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6487A - Flue gas de-sulfuration apparatus of energy-saving type having gas/slurry contact tray - Google Patents
Flue gas de-sulfuration apparatus of energy-saving type having gas/slurry contact tra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96487A KR20100096487A KR1020090015388A KR20090015388A KR20100096487A KR 20100096487 A KR20100096487 A KR 20100096487A KR 1020090015388 A KR1020090015388 A KR 1020090015388A KR 20090015388 A KR20090015388 A KR 20090015388A KR 20100096487 A KR20100096487 A KR 201000964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urry
- sulfur oxide
- gas
- absorption tower
- stir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40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03546 flue gas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8000005987 sulfu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8
- XTQHKBHJIVJGKJ-UHFFFAOYSA-N sulfur monoxide Chemical compound S=O XTQHKBHJIVJGKJ-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4
- 239000000567 combustion ga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TXKMVPPZCYKFAC-UHFFFAOYSA-N disulfur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O=S=S TXKMVPPZCYKFAC-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5000019738 Limeston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9000006028 limesto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6477 desulfur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23556 desulfuriz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29910052815 sulfur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LSNNMFCWUKXFEE-UHFFFAOYSA-N Sulfurous acid Chemical compound OS(O)=O LSNNMFCWUKXFE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883 coal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AHZWNYVWXNFOC-UHFFFAOYSA-N Sulphur dioxide Chemical compound O=S=O RAHZWNYVWXNFO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38 satur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0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special measures for sound or thermal insulation, including fire prote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에너지 절약형 유황산화물 제거장치는, 연소설비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받아들여 석회석 슬러리와 접촉시킴으로써 연소가스 중의 유황산화물을 석고 형태로 고정시키고, 탈황된 후의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유황산화물 흡수탑(200); 상기 유황산화물 흡수탑(2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석회석 슬러리가 채워져 있는 슬러리 충만부(22); 상기 슬러리 충만부(22)의 석회석 슬러리를 상기 유황산화물 흡수탑(200)의 상부로 이송시키는 슬러리 순환부; 상기 유황산화물 흡수탑(200)의 내부에서 상기 슬러리 순환부에 연결되어 상기 석회석 슬러리를 하방으로 분사하는 복수 개의 슬러리 분사노즐들(12b); 및 상기 슬러리 분사노즐들(12b)과 상기 슬러리 충만부(22)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슬러리 분사노즐들(12b)로부터 분출되어 하강하는 석회석 슬러리들과 상기 유황산화물 흡수탑(200) 안에서 상승 이동하는 연소가스가 접촉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스-슬러리 접촉반응부(2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황산화물 제거장치는 연소가스와 석회석 슬러리의 접촉 면적과 시간을 늘려주어 저에너지 소비로 최대의 탈황효과를 거둘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gas-slurry contact tray energy-saving sulfur oxid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facility and contacts the limestone slurry to fix the sulfur oxide in the combustion gas in the form of gypsum and the combustion gas after desulfurization. Sulfur oxide absorption tower 200 for discharging; A slurry filling unit 22 formed below the sulfur oxide absorption tower 200 and filled with limestone slurry; A slurry circulation unit for transferring the limestone slurry of the slurry filling unit 22 to an upper portion of the sulfur oxide absorption tower 200; A plurality of slurry injection nozzles 12b connected to the slurry circulation part in the sulfur oxide absorption tower 200 and spraying the limestone slurry downward; And limestone slurries that are installed between the slurry injection nozzles 12b and the slurry filling part 22 and are ejected from the slurry injection nozzles 12b and descend, and rise in the sulfur oxide absorption tower 200. And a gas-slurry contact reaction unit 210 that provides a space for the moving combustion gas to contact. Sulfur oxid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maximum desulfurization effect with low energy consumption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and time of the combustion gas and limestone slurry.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에너지 절약형 유황산화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를 연소할 때 연료 중에 포함된 유황성분이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아황산가스와 같은 유황산화물의 제거효율을 올리고, 석회석이나 석고가 배기가스와 함께 배출됨으로 인한 2차 환경공해를 미연에 방지하며, 연소가스와 석회석 슬러리의 접촉환경을 최적화시켜 저에너지 소비로 최대의 탈황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는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에너지 절약형 유황산화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발전소, 제철소 또는 LCD용 유리제조 공장과 같이 대규모의 열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산업시설에서는 주로 석탄, 석유 등과 같은 화석연료를 연소시키는 방법에 의해 필요한 열에너지를 얻게 되는데, 이러한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의 연소과정에서 연료에 포함되어 있던 유황성분이 아황산가스 등의 유황산화물(SOx)로 변화하여 연소가스와 함께 배출되게 된다. 연소가스 중에 포함된 유황산화물은 공해의 주 요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대표적인 유해물질로서 보건환경상 그대로 배출할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탈황설비를 거쳐 유황산화물을 제거한 후 깨끗한 배기가스만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In industrial facilities that require large amounts of thermal energy, such as power plants, steel mills, or glass manufacturing plants for LCDs, the thermal energy required is mainly obtained by burning fossil fuels such as coal and petroleum. In the process, the sulfur component contained in the fuel is converted into sulfur oxides (SOx) such as sulfurous acid gas and i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combustion gas. Sulfur oxide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is a representative harmful substance that is considered to be the main cause of pollution and can not be discharged as it is in the health environment. Therefore, the sulfur oxide must be removed through a desulfurization facility and only clean exhaust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종래 일반적인 대규모의 연소설비에서 사용되는 배기가스 탈황 공정은 배기가스를 석회석 슬러리(slurry)와 접촉시켜 배기가스 중의 유황산화물과 석회석 간의 물리-화학적인 반응에 의해 석고가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유황산화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Exhaust gas desulfurization processes used in conventional large-scale combustion facilities are used to remove sulfur oxides by contacting the exhaust gas with a limestone slurry to produce gypsum by the physical-chemical reaction between sulfur oxides and limestone in the exhaust gas. The method is adopted.
