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01411A - Device for preventing a front door of elevator from detachment - Google Patents

Device for preventing a front door of elevator from detach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1411A
KR20100101411A KR1020090019886A KR20090019886A KR20100101411A KR 20100101411 A KR20100101411 A KR 20100101411A KR 1020090019886 A KR1020090019886 A KR 1020090019886A KR 20090019886 A KR20090019886 A KR 20090019886A KR 20100101411 A KR20100101411 A KR 20100101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8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영수
Original Assignee
(주)상아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아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상아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090019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1411A/en
Publication of KR2010010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411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실(sill)을 따라 여닫히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정상적인 궤도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의 안전운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엘리베이터 도어 여닫힘 동작에서 작동 안정성을 확보하고, 도어의 여닫힘을 가이드 하기 위한 도어용 부품의 유동 및 이탈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the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along a seal from being departed from a normal track by an external impact, thereby enabling safe operation of the elevator. It is to ensure the operation stability i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nd to prevent the flow and departure of parts for the door to guid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바닥 구조물에 설치되어 승강장 도어의 여닫힘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도어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상기 도어의 내부측에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과 도어가이드 슈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용 브라켓을 취부하고, 상기 설치용 브라켓의 일단에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을 결합하여 상기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의 하단부를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 홈에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되는 가이드홈 내벽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과,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장착되어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과, 상기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을 도어의 내부측에 고정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의 내부측에 취부되어 상기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을 고정 결합하는 설치용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elevator platform floor structure guide rail for gu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anding door,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and the door guide shoe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door moving along the guide rail In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is configured to mount a mounting bracket for installation, and to couple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to one end of the mounting bracket to guide the lower end of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to the guide groove of the guide rail, The slide groove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guide groove formed on the guide rail,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mounted along the slide groove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separated, and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to fix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to the inner side of the door.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door It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mounting bracket fixed to the door coupling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a front door of elevator from detachment}Device for preventing a front door of elevator from detachmen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실(sill)을 따라 여닫히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정상적인 궤도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의 안전운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엘리베이터 도어 여닫힘 동작에서 작동 안정성을 확보하고, 도어의 여닫힘을 가이드 하기 위한 도어용 부품의 유동 및 이탈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the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along a seal from being departed from a normal track by an external impact, thereby enabling safe operation of the elevator. It is to ensure the operation stability i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nd to prevent the flow and departure of parts for the door to guid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작은 고장이나 일부 부품 손상으로도 반복되는 승강 운전으로 인해 추락 위험으로 발전되는 경향이 있어 이에 따라 각종 안전장치에 의하여 보호되도록 하고 엄격한 기준에 의하여 시설되고 사후 정기적 점검과 관리를 필요로 한다.     In general, elevators tend to develop into a fall hazard due to repeated lifting operation even with small failures or damage to some parts. Therefore, elevators are protected by various safety devices, and are installed according to strict standards and require regular inspection and management after the fact do.

안전장치 중에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가이드레일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설치된다. 이 안전장치는 승강기가 도어입구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가 이탈되면 추락의 위험이 있는 것이므로 반드시 엘리베이터 시설물에 포함되어야 하고 이는 엄격이 규제되고 관리되는 중요한 장치 이다.      Among the safety devices, safety devices are installed to prevent the elevator door from deviating from the guide rail by external impact. This safety device is a risk of falling if the door is released without the elevator reaching the door entrance and must be included in the elevator facility. This is an important device that is strictly regulated and controlled.

도 1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를 위한 안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양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각각 수평으로 여닫히는 엘리베이터 도어 내부측 구성의 예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elevator door, it is an example of the interior configuration of the elevator doors are installed symmetrically in both directions to open and close each horizontally.

도어(10)는 좌우 양편에 수직과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어(10)의 상부측은 무빙트랙(11)이 설치되어 있어 무빙트랙(11)을 따라 여닫힌다. 도어(10)의 하부측은 가이드레일(12)이 설치되어 있어 도어(10)는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여닫힌다.      The door 1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tate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he upper side of the door 10 is provided with a moving track 11 to open and close along the moving track 11. The lower side of the door 10 is provided with a guide rail 12 so that the door 10 opens and closes along the guide rail 12.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13)는 하부측에 구성되었다. 도 2와 같이, 가이드레일(12)은 도어(10)의 여닫힘을 안내하는 동시에 도어(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홈으로 파여진 가이드홈(14)이 가공되어 있으며, 승강장(B)측 구조물(15)에 고정되는 정착부(16)(17)를 각각 구비하여 구조물에 견고한 상태로 고정된다.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ng device 13 is configured on the lower side. As shown in Figure 2, the guide rail 12 is guid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10, at the same time to guide the grooved groove 14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door 10 is processed, the landing (B) Each of the fixing units 16 and 17 fixed to the side structure 15 is provided to be fixed to the structure in a solid state.

