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59450A -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및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및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9450A
KR20100059450A KR1020080118227A KR20080118227A KR20100059450A KR 20100059450 A KR20100059450 A KR 20100059450A KR 1020080118227 A KR1020080118227 A KR 1020080118227A KR 20080118227 A KR20080118227 A KR 20080118227A KR 20100059450 A KR20100059450 A KR 20100059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ic
encryption
print data
decryption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우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8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9450A/ko
Priority to US12/582,918 priority patent/US8656152B2/en
Publication of KR20100059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45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CCIPHERING OR DECIPHERING APPARATUS FOR CRYPTOGRAPHIC OR OTHER PURPOSES INVOLVING THE NEED FOR SECRECY
    • G09C5/00Ciphering apparatus or method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involving the concealment or deformation of graphic data such as designs, written or printed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및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와 연결 가능한 호스트장치의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은, 상기 작업대상 문서에 대한 암호화 설정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 설정화면에 대응하여 인쇄데이터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기 위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에 따라 상기 인쇄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인쇄데이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 별로 설정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이용하여 인쇄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므로 보안효과가 보다 강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및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HOST APPARATUS AND ENCRYPTION METHOD OF JOB OBJECT DOCUMENT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및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별로 설정된 암호화 및 복호화로직을 이용하여 인쇄데이터를 암호화하는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및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업의 업무환경이 컴퓨터와, 네트워크 및 인터넷 등을 사용하도록 변화하면서, 기업 내부에서만 사용되어야 하는 중요 문서나 도면 등의 기밀 데이터를 도난, 유출, 분실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의 기밀문서 등이 외부로 유출,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쇄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인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인쇄에 대해 각 기업들의 관심이 날로 커지고 있다.
이러한 보안인쇄를 위해 종래에는 호스트장치에서 설정된 암호화 모듈을 이용하여 인쇄데이터를 암호화하여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암호화 모듈에 대응하는 복호화 모듈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인쇄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인쇄를 수행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인쇄데이터의 암호화는 호스트장치와 화상형성장치 간에 미리 약속된 암호화 모듈 및 복호화 모듈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암호화 모듈 및 복호화 모듈은 통상적으로 패스워드나 암호화 키의 형태로 제품의 제조 시에 미리 저장되어 출시된다.
따라서, 동일한 호스트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는 하나의 암호화 모듈 및 복호화 모듈을 사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호스트장치나 화상형성장치 중 어느 하나에서 암호화 모듈 또는 복호화 모듈이 유출되는 경우, 해당 호스트장치 또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를 수행하는 모든 인쇄데이터에 대하여 보안 기능이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별로 설정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이용하여 인쇄데이터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여, 어느 하나의 암호화로직이 외부로 유출되어도 인쇄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및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선택하여 프로그래밍하므로 보안이 효과가 보다 강화된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및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복호화로직을 저장하지 않고 인쇄 수행 시 호스트장치에 복호화로직을 요청하며, 이에 수신된 복호화로직을 이용하여 인쇄데이터를 복호화하므로 복호화로직의 유출 가능성을 낮춘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및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와 연결 가능한 호스트장치의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상 문서에 대한 암호화 설정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 설정화면에 대응하여 인쇄데이터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기 위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에 따라 상기 인쇄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인쇄데이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선택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에디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은, 인쇄작업, 저장작업 및 지연작업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쇄작업, 저장작업 및 지연작업에 따라 상기 암호화로직 및 상기 복호화로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 종류에 따라 상기 인쇄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환된 인쇄데이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변환된 인쇄데이터와 상기 복호화로직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복호와 로직의 전송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복호화로직을 상기 호스트장치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호화로직은 상기 변환된 인쇄데이터와 구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복호화로직을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인쇄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호화된 인쇄데이터의 인쇄가 완료되면 상기 인쇄데이터 