도1 내지 도3을 참고하여 종래 사용되고 있는 탈황설비의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도1은 일반적인 발전소 설비에 적용된 탈황설비를 도시한 것으로서, 특히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슬러리 분사식 유황산화물 흡수탑(10)을 이용하여 연소가스로부터 유황산화물을 제거하는 설비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to 3 will be described the structure of a desulfurization facility conventionally used. First, Figure 1 shows a desulfurization equipment applied to a general power plant equipment, in particular, a schematic diagram of a facility system for removing sulfur oxides from the combustion gas using a slurry spray type sulfur
도1을 참고하고, 발전소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석탄을 연료로 사용하여 열에너지를 발생하는 보일러(1)는 내부에 증기발생관(1a)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일러(1) 내부의 연소열에 의해 증기발생관(1a)안에 있는 물이 고온 고압의 증기로 변함으로써 발전기의 터빈을 돌려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일러(1)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연소가스 배출관(1c)을 통해 공기예열기(2)를 거치며, 상기 공기예열기(2)는 보일러(1)에서 방금 배출된 고온의 연소가스와 이제 보일러로 인입되는 찬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공기예열기(2)를 거친 연소가스는 집진장치(3)에서 분진 등이 제거된 후 또 한번 열교환기(4)를 거치고, 이어서 슬러리 분사식 흡수탑(10)에서 유황산화물 가스가 석회석 슬러리와 접촉반응을 일으켜 석고 형태로 고정됨으로써 유황산화물이 제거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power pla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e
도1에서 미설명부호 1b는 보일러(1)에서 연소된 후의 석탄재를 배출하기 위한 석탄재 배출구를 가리키고, 1e는 보일러(1)로 인입되는 찬 공기가 지나가는 공기인입관을 가리키며, 1d는 상기 공기인입관(1e)이 보일러(1)와 연결된 공기인입구이다. 그리고 도면부호 2a는 상기 공기인입관(1e)안으로 찬 외부 공기를 가압하여 불어넣는 압입송풍기를 가리키며, 도면부호 2b는 공기예열기(2)와 집진장치(3) 사이를 연결하는 가스전달관을 가리키고, 도면부호 3a는 보일러(1) 또는 집진장치(3)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흡입하여 슬러리 분사식 흡수탑(10)쪽으로 불어넣는 유인송풍기를 가리킨다. In FIG. 1,
보일러(1) 또는 집진장치(3)로부터 배출된 연소가스에는 다량의 유황산화물 가스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연소가스는 열교환기(4)를 거친 후 가스인입관(10a)을 통해 슬러리 분사식 흡수탑(10)안으로 들어간다. 상기 가스인입관(10a)은 상기 흡수탑(10)의 중간부분에 연결되어, 연소가스(G)는 흡수탑(10)의 중간부분에서부터 상방으로 이동한다.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from the
슬러리 분사식 흡수탑(10)은 석회석 슬러리와 연소가스를 접촉 반응시켜 유황산화물이 석회석 입자와 물리적-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석고로 변환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흡수탑(10) 내부의 바닥 쪽에는 매우 작은 입자로 구성된 석회석 분말을 물에 섞어 만든 석회석 슬러리(S)가 채워지고, 이 석회석 슬러리(S)는 순환펌프(12c)에 의해 슬러리 순환관(12)을 타고 흡수탑(10)의 상부에 설치된 슬러리 분사관(12a)으로 이동되며, 슬러리 분사관(12a)에 설치된 복수 개의 슬러리 분사노즐 들(12b)에 의해서 하방으로 분출된다. 상기 슬러리 분사노즐들(12b)에 의해서 분출된 슬러리 분사액(S1)은 미세한 물방울 형태로 되며, 가스인입관(10a)을 통해 흡수탑(10)안으로 들어와서 상승하는 연소가스(G)와 접촉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연소가스 중의 아황산가스와 같은 유황산화물들이 석고로 변하게 된다. The slurry
이와 같이 연소가스(G)중의 유황산화물들(SOx)이 석회석(CaCO3)과 반응하여 석고로 변환되는 과정을 화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converting sulfur oxides (SOx) in the combustion gas (G) into gypsum by reacting with limestone (CaCO 3 ) is as follows.
SO2 +CaCO3(석회석) SO 2 + CaCO 3 (limestone)
CaSO3 +CO2 → CaSO3 CaSO 3 + CO 2 → CaSO 3
CaSO3 +O2 + H2O → CaSO4.nH2O (석고)CaSO 3 + O 2 + H 2 O → CaSO 4 .nH 2 O (gypsum)
또는or
SO2 +H2O → H2SO3(아황산) SO 2 + H 2 O → H 2 SO 3 (sulfurous acid)
H2SO3+O2 → H2SO4(황산)H 2 SO 3 + O 2 → H 2 SO 4 (sulfuric acid)
H2SO4 + CaCO3 +H2O → CaSO4.nH2O (석고) +CO2 H 2 SO 4 + CaCO 3 + H 2 O → CaSO 4 .nH 2 O (gypsum) + CO 2
와 같은 화학적 반응을 거쳐서 유황산화물들이 석회석 슬러리에 흡수되어 물리, 화학적 반응으로 제거되면서 석회석은 석고로 변하고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게 된다. Sulfur oxides are absorbed into the limestone slurry and removed by physical and chemical reactions through chemical reactions such as limestone and gypsum.
한편, 상기 흡수탑(10) 안에서 석회석 슬러리와 반응하여 유황산화물이 제거된 연소가스는 상기 분사노즐들(12b)의 위에 설치된 물방울 제거기(11)를 통과하면 서 수분이 제거되고, 이어 상부뚜껑(11a)에 연결된 가스전달관(10b)을 통해 열교환기(4)를 거친 다음 연돌(5)로 배출된다. Meanwhile, the combustion gas in which the sulfur oxide is removed by reacting with the limestone slurry in the
석회석 분말을 물에 섞은 석회석 슬러리(S)는 석회석 슬러리 공급관(15)을 통해 외부에서 상기 슬러리 분사식 흡수탑(10)의 안으로 유입되며, 상기 흡수탑(10)안에서는 석회석 슬러리(S) 중의 석회석 입자가 침전되지 않도록 계속적으로 교반기(13)를 가동하여 슬러리를 교반하여 준다. 상기 교반기(13)는 흡수탑(1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되며, 외부에 설치된 모터(13a)와 축연결되어 있는데, 석회석 입자가 침전되지 않도록 항상 가동하여야 하며, 만일 고장이 날 경우에는 흡수탑(10)의 가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수리해야만 하는 불편이 있다. Limestone slurry (S) mixed with limestone powder is introduced into the slurry spray absorption tower (10)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limestone slurry supply pipe (15), and limestone particles in the limestone slurry (S) in the absorption tower (10). The
석회석이 유황산화물을 흡수하여 생성된 석고는 흡수탑(10)의 하부에 설치된 석고배출관(17)을 통해 배출하고, 이 석고는 탈수과정을 거쳐 물을 제거하며, 이때 탈수된 물은 소정의 정화처리장치를 거친 후 석회석 슬러리를 만드는데 재사용된다. 그리고 유황산화물과 석회석 슬러리 간의 화학반응을 위해 필요한 산소(공기)는 산소공급관(16)을 통해 상기 흡수탑(10) 내부로 공급된다. Gypsum produced by limestone absorbing sulfur oxides is discharged through the
한편, 연소가스(G)는 흡수탑(10)에 들어오기 전 열교환기(4)를 거쳐 온도를 낮춘 후 석회석 슬러리(S)와 접촉 반응을 하며, 반응 과정에서 연소 가스의 기류 속에 미세한 물방울들이 섞이게 되므로, 상기 흡수탑(10)의 상부에 있는 물방울 제거기(11)를 통과하여 물방울이 제거되며, 이어 열교환기(4)로 들어가 온도를 올린 후 연돌(5)로 배출된다. 이때 미설명부호 4a는 상기 열교환기(4)와 연돌(5)을 연결하는 가스배출관을 가리킨다. On the other hand, the combustion gas (G)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imestone slurry (S) after lowering the temperature through the heat exchanger (4) before entering the
