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1468A - Splitter module and optical access network system with the said module - Google Patents
Splitter module and optical access network system with the said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71468A KR20100071468A KR1020080130200A KR20080130200A KR20100071468A KR 20100071468 A KR20100071468 A KR 20100071468A KR 1020080130200 A KR1020080130200 A KR 1020080130200A KR 20080130200 A KR20080130200 A KR 20080130200A KR 20100071468 A KR20100071468 A KR 201000714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 splitter
- coupler
- splitter module
- fix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26 fusion splic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02B6/03616—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FTTH 광가입자망을 구축하는 데에 이용되는 광케이블 분기함체용 스플리터 모듈 및 이 스플리터 모듈을 구비하는 광케이블 분기함체를 망 구축에 이용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스플리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커버부; 커버부에 내장되며, 스플리터에 구비되는 커플러를 고정시키는 커플러 고정부; 커버부에 내장되며, 코어를 통하여 커플러에 연결되는 팬아웃 코드(fan-out cord)를 고정시키는 팬아웃 코드 고정부; 및 팬아웃 코드를 통과한 광섬유의 일단에 형성되는 광섬유 커넥터와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를 구비하는 어댑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리터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FTTH 구축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공정 시간을 대폭 감축시킬 수 있다. 또한, 열악한 외부 환경에도 불구하고 시공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FTTH 구축 단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회선에 영향을 주지 않고 철거 및 증설 작업이 가능하며, 광분기함체의 크기 축소 및 광 선로의 수명 연장도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plitter module for an optical cable branch enclosure used to build an FTTH optical subscriber network, and an optical subscriber network system using an optical cable branch enclosure including the splitter module for network construc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portion for receiving the splitter therein; A coupler fixing part embedded in the cover part and fixing the coupler provided in the splitter; A fanout cord fixing part embedded in the cover part and fixing a fanout cord connected to the coupler through the core; And an adapter assembly having at least one adapter connecting with an optical fiber connector formed at one end of the optical fiber passing through the fanout c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TTH construction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process time can be greatly reduced. In addition, despite the poor external environment, the constru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he cost of constructing the FTTH can be greatly reduc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smantle and expand without affecting other lines, and to reduce the size of the optical branch enclosure and to extend the life of the optical line.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플리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FTTH 광가입자망을 구축하는 데에 이용되는 광케이블 분기함체(optical cable divergence box)용 스플리터 모듈 및 이 스플리터 모듈을 구비하는 광케이블 분기함체를 망 구축에 이용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litter module and an optical subscriber network system hav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litter module for an optical cable divergence box used to construct an FTTH optical subscriber network, and an optical subscriber network system using an optical cable branch enclosure including the splitter module for network construction. .
오늘날 초고속 전용회선이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가입자 댁내나 사무용 건물의 내부까지 광케이블을 포설한 후 광가입자망(optical access network)을 구성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광가입자망은 보통 환형망과 체감망이 혼합 구성된 구조를 가진다.In order to provide high-speed leased lines or Internet services, it is common to construct optical access networks after laying optical cables inside subscriber's homes or office buildings. Such an optical subscriber network usually has a structure in which a ring network and a sensory network are mixed.
환형망(circulation network)이라 함은 특정 전화국(CO; Central Office)의 FDF(Fiber Distribution Frame)에서 성단되어 도로를 따라 원형 루트를 그리며, 동일한 전화국의 FDF에까지 동일한 코어(core) 수로 성단되는 형태의 네트워크를 말한다. 요약하면 환형망은 전화국 관내 자체망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로서, 특히 원형 루트 광케이블망으로 구현된다고 하여 광간선망이라고도 한다. 광간선망은 보통 루 트 내 중간 접속점을 다수 구비하는데, 이 중간 접속점 역할을 하는 것이 광접속함체(=광케이블 접속함체)이다. 이러한 광접속함체는 광케이블을 분기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반면, 체감망이란 상기 특정 전화국의 FDF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코어 수가 감소하여 성단되는 형태의 네트워크로서, 상기 중간 접속점에서 FTTH(Fiber To The Home) 가입자로 이어지는 네트워크가 이에 해당한다.A circular network is formed in a Fiber Distribution Frame (FDF) of a particular central office (CO), drawing a circular route along the road, and forming a cluster of cores with the same number of cores up to the same telephone station's FDF. Say network. In summary, the annular network is a network that connects its own network in the telephone office, and in particular, it is called an optical trunk network because it is implemented as a circular root optical cable network. The optical fiber network usually has a number of intermediate connection points in the root, which serve as intermediate connection points (= optical cable junction box). The optical splice enclosure also serves to branch the optical cable. On the other hand, the haptic network is a type of network in which the number of cores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FDF of the specific telephone station decreases, and the network that extends from the intermediate access point to the FTTH subscriber.
