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91678A -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 Google Patents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678A
KR20100091678A KR1020090010982A KR20090010982A KR20100091678A KR 20100091678 A KR20100091678 A KR 20100091678A KR 1020090010982 A KR1020090010982 A KR 1020090010982A KR 20090010982 A KR20090010982 A KR 20090010982A KR 20100091678 A KR20100091678 A KR 20100091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igh voltage
stress relief
epoxy
ultr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윤
강채홍
손시호
신두성
전종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0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1678A/ko
Publication of KR20100091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67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02G15/064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1End pieces for multiconductor cables supported by the cable and for facilitating connections to other conductive members, e.g. for liquid cooled welding cable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은, 에폭시 애관의 하부에 절연통(20)이 구비되고, 에폭시 애관의 내부에는 케이블(30)의 단부가 장입되어 그 선단에 노출시킨 나선의 도체(31)에 도체 인출봉(40)을 접속한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으로서, 상기 에폭시 애관(100)의 내부에는, 상기 케이블(30)의 표면에 밀착하여 전계 집중을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연체로 이루어진 응력 해제 콘(150)과 반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반도전 고무(160)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에 의하면, 응력 해제 콘과 반도전 고무가 에폭시 애관에 일체화되어 있어, 스프링 가압 장치와 같은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치 않아 구조가 단순해지고 조립이 용이하면서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응력 해제 콘과 반도전 고무가 항상 일정한 계면압으로 케이블에 가압되므로 우수한 전계 완화 특성이 구현되고 전기적 품질이 향상된다.
Figure P1020090010982
종단, 접속함, 케이블, 에폭시, 애관, 응력 해제 콘, 반도전 고무, 일체