도2는 도1에 표시된 물방울 제거기(11)의 내부 구조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물방울 제거기(1)는 내부가 미로(迷路, labyrinth)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수분을 머금은 연소가스(G)가 상승하면 미로의 벽들에 부딪히면서 물방울이 맺혀 수분이 제거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FIG. 2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도2를 참고하면, 물방울 제거기(11)의 내부는 격벽(11b)에 의해서 나눠진 수많은 미로형 통로들(11c)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방울 제거기(11)의 아래쪽 입구로 진입하는 연소가스(G′)는 앞서 흡수탑(10)의 중간부분에서 연소가스(G)가 석회석 슬러리 분사액(S1)과 반응함으로써 유황산화물이 제거된 상태이지만, 다량의 수분(물방울)을 머금고 있다. 그런데, 이 연소가스(G′)에 포함된 수분은 깨끗한 수분이 아니라 약 15% 정도의 석고와 석회석 입자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대로 외부로 방출할 경우 환경오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이후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배관들(10b,4a; 도1 참조)과 열교환기(4)의 열소자에 석고와 석회석이 달라붙어 배관의 막힘과 부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석회석 슬러리와 반응후의 연소가스(G′)는 반드시 물방울 제거기(11)를 거쳐서 수분을 제거한 후 배출해야 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inside of the
연소가스(G′)가 물방울 제거기(11)안의 미로형 통로(11c)를 따라 상승하는 과정에서 격벽(11b)의 벽면에 물방울들(W)이 맺히며, 이 물방울들(W)은 계속적으로 연소가스로부터 수분을 공급받아 점차 커지게 되고, 결국 중력에 의해서 아래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연소가스(G′)중의 물방울들이 제거된다. As the combustion gas G 'rises along the
도1에 도시된 종래의 슬러리 분사식 탈황장치(10)에서는 연소가스(G)와 석회 석 슬러리(S)가 충분히 접촉하지 못하면 유황 산화물의 제거 효율이 저하되고, 특히 연소가스가 수분으로 완전히 포화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물방울 제거기(11)에 붙어있는 수분을 증발시키게 됨으로써 물방울 속에 포함되어 있는 고형물이 유출되어 열교환기의 표면에 부착되어 고장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되거나 연돌로 배출되어 공해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slurry spray
또한, 종래의 슬러리 분사식 유황산화물 흡수탑(10)은 연소가스의 통풍 저항은 작아 연소가스의 압력을 올려주기 위한 동력은 작지만, 슬러리(S)를 순환시키기 위한 동력이 많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슬러리 분사식 유황산화물 흡수탑(10)은 연소가스(G)와 석회석 슬러리가 보다 많은 면적에서 보다 오랜 시간동안 접촉하여 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량의 석회석 슬러리를 계속적으로 순환시켜 분사해야만 하므로, 대용량의 순환펌프(12c)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 순환펌프의 동력소모가 매우 큰 단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500MW급 석탄 화력에서는 일반적으로 4대의 순환펌프들이 설치되는데, 이 순환펌프 한 대당 500KW 이상의 전력이 소요되어 동력소모가 큰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석회석 슬러리(S) 중의 석회석 입자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교반기(13)를 계속 구동해야 하므로 교반기 모터를 구동하는데 전력소비가 많게 되고, 여분의 교반기라는 개념이 없으므로 교반기(13)가 고장날 경우에는 흡수탑(10)의 작동을 멈추고 수리해야 하는 등 유지관리상 불편한 점이 많았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lurry injection type sulfur
도3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가스 침적식 유황산화물 흡수탑(10′)을 이용하여 발전소의 보일러(1)의 연소가스(G)로부터 유황산화물을 제거하는 설비를 개략적으 로 도시한다. FIG. 3 schematically shows a facility for removing sulfur oxides from the combustion gas G of the
도3에 도시된 종래의 가스 침적식(분사식) 유황산화물 흡수탑(10′)은 내부에 석회석 슬러리(S)가 채워져 있으며, 가스인입관(10a)을 통해 들어온 연소가스를 석회석 슬러리(S)의 수면 아래에 불어 넣으면 연소가스(G)와 슬러리(S)가 거품 형태로 섞이면서 연소가스 중의 유황 산화물이 슬러리와 반응하여 제거되는 원리로 되어 있다. In the conventional gas deposition type (spray) sulfur
도3의 유황산화물 흡수탑(10′)에서 연소가스(G)는 복수 개의 가스주입관(121)들을 통해 석회석 슬러리(S)안으로 주입된다. 상기 가스 주입관들(121)은 그 위쪽의 가스입구(120)가 상기 가스인입관(10a)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 아래쪽은 그대로 개방되어 있어서 석회석 슬러리(S)가 가스 주입관들(121)안으로 들어와 있다. 따라서 가스주입관들(121)을 통해 석회석 슬러리(S)안으로 주입된 연소가스(G)는 거품(G1) 형태로 석회석 슬러리(S) 안에 섞인 후 빠져나와 가스출구(122)를 타고 물방울 제거기(110)안으로 들어가며, 물방울 제거기(110)에서 연소가스 중의 물방울이 제거된 후 열교환기(4)를 거쳐 연돌(5)로 배출된다. 그리고 흡수탑(10′)의 중앙 부분에 설치된 교반기(130)는 석회석 슬러리(S)가 침전되지 않도록 교반작용을 하는데, 상기 교반기(130)는 모터(131)가 교반기축(132)을 돌림으로써 교반기 날개(133)가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In the sulfur
도3에 도시된 종래의 가스 분사식 유황산화물 흡수탑(10′)은 도1에 도시된 슬러리 분사형 흡수탑(10)에 비하여 연소가스와 슬러리가 더 잘 접촉할 수 있게 되므로 탈황효율이 좋고 그 결과 물방울 제거기(11)에서 고형물이 유출되는 양도 적 게 되므로 성능 면에서는 장점이 있으나, 설비가 복잡하게 된다는 것과 함께 특히 연소가스를 슬러리(S) 안으로 깊숙이 불어넣기 위하여 많은 동력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3에 도시된 가스 분사식 유황산화물 흡수탑(10′)은 교반기(130)를 구동하는 데에도 많은 동력이 소모되고, 교반기(130)가 고장날 경우 수리를 위하여 흡수탑(10′) 전체의 운전을 정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conventional gas injection sulfur
도1에 도시된 슬러리 분사형 흡수탑(10)과 도3에 도시된 가스 분사형 흡수탑(10′)은 모두 슬러리가 흡수탑의 바닥에 정체되어 있으면 슬러리 중의 물과 고형물이 분리되어 고형물이 바닥에 가라앉게 되므로, 항시 교반기를 사용하여 물과 고형물이 분리되지 못하도록 해주고 있는데, 현재의 기술은 프로펠라형(축류형) 교반기를 사용하므로 많은 동력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고, 특히 도1의 슬러리 분사식 흡수탑(10)에서는 교반기(13)가 흡수탑(10)의 슬러리 충진 부위에 설치되어 교반기(13)의 축이 흡수탑(10)의 벽면을 통과하게 되므로, 이때 이 통과 부위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밀봉 장치가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3의 가스 분사식 흡수탑(10′)의 경우에는 교반기의 축(132)이 길어지게 되어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축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Both the slurry spray
또한 흡수탑들(10,10′) 안에 있는 슬러리는 부식성이 강한 산성이므로 슬러리와 접촉하는 교반기는 부식에 견딜 수 있도록 가격이 비싼 고급 재질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반기 날개의 마모와 공동현상(cavitation)에 의한 침식으로 주기적으로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the slurry in the absorption tower (10, 10 ') is a highly corrosive acid, the stirrer in contact with the slurry had to use a high-quality expensive material to withstand corrosion, nevertheless wear and tear of the stirrer blade There was a problem that should be replaced periodically by erosion by cavitation (cavitation).