최근 들어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와 이를 이용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화상통화, 쌍방향 TV(ex. IPTV) 등 FTTH 광가입자망(FTTH 가입자 광케이블망이라고도 함)을 이용한 컨텐츠가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FTTH 가입자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지만, 통신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가입자의 주거 형태에 따라 막대한 투자비를 소모시켜야 하는 부담이 따른다. 따라서, FTTH 광가입자망이 전국적으로 확산 보급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구축 비용에 대한 절감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Recently, contents using FTTH optical subscriber networks (also known as FTTH subscriber optical cable networks) such as high speed internet services,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video calls, and interactive TV (ex. IPTV) have been steadily developed. Accordingly, the number of FTTH subscribers is increasing continuously. However, for the service provider, there is a burden of enormous investment costs depending on the subscriber's housing type. Therefore, in order to spread and spread the FTTH optical subscriber network nationwide, efforts to reduce the ongoing construction cost are urgently required.
FTTH에 대한 초기 개념은 전화국(CO)에서 가입자 댁내까지 광 코어를 1:1로 공급하는 것이었으나, 막대한 투자비가 소요되는 관계로 오랜 기간 FTTH 구축이 확산되지 못했다. 그러나, 가입자 전송 장비의 성능이 계속 향상되면서 오늘날 하나의 광 코어를 이용하여 32 가입자까지 동시에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단계에까지 이르렀다. 최근에는 광가입자망에서 1/32로 광 코어를 줄이는 FTTH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The initial concept of FTTH was to supply optical cores 1: 1 from the CO to the subscriber's premises, but the deployment of FTTH did not spread for a long time due to the huge investment cost. However, as the performance of subscriber transmission equipment continues to improve, today, up to 32 subscribers can be shared simultaneously using a single optical core. Recently, the FTTH method which reduces the optical core by 1/32 in the optical subscriber network has been applied.
하나의 광 코어를 이용하여 32 가입자가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원이 필요없는 PON(Passive Optical Network)용 스플리터(1:2, 1:4, 1:8, 1:16, 1:32)를 사용하게 된다. 가입자가 밀집되어 있는 공동주택에서는 1:32 용량의 스플리터를 사용하여 가입자를 수용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가입자 분포가 분산되어 있는 일반주택 단지에서는 그러하지 못하다. 그래서, 일반주택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에서는 현재 스플리터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망을 구성하는 2단 분기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A 32-pin splitter (1: 2, 1: 4, 1: 8, 1:16, 1:32) for the PON (Passive Optical Network) is required for common use by 32 subscribers using one optical core. Done. In dense multi-unit dwellings, it is advantageous to accommodate subscribers using a 1:32 splitter, but not in general housing complexes where the distribution of subscribers is dispersed. Therefore, in the area where general houses are concentrated, the two-stage branching method that divides the splitter into several stages and forms a network is applied.
2단 분기 방식은 1차 RN(Remote Node) 및 2차 RN을 채택하고 있다. 1차 RN은 광접속함체 내에 설치되며, 스플리터의 입출력 부분의 광 코어 접속은 융착 접속 방식을 보편 사용하고 있다. 반면, 2차 RN은 전주에 설치되는 광분기함체나 건물 내의 구내단자함에 설치되며, 스플리터 접속은 입력측에서는 융착 접속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출력측에서는 어댑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커넥터를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출력측에 커넥터 연결 방식을 채택한 이유는 가입자 개통시 사용되는 인입 광케이블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현장에서 쉽게 커넥팅 작업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출력측의 커넥터 연결 방식은 현장 조립 커넥터 접속 방식이라고도 한다.The two-stage branching method employs a primary RN (remote node) and a secondary RN. The primary RN is provided in the optical junction box, and the optical core connection of the input / output part of the splitter generally uses a fusion splicing method. On the other hand, the secondary RN is installed in the optical branch box installed in Jeonju or the internal terminal box in the building, and the splitter connection uses the fusion splicing method at the input side and the connector is connected at the output side for convenient connection. I'm using the method. The reason why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is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of the incoming optical cable used when the subscriber is opened, and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work in the field. The connector connection method on the output side is also called a field assembly connector connection method.
