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0279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70279A KR20100070279A KR1020090055178A KR20090055178A KR20100070279A KR 20100070279 A KR20100070279 A KR 20100070279A KR 1020090055178 A KR1020090055178 A KR 1020090055178A KR 20090055178 A KR20090055178 A KR 20090055178A KR 20100070279 A KR20100070279 A KR 201000702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mtocell
- terminal
- csg
- operation mode
- mess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04W52/244—Interferences in heterogeneous networks, e.g. among macro and femto or pico cells or other sector / system interference [OSI]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49—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according to timing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measured or perceived resources with higher communication qu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transmission
- H04W52/28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the usage mode, e.g. hands-free, data transmission or telepho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은 특정 단말 그룹에 속하는 CSG(closed subscriber group) 단말 및 상기 특정 단말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non-CSG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모드에서 상기 CSG 단말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모드로의 변경이 트리거(trigger)되는 단계, 및 상기 non-CSG 단말에게 운영모드의 변경을 지시하여 핸드오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펨토셀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펨토셀에 인접한 단말에 대한 제약을 줄일 수 있다. 사용되고 있지 않는 펨토셀의 주파수 대역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높은 데이터율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펨토셀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의 발달과 멀티미디어 기술의 보급과 더불어 다양한 대용량 전송기술이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다. 무선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보다 많은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이 있지만,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다수의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셀의 크기를 작게 만드는 방법이 있다. 셀의 크기를 작게 만들면 하나의 기지국이 서비스해야 하는 사용자의 수가 줄어들므로, 기지국은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주파수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셀의 크기를 작게 만들면 다수의 사용자에게 보다 좋은 상태의 대용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되는 펨토셀(femto-cell)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펨토셀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 실내에서 사용되는 초소형 이동통신 기지국을 의미한다. 펨토셀은 피코셀(pico-cell)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는데, 펨토셀은 피코셀보다 더욱 진화된 기능을 가진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펨토셀은 가정이나 사무실에 보급되어 있는 IP 네트워크와 연결되며,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핵심망(core network)에 접속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펨토셀은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을 통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핵심망에 연결된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사용자는 실외에서 기존의 마크로셀(macro-cell)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고, 실내에서는 펨토셀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펨토셀은 기존의 마크로셀(macro-cell)의 서비스가 건물 내에서 악화되는 점을 보완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실내 커버리지(coverage)를 개선하고, 정해진 특정 사용자만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높은 품질의 음성 서비스 및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펨토셀은 마크로셀에서 제공되지 않는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펨토셀의 보급으로 유무선 융합(Fixed-Mobile Convergence; FMC)이 가속화되고 산업기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펨토셀은 개인이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설치되어 특정 사용자만이 접속할 수 있는 개인용 통신장비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되는 통신장비는 전원이 켜진 이후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전원이 켜진 상태를 유지된다. 펨토셀과 마크로셀과의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펨토셀은 마크로셀과 다른 주파수 대 역을 사용할 수 있다. 펨토셀에 접속할 수 없는 단말이 펨토셀의 셀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펨토셀의 주파수 대역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단말은 펨토셀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없고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펨토셀에 인접하는 단말에 대한 무선자원 사용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한정된 무선자원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못할 수 있다.
펨토셀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펨토셀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은 특정 단말 그룹에 속하는 CSG(closed subscriber group) 단말 및 상기 특정 단말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non-CSG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모드에서 상기 CSG 단말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모드로의 변경이 트리거(trigger)되는 단계, 및 상기 non-CSG 단말에게 운영모드의 변경을 지시하여 핸드오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은 특정 단말 그룹에 속하는 CSG(closed subscriber group) 단말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모드에서 상기 CSG 단말 및 상기 특정 단말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non-CSG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모드로의 변경이 트리거(trigger)되는 단계, 및 상기 CSG 단말 또는 상기 non-CSG 단말에게 운영모드의 변경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펨토셀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펨토셀에 인접한 단말에 대한 제약 을 줄일 수 있다. 사용되고 있지 않는 펨토셀의 주파수 대역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높은 데이터율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e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진화이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단말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cell)이 존재할 수 있다.
기지국은 셀 커버리지 또는 배치 방식에 따라 펨토 기지국(femto BS; 20) 및 마크로 기지국(macro BS; 60)으로 구분될 수 있다. 펨토 기지국(20)의 셀은 마크로 기지국(60)의 셀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다. 펨토 기지국(20)의 셀의 전부 또는 일부는 마크로 기지국(60)의 셀과 겹칠 수 있다. 이와 같이, 넓은 범위의 셀 내에 작은 범위의 셀이 중복되어 배치되는 구조를 계층적(hierarchy) 셀 구조라 한다.
펨토 기지국(20)은 펨토셀(femto-cell), 홈노드-B(home Node-B), HeNB(home eNode-B), CSG(closed subscriber group) 셀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마크로 기지국(60)은 펨토셀과 구분하여 마크로셀(macro-cell)로 불릴 수 있다.
펨토 기지국(20)은 Iuh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펨토 게이트웨이(femto gateway; 30)에 연결된다. Iuh 인터페이스는 IP 네트워크를 통한 펨토 기지국(20)과 펨토 게이트웨이(30) 간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펨토 게이트웨이(30)는 적어도 하나의 펨토 기지국(20)을 관리하는 개체(entity)이다. 펨토 게이트웨이(30)는 펨토 기지국(20)이 무선통신 시스템의 핵심망(core network; 90)에 접속할 수 있도 록 펨토 기지국(20)의 등록, 인증 및 보안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마크로 기지국(60)은 Iub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RNC(radio network control; 70)에 연결된다. RNC(70)는 적어도 하나의 마크로 기지국(60)을 관리하는 개체로서, 마크로 기지국(60)을 핵심망(90)에 접속시킨다. 마크로 기지국(60)은 핵심망(90)과 전용선으로 연결되는 반면, 펨토 기지국(20)은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핵심망(90)에 연결된다.