및 상기 복호화로직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선택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검증하는 단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와 연결 가능한 호스트장치에 있어서, 작업대상 문서에 대한 암호화 설정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암호화 설정화면에 대응하여 인쇄데이터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기 위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선택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에 따라 상기 인쇄데이터를 변환하는 암호화부와; 상기 변환된 인쇄데이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호스트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에디 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은, 인쇄작업, 저장작업 및 지연작업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인쇄작업, 저장작업 및 지연작업에 따라 상기 암호화로직 및 상기 복호화로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작업 종류에 따라 상기 인쇄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변환된 인쇄데이터와 상기 복호화로직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복호와 로직의 전송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복호화로직을 상기 호스트장치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호화로직은 상기 복호화로직의 식별정보 및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부를 가지며, 상기 변환된 인쇄데이터와 구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암호화부는, 상기 선택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검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호스트장치와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장치로부터 암호화된 인쇄데이터와 상기 인쇄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로직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복호화로직을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인쇄데이터를 변환하는 복호화부와; 상기 변환된 인쇄데이터를 인쇄하는 화상형성 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호화된 인쇄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된 인쇄데이터에 대한 인쇄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인쇄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호스트장치에 상기 복호화로직을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호화된 인쇄데이터의 인쇄가 완료되면 상기 인쇄데이터 및 상기 복호화로직을 삭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및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은 사용자 별로 설정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이용하여 인쇄데이터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여, 어느 하나의 암호화로직이 외부로 유출되어도 인쇄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선택하여 프로그래밍하므로 보안효과가 보다 강화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에 복호화로직을 저장하지 않고 인쇄 수행 시 호스트장치에 복호화로직을 요청하며, 이에 수신된 복호화로직을 이용하여 인쇄데이터를 복호화하므로 복호화로직의 유출 가능성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시스템(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시스템(10)은 호스트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200)를 포함한다. 호스트장치(100)는 PC 등으로 구현된다. 화상형성장치(200)는 프린터, 복사기, 팩스,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가지는 복합기 등으로 구현되며,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장치(100)와 연결되어 인쇄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호스트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데이터를 암호화하여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200)는 호스트장치(100)로부터 암호화된 인쇄데이터 및 복호화로직을 수신하고, 수신된 복호화로직을 이용하여 인쇄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인쇄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을 형성하고 인쇄를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장치(100)는 화상처리부(110), 암호화부(120),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130), 제1 표시부(140), 제1 통신부(150) 및 제1 저장부(160)를 포함한다.
화상처리부(110)는 인쇄명령에 따라 인쇄대상 원고에 대하여 PS, PCL 등과 같은 소정 프린트 언어를 이용한 화상처리를 수행하여 인쇄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화상처리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인쇄명령을 수신하면 프린터 드라이버나, 프린터 드라이버와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인쇄대상 원고에 대한 렌더링 및 하프토닝을 수행하여 인쇄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쇄데이터에 대한 스풀링을 수행한다. 스풀링된 인쇄데이터는 제1 통신부(150)를 통해 화상형성 장치(200)로 전송된다.
암호화부(120)는 사용자 별로 선택된 암호화로직을 이용하여 인쇄데이터를 변화 즉, 암호화를 수행한다. 화상처리부(110)와 암호화부(120)는 CPU와 같은 중앙처리장치에 펌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적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화상처리부(110)와 암호화부(120)는 경우에 따라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사용자로부터 인쇄명령을 포함한 각종 명령을 입력 받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선택하기 위한 명령(Command) 및 암호화로직을 에디트(Edit)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사용자 로그인을 위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호스트장치(100)는 입력된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대하여 인증부(미도시)를 통해 해당 사용자를 인증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 호스트장치(100)는 로그인하는 사용자 별로 대응하는 암호화 설정화면을 표시하고, 표시된 암호화 설정화면에 대응하여 암호화 설정이 가능하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호스트장치(100)의 입력장치로서 마련되는 키보드, 마우스 등을 포함하며, 드라이버나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 가능하도록 제1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도 2 및 도 3의 설정화면에 표시된 암호화 탭(20), 암호화 설정버튼(21), 로직생성 버튼 (22), 로직선택 드롭 다운 리스트(23), 저장버튼(24), 수정버튼(25) 등을 포함한다.
제1 표시부(140)는 인쇄작업에 대한 암호화 설정화면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암호화 설정화면에 대응하여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설정항목은 지원 가능한 작업종류 즉, 인쇄작업, 저장 작업, 지연작업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암호화 적용여부, 암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로직함수 등을 포함한다.