그런데, 지상의 전주 위에서 작업하기 때문에 외부 환경이 열악하다는 점과 광소자로 구성된 것을 다루기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점 때문에 종래에는 광분기함체 내에 스플리터를 장착하는 데에 시공상의 불편함이 많았다. 더욱이, 설치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데다가 작업자의 부주의나 단선 등으로 인해 고장 발생 가능성도 매우 높았다. 이에, 종래에는 광분기함체를 전주에 설치하기 전에 스플리터를 광분기함체에 장착하는 과정이 선행하여 이루어졌다.However, because of the fact that the external environment is poor because of working on the poles of the ground and requires careful attention to deal with what is composed of optical elements, there was a lot of inconvenience in the construction of mounting the splitter in the optical branch enclosure. Moreover, the installation work takes a long time, and the possibility of failure is very high due to worker's carelessness or disconnection.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a process of mounting the splitter in the optical branch enclosure prior to installing the optical branch enclosure in the pole is made in advance.
한편, 광분기함체 내에 스플리터 자체를 직접 장착시키는 종래 방법은 가입자 변동으로 스플리터를 추가로 증설할 때나 이전할 경우에 이물질의 침입 등을 이유로 고장 발생 위험이 매우 높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directly mounting the splitter itself in the optical branch enclosure, the risk of failure due to intrusion of foreign matters when adding or transferring the splitter due to the change of subscribers was very high.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광분기함체에 장착/탈착 가능하게 패키지(package) 형태로 구현한 스플리터 모듈 및 이 모듈을 구비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litter module implemented in a package form so as to be mounted / removable to an optical branch enclosure and an optical subscriber network system having the module.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플리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내장되며, 상기 스플리터에 구비되는 커플러를 고정시키는 커플러 고정부; 상기 커버부에 내장되며, 코어를 통하여 상기 커플러에 연결되는 팬아웃 코드(fan-out cord)를 고정시키는 팬아웃 코드 고정부; 및 상기 팬아웃 코드를 통과한 광섬유의 일단에 형성되는 광섬유 커넥터와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를 구비하는 어댑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리터 모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ver portion for receiving a splitter therein; A coupler fixing part which is built in the cover part and fixes the coupler provided in the splitter; A fanout cord fixing part embedded in the cover part and fixing a fanout cord connected to the coupler through a core; And an adapter assembly having at least one adapter for connecting with an optical fiber connector formed at one end of the optical fiber passing through the fanout cord.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는 상기 어댑터 조립체가 삽입되는 삽입홈 및 상기 커플러에 접속하는 광케이블이 인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입구가 일면에 함께 형성된다.Preferably, the cover portion is formed with at least one inlet through which the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adapter assembly is inserted and the optical cable connecting to the coupler are introduc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플러 고정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부 바닥면에 상단이 안쪽 방향으로 구부러진 한쌍의 벽으로 구현된다.Preferably, the coupler fixing part is implemented by a pair of walls whose upper end is bent inwardly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over part.
바람직하게는, 상기 팬아웃 코드 고정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벽에 부착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양측벽에 홈이 형성된 박스 형태로 구현된다.Preferably, the fan-out cord fixing part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cover part, and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ox having an upper portion open and grooves formed on both side walls.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플리터 모듈은 크기(가로×세로×높이)가 90~100mm × 55~65mm × 25~3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plitter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width × length × height) is 90 ~ 100mm × 55 ~ 65mm × 25 ~ 30mm.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는 외부면에 벨크로 테이프나 고리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v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o attach the Velcro tape or ring on the outer surface.
