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00179A - Digtal photographing app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gtal photographing app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0179A
KR20100100179A KR1020090018912A KR20090018912A KR20100100179A KR 20100100179 A KR20100100179 A KR 20100100179A KR 1020090018912 A KR1020090018912 A KR 1020090018912A KR 20090018912 A KR20090018912 A KR 20090018912A KR 20100100179 A KR20100100179 A KR 20100100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s
setting
area
fo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9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12443B1 (en
Inventor
손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8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443B1/en
Publication of KR20100100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1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443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rapidly performing automatic focusing around a desired area is provided to implement the automatic focusing according to a selected photographing mode. CONSTITUTION: A block setting unit sets up a plurality of blocks(S101). A calculation unit produces each block focus value of the blocks(S102). A area setting unit searches the blocks of the block focus value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S103). The area setting unit sets up the predetermined area(S104). The area setting unit sets up a focus area(S105). A control unit performs automatic focusing(S106).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Digtal photographing app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Digital imag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Digtal photographing app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통상적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는 CCD/CMOS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전기적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의 압축/복원 동작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에 대한 디지털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또는 출력 장치를 통하여 해당 데이터를 출력한다.A typical digital imaging apparatus converts an electrical image signal of a subject into a digital signal using a sensor such as a CCD / CMOS to store a digital signal of a subject photographed by a compression / restore operation of the digital signal in a memory. Or output the corresponding data through the output device.

이러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는 피사체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포커스를 조정하는 자동 포커스 조정을 수행하고 있다. 자동 포커스 수행을 위해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를 통해 입수된 영상을 신호처리하여 출력되는 에지를 통해 산출된 포커스 값을 매 픽처 단위로 산출하고, 산출된 초점값을 근거로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 및 거리를 이동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포커스가 조정된다.In such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 automatic focus adjustment is performed to automatically adjust focus on a subject. In order to perform auto focus, a focus value calculated through an edge output by signal processing an image acquired through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sensor is calculated in every picture unit, and the calculated focus value is calculated. The focus is automatically adjusted by moving the moving direction and distance of the focus lens on the basis of.

상세하게는 영상에서 분할된 영역(9분할 또는 11분할)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일부 영역에서 포커스 값을 추출하여 자동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자동으 로 영상의 중앙(스팟)이나 전체(멀티) 영역에서 포커스 값을 추출하여 자동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In detail, an automatic focusing may be performed by extracting a focus value from a partial region selected by a user among the divided regions (9 divided or 11 divided) in the image. In addition, automatic focusing may be performed by automatically extracting a focus value from the center (spot) or the entire (multi) region of the image.

인물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얼굴 인식에 의해 인식된 얼굴 영역을 중심으로 포커싱 영역을 설정하여 오토 포커스를 수행할 수 있다. When photographing a person, autofocusing may be performed by setting a focusing area around the face area recognized by face recognition.

영상의 중앙(스팟)이나 전체(멀티) 영역에서 포커스 값을 추출하여 자동 포커싱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단순히 포커스 값이 큰 영역이 선택되어 오토 포커싱이 수행되므로 사용자 원하는 영역이 아닌 영역을 중심으로 포커싱이 수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식된 얼굴 영역을 중심으로 오토 포커스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오토 포커싱을 위해 얼굴 인식과 같은 별도의 기능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오토 포커싱의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When auto focusing is performed by extracting the focus value from the center (spot) or the entire (multi) area of the image, auto focusing is performed by simply selecting the area with the larger focus value. There is a problem that is performed. In addition, when autofocusing is performed around the recognized face area, an additional function such as face recognition must be performed for autofocusing, which causes a problem of delaying autofocusing.

