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54032A - 리모콘 및 그 작동방법, 그리고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리모콘 및 그 작동방법, 그리고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4032A
KR20100054032A KR1020080112958A KR20080112958A KR20100054032A KR 20100054032 A KR20100054032 A KR 20100054032A KR 1020080112958 A KR1020080112958 A KR 1020080112958A KR 20080112958 A KR20080112958 A KR 20080112958A KR 20100054032 A KR20100054032 A KR 20100054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control unit
remote
screen
im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주일
한재욱
이종호
박진선
이석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2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4032A/ko
Priority to US12/606,350 priority patent/US20100118195A1/en
Publication of KR20100054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032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1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accounts, e.g. accounts for childr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분리 및 결합가능한 리모콘이 개시된다. 본 리모콘은 제1 리모콘부, 제1 리모콘부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2 리모콘부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리모콘부는, 결합된 상태에서는 하나의 리모콘으로 동작하고, 분리된 상태에서는 개별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리모콘, 경쟁모드, 분리, 결합

Description

리모콘 및 그 작동방법, 그리고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Remote controll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image display apparatus controlled by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은 리모콘 및 그 작동방법, 그리고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리적으로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한 리모콘 및 그 작동방법, 그리고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TV는 방송송신기, DVD, ODD, 및 저장매체 등을 통해 다양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TV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여러 명인 경우, 리모컨을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제어선택권을 가지며, 한 화면에 여러 명의 사용자가 요구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없어, 사용자 욕구를 만족시켜주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가 요구하는 영상이 다른 경우, 타협에 의해 하나의 영상을 결정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리적으로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한 리모콘 및 그 작동방법, 그리고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은 제1 리모콘부, 및, 상기 제1 리모콘부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2 리모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는, 결합된 상태에서는 하나의 리모콘으로 동작하고, 분리된 상태에서는 개별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가 결합 또는 분리되면, 제어대상기기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제1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대상기기는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가 결합되면 상기 제어대상기기가 상기 리모콘의 조작에 의해 영상을 변환하는 노멀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가 분리되면, 상기 제어대상기기가 경쟁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경쟁모드는, 상기 제어대상기기가 상기 화면을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의 개별 제어에 따라 경쟁적으로 변경하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다수의 분할 화면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전체 화면에 표시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 각각은, 상호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 리모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제어대상기기의 화면에 포인터를 표시하는 포인터 표시부 및, 적어도 하나의 리모콘 키를 구비한 키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 각각은 상호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 자세 감지를 위한 제1 센서부, 제어대상기기의 화면에 포인터를 표시하고,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자세에 따라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리모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리모콘 키를 구비한 키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 각각은 흔들림 감지를 위한 제2 센서부, 상기 흔들림의 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 및, 상기 카운팅된 횟수에 따라 상기 분할 화면에 대한 선택 기회를 부여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 각각은, 상호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 및,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2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 각각에 구비된 제2제어부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 각각은,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화면에 포인터를 표시하는 포인터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일한 기능은 상기 포인터를 출력하는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및 제 2 리모콘부 중 적어도 하나는, 리모콘 키를 구비한 키 패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은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리모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리모콘부는, 결합된 상태에서는 하나의 리모콘으로 동작하고, 분리된 상태에서는 복수 개의 개별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 개의 리모콘부가 결합 또는 분리가능한 리모콘으로부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 개의 리모콘부가 분리되면, 상기 화면을 복수 개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상기 복수 개의 리모콘부의 개별 제어에 따라 경쟁적으로 변경하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다수의 분할 화면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전체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리모콘부를 구비하는 리모콘의 작동 방법은 상기 복수 개의 리모콘부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단계 및, 상기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제어대상기기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리모콘부가 결합되면, 제어대상기기가 상기 리모콘의 조작에 의해 영상을 변환하는 노멀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리모콘부가 