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89594A - Green Energy Management Method - Google Patents

Green Energy Management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9594A
KR20100089594A KR1020090008910A KR20090008910A KR20100089594A KR 20100089594 A KR20100089594 A KR 20100089594A KR 1020090008910 A KR1020090008910 A KR 1020090008910A KR 20090008910 A KR20090008910 A KR 20090008910A KR 20100089594 A KR20100089594 A KR 20100089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data
consuming device
energy consumption
management meth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9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훈
정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주)우리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주)우리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90008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9594A/en
Publication of KR20100089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594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소비 기기의 에너지 소비량을 원격 검침 및 자동 집계하고, 이들 데이터를 관리 사이클을 통하여 관리함으로써, 건물의 최적 성능 유지 및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에너지 관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ergy management method capable of remotely reading and automatically counting energy consumption of an energy consuming device and managing these data through a management cycle, thereby maintaining optimal performance of a building and saving energy.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방법은 (a) 건물 내에 설치된 에너지 소비 기기에서 사용된 에너지 소비량을 원격으로 검침하여 자동 집계하는 단계; (b) 상기 집계된 데이터를 게이트 웨이에 의하여 사용자 네트워크에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전달된 데이터를 에너지 소비 기기별로 에너지 계측 항목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d) 상기 기록된 데이터를 연산작업을 통하여 에너지 소비 기기별 에너지 소비량과 장비의 운전 성능, 또는 에너지 소비량과 실내 쾌적성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 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e)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대한 산포도가 설정된 기준값의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되, 상기 (e) 단계에서 산포도가 기준값의 범위에 포함될 때까지, 각 에너지 소비 기기의 전력 공급 여부를 조절하여 상기 (a) 단계 내지 (e) 단계를 반복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nergy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remotely metering and automatically counting energy consumption used in an energy consuming device installed in a building; (b) delivering the aggregated data to a user network by a gateway; (c) classifying the transmitted data according to an energy measurement item for each energy consuming device; (d)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ergy consumption for each energy-consuming device and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 equipment or the energy consumption and the comfort of the room through calculation of the recorded data, and obtaining the data; And (e) determining whether a scatter diagram for the obtained data is included in a range of a set reference value; Wherein (e) in step (e) until the scatter is included in the range of the reference value, by adjusting the power supply of each energy-consum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s (a) to (e) is repeated.

Description

친환경 에너지 관리 방법{Method for energy management of green building}Environmental energy management method {Method for energy management of green building}

본 발명은 에너지 소비 기기의 에너지 소비량을 원격 검침 및 자동 집계하고, 이들 데이터를 관리 사이클을 통하여 관리함으로써, 건물의 최적 성능 유지 및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에너지 관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ergy management method capable of remotely reading and automatically counting energy consumption of an energy consuming device and managing these data through a management cycle, thereby maintaining optimal performance of a building and saving energy.

건물의 생애주기에서 소요되는 비용은 크게 건설비와 수선·운영비 외에 조명·콘센트, 공조동력, 냉난방, 급탕 등에 소요되는 에너지 비용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중 에너지의 소비로 인한 비용은 총 소요 비용의 30%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상당한 비율을 차지한다. The cost of a building's life cycle can be divided into energy costs such as lighting, outlets, air conditioning, heating and cooling, and hot water supply, as well as construction costs, repairs, and operation costs.The cost of energy consumption is 30% of the total cost. It accounts for a considerable proportion over the level.

건물 내 거주자는 적절한 빛과 열 성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생활에 부적합한 환경조건을 공기조화 냉난방(HVAC) 시스템이나 조명 시스템 등의 설비 시스템을 도입하며, 이들 과정에서 각종 에너지를 사용한다. Residents in buildings adopt facility systems such as air-conditioning and heating (HVAC) systems and lighting systems that use environmentally unsuit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in order to have proper light and heat performance, and use various energy in these processes.