도어가이드 슈(18)는 도 2와 같이 도어(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용 브라켓(19)에 체결편(20)을 설치하고, 그 체결편(20)에 도어가이드 슈(18)를 체결하여 가이드레일(12)의 가이드홈(14)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서 도어(1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도어가이드 슈(18)는 도어(10)가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여닫힐 때 마찰 소음을 줄이고 원할한 여닫힘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가이드레일(12)의 가이드홈(14)에 안착되어 도어(10)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하는 부품이다. 통상적으로 우레탄 또는 합성수지재료를 이용하여 만들며, 어느 정도의 연성이 있어 마찰 소음이 적고 마모가 심하면 교체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The door guide shoe 18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iece 20 on the mounting bracket 19 to prevent the door 10 from being detached as shown in FIG. 2, and the door guide shoe 18 is attached to the fastening piece 20. By fastening to be seated in the guide groove 14 of the guide rail 12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door 10. In addition, the door guide shoe 18 is seated in the guide groove 14 of the guide rail 12 to reduce the friction noise and smooth opening and closing when the door 10 is opened and closed along the guide rail 12. It is a part that function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door 10. Usually, it is made of urethane or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t has a certain ductility, so that the friction noise is low and the wear is severe, so that it can be replaced.

그러나, 도어가이드 슈(18)는 도어(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과 도어(10)의 여닫힘 소음을 줄이고 원할한 동작이 되도록 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는 부품이지만, 마모가 크고 연성이어서 마모나 손상시 적기에 교환이나 보수가 되지 않으면 떨어져 나가 도어(10)의 이탈을 안전하게 방지하지 못하였으며, 이로 인해 도어(10)의 이탈과 추락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컸다.        However, the door guide shoe 18 is an important part to prevent the door 10 from being separated and to reduce the opening and closing noise of the door 10 and to allow a smooth operation. If not replaced or repaired in a timely manner did not fall out of the door 10 safely prevented, due to this risk of safety accidents such as the departure and fall of the door 10 was large.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도어(10)의 이탈 방지를 위한 강화된 안전장치로서 도어(10)에 설치용 브라켓(19)을 취부하고, 그 설치용 브라켓(19)에는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별도의 이탈 방지용 브라켓(21)을 설치한 구조가 알려져 있으며, 종래의 이탈 방지용 브라켓(21)은 도 3과 같이 설치되었다.      Due to such a risk, a mounting bracket 19 is mounted on the door 10 as a reinforced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the door 10 from being separated, and a separate bracket for moving along the guide rail 12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bracket 19. A structure in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21 is installed is known, and the conventional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21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3.

종래의 도어 이탈방지장치(13)는 기본적으로 도어(10) 내부에 취부된 설치용 브라켓(19)에 이탈 방지용 브라켓(21)을 지지 고정하고, 이탈 방지용 브라켓(21)의 단부를 가이드레일(12)에 형성된 가이드홈(14)에 안착시켜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도어(10) 전체가 가이드레일(12)에서 빠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었고, 또한 도어가이드 슈(18)를 이탈 방지용 브라켓(21)에 설치할 수 있게 체결홈을 가공한 구조로 알려져 있다.      The conventional door departure preventing device 13 basically supports and secures the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21 to the mounting bracket 19 mounted inside the door 10, and guides the end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21 to the guide rail 12. It is to prevent the entire door 10 from falling out of the guide rail 12 even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by seating in the guide groove (14) formed in the), and also install the door guide shoe (18)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21) It is known as a structure in which the fastening groove is processed.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13)는 가이드레일(12) 및 도어가이드 슈(18) 그리고 이탈 방지용 브라켓(21)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This conventional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13 has a problem 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guide rail 12, the door guide shoe 18 and 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21.

첫째, 이탈 방지용 브라켓(21)이 가이드레일(12)의 가이드홈(14)을 따라 이동할 때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나란하지 않으면 도어(10) 동작 중 흔들림 유동이 증가되어 도어의 여닫힘 동작이 원활하지 못하다.       First, when the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21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14 of the guide rail 12 and is not parallel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shaking flow is increas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1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is smooth. I can't.

둘째, 이탈 방지용 브라켓(21)이 가이드레일(12)의 가이드홈(14)에 깊히 들어가지 않는 상태, 예를 들면 도어(10)의 가이드레일(12)로부터 윗방향으로 들리거나 들뜸 상태로 여닫히는 경우 도어(10)의 이탈을 막을 수 없어 추락의 위험을 피할 수 없어 안전하지 못하다.      Second, the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21 does not deeply enter the guide groove 14 of the guide rail 12, for example, lifted upward or lifted from the guide rail 12 of the door 10. When closed, the door 10 may not be prevented from falling off and the risk of falling cannot be avoided, so it is not safe.

셋째, 도어(10)에 가해지는 충격이 이탈 방지용 브라켓(21)을 변형시키고 이로 인해 가이드홈(14)에 접촉되어 마찰 소음을 일으킨다.      Third, the impact applied to the door 10 deforms the escape preventing bracket 21 and thereby contacts the guide groove 14 to cause friction noise.

