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8753A - Prefabricated box with multi-stackable locking means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box with multi-stackable locking mea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68753A KR20100068753A KR1020080127215A KR20080127215A KR20100068753A KR 20100068753 A KR20100068753 A KR 20100068753A KR 1020080127215 A KR1020080127215 A KR 1020080127215A KR 20080127215 A KR20080127215 A KR 20080127215A KR 20100068753 A KR20100068753 A KR 201000687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x
- cover
- prefabricated box
- side panels
- locking mea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덮개의 개봉을 제어하기 위한 락수단이 형성되어진 박스를 다단으로 적층보관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ox, and in particular, to facilitate the multi-layer storage of the box is formed with a lock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cover.
현재 박스는 박스의 임의 개봉을 방지하기 위하여 박스의 양측으로 덮개의 개봉을 제어하기 위한 락수단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락수단을 형성할 경우 박스의 형상이 중앙부가 돌출되게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다수의 박스를 적층하여 보관할 수 없으므로 다수의 물품을 이송하거나 보관하능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Currently, the box provides lock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cover to both sides of the box in order to prevent any opening of the box. However, when the locking means is formed, the shape of the box is formed to be inclined to protrude from the center. Since the boxes cannot be stacked and stored, there were problems such as transporting or storing a plurality of item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박스의 측면에 락수단을 형성하여 덮개와 맞물림되어지면서 끼움토록 함으로써 접혀진 부분을 인위적으로 당김치 아니할 경우에는 절대로 덮개의 개봉이 발생되지 않고, 또한 이러한 락수단을 형성함에 있어서 하방으로 절개시킴으로써 형성하여 락수단이 측면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되면서 박스의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되어 다수의 박스를 적층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locking means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ox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cover, the opening of the cover is never generated when the folded portion is not artificially pulled, and also in the form of such locking means. It is formed by cutting so that the locking means does not protrud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while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to form a plan to have a structure capable of stacking a plurality of box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종이 또는 합성수지 시트로 제작이 가능한 조립식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구성요소를 사용치 아니하고 박스의 측면을 락수단으로 사용하여 박스의 덮개가 완전하게 펼쳐짐이 가능하면서 임의적인 개봉이 방지토록함은 물론 박스를 다단으로 적층보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ox that can be made of paper or synthetic resin sheet, and in particular, by using the side of the box as a locking means without using a separate component, the cover of the box can be fully unfolded, while preventing arbitrary opening. Of course, the box is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stacked in multiple stages of storage.
현재 대부분의 물품의 수납포장을 위한 박스는 내공간이 형성되는 박스본체와 그 박스본체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덮개는 박스본체에서 임의 개봉을 방지하기 위하여 락수단이 형성되는 것이지만, 이러한 것의 문제가 락수단이 단순한 끼움방식이나 걸이방식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쉽게 해제되어 덮개가 임의적으로 개봉되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락수단이 해제된 이후에도 덮개를 별도로 들어올림에 의하여 박스를 개봉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Currently, a box for storing and packing most items comprises a box body in which an inner space is formed and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ox body, wherein the cover is formed with locking means to prevent any opening in the box body. The problem of this is that the locking means is easily released due to the use of a simple fitting method or a hooking method, and the cover is opened arbitrarily. Also, the box must be opened by lifting the cover separately even after the locking means is released. There was an inconvenience.