이때, 이들 시스템 설비의 사용에는 열손실이나 냉난방 부하 문제 등이 수반 되기도 한다.At this time, the use of these system equipment may be accompanied by problems of heat loss and heating and cooling load.

따라서 이러한 불필용한 건물의 에너지 소비를 절감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구조체의 단열 성능 개선, HVAC 시스템의 효율적 설계, 기계 및 가전 제품의 효율 증대, 냉난방 및 전기조명기구의 철저한 기준설정 등의 방법을 통하여 개개의 시스템 설비 자체의 효율을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of such an unnecessary build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structure, to efficiently design the HVAC system,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mechanical and household appliances, and to establish the strict standards for heating and cooling and electric lighting equipment.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equipment itself.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다른 시스템 간의 에너지 사용이나 그 밖의 파급 효과를 도외시하는 등 막대한 에너지 소비를 여전히 유발하고 있는바, 에너지 소비 관련 인자들의 거동을 총체적으로 건물 내에 통합하여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However, this method still causes enormous energy consumption, ignoring energy use or other ripple effects between different system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collectively implementing the behavior of energy consumption factors in a building.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빌딩 자동화(BA), 사무 자동화(OA), 정보통신(TA) 등 건물 인프라와 관련된 지능형 빌딩 시스템(Intelligent Building Systems; IBS)과, 기계, 전력 및 조명설비의 자동제어와 관련된 건물 자동화 시스템(Building Automation Systems; BAS)의 환경 하에서, 건물 자동화 시스템의 정보를 원격으로 검침 및 자동 집계하고, 에너지 소비 기기별 에너지 소비량과 장비의 운전 성능을 평가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환경 성능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intelligent building systems (IBS) associated with the building infrastructure, such as building automation (BA), office automation (O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A), mechanical, power Under the environment of Building Automation Systems (BAS) related to automatic control of lighting and lighting equipment, the information of building automation system is remotely read and aggregated, and the energy consumption of each energy consuming device and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equipment are evaluated. To provide efficient energy environment performance.

아울러 본 발명은 설비 시설에 대한 관리 사이클을 통하여 에너지 환경 성능 유지와 장비의 수명 연장을 도모함으로써, 이들 설비의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reduce the cost of maintaining and managing these facilities by promoting the maintenance of energy environment performance and the life of the equipment through the management cycle for the facilities.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건물 내에 설치된 에너지 소비 기기에서 사용된 에너지 소비량을 원격으로 검침하여 자동 집계하는 단계; (b) 상기 집계된 데이터를 게이트 웨이에 의하여 사용자 네트워크에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전달된 데이터를 에너지 소비 기기별로 에너지 계측 항목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d) 상기 기록된 데이터를 연산작업을 통하여 에너지 소비 기기별 에너지 소비량과 장비의 운전 성능, 또는 에너지 소비량과 실내 쾌적성과의 상관 관 계를 분석하고, 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e)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대한 산포도가 설정된 기준값의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되, 상기 (e) 단계에서 산포도가 기준값의 범위에 포함될 때까지, 각 에너지 소비 기기의 전력 공급 여부를 조절하여 상기 (a) 단계 내지 (e) 단계를 반복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remotely reading the energy consumption used in the energy consumption device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automatically counting; (b) delivering the aggregated data to a user network by a gateway; (c) classifying the transmitted data according to an energy measurement item for each energy consuming device; (d)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ergy consumption for each energy-consuming device and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 equipment, or the energy consumption and the indoor comfort through calculating the recorded data, and obtaining the data; And (e) determining whether a scatter diagram for the obtained data is included in a range of a set reference value; In the step (e) until the scatter is included in the range of the reference value, by adjusting the power supply of each energy-consum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s (a) to (e) is repeated to perform the energy Provide management method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능형 빌딩 시스템과 건물 자동화 시스템의 환경 하에서, 자동 집계된 에너지 소비 관련 데이터로부터 에너지 소비량과 장비의 운전 성능을 평가한 다음, 설비 운전 관리의 최적화 및 검증 실천을 통하여 에너지 환경 성능 유지 및 에너지 절약을 위한 체계적인 제어를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environment of the intelligent building system and building automation system, the energy consumption and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equipment is evaluated from the automatically aggregated energy consumption related data, and then the energy environment through the optimization and verification practice of facility operation management Systematic control for maintaining performance and saving energy can be achieved.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방법을 도식화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방법의 주요 기능을 도식화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energy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main functions of the energy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a) 건물 내에 설치된 에너지 소비 기기에서 사용된 에너지 소비량을 원격으로 검침하여 자동 집계하는 단계; (b) 상기 집계된 데이터를 게이트 웨이에 의하여 사용자 네트워크에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전달된 데이터를 에너지 소비 기기별로 에너지 계측 항목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d) 상기 기록된 데이터를 연산작업을 통하여 에너지 소비 기기별 에너지 소비량과 장비의 운전 성능, 또는 에너지 소비량과 실내 쾌적성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 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e)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대한 산포도가 설정된 기준값의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되, 상기 (e) 단계에서 산포도가 기준값의 범위에 포함될 때까지, 각 에너지 소비 기기의 전력 공급 여부를 조절하여 상기 (a) 단계 내지 (e) 단계를 반복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remotely metering and automatically counting energy consumption used in energy consuming devices installed in a building; (b) delivering the aggregated data to a user network by a gateway; (c) classifying the transmitted data according to an energy measurement item for each energy consuming device; (d)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ergy consumption for each energy-consuming device and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 equipment or the energy consumption and the comfort of the room through calculation of the recorded data, and obtaining the data; And (e) determining whether a scatter diagram for the obtained data is included in a range of a set reference value; Wherein (e) in step (e) until the scatter is included in the range of the reference value, by adjusting the power supply of each energy-consum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s (a) to (e) is repeated.