그리고 종래의 유황산화물 흡수탑(10,10′; 도1 및 도3 참고)에 도시된 교반 기들(13,130)은 모두 예비기를 설치하기 어려우므로, 고장이 발생하면 탈황 설비를 정지하고 수리하여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탈황공정을 위한 흡수탑들(도1 및 도3 참고)은 전반적인 동력소모가 크고 교반기를 설치하고 유지 관리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교반기가 고장날 가능성이 커서 안정적인 가동상태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동력비 및 유지관리비용의 측면에서 여러 가지로 문제점이 많은 종래의 탈황장치 대신에 탈황효율을 더 증진시키면서도 훨씬 적은 동력으로 충분히 운전이 가능하고 고장의 위험이 거의 없는 새로운 타입의 유황산화물 흡수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the absorption towers (refer to FIGS. 1 and 3) for the conventional desulfurization process have a high overall power consumption, are expensive to install and maintain the stirrer, and have a high possibility of failure of the stirrer.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difficult to secure. Therefore, instead of the conventional desulfurization apparatus, which has many problems in terms of power and maintenance costs, the new type of sulfur oxide absorber which can be operated sufficiently with much less power and has little risk of failure, while further improving the desulfurization efficiency. It was necessary to develop the device.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석탄, 석유 등을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연소가스와 석회석 슬러리가 최대의 접촉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접촉환경을 최적화시켜 유황산화물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슬러리의 순환과 교반에 드는 동력소모를 최소 규모로 줄여서 최고의 에너지 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에너지 절약형 유황산화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optimizes the contact environment so that the combustion gas and limestone slurry generated when burning coal, petroleum, etc. can cause the maximum contact reaction, while improv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sulfur oxides while circulating the slurr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s-slurry contact tray energy-saving sulfur oxide removal device capable of achieving the best energy savings by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for over stirr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에너지 절약형 유황산화물 제거장치는,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를 연소하는 설비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 중에 포함된 유황산화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를 받아들여 석회석 슬러리와 접촉시킴으로써 연소가스 중의 유황산화물을 석고 형태로 고정시키고, 탈황된 후의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유황산화물 흡수탑(200); 상기 유황산화물 흡수탑(2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석회석 슬러리가 채워져 있는 슬러리 충만부(22); 상기 슬러리 충만부(22)의 석회석 슬러리를 상기 유황산화물 흡수탑(200)의 상부로 이송시키는 슬러리 순환부; 상기 유황산화물 흡수탑(200)의 내부에서 상기 슬러리 순환부에 연결되어 상기 석회석 슬러리를 하방으로 분사하는 복수 개의 슬러리 분사노즐들(12b); 상기 슬러리 분사노즐들(12b)과 상기 슬러리 충만부(22)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슬러리 분사노즐들(12b)로부터 분출되어 하강하는 석회석 슬러리들과 상기 유황산화물 흡수탑(200) 안에서 상승 이동하는 연소가스가 접촉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스-슬러리 접촉반응부(210); 및 상기 슬러리 분사노즐들(12b)의 상방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슬러리 접촉 반응부(210)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연소가스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물방울 제거기(11);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gas-slurry contact tray type energy-saving sulfur oxide removal devic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removing sulfur oxides contained in combustion gas discharged from a facility for burning fossil fuel such as coal and petroleum. A sulfur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에너지 절약형 유황산화물 제거장치는, 유황산화물 흡수탑(200)의 슬러리 충만부(22) 안에 복수 개의 교반노즐들(250)이 설치되며, 상기 교반노즐들(250)은 상기 유황산화물 흡수탑(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각 교반노즐(250)은 상기 유황산화물 흡수탑(200)의 주변부 하부에서 도출된 교반용 슬러리 전달관(253)과 연결되며, 상기 교반용 슬러리 전달관(253) 안의 유체는 교반펌프(251)에 의해서 가압되어 상기 교반노즐(250)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교반노즐(250)의 분출압에 의해 상기 슬러리 충만부(22) 안의 슬러리의 교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energy saving sulfur oxide removal devic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stirring
본 발명에 따른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에너지 절약형 유황산화물 제거장치는 발전소 등의 보일러에서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를 연소할 때 발생하는 유황산화물의 제거효율을 최고로 올리면서도 최소한도의 동력만으로도 충분히 구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절감효과와 아울러 탈황효율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황산화물 제거장치는 종래 고장의 우려가 많으면서 동력소모가 컸던 교반기 대신에, 기계적인 운동부분이 없고 동력소비가 적은 교 반노즐을 이용하여 슬러리를 교반시키므로, 동력비 및 유지관리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gas-slurry contact tray type energy-saving sulfur oxid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fficiently driven with minimum power while raising the efficiency of removing sulfur oxides generated when burning fossil fuels such as coal and oil in a boiler such as a power plant. By doing so, the energy saving effect and the desulfuriz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sulfur oxid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a stirrer that has a lot of power consumption and a lot of conventional failure, the slurry is agitated using a stirring nozzle having no mechanical movement and low power consumption, power ratio and maintenan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s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에너지 절약형 유황산화물 제거장치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gas-slurry contact tray energy-saving sulfur oxid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In the drawings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prior art.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에너지 절약형 유황산화물 제거장치(20)를 이용하여 보일러의 연소가스로부터 유황산화물을 제거하는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4를 참고하면, 석탄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1)로부터 배출된 연소가스는 열교환기(4)에서 온도를 낮춘 후 유황산화물 흡수탑(200)안으로 유입되며, 상기 유황산화물 제거장치(20)의 중간 부분을 통해 내부로 들어온 연소가스(G)는 가스-슬러리 접촉 반응부(200)를 통과하면서 석회석 슬러리와 비교적 오랜 시간 충분히 접촉하여 물리, 화학적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유황산화물이 제거된 후, 물방울 제거기(11)에서 물방울이 제거되고, 이후 열교환기(4)로 들어가 온도를 올린 다음 연돌(5)로 배출된다. Figure 4 schematically shows a plant for removing sulfur oxides from the combustion gas of the boiler by using a gas-slurry contact tray energy-saving sulfur
도4의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유황산화물 흡수탑(200)은 일견 도1에 도시된 종래의 슬러리 분사식 흡수탑(10)과 유사한 형태로 되어 있지만, 슬러리 분사노즐들(12b)과 슬러리 충만부(22)의 사이에 가스-슬러리 접촉 반응부(210)가 설치되고, 상기 가스-슬러리 접촉 반응부(210)의 아래쪽에 집수천정(220)이 설치된 점 에서 큰 차이가 있다. The gas-slurry contact tray type sulfur
상기 유황산화물 흡수탑(200)의 저부에 있는 슬러리 충만부(22)에 고여 있는 석회석 슬러리(S)는 슬러리 순환펌프(12c)에 의해 가압되어 슬러리 순환관(12)을 따라 상부의 슬러리 분사관(12a)까지 이송되며, 그곳에서 복수 개의 슬러리 분사노즐들(12b)에 의해 미립자 형태의 물방울들로 분무된다. 슬러리 분사노즐들(12b)에 의해서 분무된 슬러리 방울들은 가스-슬러리 접촉 반응부(210)의 트레이판들(tray plates, 211, 도5 및 도6 참조)을 따라 아래로 내려오는데, 이 과정에서 상승하여 올라오는 연소가스(G)와 부딪치고 접촉하면서 유황산화물(SOx)이 석회석 입자에 흡수되는 물리적, 화학적 반응이 진행된다. The limestone slurry S accumulated in the
상기 슬러리 분사노즐들(12b)로부터 분사된 슬러리(S)는 비록 연소가스의 기류(氣流)가 슬러리를 위로 밀어 올리려 하지만, 슬러리 물방울의 자중이 더 크므로 슬러리는 결국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슬러리가 자유낙하를 한다고 가정하면 낙하하는 속도는 그 낙하하는 시간에 비례할 것이므로( v = g ㅧ t ), 슬러리가 낙하하는 도중 만나는 장애물이 없다면 슬러리의 낙하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결국 슬러리(S)와 연소가스(G)가 접촉할 수 있는 시간은 슬러리가 분사 노즐(12b)로부터 멀어질수록 짧아질 것이다. Slurry S injected from the
