 벤트(116)로 공급된 공기 일부가 상기 콘솔보조입구(120)를 통해 탑승자가 원하지 않는 플로어 벤트(114,115)측으로 공급되어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That is, when the flow
따라서, 상기 콘솔보조입구(120)의 하단에 유로형성리브(121)를 형성하여 콘솔보조입구(120)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확보함과 동시에 콘솔 벤트(116)의 입구(116a)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콘솔보조입구(120)를 통해 플로어 벤트(114,115)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불쾌감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flow
그리고, 본 발명은 도 3 및 도 7과 같이, 상기 페이스 벤트(113)가 개방되는 페이스모드나 바이레벨모드에서는 페이스 벤트(113)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콘솔 벤트(116)를 통해 토출되어 뒷좌석 공간에 공조공기를 공급하고, 도 6 및 도 8과 같이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가 개방되는 플로어모드나 믹스모드에서는 상기 플로어 도어(119)에 의해 콘솔보조입구(120)도 함께 개방되기 때문에 플로어 도어(119)의 상류측 공기가 콘솔보조입구(120)를 통해 콘솔 벤트(116)측으로 토출되어 뒤좌석 공간에 공조공기를 공급하게 된다.3 and 7, in the face mode or the bi-level mode in which the
물론, 도 7과 같은 바이레벨모드에서는 페이스 벤트(113) 및 플로어 벤 트(114,115)가 동시에 개방되므로, 상기 페이스 벤트(113)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는 콘솔 벤트(116)의 입구(116a)를 통해, 상기 플로어 도어(119)의 상류측 공기 중 일부는 콘솔보조입구(120)를 통해 동시에 콘솔 벤트(116)측으로 토출된다.Of course, in the bilevel mode as shown in FIG. 7, since the face vents 113 and the floor vents 114 and 115 are open at the same time, som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ace vents 113 is
이와 같이, 공조모드(페이스모드, 바이레벨모드, 플로어모드, 믹스모드)에 관계없이 항상 콘솔 벤트(116)로 공기가 토출되도록하여 뒷좌석 공간의 냉,난방성능을 향상하고 이로인해 상품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regardless of the air conditioning mode (face mode, bi-level mode, floor mode, mix mode) to always discharge the air to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공조모드 중 최대 냉방시 페이스모드, 플로어모드, 바이레벨모드, 믹싱모드에 대해서만 도 3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Only the face mode, the floor mode, the bi-level mode, and the mixing mode during the maximum cooling of the air conditioning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6 to 8.
가. 페이스모드end. Face mode
도 3은 페이스모드에서 최대 냉방시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온도조절도어(130)는 냉풍유로(P1)를 개방하고 온풍유로(P2)는 폐쇄하며, 상기 페이스 도어(118)에 의해 페이스 벤트(113) 및 콘솔 벤트(116)의 입구(116a)는 개방되고, 디프로스트 도어(117) 및 플로어 도어(119)에 의해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 및 플로어 벤트(114,115)는 폐쇄된다. 이때, 상기 플로어 도어(119)에 의해 콘솔보조입구(120)도 폐쇄된다.Figure 3 shows the maximum cooling time in the face mode, the
따라서,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기로 바뀐 뒤, 상기 페이스 벤트(113)로 공급되는데, 이때 상기 페이스 벤트(113)로 공급되는 공기중 일부는 차실내의 앞좌석 탑승자 얼굴쪽으로 토출되고, 일부는 상기 콘솔 벤트(116)로 공급된 후 차실내 콘솔박스 후방측으로 토출되어 뒷좌석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토출되게 된다.Therefore, the air blown by the blower not shown is changed to cold while passing through the
나. 플로어모드I. Floor mode
도 6은 플로어모드에서 최대 냉방시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온도조절도어(130)는 냉풍유로(P1)를 개방하고 온풍유로(P2)는 폐쇄하며, 상기 플로어 도어(119)에 의해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 및 콘솔보조입구(120)는 개방되고,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117) 및 페이스 도어(118)에 의해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페이스 벤트(113) 및 콘솔 벤트(116)의 입구(116a)는 폐쇄된다.6 shows the maximum cooling time in the floor mode, the
따라서,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기로 바뀐 뒤, 일부는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로 공급되어 차실내의 앞좌석 및 뒷좌석 탑승자 발쪽으로 토출되고, 일부는 상기 콘솔보조입구(120)를 통해 콘솔 벤트(116)로 공급된 후 차실내 콘솔박스 후방측으로 토출되어 뒷좌석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토출되게 된다.Therefore, the air blown by the blower not shown is changed to cold while passing through the
다. 바이레벨모드All. Bi-level mode
도 7은 바이레벨모드에서 최대 냉방시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온도조절도어(130)는 냉풍유로(P1)를 개방하고 온풍유로(P2)는 폐쇄하며, 상기 페이스 도어(118) 및 플로어 도어(119)에 의해 상기 페이스 벤트(113)와 콘솔 벤트(116)의 입구(116a) 및 플로어 벤트(114,115)와 콘솔보조입구(120)는 개방되고,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117)에 의해 디프로스트 벤트(112)는 폐쇄된다.7 shows the maximum cooling time in the bi-level mode, the
따라서,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거치면 서 냉기로 바뀐 뒤, 상기 페이스 벤트(113)와 플로어 벤트(114,115) 및 콘솔보조입구(120)로 공급되는데,Therefore, the air blown by the blower not shown is changed to cold while passing through the
이때, 상기 페이스 벤트(113)로 공급되는 공기중 일부는 차실내의 앞좌석 탑승자 얼굴쪽으로 토출되고, 일부는 상기 콘솔 벤트(116)로 공급된 후 차실내 콘솔박스 후방측으로 토출되어 뒷좌석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토출되게 된다.In this case, some of the air supplied to the
또한,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로 공급되는 공기는 차실내의 앞좌석 및 뒷좌석 탑승자 발쪽으로 토출되고, 상기 콘솔보조입구(120)로 공급되는 공기는 콘솔 벤트(116)를 거쳐 차실내 콘솔박스 후방측으로 토출되어 뒷좌석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토출되게 된다.In addition, the air supplied to the floor vents 114 and 115 is discharged toward the front and rear seat occupants of the vehicle interior, and the air supplied to the
라. 믹싱모드la. Mixing mode
도 8은 믹싱모드에서 최대 냉방시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온도조절도어(130)는 냉풍유로(P1)를 개방하고 온풍유로(P2)는 폐쇄하며, 상기 플로어 도어(119) 및 디프로스트 도어(117)에 의해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와 콘솔보조입구(120) 및 디프로스트 벤트(112)는 개방되고, 상기 페이스 도어(118)에 의해 페이스 벤트(113) 및 콘솔 벤트(116)의 입구(116a)는 폐쇄된다.8 shows the maximum cooling time in the mixing mode, wherein the
따라서,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기로 바뀐 뒤,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와 콘솔보조입구(120) 및 디프로스트 벤트(112)로 공급되는데,Therefore, the air blown by the blower not shown is changed to cold while passing through the
이때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로 공급되는 공기는 차실내의 앞좌석 및 뒷좌석 탑승자 발쪽으로 토출되고, 상기 콘솔보조입구(120)로 공급되는 공기는 콘솔 벤트(116)를 거쳐 차실내 콘솔박스 후방측으로 토출되어 뒷좌석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토출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air supplied to the floor vents 114 and 115 is discharged toward the front and rear seat occupants of the vehicle interior, and the air supplied to the