또한, 본 발명은 스플리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 내장되며 상기 스플리터에 구비되는 커플러를 고정시키는 커플러 고정부와, 상기 커버부에 내장되며 코어를 통하여 상기 커플러에 연결되는 팬아웃 코드(fan-out cord)를 고정시키는 팬아웃 코드 고정부, 및 상기 팬아웃 코드를 통과한 광섬유의 일단에 형성되는 광섬유 커넥터와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를 구비하는 어댑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스플리터 모듈을 내장하는 광접속함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ver portion for accommodating a splitter therein, a coupler fixing portion for fixing a coupler built in the cover portion and provided in the splitter, and a fan embedded in the cover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coupler through a core. A splitter module including a fan-out cord fixing part for fixing a fan-out cord, and an adapter assembly having at least one adapter for connecting to an optical fiber connector formed at one end of the optical fiber passing through the fan-out cord. It provides an optical subscriber network system comprising an optical connection enclosure containing a.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플리터 모듈은 상기 광접속함체에 탈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plitter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to the optical connector.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플리터 모듈을 광분기함체에 장착/탈착 가능하게 패키지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스플리터 자체를 광분기함체 내부에 직접 설치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작업 시간도 대폭 감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전문적인 기량이 없는 자라도 쉽게 작업할 수 있으며, 사전에 스플리터를 광분기함체 내부에 장착시키는 수고도 덜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mplementing the splitter module in a package form to be mounted / removable to the optical branch enclosur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First, since the splitter itself does not need to be installed directly inside the optical branch enclosure, the work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work time can be greatly reduced. In addition, even those who do not have professional skills can work easily, and less effort to mount the splitter inside the light splitter enclosure in advance.
둘째, 작업 공정의 단순화로 열악한 외부 환경에도 불구하고 시공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FTTH 구축 단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집중력을 높여 작업자의 부주의를 제거시킬 수 있으며, 신속하고 안전하게 FTTH를 구축할 수 있어 FTTH 광가입자망의 전국적 보급 및 확산에도 기여할 수 있다.Second, the simplification of the work process can improve the construction efficiency despite the poor external environment, and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st of building FTTH.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to eliminate the carelessness of the worker, and to contribute to the nationwide dissemination and spread of the FTTH optical subscriber network can be built quickly and safely.
세째, 가입자 변동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회선에 영향을 주지 않고 철거 및 증설 작업이 가능하다.Third, even if there is a change in subscribers, the removal and expansion work can be performed without affecting other lines.
네째, 패키지화된 스플리터 모듈을 통해 광분기함체의 크기도 축소시킬 수 있으며, 스플리터 모듈이 광소자의 커플러를 보호함으로써 광 선로의 수명 연장도 가능하다.Fourth, the size of the optical splitter enclosure can be reduced through the packaged splitter module, and the splitter module protects the coupler of the optical device to extend the life of the optical lin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following will describ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플리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플리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 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플리터 모듈(100)은 케이스(110), 어댑터 조립체(120), 커플러 고정홀더(130) 및 팬아웃 코드 고정홀더(140)를 포함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litter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plitter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the
일반적으로 전화국(CO; Central Office)을 통하여 가입자 댁내에 광가입자망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때에는 전화국 내의 가입자 전송 시스템인 OLT(Optical Line Terminal)에서 맨홀 내 광접속함체 내부에 설치되는 1차 RN(Remote Node)의 스플리터를 경유하도록 광케이블 선로를 구축시킨다. 이어서, 전주의 광분기함체 또는 건물 구내단자함 내에 설치되는 2차 RN의 스플리터까지 광케이블 선로를 연장 구축시킨다. 이후, 2차 RN의 스플리터에서 가입자 댁내까지 인입 광케이블을 포설하여 망 구축을 완료하며, 광가입자망 서비스를 개통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FTTH 광가입자망 구축 과정이라고 한다.In general, to provide optical subscriber network service in subscriber's premises through CO (Central Office), the primary RN (Remote) installed inside the optical access box in the manhole at OLT (Optical Line Terminal) An optical cable line is constructed to pass through the splitter of the node. Subsequently, the optical cable line is extended to the splitter of the secondary RN installed in the optical branch box or the building terminal box of Jeonju. After that, the incoming optical cable is installed from the secondary RN's splitter to the subscriber's premises to complete the network construction, and the optical subscriber network service is opened. This process is called FTTH optical subscriber network construction process.