따라서 최근에는 박스의 기능을 갖게 되면서 손잡이의 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하면서 락수단이 형성되어진 것이 제시되었고, 이러한 것은 그 구성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본체를 구성하는 측면을 연장하고 연장되어진 측면에는 절개홈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에 맞물림되도록 덮개는 양측으로 개봉되어지도록 되면서 덮개에 연장되게 형성된 손잡이의 양측단으로 걸이홈을 형성하여 상기 걸이홈이 절개홈에 맞물림되어지면서 락수단을 제공하여 덮개의 기능과 손잡이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recent year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locking means is formed while having the function of the box while having the function of the handle at the same time, the configuration of which extends the side constituting the box body as shown in FIG. To form the incision groove, the cover is to be opened to both sides to be engaged with the incision groove to form a hook groove at both ends of the handle formed to extend to the cover to provide the locking means while the hook groove is engaged with the incision groove It provides the function of the cover and the function of the handle at the same time.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손잡이를 하방으로 조금만 힘을 가하게 될 경우에는 아주 쉽게 락수단이 해제되어 덮개가 개봉되어지거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있을 경우에는 박스가 하방으로 쳐짐에 의하여 많은 문제점이 발생된다는 것이고, 이러한 박스의 구성을 위하여 반드시 박스본체의 바닥면에 조립되어지는 구조를 취하게 됨으로 박스의 측면 또는 저면을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접착수단이 사용되어짐으로써 불필요한 원가상승이 된다는 것이다.However, the disadvantage of this is that if the handle is slightly pushed downward, the lock means are released very easily and the cover is opened or the box is knocked downward when the handle is held by hand, causing many problems. For the configuration of such a box is necessarily to be assemb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x body is to use a separate adhesive means for attaching the side or bottom of the box is unnecessary cost increase.
또한 대부분의 박스의 경우 박스의 상면의 중앙부가 상부로 돌출되어 여러개의 박스를 쌓을 수 없는 것이고, 쌓게 될 경우에도 적층된 상태가 불안정하여 쉽게 무너지므로 안정감이 떨어지게 되어 다수의 박스를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 많은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most boxes, the central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protrudes upward to prevent stacking of multiple boxes, and even when stacked, the stacking state is unstable and easily collapses, resulting in poor stability. There was a lot of inconvenienc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박스본체의 덮개를 개봉하기 위한 락수단이 박스본체를 구성하는 측면에 형성되어져 인위적으로 락수단을 당김치 아니할 경우에는 절대로 덮개의 개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이러한 박스본체의 상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박스를 다단으로 적층할 경우에도 안정감을 갖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when the locking means for opening the cover of the box body is formed on the side constituting the box body and never artificially pulling the locking means, the cover is never opened. In order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body is made flat so that the box has a sense of stability even when stacked in multiple stag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박스본체의 덮개가 양측으로 개봉되어지도록 되고, 개봉되어지는 양측의 덮개의 선단은 내측으로 접어지도록 되며 내측으로 접어진 부분에는 끼임을 위한 끼임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임절개홈에 끼임되어지도록 박스본체의 측면이 부분절개되어 그 절개면에 형성된 절개홈이 덮개의 내측으로 끼임되어지면서 맞물림과 끼임에 의하여 끼임되어진 부분을 인위적으로 외측으로 당김치 아니할 경우에는 절대로 덮개의 개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of the box body is to be opened to both sides, the front end of the cover of the both sides to be opened to be folded inward and the inner part is formed with a cut-out groove for pinching When the side of the box body is partially cut so as to be fitted into the cut-out groove, the cut-out groove formed in the cut-out surface is clamped into the inside of the cover, and when the part snapped by the engagement and the snap is not artificially pulled outward. Never open the cov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덮개가 임의적으로 개봉되지 않도록 되고, 다양한 형상의 박스를 제공함은 물론 손잡이도 일체로 형성할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의 락수단의 제공이 가능하고, 양측으로 개봉되어지는 덮개일 경우에도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되면서 박스본체를 다단으로 적층보관 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open the cover arbitrarily,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locking means of the same method even when providing a box of various shapes as well as the handle integrally, the cover is opened to both sides Even if it is possible to maintain confidentiality will be able to stack and store the box body in multiple stage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첨부도면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공간(11)을 갖도록 되는 박스본체(10)의 상단을 밀폐토록 하는 덮개(20)가 양측으로 개봉되는 구조를 갖도록 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20)의 개봉을 단속하기 위하여 덮개(20)의 양측으로 락수단이 형성되는 구조이다.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이때, 상기 박스본체(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다수의 판재가 절첩되면서 내공간(11)을 형성토록 하는 것이고, 이를 위하여 박스본체(10)의 전개도 상의 하부면(12)의 사방모서리에 일체로 연장되어진 전,후면패널(13,14) 및 측면패널(15,16)이 형성되어 그 판재가 직립되면서 육면체로 접혀지면서 상부가 개방되어진 내공간(11)을 형성토록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전,후면패널(13,14)에는 각각 그 단부에 일체로 연장형성되어진 덮개(20)가 형성되어 그 덮개(20)의 절첩에 의하여 내공간(11)의 상부를 밀폐하는 구조를 갖도록 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덮개(20)의 선단으로는 밀착면(21)이 형성되어 전면패널(13)과 후면패널(14)에 각각 형성된 밀착면(21)이 절첩되면서 상호 밀착토록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ront and