따라서 슬러리 방울이 낙하하는 도중 계속적으로 장애물에 부딪치도록 하여 매번 낙하하는 속도를 늦춰주면 연소가스와 슬러리가 접촉하여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시간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슬러리만을 순환시키더라도 더 향상된 탈황효율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고 려에 의해 본 발명의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유황산화물 흡수탑(200)에서는 종래의 흡수탑(도1 참조)과 같이 많은 양의 슬러리를 순환시키지는 않으며, 종래 기술의 경우보다 훨씬 적은 양의 슬러리를 순환시켜 분사하면서도 그 분사된 슬러리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천천히 낙하하면서 연소가스와 충분히 접촉하고 반응하도록 하여 에너지 절감과 탈황효율의 증진이라는 양대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되었다. Therefore, if the slurry drop continuously hits an obstacle while falling, slowing down the dropping rate each time will allow more time for the combustion gas and slurry to contact and cause a reaction. Even better circulation will yield improved desulfurization efficiency. Due to this technical consideration, the gas-slurry contact tray type sulfur
본 발명에서 채택한 가스-슬러리 접촉반응부(210)의 내부는 냉각탑의 충진물과 비슷한 형태로 된 트레이 판들(211)로 채워져 있으며, 상기 트레이 판들(211)은 연소가스의 통풍저항을 줄이기 위해 연소가스(G) 및 슬러리(S)가 흐르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5 참조). 슬러리는 트레이 판들(211)의 면을 타고 흐르면서 연소가스와 접촉하는데, 이때 연소가스와 슬러리가 흐르는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되므로, 슬러리는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내려오려 하지만 연소가스가 슬러리를 위로 밀어 올리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슬러리가 천천히 내려오게 되어 연소가스와 슬러리의 접촉 시간과 면적을 많게 해 준다. 또한, 트레이 판들(211)은 연소가스가 지나가는 통로에 균일하게 설치되므로 연소가스가 통로를 균일하게 흐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inside of the gas-slurry
이 결과로 연소가스 중의 유황 산화물이 슬러리와 충분히 반응할 수 있게 되고 연소가스와 슬러리의 열교환도 충분해져서 연소가스가 수분으로 포화되게 되어, 이후 물방울 제거기(11)에서 물방울을 보다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a result, the sulfur oxides in the combustion gas can sufficiently react with the slurry, and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combustion gas and the slurry is also sufficient, so that the combustion gas is saturated with moisture, and then the water droplet can be more easily removed from the
상기 슬러리 분사노즐(12b)의 상부에는 가스-슬러리 접촉 반응부(210)에서 탈황 반응을 마치고 배출되는 연소가스(G′)에 물방울이 섞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미로 형태의 내부구조를 가진 물방울 제거기(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물방울 제거기(11)는 물방울이 미로의 벽면에 부착되고 계속해서 후속 물방울들이 추가로 부착되어 물방울이 성장함으로써 밑으로 떨어져 제거되는 원리로 되어 있다. Water droplets hav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labyrinth shape in order to prevent the water droplets are mixed and discharged in the combustion gas G ′ discharged after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from the gas-slurry
도4에 도시된 유황산화물 흡수탑(200)의 중간 부분에는 루버(louver) 형태로 각각의 패널이 구성되어 이루어진 집수천정(220)이 설치되며, 상기 집수천정(220)은 흡수탑(200)의 저부와 연결된 지지프레임(24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집수 천정(22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집수 천정 부재들(221)은 상기 유황산화물 흡수탑(200)의 중앙부에 있는 집수 천정 부재가 가장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흡수탑(220)의 주변부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낮아진 위치들에 각각 설치된다(도4 및 도7 참조). 그리고 각각의 집수천정부재들(221)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흡수탑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가스-슬러리 접촉 반응부(210)에서 떨어진 슬러리 방울이 집수천정(220)을 타고 내려가 흡수탑(200)의 주변부에 있는 슬러리 섬프(slurry sump, 230)로 모이게 되며, 반면 집수천정(220)의 아래에 있던 연소가스(G)는 집수천정 부재들(221) 사이의 떨어진 틈을 통과하여 가스-슬러리 접촉 반응부(210)로 올라간다.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sulfur
상기 집수천정(220)의 주변부에 설치된 슬러리 섬프(230)는 가스-슬러리 접촉 반응부(210)에서 떨어진 슬러리들이 집결되는 곳으로, 이 슬러리 섬프(230)는 슬러리 하강관(231)에 의해 그 아래쪽에 설치된 슬러리 교반노즐(25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슬러리 교반노즐(250)은 도8 및 도9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흡수 탑(200)의 주변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되는데, 상기 슬러리 섬프(230)에 모인 슬러리는 교반노즐들(250)의 위치와 상당한 수두(water head) 차이가 발생하므로, 슬러리 섬프(230)의 슬러리가 슬러리 하강관(231)을 타고 내려가게 되면 교반노즐(250)에서 상당히 강한 압력으로 슬러리가 분출될 수 있다. 이렇게 교반노즐들(250)로부터 슬러리가 분출됨으로써, 슬러리 충만부(22)에 고여 있는 슬러리들이 회전하게 되어 교반이 이루어진다. 슬러리가 흡수탑 내에서 회전하면 원심력을 받게 되고 슬러리 내의 고형물은 물보다 비중이 크므로 바깥쪽으로 쏠리게 되고 고형물의 농도가 높은 슬러리를 순환펌프가 흡입하여 순환시키므로 고형물이 침전되지 않는다.The
한편 본 발명의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흡수탑(200)의 저부에는 슬러리 순환관(12)이 연결되어 슬러리의 일부를 빼서 흡수탑(200) 상부의 분사노즐들(12b)쪽으로 이송한다. 슬러리 순환펌프(12c)는 슬러리 순환관(12)안의 슬러리를 가압하여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순환시키는 슬러리의 양을 종래기술의 경우에 비해 대폭적으로 적게 하였으므로, 종래 기술의 흡수탑(도1의 도면부호 10)에서 사용되는 펌프에 비해 훨씬 적은 용량의 펌프를 사용하거나 다수 대의 순환펌프가 설치된 경우 운전 대수를 줄여도 무방하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상기 교반노즐(250)은 상기 슬러리 섬프(230)로부터 전달받은 슬러리를 분출하는 것 외에도 교반펌프(251)에 의해 공급받은 슬러리를 분출할 수 있도록 하여 슬러리의 교반에 필요한 동력원을 이중으로 마련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슬러리 순환관(12)에 교반용 슬러리 전달관(253)을 연결하여 설치하고, 이 교 반용 슬러리 전달관(253)의 경로상에 교반펌프(251)를 설치한다. 흡수탑에 슬러리를 충진하고 아직 순환펌프를 가동하여 슬러리를 상부 노즐로 순환시키지 않은 기간 동안에는 흡수탑 내의 슬러리가 침전될 수 있는데, 이때 교반펌프(251)를 가동하면 상기 교반용 슬러리 전달관(253)안의 슬러리가 교반펌프(251)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교반노즐들(250)로 분출됨으로써 고형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슬러리 섬프(230)로부터 슬러리가 교반노즐(250)로 공급되는 경우에도 교반펌프(251)를 가동할 경우 교반펌프(250)의 분출압을 더욱 세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tirring
한편, 상기 교반용 슬러리 전달관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슬러리 순환관(12)으로부터 배관을 빼서 설치할 수도 있고, 혹은 슬러리 순환관(12)과는 별도로, 흡수탑(200)으로부터 직접 배관을 빼서 교반용 슬러리 전달관(253)을 설치하고 이 교반용 슬러리 전달관(253)의 액체를 교반펌프(251)로 가압하여 교반노즐(250)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for installing the stirring slurry delivery pipe, the pipe may be removed from the
상기 교반펌프(251)와 교반노즐(250)의 사이에는 체크밸브(252)가 설치되어 흡수탑(200)안의 교반노즐(250)로부터 슬러리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4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15는 흡수탑(200)에 새로운 석회석 슬러리를 공급하기 위한 석회석 슬러리 공급관이며, 도면부호 16은 산소(공기)공급관을 가리키고, 도면부호 17은 석고배출관을 가리키고, 도면부호 21은 흡수탑(200)의 상부에 있는 뚜껑을 가리킨다. A
도5는 도4에 도시된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유황산화물 흡수탑(200)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유황산화물 흡수탑(200)의 상부에 있는 물방울 제거기(11)의 아래에 설치된 가스-슬러리 접촉 반응부(210)는 복수 개의 트레이 판들(211)이 집결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트레이 판들(211)은 각각 그 표면에 볼록한 돌출부(211a) 및 오목한 함몰부들(211b)이 형성되어 있어서 인접한 트레이 판들과의 사이에는 빈 틈새(212)가 존재한다. 상기 트레이 판들(211)의 위쪽에 있는 슬러리 분사노즐들(12b)로부터 슬러리들(S)이 분무되면, 이 슬러리들(S)은 트레이 판들(211) 사이의 빈 틈새(212)를 타고 아래로 흘러내리는 도중에 연속적으로 상기 볼록한 돌출부들(211a)에 부딪침으로써 낙하하는 속도가 느려져 최대한 천천히 가스-슬러리 접촉 반응부(210)를 통과하게 된다. 한편, 가스-슬러리 접촉 반응부(210)의 아래에 설치된 루버형의 집수천정(220)의 틈새를 통해 연소가스(G)가 빠져나와 트레이 판들(211)의 사이를 지나 올라가므로, 이 과정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슬러리(S)와 위로 올라가는 연소가스(G)가 서로 부딪치면서 충분한 접촉이 일어난다. FIG. 5 shows the gas-slurry contact tray type sulfur
연소가스 중의 유황산화물이 석회석 슬러리와 얼마만큼 잘 반응하는가 하는 것은 접촉시간, 접촉면적, 온도 및 pH 등의 인자들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최적온도는 물리적으로 결정되고, pH는 석회석의 소모와 석고의 순도에 의해 결정되므로, 더 이상 개선의 여지가 있는 인자는 접촉시간과 접촉면적 뿐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연소가스와 슬러리가 접촉하는 시간과 면적을 많이 확보하면 할수록 유황산화물의 제거효율이 올라가게 되므로, 분사노즐(12b)로부터 분사되어 낙하되는 슬러리 방울들이 되도록 오랜 시간에 걸쳐 떨어지면서 연소가스(G)와 접촉 하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How well the sulfur oxides in the flue gas react with the limestone slurry is determined by factors such as contact time, contact area, temperature and pH. Among them, the optimum temperature is physically determined, and the pH is determined by the consumption of limestone and the purity of gypsum, and thus, further factors that can be improved are only contact time and contact area. That is, the more the time and the area of the combustion gas and the slurry contact the more the sulfur oxide removal efficiency is increased, so that the falling drops of the slurry falling from the injection nozzle (12b) over a long time so that the combustion gas (G It is necessary to make contact with).
