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7977A - 컨텐츠 파일의 효율적인 다운로드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파일의 효율적인 다운로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67977A KR20100067977A KR1020080126602A KR20080126602A KR20100067977A KR 20100067977 A KR20100067977 A KR 20100067977A KR 1020080126602 A KR1020080126602 A KR 1020080126602A KR 20080126602 A KR20080126602 A KR 20080126602A KR 20100067977 A KR20100067977 A KR 201000679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e
- content
- content file
- metadata
- downlo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G06F15/17306—Intercommunication techniques
- G06F15/17325—Synchronisation; Hardware support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파일의 효율적인 다운로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운로드하는 컨텐츠 파일(특히, 대용량 컨텐츠 파일)을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에 대한 평가 정보(댓글, 이용후기 등)를 다수인들이 공유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의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대상이 되는 컨텐츠 파일을 선택하는 선택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 메타데이터 다운로드 단계; 상기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의 컨텐츠 파일을 생성하는 가상파일 생성 단계; 및 소정의 제1 동기화 시점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상기 가상 컨텐츠 파일에 결합시키는 파일 다운로드 단계를 포함한다.
대용량 데이터,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메타 데이터, 동기화, 컨텐츠 평가 메타데이터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의 대용량 데이터의 다운로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운로드하는 컨텐츠 파일(특히, 대용량 컨텐츠 파일)을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댓글, 평가 등)를 다수인들이 공유할 수 있게 하는, 컨텐츠 파일의 효율적인 다운로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터넷 상에는 많은 파일 전송 프로그램이 있으며,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은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인데, 이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단순하게 파일을 전송하는 기능만 수행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에 의한 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이 복잡하고 파일 전송 자동화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HTTP 기반의 파일 전송 프로그램은 웹서버 상에서 구현이 용이하나,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는 구현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파일 공유를 목적 으로 하는 P2P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파일 내용이 순차적으로 다운로드 되지 않아서 전송이 완료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요컨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하에서는,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대용량 고화질 멀티미디어 파일을 받아 이용할 경우, 파일 다운로드가 완료되기 전까지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파일 크기가 큰 경우에는 이용 시간 대기가 발생하여 사용자의 불편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재의 사용자 참여형 컨텐츠(UCC) 서비스는 대부분 서버 중심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지고 있으며, 이에 다운로드형태의 컨텐츠는 사용자가 직접 수정 제작하여 별도의 장치를 통해 전송하게 되므로 불편하고, 또한 UCC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도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참여형 서비스는 컨텐츠의 생산, 유통, 사용에 대한 융합의 용이성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다운로드하는 컨텐츠 파일(특히, 대용량 컨텐츠 파일)을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고, 더 나아가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에 대한 평가정보(댓글, 이용 후기 등)를 다수인들이 공유할 수 있게 하는, 컨텐츠 파일의 효율적인 다운로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에서의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대상이 되는 컨텐츠 파일을 선택하는 선택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 메타데이터 다운로드 단계; 상기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의 컨텐츠 파일을 생성하는 가상파일 생성 단계; 및 소정의 제1 동기화 시점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상기 가상 컨텐츠 파일에 결합시키는 파일 다운 로드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의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운로드 대상이 되는 컨텐츠 파일을 선택받는 선택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전송하는 메타데이터 전송 단계; 및 동기화 시점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인터넷상에서 고화질, 대용량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신속/용이하게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용량 컨텐츠가 제공자로부터 사용자까지 전달될 때 컨텐츠 메타데이터만으로 우선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대용량 컨텐츠의 배포 및 이용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송이 완료되지 않은 백그라운드 전송 파일의 경우 내부 파일 재생부를 통하여 즉시 다운로드 하면서 영상이나 음원을 재생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공자의 권리 요구에 따라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은 후에도 컨텐츠 사용을 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컨텐츠 다운로드 행위, 사용 행위, 분류 행위, 파일정보 추가, 편집 행위 등을 가능하게 해 주는 기능을 제공하면서, 이 행위로 인한 결과를 자동으로 기록하고, 또한 그 기록을 서버 측으로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 혼자 즐기는 행위의 컨텐츠에서 부가적인 정보의 생산과 공유를 통해 함께 사용하는 컨텐츠로 발전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제공 서버(10) 및 사용자 단말(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컨텐츠 제공 서버(10)는 컨텐츠 파일 제공 등과 같은 서비스 제공 서버이며, 사요자 단말(12)은 컨텐츠 제공 서버(10)로부터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저장/관리하거나, 컨텐츠 이용 결과를 다수인이 공유할 수 있도록 컨텐츠 제공 서버(10)로 전 송한다.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12)을 통하여 원격지에 있는 컨텐츠 제공 서버(10)로부터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경우, 사용자의 컴퓨터 운영체계 내 파일시스템의 동기화용 디렉터리에 저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컨텐츠 다운로드 장치(클라이언트)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다운로드 장치(클라이언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제어부(201), 파일상태 관리부(202), 파일 재생부(203), 메타데이터 처리부(204), 파일 동기화부(205), 및 파일 수신부(206)로 구성된다.