펨토 기지국(20)에 접속하는 단말을 펨토 단말(femto UE; 10)이라 하고, 마크로 기지국(60)에 접속하는 단말을 마크로 단말(macro UE; 50)이라 한다. 펨토 단말(10)은 마크로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통하여 마크로 단말(50)이 될 수 있고, 마크로 단말(50)은 펨토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통하여 펨토 단말(10)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분일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k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Carrier FDMA) 및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프레임 내의 슬롯은 0번부터 19번까지 슬롯 번호가 매겨진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라 한다. TTI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단위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무선 프레임의 길이는 10ms이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2개의 슬롯(slot)으로 구분될 수 있다.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과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서 무선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단위라 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과 주파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은 7 또는 6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블록은 단말에게 할당하는 무선자원의 기본단위이다. 자원블록은 다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된 12개의 부반송파와 시간 영역에서 2개의 슬롯으로 이루어진 영역이 될 수 있다. 10개의 서브프레임이 하나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을 구성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대역을 3부분으로 나누어, 양측의 2부분을 제어영역으로 하고, 중간 부분을 데이터영역으로 할 수 있다. 제어영역과 데이터영역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므로,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되어 있다.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서브프레임 상에서 제어영역과 데이터영역의 배치는 제한이 아니다. 또한,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각 단말에 할당되는 슬롯은 서브프레임 상에서 주파수 도약(frequency hopping)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단말에 할당되는 2개의 슬롯 중 하나는 일측의 주파수 밴드에서 할당되고, 나머지는 다른 측의 주파수 밴드에서 서로 엇갈리게 할당될 수 있다. 하나의 단말에 대한 제어영역을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에 할당되는 슬롯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 간에는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으로 다중화될 수 있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계층적 셀 구조에서 마크로 셀 및 펨토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레임 구조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슈퍼프레임(Superframe)은 슈퍼프레임 헤더(Superframe Header)와 4개의 프레임(frame, F0, F1, F2, F3)을 포함한다. 각 슈퍼프레임의 크기는 20ms이고, 각 프레임의 크기는 5ms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슈퍼프레임 헤더는 슈퍼프레임에서 가장 앞서 배치될 수 있으며, 슈퍼프레임 헤더에는 공용 제어 채널(Common Control Channel)이 할당된다. 공용 제어채널은 슈퍼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에 대한 정보 또는 시스템 정보와 같이 셀 내의 모든 단말들이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 용되는 채널이다. 슈퍼프레임 헤더 내 또는 슈퍼프레임 헤더에 인접하여 동기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전송하기 위한 동기채널이 배치될 수 있다. 동기신호는 셀 ID(identifier)와 같은 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프레임은 다수의 서브프레임(Subframe, SF0, SF1, SF2, SF3, SF4, SF5, SF6, SF7)을 포함한다. 각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은 6 또는 7개의 OFDMA 심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프레임에는 TDD(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 또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TDD 방식에서, 각 서브프레임은 동일한 주파수에서 서로 다른 시간에 상향링크 전송 또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즉, TDD 방식의 프레임내의 서브프레임들은 시간영역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구분된다. FDD 방식에서, 각 서브프레임은 동일한 시간의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상향링크 전송 또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즉, FDD 방식의 프레임내의 서브프레임들은 주파수 영역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구분된다.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고,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서브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구획(Frequency Partition)을 포함한다. 주파수 구획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자원유닛(Physical Resource Unit, PRU)으로 구성된다. 주파수 구획은 연속적(Contiguous/Localized) PRU 및/또는 분산적(Distributed/non-contiguous) PRU를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구획은 부분적 주파수 재사용(Fractional Frequency Reuse, FFR) 또는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서비스(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MBS)와 같은 다른 목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PRU는 복수개의 물리적으로 연속적인 OFDMA 심볼과 복수개의 물리적으로 연속적인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자원할당을 위한 기본적인 물리적 유닛으로 정의된다. PRU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OFDMA 심볼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프프레임이 6 OFDMA 심볼로 구성될 때, PRU는 18 부반송파 및 6 OFDMA 심볼로 정의될 수 있다. 논리적 자원유닛(Logical Resource Unit, LRU)은 분산적(distributed) 자원할당 및 국부적(localized) 자원할당을 위한 기본적인 논리 단위이다. LRU는 복수개의 OFDMA 심볼과 복수개의 부반송파로 정의되고, PRU에서 사용되는 파일럿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LRU에서의 적절한 부반송파의 개수는 할당된 파일럿의 수에 의존한다.
분산 자원유닛(Distributed Resource Unit, DRU)은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DRU는 하나의 주파수 구획 내에 분산된 부반송파 그룹을 포함한다. DRU의 물리적 크기는 PRU의 물리적 크기와 같다. DRU에서 분산된 각 부반송파 그룹을 형성하는 최소의 물리적으로 연속된 부반송파 단위는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가 될 수 있다.
연속 자원유닛(Contiguous Resource Unit or Localized Resource Unit, CRU)은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 이득을 얻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CRU는 국부적 부반송파 그룹을 포함한다. CRU의 물리적 크기는 PRU의 물리적 크기와 같다. CRU 및 DRU는 주파수 영역에서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지원될 수 있다.
도 4는 물리적 자원유닛의 맵핑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시스템의 대역폭에서 사용되는 전체 부반송파는 PRU들을 구성한다. 하나의 PRU는 주파수 영역에서 18 부반송파를 포함하고 시간 영역에서 6 OFDMA 심볼 또는 7 OFDMA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PRU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서브프레임의 유형에 의존한다. 서브프레임의 유형에는 6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유형-1 및 7 OFDMA 심볼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유형-2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5 OFDMA 심볼, 9 OFDMA 심볼 등 다양한 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유형이 정의될 수 있다.
PRU들은 미리 정해진 PRU 파티셔닝(PRU partitioning) 방법에 따라서 서브밴드(subband) 및 미니밴드(miniband)로 나누어진다(S110). 서브밴드는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하는 PRU의 단위 또는 CRU를 형성하는 최소단위를 의미한다. 서브밴드의 주파수 영역의 크기는 4 PRU가 될 수 있다. 미니밴드는 분산되는 PRU의 단위 또는 DRU를 형성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미니밴드의 주파수 영역의 크기는 1 PRU 또는 PRU의 정수배가 될 수 있다. 전체 PRU에서 서브밴드의 크기인 4 PRU 단위로 선택되어 서브밴드 및 미니밴드로 할당될 수 있다. 서브밴드에 속하는 PRU를 PRUSB라 하고 미니밴드에 속하는 PRU를 PRUMB라 한다. 전체 PRU의 수는 PRUSB의 수와 PRUMB의 수의 합과 같다. 서브밴드의 PRUSB 및 미니밴드의 PRUMB는 재배열된다(reordered). 서브밴드의 PRUSB는 0에서 (PRUSB의 수-1)까지 넘버링되고, 미니밴드의 PRUMB는 0에서 (PRUMB의 수-1)까지 넘버링된다.
미니밴드의 PRUMB는 각 주파수 구획에서 주파수 다이버시티(frequency diversity)를 보장할 수 있도록 주파수 영역에서 뒤섞기 위해서 미니밴드 퍼뮤테이션(miniband permutation)된다(S120). 즉, 넘버링된 PRUMB는 미리 정해진 퍼뮤테이션(또는 맵핑 규칙)에 따라 섞여서 PPRUMS (permuted-PRUMS)이 된다.
이후, PRUSB 및 PRUMB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구획으로 할당된다. 주파수 구획별로 CRU/DRU의 할당, 섹터 특정 퍼뮤테이션, 부반송파 퍼뮤테이션 등의 셀 특정 자원맵핑 과정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PRU들의 분할 과정에서 4 PRU 단위로 선택되어 서브밴드 및 미니밴드로 할당되므로, 주파수 영역에서 물리적으로 연속되는 CRU들의 기본 크기는 4 CRU가 된다. 즉, 주파수 영역에서 물리적으로 연속적인 주파수 밴드는 4 PRU 단위로만 보장될 수 있다. 4 PRU보다 작은 크기의 무선자원을 이용하는 사용자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에 대해서는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하는 4 PRU의 일부 PRU가 할당될 수 있다. 그러나 4 PRU보다 큰 크기의 무선자원을 이용하는 사용자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에 대해서는 주파수 영역에서 4 PRU 이상의 연속하는 PRU들이 할당될 수 없다. 즉, 4 PRU 이상의 연속하는 PRU들을 필요로 하는 채널이 지원되지 않는다. 다양한 크기의 데이터(이하, 데이터는 사용자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포함)에 대한 무선자원 할당에 제한이 있다. 또한, 4 PRU 이하의 연속하는 PRU가 필요한 무선자원 을 이용하는 사용자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에 대해서도, 그에 대한 주파수 영역에서의 할당이 서브밴드가 할당된 영역으로만 제약되어야 하는 제한이 있다.
<펨토셀의 운영모드>
이제, 펨토셀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펨토셀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펨토셀의 운영모드는 (1) 퍼블릭 모드(public mode) (2) 프라이빗 모드(private mode) (3)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flexible private mode)로 구분된다.
(1) 퍼블릭 모드는 펨토셀이 일반적인 기지국처럼 운영되는 모드이다. 즉, 퍼블릭 모드의 펨토셀은 마크로셀과 같이 모든 단말에게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퍼블릭 모드의 펨토셀은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에게 개방되어(opened)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퍼블릭 모드의 펨토셀을 퍼블릭 펨토셀이라 한다.
