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8281A - Microphone unit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icrophone unit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58281A KR20100058281A KR1020080117034A KR20080117034A KR20100058281A KR 20100058281 A KR20100058281 A KR 20100058281A KR 1020080117034 A KR1020080117034 A KR 1020080117034A KR 20080117034 A KR20080117034 A KR 20080117034A KR 20100058281 A KR20100058281 A KR 201000582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filter
- signal
- microphone unit
- filte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4—Micro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이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 유닛에 공진 필터를 추가하여 특정 주파수 영역대의 잡음을 필터링할 수 있는 마이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phone unit an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crophone unit capable of filtering noise in a specific frequency range by adding a resonance filter to the microphone unit an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최근 들어,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폭넓은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 중에 이동하면서도 음성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체 국민의 85% 이상이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그 인기가 매우 높은 휴대 단말기이다. Recently,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widely used based on mobility. In particula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apable of making voice calls while moving among the portable terminals are very popular portable terminals used by more than 85% of the nation.
상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화 지원을 위하여 무선주파수부와, 모뎀을 포함하는 제어부, 음성 출력과 수집을 위한 오디오 처리부 및 통화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부의 구성을 포함한다. 특히, 오디오 처리부에서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 유닛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배치되기 위하여 소형의 크기가 요구되고 있다.The above-describ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configuration of a radio frequency unit, a controller including a modem, an audio processor for voice output and collection, and a display unit for providing a call screen for voice call support. In particular, the microphone unit for collecting voice in the audio processing unit is required to be small in size in order to be dispo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러한 소형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는 콘덴서 마이크로폰 특히 일렉트릿을 이용하는 일렉트릿 콘덴서 마이크로폰(Electret Condenser Microphone : 이하 ECM)을 이용한다.In order to satisfy such a small requiremen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s an electret condenser microphone (ECM) using a condenser microphone, particularly an electret.
상술한 종래의 ECM은 알루미늄, 스틸, 황동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케이스 내부에 진동판 등이 구비되고, 진동판과 일렉트릿에 의해 형성된 전계를 외부음이 변화시킴으로 전기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ECM 실장된 기판에서 이 전기신호를 처리하여 가청영역대의 신호로 전환한 후, 녹음, 출력 또는 전송하게 된다. 이를 위해, ECM의 내부에는 일렉트릿과 진동판에 의해 발생된 1차 전기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FET(Field Effect Transister)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마이크 유닛은 진동판과 일렉트릿에 의해 형성되는 전계가 외부 환경 및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해 취약하여 잡음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The conventional ECM is provided with a diaphragm or the like inside a case made of metal such as aluminum, steel, or brass, and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by changing an external sound of an electric field formed by the diaphragm and the electret. The ECM-mounted substrate processes this electrical signal and converts it to a signal in the audible region, and then records, outputs, or transmits the signal. To this end, the interior of the ECM includes a FET (Field Effect Transister) for amplifying the primary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electret and the diaphragm. Such a conventional microphone unit has a problem in that an electric field formed by the diaphragm and the electret is vulnerable to noise generated from an external environment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generating a lot of nois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저감하면서 수집되는 오디오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마이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crophone unit an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minimize the influence on the collected audio while reducing noise generated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 유닛은, 음공을 통하여 전달된 