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84247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247A
KR20100084247A KR1020090003627A KR20090003627A KR20100084247A KR 20100084247 A KR20100084247 A KR 20100084247A KR 1020090003627 A KR1020090003627 A KR 1020090003627A KR 20090003627 A KR20090003627 A KR 20090003627A KR 20100084247 A KR20100084247 A KR 20100084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value
signal
region
value
test patter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3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4247A/ko
Publication of KR20100084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24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colour televis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2Colour adjustment, e.g. white balance, shading or gam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테스트 패턴 신호의 각 영역에 대한 기준 레벨 값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로부터 테스트 패턴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테스트 패턴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기 설정된 각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을 검출하는 레벨 값 검출부; 및, 상기 레벨 값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각 영역에 대한 레벨 값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레벨 값의 차이에 따라 상기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의 신호 특성에 따른 화질 관련 조정 값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부 영상기기, 화질 관련 조정 값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재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의 신호 특성에 맞게 자동으로 기설정된 화질 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외부 영상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외부 영상기기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상기 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신호를 공급해주고 있다.
즉, 상기 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신호를 공급하는 외부 영상기기에는 PC, DVD 플레이어, VCR 및 게임기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 영상기기의 종류가 다양한 만큼 상기 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에 제공되는 영상신호의 특성도 다양하며, 이로 인해 상기 영상신호를 공급하는 외부 영상기기의 종류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신호의 화질에 많은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의 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모든 외부 영상기기의 특성에 맞게 화질 값을 세팅할 수 없기 때문에, 표준의 신호에 맞게 화질 값을 세팅하고, 상기 세 팅된 화질 값을 적용한 영상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외부 영상기기의 화질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화질로 입력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다양한 화질 관련 세팅 값을 변경해야 한다. 즉, 사용자는 입력 영상신호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명암, 밝기, 색상, 색농도 및 선명도 등을 자신이 원하는 상태로 설정하여, 입력 영상신호의 화질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현재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의 신호 특성에 맞게 설정된 화질 값은 기억장치에 저장되며, 이를 토대로 언제든지 사용자가 원하는 화질 값을 적용시킨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현재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의 신호 특성에 맞게 사용자가 직접 화질 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화면상태로 입력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상기 변경된 외부 영상기기의 특성에 맞게 기설정된 화질 값을 변경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현재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의 신호 특성에 맞도록 명암, 밝기, 색상 및 색농도 등의 화질 관련 값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현재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의 신호 특성에 맞는 화질 관련 값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사용자에게 최적 화질의 영상을 제공해줄 수 있도록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테스트 패턴 신호의 각 영역에 대한 기준 레벨 값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로부터 테스트 패턴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테스트 패턴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기 설정된 각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을 검출하는 레벨 값 검출부; 및, 상기 레벨 값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각 영역에 대한 레벨 값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레벨 값의 차이에 따라 상기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의 신호 특성에 따른 화질 관련 조정 값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은 외부 영상기기의 연결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에 기준 테스트 패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로부터 상기 출력한 기준 테스트 패턴 신호를 재 입력받는 단계; 상기 외부 영상기기로부터 입력된 기준 테스트 패턴 신호를 토대로 기설정된 각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각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을 기준으로 적어도 상기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의 신호 특성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질 관련 조정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은 현재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에서 입력되는 테스트 패턴의 상태에 따라 기설정된 화질 관련 값을 자동으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기설정된 화질 관련 값을 세팅해야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의 신호 특성에 맞는 최적 화질의 영상을 제공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 기술하여 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즉,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 영상기기(100)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 영상기기(100)와 디스플레이장치(200)는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외부 영상기기(100)와 디스플레이장치(200)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 이외에도 상기 외부 영상기기(100)와 디스플레이장치가 DVI 케이블, S-Viedo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 영상기기(100)와 디스플레이장치(200)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외부 영상기기(100)와 디스플레이장치(200) 상호 간에 요청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영상기기(100)는 영상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송신하는 장치로서, 디브이디(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 셋톱박스(Set Top Box), 브이티알(VTR) 및 게임기 등이 해당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 영상기기(100)는 디코더, 데이터 전송부, 데이터 수신부 및 제어부 등을 포함하며, 해당 외부 영상기기(100)의 고유의 기능에 따라 튜너(Tuner) 또는 광픽업(Optical Pickup) 장치 등의 부가적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외부 영상기기(100)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장치(200)는 디티브이(DTV: Digital Television) 또는 모니터(Monitor) 등이 해당하며, 외부 영상기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기저장된 기준 테스트 패턴 신호를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100)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 출력부(201)와,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100)로부터 테스트 패턴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 입력부(202)와, 상기 신호 입력부(202)를 통해 입력된 테스트 패턴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각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을 검출하는 레벨 값 검출부(203)와, 테스트 패턴 신호의 각 영역에 대한 기준 레벨 값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204)와, 상기 레벨 값 검출부(203)를 통해 검출된 각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이 상기 저장부(204)에 저장된 각 영역에 대한 기준 레벨 값과 일치하도록 기 설정된 화질 관련 조정 값을 변경하는 제어부(2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호 출력부(201)는 상기 저장부(204)에 기저장된 테스트 패턴 신호를 현재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에 제공한다.