(2) 프라이빗 모드는 펨토셀이 특정 단말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드이다. 프라이빗 모드의 펨토셀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 또는 단말 그룹을 CSG(closed subscriber group)이라 한다. 프라이빗 모드의 펨토셀은 자신에게 연관된 CSG의 단말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라이빗 모드의 펨토셀은 단말의 접속에 대하여 폐쇄되어(closed) 접속을 허용한다. 프라이빗 모드의 펨토셀을 프라이빗 펨토셀이라 한다.
(3)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는 자신에게 연관된 CSG의 단말 및 CSG에 포함되지 않는 non-CSG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드이다.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는 퍼블릭 모드 및 프라이빗 모드를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모드라 할 수 있다.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의 펨토셀은 CSG 단말 및 non-CSG 단말에 대하여 차별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의 펨토셀은 CSG 단말에 대하여 접속 우선권을 부여하여 non-CSG 단말보다 우선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의 펨토셀을 플랙서블 프라이빗 펨토셀이라 한다.
펨토셀의 운영모드는 소유자 또는 운영자의 정책 또는 펨토셀의 서비스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라이빗 모드의 펨토셀은 소유자 또는 운영자의 조정 또는 펨토셀의 서비스 상황에 따라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의 펨토셀은 소유자 또는 운영자의 조정 또는 펨토셀의 서비스 상황에 따라 프라이빗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프라이빗 모드에서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로의 전환>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셀의 운영모드 전환 방법을 나타낸다. 프라이빗 모드의 펨토셀이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로 전환하는 절차 및 펨토셀의 운영모드 전환에 따른 non-CSG 단말의 접속 절차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펨토셀의 운영모드 변경은 운영모드 변경 트리거(trigger)의 발생 여부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S210). 프라이빗 모드에서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로의 운영모드 변경 트리거는 CSG 단말 또는 non-CSG 단말의 요청 또는 펨토셀의 서비스 상황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프라이빗 펨토셀은 non-CSG 단말의 접속요청에 따라 운영모드의 변경을 고려할 수 있다. 또는 프라이빗 펨토셀은 자신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능력에 대비하여 현재 제공하고 있는 데이터율(data rate)이 낮은 경우에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로의 전환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라이빗 펨토셀 내에 위치하는 모든 CSG 단말들이 아이들 모드(idle ode) 또는 슬립 모드(sleep mode)인 경우 또는 프라이빗 펨토셀 내에 CSG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로의 전환이 고려될 수 있다. 또는 프라이빗 펨토셀 내에 위치하는 CSG 단말에게 제공하는 데이터율이 특정 임계치 이하인 경우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로의 전환이 고려될 수 있다. 프라이빗 펨토셀이 가진 대역폭 중에서 CSG 단말에게 할당된 대역폭을 제외한 나머지 대역폭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로의 전환이 고려될 수 있다.
운영모드의 변경을 결정한 펨토셀은 펨토 게이트웨이(femto GW) 또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핵심망(core network, CN)에게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를 전송한다(S220).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에는 펨토셀의 셀 ID(identifier), CSG ID, CSG 리스트, 펨토셀의 운영모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운영모드 변경은 펨토셀의 설정을 새로이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운영모드 변경 정보는 펨토셀의 설정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펨토 게이트웨이 또는 핵심망은 펨토셀에게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230).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에 대한 확인 메시지는 시스템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펨토셀은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로 전환한다(S240). 플랙서블 프라이빗 펨토셀에는 CSG 단말뿐만 아니라 non-CSG 단말이 접속할 수 있다. 플랙서블 프라이빗 펨토셀은 CSG 단말에게 접속 우선권을 부여하여 non-CSG 단말보다 우선적으로 접속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로 전환한 펨토셀은 운영모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S250). 운영모드 알림 메시지는 펨토셀의 운영모드를 지시하는 1 비트 또는 1 비트 이상의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시자의 비트값이 0이면 프라이빗 모드를 지시하고 1이면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를 지시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지시자의 비트값이 0이면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를 지시하고 1이면 프라이빗 모드를 지시할 수도 있다. 운영모드 알림 메시지는 레인징 메시지(ranging message) 또는 페이징 메시지(paging message) 또는 동기신호(synchronization signal) 또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등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펨토셀의 운영모드를 지시하는 지시자가 레인징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동기신호, 시스템 정보 등에 추가되어 펨토셀의 운영모드의 알림 또는 변경을 지시할 수 있다. 또는 레인징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동기신호, 시스템 정보 등의 위상 시프트를 통하여 추가적인 비트 없이 펨토셀의 운영모드의 변경을 알릴 수 있다. 또는 레인징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동기신호, 시스템 정보 등에 부가되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에 펨토셀의 운영모드를 지시하는 지시자가 마스킹(masking)되어 전송될 수 있다. 운영모드 알림 메시지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 또는 MAC(media access control) 메시지 또는 L1/L2 메시지와 같은 상위계층 메시지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운영모드 알림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될 수 있다.
한편, 프라이빗 펨토셀은 CSG ID를 전송하고 플랙서블 프라이빗 펨토셀은 CSG ID를 전송하지 않으므로써 펨토셀의 운영모드를 단말에게 알릴 수도 있다. 또는 펨토셀이 프라이빗 모드인 경우와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인 경우에 서로 다른 셀 ID를 사용함으로써 펨토셀의 운영모드를 알릴 수도 있다. 즉, 셀 ID가 프라이빗 모드를 위한 셀 ID 및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를 위한 셀 ID로 구분되어 사용될 수 있다.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로의 전환을 알리는 운영모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non-CSG 단말은 접속을 위하여 플랙서블 프라이빗 펨토셀로 대역폭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260). non-CSG 단말은 프라이빗 모드의 펨토셀에 접속할 수 없는 단말로서 아이들 모드(idle mode)이거나 마크로셀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대역폭 요청은 대역폭 할당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또는 대역폭 요청 지시자일 수 있다. 대역폭 할당에 필요한 정보에는 단말 ID, Flow ID 스케줄링 유형 등이 있다. 대역폭 요청 메시지는 MAC 메시지일 수 있다. 한편, non-CSG 단말 및 CSG 단말은 CSG 리스트 또는 접속 가능성 셀을 나타내는 화이트 리스트(whist list)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non-CSG 단말 및 CSG 단말은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로의 전환을 알리는 운영모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신이 가지고 있는 CSG 리스트 또는 화이트 리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플랙서블 프라이빗 펨토셀은 대역폭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향링크 승인(UL grant) 메시지를 전송한다(S270).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는 대역폭 요청 메시지에 대한 확인,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 정보(위치, 크기 등), 단말 ID 등이 포 함될 수 있다. 플랙서블 프라이빗 펨토셀은 non-CSG 단말에 대하여 인증절차를 거쳐서 사용권한을 부여하고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플랙서블 프라이빗 펨토셀은 접속을 요청하는 non-CSG 단말 정보를 펨토 게이트웨이 또는 핵심망으로 전송할 수 있다(S280). 펨토 게이트웨이 또는 핵심망은 non-CSG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non-CSG 단말의 위치정보 갱신, 페이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를 수신한 non-CSG 단말은 할당받은 상향링크 무선자원을 통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290).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에서 프라이빗 모드로의 전환>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펨토셀의 운영모드 전환 방법을 나타낸다.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의 펨토셀이 프라이빗 모드로 전환하는 절차 및 펨토셀의 운영모드 전환에 따른 non-CSG 단말의 접속 절차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펨토셀의 운영모드 변경은 운영모드 변경 트리거(trigger)의 발생 여부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S310).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에서 프라이빗 모드로의 운영모드 변경 트리거는 CSG 단말의 요청 또는 펨토셀의 서비스 상황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플랙서블 프라이빗 펨토셀은 CSG 단말의 접속요청에 따라 운영모드의 변경을 고려할 수 있다. 플랙서블 프라이빗 펨토셀은 CSG 단말에게 접속 우선권을 부여하므로, CSG 단말이 접속을 요청하면 프라이빗 모드로의 운영모드의 변경을 고려할 수 있다. 또는 플랙서블 프라이빗 펨토셀이 CSG 단말 및 non-CSG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태에서 CSG 단말에 대한 데이터율이 높아져서 non-CSG 단말에 대한 서비스가 CSG 단말에 대한 서비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에 프라이빗 모드로의 전환이 고려될 수 있다. 플랙서블 프라이빗 펨토셀 내에 위치하는 CSG 단말에게 제공하는 데이터율이 특정 임계치 이상인 경우 프라이빗 모드로의 전환이 고려될 수 있다. 또는 플랙서블 프라이빗 펨토셀이 가진 대역폭 중에서 CSG 단말에게 할당되는 대역폭을 제외한 나머지 대역폭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 프라이빗 모드로의 전환이 고려될 수 있다.