넷째, 이탈 방지용 브라켓(21)을 보다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강화된 안전장치는 복잡한 조립 구조의 적용이 불가피 하다. 예를 들면 강도를 강화한 소재의 적용, 용접취부 등은 경제적이지 못했고, 다부품의 적용은 비례적으로 고장의 원인이 되어 최적화된 안전장치로는 미흡했다.        Fourth, the reinforced safety device for more stable operation of 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21 is inevitable to apply a complex assembly structure. For example, the application of reinforced materials, welding, etc. were not economical, and the application of multiple parts was a cause of failure in proportion, resulting in insufficient safet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엘리베이터 도어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에 의해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정렬되어 여닫히고 도어의 유동을 줄이면서 원할한 도어의 여닫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when the elevator door moves along the guide rail, the door is prevented from being aligned side by sid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by the bracket for preventing the door from closing and reducing the flow of the door. It is to provide an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for enab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인 이탈 방지용 브라켓이 가이드레일로부터 구조적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서 도어의 들뜸에 의한 이탈을 원인적으로 봉쇄하여 추락 위험을 예방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risk of falling by causing 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which is a component part constituting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from being prevented from being structurally separated from the guide rail by causing the door to lift off due to the lifting of the do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에 가해지는 충격이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로 전달되어 이차적 변형에 의한 도어의 여닫힘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the impact applied to the door to reduce the opening and closing noise of the door by the secondary de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의 최적화 적용에 있어서 적은 부품 사용으로부터 경제적이고 안전하게 안전장치의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safety device to be operated economically and safely from the use of fewer parts in the optimized application of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는,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엘리베이터 승강장 바닥 구조물에 설치되어 승강장 도어의 여닫힘을 안내하 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도어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상기 도어의 내부측에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과 도어가이드 슈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용 브라켓을 취부하고, 상기 설치용 브라켓의 일단에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을 결합하여 상기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의 하단부를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 홈에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A guide rail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levator platform for gu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anding door, and a door release preventing bracket and a door guide shoe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moved along the guide rail. In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is configured to mount the mounting bracket for, and to couple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to one end of the mounting bracket to guide the lower end of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to the guide groove of the guide rail,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되는 가이드홈 내벽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과,      A slide groove form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guide groove formed on the guide rail;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장착되어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과,     A door departure preventing bracket mounted along the slide groove to prevent departure of the door;

상기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을 도어의 내부측에 고정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의 내부측에 취부되어 상기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을 고정 결합하는 설치용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fix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to the inner side of the door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do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mounting bracket for fixing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홈 내벽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기준으로 그 반대편 방향인 승강기 쪽을 향하는 내벽면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lide groove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guide groove of the guide rai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inner wall face toward the elevator in the opposite direction on the basis of the elevator platform.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홈 내벽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은 수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lide groov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guide groove of the guide rai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horizontal plane.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홈 내벽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홈 내벽면 양편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lide groove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guide groove of the guide rail is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inner wall surfaces of the guide groove of the guide rail.

상기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은,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일단이 상기 설치용 브라켓과 취부되는 수직부가 있고, 상기 수직부로부터 연 장되는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횡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수직부에 대하여 상기 삽입부는 횡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e end has a vertical portion mounted with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other end extending from the vertical portion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integrally inserted along the slide groov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insertion por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bent portion to be bent.

상기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의 상기 수직부와 상기 삽입부는 일체형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절곡부는 직각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ertical portion and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bracket for preventing the door departure are configured in one-piece structure and the bent portion is bent at a right angle.

상기 삽입부는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양편으로 동시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부를 중심으로 양편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in each of the two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ortion in order to be inserted at both sides along the slide groove at the same time.

상기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의 수직부에는 상기 설치용 브라켓과 볼트 결합하기 위한 볼트홈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ertical portion of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lt groove for processing the bolt and the mounting bracket is processed.

상기 설치용 브라켓은,      The mounting bracket,

승강기쪽 방향의 도어 벽면을 따라 결합되는 제1수직편이 있고,      There is a first vertical piece that is joined along the door wall in the direction of the elevator,

상기 수직편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벽면 공간을 횡단하는 절곡편이 있으며,      There is a bending piece that is bent from the vertical piece to cross the wall space of the door,

상기 절곡편으로부터 하부측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승강장쪽 방향의 도어 벽면을 따라 결합되는 제2수직편이 있으며,       There is a second vertical piece which is bent from the bending piece in the vertical direction downward and joined along the door wall in the direction of the landing side.

