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9210A - Multipurpose lift device for move style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lift device for move sty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89210A KR20100089210A KR1020090008356A KR20090008356A KR20100089210A KR 20100089210 A KR20100089210 A KR 20100089210A KR 1020090008356 A KR1020090008356 A KR 1020090008356A KR 20090008356 A KR20090008356 A KR 20090008356A KR 20100089210 A KR20100089210 A KR 201000892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frame
- horizontal frame
- frame
- coupled
- mov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6—Other details, e.g. hous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3—Ho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프레임과;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frame;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앙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중량체 부품을 승.하강시키는 승강부와;A lifting unit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frame to move up and down of the weight component;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A pair of vertical frame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frame;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어 중량체 부품의 크기에 따라 수직프레임의 간격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간격조절안내부와;A gap adjusting guide unit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to adjust a gap of the vertical fram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eight component;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장착되는 바퀴와;Wheels mount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vertical frame;
상기 바퀴 사이에 장착되어 수직프레임을 이동 및 고정시키는 이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목적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mobile multi-purpose lift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vement control unit mounted between the wheel to move and fix the vertical frame.
본 발명 이동식 다목적 리프트장치에 의하면, 중량체 부품의 크기에 따라 수직프레임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크기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들어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퀴의 이동으로 리프트를 소정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urpose lift apparatus, since the vertical frame can be selec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eight parts, the lift can be conveniently lift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parts, and the lift can be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wheels. Because it can be moved to to maximize space utiliz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식 다목적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프레임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면서 리프트를 소정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식 다목적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multi-purpose lif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multi-purpose lift device that can move the lif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hile the vertical frame spacing can be adjusted.
일반적으로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무거운 중량체의 부품을 들어올리고자 할 때에 순수 인력으로는 해당부품을 들어올릴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용 리프트를 사용하였다.In general, when lifting a heavy weight component used in a laboratory, a separate fixed lift was used because pure personnel cannot lift the component.
상기 고정용 리프트를 사용하는 경우, 들어올리고자 하는 부품을 수직프레임 사이에 위치시킨 후 수평프레임에 장착된 와이어나 체인과 같은 연결수단을 부품에 연결하여 상부로 들어올리게 된다.In the case of using the fixing lift, the parts to be lifted are positioned between the vertical frames, and then the connecting means such as wires or chains mounted on the horizontal frames are connected to the parts and lifted upwards.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정용 리프트는 수평 및 수직프레임이 모두 고정식으로 되어 있어 좌,우 간격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부품의 크기에 따라 유기적인 작업을 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수반되었고, 리프트의 이동이 불가능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fixed lift as described above has been fixed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 is impossible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so the organic work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rts involved a lot of problems, the lift is impossible to mov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pace can not be used efficiently.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격조절안내부가 장착된 수직프레임의 좌우이동이 가능하므로 들어올리고자 하는 부품의 크기에 따라 수직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퀴의 이동으로 리프트를 소정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이동식 다목적 리프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defec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ve left and right of the vertical frame equipped with a space adjusting guide part, so that the vertical frame is plac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mponent to be lifted. In addition to selectively adjusting the interval of the as well as to move the lif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y moving the wheel to provide a mobile multi-purpose lift device that can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수평프레임과;A horizontal frame;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앙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중량체 부품을 승.하강시키는 승강부와;A lifting unit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frame to move up and down of the weight component;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A pair of vertical frame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frame;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어 중량체 부품의 크기에 따라 수직프레임의 간격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간격조절안내부와;A gap adjusting guide unit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to adjust a gap of the vertical fram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eight component;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장착되는 바퀴와;Wheels mount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vertical frame;
상기 바퀴 사이에 장착되어 수직프레임을 이동 및 고정시키는 이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vement control unit mounted between the wheels to move and fix the vertical frame.