상기 (a) 단계에서 에너지 소비 기기는 냉난방공조설비 및 전력설비 등의 설비 기구를 가리킨다. In the step (a), the energy consuming device refers to equipment such as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facilities and power facilities.

또한, 에너지 소비 기기에는 사용된 에너지 소비량이 표시되는 검침부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에너지 소비량을 직접 또는 검침부로부터 수신받기 위한 통신수단 및 센서와, 이들 수신받은 데이터를 자동으로 집계하기 위한 처리장치, 그리고 이들 시설에 동력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필요하다.In addition, the energy consuming device may be optionally provided with a meter reading unit displaying the energy consumption used, communication means and sensors for receiving the energy consumption directly or from the meter reading unit, and processing for automatically counting the received data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and a power source to power these facilities.

다음으로, 상기 (b) 단계에서는 (a) 단계를 통하여 집계된 데이터를 게이트 웨이에 의하여 사용자 네트워크에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 빌딩 자동화용 통신 프로토콜인 백넷(BAC NET)을 이용할 수 있다. Next, in step (b), the data aggregated through step (a) is delivered to the user network by the gateway. In this case, BAC NET, a communication protocol for building automation, may be used.

그리고 (c) 상기 (b) 단계를 통하여 전달된 데이터를 에너지 소비 기기별로 에너지 계측 항목에 따라 분류하고, (d) 상기 기록된 데이터를 연산작업을 통하여 에너지 소비 기기별 에너지 소비량과 장비의 운전 성능, 또는 에너지 소비량과 실내 쾌적성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 그 데이터를 획득한 다음, (e)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대한 산포도가 설정된 기준값의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And (c) classifying th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step (b) according to the energy measurement item for each energy consuming device, and (d) the energy consumption for each energy consuming device and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equipment by calculating the recorded data. Alterna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energy consumption and indoor comfort is analyzed, and the data is obtained, and then (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catter of the acquired data falls within the set reference value.