상기 제2수직편으로부터 승강기쪽 방향으로 도어의 벽면 일부 공간을 횡단하여 수직방향으로 꺾여져 도어의 하단부에서 마감되어 상기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을 결합하는 취부편을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mounting piece that is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crossing a portion of the wall surface of the door in the direction of the elevator from the second vertical piece is closed at the lower end of the door to couple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상기 설치용 브라켓의 취부편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양단에는 상기 도어 가이드 슈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들이 있고, 상기 체결공들 사이에는 도어 이탈 방 지용 브라켓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astening holes for fastening the door guide shoe are provided at both ends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mounting piece of the mounting bracket, and fastening holes for fastening the door release preventing bracket are formed between the fastening hole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에 의해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정렬되어 여닫히고 도어의 유동을 줄이면서 원할한 도어의 여닫힘 작동 가능하도록 하여 고신뢰성의 엘리베이터를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인 이탈 방지용 브라켓이 가이드레일로부터 구조적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서 도어의 들뜸에 의한 이탈을 봉쇄하여 추락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정성이 큰 엘리베이터를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해지는 충격이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로 전달되어 이차적 변형에 의한 도어의 여닫힘 소음을 줄일 수 있어 정숙운전이 가능한 엘리베이터를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적은 부품 사용으로 고장을 줄이고 경제적으로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vator door is moved along the guide rail, the door is prevented from being aligned side by sid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by the bracket for preventing the door from closing and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while reducing the flow of the door. It can work.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 elevator with high stability that prevents the risk of falling by blocking the escape caused by the lifting of the door by preventing the escape preventing bracket, which is a component part of the elevator door escape preventing device, from being structurally separated from the guide rail. There is. In addition, the shock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is transmitted to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thereby reducing the opening and closing noise of the door due to the secondary deform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 elevator capable of quiet operation, and to reduce the failure by using fewer parts. Economical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n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의 요부 발췌 부분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단면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를 구성하는 브라켓 사시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를 구성하는 또 다른 브라켓 사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constituting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bracket constituting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같이, 엘리베이터 승강장(A) 바닥 구조물에 설치되어 도어(30)의 여닫힘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40)과, 가이드레일(40)을 따라 이동하는 도어(30)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도어(30)의 내부측에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50)과 도어가이드 슈(6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용 브라켓(70)을 취부하여 구성되며, 설치용 브라켓(70)의 일단에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50)을 결합하여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50)의 하단부를 가이드레일(40)의 가이드홈(41)에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and 5, the guide rail 40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platform (A) floor structure to guid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30, In order to prevent the door 30 from moving along the guide rail 40, the mounting bracket 70 for installing the door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50 and the door guide shoe 60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30 is provided. It is configured to be mounted, it is configured to guide the lower end of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50 to the guide groove 41 of the guide rail 40 by coupling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50 to one end of the mounting bracket (70).

여기서, 가이드레일(40)은 통상적으로 강성이 있는 알루미늄소재를 사용하여 도어(30)를 받쳐주는 길이 방향으로 긴 프레임의 구조이다.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50)과 설치용 브라켓(70)은, 통상적으로 금속판재를 설치대상부가 되는 가이드레일(40) 및 도어(30)의 벽면 구조 등을 고려하여 절곡한 형상으로서 강성이 있는 통상의 판넬 모양이고, 전체적으로 몇 군데를 구부린 절곡된 모양을 띠는데 통상적으로 두개의 판재를 대어 용접하거나 또는 고정부재로 결합하지 않고 일체형으로 절곡하여 쓰는 것이 여러모로 유리하여 절곡된 판재로 볼 수 있다. 도어가이드 슈(60)는 결합편(61)을 통해 설치용 브라켓(70)에 볼트(81)로 체결된다.      Here, the guide rail 40 is a structure of a long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pporting the door 30 by using a rigid aluminum material. The door detachment prevention bracket 50 and the mounting bracket 70 are generally bent in consideration of the wall structure of the guide rail 40 and the door 30, which are metal plate materials, to be installed. It is panel-shaped and has a curved shape bent in several places as a whole. Usually, it is advantageous to bend a plate by welding two plates together or bending them integrally without combining them with a fixing member. The door guide shoe 60 is fastened by a bolt 81 to the mounting bracket 70 through the coupling piece 61.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를 구성하는 주요부분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가이드레일(4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41)의 내벽면(42)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43)과, 슬라이드홈(43)을 따라 장착되어 도어(30)의 이탈을 방지하 는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50)과,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50)을 도어(30)의 내부측에 고정 결합하기 위하여 도어(30)의 내부측에 취부되어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50)을 고정 결합하는 설치용 브라켓(70)이다.      The main part constituting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and 5, the slide groove 43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42 of the guide groove 41 formed in the guide rail 40 And a door departure preventing bracket 50 mounted along the slide groove 43 to prevent the door 30 from being separated, and the door departure preventing bracket 50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door 30. In order to be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30 is a mounting bracket 70 for fixing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50 fixedly coupled.

상기 가이드레일(40)의 가이드홈(41) 내벽면(42)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43)은 엘리베이터 승강기(B) 쪽에 위치하는 내벽면(42)에 횡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lide groove 43 formed in the inner wall surface 42 of the guide groove 41 of the guide rail 4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inner wall surface 42 located on the elevator elevator B side.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40)의 가이드홈(41) 내벽면(42)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43)은 수평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lide groove 43 formed in the inner wall surface 42 of the guide groove 41 of the guide rail 40 is preferably formed in a horizontal plane.

이것은 도 5와 같이 도어(30)에 전달되는 외부충격 "W" 가 승강장(A) 쪽에서 전달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즉 엘리베이터 도어(30)에 가해지는 충격은 승강장(A)쪽과 그 이면인 승강기(B) 쪽에서 가해질 수 있으나 보다 데미지가 큰 것은 것은 승강장(A)쪽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고려한 것이다.       This takes into account that the external shock "W" transmitted to the door 30 as shown in Figure 5 is transmitted from the landing (A) side. In other words, the impact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30 may be applied to the elevator (A) side and the elevator (B) side of the back, but the damage is greater considering the impact applied from the landing (A) side.