물리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몸체부; 상기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가지는 기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증폭된 신호에 대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필터링할 수 있는 공진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icrophone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dy portion for converting the physica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ound hol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substrate unit having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electrical signal and a 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amplified signal, wherein the filter unit includes a resonance filter capable of filtering the amplified signal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It features.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무선주파수부; 상기 통화 채널 형성을 위한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통화 채널 형성에 따라 송신할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는 마이크 유닛; 상기 무선주파수부와 상기 입력부 및 상기 마이크 유닛을 제어하여 통화 채널 형성 간 수집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 유닛은 음공을 통하여 전달된 물리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몸체부, 상기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가지는 기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증폭된 신호에 대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필터링할 수 있는 공진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radio frequency unit for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An input unit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for forming the call channel; A microphone unit for collecting an audio signal to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call channel formati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radio frequency unit, the input unit, and the microphone unit to transmit the collected audio signals between call channel formations, wherein the microphone unit converts a physical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sound hol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body part, a substrate part having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electrical signal, and a filter part for filtering the amplified signal, wherein the filter part includes a resonance filter capable of filtering the amplified signal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수집되는 오디오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요구되는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icrophone unit and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noise of the required frequency band while minimizing the influence of the collected audio.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urb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are appropriate to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표시부(130)와, 입력부(110) 및 마이크 유닛(120)을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100)는 실질적으로 이동통신 기능 지원을 위하여 무선주파수부와, 스피커, 전원부 및 상술한 각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단말기 사용에 따라 필요한 화면을 출력한다. 그리고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하여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의 경우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에 대응하는 이미지와 좌표 값을 설정하고, 터치 이벤트 발생 시, 해당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 유닛(120)은 외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며, 음성 통화 등이 수행될 때,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유닛(120)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 a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icrophon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 유닛(120)은 몸체부(1)와 집적회로(3)를 가지는 기판부(2)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2, the
몸체부(1)는 외부 음향을 1차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몸체부(1)는 진동판, 일렉트릿, 케이스와 같은 구성물을 구비한다. 이 몸체부(1)는 진동판 과 일렉트릿에 의해 생성된 1차 전기신호를 도전수단에 의해 기판부(2)에 전달한다. 이 몸체부(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body 1 converts external sound into a primary electrical signal. To this end, the body 1 is provided with components such as diaphragms, electrets, and cases. This body portion 1 transmits the primary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diaphragm and electret to the