따라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오토 포커싱이 수행되고 보다 따르게 오토 포커싱이 수행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auto focusing is performed centering on an area desired by a user and auto focusing can be performed according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a) 입력 영상을 복수 개의 블럭으로 나누는 단계와, (b) 상기 블럭들 각각에 대하여 블럭 포커스 값을 구하는 단계와, (c) 일정한 값 이상의 상기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상기 블럭들로 이루어지는 설정 영역들을 설정하는 단계와, (d) 상기 설정 영역을 중심으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dividing an input image into a plurality of blocks, (b) obtaining a block focus value for each of the blocks, and (c) Setting a set area consisting of the blocks having the block focus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d) focusing the set are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럭 포커스 값은 상기 블럭 내에 속하는 픽셀들의 포커스 값을 합산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focus value may sum the focus values of pixels belonging to the block.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블럭들 각각에 속하는 픽셀 들의 포커스 값들을 추출하는 단계와, (b2) 상기 블럭에 속하는 상기 픽셀들의 상기 포커스 값들을 합산하는 단계와, (b3) 합산된 상기 포커스 값을 상기 블럭의 상기 블럭 포커스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tep (b) comprises: (b1) extracting focus values of pixels belonging to each of the blocks, (b2) summing the focus values of the pixels belonging to the block; (b3) setting the summed focus value to the block focus value of the block.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정 영역은 상기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상기 블럭들이 서로 접하여 모여 있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area is one in which the blocks having a block focus value of the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설정 영역들 각각에 속하는 상기 블럭들의 개수를 구하는 단계와, (d2) 상기 설정 영역들에 속하는 상기 블럭들의 개수를 비교하는 단계와, (d3) 상기 블럭들의 개수가 가장 많은 상기 설정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d4) 상기 포커스 영역을 중심으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d) may include: (d1) obtaining the number of blocks belonging to each of the setting areas, (d2) comparing the number of blocks belonging to the setting areas, and (d3) setting the set area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blocks as a focus area, and (d4) performing focusing around the focus are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와 상기 (d) 단계 사이에, 상기 설정 영역들 중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서 설정된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갖는 상기 설정 영역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 영역을 중심으로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arching for the setting area having a pattern corresponding to a shooting mode set by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device among the setting areas between steps (c) and (d). In step (d), the focusing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sett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가 인물 모드인 경우, 상기 패턴은 사람 형성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hotographing mode is a portrait mode, the pattern may be person form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가 풍경 모드인 경우, 상기 패턴은 풍경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hotographing mode is a landscape mode, the pattern may be a landsca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상기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a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on a compu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는, 입력 영상에 대해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을 복수 개의 블럭으로 나누는 블럭 설정부와, 상기 블럭들의 블럭 포커스 값을 계산하는 산출부와, 일정한 값 이상의 상기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상기 블럭들을 검색하고 상기 블럭들로 이루어진 설정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와, 상기 설정 영역을 중심으로 포커싱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ck setting unit for dividing an input image into a plurality of blocks,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generating a captured image by performing image signal processing on an input image; A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block focus values of blocks, an area setting unit for searching the blocks having the block focus valu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nd setting a setting area consisting of the blocks, and focusing around the setting area; It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복수 개의 픽셀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pixel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럭 포커스 값 산출부는 상기 블럭 내의 속하는 픽셀들의 포커스 값을 합산하여 상기 블럭 포커스 값을 계산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focus value calculator may calculate the block focus value by summing focus values of pixels belonging to the block.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정 영역은 상기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상기 블럭들이 서로 접하여 모여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area is one in which the blocks having a block focus value of the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영역들 각각에 속하는 상기 블럭의 개수를 구하여 상기 블럭의 개수가 가장 많은 상기 설정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obtain the number of blocks belonging to each of the setting areas, and set the setting area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blocks as a focus are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커스 영역을 중심으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perform auto focusing on the focus are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서 설정된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갖는 상기 설정 영역을 검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may search for the setting area having a pattern corresponding to a shooting mode set by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가 인물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인물 형상의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 영역을 검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hotographing mode is the person mode, the controller may search for the sett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of the person shap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가 풍경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풍경 형상의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 영역을 검색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hotographing mode is a landscape mode, the controller may search for the sett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landscape pattern.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모드에 따라 오토 포커싱이 수행되며, 보다 빠른 오토 포커싱이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auto focus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a shooting mode selected by a user, and faster auto focusing can be realized.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밖에도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the element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gital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llustrates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70 of the digital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1. Is a block diagram.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광학부(10), 광학 구동부(11), 촬상소자(15), 촬상소자 제어부(16), 조작부(20), 프로그램 저장부(30), 버퍼 저장 부(40), 데이터 저장부(50), 표시 제어부(60), 데이터 구동부(61), 주사 구동부(63), 표시부(65)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n optical unit 10, an optical driver 11, an imaging device 15, an imaging device controller 16, an operation unit 20, a program storage unit 30, A buffer storage unit 40, a data storage unit 50, a display control unit 60, a data driver 61, a scan driver 63, a display unit 65,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70 are included.