여기에서, 외부 영상기기의 신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연결되는 외부 영상기기로부터 테스트 패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지만, 상기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로부터 상기 테스트 패턴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테스트 패턴 신호의 기준 레벨 값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신호 출력부(201)를 통해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로 기저장된 테스트 패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신호 입력부(202)는 외부 영상기기의 연결을 감지하고, 상기 연결이 감지된 외부 영상기기로부터 상기 출력된 테스트 패턴 신호를 재 입력받는다.
즉, 상기 신호 입력부(202)는 제어부(205)의 제어에 따라, 외부 영상기기로부터 전송되는 테스트 패턴 신호를 수신하여 레벨 값 검출부(203)로 출력한다.
레벨 값 검출부(203)는 상기 신호 입력부(202)를 통해 수신된 테스트 패턴 신호로부터 기 설정된 각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을 획득한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레벨 값 검출부(203)는 상기 수신된 테스트 패턴 신호를 Y, Cb, Cr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미도시)와, 상기 신호 변환부(미도시)를 통해 변환된 각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기 설정된 각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을 검출하는 신호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레벨 값 검출부(203)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R,G,B 영상신호를 컬러 스페이스 변환(CSC)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Y, Cb, Cr(YUV)신호로 변환한다.
Figure 112009002861291-PAT00001
상기 수학식 1은 3*3 매트릭스에서 R,G,B 형태의 영상신호를 YUV 형태의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상기 R,G,B 형태의 영상신호를 YUV 형태의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학식 1에 기재된 컬러 스페이스 변환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YUV 형태의 영상신호를 R,G,B 형태의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학식 1에 기재된 (A) 대신에 ( A-1 )을 토대로 컬러 스페이스 변환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3*3 매트릭스의 컬러 스페이스 변환 알고리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기술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론적으로 컬러 스페이스 알고리즘(CSC:Color Space Conversion)은 RGB 신호를 YUV신호로 변환하거나, 상기 변환된 YUV 신호를 RGB 신호로 역변환하여 색상의 좌표를 다르게 설정하는 기능이다
상기 YUV는 PAL 방식의 아날로그 비디오를 위해 개발되었지만 디지털 비디오에서도 유럽의 비디오 표준인 CCIR601을 위해 상용된다. YUV는 눈이 광도에 가장 민감한 특성을 이용한 색체계이다. 이때, Y는 광도, 휘도(Luminance)를 나타내며, U,V는 색도(Chrominance)를 나타낸다. 상기 RGB 색좌표와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Y = 0.299R + 0.587G + 0.114B
U = B - Y
V = R - Y
그리고, 레벨 값 검출부(203)는 상기 변환된 Y, Cb, Cr 신호로부터 지정된 각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을 검출하여 제어부(205)에 전달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스트 패턴 신호는 컬러 텔레비전용의 송수신기기를 시험하기 위해서 고안된 7색의 신호인 컬러 바 신호(color bar)로써, 이 신호는 흑백 수상기로 보면 7단계의 농담이 되므로 그레이스케일(gray scale)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수신기는 상기 테스트 패턴 신호에 의하여 각종 중요한 특성을 구분하기 쉬우므로 색순도, 색이득, 화이트 밸런스를 비롯해서, 매우 유효한 판정정보들을 얻는다. 이와 같은 테스트 패턴 신호에는 휘도순 컬러 바와 유럽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색상순 컬러 바가 있다.