그런데, FTTH를 구축하기 위해서 가입자 댁내까지 광케이블을 설치할 때에는 다수의 가입자를 하나의 광분기함체에 수용시킴이 필요하다. 스플리터(splitter)는 이러한 경우에 광분기함체 내에 하나의 광 코어를 이용하여 여러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게 하는 광소자 기능을 한다. 스플리터의 구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However, when installing the optical cable to the subscriber's premises to build the FTTH, it is necessary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subscribers in one optical branch enclosure. The splitter functions in this case as an optical element that can accommodate multiple subscribers using a single optical core in the optical branch enclosure. The structure of the splitter is as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스플리터(300)는 입력측의 1차 RN 인입 광케이블(900㎛)을 광섬유 코어 형태의 4개의 리본 광섬유로 분기시키는 커플러(coupler)(310), 접속 용이를 고려하여 4개의 리본 광섬유를 4개의 900㎛ 광섬유로 접속시키는 팬아웃 코드(fan-out cord)(320), 및 각각의 900㎛ 광섬유와 커넥터 접속하는 어댑터 조립체(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스플리터(300)를 광분기함 체 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은 직경의 광섬유가 훼손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또한, 광섬유가 수납됨을 감안할 때 광섬유의 허용 곡률 반경도 고려해야 한다.Referring to FIG. 3, the
본 발명에 따른 스플리터 모듈(100)은 스플리터(300) 자체를 박스(box) 형태의 소형 모듈 내에 패키징(packaging)시킨 것이다. 종래에는 2차 RN 내에 스플리터(300)를 광분기함체 내에 직접 설치함으로써 고장 발생 우려가 높았고 시공상의 불편함도 많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스플리터(300)를 모듈 형태로 집적시켜 간단하고 편리하게 광분기함체에 설치하거나 이전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스플리터 모듈(100)은 크기를 가능한한 축소시켜 추가 증설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The
스플리터 모듈(100)은 FTTH 광가입자망을 구축시키기 위해 전주에 설치되는 광분기함체(이를 광케이블 분기함체라고도 함) 내에 설치된다. 이러한 스플리터 모듈(100)은 광분기함체 내에 장착/탈착 가능하게 구현된다. 스플리터 모듈(100)의 이러한 구조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광 커플러를 안전하게 보호하며, 시공상의 편리를 도모하고 신속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게 한다. 또한, 가입자 수의 변동에 따라 광분기함체 내에서 용이하게 증감될 수 있게 함으로써 FTTH 광가입자망 구축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도 한다.The
스플리터 모듈(100)의 실제 구현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An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케이스(110)는 커버부라고도 하며,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11)와 덮개(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본체(111)는 일측면에 어댑터 조립체(120)의 삽입을 허용하는 어댑터 조립체 삽입홈(113)을 형성한다. 또한, 본체(111)는 일측면에 광섬유 인입구(114)를 형성 한다. 광섬유 인입구(114)는 스플리터 입력 광섬유(150)를 내부로 삽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 구현도 가능하다.The
스플리터 모듈(100)의 일측에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가 모두 구비된다면 광분기함체 내의 부품들 간의 효율적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그 이유는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를 한쪽에 모아 형성시킴으로써 스플리터 모듈(1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광분기함체의 공간 사용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나아가 광분기함체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체(111)의 일측면에 어댑터 조립체 삽입홈(113)과 광섬유 인입구(114)를 함께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f both the input port and the output port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한편, 본체(111)와 덮개(112)는 상호 고정용 수단으로 위에서 아래로 관통하는 나사홀(115)을 각각 구비한다. 본체(111)와 덮개(112)는 각각 구비된 이 나사홀(115)을 통해 상호 결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어댑터 조립체(120)는 스플리터 모듈(110)에 내장된 스플리터(300)의 일단에 형성되는 광섬유 커넥터의 접속 수단이다. 이러한 어댑터 조립체(120)는 복수개의 스플리터 출력 어댑터들이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어댑터 조립체(120)는 바람직하게는 SC형 광 커넥터 어댑터들로 구현된다. 어댑터 조립체(120)의 단면 예시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커플러 고정홀더(130)는 광 커플러 고정용 홀더로서, 본체(111) 내부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보호 슬롯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스플리터의 일부분인 커플러를 커플러 고정홀더(130)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6 의 (a)는 커플러(310)를 커플러 고정홀더(130)에 고정시키기 전의 모습이며, 도 6의 (b)는 커플러(310)를 커플러 고정홀더(130)에 고정시킨 후의 모습이다.The
도 6에 따르면, 커플러 고정홀더(130)는 상부 방향으로 커플러(3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단이 안쪽 방향으로 구부러진 벽 형태의 한쌍의 광섬유 보호 슬롯(600)를 포함한다. 커플러 고정홀더(130)는 이러한 구조를 통해 진동에 의해 커플러(3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FIG. 6, the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gain.