광학부(10)는 피사체로부터의 광학 신호가 입력되어 촬상 소자(13)로 제공한다. 광학부(1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학부(10)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tical unit 10 receives an optical signal from a subject and provides it to the imaging device 13. The optical unit 10 may include at least one lens, such as a zoom lens for controlling the view angle to be narrowed or widened according to a focal length, and a focus lens for focusing a subject. In addition, the optical unit 10 may further include an aperture for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광학 구동부(11)는 렌즈의 위치, 조리개의 개폐 등을 조절한다.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한, 조리개의 개폐를 조절하여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광학 구동부(11)가 광학부(10)를 제어할 수 있다.The optical driver 11 adjusts the position of the lens, opening and closing of the iris, and the like. You can focus by shifting the position of the lens. In addition, the amount of light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ris. The optical driver 11 may control the optical unit 1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utomatically generated by an image signal input in real time or a control signal manually input by a user's manipulation.

광학부(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5)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촬상 소자(15)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5)는 촬상소자 제어부(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6)도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소자(15)를 제어할 수 있다.The optica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unit 10 reaches the light receiving surface of the imaging element 15 to form an image of the subject. The imaging device 15 may use a Charge Coupled Device (CCD),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CIS), or the like that converts an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Such an image pickup device 15 may be controlled by the image pickup device controller 16. The imaging device controller 16 may also control the imaging device 15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utomatically generated by an image signal input in real time or a control signal manually input by a user's operation.

조작부(2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 다. 조작부(2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5)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조작부(20)를 통해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을 표시부(65)에 표시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20 is a place that can input a control signal from the outside, such as a user. The operation unit 20 is a shutter-release button for inputting a shutter-release signal for taking a picture by exposing the imaging device 15 to light for a predetermined time, a power button for supplying power, and a wide angle of view according to the input. There are a wide-angle zoom button and a tele-zoom button for increasing or narrowing the angle of view, and various function buttons for selecting a mode such as a text input or shooting mode, a playback mode, a white balance setting function, and an exposure setting func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display the preview image or the playback image on the display unit 65 via the operation unit 20.

조작부(20)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리모트 컨트롤러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The operation unit 20 may have the form of various buttons as described ab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any form that a user can input, such as a keyboard, a touch pad, a touch screen, a remote controller, and the like.

또한,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이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30),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40),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program storage unit 30 for storing a program such as an operating system or an application system for driving the same, a buffer storage unit 40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or result data necessary for performing an operation, It includes a data storage unit 50 for storing a variety of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program, including an image file including an image signal.

아울러,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60), 표시 제어부(60)로부터 입력되어 표시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61)와 주사 구동부(63), 데이터 구동부(61)와 주사 구동부(6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소정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65)를 포함한다. 표시부(65)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 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ED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display control unit 60 that controls to display its operation state or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nd a data driver that is input from the display control unit 60 to transmit display data. And a display unit 65 for displaying a predetermined image according to signals input from the data driver 61 and the scan driver 63. The display unit 65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LED), an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EDD), and the like.

그리고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includes a digital signal processor 70 that processes an input image signal and controls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r an external input signal.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에 관하여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together.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는 영상 신호 처리부(71), 블럭 설정부(72), 산출부(73), 영역 설정부(74), 및 제어부(75)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70 may include an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71, a block setting unit 72, a calculation unit 73, an area setting unit 74, and a controller 75. .