즉, (c) 단계에서는 열원, 열반송, 급탕, 조명 및 콘센트, 동력 등의 에너지 계측 항목 및 그 세부항목을 분류하고, 이들 에너지 계측 항목별 에너지 소비 기기 대상을 선정한다(도 3a). That is, in step (c), energy measurement items such as heat source, heat transfer, hot water supply, lighting and outlet, power, and the like are classified, and energy consumption device targets for each energy measurement item are selected (FIG. 3A).

그리고 에너지 소비 기기별 계측 항목을 선정하여 에너지 성능을 측정할 대상 범위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전체 기기에 대하여 냉동기 전력량을 등을 선정하는 것 등이 이에 해당한다(도 3b). In addition, the measurement range for each energy-consuming device is selected to determine a range to measure energy performance. For example, such as selecting the amount of power of the refrigerator for all the devices, etc. (FIG. 3B).

이에 대한 실시예로, 도 3c의 설비 계획도면에 대하여, 냉동기와 냉수 펌프의 에너지 소비 기구에 대한 에너지 계측 항목을 선정하여 도 3d에 도시하였다. As an example of this, with reference to the installation plan of FIG. 3C, energy measurement items for energy consumption mechanisms of the refrigerator and the cold water pump are selected and shown in FIG. 3D.

다음으로, (d) 상기 기록된 데이터를 연산작업을 통하여 에너지 소비 기기별 에너지 소비량과 장비의 운전 성능, 또는 에너지 소비량과 실내 쾌적성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 그 데이터를 획득하게 되는데, 우선 에너지 소비 기기별 에너지 소비량에 대한 데이터는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출력화면에서 확인 가능하다. Next, (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ergy consumption for each energy-consuming device and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 equipment or the energy consumption and the comfort of the room through the operation of calculating the recorded data, and to obtain the data, the energy first Data on energy consumption for each consumer device can be checked on the output screen shown in FIGS. 4A to 4B.

도 4a는 에너지 계측 항목별 소비 에너지를 1차 에너지로 환산하여 나타낸 월간 및 연간 데이터 자료이고, 도 4b는 에너지 계측 항목 중 열원에 대한 소비 에너지를 1차 에너지로 환산하여 나타낸 월간 및 연간 데이터 자료이다. FIG. 4A is monthly and annual data data representing energy consumption for each energy measurement item as primary energy, and FIG. 4B is monthly and annual data data showing energy consumption for heat source among energy measurement items, converted to primary energy. .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에너지 소비 항목별로 일, 달, 연간 추이, 및 항목별 비율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day, month, annual trend, and the ratio of each item by energy consumption item.

아울러 본 발명의 (d) 단계에서는 장비의 운전 성능을 파악하게 되는데, 장비의 운전 성능은 일단 도 5a에서와 같이, 각 장비의 운전 성능을 어떤 인자를 기준으로 판단할지 그 대상을 결정한 다음, 도 5b에 도시된 평가대상 항목별 정의식의 도움을 받아 산정한다. In addition, in step (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equipment is determined. As shown in FIG. 5A, the driving performance of each equipment is determined based on a factor to determine the driving performance of each equipment based on the following factors. Calculations are made with the help of the formulas for the evaluation targets shown in 5b.

이 과정에서는 일단 도 6a에서와 같이, 에너지 소비 기구의 성능과 소요 에너지와의 상관 관계에 대하여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계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소비 기구의 효율을 파악할 수 있다(도 6b). In this process, as shown in FIG. 6A,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of the energy consumption mechanism and the required energy can be known. And the data measured through this process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efficiency of the energy consumption mechanism (Fig. 6b).

가급적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소비 기구의 에너지 소비량과 소비 효율은 산포도가 일정 범위 이내일 것을 요한다. As shown in Figure 6c, the energy consumption and the consumption efficiency of the energy consumption mechanism requires that the degree of dispersion within a certain range.

한편, 상기 (d) 단계에서는 장비의 제어 상태 또한 추가적으로 파악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tep (d)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determine the control status of the equipment.