제1 표시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LCD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부(도시 안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인쇄 설정화면 및 암호화 설정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프린터 드라이버를 실행시켜 표시된 인쇄 설정화면에서 암호화 탭(20)을 선택하여 암호화 및 복호화로직에 대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호화 탭(20)의 선택에 따라 제1 표시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암호화 설정화면을 표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암호화 설정화면은 인쇄작업, 저장작업, 지연작업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암호화 적용 여부를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한다. 이에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지원 가능한 각 작업 별로 암호화 적용 여부를 선 택할 수 있다. 여기서, 암호화 적용 여부를 선택하는 작업은 인쇄작업, 저장작업, 지연작업 뿐 아니라 화상형성장치(200)의 기능에 따라 스캔, 팩스 송수신, 이메일 전송 등과 같은 다양한 작업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암호화 설정화면은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생성 또는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로직생성 버튼(22)를 선택하여 새로운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직접 에디트(Edit)하거나, 기 저장된 로직(예컨대, 암호화 1, 암호화 2 등)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기 저장된 로직은 제조사에 의해 미리 생성되어 제품 출시 시에 제1 저장부(160)에 저장된 로직이거나,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어 제1 저장부(160)에 기 저장된 로직일 수 있다. 제조사에 의해 미리 생성된 로직은 드라이버의 셋업 시 제 1 저장부(160)에 저장된다.
도 3의 암호화 설정화면에서 사용자가 기 저장된 로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암호화부(120)는 선택된 암호화로직에 따라 인쇄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제1 통신부(150)는 해당 작업의 종류에 따라 인쇄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한다.
도 3의 암호화 설정화면에서 사용자가 로직생성 버튼(22)을 선택하면, 제1 표시부(130)는 도 4 와 같은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사용자가 직접 에디트 하기 위한 암호화 에디트(Edit) 창을 표시한다. 여기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은 인쇄데이터에 대하여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API 함수를 이용 하여 사용자가 직접 에디트(Edit) 할 수 있는 인쇄데이터의 변환 프로그램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암호화 에디트 창은 프로그램에 이용할 수 있는 기본 API함수를 매뉴얼 형태로, 또는 에디트 창에서 직접 확인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이에 따라, 기본 API함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에 대하여 직접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기본 API 함수의 예는 다음과 같다.
GetData(* aubInDatabuf, ulSize)
PutData(* aubOutDatabuf, ulSize)
사용자는 위와 같이 제공되는 API함수를 이용하여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직접 에디트(Edit)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암호화탭(41)을 선택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암호화 에디트 창에서 GetData 함수를 이용하여 암호화로직을 에디트 하면, 암호화부(110)는 GetData 함수를 이용하여 화상처리부(100)로부터 인쇄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된 인쇄데이터는 사용자가 직접 에디트 한 프로그램에 의해 변환 즉, 암호화되고, 암호화된 인쇄데이터는 PutData 함수를 이용해서 제1통신부(150)로 전달 되게 된다.
화상처리부(100)로부터 전달된 인쇄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해, 사용자는 암호화 에디트 창에서 수신된 인쇄데이터에 대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직접 프로그램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로직 함수는 프로그램 언어를 사용하여 만든 함수이다.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는 복호화 탭(42)를 선택하여 복호화로직에 대한 프로 그래밍을 수행한다.
위와 같은, 암호화 및 복호화 프로그래밍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도 4에서 검증탭(43)을 선택하여 에디트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에 대한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검증을 완료 할 수 있게 한다.
이후 검증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도 4의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 에디트 창에서 새로 생성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에 대한 이름을 선택하고, 제1저장부로(160)에 저장한다. 여기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에 대한 이름은 드라이버에 의해 디폴트로(예컨대, 암호화 3)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의 암호화 에디트 창에서 인버터(Invert) 방식으로 암호화 하는 C 프로그램 예는 다음과 같다.