영상 신호 처리부(71)는 촬상 소자(15)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사람의 시각에 맞게 영상 신호를 변환하도록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그 기능이 설정된 경우 오토화이트밸런스(Auto White Balance)나 오토익스포저(Auto Exposure)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러를 이용하여 그 크기를 조절하며, 압축하여 소정 형식의 이미지 파일을 형성한다. 반대로 이미지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기도 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사진 촬영 전 라이브-뷰 모드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셔터-릴리즈 신호에 의해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해 상기와 같은 영상 신호 처리들을 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신호들 각각에 대해 다른 영상 신호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The image signal processor 71 converts an image signal input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15 into a digital signal, and performs gamma correction and 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to convert the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human vision. Image signal processing such as color matrix, color correction, color enhancement, and the like. In addition, when the function is set, the image signal processor 72 may perform an auto white balance or auto exposure algorithm. In addition, the size of the image data is adjusted using a scaler and compressed to form an image file of a predetermined format. Conversely, image files can be extracted.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72 may perform the above image signal processing on the image signal input in real time in the live-view mode before taking a picture and the image signal input by the shutter-release signal. In this case, different video signal processing may be performed on each of the video signals.

블럭 설정부(72)는 입력 영상(101)에 복수 개의 블럭(102)을 설정한다. 도 3은 입력 영상(101)을 나타내며, 도 4는 블럭 설정부(72)에 의해 복수 개의 블럭(102)가 설정된 입력 영상(101)을 나타낸다. 광학부(10)를 통해 입력된 광이 촬상소자(15)에 결상되어 입력 영상이 생성되며, 상기 입력 영상은 영상 신호 처리부(71)를 거쳐 신호 처리된 후 블럭 설정부(72)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블럭(102)이 설정된다. 블럭(102)은 복수 개의 픽셀들로 이루어진다. The block setting unit 72 sets a plurality of blocks 102 in the input image 101. 3 illustrates an input image 101, and FIG. 4 illustrates an input image 101 in which a plurality of blocks 102 are set by the block setting unit 72. Light input through the optical unit 10 is formed on the image pickup device 15 to generate an input image. The input image is signal-processed through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71, and then is displayed by the block setting unit 72. 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blocks 102 are set. Block 102 consists of a plurality of pixels.

산출부(73)는 블럭(102)들 각각에 대한 블럭 포커스 값을 산출한다. 블럭 포커스 값은 블럭(102) 내에 속하는 픽셀들의 포커스 값을 합산한 값을 의미한다. 산출부(73)는 블럭(102) 내에 속하는 픽셀들의 포커스 값을 합산하여 해당 블럭(102)의 블럭 포커스 값을 산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산출부(72)는 블럭(102) 내에 속하는 픽셀들의 포커스 값을 추출하며, 상기 포커스 값들을 합산하며, 합산된 포커스 값을 블럭(102)의 블럭 포커스 값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산출부(73)는 블럭(102)들 각각에 대한 블럭 포커스 값을 산출한다. The calculator 73 calculates a block focus value for each of the blocks 102. The block focus value means a sum of focus values of pixels belonging to the block 102. The calculator 73 calculates a block focus value of the corresponding block 102 by summing focus values of pixels belonging to the block 102. In more detail, the calculator 72 extracts the focus values of the pixels belonging to the block 102, sums the focus values, and sets the summed focus value as the block focus value of the block 102. In this way, the calculator 73 calculates a block focus value for each of the blocks 102.

영역 설정부(74)는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들을 검색하여 설정 영역(A)을 설정한다. 설정 영역은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104)들이 서로 인접하여 모여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The area setting unit 74 sets the setting area A by searching for blocks having a block focus valu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e setting area refers to an area in which blocks 104 having a block focus valu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re gathered adjacent to each other.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ures 5 and 6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5는 블럭(102)이 설정된 입력 영상(101)에서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104)들과 일정한 값 이하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103)들을 나타내며, 도 6은 입력 영상에서 검출된 설정 영역(A)을 나타낸다. FIG. 5 illustrates blocks 104 having a block focus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and blocks 103 having a block focus value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n the input image 101 in which the block 102 is set. Shows the setting area A detected in.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영역 설정부(74)는 산출부(73)에 의해 산출된 블럭 포커스 값들이 일정한 값 이상을 갖는지를 판단한다. 즉, 영역 설정부(74)는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104)들과 일정한 값 이하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103)들을 검출한다. 또한, 영역 설정부(74)는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104)들이 서로 인접하여 모여있는 영역을 검색하며, 상기 영역을 설정 영역(A)으로 설정한다. 5 and 6, the area setting unit 74 determines whether the block focus values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73 have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at is, the area setting unit 74 detects blocks 104 having a block focus valu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nd blocks 103 having a block focus valu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In addition, the area setting unit 74 searches for an area in which blocks 104 having a block focus valu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sets the area as the setting area A. FIG.