본 발명 이동식 다목적 리프트장치에 의하면, 들어올리고자 하는 부품의 크기에 따라 수직프레임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크기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들어올릴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urpose lift apparatus ha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veniently lift the size of the vertical fram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mponent to be lift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component.
또한, 본 발명 이동식 다목적 리프트장치에 의하면, 수직프레임에 고정된 바퀴의 이동으로 리프트를 소정위치로 이동할 수 있어 공간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purpose lift device, it is possible to move the lif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movement of the wheel fixed to the vertical frame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space utiliz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구성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수평프레임(100)이 구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00)의 중앙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중량체 부품(E)을 승.하강시키는 승강부(200)가 구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100)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00)이 구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3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중량체 부품의 크기에 따라 수직프레임(300)의 간격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간격조절안내부(400)가 구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00)의 하부 양측에 장착되는 바퀴(500)가 구성되고, 상기 바퀴(500) 사이에 장착되어 수직프레임(300)을 이동 및 고정시키는 이동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승강부(200)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지지되어 이동하도록 이동로울러가 장착된 본체(21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210)에 연결되는 활차(220)가 구비되며, 상기 활차(220)에 감겨지는 동력전달부재(230)가 구비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230)의 단부에 중량체 부품을 승강시키는 연결후크(2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상기 수직프레임(300)은, 상기 수평프레임(100)이 결합되도록 상부에 결합공간(311)이 형성된 지주(310)가 구비되고, 상기 지주(310)의 하부 양단에 이동제어부(600)가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공(312)이 구비된다.The
상기 간격조절안내부(400)는, 상기 수직프레임(300) 내부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안내로울러와 상기 수평프레임(100)과 수직프레임(300) 사이에 장착되는 래크와 피니언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이동제어부(600)는, 상기 결합공(312)에 나사체결되는 나사봉(610)이 구비되고, 상기 나사봉(610)의 하부에 고정되어 지면과 밀착되는 지지판(620)이 구비되며, 상기 나사봉(610)의 상부에 나사봉(610)을 회전시키는 회전레버(630)가 구비된다.The
상기 수직프레임(3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평프레임(100)과 수직프레임(30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70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먼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어올리고자 하는 중량체의 부품(E)을 한 쌍의 수직프레임(3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S. 3 to 5, the component E of the weight to be lifted is moved between the pair of
이때, 중량체 부품(E)의 크기가 수직프레임(300)의 간격보다 클 경우, 지주(310)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제어부(600)의 회전레버(63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봉(610)이 회전하면서 지면에 밀착되어 있던 지지판(620)을 지면에서 상부로 승강시킨다.At this time, when the size of the weight component (E) is larger than the interval of the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300)의 상부에 수평프레임(100)과 결합된 고정부재(70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수평프레임(100)과 수직프레임(300)의 고정을 해제시키게 되면, 수직프레임(300)의 지주(310) 하부에 고정되어 있던 바퀴(500)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In addition, by rotating the
상기 고정부재(700)는 볼트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이때, 작업자는 어느 하나의 수직프레임(300)을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여 가장자리로 이동시키게 되면, 수평프레임(100)의 하단부와 결합공간(311) 하부의 지주(310)에 밀착된 간격조절안내부(400)가 회전하면서 수직프레임(300)이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worker is pressed to any one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안내부(400)는 상기 수직프레임(300) 내부 양측에 회 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안내로울러가 바람직하며, 상기 수평프레임(100)과 수직프레임(300) 사이에 래크와 피니언을 장착해도 무방하다.Here, the