상기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50)은, 도 6과 같이, 일단이 도어(30)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설치용 브라켓(70)과 취부되는 수직부(51)가 있고, 그 수직부(51)로부터 연장되는 타단은 가이드레일(40)의 슬라이드홈(43)을 따라 횡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부(52)를 일체형으로 구비한다. 또한 수직부(51)에 대하여 삽입부(52)는 횡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53)를 갖는 형상이다. 이 구조는 가이드레일(40)의 슬라이드홈(43)을 따라 삽입부(52)가 인서트 되도록 유도함으로서, 구조적으로 안전한 상태로 도어(30)를 가이드레일(40)상의 가이드홈(41)에 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As illustrated in FIG. 6, the door detachment prevention bracket 50 includes a mounting bracket 70 installed at one end of the door 30 on the inner wall of the door 30 and a vertical portion 51. The other end which extends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insertion part 52 inser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slide groove 43 of the guide rail 40.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insertion part 52 with respect to the perpendicular | vertical part 51 is a shape which has the bending part 53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is structure guides the insertion portion 52 to be inserted along the slide groove 43 of the guide rail 40, thereby combining the door 30 with the guide groove 41 on the guide rail 40 in a structurally safe state. It is to let.

상기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50)의 수직부(51)와 삽입부(52)는 일체형 구조 로 구성되며 직각의 절곡부(53)를 갖는다. 일체형 구조는 두개의 구조물을 용접하는 것에 비해 한번에 필요로 하는 구조를 완성할 수 있는데 따른 것이고, 직각 절곡부(53)는, 삽입부(52)를 슬라이드홈(43)에 수평상태로 인서트 시켜 전체적으로 도어(30)가 가이드레일(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과 함께 삽입부(52)가 슬라이드홈(43)에 수평상으로 나란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서 도어(30)의 이동 중 상하 유동 및 기울어짐 등의 편심 이동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The vertical part 51 and the insertion part 52 of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50 have an integral structure and have a bent portion 53 at right angles. The integral structure is to complete the required structure at a time compared to welding two structures, the right angle bending portion 53, inserting the insertion portion 52 in the slide groove 43 in a horizontal state as a whole The door 3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uide rail 40, and the insertion part 52 is horizontally parallel to the slide groove 43 so that the door 30 is moved up and down during the movement of the door 30. This is to reduce the eccentric movement of the load.

또한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50)의 수직부(51)에는 설치용 브라켓(70)과 볼트(80)로 결합하기 위한 볼트홈(54)들이 가공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bolt grooves 54 for coupling to the mounting bracket 70 and the bolt 80 are processed in the vertical portion 51 of the door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50.

상기 설치용 브라켓(70)은, 도 7과 같이, 승강기(B)쪽 방향의 도어 벽면(31)을 따라 결합되는 제1수직편(71)이 있고, 그 수직편(71)으로부터 절곡되어 도어(30)의 벽면 공간(32)을 횡단하는 절곡편(72)이 있으며, 그 절곡편(72)으로부터 하부측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승강장(A)쪽 방향의 도어 벽면(33)을 따라 결합되는 제2수직편(73)이 있고, 제2수직편(73)으로부터 승강기(B)쪽 방향으로 도어(30)의 벽면 공간(32)을 부분 횡단하여 수직방향으로 꺾여져 도어(30)의 하단부에서 마감되어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50)을 결합하는 취부편(74)을 일체로 구비하는 구조로서, 전체적으로 일정한 넓이를 갖고 도어(30)의 내부 벽면(31)(33)을 지지 구조물로 하여 면접촉력으로 취부 강도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곳에 도어 이탈방지용 브라켓(50)과 도어가이드 슈(60)가 결합된다.     As shown in Fig. 7, the mounting bracket 70 has a first vertical piece 71 which is coupled along the door wall 31 in the direction of the elevator B, and is bent from the vertical piece 71 so that the door ( There is a bending piece 72 traversing the wall surface 32 of the 30, which is bent from the bending piece 72 in the lower vertical direction and joined along the door wall surface 33 in the direction of the platform A side. There are two vertical pieces 73, and partially bends the wall space 32 of the door 30 in the direction of the elevator B from the second vertical piece 73, and is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door 30. It is a structure that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mounting piece 74 which is closed to couple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50, the overall contact surface area having a constant width and the inner wall 31, 33 of the door 30 as a support structure It is intended to maintain the mounting strength,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50 and the door guide shoe 60 is coupled to it.

이를 위하여 설치용 브라켓(70)의 취부편(74)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양단에는 도어가이드 슈(6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75)들이 있고, 그 체결공(75)들 사 이에는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50)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76)들이 형성되어 있다.       To this end, there are fastening holes 75 for fastening the door guide shoe 60 at both end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mounting piece 74 of the mounting bracket 70, and the doors are separated between the fastening holes 75. Fastening holes 76 for fastening the prevention bracket 50 are formed.