제어부(75)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5)는 포커스 영역(A)을 중심으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ler 75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70. In addition, the controller 75 controls to perform auto focusing on the focus area A. FIG.

상세하게는, 제어부(75)는 설정 영역들 각각에 속하는 블럭들의 개수를 산출한다. 설정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들이 서로 인접하여 모여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입력 영상에서는 설정 영역들이 복수 개로 존재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설정 영역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75)는 설정 영역에 속하는 블럭들의 개수를 구하여 가장 많은 블럭들을 갖는 설정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설정한다. 제어부(75)는 상기 포커스 영역의 블럭 포커스 값을 이용하여 오토 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광학 구동부(11)를 제어한다. 도 5 및 6의 경우,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은 104이며 상기 블럭들(104)로 이루어진 설정 영역(A)이 포커스 영역이 된다. 따라서, 제어부(75)는 포커스 영역(A)을 중심으로 오토 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In detail, the controller 75 calculates the number of blocks belonging to each of the setting regions. As described above, the setting area refers to an area in which blocks having a block focus valu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re gathered adjacent to each other. There may be a plurality of setting regions in the input image. When a plurality of setting areas are set, the controller 75 obtains the number of blocks belonging to the setting area and sets the setting area having the most blocks as the focus area. The controller 75 controls the optical driver 11 to perform auto focusing using the block focus value of the focus area. 5 and 6, a block having a block focus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s 104 and a setting area A consisting of the blocks 104 becomes a focus area. Therefore, the controller 75 controls the auto focusing to be performed around the focus area A. FIG.

또한, 제어부(75)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에서 설정된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갖는 설정 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패턴에 대응되는 설정 영역을 중심 으로 오토 포커싱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에는 인물 모드, 풍경 모드와 같은 촬영 모드가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영상 촬영의 편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는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블럭 패턴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는 인물 모드에 대응하여 인물의 얼굴에 대응되는 블럭 패턴이나 인물 전체에 대응되는 블럭 패턴을 구비할 수 있으며, 풍경 모드에 대응하는 산이나 강과 같은 풍경에 대응되는 블럭 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75)는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블럭 패턴과 유사한 설정 영역을 검색하여 상기 블럭 패턴과 유사한 설정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포커스 영역을 중심으로 오토 포커싱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75 may search for a setting area having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shooting mode set in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nd control the auto focusing to be performed around the sett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The digital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is provided with a capturing mode such as a portrait mode and a landscape mode to provide a user with an image capturing convenience.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store a block pattern corresponding to a photographing mode in advance. That is, the digital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block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face of the person or a block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entire person in response to the person mode, and correspond to a landscape such as a mountain or a river corresponding to the person in the landscape mode. A block pattern may be provided. The controller 75 may search for a setting area similar to the block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ing mode, set a setting area similar to the block pattern as the focus area, and control auto focusing around the focus area.

이에 관하여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도 7은 촬영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즉, 촬영 모드가 선택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75)는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들(104)을 가지고 상기 블럭들(104)의 개수가 가장 많은 설정 영역인 포커스 영역(A)을 중심으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7 illustrates a case where a shooting mode is not selected. That is, when the photographing mode is not selected, the controller 75 includes the blocks 104 having a block focus valu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nd the focus area A, which is a setting area where the number of the blocks 104 is the largest. Control to perform auto focusing center.

도 8은 인물 모드가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에서 인물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75)는 미리 저장된 인물 형상의 패턴과 유사한 설정 영역(B)을 검출하고 상기 설정 영역(B)을 포커스 영역으로 설정한 후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는 도 8에서와 같은 패턴뿐만 아니라 인물의 얼굴, 인물의 전체 형상 등과 같은 인물에 관한 다양한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8 illustrates a case where a person mode is selected. When the person mode is selected in the digital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the controller 75 detects a setting area B similar to a pre-stored person shape pattern, sets the setting area B as a focus area, and then autofocussing. Control to perform.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not only the pattern as shown in FIG. 8 but also various patterns regarding the person such as the face of the person, the overall shape of the person, and the like.