Void EncryptionMain()
{
unsigned char GetBuff[8], PutBuff[8];
unsigned long ulCount;
GetData(GetBuff, 8);
For(ulCount = 0; ulCount<8; ulCount++)
{
PutBuff[ulCount] = ~ Getbuff[ulCount];
}
PutData(PutBuff,8);
}
이에 따라, 암호화 에디트 창에서 제공되는 기본 API 함수를 이용해 사용자가 직접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에디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디트된 암호화 및 복호화로직을 검증하여 오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새로운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이 생성되면, 해당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은 도 3의 암호화 설정화면에서 드롭 다운 리스트(23)에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도 3의 암호화 설정 화면에서 기 저장된 어느 하나의 암호화 및 복호화로직(예컨대, 암호화 1)를 선택하고, 수정버튼(25)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정버튼(25)을 선택하면, 제1 표시부(140)는 도 4의 암호화 에디트 창에 암호화 1에 대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표시한다. 이에, 사용자는 암호화 탭(41) 및 복호화 탭(42)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기 저장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에 대한 수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사에 의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에 대하여도 사용자 고유의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으로 변경 가능하다.
위와 같은,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에 대한 설정 및 검증이 모두 완료되면, 사용자는 저장버튼(24)를 선택하여, 설정 또는 수정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제1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제 1 저장부는 HDD와 같은 내장용 저장 매체로 구현될 수 있으며, USB 메모리, 메모리카드(메모리 스틱, CF 카드, MMC)와 같은 외장용 또는 휴대용 저장매체에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복사(copy)할 수도 있다.
도 3의 암호화 설정화면에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의 설정이 완료되면, 암호화부(120)는 설정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이용하여 인쇄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예컨대,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이 XOR 함수를 이용하도록 설정된 경우, 암호화부(120)는 화상처리부(110)로부터 수신한 인쇄데이터를 데이터 입력창(23)의 입력값과 비트별로 XOR하여 인쇄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이 인버터 함수를 이용하도록 설정된 경우, 암호화부(120)는 화상처리부(110)로부터 수신한 인쇄데이터를 비트별로 인버터하여 인쇄데이터를 암호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 호스트장치(100)는 사용자가 직접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프로그래밍하고, 이에 따라 인쇄데이터를 암호화하게 되므로, 보다 강화된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1 통신부(150)는 암호화로직을 이용하여 변환된 인쇄데이터와, 변환된 인쇄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로직을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호스트장치(100)는 인쇄데이터와 복호화로직을 함께 전송하거나, 인쇄데이터를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복호화로직의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복호화로직을 별도로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호화부(120)에서 암호화된 인쇄데이터가 인쇄작업에 대응하는 경우, 제1 통신부(150)는 암호화된 인쇄데이터를 복호화로직과 함께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호스트장치(100)는 인쇄데이터의 마지막에 복호화로직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된 인쇄데이터는 함께 전송된 복호화로직을 이용하여 복호화되어 인쇄된다.
여기서, 암호화부(120)는 암호화된 인쇄데이터와 복호화로직을 구별하기 위해 복호화로직의 헤더부에 복호화로직의 식별정보 및 사이즈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복호화로직의 식별정보는 @PJL SET DECRYPTION DATA 와 같은 형식을 가질 수 있으며, 복호화로직의 사이즈는 4 바이트 일 수 있다.
한편, 암호화부(120)에서 암호화된 인쇄데이터가 저장작업에 대응하는 경우, 제1 통신부(150)는 암호화된 인쇄데이터 만을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한다. 전송된 인쇄데이터는 화상형성장치(200)에 저장된다.
이에 따라, 저장작업의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복호화로직은 호스트장치(100)의 제1 저장부(160)에 저장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저장된 작업에 대한 인쇄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호스트장치(100)에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복호화로직을 요청하면, 제1 통신부(150)는 요청된 복호화로직을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한다.