이러한 체결공(75)(76)들의 배열 위치에 따르면 위치적으로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50)이 중앙부에 위치하고, 도어가이드 슈(60)는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50)의 양 사이드에 각각 놓이게 된다.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fastening holes 75 and 76, the door departure preventing bracket 5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portion, and the door guide shoe 60 is placed on both sides of the door departure preventing bracket 50, respectively. .

위 배열은 본 발명과 직접 관련은 없고 변경도 가능하지만,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50)의 모양이 일정한 면적을 갖는 판상재이고, 도어가이드 슈(60)는 규모가 작은 낱개의 부품이므로, 엘리베이터 도어(30)에 대한 균형적인 배열은 도어 이탈 방지 브라켓()을 중심으로 하는 배열일 수 있다.       The above arrangement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changed, but the shape of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50 is a plate-shaped material having a constant area, and the door guide shoe 60 is a small piece of a single part, so the elevator door The balanced arrangement for 30 may be an arrangement around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

다른 실시 예로서, 도 8과 같이, 가이드레일(40)의 가이드홈(41) 내벽면(42)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43)(43a)은 가이드레일(40)의 가이드홈(41) 내벽면(42)(42a) 양편에 대칭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60a)의 삽입부(52)(52a)는, 복수의 슬라이드홈(43)(43a)을 따라 양편으로 동시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직부(51)를 중심으로 양편에 각각 형성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the slide grooves 43 and 43a formed in the inner wall surface 42 of the guide groove 41 of the guide rail 40 are in the guide groove 41 of the guide rail 40. It can be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wall (42) (42a), the insertion portion 52 (52a) of the door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60a), at the same time on both sides along the plurality of slide grooves (43) (43a) In order to be inserted may be form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ortion (51).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는, 도어(30)의 벽면(31)(33)에 설치된 설치용 브라켓(70)에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50)의 수직부(51)를 고정 결합하고, 그로부터 삽입부(52)를 연장시켜 가이드레일(40)의 가이드홈(41)을 따라 별도의 슬라이드홈(43)을 형성하여 이곳에 삽입부(52)를 인서트 시켜 도어(30)의 이탈을 막고, 도어(30)의 안전한 여닫힘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vertical portion 51 of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50 to the mounting bracket 70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31, 33 of the door 30, from therefrom The insertion unit 52 is extended to form a separate slide groove 43 along the guide groove 41 of the guide rail 40 to insert the insertion unit 52 therein to prevent detachment of the door 30, The door 30 is securely opened and closed.

여기서, 도어가이드 슈(60)의 기능과 역할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에 적용되고 있는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용 브라켓(70)에 도어가이드 슈(60)가 장착되어 가이드레일(40)의 가이드홈(41)을 따라 이동되고, 동시에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50)의 삽입부(52)가 가이드레일(40)의 슬라이드홈(43)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된다.      Here, since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door guide shoe 60 is a matter that is applied to the general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guide shoe 60 is mounted on the mounting bracket 70 and is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41 of the guide rail 40, and at the same time, the insertion part 52 of the door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50 is installed. ) Is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43 of the guide rail 40.

도어(30)에 가해지는 충격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으로서, 도어(30)에 충격이 전달되면 도어(30)를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레일(40)의 도어가이드 슈(60)와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50)에 전달된다.      The shock applied to the door 30 is a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when the shock is transmitted to the door 30, the door guide shoe 60 of the guide rail 40 supporting the door 30 so as not to be pulled out and the door detachment prevention It is delivered to the bracket (50).

종래에도 도어(30)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도어(30)가 가이드레일(40)을 이탈하는 현상을 막기위해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을 적용하는 사례가 있었으나, 가이드레일(40)의 가이드홈을 따르는 직선 방향 즉 수평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었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prevent the door 30 from leaving the guide rail 40 due to the impact applied to the door 30, there has been a case of applying a bracket for preventing the door departure, but a straight line along the guide groove of the guide rail 40 Direction so that it does not fal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은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50)의 삽입부(52)가 가이드레일(40)의 가이드홈(41) 내벽면(42)에 형성된 슬라이드홈(43)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되므로 수평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과 함께 도어(30)의 들뜸에 의한 유동을 동시에 방지하여 보다 안정된 상태로 도어(30)의 여닫힘 동작을 유도하며, 외부 충격에 전달되어도 쉽게 구부러지거나 변형되지 않아 도어(30)의 여닫힘 작동성이 좋고 도어(30)의 이탈 현상도 수직 구조에 비해 개선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part 52 of the bracket for preventing the door departure is moved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 the slide groove 43 formed in the inner wall surface 42 of the guide groove 41 of the guide rail 40, so that it does not fall o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with the function to prevent the flow by the lifting of the door 30 at the same time to induc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30 in a more stable state, even if transmitted to the external impact is not easily bent or deformed of the door 30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bility is good and the detachment phenomenon of the door 30 is also improved compared to the vertical structure.