상기와 같이 수직프레임(300)의 간격을 조절한 상태에서, 수직프레임(3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부재(70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수평프레임(100)과 수직프레임(300)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제어부(600)의 회전레버(63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지면에서 일정높이 이격되어 있던 지지판(620)이 지면에 밀착되면 수직프레임(300)은 움직이지 않는 상태가 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interval of the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300) 사이에 중량체 부품(E)이 위치된 상태에서, 승강부(200)를 중량체 부품(E)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본체(210) 내측의 이동로울러(211)가 회전함과 동시에 수평프레임(100)에 안내되어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weight part E is positioned between the
이때, 작업자는 승강부(200)의 연결후크(240)를 중량체 부품(E)에 걸림설정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operator is to set the
상기와 같이 승강부(200)의 연결후크(240)가 중량체 부품(E)에 걸림설정되면, 작업자는 활차(220)에 감겨져 있는 동력전달부재(230)를 잡아당겨 중량체 부품(E)을 들어올린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necting
상기의 동력전달부재(230)는 체인이 바람직하며, 상기 활차(220)는 작업자가 잡아당기는 힘을 감소시켜주므로서 적은 힘으로도 무거운 중량체 부품(E)을 들어올릴 수 있는 것이다.The
여기서 상기 리프트장치는 여러분야의 실험실에서 연구 및 개발 대상인 중량체 부품들을 들어올리는데 주로 사용되나 리프트장치의 제작크기에 따라 정비센터 와 같은 곳에서 차량의 정비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Here, the lift device is mainly used to lift heavy-weight parts to be researched and developed in your laboratory, but it may be used for maintenance of a vehicle such as a maintenance cent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ift devic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ust be interpreted to mean meanings and concepts.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herein are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구성도2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A부의 측단면도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도 4는 본 발명 이동제어부의 작동상태도4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control unit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5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수평프레임 200: 승강부100: horizontal frame 200: lifting unit
210: 본체 220: 활차210: main body 220: pulley
230: 동력전달부재 240: 연결후크230: power transmission member 240: connection hook
300: 수직프레임 310: 지주300: vertical frame 310: prop
311: 결합공간 312: 결합공311: coupling space 312: coupling hole
400: 간격조절안내부 500: 바퀴400: spacing adjustment guide 500: wheels
600: 이동제어부 610: 나사봉600: movement control unit 610: screw rod
620: 지지판 630: 회전레버620: support plate 630: rotary lever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8356A KR20100089210A (en) | 2009-02-03 | 2009-02-03 | Multipurpose lift device for move sty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8356A KR20100089210A (en) | 2009-02-03 | 2009-02-03 | Multipurpose lift device for move sty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9210A true KR20100089210A (en) | 2010-08-12 |
Family
ID=42755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8356A KR20100089210A (en) | 2009-02-03 | 2009-02-03 | Multipurpose lift device for move sty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89210A (en)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71721A (en) * | 2014-06-25 | 2014-10-01 | 国家电网公司 | Cable duct cover plate lifting and carrying device |
CN104386611A (en) * | 2014-11-03 | 2015-03-04 | 无锡市百顺机械厂 | Simple hoisting tool |
CN104528573A (en) * | 2015-01-21 | 2015-04-22 | 南通向阳光学元件有限公司 | Mobile crane |
CN104909292A (en) * | 2015-06-19 | 2015-09-16 |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 Carrying frame |
CN105236289A (en) * | 2015-10-12 | 2016-01-13 | 湖北三江航天红阳机电有限公司 | Lifting device |
CN105386606A (en) * | 2015-11-20 | 2016-03-09 | 浙江海洋学院 | Multifunctional building lifting equipment |
KR101897440B1 (en) * | 2018-05-18 | 2018-09-10 | 손범규 | Lift transfer apparatus |
CN109368510A (en) * | 2018-12-17 | 2019-02-22 | 北京铁道工程机电技术研究所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gantry car lifting J-Horner |