한편, 지연작업에 대하여도 호스트장치(100)는 복호화로직을 제1 저장부(160)에 저장하고, 추후 인쇄 수행 시에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되는 복호화로직은 추후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인쇄가 수행되는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복호화로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되는 저장작업의 인쇄데이터는 추후 인쇄를 수행하고자 할 때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복호화로직을 요청하기 위한 식별정보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인쇄데이터 또는 복호화로직의 식별정보는 저장작업의 파일명, 생성자, 작업일시, 인쇄데이터가 전송된 화상형성장치의 디바이스 ID, 인쇄데이터가 암호화된 호스트장치의 디바이스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제1 통신부(150)는 화상형성장치(200)와 로컬 또는 소정 프로토콜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가능한 유무선 통신모듈이나, USB 메모리와 같은 휴대용 저장매체와 연결 가능한 USB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호스트장치(100)가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선택하고, 선택된 암호화로직에 따라 인쇄데이터의 암호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은 프린터 드라이버가 아닌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선택하고, 인쇄데이터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200)는 화상형성부(210), 복호화부(220),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230), 제2 표시부(240), 제2 통신부(250) 및 제2 저장부(260)를 포함한다.
화상형성부(210)는 인쇄명령에 따라 화상을 형성한다. 여기서, 인쇄는 원고를 스캔한 후의 복사를 위한 인쇄, 수신된 팩스데이터의 인쇄, 서버를 포함하는 호스트장치(10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화상형성장치(200)의 내부(HDD) 또는 외부(USB 메모리)에 저장된 인쇄데이터의 인쇄를 포함한다.
복호화부(220)는 호스트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복호화로직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인쇄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여기서, 복호화로직은 해당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복호화로직이 된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230)는 사용자로부터 인쇄명령을 포함한 각종 명령을 입력 받는다. 여기서, 입력되는 명령은 제2 저장부(260)에 저장된 인쇄데이터에 대한 인쇄명령 및 저장된 인쇄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로직을 요청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230)는 사용자 로그인을 위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0)는 입력된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대하여 인증부(미도시)를 통해 해당 사용자를 인증한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23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입력장치로서 마련되는 하드키를 포함하며, 드라이버나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어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 가능하도록 제2 표시부(240)에 표시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부(240)는 화상형성장치(200)의 작업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즉, 제2 표시부(240)는 제2 저장부(260)에 저장된 작업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표시부(240)는 각 사용자는 별로 대응하는 작업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작업 리스트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저장작업 탭(50)을 선택하여 표시된 저장작업 리스트에 대응하여,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230)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저장작업에 대한 인쇄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0)는 입력된 인쇄명령에 대응하여 호스트장치(100)에 대응하는 복호화로직을 요청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200)는 인쇄를 수행하고자 하는 인쇄데이터의 파일명, 생성자, 작업일시, 호스트장치의 디바이스 ID 등의 식별정보를 호스트장치(100)에 전송하고, 제2 통신부(250)를 통해 전송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복호화로직을 수신한다.
복호화부(220)는 수신된 복호화로직을 이용하여 인쇄데이터를 복호화하고, 화상형성부(210)는 복호화된 인쇄데이터에 대한 인쇄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화상형성장치(200)에는 수신된 복호화로직을 해석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제2 저장부(260)는 호스트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인쇄데이터 및 복호화로직을 저장하며, HDD와 같은 내장용 저장매체나, USB 메모리, 메모리카드(메모리 스틱, CF 카드, MMC)와 같은 외장용 또는 휴대용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제2 저장부(260)는 RAM 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200)는 호스트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복호화로직을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된 복호화로직은 인쇄데이터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한 후, 다른 사용자가 로그인하거나 재부팅되는 경우 수신된 복호화로직은 삭제되기 때문에, 복호화로직이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이 낮아진다.
한편, 본 발명 화상형성장치(100)는 복호화로직을 비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경우에, 복호화 완료 후 자동 삭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인쇄가 완료된 인쇄데이터 및 복호화로직을 모두 삭제할 수도 있다.
제2 통신부(250)는 호스트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며, 호스트장치(100)로부터 암호화된 인쇄데이터 및 복호화로직을 수신한다. 여기서, 제2 통신부(250)는 인쇄데이터와 복호화로직을 함께 수신하거나, 인쇄데이터만 수신하고 별도의 요청과정을 통해 복호화로직을 수신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0)는 복호화로직의 헤더부를 통해 인쇄데이터와 복호화로직을 식별 가능하다.