한편 가이드레일(40)의 가이드홈(41) 내벽면(42)의 슬라이드홈(43)은 엘리베 이터 승강장(A) 쪽에 위치하는 내벽면(42)에 횡방향 수평면으로 형성 하였는데, 이것은 도어(30)에 전달되는 외부충격이 승강장(A) 쪽에서 전달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즉 엘리베이터 도어(30)에 가해지는 충격은 승강장(A) 쪽과 그 이면인 승강기(B) 쪽에서 가해질 수 있으나 보다 위험한 것은 승강장(A) 쪽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lide groove 43 of the guide wall 41 inner wall surface 42 of the guide rail 40 is formed in the horizontal wall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inner wall surface 42 located on the elevator platform A side, which is a door ( External shock transmitted to 30 is considered to be transmitted from the landing (A) side. That is, the impact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30 may be applied from the landing side A and the rear side of the elevator B, but more dangerous is the impact applied from the landing side A.

예를 들어 승강장(A) 쪽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50)의 삽입부(52)가 가이드레일(40)의 슬라이드홈(43)에 삽입된 상태로 조합되어 있으므로,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50)이 변형되는 것을 최대한 줄여줄 수 있다.     For example,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landing side A, the insertion part 52 of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50 is combined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43 of the guide rail 40, and thus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The deformation of the 50 can be minimized.

도 8과 같이 가이드레일(40)의 양편 방향에 슬라이드홈(43)(43a)을 복수로 형성하고,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50)의 삽입부(52)(52a)를 슬라이드홈(43)(43a)에 대응 구조로 돌출하여 각각 삽입 되도록 하는 경우에도 위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a plurality of slide grooves 43 and 43a are formed in both directions of the guide rail 40, and the insertion portions 52 and 52a of the door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50 are slide grooves 43 ( The same result can be obtained when protruding into the corresponding structure to 43a) and inserting them respectively.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 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에 속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all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set forth in the claims. Belongs to the range.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승강장 도어의 배치상태도.      1 is an arrangement state of the landing door for explaining a general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ng device.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단면도.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단면도.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conventional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의 요부 발췌 부분 사시도.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단면도.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를 구성하는 브라켓 사시도.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constituting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를 구성하는 또 다른 브라켓 사시도.      Figure 7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constituting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구성 도.      8 is a block diagram of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 도어30: door

31: 벽면31: wall panel

32: 공간32: space

33: 벽면33: wall panel

40: 가이드레일40: guide rail

41: 가이드홈41: guide groove

42: 내벽면42: inner wall

43: 슬라이드홈43: slide groove

50: 도어이탈방지용브라켓 50: Bracket for door departure

51: 수직부51: vertical section

52: 삽입부52: insertion unit

53: 절곡부53: bend

60: 도어가이드슈60: door guide shoe

70: 설치용브라켓70: mounting bracket

71: 제1수직편71: first vertical flight

72: 절곡편72: bending piece

73: 제2수직편73: second vertical flight

74: 취부편74: installation

Claims (10)

엘리베이터 승강장 바닥 구조물에 설치되어 승강장 도어의 여닫힘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도어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상기 도어의 내부측에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과 도어가이드 슈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용 브라켓을 취부하고, 상기 설치용 브라켓의 일단에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을 결합하여 상기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의 하단부를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 홈에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The guide rail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levator platform to guid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anding door, and to install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and the door guide shoe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door moving along the guide rail In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configured to mount the mounting bracket, and coupled to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to one end of the mounting bracket to guide the lower end of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to the guide groove of the guide rail,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되는 가이드홈 내벽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과,      A slide groove form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guide groove formed on the guide rail;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장착되어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과,     A door departure preventing bracket mounted along the slide groove to prevent departure of the door; 상기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을 도어의 내부측에 고정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의 내부측에 취부되어 상기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을 고정 결합하는 설치용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bracket is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door for fixing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to the inner side of the door fixedly coupled to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홈 내벽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기준으로 그 반대편 방향인 승강기 쪽을 향하는 내벽면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The slide groove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guide groove of the guide rail is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inner wall face toward the elevator in the opposite direction on the basis of the elevator platform.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홈 내벽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은 수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Elevator groove departure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groove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guide groove of the guide rail is formed in a horizontal plane. 제 1 항에 이어서,      Following claim 1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홈 내벽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홈 내벽면 양편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Slide groove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guide groove of the guide rail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groove inner wall surface of the guide rai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은,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일단이 상기 설치용 브라켓과 취부되는 수직부가 있고, 상기 수직부로부터 연장되는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횡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수직부에 대하여 상기 삽입부는 횡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One end has a vertical portion mounted with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other end extending from the vertical portion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integrally inserted along the slide groove, and the insertion portion is ben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ortion.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bent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의 상기 수직부와 상기 삽입부는 일체형 구조이며, 상기 절곡부는 직각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The vertical portion and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bracket for preventing the door departure is an integrated structure, the bent portion is an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ent at a right angle.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삽입부는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양편으로 동시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부를 중심으로 양편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The insertion portion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each direction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vertical portion in order to be inserted at the same time on both sides along the slide groove.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의 수직부에는 상기 설치용 브라켓과 볼트 결합하기 위한 볼트홈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lt groove for processing the bolt coupled to the mounting bracket in the vertical portion of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설치용 브라켓은,      The mounting bracket, 승강기쪽 방향의 도어 벽면을 따라 결합되는 제1수직편이 있고,      There is a first vertical piece that is joined along the door wall in the direction of the elevator, 상기 수직편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벽면 공간을 횡단하는 절곡편이 있으며,      There is a bending piece that is bent from the vertical piece to cross the wall space of the door, 상기 절곡편으로부터 하부측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승강장쪽 방향의 도어 벽면을 따라 결합되는 제2수직편이 있고,       There is a second vertical piece that is bent from the bending piece in the vertical direction downward and joined along the door wall in the direction of the landing side, 상기 제2수직편으로부터 승강기쪽 방향으로 도어의 벽면 일부 공간을 횡단하여 수직방향으로 꺾여져 도어의 하단부에서 마감되어 상기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을 결합하는 취부편을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 탈방지장치.      Elevator door, characterized in that integrally provided with a mounting piece which is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cross the wall surface of the door in the direction of the elevator from the second vertical piece to finish at the lower end of the door to couple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This prevention device.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설치용 브라켓의 취부편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양단에는 상기 도어가이드 슈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들이 있고, 상기 체결공들 사이에는 도어 이탈 방지용 브라켓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Elevator door depar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holes for fastening the door guide shoe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piece of the mounting bracket, the fastening holes for fastening the door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between the fastening holes. Prevention device.
KR1020090019886A 2009-03-09 2009-03-09 Device for preventing a front door of elevator from detachment Ceased KR201001014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886A KR20100101411A (en) 2009-03-09 2009-03-09 Device for preventing a front door of elevator from detach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886A KR20100101411A (en) 2009-03-09 2009-03-09 Device for preventing a front door of elevator from detach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411A true KR20100101411A (en) 2010-09-17