도 9는 풍경 모드가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에서 풍경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75)는 미리 저장된 풍경 형상의 패턴과 유사한 설정 영역(C)을 검출하고 상기 설정 영역(C)을 포커스 영역으로 설정한 후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는 도 9에서와 같은 산 모양의 패턴뿐만 아니라 바다, 강 등과 같은 다양한 풍경 관한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9 illustrates a case where a landscape mode is selected. When the landscape mode is selected in the digital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the controller 75 detects a setting area C similar to a previously stored landscape shape pattern, sets the setting area C as a focus area, and then autofocussing. Control to perform. The digital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not only a mountain-shaped pattern as shown in FIG. 9 but also various landscape-related patterns such as an ocean and a river.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롬도이다. FIG. 10 is a flow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입력 영상을 복수 개의 블럭을 설정하는 단계(S101), 블럭들 각각의 블럭 포커스 값을 산출하는 단계(S102),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들을 검색하는 단계(S103), 설정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104), 포커스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105), 및 오토 포커싱을 수행한 단계(S106)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tting a plurality of blocks of an input image (S101) and calculating block focus values of each of the blocks (S102) Searching for blocks having a block focus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S103), setting a setting area (S104), setting a focus area (S105), and performing auto focusing (S106). can do.

우선, 입력 영상(101)에 복수 개의 블럭(102)을 설정한다(S101). 광학부(10)를 통해 입력된 광이 촬상소자(15)에 결상되어 입력 영상이 생성되며, 상기 입력 영상은 영상 신호 처리부(71)를 거쳐 신호 처리된 후 블럭 설정부(72)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블럭(102)이 설정된다. 블럭(102)은 복수 개의 픽셀들로 이루어진다. First, a plurality of blocks 102 are set in the input image 101 (S101). Light input through the optical unit 10 is formed on the image pickup device 15 to generate an input image. The input image is signal-processed through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71, and then is displayed by the block setting unit 72. 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blocks 102 are set. Block 102 consists of a plurality of pixels.

이어서, 블럭(102)들 각각에 대한 블럭 포커스 값을 산출한다. 블럭 포커스 값은 블럭(102) 내에 속하는 픽셀들의 포커스 값을 합산한 값을 의미한다. 상세하게는, 산출부(72)에 의해 블럭(102) 내에 속하는 픽셀들의 포커스 값이 추출되며, 상기 포커스 값들을 합산하여 합산된 포커스 값을 블럭(102)의 블럭 포커스 값으로 설정한다. The block focus value for each of the blocks 102 is then calculated. The block focus value means a sum of focus values of pixels belonging to the block 102. In detail, the calculation unit 72 extracts a focus value of pixels belonging to the block 102, and sets the summed focus value as the block focus value of the block 102 by summing the focus values.

다음으로,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들을 검색하여 설정 영역(A)을 설정한다(S103, S104). 설정 영역은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104)들이 서로 인접하여 모여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Next, blocks having a block focus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re searched to set the setting area A (S103, S104). The setting area refers to an area in which blocks 104 having a block focus valu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re gathered adjacent to each other.

상세하게는, 영역 설정부(74)에 의해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104)들과 일정한 값 이하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103)들이 검출된다. 이후, 영역 설정부(74)는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104)들이 서로 인접하여 모여있는 영역을 검색하여 상기 영역을 설정 영역(A)으로 설정한다. In detail, the area setting unit 74 detects blocks 104 having a block focus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blocks 103 having a block focus value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ereafter, the area setting unit 74 searches for an area in which blocks 104 having a block focus valu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sets the area as the setting area A. FIG.

다음으로, 설정 영역들 각각에 속하는 블럭들의 개수를 산출하고, 블럭의 개수가 가장 많은 설정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설정한다(S105). Next, the number of blocks belonging to each of the setting areas is calculated, and the setting area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blocks is set as the focus area (S105).

다음으로, 설정된 포커스 영역을 중심으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한다(S106). Next, autofocusing is performed centering on the set focus area (S106).