본 발명의 가스-슬러리 접촉 반응부(210)는 석회석 슬러리(S)가 되도록 오랜 시간에 걸쳐 떨어지도록 자유낙하를 방해하는 다양한 형태의 장애물들을 갖추고 있는 구조이면 되며, 도5 및 도6에 도시된 트레이 판들(211)은 그 일예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가스-슬러리 접촉 반응부(210)는 일반적인 냉각탑의 충진물과 같은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흡수탑(200)에 채용된 가스-슬러리 접촉 반응부(210)는, 도5 및 도6에 도시된 트레이 판들(211) 이외에도, 슬러리와 연소가스가 되도록 오랜 시간 동안 머물면서 접촉 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라고 가능하다. The gas-slurry
또한 상기 가스-슬러리 접촉 반응부(210)의 트레이 판들(211)은 슬러리의 온도가 그리 높지 않고(최고 70℃) 강한 산성이므로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외에 금속 또는 기타의 소재들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도6은 도5에 있어서 가스-슬러리 접촉반응부(210)와 그 상부에 설치된 슬러리 순환관(12) 및 슬러리 분사노즐(12b)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6을 참고하면, 슬러리 순환관(12)의 상부가 복수 개의 슬러리 분사관들(12a)로 분기되며, 각 슬러리 분사관들(12a)에 결합된 분사노즐들(12b)이 흡수탑(200) 내부의 수평 면적을 커버하게 된다. 상기 슬러리 분사노즐들(12b)로부터 분출된 슬러리 액체들은 그 아래에 설치된 가스-슬러리 접촉 반응부(210)를 구성하는 트레이 판들(211)의 사이로 들어가 아래쪽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gas-slurry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에너지 절약형 유황산화물 제거장치(20)에 있어서 교반노즐(250)에 의해 슬러리가 회전하여 교반되는 구조를 도시한다. 7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slurry is rotated and stirred by a stirring
도7을 참고하면, 가스-슬러리 접촉 반응부(210)에서 떨어진 슬러리들(S)은 집수천정(220)을 타고 흡수탑(200)의 주변부로 흘러내리게 되며, 결국 흡수탑(200)의 주변부에 마련된 슬러리 섬프(230)에 모인다. 상기 집수천정(220)은 루버 형으로 되어 있어서 연소가스는 통과시키고 슬러리는 집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slurries S dropped from the gas-slurry
상기 슬러리 섬프(230)는 슬러리 하강관(231)에 의해 슬러리 교반노즐(250)과 연결되어 있는데, 슬러리 섬프(230)와 슬러리 교반노즐(250)간의 수두 차이가 대략 3미터 정도만 되더라도 교반노즐(250)에서는 흡수탑(200)의 저부에 고인 석회석 슬러리를 충분히 교반시킬 수 있을 정도로 센 분출압력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교반노즐(250)은 기계적인 펌프 작용이 없이도 슬러리 섬프(230)로부터의 자연적인 수두압력 만에 의해서 슬러리를 충분히 교반시킴으로써 고형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e
한편, 본 발명의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유황산화물 흡수탑(200)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교반노즐들(250)이 흡수탑(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므로, 교반노즐(250)의 슬러리 분출압력은 흡수탑 자체에 의한 저항을 최소로 받게끔 되어 있어서 슬러리를 회전시키는데 충분한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as-slurry contact tray type sulfur
상기 슬러리 교반노즐(250)은 상기 슬러리 섬프(230)와 연결되어 있는 한편 으로 교반펌프(251)와도 연결되어 있어서, 만일 슬러리 섬프(230)에 의한 수두 압력이 제대로 작용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흡수탑의 설치 초기나 흡수탑을 정비하기 위해 흡수탑 내부의 슬러리를 빼냈다 다시 충진할 경우 아직 슬러리 순환펌프(12c)는 운전되지 않으므로 슬러리 섬프(230)에 모인 슬러리의 양이 충분하지 않게 됨)에는 교반펌프(251)를 가동하여 교반노즐(250)의 분출압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흡수탑(200)에서 교반노즐(250)을 이용하여 슬러리를 교반시킴으로써 슬러리 중 고형물의 침전을 방지하는 작용은 슬러리 섬프(230)의 자연적인 수두압력에 의해서 달성될 수도 있고, 또는 흡수탑(200)의 외부에 설치된 교반펌프들(251)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도 있으며, 혹은 슬러리 섬프(230)의 수두압력과 교반펌프들(251)을 함께 이용하여 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7에서 미설명부호 MF는 교반노즐(250)로부터 분출된 슬러리에 의해서 발생되는 교반류를 가리킨다. The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에너지 절약형 유황산화물 제거장치(20)의 흡수탑(200)의 내부 평면 단면도로서, 교반노즐들(250)이 흡수탑(200)의 내부 주변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디퓨저(diffuser, 255)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 흡수탑(200)의 저부에 설치되는 교반노즐들(250)은 수두압력 및 교반속도 등의 요건들에 따라 필요한 만큼 적정한 개수로 설치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는 단지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노즐의 형태를 가질 뿐이고 기계적으로 움직이는 부분들이 없어서 고장의 우려가 전혀 없는 것이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FIG. 8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그리고 상기 교반노즐들(250)을 그대로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교반노즐들(250)에 디퓨저들(255)을 결합함으로써 분출속도를 이용하여 유량을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퓨저(255)는 슬러리 분사노즐(250)에서 분사되는 슬러리의 힘을 증폭하여 많은 양의 슬러리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And although the stirring
본 발명의 탈황설비에 사용되는 석회석은 대단히 고운 입자로 물과 섞이어 공급되므로 쉽게 물과 고형물로 분리되지는 않지만, 물과 고형물은 비중의 차이가 있으므로, 흡수탑(200)안의 슬러리(S)가 회전하게 되면 원심력이 작용하여 비중이 큰 고형물은 원주 방향의 바깥쪽으로 쏠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슬러리 순환펌프(12c)의 흡입부(즉 슬러리 순환관(12)의 입구측)는 상기 흡수탑(200)의 원주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므로, 흡수탑(200)의 원주방향 바깥쪽으로 쏠린 고형물 성분은 다시 슬러리 분사노즐(12b)로 보내지게 되어, 고형물의 침전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Limestone used in the desulfurization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fine particles are mixed with water and are not easily separated into water and solids, but water and solids have a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so that the slurry (S) in the
또한 이와 같이 흡수탑(200)의 주변부에 몰린 고형물 성분이 우선적으로 슬러리 분사노즐(12b)로 보내져 분무됨으로써, 밀도가 높은 석회석 성분과 연소가스가 접촉하게 되어 유황산화물의 흡수반응을 보다 쉽게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olid component moistened at the periphery of the
도9는 도7 및 도8에 도시된 슬러리 교반노즐(250)과 디퓨저(255) 및 교반펌프(251)의 결합구조에 관한 개략도들로서, 이 중 (A)도는 사시도 형태로 도시한 것이고, (B)도는 (A)도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상기 슬러리 분사노즐(250)의 전방 쪽에서 바라본 단면도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FIG. 9 is a schematic view of a coupling structure of the