운영모드의 변경을 결정한 펨토셀은 펨토 게이트웨이(femto GW) 또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핵심망(core network, CN)에게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를 전송한다(S320).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에는 펨토셀의 셀 ID(identifier), CSG ID, CSG 리스트, 펨토셀의 운영모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운영모드 변경은 펨토셀의 설정을 새로이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운영모드 변경 정보는 펨토셀의 설정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펨토 게이트웨이 또는 핵심망은 펨토셀에게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330).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에 대한 확인 메시지는 시스템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플랙서블 프라이빗 펨토셀은 단말에게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를 전송한다(S340). 단말에게 전송되는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는 플랙서블 프라이빗 펨토셀이 일정 시간 이후에 프라이빗 모드로 전환함을 알리는 메시지이다.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는 모든 단말에게 브로드캐스트되거나 접속하고 있는 non-CSG 단말들에게 멀티 캐스트(multicast) 또는 유니캐스트(unicast)될 수 있다.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는 운영모드의 변경 전까지 일정 주기로 여러 번 전송될 수 있다.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에는 프라이빗 모드로 전환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는 펨토셀의 운영모드의 변경을 지시하는 1 비트 또는 1 비트 이상의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시자의 비트값이 0이면 운영모드의 변경이 없음을 지시하고 1이면 운영모드의 변경이 수행됨을 지시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지시자의 비트값이 0이면 운영모드의 변경이 수행되고 1이면 운영모드의 변경이 없음을 지시할 수 있다.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는 레인징 메시지(ranging message) 또는 페이징 메시지(paging message) 또는 동기신호(synchronization signal) 또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등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펨토셀의 운영모드의 변경을 지시하는 지시자가 레인징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동기신호, 시스템 정보 등에 추가되어 펨토셀의 운영모드의 변경 또는 알림을 지시할 수 있다. 또는 레인징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동기신호, 시스템 정보 등의 위상 시프트를 통하여 추가적인 비트 없이 펨토셀의 운영모드의 변경을 알릴 수 있다. 또는 레인징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동기신호, 시스템 정보 등에 부가되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에 펨토셀의 운영모드를 지시하는 지시자가 마스킹(masking)되어 운영모드의 변경을 지시할 수 있다.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 또는 MAC(media access control) 메시지 또는 L1/L2 메시지와 같은 상위계층 메시지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프라이빗 모드로의 전환을 알리는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를 수신한 non-CSG 단말은 마크로셀 또는 인접한 다른 펨토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S350). 즉, 프라이빗 모드로의 전환을 알리는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는 접속 중인 non-CSG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메시지가 될 수 있다. non-CSG 단말은 프라이빗 모드로의 전환을 알리는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신이 가지고 있는 CSG 리스트 또는 화이트 리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플랙서블 프라이빗 펨토셀은 단말로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를 전송한 후, 운영모드를 프라이빗 모드로 변경한다(S360). 프라이빗 모드로의 변경은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를 전송한 후 정해진 시간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non-overlapped 펨토셀의 운영모드 변경>
도 7은 마크로셀 및 펨토셀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일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펨토셀은 마크로셀(160)의 셀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를 오버랩 펨토셀(overlapped femto-cell, 120)이라 한다. 펨토셀은 마크로셀(160)의 셀 영역 밖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를 논-오버랩 펨토셀(non-overlapped femto-cell)이라 한다. 논-오버랩 펨토셀은 시스템이 다른 어떠한 기지국의 셀 영역에 속하지 않는 독립적인 펨토셀일 수도 있고, 다른 시스템의 기지국의 셀 영역에 속하는 준(semi) 독립적 펨토셀일 수도 있다.
오버랩 펨토셀(120) 및 논-오버랩 펨토셀(13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운영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오버랩 펨토셀(120)의 경우,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에서 프라이빗 모드로 전환할 때 접속하고 있는 non-CSG 단말을 핸드오버 시키더라도 non-CSG 단말은 마크로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논-오버랩 펨토셀(130)의 경우,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에서 프라이빗 모드로 전환할 때 접속하고 있는 non-CSG 단말을 핸드오버시키게 되면 non-CSG 단말은 마크로셀 또는 다른 펨토셀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없어 non-CSG 단말은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할 수 있다. 논-오버랩 펨토셀(130)에서 운영모드 전환시에 non-CSG 단말에 대한 통신 서비스가 고려되어야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펨토셀의 운영모드 전환 방법을 나타낸다. 논-오버랩 펨토셀에 있어서,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에서 프라이빗 모드로의 전환 절차 및 운영모드 전환에 따른 non-CSG 단말의 접속 절차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여기서는 펨토셀이 논-오버랩 펨토셀임을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제한이 아니며 오버랩 펨토셀에 있어서도 이하의 운영모드 전환 방법 및 non-CSG 단말의 접속 절차가 적용될 수 있다.
펨토셀의 운영모드 변경은 운영모드 변경 트리거(trigger)의 발생 여부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S410).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에서 프라이빗 모드로의 운영모드 변경 트리거는 CSG 단말의 요청 또는 펨토셀의 서비스 상황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플랙서블 프라이빗 펨토셀은 CSG 단말의 접속요청에 따라 운영모드의 변경을 고려할 수 있다. 플랙서블 프라이빗 펨토셀은 CSG 단말에게 접속 우선권을 부여하므로, CSG 단말이 접속을 요청하면 프라이빗 모드로의 운영모드의 변경을 고려할 수 있다. 또는 플랙서블 프라이빗 펨토셀이 CSG 단말 및 non-CSG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태에서 CSG 단말에 대한 데이터율이 높아져서 non-CSG 단말에 대한 서비스가 CSG 단말에 대한 서비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에 프라이빗 모드로의 전환이 고려될 수 있다. 플랙서블 프라이빗 펨토셀 내에 위치하는 CSG 단말에게 제공하는 데이터율이 특정 임계치 이상인 경우 프라이빗 모드로의 전환이 고려될 수 있다. 또는 플랙서블 프라이빗 펨토셀이 가진 대역폭 중에서 CSG 단말에게 할당되는 대역폭을 제외한 나머지 대역폭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 프라이빗 모드로의 전환이 고려될 수 있다.