파일 제어부(201)는 파일의 사용, 삭제, 이동에 대한 제한/허용을 제어하고, 파일상태 관리부(202)는 파일의 변경 여부를 감지하여, 변경 처리 여부 등과 같이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는 파일 제어부(201)에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파일 재생부(203)는 컨텐츠 파일(미디어파일)을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추가적으로 미완성 파일일 경우나 다운로드 중에도 영상이나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메타데이터 처리부(204)는 컨텐츠 파일에 대한 정보(파일 정보로서, 예를 들면, 파일명, 파일 크기, 작성일자, 사용일자, 저장 위치 등)와 파일 분산 정보, 동기화 정보를 기록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파일 위탁 처리 방안에 대해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파일 동기화부(205)는 원격지에 있는 컨텐츠 제공 서버(10)와의 통신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교환하고 비교하여 동기화 처리를 담당한다.
파일 수신부(206)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이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메타데이터에 따라 백그라운드에서 파일을 수신한다.
사용자가 컨텐츠 제공 서버(1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파일을 선택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10)는 그 선택된 컨텐츠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파일 동기화부(205)에게 전달한다.
그러면, 파일 동기화부(205)는 수신한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처리부(204)에게 전달하여 확인 처리를 의뢰하며, 그에 따라 메타데이터 처리부(204)는 분석한 메타데이터 중에서 파일정보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일자, 파일경로(파일 위치)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를 파일 제어부(201)에게 제공한다. 그러면, 파일 제어부(201)는 실제 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파일존재 확인 결과, 실제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메타데이터 처리부(204)에서 수신한 메타데이터 중에서 동기화 메타데이터에 대한 상태를 변경한다. 여기서, 메타데이터에는 파일정보 메타데이터, 동기화정보 메타데이터, 사용정보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메타데이터가 변경된 파일은 파일 동기화부(205)에 의해 동기화 대기열(Queue)에 등록되며, 동기화정보 메타데이터에 동기화상태를 기록한다. 이후 동기화 가능한 시점에 순차적으로 동기화 처리된다. 그리고, 이러한 동기화의 주기는 파일 제어부(201)에서 설정하는 동기화 주기에 의해 동기화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동기화주기는 컨텐츠 제공 서버(10)에서 설정된 동기화주기, 기 본(Default) 동기화주기, 파일종류별 동기화주기로 세분화된다. 동기화 형태는 수동적 설정 중심으로 타 시스템에 의한 동기화설정, 사업자의 설정에 의한 컨텐츠 종류별 설정, 제공자의 사전 설정에 의한 설정 등이 있다.
그리고, 동기화시점은 즉시 동기화, 동기화설정 시간 간격 형태, 컴퓨터 사용 휴무시 작동 형태, 사용자 수동 작동 형태에 따라 정해지는데, 이는 사전에 설정된다.