제2 통신부(250)는 호스트장치(100)와 로컬 또는 소정 프로토콜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가능한 유무선 통신모듈이나, USB 메모리와 같은 휴대용 저장매체와 연결 가능한 USB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호스트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200)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시스템(10)에 있어서,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과정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인쇄작업에 대한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호스트장치(100)는 사용자의 인쇄데이터의 암호화 탭(20)의 선택에 대응하여, 작업대상 문서에 대한 암호화 설정화면을 표시한다(S110). 여기서, 표시되는 암호화 설정화면은 도 3에 도시된 화면일 수 있다.
사용자는 단계 S110에서 표시된 암호화 설정화면에 대응하여,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선택한다(S120).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 3의 암호화 설정화면에서 인쇄작업, 저장작업 및 지연작업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암호화 적용 여부를 선택하고, 암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로직 함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로직생성 버튼 (22)을 선택하거나, 로직선택 드롭 다운 리스트(23)에서 기 저장된 암호화 및 복호화로직을 선택한 상태에서 수정버튼(25)을 선택하면, 호스트장치(100)는 도 4의 암호화 에디트 창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직접 에디트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암호화부(120)는 설정에 따라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생성 또는 수정하고, 이를 저장 및 검증할 수 있다.
다음, 호스트장치(100)는 작업대상 문서에 대한 작업명령을 수신한다(S130). 여기서, 수신되는 작업명령은 인쇄작업에 대한 명령일 수 있다.
이에, 암호화부(120)는 단계 S120에서 선택된 암호화로직을 이용하여 인쇄데이터를 변환, 즉 암호화한다(S140).
그리고, 제1 통신부(150)는 단계 S140에서 암호화된 인쇄데이터 및 단계 S120에서 선택된 복호화로직을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한다(S150). 여기서, 제1 통신부(150)는 변환된 인쇄데이터의 마지막에 복호화로직을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복호화로직은 인쇄데이터와의 구별하기 위한 복호화로직의 식별정보 및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부를 가질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0)는 호스트장치(100)로부터 인쇄데이터 및 복호화로직을수신하고, 수신된 복호화로직을 이용하여 인쇄데이터를 복호화한다(S160).
그리고, 화상형성부(210)는 복호화된 인쇄데이터에 대한 화상을 형성하여 인쇄를 수행한다(S170). 여기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쇄가 완료되면, 해당 인쇄데 이터 및 복호화로직을 삭제할 수 있다.
도 7은 저장작업에 대한 인쇄데이터의 암호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단계 S210 내지 단계 S240의 과정은, 도 6의 단계 S110 내지 S140에 대응되며, 단계 S230에서 수신되는 작업명령은 저장작업에 대한 명령일 수 있다.
제1 통신부(150)는 단계 S240에서 암호화된 인쇄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한다(S250).
화상형성장치(200)는 호스트장치(100)로부터 암호화된 인쇄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 저장부(260)에 저장한다(S260).
화상형성장치(200)는 단계 S260에서 저장된 인쇄데이터에 대한 인쇄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260).
이에, 호스트장치(100)에 인쇄를 수행하고자 하는 인쇄데이터의 식별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복호화로직을 요청하여, 대응하는 복호화로직을 수신한다(S280). 여기서, 수신되는 복호화로직의 식별정보 및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부를 가질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2000는 수신된 복호화로직을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0)는 수신된 복호화로직을 이용하여 저장된 인쇄데이터를 복호화한다(S290).
그리고, 화상형성부(210)는 복호화된 인쇄데이터에 대한 화상을 형성하여 인쇄를 수행한다(S300). 여기서, 인쇄가 완료된 되면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복호화로직은 삭제될 수 있다. 또한, 복호화로직이 비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 경우라 도,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쇄가 완료된 인쇄데이터 및 복호화로직을 삭제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별로 대응하는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이용하여 인쇄데이터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고, 사용자가 직접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선택하여 프로그래밍하므로, 암호화로직의 유출 가능성이 낮고 보안이 강화된다.