한편, 상기 측면패널(15,16)에는 그 상단의 중앙부가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깊이만큼 내입되도록 절개되어져 형성되는 락면(17)을 구비하고, 그 락 면(17)의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슬롯홀(17a)을 형성하여 밀착면(21)의 양단에 일정한 깊이로 내입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어진 끼임절개홈(22)에 결합되어지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ide panels (15, 16) is provided with a lock surface (17) formed by cutting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end is indent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by a predetermined dep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ck surface (17)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따라서 박스본체(10)의 상면이 평평한 면을 이루도록 되면서 다수의 박스본체(10)를 적층시킬 경우에도 안정감있게 보관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때, 상기 락면(17)은 측면패널(15,16)의 상부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어지도록 형성된 후 락면(17)을 조립할 경우에는 측면패널(15,16)의 상부면의 높이 이상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외측으로 절첩되어지는 것이고, 이때 슬롯홀(17a)을 형성함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락면(17)이 절첩되어지는 절곡선의 상부로 패널의 두께만큼 미세하게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끼임절개홈(22)에 용이하게 결합되어지도록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끼임절개홈(22)은 외측으로 연장되어지면서 절개면(22a)을 형성하면 박스본체(10)를 조립할 때 락면(17)의 상부가 노출토록 됨으로써 박스본체(10)의 락수단의 해제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cut-
따라서, 별도의 접착제나 고정수단이 없이도 간단한 조립으로 박스의 조립이 가능하면서 동시에 덮개의 개봉을 단속할 수 있는 락수단이 형성되어지고, 본 발명의 포장박스를 사용할 경우 분리하는 과정에서 박스본체(10)에 과도한 힘이나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며 결국 이 과정에서 박스본체(10)가 훼손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Therefore, a lock means for intermittent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is formed at the same time as a simple assembly without a separate adhesive or fixing means is formed, when using the packag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x body ( Excessive force or pressure is not applied to 10) and the
한편, 상기 측면패널(15,16)은 도2 및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연장 형성되도록 절첩면(15a,16a)을 형성하면 측면패널(15,16)을 조립할 경우에 그 내측으로 절첩면(15a,16a)이 접혀지면서 측면패널(15,15)의 두께가 2중으로 형성되어 보강력을 갖도록 됨과 동시에 완충력을 갖도록 되고 박스본체(10)의 내부에 담겨진 내용물이 더욱 보호되도록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ide panels (15, 16) is formed in the folding surface (15a, 16a) to be formed to extend upward as shown in Figures 2 and 2A when the side panels (15, 16) when assembled As the
또한, 이 경우에 락면(17)은 측면패널(15,16)과 절첩면(15a,16a)의 중앙을 부분절개함으로써 형성되고 상술한 바와같이 락면(17)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슬롯홀(17a)이 형성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이때, 상기 절첩면(15a,16a)을 용이하게 절첩할 수 있도록 절곡선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절곡선을 형성함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측면패널(15,16)과 절첩면(15a,16a)의 사이에 패널의 두배되는 두께만큼 간격을 갖도록 2중으로 절곡선이 형성하면 절첩면(15a,16a)의 절첩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a bent line may be formed to easily fold the folded
또한, 도3 내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패널(15,16)의 양측으로 보강날개(15b,16b)를 형성하면 박스본체(10)의 조립시 전,후면패널(13,14)의 내면을 지지하면서 2중으로 보강토록 되어 박스본체(10)의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보강날개(15b,16b)는 그 단부가 서로 중첩되어지게 걸림홈(18)을 형성하면 상기 걸림홈(18)에 의하여 상호 맞물림되면서 박스본체(10)가 더욱 견고히 결합되면서 동시에 보강력을 강화시키도록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to 3B, when the reinforcing
그리고 이에 더하여 상기 절첩면(15a,16a)의 양측으로 돌출면(19)을 형성하고, 그 돌출면(19)이 절곡되어질 때 그 절곡선에 절개돌부(19a)를 형성하여 보강날개(15b,16b)의 절곡선에 형성되어진 절개홈(19b)에 끼움 결합토록 하면 박스본 체(10)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켜 외력에도 박스의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되면서 박스본체(10)가 임의로 분해되지 않도록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덮개(20)는 그 단부에 손잡이(23)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는 것으로, 덮개(20)에 각각 형성되어진 밀착면(21)의 중앙으로 절개에 의하여 손잡이(23)가 형성토록 하고 손잡이(23)의 걸이구와 연장되게 연장면(24)을 형성함으로써 그 연장면(24)이 중첩되도록 조립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도1의 박스의 구조를 나타낸 전개도1A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ox of FIG.