팬아웃 코드 고정홀더(140)는 팬아웃 코드(320)를 고정시키기 위한 바구니 형태의 홀더로서, 본체(111) 내벽 일측에 부착 형성된다. 스플리터(300)의 일부분인 팬아웃 코드(320)를 팬아웃 코드 고정홀더(140)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7의 (a)는 팬아웃 코드(320)를 팬아웃 코드 고정홀더(140)에 고정시키기 전의 모습이며, 도 7의 (b)는 팬아웃 코드(320)를 팬아웃 코드 고정홀더(140)에 고정시킨 후의 모습이다.The fanout
도 7에 따르면, 팬아웃 코드(320)는 위에서 아래로 삽입시켜 팬아웃 코드 고정홀더(140)에 장착시킨다. 이때, 팬아웃 코드 고정홀더(140)는 양측의 900㎛ 광섬유 및 리본 광섬유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양측벽에 홈(70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7, the
이상 설명한 스플리터 모듈(100)은 내부 구성요소들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결 구성을 형성한다. 이하 도 5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플리터 모듈(100) 내의 스플리터는 커플러(310)와 팬아웃 코드(320)를 구비하며, 일단의 광섬유는 커 플러(310)로부터 인출되어 광섬유 인입구(114) 쪽으로 향하며, 타단의 광섬유는 팬아웃 코드(320)로부터 인출되어 어댑터 조립체(120)에 연결된다. 광섬유 인입구(114) 쪽으로 향한 광섬유는 1차 RN으로부터 포설된 인입 광케이블(500)에 접속하며, 어댑터 조립체(120)에 연결된 광섬유는 어댑터 조립체(120)를 통하여 가입자 댁내로 연결된 인입 광케이블(510)과 접속한다.The
그런데, 스플리터 모듈(100)은 광분기함체에 탑재됨을 고려할 때 그 크기가 작을수록 효율적일 것이다. 그러나, 광섬유의 특성상 허용 곡률 반경 이내로 구부릴 경우 밴딩 손실이 발생하여 광신호가 끊어질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허용 곡률 반경이 유지됨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플리터 모듈(100)은 그 내부에 커플러(310)를 고정시키기 위한 커플러 고정홀더(130)와 팬아웃 코드(320)를 고정시키기 위한 팬아웃 코드 고정홀더(140)를 탑재한다. 게다가, 일측에 어댑터 조립체(120)를 장착시키기 위한 공간도 확보되어야 한다.However, considering that the
따라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스플리터 모듈(100)의 크기(가로×세로×높이)는 90~100mm × 55~65mm × 25~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스플리터 모듈(100)의 크기는 90mm × 55mm × 25mm이다. 그 이유는 이 크기의 스플리터 모듈(100)이 제 기능을 모두 수행하면서도 광분기함체 내에서 최소 부피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스플리터 모듈(100)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높이가 각각 100mm 이상, 65mm 이상, 30mm 이상이면 광분기함체 내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지나치게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반면, 스플리터 모듈(100)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높이가 각각 90mm 이하, 55mm 이하, 25mm 이하이면 스플리터가 제 기능 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se points, the size (width × length × height)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케이블의 허용 곡률 반경은 36mm~4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허용 곡률 반경이 36mm 이하이면 광신호가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며, 허용 곡률 반경이 40mm 이상이면 상기한 크기의 스플리터 모듈(100)의 구성이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광케이블의 허용 곡률 반경은 36mm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lowabl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ptical cable is preferably 36mm ~ 40mm. This is because the optical signal is cut off when the allowable radius of curvature is 36mm or less, and when the allowable radius of curvature is 40mm or more, the configuration of the
한편, 커플러(310)를 커플러 고정홀더(130)에 장착할 때에 커플러(310) 양측의 900㎛ 광섬유 및 리본 광섬유는 허용 곡률 반경 이상의 구부림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팬아웃 코드(320)를 팬아웃 코드 고정홀더(140)에 장착할 때에 팬아웃 코드(320) 양측의 900㎛ 광섬유 및 리본 광섬유도 허용 곡률 반경 이상의 구부림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mounting the
상기를 감안하여 커플러 고정홀더(13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은 일방에서 타방으로 관통됨이 바람직하며, 팬아웃 코드 고정홀더(140) 역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양측벽에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view of the above,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한편, 커플러 고정홀더(130)는 일방에서 타방으로 관통되어 내부가 비어있는 통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의 커플러 고정홀더(130)는 커플러(31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면 또는 측면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뚫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스플리터 모듈(100)이 광분기함체에 장착/탈착 가능하게 구현됨은 이미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위해 스플리터 모듈(100)이 그 외부면에 벨 크로 테이프를 부착한다. 스플리터 모듈(100)은 이 벨크로 테이프의 자유로운 탈부착 가능으로 광분기함체에서 쉽게 철거하고 추가로 부착하기 쉬운 구조를 가지게 된다. 스플리터 모듈(100)이 벨크로 테이프를 통해 광분기함체에 장착/탈착된다면 광분기함체 내부에도 이 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스플리터 모듈(100)은 일측에 고리를 형성하여 광분기함체에 장착/탈착 가능하게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It has already been described that the
스플리터 모듈(100) 내부에 스플리터(300)를 실제 장착했을 때의 모습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각 부분은 이미 설명한 내용으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바,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When the