도9의 (A)도를 참고하면, 슬러리 교반노즐(250)은 슬러리 하강관(231)의 단부로부터 90도 각도로 절곡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슬러리 하강관(231)에는 교반펌프(251)와 연결된 교반용 슬러리 전달관(253)이 함께 연결된다. 상기 슬러리 교반노즐(250)의 단부에는 디퓨져(255)가 결합되는데, 상기 디퓨저(255)는 내주면(255a)의 일부에서 직경이 좁아진 형상을 갖고 있어서, 슬러리 교반노즐(250)로부터 슬러리가 분출될 때 압력이 저하되어 속도가 더욱 빨라지도록 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ure 9 (A), the
한편, 상기 슬러리 교반 노즐(250) 및 디퓨저(255)는 세라믹과 같이 마모와 부식에 강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밖에 합성수지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이상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유황산화물 제거장치는 발전소 등의 대규모 연소시설에서 연료를 연소할 때 유황 성분이 산화됨으로써 발생하는 유황 산화물(SOx)이 그대로 외부 대기로 배출되어 대기 오염의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기가스 중의 유황 산화물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탈황 과정에서 소요되는 동력을 최대한 절약하면서도 최대의 탈황효율을 달성하며 열교환기의 열소자(heating element)가 석고로 인하여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하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s-slurry contact tray type sulfur oxid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lfur oxide generated by the oxidation of sulfur components when burning fuel in a large-scale combustion facility such as a power plant. It is a device that removes sulfur oxides in exhaust gas to prevent SOx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atmosphere as it causes air pollution, and achieves maximum desulfurization efficiency while saving the power required in the desulfurization process as much as possible. The heating elemen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clogging due to gypsu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황산화물 제거장치는, 종래의 슬러리 분사식 탈황 흡수탑에서 단점으로 지적되었던 슬러리 순환펌프의 동력이 많이 소요되는 점과 유황 산화물의 제거 효율이 낮은 문제 및 물방울 제거장치에서 고형물이 유출되는 문제를 완전히 해소하고, 나아가 종래의 탈황설비들에서 사용되던 교반기가 예비기가 없어 고장이 발생했을 때 탈황설비 모두를 정지해야 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ulfur oxid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umption of the slurry circulation pump that was pointed out as a disadvantage in the conventional slurry spraying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the problem of low sulfur oxide removal efficiency and solid matter in the water droplet removal device The problem of leaking is completely solved, and furthermore, there is an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of having to stop all of the desulfurization facilities when a failure occurs because a stirrer used in the conventional desulfurization facilities has no spare device.
본 발명은 종래의 슬러리 분사식 탈황설비와 비교하여 슬러리의 순환량을 적게 하는 대신 슬러리와 가스의 접촉면적 및 접촉시간을 최대한 충분히 확보하여 탈황효율이 개선되도록 함으로써 순환펌프의 운전에 드는 동력을 대폭 절감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탈황설비에서는 연소가스가 수분으로 충분히 포화되지 못하여 석회석이나 석고가 배기가스와 함께 섞여 배출됨으로 인해 2차 공해가 발생하고, 석고가 열교환기에 부착되어 통풍 저항을 일으킴으로 인해 추가 동력이 소요되었으며, 또한 이렇게 부착된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해 탈황 설비를 정지해야만 하는 문제들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탈황장치는 트레이 타입의 충진물을 통해 가스와 슬러리가 충분히 접촉하고 열교환을 일으켜 연소가스가 수분으로 완전히 포화되도록 함으로써 물방울 제거기에서 석고, 석회석 등 불순물들이 수분과 함께 완전히 붙잡혀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하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gnificantly reduce the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pump by improving the desulfurization efficiency by ensuring a sufficient contact area and contact time of the slurry and gas as much as possible instead of reducing the circulation amount of the slurr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lurry spray desulfurization equip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desulfurization equipment, the combustion gas is not sufficiently saturated with moisture, and limestone or gypsum is mixed with the exhaust gas, thereby causing secondary pollution, and additional power is required because the gypsum is attached to the heat exchanger to create a ventilation resistance. In addition, the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d to stop the desulfurization equipment in order to remove the solids attached thereto. By saturating the gypsum, limestone and other impurities in the water droplet remover can be completely caught with the water to be removed there is an advantage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발전소 설비에 탈황장치가 적용된 것을 예시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탈황장치의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탈황장치는 발전소 이외에도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를 연소하는 대규모 사업장의 연소설비들과 연계하여 탈황공정을 수행하는데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ulfurization apparatus is applied to the power plant equipment to illustrate the configuration of the gas-slurry contact tray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cable to all the desulfurization processes in conjunction with the combustion plants of large-scale plants.