도 1B는 도1은 박스의 락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locking means of Figure 1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도2의 박스의 구조를 나타낸 전개도2A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ox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도3의 박스의 구조를 나타낸 전개도3A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ox of FIG.
도 3B는 도3은 박스의 락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locking means of the box 3
도 4는 본 발명의 박스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락수단을 이용한 개폐구조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5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using the lock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종래의 락수단이 형성된 박스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ox in which a conventional locking means is form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박스본체 11: 내공간10: box body 11: inner space
12: 하부면 13: 전면패널12: Bottom view 13: Front panel
14: 후면패널 15: 측면패널14: Rear panel 15: Side panel
16: 측면패널 17: 락면16: side panel 17: lock surface
20: 덮개 21: 밀착면20: cover 21: contact surface
22: 끼임절개홈 23: 손잡이22: cutaway groove 23: handle
24: 연장면24: extended surfac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7215A KR101550259B1 (en) | 2008-12-15 | 2008-12-15 | Prefabricated boxes with locking means that can be stacked in multiple stag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7215A KR101550259B1 (en) | 2008-12-15 | 2008-12-15 | Prefabricated boxes with locking means that can be stacked in multiple stag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8753A true KR20100068753A (en) | 2010-06-24 |
KR101550259B1 KR101550259B1 (en) | 2015-09-07 |
Family
ID=42366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27215A Expired - Fee Related KR101550259B1 (en) | 2008-12-15 | 2008-12-15 | Prefabricated boxes with locking means that can be stacked in multiple stag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025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8821B1 (en) * | 2019-07-05 | 2019-12-23 | 박홍순 | Packaging container |
KR102120294B1 (en) * | 2019-09-24 | 2020-06-08 | 박홍순 | Packaging containe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04393A (en) * | 2000-10-03 | 2002-04-10 | Rengo Co Ltd | Carrying paper box with mid pertitioning wall |
KR200283379Y1 (en) * | 2002-04-30 | 2002-07-26 | 최길림 | Packing box for egges |
-
2008
- 2008-12-15 KR KR1020080127215A patent/KR10155025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0259B1 (en) | 2015-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21244900A1 (en) | Shipping box | |
KR20100068753A (en) | Prefabricated box with multi-stackable locking means | |
JP4908004B2 (en) | Goods delivery box | |
KR102523660B1 (en) | assembly container one touch clip receive box | |
JP3138515U (en) | Packaging box | |
JP2006264717A (en) | Plastic container | |
JP2007204119A (en) | Pallet packing box and pallet with packing box | |
JP6175329B2 (en) | container | |
KR200443133Y1 (en) | Packing box | |
KR200462914Y1 (en) | Packing box | |
JP2549500B2 (en) | Flower carrier | |
JP7629798B2 (en) | Packaging Box | |
KR102425211B1 (en) | Packing Box | |
JP3113202U (en) | Fixing structure of locking plate in packaging box | |
CN223101273U (en) | Packing box with child lock | |
JP3102426U (en) | Packing box lid locking structure | |
JP2005225538A (en) | Lid with lock mechanism | |
JP2537114Y2 (en) | Packing box | |
KR200448248Y1 (en) | Packing box for large display panel | |
JP3143141U (en) | Assembled storage box | |
KR200250369Y1 (en) | Packing box | |
JPH10258839A (en) | Stackable container box | |
KR20250082107A (en) | Business card case | |
KR200374426Y1 (en) | paper box | |
JP2974662B1 (en) | Packaging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9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2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8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