또한,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로 공급되는 공기는 차실내의 유리창쪽으로 토출되어 성에를 제거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ir supplied to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와 콘솔 벤트(116)를 구획하는 구획벽(110b)에 플로어 도어(119)로 개폐되는 콘솔보조입구(120)를 형성하여 공조모드에 관계없이 항상 콘솔 벤트(116)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한 구성을 세미 센터 타입 공조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센터마운팅 타입 공조장치, 쓰리 피스 타입 공조장치, 좌,우 독립제어 공조장치 등 모든 공조장치에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ir conditioning mode, a consol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페이스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ace mo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서 콘솔보조입구 및 유로형성리브 부분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4 is an enlarged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console auxiliary inlet and the flow path forming rib in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5 is a plan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플로어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oor mo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이레벨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i-level mo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믹싱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ixing mo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100: air conditioner 101: evaporator
102: 히터코어 110: 공조케이스102: heater core 110: air conditioning case
110a: 가이드벽 110b: 구획벽110a: guide
111: 공기유입구 112: 디프로스트 벤트111: air inlet 112: defrost vent
113: 페이스 벤트 113a: 센터 벤트113:
113b: 사이드 벤트 114,115: 플로어 벤트113b: side vent 114,115: floor vent
116: 콘솔 벤트 117: 디프로스트 도어116: console vent 117: defrost door
118: 페이스 도어 119: 플로어 도어118: face door 119: floor door
120: 콘솔보조입구 121: 유로형성리브120: console subsidiary entrance 121: flow path forming rib
125: 분기 가이드 130: 온도조절도어125: branch guide 130: temperature control door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3416A KR101544879B1 (en) | 2009-03-19 | 2009-03-19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3416A KR101544879B1 (en) | 2009-03-19 | 2009-03-19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4781A true KR20100104781A (en) | 2010-09-29 |
KR101544879B1 KR101544879B1 (en) | 2015-08-17 |
Family
ID=43008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3416A Active KR101544879B1 (en) | 2009-03-19 | 2009-03-19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4879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06205A (en) * | 2014-03-11 | 2015-09-21 | 주식회사 두원공조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KR20160045967A (en) * | 2014-10-17 | 2016-04-28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KR101628550B1 (en) | 2014-12-02 | 2016-06-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loor mode console vent output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car |
KR20160096236A (en) * | 2015-02-04 | 2016-08-16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KR101694041B1 (en) | 2015-07-29 | 2017-01-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n individual air conditioning apparatus with combined door for rear seat |
KR20200026225A (en) * | 2020-02-24 | 2020-03-10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78866B2 (en) | 2002-07-31 | 2008-11-12 | 株式会社デンソー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KR200442465Y1 (en) * | 2007-09-12 | 2008-11-10 | 주식회사 두원공조 | Vent door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unit |
-
2009
- 2009-03-19 KR KR1020090023416A patent/KR101544879B1/en active Active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06205A (en) * | 2014-03-11 | 2015-09-21 | 주식회사 두원공조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KR20160045967A (en) * | 2014-10-17 | 2016-04-28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KR101628550B1 (en) | 2014-12-02 | 2016-06-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loor mode console vent output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car |
KR20160096236A (en) * | 2015-02-04 | 2016-08-16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KR101694041B1 (en) | 2015-07-29 | 2017-01-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n individual air conditioning apparatus with combined door for rear seat |
KR20200026225A (en) * | 2020-02-24 | 2020-03-10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44879B1 (en) | 2015-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124687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179593B1 (en) | Airconditioner having structure of two layer air flow for vehicles | |
KR20120138928A (en) | Car air conditioner | |
KR20100104781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KR101162696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KR101484707B1 (en) |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1220971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534582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950734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160135033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100078166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481697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578106B1 (en) |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1176824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313583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150129161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150129883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425880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070068566A (en) | Vehicle Double Flow Air Conditioning Equipment | |
KR20050111251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2470404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544881B1 (en) |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1429998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320531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200127663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2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3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8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8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