또한, 상기 레벨 값 검출부(203)는 밝기, 명암 및 색상을 각각 조정하기 위해 크게 4가지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을 획득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레벨 값 검출부(203)는 상기 4가지 영역에 대해 Y 신호의 레벨 값, Cb 신호의 레벨 값 및 Cr 신호의 레벨 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각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을 제어부(205)에 전달한다.
저장부(204)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련된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 및 상기 테스트 패턴 신호의 각 영역에 대한 기준 레벨 값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저장부(204)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으로 구현되고, I2C 방식에 따라 제어부(205)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저장부(204)에는 테스트 패턴 신호(300)의 제 1 영역(301)에 대한 Y 신호의 기준 레벨 값과, 제 2 영역(302)에 대한 Y 신호의 기준 레벨 값과, 제 2 영역(302)에 대한 Cb 신호의 기준 레벨 값과, 제 3 영역(303)에 대한 Cb 신호의 기준 레벨 값과, 제 2 영역(302)에 대한 Cr 신호의 기준 레벨 값과, 제 4 영역(304)에 대한 Cr 신호의 기준 레벨 값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205)는 상기 레벨 값 검출부(203)를 통해 검출된 각 영역에 대한 레벨 값과 상기 저장부(204)에 기저장된 기준 레벨 값을 비교하고, 상기 레벨 값의 비교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화질 관련 조정 값을 변경한다.
여기에서, 상기 화질 관련 조정 값에는 Y offset, Y gain, Cb offset, Cb gain, Cr offset 및 Cr gain 값이 포함된다.
이때, 상기 offset과 gain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y = a x + b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의 관계가 상기 수학식 3과 같고, 상기 y 는 디지털 변환 신호, x 는 입력 아날로그 신호일 때, 상기 a 는 gain을 의미하고, 상기 b 는 offset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5)는 상기 검출된 레벨 값 및 기준 레벨 값을 이용하여 밝기 조정을 위한 Y offset 값과, 명암 조정을 위한 Y gain, Cb offset, Cr offset 값과, 색상 조정을 위한 Cr gain, Cb gain 값을 각각 변경한다.
즉, 상기 제어부(205)는 먼저 밝기 조정을 위해 상기 테스트 패턴 신호(300)의 풀 블랙 영역인 제 1 영역(301)에 대한 Y 신호 레벨 값과,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Y신호의 기준 레벨 값을 비교하고, 상기 두 레벨 값이 상이하면, 선택적으로 기설정된 Y offset 값을 증/감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검출된 제 1 영역에 대한 Y 신호 레벨 값이 기준 레벨 값보다 작으면, 기 설정된 Y offset 값을 증가시키고, 이와 반대로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Y 신호 레벨 값이 기준 레벨 값보다 크면, 기 설정된 Y offset 값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205)는 명암 조정을 위해, 상기 테스트 패턴 신호(300)의 풀 화이트 영역인 제 2 영역(302)에 대한 Y 신호 레벨 값과, 상기 제 2 영역에 대한 Y신호의 기준 레벨 값을 비교하고, 상기 두 레벨 값이 일치하도록 기설정된 Y gain 값을 증/감한다.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테스트 패턴 신호(300)의 풀 화이트 영역인 제 2 영역(302)에 대한 Cb, Cr 신호의 레벨 값과, 상기 제 2 영역에 대한 Cb, Cr 신호의 기준 레벨 값을 비교하고, 상기 두 레벨 값이 일치하도록 기 설정된 Cb offset 값과, Cr offset 값을 증/감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5)는 블루 색상 조정을 위해 상기 테스트 패턴 신호(300)의 블루(Blue) 색상 영역인 제 3 영역(303)에 대한 Cb 신호 레벨 값과 기 저장된 제 3 영역에 대한 Cb신호의 기준 레벨 값을 비교하고, 상기 두 레벨 값이 일치하도록 기 설정된 Cb gain 값을 증/감한다.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205)는 레드 색상 조정을 위해 상기 테스트 패턴 신호(300)의 레드(red) 색상 영역인 제 4 영역(304)에 대한 Cr 신호의 레벨 값과, 기 저장된 제 4 영역에 대한 Cr 신호의 기준 레벨 값을 비교하고, 상기 두 레벨 값이 일치하도록 기 설정된 Cr gain 값을 증/감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5)는 상기와 같이 상기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의 신호 특성에 맞게 상기 Y offset, Y gain, Cb offset, Cb gain, Cr offset 및 Cr gain 값의 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의 제품 정보에 대응하게 상기 조정 값들을 상기 저장부(204)에 저장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205)는 이전에 연결된 이력이 있는 외부 영상기기가 재연결되는 경우, 상기 화질 관련 조정 값의 확인 과정 없이 바로 상기 저장된 조정 값을 적용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현재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에서 입력되는 테스트 패턴의 상태에 따라 기설정된 화질 관련 값을 자동 으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기설정된 화질 관련 값을 세팅해야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의 신호 특성에 맞는 최적 화질의 영상을 제공해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외부 영상기기의 연결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1). 여기에서, 상기 외부 영상기기가 연결되었는지의 판단은 외부 영상기기 연결 케이블의 특정 단자로부터 외부 영상기기가 전송하는 소정의 전압이 검출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101) 외부 영상기기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로 기 저장된 테스트 패턴 신호를 출력한다(S102).