파일 수신부(206) 내부에 있는 타이머는 설정된 동기화주기에 의해 작동하여 동기화 대기열에 있는 동기화정보를 바탕으로 파일을 수신한다. 수신 시작 전에 메타데이터 처리부(204)는 파일정보 메타데이터를 "준비상태"(Prepared)로 하고, 파일 제어부(201)는 메타데이터에 의해 해당 디렉터리에 파일을 만들고 파일 크기만큼 빈 공간을 확보한다.
수신이 시작되어 진행되면, 메타데이터 처리부(204)는 파일정보 메타데이터를 "진행상태"(Prepared 50%)로 하고, 파일 수신부(206)에서 받는 데이터를 파일 제어부(201)는 파일의 빈 공간에 순차적으로 기록(저장)한다. 기록(저장)하면서 메타데이터의 파일접근정보를 변경함으로써 기록(저장)이 완료된 부분은 사용을 허락한다. 파일 수신이 완료되면, 파일 제어부(201)는 해당 파일을 검사하고 문제가 없으면 파일정보 메타데이터를 "완료상태"(Completed)로 만든 후 파일접근정보를 해제한다.
파일 제어부(201)에서 실제 파일의 존재여부를 확인해서 기존에 이미 파일이 존재할 경우, 파일 제어부(201)는 기존에 존재하는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조회한 후 파일정보 메타데이터를 파일 동기화부(205)에 넘긴다.
그러면, 파일 동기화부(205)는 파일 제어부(201)로부터 받은 파일정보 메타데이터와 컨텐츠 제공 서버(10)에서 받은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와 비교하여 파일의 변경 여부를 확인한다. 둘 중에서 서버 측 메타데이터가 최신인 경우에 한해서 수신하기 위해, 동기화정보 메타데이터에 수신용 동기화상태를 기록한다. 이후, 동기화 가능한 시점에 순차적으로 동기화 처리된다.
컨텐츠 제공 서버(10)에 저장하고 있는 파일에 대한 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단말(12)의 파일 동기화부(205)는 주기적으로 컨텐츠 제공 서버(10)에게 파일변경 확인을 요청한다. 파일변경 확인 요청 주기는 컨텐츠 제공 서버(10)에 의해 설정/변경된다.
파일 동기화부(205)가 컨텐츠 제공 서버(10)에 접속을 시도하여 접속이 성공하면 동기화 연결 정보를 전달하는데, 여기에는 서버 정보, 동기화 주기가 포함되어 있다.
파일변경 확인 요청에 대해, 컨텐츠 제공 서버(10)는 변경사항이 있는 경우 변경목록을 파일 동기화부(205)에게 준다.
파일 동기화부(205)는 순차적으로 변경목록 내의 변경사항을 처리하는데, 여기서, 변경사항에는 파일 추가, 파일 변경, 파일 삭제 형태가 있다.
첫째, 파일 '추가'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파일 수신시(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컨텐츠 제공 서버(10)로부터 파일을 수신하는 경우), 로 컬(Local)(사용자 단말)에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 동일하다.
둘째, 파일 '변경'의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파일 수신시, 로컬(Local)에 파일이 존재할 경우와 처리 방식이 동일하다..
셋째, 파일 '삭제'의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10)에서 파일이 삭제되면, 컨텐츠 제공 서버(10)는 파일 동기화부(205)에 그 삭제된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전송한다.
메타데이터 처리부(204)가 파일 동기화(205)로부터 전달받은 메타데이터와 기저장된 메타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일한 메타데이터인 경우에는, 파일 제어부(10)에게 해당 메타데이터를 전달하여 파일경로에서 파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파일 삭제한다. 파일의 삭제가 실패한 경우 동기화파일 메타데이터에 실패결과를 기록하고, 동기화 대기열(Queue)에 등록된다. 이후 동기화 가능한 시점에 순차적으로 동기화 처리된다. 이때 컨텐츠 제공 서버(10)에 실패결과가 통보된다. 파일 삭제가 성공하면 메타데이터 처리부(204)에서 내부에 저장된 메타데이터도 삭제한다.