즉,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배기팬을 통하여 시간별 공급환기온도와 실내외 기온을 산출할 수 있고, 급배기 풍량을 통하여 시간별 건물 내 풍량 제어가 가능하다.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S. 7A and 7B, the supply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indoor / outdoor temperature for each hour may be calculated through the air supply / exhaust fan, and the air volume in the building may be controlled hourly through the air supply / air supply.

다시 말하면, 시간별 실내외 기온이나 건물 내 풍량을 측정하여, 에너지 소비 기구가 제대로 작동되고 있는지 그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by measuring the indoor and outdoor air temperature or the amount of wind in the building over time,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energy consumption mechanism.

또한, 상기 (d) 단계에서는 에너지 소비량과 실내 공기의 쾌적성과의 상관 관계를 알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d) it can be see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ergy consumption and the comfort of the indoor air.

본 발명에서 실내 공기의 쾌적성은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나 냉방 제어로 인한 실내 온습도를 측정하여 알 수 있다(도 8a 내지 도 8c). The comfort of the indoor air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known by measuring the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due to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r the cooling control of the room (FIGS. 8A to 8C).

마지막으로, (e) 상기 (d) 단계를 통하여 획득된 데이터에 대하여 산포도가 설정된 기준값의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 Finally, (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catter diagram is included in the range of the set reference value for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step (d).

이 단계는 에너지 소비 기기별 그 효율을 평가하는 단계로서, 상기 (e) 단계에서 산포도가 기준값의 범위에 포함되면, 건물의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해당 시스템을 동일한 조건으로 가동시키면 된다. This step i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each energy consuming device. If the scatter diagram is included in the range of the reference value in step (e), it is assumed that the energy management of the building is being performed. .

반대로, 상기 (e) 단계에서 산포도가 기준값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각 에너지 소비 기기별로 전력 공급 여부, 즉 에너지 소비 기기의 대수를 다시 조절하여 상기 (a) 단계 내지 (e) 단계를 반복 실시하도록 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scattering degree is not included in the range of the reference value in step (e), the steps of (a) to (e) are repeated by re-adjusting the number of power-consuming devices, that is, whether the power is supplied to each energy-consuming device. Do it.

이때, 상기 기준값의 범위는 에너지 소비 기기별로 기설정된 최소값과 최대값의 사이로 설정되도록 조절한다. At this time, the range of the reference value is adjusted to be set between the minimum value and the maximum value preset for each energy consuming device.

그리고 상기 사용자 네트워크에는 사용자의 제어 및 열람이 가능한 관리자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e) 단계를 통하여 산출된 산포도가 수렴 분포 산포도로 분석되는 스펙값으로 기준값의 범위에 포함되면, 관리자 단말기 내지 사용자 단말기에 그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다. The user network includes an administrator and / or a user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nd reading a user, and if the scatter calculated through the step (e) is included in a range of reference values as a spec value analyzed as a convergence distribution scatter, The result may be output to the terminal or the user terminal.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방법의 주요 기능을 도식화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main functions of the energy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방법 중 사용자 네트워크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프로세스는 크게 에너지 소비량 분석 기능과 장비의 운전 현황 분석 기능으로 대별할 수 있다. A series of processes occurring in the user network of the energy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an energy consumption analysis function and an operation status analysis function of equipment.

본 발명은 에너지 관리 효율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방법에서 사용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FEMS(Facility Energy Management System)라 칭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rgy management system used in the energy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lled a FEMS (Facility Energy Management System) as a means for substantially improving energy management efficienc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에너지 소비 기기별로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 사이클에 따라 건물 내의 에너지를 반복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설비기구의 최적운전조건을 통한 실내환경 제어로 건물 내의 에너지 소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nergy in the building can be repeatedly adjusted according to the management cycle by receiving the relevant data for each energy consuming device, thereby improving the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in the building by controlling the indoor environment through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s of the equipment. Can be.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방법의 도입으로 바람직하게는 건물 소비 에너지를 약 10% 정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introduction of the energy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expected to reduc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by about 10%.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 as mention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at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방법을 도식화한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ergy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방법의 주요 기능을 도식화한 도면.2 is a diagram showing the main functions of the energy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d는 에너지 계측 항목과 관련된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3A-3D show data associated with an energy meter item.