도 9는 전주에 설치된 광분기함체 내에 스플리터 모듈(100)을 설치 운용할 때의 예시도이다. 도면부호 900은 광분기함체를 말한다.9 is an exemplary view when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광분기함체에 장착/탈착 가능하게 패키지 형태로 구현한 스플리터 모듈 및 이 모듈을 구비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FTTH 구축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공정 시간을 대폭 감축시킬 수 있다. 또한, 열악한 외부 환경에도 불구하고 시공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FTTH 구축 단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회선에 영향을 주지 않고 철거 및 증설 작업이 가능하며, 광분기함체의 크기 축소 및 광 선로의 수명 연장도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plitter module implemented in a package form to be mounted / removable to an optical branch enclosure and an optical subscriber network system having th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TTH construction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process time can be greatly reduced. In addition, despite the poor external environment, the constru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he cost of constructing the FTTH can be greatly reduc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smantle and expand without affecting other lines, and to reduce the size of the optical branch enclosure and to extend the life of the optical line.
본 발명에 따른 스플리터 모듈 및 이 스플리터 모듈을 구비하는 광분기함체는 FTTH 광가입자망 구축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FTTH를 구축시키는 효과를 생성시키므로, FTTH 광가입자망의 전국적 보급 및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The splitter module and the optical branch enclosure including the splitt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hen constructing an FTTH optical subscriber network. As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the effect of building FTTH quickly and safel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nationwide dissemination and spread of the FTTH optical subscriber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플리터 모듈의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litter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플리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litter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스플리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3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plitter,
도 4는 실제 구현된 스플리터 모듈의 사진이고,4 is a photograph of an actual implemented splitter module,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조립체의 단면도 및 스플리터 모듈의 평면도이고,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dapter assembly and a plan view of a splitter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스플리터의 커플러를 스플리터 모듈의 커플러 고정홀더에 장착시키기 전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6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mounting the coupler of the splitter to the coupler fixing holder of the splitter module,
도 7은 스플리터의 팬아웃 코드를 스플리터 모듈의 팬아웃 코드 고정홀더에 장착시키기 전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7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mounting the fanout cord of the splitter to the fanout cord fixing holder of the splitter module,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플리터 모듈 내부에 스플리터를 장착시킬 때의 촬영 사진이고,8 is a photograph taken when the splitter is mounted in the split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광분기함 내에 스플리터 모듈을 설치 운용할 때의 촬영 사진이다.9 is a photograph taken when the splitter module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optical splitter box.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스플리터 모듈 110 : 케이스100: splitter module 110: case
111 : 본체 112 : 덮개111: body 112: cover
113 : 어댑터 조립체 삽입홈 114 : 광섬유 인입구113: adapter assembly insertion groove 114: optical fiber inlet
115 : 나사홀 120 : 어댑터 조립체115: screw hole 120: adapter assembly
130 : 커플러 고정홀더 140 : 팬아웃 코드 고정홀더130: coupler fixing holder 140: fan-out code fixing holder
300 : 스플리터 310 : 커플러300: splitter 310: coupler
320 : 팬아웃 코드320: Fanout Code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0200A KR20100071468A (en) | 2008-12-19 | 2008-12-19 | Splitter module and optical access network system with the said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0200A KR20100071468A (en) | 2008-12-19 | 2008-12-19 | Splitter module and optical access network system with the said modu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1468A true KR20100071468A (en) | 2010-06-29 |