파일상태 관리부(202)는 파일의 접근 상태를 감시하고 있다가 로컬(Local)파일을 삭제, 변경하는 경우, 해당 파일의 파일정보 메타데이터에서 삭제 권한, 변경 권한이 있는지 확인한다. 권한이 있는 경우에는 삭제, 변경을 허용하고, 해당 권한이 없는 경우에는 파일 제어부(201)를 통하여 삭제, 변경을 불가하게 한다.
또한, 파일상태 관리부(202)는 파일이 다운로드 전 또는 다운로드 중인 상태인 경우 파일정보 메타데이터에서 상태정보와 실제 파일 내용이 있는지 없는지를 나타내는 파일구성지도(File Map)를 가지고 파일 내 구간별 파일접근가능표시, 파 일접근불가표시를 한다. 이후 타 프로그램에서 해당 파일을 열고(Open)하여 접근할 경우, 파일 제어부(201)가 구간별 권한을 검사하여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파일구성지도(File Map)에 표기할 수 있는 정보는 파일접근 가능/불가 표시, 파일권한 유/무 표시 등이 있다.
파일 재생부(203)는 동영상,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기 기능을 가지고 있다.
파일 수신이 진행 중인 파일에 대한 재생 기능은 파일상태 관리부(202)에서 파일정보 메타데이터의 파일상태정보와 파일구성지도를 이용하여 파일 재생 위치와 파일구성지도의 위치를 비교하여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파일구성지도 상의 재생 위치에 지정된 버퍼링시간 이상의 파일의 내용이 존재할 경우, 재생이 진행된다. 이때, 파일 다운로드가 진행되고 있지 않고 대기열에 대기하고 있는 경우, 즉시 우선 다운로드를 위한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이 없도록 한다.
파일 수신부(206)는 사용자가 컨텐츠 다운로드 행위를 할 경우, 다운로드기록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메타데이터 처리부(204)에 전달함으로써 해당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로 기록되게 한다.
파일 재생부(203)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사용할 경우, 사용기록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메타데이터 처리부(204)에 전달함으로써, 해당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로 기록되게 한다.
파일상태 관리부(202)는 사용자가 컨텐츠의 파일정보를 추가나 편집하는 경 우, 파일 변경 이벤트를 감지하여 파일정보 메타데이터를 추가, 수정하여 메타데이터 처리부(204)에 전달함으로써 해당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로 기록되게 한다.
또한, 파일상태 관리부(202)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정보(댓글, 추천 등) 추가기능을 제공하고, 이에 해당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메타데이터 처리부(204)에 전달하여 해당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로 기록되게 한다.
한편, 파일 제어부(201)는 컨텐츠에 대한 분류, 필터, 검색에 대한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기능을 사용자가 시행한 경우, 분류, 필터링, 검색 행위에 대한 이력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메타데이터 처리부(204)에 전달함으로써 해당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로 기록되게 한다.
또한, 파일 제어부(201)는 동기화용 디렉터리(21) 내에 존재하는 파일의 복사를 감시하고 있다가 복사가 진행되면 자동으로 원본 파일과 복사본 파일의 관계를 부모-자식관계(Parent-Child) 정보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메타데이터 처리부(204)에 전달함으로써, 해당 컨텐츠의 관계 메타데이터로 기록되게 한다.
복사본 파일의 소유권 정보 메타데이터는 원 소유자 정보를 기록하고 이것을 수정할 수 없도록 하며, 복사본 파일에 대한 파생소유권 정보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수정부분에 대한 부분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도록 한다. 관계 정보는 추적과 내비게이션(Navigation)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고, DRM(Digital Right Management)를 위한 기능으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생성되고 모여진 사용이력 및 정보 메타데이터는 파일 동기화부(205)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10)에 송신할 수 있고 또한 타 시스템의 동일 컨텐츠에 대한 정보 메타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파일 제어부(201)는 컨텐츠에 대한 다양한 메타데이터를 종합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즉, 컨텐츠 목록 제공 기능, 컨텐츠 상세 정보 제공 기능, 컨텐츠별 정보(댓글 등) 게시판 기능, 컨텐츠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파일정보 메타데이터의 공유기능을 통해 추천하기 기능, 알리기 기능을 제공하며, 파일정보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추천 컨텐츠 보기 기능, 사용 이력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인기 컨텐츠 보기 기능 등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파일의 다운로드와 파일 접근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4를 중심으로 설명하면서 도 3도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12)가 컨텐츠 제공 서버(10)에 접속하여(400) 다운로드 대상이 되는 컨텐츠 파일을 선택하면(402), 컨텐츠 제공 서버(10)는 그 선택된 컨텐츠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예를 들면, 파일명, 파일 크기 등)를 제공한다.