그리고, 상기 외부 영상기기로부터 상기 출력한 테스트 패턴 신호를 재 입력받는다(S103).
이어서, 상기 외부 영상기기로부터 입력된 테스트 패턴 신호에서 각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을 획득한다(S104).
그리고 상기 입력된 테스트 패턴 신호에서 획득한 레벨 값과, 기 저장된 각 영역에 대한 기준 레벨 값을 비교한다(S105). 즉, 상기 입력된 테스트 패턴 신호에서 획득한 레벨 값이 정상적인 조건에서 입력되는 기준 레벨 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비교에 따라 상기 획득한 각 영역에 대한 레벨 값과 상기 각 영역에 대한 기준 레벨 값이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획득한 각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이 상기 기준 레벨 값과 일치하도록 화질 관련 값을 조정한다(S106).
그리고, 상기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의 제품 정보에 대응하게 상기 조정된 화질 관련 값을 저장한다(S107).
이하, 상기 화질 관련 값 조정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 조정 방법을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 조정 방법은 먼저 상기 외부 영상기기로부터 입력되는 테스트 패턴 신호를 Y, Cb, Cr 형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S201). 즉, 입력 컬러 스페이스 변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입력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영상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이어서, 상기 변환된 Y 신호로부터 제 1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을 획득한다(S202). 즉, 상기 테스트 패턴 신호 내에 존재하는 영상 영역 중 풀 블랙 영상이 위치한 영역의 Y 레벨 값을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획득한 제 1 영역에 대한 Y 레벨 값이 기 저장된 해당 영역에 대한 레벨 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3).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203) 상기 획득한 제 1 영역에 대한 Y 레벨 값이 기 저장된 해당 영역에 대한 레벨 값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이 상기 기준 레벨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204).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S204) 상기 획득한 제 1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이 상기 기준 레벨 값보다 크면, 상기 두 레벨 값이 일치하도록 기 설정된 Y offset 값을 감소한다(S205).
또한, 상기 판단결과(S204) 상기 획득한 제 1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이 상기 기준 레벨 값보다 크면, 상기 두 레벨 값이 일치하도록 기 설정된 Y Offset 값을 증가한다(S206).
한편, 상기 판단결과(S203) 상기 획득한 제 1 영역에 대한 Y 레벨 값이 기 저장된 해당 영역에 대한 레벨 값과 일치하면, 상기 밝기 조정 과정을 종료한다.
도 5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명암 조정 방법을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의 명암 조정 방법은 먼저 상기 외부 영상기기로부터 입력되는 테스트 패턴 신호를 Y, Cb, Cr 포맷을 갖는 디지털 형태의 영상신호로 변환한다(S301).
이어서, 상기 변환된 Y 신호로부터 제 2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을 획득한다(S302). 즉, 상기 테스트 패턴 신호 내에 존재하는 영상 영역 중 풀 화이트 영상이 위치한 영역의 Y 레벨 값을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획득한 제 2 영역에 대한 Y 레벨 값이 해당 영역에 대한 기준 레벨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303).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303) 상기 제 2 영역에 대한 Y 레벨 값이 해당 영역에 대한 기준 레벨 값보다 크면, 상기 두 값이 일치하도록 Y gain을 감소시킨다(S304).