뿐만 아니라, 저장작업의 경우, 인쇄 수행 시 복호화로직을 요청하며, 요청에 따라 수신된 복호화로직은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여 인쇄 완료 후 삭제 가능하므로, 화상형성장치에서의 보안도 보다 강화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인쇄 설정화면 및 암호화 설정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 에디트 창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작업 리스트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인쇄작업에 대한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7은 저장작업에 대한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형성시스템 100 : 호스트장치
110 : 화상처리부 120 : 암호화부
130 :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140 : 제1 표시부
150 : 제1 통신부 160 : 제1 저장부
200 : 화상형성장치 210 : 화상형성부
220 : 복호화부 230 :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240 : 제2 표시부 250 : 제2 통신부
260 : 제2 저장부

Claims (25)

  1. 화상형성장치와 연결 가능한 호스트장치의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상 문서에 대한 암호화 설정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 설정화면에 대응하여 인쇄데이터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기 위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에 따라 상기 인쇄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인쇄데이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선택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에디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은
    인쇄작업, 저장작업 및 지연작업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작업, 저장작업 및 지연작업에 따라 상기 암호화로직 및 상기 복호화로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 종류에 따라 상기 인쇄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인쇄데이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변환된 인쇄데이터와 상기 복호화로직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복호와 로직의 전송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복호화로직을 상기 호스트장치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로직은 상기 변환된 인쇄데이터와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복호화로직을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인쇄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된 인쇄데이터의 인쇄가 완료되면 상기 인쇄데이터 및 상기 복호화로직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검증하는 단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
  13. 화상형성장치와 연결 가능한 호스트장치에 있어서,
    작업대상 문서에 대한 암호화 설정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암호화 설정화면에 대응하여 인쇄데이터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기 위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선택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에 따라 상기 인쇄데이터를 변환하는 암호화부와;
    상기 변환된 인쇄데이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에디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은,
    인쇄작업, 저장작업 및 지연작업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트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인쇄작업, 저장작업 및 지연작업에 따라 상기 암호화로직 및 상기 복호화로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작업 종류에 따라 상기 인쇄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 여부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변환된 인쇄데이터와 상기 복호화로직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복호와 로직의 전송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복호화로직을 상기 호스트장치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로직은 상기 복호화로직의 식별정보 및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부를 가지며, 상기 변환된 인쇄데이터와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21.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22.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부는, 상기 선택된 암호화로직 및 복호화로직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23. 호스트장치와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장치로부터 암호화된 인쇄데이터와 상기 인쇄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로직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복호화로직을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인쇄데이터를 변환하는 복호화부와;
    상기 변환된 인쇄데이터를 인쇄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인쇄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된 인쇄데이터에 대한 인쇄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인쇄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호스트장치에 상기 복호화로직을 요청 및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호화된 인쇄데이터의 인쇄가 완료되면 상기 인쇄데이터 및 상기 복호화로직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80118227A 2008-11-26 2008-11-26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및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 Ceased KR2010005945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227A KR20100059450A (ko) 2008-11-26 2008-11-26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및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
US12/582,918 US8656152B2 (en) 2008-11-26 2009-10-21 Image forming apparatus, host apparatus and encryption method of job object document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227A KR20100059450A (ko) 2008-11-26 2008-11-26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및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450A true KR20100059450A (ko) 2010-06-04

Family

ID=42197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227A Ceased KR20100059450A (ko) 2008-11-26 2008-11-26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및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56152B2 (ko)
KR (1) KR201000594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4081B2 (ja) * 2010-10-29 2013-07-1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
KR101770299B1 (ko) * 2011-01-18 201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14065146A (ja) * 2012-09-24 2014-04-17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US9141823B2 (en) * 2013-03-15 2015-09-22 Veridicom, Sa De Cv Abstraction layer for default encryption with orthogonal encryption logic session object; and automated authentication, with a method for online litigation
CN104978363B (zh) * 2014-04-11 2018-05-25 珠海市君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加密算法的检测方法及系统
US10084820B2 (en) * 2015-02-27 2018-09-25 Konica Minolta Laboratory U.S.A., Inc. Method and system for IPSec security for IPP-USB data
US10516800B2 (en) 2015-10-21 2019-12-24 Hydragraphix Llc Method of using middleware for generating vector graphics imaged security documents