운영모드의 변경을 결정한 펨토셀은 펨토 게이트웨이(femto GW) 또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핵심망(core network, CN)에게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를 전송한다(S420).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에는 펨토셀의 셀 ID(identifier), CSG ID, CSG 리스트, 펨토셀의 운영모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운영모드 변경은 펨토셀의 설정을 새로이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운영모드 변경 정보는 펨토셀의 설정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펨토 게이트웨이 또는 핵심망은 펨토셀에게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430). 펨토 게이트웨이는 펨토셀의 배치관계를 고려하여 펨토셀이 논-오버랩 펨토셀임을 알릴 수 있다. 논-오버랩 펨토셀 정보는 확인 메시지에 포함되어 펨토 게이트웨이 또는 핵심망으로부터 펨토셀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펨토셀은 자신이 논-오버랩 펨토셀임을 미리 알고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논-오버랩 펨토셀 정보는 펨토 게이트웨이 또는 핵심망으로부터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운영모드 변경 메시지에 대한 확인 메시지는 시스템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펨토셀은 서비스 조정 메시지를 non-CSG 단말에게 전송한다(S440). 서비스 조정 메시지는 non-CSG 단말에 대한 데이터율을 줄일 것임을 알리는 메시지일 수 있다. 서비스 조정 메시지는 모든 단말에게 브로드캐스트되거나 접속하고 있는 non-CSG 단말들에게 멀티캐스트(multicast) 또는 유니캐스트(unicast)될 수 있다. 서비스 조정 메시지는 non-CSG 단말에 대한 데이터율의 조정 이전까지 일정 주기로 여러 번 전송될 수 있다. 서비스 조정 메시지에는 데이터율이 조정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조정 메시지는 데이터율의 조정을 지시하는 1 비트 또는 1 비트 이상의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시자의 비트값이 0이면 데이터율의 조정이 없음을 지시하고 1이면 데이터율의 조정이 수행됨을 지시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지시자의 비트값이 0이면 데이터율의 조정이 수행되고 1이면 데이터율의 조정이 없음을 지시할 수 있다. 서비스 조정 메시지는 레인징 메시지(ranging message) 또는 페이징 메시지(paging message) 또는 동기신호(synchronization signal) 또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등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펨토셀의 데이터율의 조정을 지시하는 지시자가 레인징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동기신호, 시스템 정보 등에 추가되어 펨토셀의 데이터율의 조정을 지시할 수 있다. 또는 레인징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동기신호, 시스템 정보 등의 위상 시프트를 통하여 추가적인 비트 없이 펨토셀의 데이터율의 조정을 알릴 수 있다. 또는 레인징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동기신호, 시스템 정보 등에 부가되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에 펨토셀의 데이터율을 지시하는 지시자가 마스킹(masking)되어 데이터율의 조정을 지시할 수 있다. 서비스 조정 메시지 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 또는 MAC(media access control) 메시지 또는 L1/L2 메시지와 같은 상위계층 메시지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서비스 조정 메시지를 수신한 non-CSG 단말은 펨토셀로 승인 메시지를 전송한다(S450). non-CSG 단말은 먼저 마크로셀 또는 인접한 다른 펨토셀로 핸드오버 여부를 검증한다. non-CSG 단말은 현재의 펨토셀로부터 낮은 데이터율의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경우 펨토셀로 승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마크로셀 또는 인접한 다른 펨토셀로 핸드오버를 결정한 non-CSG 단말은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펨토셀은 non-CSG 단말에 대한 데이터율을 줄여서 서비스를 제공한다(S460). non-CSG 단말로부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펨토셀은 프라이빗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플랙서블 프라이빗 모드를 유지하고, 단지 non-CSG 단말에 대한 데이터율만을 낮출 수 있다. 만일, 펨토셀로부터 승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펨토셀은 프라이빗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9는 단말의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200)은 프로세서(processor, 210), 메모리(memory, 220), RF부(RF unit, 230),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 2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 unit, 25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을 구현하여, 제어 평면과 사용자 평면을 제공한다. 각 계층들의 기능은 프로세서(21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상술한 펨토셀의 운 영모드에 따른 접속절차를 처리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10)와 연결되어, 단말 구동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및 일반적인 파일을 저장한다. 메모리(220)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에는 마크로셀 또는 펨토셀과의 접속을 위한 셀 ID, CSG ID, CSG 리스트, 화이트 리스트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단말의 여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잘 알려진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는 키패드나 터치스크린 등 잘 알려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F부(230)는 프로세서(2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radio signal)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도 10은 펨토셀의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펨토셀(300)은 프로세서(processor, 310), 메모리(memory, 320), RF부(RF unit, 330), IP 인터페이스부(internet protocol(IP) interface unit, 3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 unit, 35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10)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을 구현하여, 제어 평면과 사용자 평면을 제공한다. 각 계층들의 기능은 프로세서(31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상술한 펨토셀의 운영모드를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CSG 단말 및 non-CSG 단말을 구분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프로세서(310)와 연결되어, 펨토셀 구동 시스템, 애플리케이 션 및 일반적인 파일을 저장한다. 메모리(320)에는 CSG 단말 및 non-CSG 단말을 구분하기 위한 CSG ID, CSG 리스트, 화이트 리스트 등이 저장될 수 있다.
IP 인터페이스부(340)는 IP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지원하며, 무선랜(wireless LAN), 지그비(ZigBee),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홈피앤에이(home phone networking alliance, HomePNA), RS-485 등 잘 알려진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0)는 키패드나 터치스크린 등 잘 알려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테페이스부(350)를 이용하여 펨토셀의 운영모드를 조정/변경할 수 있다. RF부(230)는 프로세서(3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radio signal)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상술한 모든 기능은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코딩된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 코드 등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코드의 설계, 개발 및 구현은 본 발명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 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3은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물리적 자원유닛의 맵핑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셀의 운영모드 전환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펨토셀의 운영모드 전환 방법을 나타낸다.
도 7은 마크로셀 및 펨토셀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일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펨토셀의 운영모드 전환 방법을 나타낸다.