또한, 상기 판단결과(S303) 상기 제 2 영역에 대한 Y 레벨 값이 해당 영역에 대한 기준 레벨 값보다 작으면, 상기 두 값이 일치하도록 Y gain 값을 증가시킨다(S305).
이어서, 상기 변환된 Cb, Cr 신호로부터 제 2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을 획득한다. 즉, 상기 테스트 패턴신호 내에 존재하는 영상 영역 중 풀 화이트 영상이 위치한 영역의 Cb, Cr 레벨 값을 획득한다(S306).
그리고, 상기 획득한 제 2 영역에 대한 Cb, Cr 레벨 값이 기 저장된 해당 영역에 대한 기준 레벨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307).
이어서, 상기 획득한 제 2 영역에 대한 Cb, Cr 레벨 값이 기 저장된 해당 영역에 대한 기준 레벨 값보다 크면, 상기 두 레벨 값이 일치하도록 Cb, Cr offset 값을 감소시킨다(S308).
또한, 상기 획득한 제 2 영역에 대한 Cb, Cr 레벨 값이 기 저장된 해당 영역에 대한 기준 레벨 값보다 작으면, 상기 두 레벨 값이 일치하도록 Cb, Cr offset 값을 증가시킨다(S309).
도 6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색상 조정 방법을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의 색상 조정 방법은 먼저 상기 외부 영상기기로부터 입력되는 테스트 패턴 신호를 Y, Cb, Cr 포맷을 갖는 디지털 형태의 영상신호로 변환한다(S401).
이어서, 상기 변환된 Cb 신호로부터 제 3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을 획득한다(S402). 즉, 상기 테스트 패턴 신호 내에 존재하는 영상 영역 중 블루 영상이 위 치한 영역의 Cb 레벨 값을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획득한 제 3 영역에 대한 Cb 레벨 값이 기 저장된 해당 영역에 대한 기준 레벨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403).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403) 상기 획득한 제 3 영역에 대한 Cb 레벨 값이 기 저장된 해당 영역에 대한 기준 레벨 값보다 크면, 상기 두 레벨 값이 일치하도록 Cb gain 값을 감소시킨다(S404).
또한, 상기 판단결과(S403) 상기 획득한 제 3 영역에 대한 Cb 레벨 값이 기 저장된 해당 영역에 대한 기준 레벨 값보다 작으면, 상기 두 레벨 값이 일치하도록 Cb gain 값을 증가시킨다(S405).
이어서, 상기 변환된 Cr 신호로부터 제 4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을 획득한다(S406). 즉, 상기 테스트 패턴 신호 내에 존재하는 영상 영역 중 레드 영상이 위치한 영역의 Cr 레벨 값을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획득한 제 4 영역에 대한 Cr 레벨 값이 기 저장된 해당 영역에 대한 기준 레벨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407).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407) 상기 획득한 제 4 영역에 대한 Cr 레벨 값이 기 저장된 해당 영역에 대한 기준 레벨 값보다 크면, 상기 두 레벨 값이 일치하도록 Cr gain 값을 감소시킨다(S408).