즉, 사용자 단말(12)은 컨텐츠 제공 서버(10)로부터 메타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은 후(404)(도 3의 "30" 참조), 그 다운로드 받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의 컨텐츠 파일을 생성한다(406). 여기서, 가상의 컨텐츠 파일은 컨텐츠 파일의 실질적인 내용은 없으나 외관상으로는 완전한 파일처럼 보이며, 특히 다운로드 상태정보(다운로드 정도 등) 또는/및 동기화 상태정보(동기화 여부, 동기화 시점, 동기화 주기 등)를 속성정보로서 포함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12)은 일정한 제1 동기화 시점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가상 컨텐츠 파일에 결합하여 완전한 컨텐츠 파일을 생성한다(408)(도 3의 "32" 참조). 여기서, 사용자 단말(12)은 제1 동기화 시점에 작동하여 백그라운드 파일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그리고, 제1, 제2 동기화 시점은 컨텐츠 제공 서버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다.
만약, 컨텐츠 파일의 다운로드가 완료되기 전에 사용자의 재생 명령이 있으면, 사용자 단말(12)은 비록 실질적인 내용이 없는 파일일지라도 오류메시지를 제공하지 않고, 컨텐츠 제공 서버(10)에 요청하여 해당 컨텐츠 파일의 내용을 단계적으로(Progressive) 다운로드 받으면서 재생을 한다(도 3의 "31" 참조). 도 3에서와 같이 기전송된 부분에 대해서는 접근을 허용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에서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12)은 파일 다운로드 과정을 통하여 다운로드가 완료된 컨텐츠 파일에 대하여 사용자가 컨텐츠 평가 메타데이터(예를 들면, 댓글, 이용 후기 등)를 삽입하면, 제2 동기화 시점에 평가 메타데이터를 컨텐츠 제공 서버(1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의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컨텐츠 제공 서버(10)는 사용자 단말(12)로부터 다운로드 대상이 되는 컨텐 츠 파일을 선택받으면(500), 그 선택된 컨텐츠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2)에 전송한다(502).
이후, 컨텐츠 제공 서버(10)는 동기화 시점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 파일을 전송한다(504). 즉, 컨텐츠 제공 서버(10)는 사용자 단말(12)과 연동하여 동기화 시점에 백그라운드 파일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 파일을 전송한다.
만약, 동기화 시점이 되기 전에(컨텐츠 파일의 실질적인 내용이 다운로드 되기 전에), 사용자 단말(12)로부터 상기 선택된 컨텐츠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있으면, 해당 컨텐츠 파일의 내용을 단계적으로 전송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 단말(12)에서는 단계적으로 전송되는 파일을 재생하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12)로부터 파일 전송 과정을 통하여 전송한 컨텐츠 파일에 대한 컨텐츠 평가 메타데이터(예를 들면, 댓글, 이용 후기 등)를 수신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10)는 해당 컨텐츠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로 관리한다. 그리고, 제3 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텐츠 평가 메타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하여 특정 컨텐츠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 정보가 축적되게 되고, 이는 다수인이 공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 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컨텐츠 다운로드 장치(클라이언트)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파일의 다운로드와 파일 접근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의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컨텐츠 제공 서버 12: 사용자 단말
20: 컨텐츠 다운로드 장치 21: 동기화용 디렉터리
Claims (12)
- 사용자 단말에서의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방법에 있어서,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대상이 되는 컨텐츠 파일을 선택하는 선택 단계;상기 선택된 컨텐츠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 메타데이터 다운로드 단계;상기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의 컨텐츠 파일을 생성하는 가상파일 생성 단계; 및소정의 제1 동기화 시점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상기 가상 컨텐츠 파일에 결합시키는 파일 다운로드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컨텐츠 파일의 다운로드가 완료되기 전에 사용자의 재생 명령이 있으면, 파일 오류메시지를 제공하지 않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파일의 내용을 단계적으로 다운로드 받으면서 재생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파일 다운로드 단계를 통하여 다운로드가 완료된 컨텐츠 파일에 컨텐츠 평가 메타데이터를 삽입하면, 제2 동기화 시점에 상기 평가 메타데이터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파일 다운로드 단계는,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동기화 시점에 작동하여 백그라운드 파일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동기화 시점은,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 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파일 다운로드 단계는,상기 가상 컨텐츠 파일과 상기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 파일을 결합하여 완전한 컨텐츠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가상 컨텐츠 파일은,다운로드 상태정보 또는 동기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속성정보로 포함하는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방법.