도 9는 단말의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펨토셀의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Claims (5)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에 있어서,특정 단말 그룹에 속하는 CSG(closed subscriber group) 단말 및 상기 특정 단말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non-CSG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모드에서 상기 CSG 단말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모드로의 변경이 트리거(trigger)되는 단계; 및상기 non-CSG 단말에게 운영모드의 변경을 지시하여 핸드오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SG 단말은 상기 non-CSG 단말보다 우선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우선권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모드의 변경을 펨토 게이트웨이 또는 핵심망으로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에 있어서,특정 단말 그룹에 속하는 CSG(closed subscriber group) 단말에게만 서비스 를 제공하는 운영모드에서 상기 CSG 단말 및 상기 특정 단말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non-CSG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모드로의 변경이 트리거(trigger)되는 단계; 및상기 CSG 단말 또는 상기 non-CSG 단말에게 운영모드의 변경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non-CSG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non-CSG 단말의 정보를 펨토 게이트웨이 또는 핵심망으로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5178A KR20100070279A (ko) | 2008-12-17 | 2009-06-19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 |
US13/133,430 US8630650B2 (en) | 2008-12-17 | 2009-12-17 | Method for operating femto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CN200980150597.5A CN102246561B (zh) | 2008-12-17 | 2009-12-17 | 操作无线通信系统中的毫微微小区的方法 |
EP17191484.9A EP3277026B1 (en) | 2008-12-17 | 2009-12-17 | Method for operating femto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PCT/KR2009/007575 WO2010071374A2 (ko) | 2008-12-17 | 2009-12-17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 |
ES17191484T ES2834022T3 (es) | 2008-12-17 | 2009-12-17 | Método para operar una femtocélula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
KR1020117013109A KR101285849B1 (ko) | 2008-12-17 | 2009-12-17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 |
JP2011542012A JP5564059B2 (ja) | 2008-12-17 | 2009-12-17 |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フェムトセルの運営方法 |
EP09833652.2A EP2378810A4 (en) | 2008-12-17 | 2009-12-17 | METHOD OF OPERATING A FEMTO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14/134,256 US20140179324A1 (en) | 2008-12-17 | 2013-12-19 | Method for operating femto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15/890,809 US10244486B2 (en) | 2008-12-17 | 2018-02-07 | Method for operating femto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16/269,613 US20190174426A1 (en) | 2008-12-17 | 2019-02-07 | Method for operating femto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3823008P | 2008-12-17 | 2008-12-17 | |
US61/138,230 | 2008-12-17 | ||
KR1020090055178A KR20100070279A (ko) | 2008-12-17 | 2009-06-19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0279A true KR20100070279A (ko) | 2010-06-25 |
Family
ID=422692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5178A Pending KR20100070279A (ko) | 2008-12-17 | 2009-06-19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 |
KR1020117013109A Active KR101285849B1 (ko) | 2008-12-17 | 2009-12-17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13109A Active KR101285849B1 (ko) | 2008-12-17 | 2009-12-17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4) | US8630650B2 (ko) |
EP (2) | EP3277026B1 (ko) |
JP (1) | JP5564059B2 (ko) |
KR (2) | KR20100070279A (ko) |
CN (1) | CN102246561B (ko) |
ES (1) | ES2834022T3 (ko) |
WO (1) | WO2010071374A2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0724B1 (ko) * | 2010-06-29 | 2014-12-08 | 인텔 코오퍼레이션 | 펨토 백홀 고장 검출 및 복구 |
KR101503042B1 (ko) * | 2011-04-22 | 2015-03-16 | 주식회사 케이티 | 부하 분산 방법, 이를 수행하는 펨토 기지국 및 펨토 기지국 관리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02008002734D1 (de) * | 2008-06-18 | 2010-11-04 | Alcatel Lucent | Verfahren zur Picozellen-Leistungsregelung und entsprechende Basisstation |
US9215036B2 (en) * | 2008-12-16 | 2015-12-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s and apparatus to identify the accessibility of base stations in communication systems |
KR20100070279A (ko) * | 2008-12-17 | 2010-06-25 | 이용석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 |
KR101507175B1 (ko) * | 2009-01-07 | 2015-03-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예비하는 방법 |
KR101634183B1 (ko) * | 2009-02-16 | 2016-06-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자원 할당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
KR101472750B1 (ko) | 2009-04-01 | 2014-12-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계층적 셀 구조에서 간섭 완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 |
CN101932141B (zh) * | 2009-06-19 | 2016-09-21 | 株式会社Ntt都科摩 | 一种长期演进系统中家庭基站接入模式的配置方法及设备 |
JP2013502783A (ja) * | 2009-08-19 | 2013-01-24 | エヌイーシー ヨーロッパ リミテッド | 移動セルラ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移動端末のハンドオーバ決定を支援する方法 |
KR101769364B1 (ko) * | 2009-08-27 | 2017-08-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
KR101623182B1 (ko) * | 2009-08-28 | 2016-05-2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펨토셀 기지국에서 로우-듀티 모드 운용 방법 |
US8457615B2 (en) | 2009-09-17 | 2013-06-04 | Tango Networks, Inc. | Method and apparatus of supporting wireless femtocell communications |
JP4790057B2 (ja) * | 2009-12-04 | 2011-10-12 |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 移動通信方法及び交換局 |
KR101083573B1 (ko) * | 2009-12-15 | 2011-11-14 | 주식회사 팬택 | 매크로 기지국을 이용해서 소형 기지국을 비활성화하는 장치 및 방법 |
US8400985B2 (en) * | 2009-12-23 | 2013-03-19 | Intel Corporation | Femtocell discovery and association in cellular networks |
KR101676033B1 (ko) * | 2010-01-08 | 2016-11-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
KR20110083231A (ko) * | 2010-01-14 | 2011-07-20 | 주식회사 팬택 | 제어 신호의 송신 간격을 조절하여 기지국의 송신 전력 소모를 낮추는 방법 및 장치 |
US9204409B2 (en) * | 2010-02-22 | 2015-12-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synchronization and power conserv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8634826B1 (en) | 2010-03-26 | 2014-01-21 | Sprint Spectrum L.P. | Use of in-vehicle femtocell as basis to limit operation of in-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US20130109429A1 (en) * | 2010-04-29 | 2013-05-02 | Agnieszka Szufarska | Interference Management |
CN107257575A (zh) | 2010-04-30 | 2017-10-17 |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 家庭节点识别、干扰减少和能量节约 |
KR101643170B1 (ko) * | 2010-05-20 | 2016-07-2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anr 기능을 이용한 펨토 기지국의 소비 전력 감소 방법 및 장치 |
US9185619B2 (en) * | 2010-06-29 | 2015-11-10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femtocell deployments |
JP5853158B2 (ja) * | 2010-06-30 | 2016-02-09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端末装置 |
RU2559832C2 (ru) * | 2010-07-01 | 2015-08-10 | Графтек Интернэшнл Холдингз Инк. | Графитовый электрод |
EP2432284B1 (en) * | 2010-09-21 | 2019-03-20 | Provenance Asset Group LLC | A macrocell base statio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a femtocell base station, and a method of switching a femtocell base station between a dormant mode and an active mode |
US8886198B2 (en) * | 2010-09-28 | 2014-11-11 | Qualcomm Incorporated | Active hang-in for multi-FEMTO deployments |
US9031530B2 (en) * | 2010-11-08 | 2015-05-12 | Qualcomm Incorporated |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in powering on sleeping network entities |
CN103210691B (zh) * | 2010-11-15 | 2017-06-06 |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 用于安装家庭基站接入点的方法 |
WO2012074326A2 (ko) * | 2010-12-02 | 2012-06-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다중 노드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
US8571487B2 (en) | 2010-12-10 | 2013-10-29 | Apple Inc. | Network status |
KR20120069235A (ko) * | 2010-12-20 | 2012-06-2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운영 모드 동적 전환 방법 |
KR20120071231A (ko) * | 2010-12-22 | 2012-07-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펨토 기지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
US9420485B2 (en) * | 2011-01-04 | 2016-08-16 | Nokia Technologies Oy | Frame structure and signaling arrangement for interference aware scheduling |
