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82070A - 사봉침 - Google Patents

사봉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070A
KR20100082070A KR1020090001378A KR20090001378A KR20100082070A KR 20100082070 A KR20100082070 A KR 20100082070A KR 1020090001378 A KR1020090001378 A KR 1020090001378A KR 20090001378 A KR20090001378 A KR 20090001378A KR 20100082070 A KR20100082070 A KR 20100082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acupuncture
blade
procedure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식
김성철
Original Assignee
김근식
김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식, 김성철 filed Critical 김근식
Priority to KR1020090001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2070A/ko
Publication of KR20100082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07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의학적 전통 침 도구 중에서 봉침(鋒鍼)에 해당하는 전통침을 현대에 맞게 개발하여 연부조직인 인대와 건을 천공과 박리 혹은 자극하는데 사용되는 한방 침으로서 침체는 가늘고 단단한 둥근 원통형이며 침체의 끝단에 형성되는 침첨부는 사각형의 칼날 형상을 띠고 침병은 손에 잡기 편하게 일정한 면적을 가진다.
본 발명은 칼날 모양의 침체부분으로 절개하고자 하는 신체 연부조직을 넓히거나 자를 수 있으며,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침첨부의 제1 연마부의 칼날 선과 침병은 시술시 진입하는 방향을 정확히 분별할 수 있다.
봉침, 사봉침, 침병, 침체

Description

사봉침 {Scalpel Acupuncture}
본 발명은 한의학의 전통 침 도구인 구침(참침, 원침, 사침, 봉침, 피침, 원리침, 호침, 장침, 대침)중에서 봉침에 해당하며 침끝을 사각형으로 현대에 맞게 개발된 새로운 형태의 의료용침 도구로서 사봉침이라 명명하였으며, 현대의학에서 시행하는 개방성 수술을 비개방성 시술로 전환하기 위하여 수술용 칼 등을 대체할 수 있는 비개방성 의료용 침도구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비개방성 시술에 사용되는 침은 침의 기능을 하면서 체내에서 치료 작용을 하는 각종 칼 모양의 기구로서 침병은 납작하고 침첨부에는 사각형의 칼날이 달려있어 인체내 삽입후에 연부조직의 절개나 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사봉침 치료요법은 연부조직의 유착을 박리하거나 부분적인 절개, 혹은 천공하여 부분적 감압이나 조직 증식을 유도하여 연부조직의 손상으로 인한 고질적 동통성 질환을 치료하는 신침요법이다. 이 시술은 조작방법이 간단하고 조직 손상이 적으며, 개방성 수술에 비하여 감염도 잘 일어나지 않고 환자가 느끼는 통증과 공포감도 비교적 덜하다. 또한 치료시간과 치료과정도 비교적 짧아 정확한 병변의 위치와 그에 따른 해부학적 지식이 비롯된다면 쉽고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사봉침 치료요법은 한의학적 원리와 외과적 수술방법을 토대로 하며, 각종 연부조직의 유착, 연축으로 인한 동통성 질환, 각종 건초염, 만성 인대손상과 건염 등에 주로 사용된다. 기존의 개방성 수술용 메스 또는 일반 한방 호침 등의 사용이 이에 필요한 시술 재료로서 부적합하여 상기 침에 대한 발명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의 사봉침은 연부조직인 인대와 건을 천공하거나 부분 박리를 필요로 하는 시술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개방성 수술을 비개방성 시술로 전환하려면 사용되는 도구는 일반적인 수술용 칼과 달라야 하며, 이는 인체에 사용할 때 침의 기능을 하면서 체내에서 치료 작용을 하는 칼 모양의 의료용 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납작하면서 직육면체 형상을 띠는 침병과 원주형상의 침체, 쐐기 형태의 말단이 납작하면서 칼날 형상을 갖는 침침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 침으로서, 침병은 시술시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반 호침의 침병에 비해 매우 크며, 칼날 형상을 갖는 제1 연마부와 침병이 동일한 평면 선상에 있어 사봉침을 인체에 찌른 후에도 침병의 방향을 통해 칼날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침체에는 인체에 잘 삽입될 수 있도록 인체에 무해한 수용성 코팅제를 사용하여 코팅처리되었다.
위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의 사봉침을 이용한 시술법은 한방에서 현대의학이 결합된 새로운 치료법으로 인대의 부분 절개나 천공을 주로 하여 부분 감압을 유도하여 치료하는 수근관증후군, 족근관증후군 등의 질환에 사용할 수 있으며, 건 자극후 건 증식을 목적으로 하는 테니스엘보우, 아킬레스 건염 등 고질적인 연부조직 질환에 시술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효과가 빠르고 수술보다 통증의 고통이 덜하다. 따라서 연부조직손상 후유증 환자에게서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봉침은 근육 내 자극과 건, 인대에 강 자극을 줄 수 있고 유착된 연부조직을 쉽게 박리 혹은 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침병과 침체로 구성된 비개방성 의료용 침으로서, 상기 침의 침첨부는 피부를 절개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는 칼날과, 침을 피내에 삽입한 후 칼날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도록 제1 연마부와 동일한 평면 선상에 위치하는 침병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봉침(1)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침체(100)와 침병(200)은 일체형으로서 침체(100)는 둥근 원통형의 일반 호침과 유사한 스테인레스 강 소재로 이루어진다. 침병(200)은 손에 잡기 편하도록 일정한 면적을 가진 플라스틱 소재의 납작한 형태를 가진다.
침병(200)의 길이는 약 30㎜ 이며, 그 폭은 3~4㎜, 두께는 2~3㎜로 납작한 형태이다. 이것은 시술시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으며 삽입 후에도 침병(200)의 방향에 따라 제1 연마부(111)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다. 침체(100)는 필요한 절개 면적에 따라 일반 호침과 유사 또는 더 굵은 스테인레스 강선(0.4~1.5㎜)을 사용하며 그 길이는 40~120㎜ 정도로 구성된다.
또한, 움푹 파인 형태의 침병상단(202)과 침병(200)에 균일하게 생성된 골(201)은 삽입시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봉침(1)에서 침첨부(110)의 확대도이다.
침체(100)의 일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침첨부(110)는 제1 연마부(111)와 제2 연마부(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칼날 형상의 제1 연마부(111)를 형성한 후 침체(100)의 직경보다 작게 제1 연마부(111)의 직각 방향으로 경사진 제2 연마부(11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침첨부(110) 및 침체(100)의 외부에 졸(sol) 상태의 인체에 무해한 산화티타늄을 이용하여 코팅부(120)를 형성하여 시술시 원활한 삽입 및 통증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은 침병(200) 구조에 따른 사봉침(1)의 여러 가지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크기와 전체적인 디자인이 변형되지 않는 범위 아래, 시술시 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침병(200) 외관에 복수개의 골(201) 또는 돌기(203)의 형상을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봉침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봉침에서 침첨부의 확대도
도 3은 침병 구조에 따른 사봉침의 여러 가지 예를 나타낸 사시도