-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의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방법에 있어서,사용자 단말로부터 다운로드 대상이 되는 컨텐츠 파일을 선택받는 선택 단계;상기 선택된 컨텐츠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전송하는 메타데이터 전송 단계; 및동기화 시점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파일 전송 단계는,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동기화 시점에 백그라운드 파일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 파일을 전송하는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동기화 시점이 되기 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컨텐츠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있으면, 상기 컨텐츠 파일의 내용을 단계적으로 전송하는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방법.
-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파일 전송 단계를 통하여 전송한 컨텐츠 파일에 대한 컨텐츠 평가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면, 해당 컨텐츠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로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제3 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평가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6602A KR20100067977A (ko) | 2008-12-12 | 2008-12-12 | 컨텐츠 파일의 효율적인 다운로드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6602A KR20100067977A (ko) | 2008-12-12 | 2008-12-12 | 컨텐츠 파일의 효율적인 다운로드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7977A true KR20100067977A (ko) | 2010-06-22 |
Family
ID=42366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26602A Withdrawn KR20100067977A (ko) | 2008-12-12 | 2008-12-12 | 컨텐츠 파일의 효율적인 다운로드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67977A (ko) |
-
2008
- 2008-12-12 KR KR1020080126602A patent/KR20100067977A/ko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31112B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ownload method, download interruption method, download resuming method, and program | |
EP1617626B1 (en) | Remote access to content management information through a server | |
US925660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nd providing recommendations related to playable content to a user based 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one or more playback devices of the user | |
JP5426008B2 (ja) | コンテンツ再生装置 | |
US20120203932A1 (en) | Multi-master media metadata synchronization | |
US20070192797A1 (en)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stributed contents | |
EP1973303A1 (en) | Music file editing system | |
JP2009277218A (ja) | メタデータ注入を用いたメディアファイルの管理 | |
WO2006024230A1 (fr) | Systeme pour realiser un disque dur de reseau sur la base d'une plate-forme de communications en temps reel et procede correspondant | |
WO2007044621A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uploading and downloading files in a distributed network | |
JP2009294779A (ja) |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 |
US7809742B2 (en) | Content managem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 |
US20100235878A1 (en) | Method and system for file distribution | |
JP2009294777A (ja) |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 |
US8775600B2 (en) | Storage system and data management method in storage system | |
US9552364B2 (en) | Portable content player, content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synchronizing content state lists between portable content player and content storage device | |
JP2008113147A (ja) | コンテンツ受信装置並びに録画装置、再生装置及び受信装置 | |
US8813257B2 (en) | Download terminal, and content utilization system | |
JP2008071191A (ja) | 情報表示装置及びメタ情報表示方法 | |
EP1156636B1 (en) | Content delivering method | |
US8850604B2 (en) | Content receiver, license server, content utilization system, and content viewing time limit management method | |
JP2007034895A (ja) |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方法、及び情報管理システム | |
JP2008154124A (ja) | サーバ装置およびデジタル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 |
KR20100067977A (ko) | 컨텐츠 파일의 효율적인 다운로드 방법 | |
KR20100122135A (ko) | 동기화 기술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사용자 지원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