Description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Termainal connection box for high voltage cable}
본 발명은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응력 해제 콘과 반도전 고무를 에폭시 애관에 일체화하여 이들을 가압하기 위한 밀대 장치를 제거하여 접속함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품질을 향상시킨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가스중 종단 접속함)은, 주로 옥내 변전소 등에서 지중 송전선과 차단기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도 1에는 종래의 종단 접속함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은, 에폭시 애관(10)의 하부(도 1에서는 오른쪽)에 절연통(20)이 구비되고, 상기 에폭시 애관(10)의 내부에 케이블(30)의 단부를 장입하여 그의 선단에 노출시킨 나선(裸線)의 도체(31)에 도체 인출봉(40)을 접속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에폭시 애관(10)의 내측 스토퍼(12)를 기준으로 위쪽(도 1에서는 왼쪽)의 내부에는 절연 매질인 가스를 충전하여 도체(31)와 절연피복(32)으로부터 의 연면 방전을 방지하고, 스토퍼(12)의 아래쪽(도 1에서는 오른쪽)으로는 에폭시 애관(10)과 케이블(30) 사이에 전계 완화용 응력 해제 콘(SRC : Stress Relief Cone)(50)과 반도전 고무(60)를 삽입하여 접속함의 하부 저압부(차폐부)에서의 전계 집중을 완화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응력 해제 콘(50)과 반도전 고무(60)는 스프링 가압장치(70)와 밀대(80)에 의해 상부로 탄성가압된다.
상기 스프링 가압 장치(70)와 밀대(80)는, 상기 응력 해제 콘(50)과 반도전 고무(60)를 밀어붙여 에폭시 애관(10) 및 케이블(30)과 계면 접촉압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전계 집중을 완화 특성이 구현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응력 해제 콘(50)과 반도전 고무(60)를 탄성 가압하기 위해 스프링 가압 장치(70)와 같은 추가적인 장치를 더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접속함이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해진다.
또한, 상기한 스프링 가압 장치(70)는 연결축(71), 스프링(72), 지지대(73), 고정축(74) 등의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속함마다 균일하고 일정한 계면압을 얻기 어려워 계면압이 저하되거나 과다해져 품질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함께, 조립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고, 조립 불량의 가능성도 커지며, 조립 위치 등에 대한 품질 검사가 현장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에폭시 애관 내에 응력 해제 콘과 반도전 고무를 일체화하여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일정한 계면압을 유지하도록 하여 전기적 품질을 향상시키고, 스프링 가압 장치와 같은 복잡한 구조를 없애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성이 뛰어난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은, 에폭시 애관의 하부에 절연통이 구비되고, 에폭시 애관의 내부에는 케이블의 단부가 장입되어 그 선단에 노출시킨 나선의 도체에 도체 인출봉을 접속한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으로서, 상기 에폭시 애관의 내부에는, 상기 케이블의 표면에 밀착하여 전계 집중을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연체로 이루어진 응력 해제 콘과 반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반도전 고무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에폭시 애관과 상기 응력 해제 콘 및 반도전 고무의 일체화는, 상기 에폭시 애관의 내부에 응력 해제 콘의 용융 원료와 반도전 고무의 용융 원료를 차례로 사출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에 의하면, 응력 해제 콘과 반도전 고무가 에폭시 애관에 일체화되어 있어, 스프링 가압 장치와 같은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치 않아 구조가 단순해지고 조립이 용이하면서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응력 해제 콘과 반도전 고무가 항상 일정한 계면압으로 케이블에 가압되므로 우수한 전계 완화 특성이 구현되고 전기적 품질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종단 접속함의 에폭시 애관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폭시 애관(100)은, 그 내부에 응력 해제 콘(150)과 반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반도전 고무(160)가 일체로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응력 해제 콘(150)은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도전 고무(160)는 주로 EP고무에 도전성을 띠는 물질이 혼합된 것이다.
상기 에폭시 애관(100)과 응력 해제 콘(150) 및 반도전 고무(160)의 일체화는, 에폭시 애관(100)을 먼저 제작하고, 에폭시 애관(100)의 내부에 벽면을 한쪽의 형틀로 삼아 응력 해제 콘(150)의 용융 원료를 사출성형하여 일체화하며, 다시 에폭시 애관(100)과 응력 해제 콘(150)을 형틀로 삼아 반도전 고무(160)의 용융 원료를 사출성형하여 일체화하는 방법으로 쉽게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응력 해제 콘(150)과 반도전 고무(160)의 사출 순서에는 한정이 없고, 제작의 편의를 고려하여 결정하면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반도전 고 무(160)를 에폭시 애관(100)의 내부에 먼저 사출성형하여 일체화하고, 이어서 일체화된 에폭시 애관(100)과 반도전 고무(160)에 응력 해제 콘(150)을 사출성형하여 일체화하여도 좋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단 접속함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응력 해제 콘(150)과 반도전 고무(160)는, 제조 공장에서 에폭시 애관(100) 내부의 정확한 위치에 미리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조립과정에서 위치가 어긋날 여지가 없고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조립 과정에서, 응력 해제 콘(150)과 반도전 고무(160)가 일체화된 에폭시 애관(100)의 내부에 케이블(30)을 삽입하면, 응력 해제 콘(150)과 반도전 고무(160)가 항상 일정한 계면압으로 케이블(30)에 가압되므로 우수한 전계 완화 특성이 구현되어 전기적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응력 해제 콘(150)과 반도전 고무(160)를 일체화한 상태에서 공장에서 곧바로 설치 위치와 형상 정밀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품질 검사가 쉽고 항상 안정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프링 가압 장치(70)와 밀대(80) 등의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 없게 되어 구조가 간단해지고 조립 상의 문제가 생기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들은 당연히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도 1은 종래의 종단 접속함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종단 접속함의 에폭시 애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단 접속함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 에폭시 애관 20 : 절연통
30 : 케이블 31 : 도체
32 : 절연 피복 40 : 도체 인출봉
150 : 응력 해제 콘 160 : 반도전 고무

Claims (2)