또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에서 설정된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갖는 설정 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패턴에 대응되는 설정 영역을 중심으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may search for a setting area having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set shooting mode and perform auto focusing on the sett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상술한 바와 같이, 얼굴 인식 과정이 없이도 입력 영상에서 설정된 복수 개의 블럭들의 블럭 포커스 값을 이용하여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므로 보다 빠른 오토 포커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촬영 모드 선택에 따라 사용자가 촬영하고자하는 피사체에 대하여 오토 포커싱이 수행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포커싱이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auto focusing is performed using block focus values of a plurality of blocks set in the input image without face recognition, faster auto focusing can be achieved. Since auto focusing is performed on a desired subject, focusing may be performed on an area desired by a user.

전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카메라 기능이 부가된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The abov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a digital camera as an example of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camera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with added camera functionality.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which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clud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duc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 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s intended to be limit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various forms of substitution and modifica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70 of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shown in FIG. 1.

도 3은 입력 영상을 나타낸다. 3 shows an input image.

도 4는 블럭 설정부에 의해 복수 개의 블럭가 설정된 입력 영상을 나타낸다.4 illustrates an input image in which a plurality of blocks are set by the block setting unit.

도 5는 블럭이 설정된 입력 영상에서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들과 일정한 값 이하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들을 나타낸다.FIG. 5 illustrates blocks having a block focus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and blocks having a block focus value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n an input image in which a block is set.

도 6은 입력 영상에서 검출된 설정 영역을 나타낸다.6 illustrates a setting area detected in an input image.

도 7은 촬영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7 illustrates a case where a shooting mode is not selected.

도 8은 인물 모드가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8 illustrates a case where a person mode is selected.

도 9는 풍경 모드가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9 illustrates a case where a landscape mode is select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롬도이다. FIG. 10 is a flow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디지털 촬영 장치 70: 디지털 신호 처리부100: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70: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71: 영상 신호 처리부 72: 블럭 설정부71: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72: block setting unit

73: 산출부 74: 영역 설정부73: calculator 74: region setting unit

75: 제어부75: control unit

Claims (18)