KR20120095018A (ko) * | 2011-02-18 | 2012-08-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계층적 셀 구조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접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US10285074B1 (en) | 2011-03-07 | 2019-05-07 |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 Controlling network load |
US20130137423A1 (en) * | 2011-05-27 | 2013-05-30 | Qualcomm Incorporated | Allocating access to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via a multi-mode access point |
GB2493714A (en) * | 2011-08-12 | 2013-02-20 | Nec Corp | A base station, having a membership-based access mode and a non-membership-based access mode, manages a list of stored membership identifiers |
US8548475B2 (en) * | 2011-08-17 | 2013-10-01 | Apple Inc. | Method for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devices using data rate efficiency factor |
EP2756714B1 (en) | 2011-09-13 | 2019-11-06 | Koninklijke KPN N.V. | Session setup in an energy-efficient cellular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
US8934913B2 (en) | 2011-09-28 | 2015-01-13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Enhanced mobility to home base station cells |
US10142848B2 (en) | 2011-10-28 | 2018-11-27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power in femtocell networks |
US9516531B2 (en) | 2011-11-07 | 2016-12-06 | Qualcomm Incorporated | Assistance information for flexible bandwidth carrier mobility methods, systems, and devices |
US9001679B2 (en) | 2011-11-07 | 2015-04-07 | Qualcomm Incorporated | Supporting voice for flexible bandwidth systems |
US9848339B2 (en) | 2011-11-07 | 2017-12-19 | Qualcomm Incorporated | Voice service solutions for flexible bandwidth systems |
US20130114571A1 (en) | 2011-11-07 | 2013-05-09 | Qualcomm Incorporated | Coordinated forward link blanking and power boosting for flexible bandwidth systems |
WO2013068364A1 (en) * | 2011-11-08 | 2013-05-16 | Koninklijke Kpn N.V. | Distribution of system information in a wireless acc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
CN103139833B (zh) * | 2011-11-23 | 2015-12-02 | 中磊电子(苏州)有限公司 | 毫微微基站的拥塞控制方法 |
JP2013118480A (ja) * | 2011-12-02 | 2013-06-13 | Panasonic Corp | 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端末および接続制御方法 |
US9210583B2 (en) * | 2011-12-06 | 2015-12-08 | At&T Mobility Ii Llc | Centralized femtocell optimization |
US20130148627A1 (en) | 2011-12-09 | 2013-06-13 | Qualcomm Incorporated | Providing for mobility for flexible bandwidth carrier systems |
US9924443B2 (en) * | 2012-02-24 | 2018-03-20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femtocell access modes and operational parameters based on the presence of nearby macrocells |
EP2632204A1 (en) * | 2012-02-27 | 2013-08-28 | Alcatel-Lucent | A femtocell base station, a user terminal, a method of sending femtocell base station status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and a method of receiving the same information |
EP2824955B1 (en) | 2012-03-05 | 2019-01-02 | Sony Corporation |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s, and base station for interference control |
CN103369676B (zh) * | 2012-04-10 | 2017-04-12 | 华为技术有限公司 | 微小区和宏小区之间消息处理方法、基站网关和系统 |
KR101448279B1 (ko) | 2012-05-14 | 2014-10-07 | 주식회사 케이티 | 펨토 기지국의 호 접속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 |
US9084203B2 (en) * | 2012-05-21 | 2015-07-14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nsmit power control for devices engaged in D2D communications |
CN103609171B (zh) * | 2012-06-08 | 2018-04-10 | 华为技术有限公司 | 基站、用户设备及通信方法 |
KR101555334B1 (ko) | 2012-06-22 | 2015-09-23 | 주식회사 케이티 | 펨토 기지국의 부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EP2880913B1 (en) * | 2012-08-03 | 2019-08-07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 and arrangement for mobility procedures |
TWI477185B (zh) * | 2012-10-22 | 2015-03-11 | Hon Hai Prec Ind Co Ltd | 家用基站之間的切換控制系統及切換控制方法 |
JPWO2014069058A1 (ja) * | 2012-10-30 | 2016-09-08 | ソニー株式会社 | 通信制御装置、プログラム、通信制御方法及び端末装置 |
FR3000359A1 (fr) * | 2012-12-21 | 2014-06-27 | France Telecom | Procede de reveil d'une station de base desservant une petite cellule lors d'un appel entrant |
US10231168B2 (en) | 2014-02-11 | 2019-03-12 | Alcatel Lucent | Method and apparatus for idle user equipment redistribution in a HetNet for load balance |
WO2014126356A1 (ko) * | 2013-02-13 | 2014-08-21 | 주식회사 케이티 | 스몰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방법 및 그 장치 |
KR20140102112A (ko) | 2013-02-13 | 2014-08-21 | 주식회사 케이티 | 스몰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
US9445319B2 (en) * | 2013-02-14 | 2016-09-13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resolving a handover failure when a dynamic cell off is occurred in wireless access system |
US9264951B2 (en) * | 2013-02-15 | 2016-02-16 | Qualcomm Incorporated | Activation procedure for dormant cells |
KR101746546B1 (ko) * | 2013-04-16 | 2017-06-2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펨토 기지국의 동적 엑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
US9301233B2 (en) * | 2013-05-10 | 2016-03-29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ed cell detection |
CN104168636A (zh) * | 2013-05-17 | 2014-11-26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小小区功率控制方法和装置 |
US8917668B1 (en) * | 2013-06-06 | 2014-12-23 | Blackberry Limited |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saving in a wireless system |
KR102108260B1 (ko) * | 2013-07-04 | 2020-05-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셀 선택 방법 및 장치 |
WO2015004238A2 (en) | 2013-07-11 | 2015-01-15 | Koninklijke Kpn N.V. | Improved session setup in an energy-efficient cellular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
KR20160040472A (ko) | 2013-08-07 | 2016-04-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ulti-RAT 환경에서 단말의 요청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의 상태를 전환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CN105052178B (zh) | 2013-12-31 | 2019-10-18 | 华为技术有限公司 | 系统信息的处理方法、装置及通信系统 |
KR101539918B1 (ko) * | 2014-01-17 | 2015-07-28 |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 슬립 모드 운용을 위한 펨토셀 ap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 |
US10721720B2 (en) * | 2014-01-30 | 2020-07-21 | Qualcomm Incorporated | Cell On-Off procedure for dual connectivity |
KR20150095247A (ko) * | 2014-02-13 | 2015-08-2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단말 접속 제어 장치 및 단말 접속 제어 방법 |
EP2916596B1 (en) * | 2014-03-05 | 2017-08-09 | Fujitsu Limited |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small cell base station |
US10499421B2 (en) | 2014-03-21 | 2019-12-03 | Qualcomm Incorporated | Techniques for configuring preamble and overhead signals for transmissions in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
KR101484445B1 (ko) | 2014-04-29 | 2015-01-26 | 주식회사 디엠파워 | 실시간 데이터 신뢰성 유지를 위한 전력선통신 시스템 |
US9942892B2 (en) * | 2014-09-30 | 2018-04-10 | The Boeing Company | Self-optimizing mobile satellite systems |
EP3280163B1 (en) * | 2015-03-30 | 2020-07-08 | Nec Corporation | Broadcast delivery system, gateway device, broadcast delivery method and storage medium |
KR101770810B1 (ko) * | 2015-12-15 | 2017-08-23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업링크 자원 할당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인지 소형 셀 네트워크 시스템 |
CN107295588B (zh) * | 2016-03-31 | 2020-03-27 |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 Csg小区的接入方法及宏基站 |
US11297519B2 (en) * | 2016-07-05 | 2022-04-05 | Qualcomm Incorporated | Cell measurement |
CN111133687B (zh) * | 2017-09-21 | 2022-09-20 | 智慧天空网络有限公司 | 定义组消息的架构 |
CN109729534A (zh) * | 2017-10-27 | 2019-05-07 |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同覆盖异频小区生成方法和装置 |
US10771989B2 (en) | 2018-12-20 | 2020-09-08 | The Boeing Company | Adaptive self-optimizing network using closed-loop feedback |
US11050616B2 (en) | 2018-12-20 | 2021-06-29 | The Boeing Company | Adaptive self-optimizing network using closed-loop feedback |
US10798630B1 (en) * | 2019-01-03 | 2020-10-06 | Sprint Spectrum L.P. | Mitigating co-channel interference in wireless networks |
US11432345B1 (en) * | 2019-12-31 | 2022-08-30 | CSC Holdings, LLC | Formulation and enforcement of a connectivity policy in a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