또한, 상기 판단결과(S407) 상기 획득한 제 4 영역에 대한 Cr 레벨 값이 기 저장된 해당 영역에 대한 기준 레벨 값보다 작으면, 상기 두 레벨 값이 일치하도록 Cr gain 값을 증가시킨다(S409).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은 현재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에서 입력되는 테스트 패턴의 상태에 따라 기설정된 화질 관련 값을 자동으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기설정된 화질 관련 값을 세팅해야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의 신호 특성에 맞는 최적 화질의 영상을 제공해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패턴 신호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 조정 방법을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명암 조정 방법을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색상 조정 방법을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Claims (9)

  1. 테스트 패턴 신호의 각 영역에 대한 기준 레벨 값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로부터 테스트 패턴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테스트 패턴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기 설정된 각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을 검출하는 레벨 값 검출부; 및,
    상기 레벨 값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각 영역에 대한 레벨 값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레벨 값의 차이에 따라 상기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의 신호 특성에 따른 화질 관련 조정 값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기저장된 기준 테스트 패턴 신호를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로부터 입력되는 테스트 패턴 신호는 상기 신호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 기준 테스트 패턴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질 관련 조정 값은 Y offset, Y gain, Cb offset, Cb gain, Cr offset 및 Cr gain 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의 제품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설정한 화질 관련 조정 값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외부 영상기기의 연결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에 기준 테스트 패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로부터 상기 출력한 기준 테스트 패턴 신호를 재 입력받는 단계;
    상기 외부 영상기기로부터 입력된 기준 테스트 패턴 신호를 토대로 기설정된 각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각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을 기준으로 적어도 상기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의 신호 특성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질 관련 조정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테스트 패턴 신호의 각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영상기기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테스트 패턴 신호를 Y 신호, Cb 신호 및 Cr 신호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Y 신호로부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Cb 신호로부터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Cr 신호로부터 제 2 영역 및 제 4 영역에 대한 레벨 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질 관련 값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각 영역에 대한 레벨 값과 기저장된 각 영역에 대한 기준 레벨 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각 영역에 대한 레벨 값과 기 저장된 각 영역에 대한 기준 레벨 값이 일치하도록 화질 관련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화질 관련 값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제 1 영역에 대한 Y 신호 레벨 값이 기저장된 기준 레벨 값과 일치하도록 Y offset 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제 2 영역에 대한 Y 신호 레벨 값이 기저장된 기준 레벨 값과 일치하도록 Y gain 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제 2 영역에 대한 Cb 신호 레벨 값이 기저장된 기준 레벨 값과 일치하도록 Cb offset 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제 3 영역에 대한 Cb 신호 레벨 값이 기저장된 기준 레벨 값과 일치하도록 Cb gain 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제 2 영역에 대한 Cr 신호 레벨 값이 기저장된 기준 레벨 값과 일치하도록 Cr offset 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제 4 영역에 대한 Cr 신호 레벨 값이 기저장된 기준 레벨 값과 일치하도록 Cr gain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의 제품 정보에 대응하게 상기 설정된 Y offset, Y gain, Cb offset, Cb gain, Cr offset 및 Cr gain 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90003627A 2009-01-16 2009-01-16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eased KR20100084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627A KR20100084247A (ko) 2009-01-16 2009-01-16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627A KR20100084247A (ko) 2009-01-16 2009-01-16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247A true KR20100084247A (ko) 2010-07-26

Family

ID=42643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627A Ceased KR20100084247A (ko) 2009-01-16 2009-01-16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42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556A (ko) 2018-03-30 2019-10-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레인지 유닛
US11067619B2 (en) 2019-12-24 2021-07-20 Silicon Works Co., Ltd. Integrated circuit having trim function for component
KR102638954B1 (ko) 2023-07-21 2024-02-21 주식회사 유진기업 오일 정제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556A (ko) 2018-03-30 2019-10-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레인지 유닛
US11067619B2 (en) 2019-12-24 2021-07-20 Silicon Works Co., Ltd. Integrated circuit having trim function for component
KR102638954B1 (ko) 2023-07-21 2024-02-21 주식회사 유진기업 오일 정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85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brightness and color temperature
JP4735605B2 (ja) テストパターン信号生成装置、テストパターン信号生成方法、測色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US853484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US8553147B2 (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between an RGB and a component video input signal
US10281714B2 (en) Projector and projection system that correct optical characteristic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22032777A1 (zh) 画面显示调节方法、存储介质及显示设备
US8248432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image enhancement thereof
US8279348B2 (en) Luminanc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CN108886609A (zh) 显示装置、电视接收机、显示方法、控制程序及记录介质
USRE42640E1 (en) Display apparatus
KR20030090849A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084247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21113847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14109710A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090077184A (ko)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0266588B1 (ko) 기호색 보상방법
US2018013016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integrated circuit
US8334928B2 (en) Automatic OSD adjusting device and method
JP5063394B2 (ja) 画像処理装置
KR10158974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색상 조정 방법
US20050018094A1 (en) Liquid crystal television apparatus
US20100164977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output image
US20060007360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color therewith
KR2007004027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1753902B (zh) 自动调整屏幕上显示信息的装置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2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1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3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2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