기판부(2)는 몸체부(1)로부터 제공되는 1차 전기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1차 전기신호로부터 가청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추출하여 2차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기판부(2)는 변환된 2차 전기신호를 외부장치 또는 회로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기판부(2)는 인쇄회로기판(5)과 인쇄회로기판(5) 상에 실장되는 집적회로(3) 및 집적회로(3)에 연결되는 신호 라인(8)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판부(2)의 동작 설명을 위하여 기판부(2)에 대응하는 등가회로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부(2)의 구성을 등가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3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집적회로(3)는 증폭부(4)와 필터부(6)로 구성된다. 증폭부(4)는 몸체부(1)로부터 전달되는 약한 신호레벨을 가지는 전기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부(6)는 증폭된 전기신호에 삽입된 노이즈를 필터링한다. 이를 위해, 증폭부(4)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 OP앰프와 같은 증폭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필터부(6)는 커패시터와 인덕터가 병렬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몸체부(1)에 형성된 음공을 통하여 외부 오디오 신호가 전달되면, 몸체부(1) 내부에 배치된 진동판과 일렉트릿으로 형성된 ECU는 진동판의 떨림에 따른 일렉트릿과의 거리 변화에 따라 정전용량의 분포 변화를 일으킨다. 이러한 정전용량의 분포 변화가 집적회로(3)에 전달되면, 집적회로(3)에 포함된 증폭부(3)가 해당 신호를 증폭하여 필터부(6)에 전달한다. 필터부(6)는 2차 공진필터를 이용하여 증폭된 신호의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필터부(6)는 증폭부(3)와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인덕터, 증폭부(3)와 제1 인덕터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제1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인덕터 및 제1 인덕터와 제2 인덕터 사이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2 커패시터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6)는 파이(π)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증폭부(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두 군데에서 필터링할 수 있다. 이때, 파이 형태의 필터부(6)는 특정 주파수 영역 예를 들면 GSM 통신 모듈에 따른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노이즈가 주로 발생하는 824 ~ 915Mhz 대역과, DCS/PCS 통신 모듈에 따른 TDMA 노이즈가 주로 발생하는 1705~1901Mhz 대역을 필터링할 수 있는 커패시터와 인덕터 값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필터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군데 영역에서 잡음을 필터링하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 유닛은 휴대 단말기의 슬림화와 인테나 위치의 제약으로 인하여 마이크 유닛과 안테나 간 거리가 점점 가까워지는 구조 및 GSM 또는 PCS 단말기 특유의 통신 방식으로 인하여 발생을 피할 수 없는 TDMA 노이즈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이크 유닛은 필터부 구성에서 저항소자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원신호의 감쇠가 없어져 감쇠에 대한 보상으로 인한 선형 노이즈 증폭 또한 막을 수 있어 오 디오 송화 파트의 전반적인 음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icrophon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ted due to a structur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unit and the antenna becomes closer due to the slimm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limitation of the antenna position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peculiar to the GSM or PCS terminal. TDMA noise inflow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microphon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resistance element in the filter unit configuration, the attenuation of the original signal is eliminated, thereby preventing linear noise amplification due to the compensation for the attenuation, thereby improving the overall sound quality of the audio transmission part. hav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 유닛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microphon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렉트릿 콘덴서 마이크로폰의 몸체부(1)는 케이스(20), 진동판(22), 스페이서링(23), 배극판(24), 도전베이스링(25) 및 절연베이스링(26)을 구비한다.5, the body portion 1 of the electret condenser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케이스(20)는 상기 진동판(22), 스페이서링(23), 배극판(24), 도전베이스링(25) 및 절연베이스링(26)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진다. 이러한 케이스(20)는 내부 수납물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외부노이즈를 차폐하여 ECM의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하고, 내부 수납물의 유동을 방지한다. 여기서, 케이스(20)는 기판부의 결합방법에 따라 기판부를 내부에 수납할 수 도 있다. 즉, 커링공정에 의해 기판부(2)와 몸체부(1)를 결합하는 경우, 케이스(20)는 내부에 기판부를 수납하며, 저항용접, 레이저용접, 접착과 같은 방법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케이스(20)는 기판부를 내부에 수납하지 않고, 기판부가 케이스(20)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는 진동판(22)과 기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를 위해, 케이스(20)는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다각 또는 원형 기둥으로 제작되고, 개방되지 않은 부분에는 음향이 유입되는 음공(27)이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스(20)는 노이즈의 차폐를 위해 알루미늄(Al), 동(Cu), 이들을 이용한 합금과 같이 전도성이 양호한 금속을 이용하여 제작되며, 전기 전도도의 향상 및 부식 방지를 위해 금(Au) 또는 니켈(Ni)을 도금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The
상기 진동판(Diaphragm)(22)은 배극판(33)과 함께 전계를 형성하고, 음공을 통해 들어온 음향의 음압에 의해 진동하여 배극판(33) 사이에 형성된 전계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진동판(22)은 진동막(22b)과 폴라링(22a)으로 구성된다. 상기 진동막(22b)은 미세한 음압에도 쉽게 진동할 수 있도록 수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필름에 도전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니켈(Ni), 은(Ag) 또는 금(Au) 등의 금속을 스퍼터링하여 제작한다. 상기 폴라링(22a)은 진동막(22b)을 고정 및 지지하고, 진동막(22b)의 진동공간을 확보함과 아울러, 케이스(20)와 함께 진동막(22b)의 도전경로를 형성한다.The