JP6903944B2 (ja) * 2017-02-27 2021-07-14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印刷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977316B2 (ja) * 2017-06-01 2021-12-08 株式会社リコー 設定情報利用システム、設定情報利用方法
CN116755649B (zh) * 2023-08-15 2023-10-31 南京功夫豆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打印设备数据管理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3932A (en) * 1995-12-19 1997-05-27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disclosure through user-authentication at a printing node
JP3619087B2 (ja) * 1999-11-02 2005-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2001346135A (ja) * 2000-06-01 2001-12-14 Nikon Gijutsu Kobo:Kk デジタルプリントの注文・作成方法及び装置、並びに画像データの管理方法
US7136486B2 (en) * 2000-09-11 2006-11-14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 system and printer capable of prevention of unjust copy print
GB2371888A (en) * 2001-01-31 2002-08-07 Hewlett Packard Co A printer device capable of decrypting digital document files and method of securely communicating electronic files over a network
US20030044009A1 (en) * 2001-08-31 2003-03-06 Sridhar Dathathraya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communications with network printers
JP4262025B2 (ja) 2002-08-06 2009-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管理サーバ、印刷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742806B1 (ko) 2002-08-06 2007-07-2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데이터 암호화 및 암호 해독을 포함한 인쇄 데이터 통신
JP4045552B2 (ja) * 2002-08-30 2008-02-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及び印刷システム、並びに、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
US20040125402A1 (en) * 2002-09-13 2004-07-01 Yoichi Kanai Document printing program, document protecting program, document protecting system, document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out a document based on security policy
JP4188732B2 (ja) * 2003-03-20 2008-11-26 株式会社リコー プリンタドライバプログラム
US7177985B1 (en) * 2003-05-30 2007-02-13 Mips Technologies, Inc. Microprocessor with improved data stream prefetching
KR20050045193A (ko) * 2003-11-10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보안 출력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3840244B2 (ja) * 2003-11-12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ジョブ処理方法、記憶媒体、プログラム
JP2005151459A (ja) * 2003-11-19 2005-06-09 Canon Inc 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画像データ処理方法
EP1536305A1 (en) * 2003-11-27 2005-06-01 Océ-Technologies B.V. Secure transmission of electronic documents
US7983420B2 (en) * 2004-05-24 2011-07-1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Imaging job authorization
KR100619022B1 (ko) * 2004-05-25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기능을 가진 문서 프린트 시스템 및 방법
US7506160B2 (en) * 2004-11-12 2009-03-17 Toshib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data security in office machine environment
US8031349B2 (en) * 2005-06-08 2011-10-04 Ricoh Company, Ltd. Approach for securely printing electronic documents
KR101235216B1 (ko) 2005-12-29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시스템
US7667865B2 (en) * 2006-02-06 2010-02-23 Xerox Corporation Mobile device-enabled secure release of print jobs
JP2008097075A (ja) 2006-10-06 2008-04-24 Fuji Xerox Co Ltd 制限印刷システム
JP2008102851A (ja) 2006-10-20 2008-05-01 Seiko Epson Corp 印刷システム、印刷方法、及び印刷用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31753A1 (en) 2010-05-27
US8656152B2 (en) 201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9450A (ko)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및 작업대상 문서 암호화 방법
US8301908B2 (en) Data security in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5332814B2 (ja) 印刷装置、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01078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08035494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20182212A (ja) 画像形成システム、サーバー、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KR101324181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보안인쇄방법
JP2018202708A (ja) 設定情報利用システム、電子機器、設定情報利用方法、プログラム
US2011027695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stall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stallation method
KR101391756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보안인쇄방법
US20180082067A1 (en) Information Sharing Server,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US8645499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5100480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JP2012221210A (ja) 情報処理装置、電子機器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KR102429763B1 (ko)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
JP5779987B2 (ja) 選択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
JP2007221373A (ja) 通信装置及び前記通信装置における通信制御方法
JP7631829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3089153A (ja) プリンタードライバー
JP5575090B2 (ja) 画像形成装置
JP6375804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4669793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スキャンデータを内包するプログラム
JP564057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設定制御方法、設定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2342061A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画像形成装置,そのプログラム
JP513598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2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1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5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1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5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40729

Appeal identifier: 2013101005322

Request date: 20130722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308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301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3091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722

Effective date: 20140729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40729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30722

Decision date: 20140729

Appeal identifier: 2013101005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