도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슬러리 분사식 유황산화물 흡수탑(10)을 이용하여 발전소의 보일러의 연소가스로부터 유황산화물을 제거하는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a facility for removing sulfur oxides from the combustion gas of the boiler of the power plant using the slurry injection sulfur
도2는 도1에 도시된 물방울 제거기(11)의 내부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2 shows an example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도3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가스 침적식(분사식) 유황산화물 흡수탑(10′)을 이용하여 발전소의 보일러의 연소가스로부터 유황산화물을 제거하는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FIG. 3 schematically shows a facility for removing sulfur oxides from combustion gas of a boiler of a power plant using a gas deposition (spray) sulfur oxide absorption tower 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에너지 절약형 유황산화물 제거장치(20)를 이용하여 발전소의 보일러의 연소가스로부터 유황산화물을 제거하는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ure 4 schematically shows a facility for removing sulfur oxides from the combustion gas of the boiler of the power plant using the gas-slurry contact tray energy-saving sulfur
도5는 도4에 도시된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에너지 절약형 유황산화물 제거장치(20)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FIG. 5 shows the gas-slurry contact tray type energy saving sulfur
도6은 도5에 있어서 가스-슬러리 접촉반응부(210)와 그 상부에 설치된 슬러리 순환관(12) 및 슬러리 분사노즐(12b)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FIG.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gas-slurry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에너지 절약형 유황산화물 제거장치(20)에 있어서 교반노즐(250)에 의해 슬러리가 회전하여 교반되는 구조를 도시한다. 7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slurry is rotated and stirred by a stirring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에너지 절약형 유황산화물 제거장치(20)의 흡수탑(200)의 내부 평면 단면도로서, 교반노즐들(250)이 흡수탑(200)의 내부 주변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디퓨저(255)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다. FIG. 8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도9는 도7 및 도8에 도시된 교반노즐(250)과 디퓨저(255) 및 교반펌프(251)의 결합구조에 관한 개략도이다. FIG. 9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upling structure of the stirring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보일러 1a: 증기발생관1:
1b: 석탄재 배출구 1c: 연소가스 배출관1b:
1d: 공기인입구 1e: 공기인입관1d:
2: 공기예열기 2a: 압입송풍기2:
2b: 가스전달관 3: 집진장치2b: gas delivery pipe 3: dust collector
3a: 유인송풍기 4: 열교환기 3a: drawer 4: heat exchanger
4a: 가스배출관 5: 연돌(굴뚝)4a: gas discharge pipe 5: stack (chimney)
10: 슬러리 분사식 흡수탑 10′: 가스분사식 흡수탑10: slurry spray absorption tower 10 ': gas injection absorption tower
10a: 가스인입관 10b: 가스전달관10a:
11: 물방울 제거기 11a: 상부뚜껑11:
11b: 격벽 11c: 미로형 통로11b:
12: 슬러리 순환관 12a: 슬러리 분사관12:
12b: 슬러리 분사노즐 12c: 슬러리 순환펌프12b:
13: 교반기 13a: 모터13:
14: 슬러리와 연소가스 접촉상태 15: 석회석 슬러리 공급관14: slurry and combustion gas contact state 15: limestone slurry supply line
16: 산소공급관 16a: 산소 방울16:
17: 석고배출관 17: Gypsum discharge pipe
20: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유황산화물 제거장치20: gas-slurry contact tray sulfur oxide removal device
21: 뚜껑 22: 슬러리 충만부21: lid 22: slurry full
110: 물방울 제거기 뚜껑 111: 뚜껑110: drop cap lid 111: lid
120: 가스입구 121: 가스주입관120: gas inlet 121: gas injection pipe
122: 가스출구 130: 교반기122: gas outlet 130: stirrer
131: 모터 132: 교반기 축131: motor 132: agitator shaft
133: 교반기 날개 200: 유황산화물 흡수탑133: stirrer blade 200: sulfur oxide absorption tower
201: 연소가스 인입구 210: 가스-슬러리 접촉반응부201: combustion gas inlet 210: gas-slurry contact reaction part
211: 트레이판 211a: 돌출부211:
211b: 오목부 212: 틈새211b: recess 212: gap
220: 집수 천정 221: 집수 천정 부재220: catchment ceiling 221: catchment ceiling member
230: 슬러리 섬프(slurry sump) 231: 슬러리 하강관230: slurry sump 231: slurry downcomer
240: 지지프레임 250: 교반노즐240: support frame 250: stirring nozzle
251: 교반펌프 252: 체크밸브251: stirring pump 252: check valve
253: 교반용 슬러리 전달관 255: 디퓨져(diffuser)253: slurry delivery tube for stirring 255: diffuser
255a: 디퓨져 내면 G, G′: 연소가스255a: G inside the diffuser, G ′: combustion gas
MF: 교반류 S: 슬러리MF: stirring flow S: slurry
W: 물방울W: water drop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5388A KR101018462B1 (en) | 2009-02-24 | 2009-02-24 | Gas-Slurry Contact Tray Energy-Saving Sulfur Oxide Remov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5388A KR101018462B1 (en) | 2009-02-24 | 2009-02-24 | Gas-Slurry Contact Tray Energy-Saving Sulfur Oxide Remov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6487A true KR20100096487A (en) | 2010-09-02 |
KR101018462B1 KR101018462B1 (en) | 2011-03-02 |
Family
ID=4300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538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18462B1 (en) | 2009-02-24 | 2009-02-24 | Gas-Slurry Contact Tray Energy-Saving Sulfur Oxide Remov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18462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964126A (en) * | 2016-07-04 | 2016-09-28 | 钱诚 | Folding fan type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tray |
CN110026058A (en) * | 2019-04-19 | 2019-07-19 | 漳州环境再生能源有限公司 | A kind of smoke reaction tower |
KR102075781B1 (en) * | 2019-11-29 | 2020-02-10 |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 Method for driving control of standard coal power generation flue desulfurizer |
CN111359376A (en) * | 2020-04-21 | 2020-07-03 | 温高 | A cavitation desorptio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sulfur dioxide desorption rate |
KR102563143B1 (en) * | 2022-07-15 | 2023-08-03 | 한국환경기기시험원 주식회사 |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with Its Own Heat Exchange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7058B1 (en) * | 2013-02-19 | 2013-07-23 |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 Deodorizing apparatus using the liquid medicine functioned as increasing reaction time od cleansing soluti-one |
KR20180085168A (en) | 2017-01-18 | 2018-07-26 | 한국원자력연구원 | Cyclone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sulfate and fine dust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86053A (en) * | 1994-05-11 | 1997-11-11 | Babcock-Hitachi Kabushiki Kaisha | Wet-type flue gas desulfurization plant and method making use of a solid desulfurizing agent |
KR0135324B1 (en) * | 1995-05-19 | 1998-04-22 | 이종훈 | Air supply stirring device for flue gas desulfurization process |
JP2000354728A (en) * | 1999-06-16 | 2000-12-26 | Babcock Hitachi Kk | Gas-liquid contact device |
-
2009
- 2009-02-24 KR KR1020090015388A patent/KR10101846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964126A (en) * | 2016-07-04 | 2016-09-28 | 钱诚 | Folding fan type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tray |
CN110026058A (en) * | 2019-04-19 | 2019-07-19 | 漳州环境再生能源有限公司 | A kind of smoke reaction tower |
KR102075781B1 (en) * | 2019-11-29 | 2020-02-10 |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 Method for driving control of standard coal power generation flue desulfurizer |
CN111359376A (en) * | 2020-04-21 | 2020-07-03 | 温高 | A cavitation desorptio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sulfur dioxide desorption rate |
KR102563143B1 (en) * | 2022-07-15 | 2023-08-03 | 한국환경기기시험원 주식회사 |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with Its Own Heat Exchange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18462B1 (en) | 2011-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18462B1 (en) | Gas-Slurry Contact Tray Energy-Saving Sulfur Oxide Remover | |
US10143957B2 (en) | High-efficiency gradient hierarchy complex desulfurizing tower | |
RU2556664C2 (en) | Wet scrubber for offgas cleaning | |
CN100534589C (en) | Gas outburst spinning dive desulfurization dust cleaning apparatus | |
CN104174274B (en) | For the spray packed tower of flue gas waste heat recovery | |
CN103230729A (en) | Waste gas purification system in rubber processing field | |
CN111346459B (en) | Wet flue gas desulfurization and denitrification catalyst activity maintaining device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 |
CN101716455A (en) | Internally circulating wet flue gas desulfurization tower | |
CN105771609A (en) | Centrifugal spray tower | |
CN105148718A (en) | Double-turbulence ultraclean desulfurization and dust removal compound tower | |
CN105148716A (en) | Flue gas desulfurization tower for coal-fried boilers | |
CN203253334U (en) | Exhaust gas purifying system in rubber processing field | |
US5480463A (en) | Apparatus for flue gas cleaning | |
CN102269527A (en) | Low-temperature flue gas exhaust heat utilization method and system including desulfurizing process | |
CN211358336U (en) | High-efficient deacidification smoke abatement device of industrial exhaust environmental protection | |
JP4734537B2 (en) | Absorption tower of flue gas desulfurization equipment | |
CN202582266U (en) | Rotating-stream-tray scrubber heat exchanger | |
CN212974706U (en) | Modular horizontal desulfurization equipment system | |
CN109990306B (en) | Boiler blowdown expansion vessel | |
CN201361520Y (en) | Turbulence desulfurization tower for wet flue gas desulfurization | |
CN106984116B (en) | High-efficient gas purification tower and gas treatment system | |
CN203790824U (en) | High-efficiency boiler smoke desulphurization tower | |
CN109806753B (en) | Reduction circulation desulfurization device and desulfurization method | |
CN208642306U (en) | A kind of countercurrent spray absorption tower for boiler exhaust gas sulphur removal | |
CN201688716U (en) | Low-temperature flue gas waste heat utilization apparatus containing desulphurization technolog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