Family

ID=43006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886A Ceased KR20100101411A (en) 2009-03-09 2009-03-09 Device for preventing a front door of elevator from detach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1411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591B1 (en) * 2012-01-04 2013-07-15 오티스엘리베이터 유한회사 Lifting door
KR101298975B1 (en) * 2011-12-12 2013-08-23 김정호 Elwvator door breakaway prevent appatatus
CN110759206A (en) * 2019-11-26 2020-02-07 苏州骏捷升降机械科技有限公司 A vertical lift device with guide positioning
KR102318064B1 (en) * 2021-05-28 2021-10-27 장종철 Elevator platform with easily replaceable door si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386798B1 (en) * 2021-10-28 2022-04-15 (주)대원엔지니어링엘리베이터 Entrance door escape prevention apparatus for elevator
WO2022139133A1 (en) * 2020-12-23 2022-06-30 장종철 Elevator platform having easily replaceable door si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975B1 (en) * 2011-12-12 2013-08-23 김정호 Elwvator door breakaway prevent appatatus
KR101285591B1 (en) * 2012-01-04 2013-07-15 오티스엘리베이터 유한회사 Lifting door
CN110759206A (en) * 2019-11-26 2020-02-07 苏州骏捷升降机械科技有限公司 A vertical lift device with guide positioning
WO2022139133A1 (en) * 2020-12-23 2022-06-30 장종철 Elevator platform having easily replaceable door si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KR102318064B1 (en) * 2021-05-28 2021-10-27 장종철 Elevator platform with easily replaceable door si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386798B1 (en) * 2021-10-28 2022-04-15 (주)대원엔지니어링엘리베이터 Entrance door escape prevention apparatus for elev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1411A (en) Device for preventing a front door of elevator from detachment
JP2009208946A (en) Guide device of elevator sliding door
KR20170012354A (en) Elevator threshold
JPWO2016038642A1 (en) Ceiling unit and elevator car with ceiling unit
JP6030209B1 (en) Elevator equipment
KR200443973Y1 (en) Lift prevention device of elevator door
CN102040140B (en) Elevator device and elevator door device for elevator
CN100560464C (en) Elevator entrance and exit device
KR100926956B1 (en) Outer door departure prevention structure of elevator
JP2012066914A (en) Fixture for regulating movement of door for elevator
KR200457792Y1 (en) Departure prevention device of elevator landing door
KR101784701B1 (en) Separation prevention apparatus of elevator door
JP5344428B2 (en) Elevator door equipment
JP7135680B2 (en) How to replace an elevator threshold
EP3929135A1 (en) Narrow groove elevator doorsill
JP4689242B2 (en) Elevator door equipment
CN104176575B (en) Protection board of elevator
JP6026633B1 (en) Elevator equipment
WO2022269688A1 (en) Elevator door device
KR102390651B1 (en) An Apparatus For Prevention Of Breakaway Of Elevator Door
JP7126207B2 (en) elevator equipment
JP5700701B2 (en) Elevator sliding door guide device
CN104891295A (en) Protective plate for elevator
CN111032559B (en) Elevator landing device
JP2009256024A (en) Fascia plate device for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8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2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