(a) 입력 영상을 복수 개의 블럭으로 나누는 단계;(a) dividing the input image into a plurality of blocks; (b) 상기 블럭들 각각에 대하여 블럭 포커스 값을 구하는 단계;(b) obtaining a block focus value for each of the blocks; (c) 일정한 값 이상의 상기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상기 블럭들로 이루어지는 설정 영역들을 설정하는 단계;(c) setting setting areas consisting of the blocks having the block focus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d) 상기 설정 영역을 중심으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d) performing focusing on the set area; and controlling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블럭 포커스 값은 상기 블럭 내에 속하는 픽셀들의 포커스 값을 합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And the block focus value is the sum of focus values of pixels belonging to the bloc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b) 단계는, In step (b), (b1) 상기 블럭들 각각에 속하는 픽셀들의 포커스 값들을 추출하는 단계;(b1) extracting focus values of pixels belonging to each of the blocks; (b2) 상기 블럭에 속하는 상기 픽셀들의 상기 포커스 값들을 합산하는 단계; 및(b2) summing the focus values of the pixels belonging to the block; And (b3) 합산된 상기 포커스 값을 상기 블럭의 상기 블럭 포커스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and (b3) setting the summed focus value to the block focus value of the bloc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설정 영역은 상기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상기 블럭들이 서로 접하여 모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And wherein the setting area is arranged such that the blocks having a block focus value of the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d) 단계는,In step (d), (d1) 상기 설정 영역들 각각에 속하는 상기 블럭들의 개수를 구하는 단계;obtaining a number of blocks belonging to each of the setting areas; (d2) 상기 설정 영역들에 속하는 상기 블럭들의 개수를 비교하는 단계;(d2) comparing the number of the blocks belonging to the setting areas; (d3) 상기 블럭들의 개수가 가장 많은 상기 설정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d3) setting the setting area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blocks as a focus area; And (d4) 상기 포커스 영역을 중심으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d4) performing focusing on the focus area; and controlling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c) 단계와 상기 (d) 단계 사이에, Between step (c) and step (d), 상기 설정 영역들 중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서 설정된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갖는 상기 설정 영역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Searching for the setting area having a pattern corresponding to a shooting mode set by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device among the setting areas; 상기 (d) 단계는, 상기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 영역을 중심으로 포커싱 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In the step (d), the focusing method is performed on the sett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촬영 모드가 인물 모드인 경우, 상기 패턴은 사람 형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And the pattern is person formation when the photographing mode is a portrait mod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촬영 모드가 풍경 모드인 경우, 상기 패턴은 풍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And the pattern is a landscape when the photographing mode is a landscape mode.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on a computer. 입력 영상에 대해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captured image by performing image signal processing on an input image, 상기 입력 영상을 복수 개의 블럭으로 나누는 블럭 설정부;A block setting unit dividing the input image into a plurality of blocks; 상기 블럭들의 블럭 포커스 값을 계산하는 산출부;A calculator for calculating block focus values of the blocks; 일정한 값 이상의 상기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상기 블럭들을 검색하고 상기 블럭들로 이루어진 설정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 및 An area setting unit for searching the blocks having the block focus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setting a setting area consisting of the blocks; And 상기 설정 영역을 중심으로 포커싱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focusing on the setting area.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블럭은 복수 개의 픽셀들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And the block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xels.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블럭 포커스 값 산출부는 상기 블럭 내의 속하는 픽셀들의 포커스 값을 합산하여 상기 블럭 포커스 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And the block focus value calculator calculates the block focus value by summing focus values of pixels belonging to the block.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설정 영역은 상기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상기 블럭들이 서로 접하여 모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And wherein the set area is the blocks having the block focus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영역들 각각에 속하는 상기 블럭의 개수를 구하여 상기 블럭의 개수가 가장 많은 상기 설정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지.And the control unit obtains the number of blocks belonging to each of the setting areas, and sets the setting area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blocks as a focus area.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커스 영역을 중심으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perform auto focusing on the focus area.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서 설정된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갖는 상기 설정 영역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And the control unit searches for the setting area having a pattern corresponding to a shooting mode set by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device.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촬영 모드가 인물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인물 형상의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 영역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And when the photographing mode is the person mode, the controller searches for the sett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of the person shape.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촬영 모드가 풍경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풍경 형상의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 영역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And when the photographing mode is a landscape mode, the controller searches for the setting area corresponding to a landscape pattern.
KR1020090018912A 2009-03-05 2009-03-05 Digtal photographing app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xpired - Fee Related KR1016124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912A KR101612443B1 (en) 2009-03-05 2009-03-05 Digtal photographing app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912A KR101612443B1 (en) 2009-03-05 2009-03-05 Digtal photographing app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179A true KR20100100179A (en) 2010-09-15
KR101612443B1 KR101612443B1 (en) 2016-04-26

Family

ID=43006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912A Expired - Fee Related KR101612443B1 (en) 2009-03-05 2009-03-05 Digtal photographing app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44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6619A1 (en) * 2013-07-31 2015-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5972B2 (en) 2005-06-22 2010-08-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In-focus position determ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ing lens
JP2007279601A (en) 2006-04-11 2007-10-25 Nikon Corp Camera
JP4775644B2 (en) 2006-06-20 2011-09-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6619A1 (en) * 2013-07-31 2015-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US10237491B2 (en) 2013-07-31 2019-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capturing, storing, and reproducing multifocal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2443B1 (en) 201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8260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JP428861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US9049363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8648960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558935B2 (en) Scene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cene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700366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39379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138141A (en) Composition guide method and device, and digital shooting device
JPWO2017037978A1 (en) DETECTING DEVICE, DETECTING METHOD, DETECTING PROGRAM, AND IMAGING DEVICE
KR101728042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0288170A (en) Imaging apparatus
EP2890116B1 (en) Method of displaying a photographing mode by using lens characteristics,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of recording the method and an electronic apparatus
KR101797040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711271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evaluating validity of an auto-focus operation
KR20100099008A (en) Auto focu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reof
JP2008211843A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control program
US8760565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based on user-specified depth of focus region
KR20110062391A (en) Imaging Device and Smear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JP4807623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imaging program
KR20130024021A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278483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imaging program
KR101612443B1 (en) Digtal photographing app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00098122A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reof
EP260550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imag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923185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05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004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2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3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