도 4a 내지 도 4b는 에너지 소비량에 대한 데이터를 도시하는 출력화면.4A to 4B are output screens showing data on energy consumption.

도 5a 내지 도 5b는 장비의 운전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대상 항목 및 항목별 정의식을 도시하는 도면.5A to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items to be evaluated and formulas for defining items for evaluating driving performance of equipment;

도 6a 내지 도 6c는 장비의 운전 성능을 도시하는 출력화면.6a to 6c are output screens showing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equipment.

도 7a 내지 도 7b는 장비의 제어상태를 도시하는 출력화면.7A to 7B are output screens showing control states of equipment.

도 8a 내지 도 8c는 실내 쾌적성 정도를 도시하는 출력화면.8A to 8C are output screens showing the degree of indoor comfort.

Claims (5)

(a) 건물 내에 설치된 에너지 소비 기기에서 사용된 에너지 소비량을 원격으로 검침하여 자동 집계하는 단계;(a) remotely metering and automatically counting energy consumption used in energy consuming devices installed in the building; (b) 상기 집계된 데이터를 게이트 웨이에 의하여 사용자 네트워크에 전달하는 단계;(b) delivering the aggregated data to a user network by a gateway; (c) 상기 전달된 데이터를 에너지 소비 기기별로 에너지 계측 항목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c) classifying the transmitted data according to an energy measurement item for each energy consuming device; (d) 상기 기록된 데이터를 연산작업을 통하여 에너지 소비 기기별 에너지 소비량과 장비의 운전 성능, 또는 에너지 소비량과 실내 쾌적성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 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d)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ergy consumption for each energy-consuming device and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 equipment or the energy consumption and the comfort of the room through calculation of the recorded data, and obtaining the data; And, (e)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대한 산포도가 설정된 기준값의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되, (e) determining whether a scatter diagram of the obtained data is within a range of a set reference value; Consisting of, 상기 (e) 단계에서 산포도가 기준값의 범위에 포함될 때까지, 각 에너지 소비 기기의 전력 공급 여부를 조절하여 상기 (a) 단계 내지 (e) 단계를 반복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 방법.Energy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repeating the steps (a) to (e) by adjusting the power supply of each energy-consuming device until the scatter is in the range of the reference value in step (e).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c) 단계의 에너지 계측 항목은 열원, 열반송, 급탕, 조명·콘센트, 동 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 방법.The energy measurement item in the step (c) is a heat source, heat transfer, hot water supply, lighting and outlet, power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d) 단계의 에너지 소비량은 사용된 에너지를 분류별, 기간별로 집계하여 산출되고, 장비의 운전 성능은 사용자 네트워크에 미리 정의된 평가항목 정의식에 의하여 산출되며, 실내 쾌적성은 건물 내의 이산화탄소 발생량 및 온습도 측정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 방법.The energy consumption of step (d) is calculated by counting the used energy by classification and period, and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 equipment is calculated by the evaluation item definition formula predefined in the user network, and the indoor comfort is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enerated in the building an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Energy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alculated.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기준값의 범위는 에너지 소비 기기별로 기설정된 최소값과 최대값의 사이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 방법. And the range of the reference value is set between a minimum value and a maximum value preset for each energy consuming device.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사용자 네트워크는 사용자의 제어 및 열람이 가능한 관리자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 방법.The user network may include an administrator and / or a user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nd reading a user; Energy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KR1020090008910A 2009-02-04 2009-02-04 Green Energy Management Method Ceased KR2010008959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910A KR20100089594A (en) 2009-02-04 2009-02-04 Green Energy Managemen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910A KR20100089594A (en) 2009-02-04 2009-02-04 Green Energy Management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594A true KR20100089594A (en) 2010-08-12