Claims (2)

  1. 사봉침에 있어서,
    납작하며 직육면체 형상을 띠는 침병; 제1 연마부 및 제2 연마부의 형성으로 칼날의 형상을 갖는 침첨부를 포함하는 침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봉침.
  2. 제 1항에 있어서,
    침병은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을 띠며 약 30mm의 길이로 시술 시 제1연마부와 침병이 동일한 평면 선상에 있고, 시술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그 표면에 일정한 골 또는 돌기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봉침.
KR1020090001378A 2009-01-08 2009-01-08 사봉침 Ceased KR20100082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378A KR20100082070A (ko) 2009-01-08 2009-01-08 사봉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378A KR20100082070A (ko) 2009-01-08 2009-01-08 사봉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070A true KR20100082070A (ko) 2010-07-16

Family

ID=42642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378A Ceased KR20100082070A (ko) 2009-01-08 2009-01-08 사봉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207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441B1 (ko) * 2012-10-25 2014-06-17 이건목 연부조직 치료용 침
CN107041766A (zh) * 2016-02-05 2017-08-15 陈明涛 系列埋线针刀
CN111150651A (zh) * 2020-02-27 2020-05-15 尚斌 灵枢针
CN113749935A (zh) * 2020-06-03 2021-12-07 清铃株式会社 针灸针及针灸针的形成方法
EP3919038A1 (en) * 2020-06-03 2021-12-08 Seirin Corporation Acupuncture needl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441B1 (ko) * 2012-10-25 2014-06-17 이건목 연부조직 치료용 침
CN107041766A (zh) * 2016-02-05 2017-08-15 陈明涛 系列埋线针刀
CN111150651A (zh) * 2020-02-27 2020-05-15 尚斌 灵枢针
CN113749935A (zh) * 2020-06-03 2021-12-07 清铃株式会社 针灸针及针灸针的形成方法
EP3919039A1 (en) * 2020-06-03 2021-12-08 Seirin Corporation Acupuncture needle and method of forming acupuncture needle
EP3919038A1 (en) * 2020-06-03 2021-12-08 Seirin Corporation Acupuncture need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9237B2 (en) Tissue-lifting device
JP7411236B2 (ja) 経皮的開放手技のための医療器具
US106174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endoscopic release procedures
KR20100082070A (ko) 사봉침
US4185634A (en) Surgical instrument
JPWO2016103366A1 (ja) 切開用手術器械
Kilgore Jr et al. Treatment of felons
RU183477U1 (ru) Скальпель для разреза кожи и подкожных мышц у крупного рогатого скота
CN210843336U (zh) 一种专用于腕横韧带切开刀
CN201230903Y (zh) 钢板周围瘢痕剥离器
RU2330624C1 (ru) Зажим
RU2567816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ложных суставов ладьевидной кости
CN110403680B (zh) 一种专用于腕横韧带切开刀
JP5804428B2 (ja) 切開用手術器械
RU2534843C1 (ru) На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зекции длинных трубчатых костей
RU19537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бора и проведения сухожилия короткого разгибателя пальцев стопы
Soni et al. Critical review of Prachhannakarma and instruments for Prachhannakarma mentioned in Bruhattrayi
RU204723U1 (ru) Скальпель для аутопсии с защитным конусом
US7056324B2 (en) Wart removal method and device
RU274062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бора и проведения сухожилия короткого разгибателя пальцев стопы
RU2454193C2 (ru) Способ аутопластики застарелого разрыва дельтовидных связок голеностопного сустава сухожилием задней большеберцовой мышцы
RU2455967C2 (ru) Наконечник для термокоагуляции ресниц
RU9889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кожного рассечения сухожилий мышц, капсул суставов при деформациях стоп
CN209574822U (zh) 一种拇外翻矫形松解针
RU33702U1 (ru) Защитник для кожи и мягких ткан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2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