Family
ID=42368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30200A Withdrawn KR20100071468A (en) | 2008-12-19 | 2008-12-19 | Splitter module and optical access network system with the said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71468A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93943A (en) * | 2014-02-10 | 2015-08-19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Splitter module |
CN109116500A (en) * | 2018-11-19 | 2019-01-01 | 江苏八达电子有限公司 | A kind of fibre distribution box |
CN110998403A (en) * | 2018-12-29 | 2020-04-10 | 华为技术有限公司 | Spectroscopic device |
CN111538127A (en) * | 2020-06-05 | 2020-08-14 | 义博通信设备集团股份有限公司 | Spliced optical splitte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WO2021119792A1 (en) * | 2019-12-20 | 2021-06-24 | Furukawa Electric Latam S.A. | Optical terminal box for distributing optical power |
WO2022192973A1 (en) * | 2021-03-15 | 2022-09-22 | VICENTE, Luis Carlos | Optical fiber housing box |
-
2008
- 2008-12-19 KR KR1020080130200A patent/KR20100071468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93943A (en) * | 2014-02-10 | 2015-08-19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Splitter module |
CN109116500A (en) * | 2018-11-19 | 2019-01-01 | 江苏八达电子有限公司 | A kind of fibre distribution box |
CN110998403A (en) * | 2018-12-29 | 2020-04-10 | 华为技术有限公司 | Spectroscopic device |
US11194113B2 (en) | 2018-12-29 | 2021-12-07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Optical splitting apparatus |
US11714247B2 (en) | 2018-12-29 | 2023-08-01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Optical splitting apparatus |
WO2021119792A1 (en) * | 2019-12-20 | 2021-06-24 | Furukawa Electric Latam S.A. | Optical terminal box for distributing optical power |
CN111538127A (en) * | 2020-06-05 | 2020-08-14 | 义博通信设备集团股份有限公司 | Spliced optical splitte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WO2022192973A1 (en) * | 2021-03-15 | 2022-09-22 | VICENTE, Luis Carlos | Optical fiber housing box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799576B (en) | Fiber optic distribution device and fiber optic network including the same | |
US10101543B2 (en) | Indexing terminals for supporting a bidirectional indexing architecture | |
US7945138B2 (en) | Modular optical fiber cassette | |
KR101121400B1 (en) | Multi-position fiber optic connector holder for storing fiber optic connectors in telecommunications connection cabinet and corresponding method | |
US7668432B2 (en) | Multi-drop closure systems and methods for fiber optic cabling | |
ES2375926T3 (en) | INTEGRATED COMMUNICATION ENVELOPE. | |
US20070031100A1 (en) | Optical fiber distribution cabinet | |
CN101933266B (en) | Wavelength multiplexing module | |
EP3673308B1 (en) | Drop terminal | |
US20130022328A1 (en) | Drop Terminal with Anchor Block for Retaining a Stub Cable | |
US9874713B2 (en) | Indexing terminals having a port arrangement environmentally sealed by a cover | |
KR20100071468A (en) | Splitter module and optical access network system with the said module | |
US20100202746A1 (en) | Fiber Optic Distribution Device and Fiber Optic Network Including the Same | |
US10063947B2 (en) | Telecommunications module | |
CN109923456B (en) | Optical fiber connector and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the same | |
TW201926805A (en) | Optical fiber connection box for multi-dwelling unit | |
CN102089694A (en) | Optical component organiser | |
KR20170095431A (en) | Optical fiber closure | |
KR200294692Y1 (en) | Optical termination panel | |
KR101451606B1 (en) | optical cable divergence method in Fiber Optic Splice Closure for Aerial Line | |
JP2008129166A (en) | Optical fiber wiring system and splitter box | |
JP2005331692A (en) | Overhead optical closure and method of wiring coated optical fiber ribbon | |
KR20060078009A (en) | Household optical box | |
US20100104247A1 (en) | Optical access network system | |
KR101080374B1 (en) | Divergencing set for optical fiber drop cab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