  1. 에폭시 애관의 하부에 절연통(20)이 구비되고, 에폭시 애관의 내부에는 케이블(30)의 단부가 장입되어 그 선단에 노출시킨 나선의 도체(31)에 도체 인출봉(40)을 접속한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으로서,
    상기 에폭시 애관(100)의 내부에는, 상기 케이블(30)의 표면에 밀착하여 전계 집중을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연체로 이루어진 응력 해제 콘(150)과 반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반도전 고무(160)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애관(100)과 상기 응력 해제 콘(150) 및 반도전 고무(160)의 일체화는, 상기 에폭시 애관(100)의 내부에 응력 해제 콘(150)의 용융 원료와 반도전 고무의 용융 원료를 차례로 사출하여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KR1020090010982A 2009-02-11 2009-02-11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Withdrawn KR20100091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982A KR20100091678A (ko) 2009-02-11 2009-02-11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982A KR20100091678A (ko) 2009-02-11 2009-02-11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678A true KR20100091678A (ko) 2010-08-19

Family

ID=42756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982A Withdrawn KR20100091678A (ko) 2009-02-11 2009-02-11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167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644B1 (ko) * 2010-09-01 2012-05-09 (주)원컨덕터 초고압케이블 종단접속함용 하부 보호관
WO2015129968A1 (ko) * 2014-02-25 2015-09-0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종단접속부를 구비한 전력케이블
KR20150106639A (ko) * 2014-03-12 2015-09-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종단접속함
US9853438B2 (en) 2014-02-25 2017-12-26 LS Cable & Systems Ltd. Power cable having end connecting por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644B1 (ko) * 2010-09-01 2012-05-09 (주)원컨덕터 초고압케이블 종단접속함용 하부 보호관
WO2015129968A1 (ko) * 2014-02-25 2015-09-0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종단접속부를 구비한 전력케이블
US9853438B2 (en) 2014-02-25 2017-12-26 LS Cable & Systems Ltd. Power cable having end connecting portion
KR20150106639A (ko) * 2014-03-12 2015-09-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종단접속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68757B (zh) 插塞式套管和具有这样的套管的高电压设施
US8981222B2 (en) Cable termination device, a method for prefabricating a cable termin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achieving a cable termination
KR20140021030A (ko) 케이블 종단 장치, 케이블 종단 장치의 사전 제조 방법, 및 케이블 종단부를 획득하는 방법
CN103038965B (zh) 高压直流电缆终端装置
BR112018005801B1 (pt) Encaixe de cabo para conexão de um cabo de alta tensão
KR20100091678A (ko)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KR102768881B1 (ko) 도체슬리브 교환용 자기애관 교체방법
CN106300214A (zh) 冷缩式电缆终端、冷缩式终端组件和端接电缆的方法
CN201113373Y (zh) 110kV-220kV交联电缆充油户外终端
KR20120035258A (ko) 슬립-온 타입의 케이블 단말 조인트박스
JP5097248B2 (ja) ケーブル終端接続部
KR102182988B1 (ko) 건식 플러그-인 부싱, 그 제조방법 및 이와 같은 부싱을 포함하는 고전압 설비
CN209545119U (zh) 电缆终端
JP5337770B2 (ja) 電力ケーブル接続部
CN204651866U (zh) 一种冷缩电缆终端头
CA3044761A1 (en) Adapter system for conversion of an installed medium-voltage air termination to a dead-front separable connector
KR102005764B1 (ko) 배전선로용 부하개폐장치
CN206742796U (zh) 一种10kV穿墙绝缘瓷套
KR102182989B1 (ko) 고전압 설비용 건식 플러그-인 부싱
JP7242005B2 (ja) 絶縁成形体、固体絶縁母線、絶縁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固体絶縁母線の製造方法
JP6175295B2 (ja) タンク形真空遮断器
CN202372537U (zh) 一种用于美式箱变试验的连接器
KR20100007643U (ko) 케이블 접속재
KR20020093307A (ko) 고무 슬리브를 이용한 엔드 단말기
KR20040046857A (ko) Cv케이블용 가스중 종단 접속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