CN110526150A (en) * | 2019-09-03 | 2019-12-03 | 湖北铭筑建设有限公司 | A kind of mechanical and electric equipment installation device |
CN113415764A (en) * | 2021-05-18 | 2021-09-21 | 太原科技大学 | Full-automatic sucking disc formula pile hoist based on machine vision |
CN113879830A (en) * | 2021-09-15 | 2022-01-04 | 五邑大学 | Automatic line patrol carrying trolley |
CN117163849A (en) * | 2023-09-14 | 2023-12-05 | 山东八达面粉有限公司 | Safe type handling equipment of grain hanging application |
-
2009
- 2009-02-03 KR KR1020090008356A patent/KR20100089210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71721A (en) * | 2014-06-25 | 2014-10-01 | 国家电网公司 | Cable duct cover plate lifting and carrying device |
CN104386611A (en) * | 2014-11-03 | 2015-03-04 | 无锡市百顺机械厂 | Simple hoisting tool |
CN104528573A (en) * | 2015-01-21 | 2015-04-22 | 南通向阳光学元件有限公司 | Mobile crane |
CN104909292A (en) * | 2015-06-19 | 2015-09-16 |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 Carrying frame |
CN105236289A (en) * | 2015-10-12 | 2016-01-13 | 湖北三江航天红阳机电有限公司 | Lifting device |
CN105386606A (en) * | 2015-11-20 | 2016-03-09 | 浙江海洋学院 | Multifunctional building lifting equipment |
KR101897440B1 (en) * | 2018-05-18 | 2018-09-10 | 손범규 | Lift transfer apparatus |
CN109368510A (en) * | 2018-12-17 | 2019-02-22 | 北京铁道工程机电技术研究所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gantry car lifting J-Horner |
CN110526150A (en) * | 2019-09-03 | 2019-12-03 | 湖北铭筑建设有限公司 | A kind of mechanical and electric equipment installation device |
CN113415764A (en) * | 2021-05-18 | 2021-09-21 | 太原科技大学 | Full-automatic sucking disc formula pile hoist based on machine vision |
CN113879830A (en) * | 2021-09-15 | 2022-01-04 | 五邑大学 | Automatic line patrol carrying trolley |
CN113879830B (en) * | 2021-09-15 | 2023-09-19 | 五邑大学 | Automatic change line inspection floor truck |
CN117163849A (en) * | 2023-09-14 | 2023-12-05 | 山东八达面粉有限公司 | Safe type handling equipment of grain hanging application |
CN117163849B (en) * | 2023-09-14 | 2024-06-04 | 山东八达面粉有限公司 | Safe type handling equipment of grain hanging applic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89210A (en) | Multipurpose lift device for move style | |
KR200466893Y1 (en) | Jig for cable drum | |
CN105150158B (en) | A kind of transformer assembles positioner | |
CA2853337C (en) | Scissor-type lifting table | |
KR101580528B1 (en) | Trolley For Structure Assembly | |
EP2960183A1 (en) | Stacker cran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CN109264623B (en) | Operation method of intelligent Internet communication optical cable maintenance lifting device | |
CN109896433A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adjustable mechanical equipment upending frame | |
CN102145867A (en) | Lifting platform for switching on/off handcart | |
US20100236043A1 (en) | Removal of components from aircraft | |
CN102120546B (en) | Lifting device | |
KR101399600B1 (en) | Apparatus for limiting a pivoting angle of harrow | |
KR101073529B1 (en) | Stage equipment | |
JP6011784B2 (en) | Grab bucket device and work carriage equipped with the same | |
KR20120131596A (en) | Window Regulator of Vehicle | |
CN109264639B (en) | Intelligent lifting device for maintaining internet communication optical cable | |
CN213171186U (en) | Hoist gate-type lifting equipment for speed reducer | |
CN205057908U (en) | Mutual -inductor assembly machine of shifting | |
KR20190001237U (en) | Rope hoisting apparatus | |
CN115504384A (en) | Indoor substation equipment maintenance gallows | |
CN201962030U (en) | Lifting platform for switching handcart | |
CN201309729Y (en) | Extensible belt conveyor | |
JP2005287250A (en) | Disassembling device for twist prevention damper for overhead transmission line | |
CN216584007U (en) | Four-column type lifter | |
CN205397698U (en) | Novel cable reel brack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3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1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