상기 스페이서링(Spacer Ring)(23)은 진동판(22)과 배극판(24) 사이에 위치하여, 진동판(22)과 배극판(24)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페이서링(23)은 진동판(22)과 배극판(33)이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하며, 이를 위해 아크릴 수지와 같이 절연특성이 좋은 물질을 이용하여 제작된다.The
상기 배극판(Back Electret)(24)은 진동판(22)과 함께 전계를 형성하여, 음향신호를 1차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배극판(24)은 일렉트릿 고분자 필름(24a)과 배극(24b)으로 구성된다. 일렉트릿 고분자 필름(24a)은 반영구적으로 전하가 충전되며, 충전 전하에 의해 전계를 형성한다. 이 일렉트릿 고분자 필름(24a)은 PTFE(Poly Tetra Fluoro Ehtylene), PFA(Perfluoroalkoxy), FEP(Fluoroethylenepropylene)와 같은 고분자 필름을 배극(24b)에 가압열융착 후 전하 주입기를 통해 전하를 주입하여 제작한다. 그리고, 배극(24b)은 동, 청동, 황동, 인청동과 같은 금속을 이용하여 제조한다.The
상기 도전베이스링(25)은 배극판(24)과 기판부 간의 도전경로를 제공하고, 케이스(20) 내에 수납물들을 지지 및 고정한다. 그리고 도전베이스링(25)은 배극판(24) 및 기타 내부 수납물과 기판부 간의 공간을 형성 및 유지하여, 내부에 실장되는 집적회로와 다른 수납물간의 접촉을 방지한다.The
상기 절연베이스링(26)은 배극판(24)과 케이스(20) 사이에 배치되어, 배극판(24)과 케이스(20)를 절연함과 아울러, 진동판(22)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절연베이스링(26)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태로 제작되며, 기둥의 외면은 케이스(20)와 접촉하고, 내부공간에는 배극판(24) 및 도전베이스링(25)을 수납한다. 이러한, 절연베이스링(26)은 절연특성과 강도 특성이 양호한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된다.The insulating base ring 26 is disposed between the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everal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s such,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according to equival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right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 유닛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microphon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 유닛의 등가회로를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an equivalent circuit of a microphon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 유닛의 필터링 성능을 나타낸 그래프, 4 is a graph illustrating filtering performance of a microphon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마이크 유닛의 몸체부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body portion configuration of the microphon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7034A KR20100058281A (en) | 2008-11-24 | 2008-11-24 | Microphone unit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7034A KR20100058281A (en) | 2008-11-24 | 2008-11-24 | Microphone unit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8281A true KR20100058281A (en) | 2010-06-03 |
Family
ID=4235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7034A Withdrawn KR20100058281A (en) | 2008-11-24 | 2008-11-24 | Microphone unit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58281A (en) |
-
2008
- 2008-11-24 KR KR1020080117034A patent/KR20100058281A/en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79881B2 (en) | Silicon based capacitive microphone | |
TW595237B (en) | Electret capacitor microphone | |
KR20100065123A (en) | Voice input apparatus | |
US11956594B2 (en) | Two-way integrated speaker with piezoelectric diaphragm as tweeter | |
US8116498B2 (en) | Condenser microphone | |
CN209882085U (en) | Electret bone conduction vibration microphone | |
KR20020024122A (en) | Capacitor microphone | |
KR100464700B1 (en) | Electret condenser microphone | |
KR20100058281A (en) | Microphone unit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0389794Y1 (en) | Microphone assembly | |
KR100634557B1 (en) | Microphone assembly | |
KR100797441B1 (en) | Integrated Circuit Mount Electret Condenser Microphone | |
KR100753913B1 (en) | Microphone assembly | |
US9723389B2 (en) | Speaker | |
KR20020024123A (en) | Directional capacitor microphone | |
KR200438928Y1 (en) | Dual microphone module | |
CN100359990C (en) | Magnetic system of electro-acoustical converter | |
JP5024671B2 (en) | Condenser microphone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100544277B1 (en) | Case formed with step and electret condenser microphone | |
WO2007097519A1 (en) | Electret condenser microphon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 |
KR20070031524A (en) | Surface Mount Electret Condenser Microphone Structure | |
KR20100019844A (en) | Electret condenser micro phone for portable apparatus | |
KR100629688B1 (en) | Front sound unidirectional microphone | |
KR100737727B1 (en) | Condenser microph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ame and voice signal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 |
KR20060129764A (en) | Conductive microphone of condenser microphone and condenser microphone using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