Family

ID=42755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910A Ceased KR20100089594A (en) 2009-02-04 2009-02-04 Green Energy Management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9594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1485A3 (en) * 2010-11-24 2012-07-19 Hirl Joseph P Decision support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energy use, contracting and capital investments for facilities
WO2012122234A3 (en) * 2011-03-07 2012-12-27 Callida Energ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energy and resource management for building systems
KR101447635B1 (en) * 2012-09-04 2014-10-07 삼성물산(주) Industrial Facilities Energy Management System
US10372090B2 (en) 2013-04-29 2019-08-06 Hanwha Techwin Co., Ltd. Three-dimensional (3D) build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method
CN113673892A (en) * 2021-08-27 2021-11-19 广西艺术学院 Energy consump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green building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1485A3 (en) * 2010-11-24 2012-07-19 Hirl Joseph P Decision support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energy use, contracting and capital investments for facilities
US8583531B2 (en) 2010-11-24 2013-11-12 Joseph P. Hir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energy use, contracting and capital investments for facilities
WO2012122234A3 (en) * 2011-03-07 2012-12-27 Callida Energ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energy and resource management for building systems
GB2502760A (en) * 2011-03-07 2013-12-04 Callida Energ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energy and resource management for building systems
KR101447635B1 (en) * 2012-09-04 2014-10-07 삼성물산(주) Industrial Facilities Energy Management System
US10372090B2 (en) 2013-04-29 2019-08-06 Hanwha Techwin Co., Ltd. Three-dimensional (3D) build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method
CN113673892A (en) * 2021-08-27 2021-11-19 广西艺术学院 Energy consump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green building
CN113673892B (en) * 2021-08-27 2023-10-20 广西艺术学院 Energy consump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green buil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0661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assess and control energy efficiency of pump installed in facility of building systems
Li et al. Methods for benchmarking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gainst its past or intended performance: An overview
US20130079931A1 (en) Method and system to monitor and control energy
US20060065750A1 (en) Measurement, scheduling and reporting system for energy consuming equipment
US20090307178A1 (en) Utility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of use
KR20120112463A (en) Controller for automatic control and optimization of duty cycled hvac&r equipment, and systems and methods using same
Qian et al. Power consumption and energy efficiency of VRF system based on large scale monitoring virtual sensors
CN106369735B (en) A kind of fresh air conditioner replaces the amount of electricity saving of air conditioner air-conditioning to determine method
KR20160027481A (en) Building energy efficiency and service evaluation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EP2924630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externally evaluating sizing of an indoor climate control system in a building
CN106255987A (en) Building perithallium and internal classification system and method
Lee et al. Assessing energy performance in the latest versions of Hong Kong Building Environmental Assessment Method (HK-BEAM)
KR20100089594A (en) Green Energy Management Method
Salo et al. Individual temperature control on demand response in a district heated office building in Finland
Bertagnolio et al. Evidence-based calibration of a building energy simulation model: Application to an office building in Belgium
Hidalgo-León et al. Some factors involved in the improvement of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 brief review
Tejani et al. Differential energy consumption patterns of HVAC systems in residential and commercial structures: A comparative study
Yuan et al. A study towards applying thermal inertia for energy conservation in rooms
Vajjala et al. Demand response potential in aggregated residential houses using GridLAB-D
Urban et al. A data-driven framework for comparing residential thermostat energy performance
Kitzberger et al. Energy savings through implementation of a multi-state Time Control Program (TCP) in demand-controlled ventilation of commercial buildings
David et al. Development of visual basic based GUI for option a energy savings of IPMVP
Li et al. Thermonet: fine-grain assessment of building comfort and efficiency
Bertagnolio et al. Simulation of a building and its HVAC system with an equation solver: Application to audit
Zavřel et al. Experiment-based testing routine to characterize building energy flexibility for potential aggreg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2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2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9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7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