KR20210098127A (ko) | 2020-01-31 | 2021-08-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전 소자, 이미지 센서 및 전자 장치 |
CN115968556A (zh) * | 2020-05-28 | 2023-04-14 | 联想(美国)公司 | 确定无线网络上的群组操作模式的设备和方法 |
US11689952B1 (en) | 2021-04-28 | 2023-06-27 | T-Mobile Innovations Llc | Identifying a worst interfering sector |
US20230337146A1 (en) * | 2022-04-14 | 2023-10-19 | Mediatek Inc. | Wi-fi power-adjust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3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0216A (en) * | 1868-07-21 | Improvement in spinning-machines | ||
KR100441218B1 (ko) * | 2001-10-23 | 2004-07-23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무선통신망에서의 계층적 셀 구조 구현 및 그의 운영 방법 |
US7102997B2 (en) * | 2002-03-04 | 2006-09-05 | Fujitsu Limited | Aggregate rate transparent LAN service for closed user groups over optical rings |
US7142861B2 (en) * | 2003-12-12 | 2006-11-28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obile communications in a hierarchical cell structure |
JP2009510972A (ja) * | 2005-10-04 | 2009-03-12 |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 ピコ基地局を有する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の呼び出し |
US7941144B2 (en) * | 2006-05-19 | 2011-05-10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Access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KR100795927B1 (ko) * | 2006-09-15 | 2008-01-21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계층적 셀 구조의 무선 통신망에서의 셀 선택 방법 |
US20080076412A1 (en) * | 2006-09-22 | 2008-03-27 | Amit Khetawat |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an access point |
US8019331B2 (en) * | 2007-02-26 | 2011-09-13 | Kineto Wireless, Inc. | Femtocell integration into the macro network |
US8072953B2 (en) * | 2007-04-24 | 2011-12-06 |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ome Node-B identification and access restriction |
US8219100B2 (en) * | 2007-08-31 | 2012-07-10 | Cellco Partnership | Active service redirection for a private femto cell |
US9055511B2 (en) * | 2007-10-08 | 2015-06-09 | Qualcomm Incorporated | Provisioning communication nodes |
US8837305B2 (en) * | 2007-11-27 | 2014-09-16 | Qualcomm Incorporated |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 and null steering |
JP5015856B2 (ja) * | 2008-02-01 | 2012-08-29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ハンドオーバ方法 |
EP2258129B1 (en) * | 2008-03-25 | 2012-06-20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Dynamic power control of user equipment |
US20090253421A1 (en) * | 2008-04-02 | 2009-10-08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Local network management of femtocells |
US8626162B2 (en) * | 2008-06-06 | 2014-01-07 | Qualcomm Incorporated | Registration and access control in femto cell deployments |
US8965338B2 (en) * | 2008-06-09 | 2015-02-24 | Apple Inc |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
US20090312024A1 (en) * | 2008-06-13 | 2009-12-17 | Fujitsu Limited | Seamless Handover Between Macro Base Stations and Publicly Accessible Femto Base Stations |
US20110237251A1 (en) * | 2008-07-14 | 2011-09-29 | Zte (Usa) Inc. | Idle and paging support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ith private cells |
US9237598B2 (en) * | 2008-07-23 | 2016-01-12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self-configuring a cellular infrastructure as desired, and a device therefor |
US8588773B2 (en) * | 2008-08-04 | 2013-11-19 | Qualcomm Incorporated | System and method for cell search and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20100056184A1 (en) * | 2008-08-26 | 2010-03-04 | Motorola, Inc. | Presence-aware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
KR101506172B1 (ko) * | 2008-11-19 | 2015-03-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펨토셀 환경에서의 인접 셀의 종류와 액세스 모드 식별 방법 및 시스템 |
EP2353311B1 (en) * | 2008-11-24 | 2014-04-02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Closed subscriber group roaming |
US8879461B2 (en) * | 2008-12-01 | 2014-11-04 | Qualcomm Incorporated | Blank subframe uplink design |
KR101155628B1 (ko) * | 2008-12-10 | 2012-06-1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의 펨토셀 기지국의 전력제어 방법 및 자원관리방법 |
US9143275B2 (en) * | 2008-12-16 | 2015-09-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s and apparatus to identify the accessibility of femto-base stations in communication systems |
KR20100070279A (ko) * | 2008-12-17 | 2010-06-25 | 이용석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 |
GB2471988A (en) * | 2009-04-27 | 2011-01-26 | Nec Corp |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Home Base Station and associated Closed Subscriber Group |
GB201018633D0 (en) * | 2010-11-04 | 2010-12-22 | Nec Corp | Communication system |
ES2401389B1 (es) * | 2011-06-10 | 2014-03-05 | Telefónica, S.A. | Un método para la reselección de célula y el traspaso entre células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
-
2009
- 2009-06-19 KR KR1020090055178A patent/KR20100070279A/ko active Pending
- 2009-12-17 US US13/133,430 patent/US8630650B2/en active Active
- 2009-12-17 KR KR1020117013109A patent/KR101285849B1/ko active Active
- 2009-12-17 WO PCT/KR2009/007575 patent/WO2010071374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12-17 ES ES17191484T patent/ES2834022T3/es active Active
- 2009-12-17 EP EP17191484.9A patent/EP3277026B1/en active Active
- 2009-12-17 EP EP09833652.2A patent/EP2378810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9-12-17 CN CN200980150597.5A patent/CN102246561B/zh active Active
- 2009-12-17 JP JP2011542012A patent/JP5564059B2/ja active Active
-
2013
- 2013-12-19 US US14/134,256 patent/US2014017932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
- 2018-02-07 US US15/890,809 patent/US10244486B2/en active Active
-
2019
- 2019-02-07 US US16/269,613 patent/US20190174426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0724B1 (ko) * | 2010-06-29 | 2014-12-08 | 인텔 코오퍼레이션 | 펨토 백홀 고장 검출 및 복구 |
KR101503042B1 (ko) * | 2011-04-22 | 2015-03-16 | 주식회사 케이티 | 부하 분산 방법, 이를 수행하는 펨토 기지국 및 펨토 기지국 관리 시스템 |
US10616814B2 (en) | 2011-04-22 | 2020-04-07 | Kt Corporation | Load balancing in femtocell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378810A4 (en) | 2014-09-03 |
EP2378810A2 (en) | 2011-10-19 |
KR20110111374A (ko) | 2011-10-11 |
US20140179324A1 (en) | 2014-06-26 |
JP2012512591A (ja) | 2012-05-31 |
US8630650B2 (en) | 2014-01-14 |
CN102246561A (zh) | 2011-11-16 |
US20180167893A1 (en) | 2018-06-14 |
EP3277026B1 (en) | 2020-09-09 |
WO2010071374A3 (ko) | 2010-10-14 |
WO2010071374A2 (ko) | 2010-06-24 |
US10244486B2 (en) | 2019-03-26 |
JP5564059B2 (ja) | 2014-07-30 |
US20110244870A1 (en) | 2011-10-06 |
CN102246561B (zh) | 2014-06-04 |
US20190174426A1 (en) | 2019-06-06 |
EP3277026A1 (en) | 2018-01-31 |
KR101285849B1 (ko) | 2013-07-12 |
ES2834022T3 (es) | 2021-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70279A (ko)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 | |
US10321294B2 (en) | Signaling for proximity services and D2D discovery in an LTE network | |
US9609502B2 (en) | Adaptive silencing mechanism for device-to-device (D2D) discovery | |
US9788186B2 (en) | Signaling for proximity services and D2D discovery in an LTE network | |
EP3031272B1 (en) | Signaling for proximity services and d2d discovery in an lte network | |
KR102420048B1 (ko) | 비허가 스펙트럼에서의 송신들을 위한 대역 점유 기법들 | |
US8670396B2 (en) |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 allocation for transmit diversity | |
EP2497312B1 (en) | Interference reduction for terminals operating in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
CN107005387B (zh) | 无执照频谱中的上行链路传输方法、装备和可读介质 | |
CN103229448A (zh) | 针对载波聚合的非周期性srs | |
KR20100094942A (ko)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수행장치 및 방법 | |
TW201832574A (zh) | 針對實體廣播通道的專用參考信號 | |
US9485766B2 (en)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base station | |
EP2385716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pectrum allocation for femto and macrocells | |
KR20110004329A (ko)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 전송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 |
KR20110007052A (ko) | 계층적 셀 구조에서 간섭을 줄이는 데이터 전송방법 | |
KR20100080287A (ko)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 전송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