분리되면, 개별 기기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대상기기는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별 기기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대 상기기가 상기 화면을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상기 리모콘부의 개별 제어에 따라 경쟁적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다수의 분할 화면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전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쟁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화면에 포인터를 표시하는 리모콘 신호를 송신하여, 해당 분할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모콘부의 흔들림 동작시, 상기 흔들림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팅된 횟수에 따라 상기 분할 화면에 대한 선택 기회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분할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은, 디스플레이 경쟁대상인 복수의 영상 각각에 대하여, 전체 영상을 화면 분할 개수에 맞게 분할한 부분 영상이며, 상기 복수 개의 리모콘부에 의해 포인팅될 때마다 상기 디스플레이 경쟁대상인 복수의 영상 중 하나에 대한 부분영상으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리모콘부를 구비하는 리모콘의 작동 방법은 상기 복수 개의 리모콘부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리모콘부가 분리되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각각의 개별 기기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일한 기능은, 포인터를 출력하는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리모콘(100)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제1리모콘부(110)및 제2리모콘부(120)를 구비한다. 여기서, 리모콘(110)은 도 1과 같이 제1 리모콘부(110) 및 제2 리모콘부(12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분리되어 각각의 개별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제1 리모콘부(110)는 제2 리모콘부(120)와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부(111), 리모콘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112), 및 키패드부(113)를 구비한다. 또한, 제2 리모콘부(120)는 제1 리모콘부(110)와 동일한 구성(121,122,123)을 구비하여 제1 리모콘부(11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개별 기기가 될 수 있다. 한편, 분리된 리모콘부(110, 1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및 4의 실시 예를 통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제1 리모콘부(110)는 커넥터부(111), 송신부(112), 키패드부(113), 제어부(114), 센서부(115), 및 카운터(116)을 포함한다. 한편, 제1 리모콘부(110)의 구성만 도시하였으나, 제2 리모콘부(120)도 제1 리모콘부(110)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커넥터부(111)는 제2 리모콘부(120)의 커넥터(121)와 연결가능한 구성으로, 마그네틱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제1 리모콘부(110)의 커넥터부(111)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커넥터로 구현되고 제2 리모콘부(120)의 커넥터(121)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로 구현되어, 서로 맞물려 연결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제어부(114)는 제1 제어부(114-1) 및 제2 제어부(114-2)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14-1)는 제1 리모콘부(110)와 제2 리모콘부(120)의 결합 및 분리를 감지하여, 제어대상기기의 동작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대상기기는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200)가 될 수 있으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방송채널, DVD 플레이어, 및 외부저장매체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어 영상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이 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114-1)는 제1 리모콘부(110) 또는 제2 리모콘부(12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14-1)는 제1 리모콘부(110)와 제2 리모콘부(120)가 결합하면 영상디스플레이장치(200)가 리모콘(100)의 조작에 의해 영상을 변환하는 노멀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제1 리모콘부(110)와 제2 리모콘부(120)가 분리되면 영상디스플레이장치(200)가 경쟁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노멀모드는 일반적인 TV리모콘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로, 채널 업-다운, 볼륨 업-다운 등의 방송채널 제어를 수행하거나, TV설정시 사운드, 영상 설정, 및 외부기기 설정 등을 할 수 있는 모드이다.
한편, 경쟁모드는 2인 이상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하기를 원하는 영상이 서 로 다른 경우, 게임을 통해 디스플레이 영상을 결정할 수 있는 모드이다. 구체적으로, 영상디스플레이장치(200)가 화면을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1 및 제2 리모콘부(110, 120)의 개별 제어에 따라 경쟁적으로 변경하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다수의 분할 화면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전체 화면에 표시하는 모드이다.
제1 제어부(114-1)는 제1 리모콘부(110)와 제2 리모콘부(12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경쟁모드와 관련한 제1 리모콘부(110) 및 제2 리모콘부(120)의 기능을 락(lock)하고, 제1 리모콘부(110)와 제2 리모콘부(120)가 분리되면 제2 제어부(114-2)에서 제1 리모콘부(110)를 제어하도록 한다.
제1 리모콘부(110)의 송신부(112)는 리모콘 신호를 영상디스플레이장치(200)로 송신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송신부(112)는 제1 리모콘부(110) 및 제2 리모콘부(120)의 분리시, 영상디스플레이장치(200)가 경쟁모드로 변환하기 위한 리모콘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경쟁모드 변환 후, 사용자의 제1 리모콘부(110) 또는 제2 리모콘부(120)의 조작에 따른 리모콘 신호를 영상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전송한다.
센서부(115)는 자세감지를 위한 제1 센서부(115-1) 및 흔들림 감지를 위한 제2 센서부(115-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센서부(115-1)는 사용자에 의한 제1 리모콘부(110) 앞면, 즉 송신부(111)가 구비된 면의 이동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2 제어부(114-2)로 전달한다. 제1 센서부(115-1)는 예를 들어, 2축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가능하다.
제2 제어부(114-2)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200)의 화면에 포인터를 표시하고, 제1 센서부(115-1)에 의해 감지된 자세에 따라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리모콘 신호를 송신부(111)를 통해 전송한다.
여기서, 제1 리모콘부(110)의 앞면은 사용자에 의해 가상의 평면(Virtual Plane : VP) 상에서 이동된다. 즉, 제1 리모콘부(110) 앞면은 VP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방향, 하-방향, 좌-방향, 우-방향 또는 이들을 조합한 방향(예를 들면, 좌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즉, 제1 리모콘부(110) 앞면은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다. 여기서, VP는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화면과 평행한 평면이다.
제1 리모콘부(110) 앞면이 VP 상에서 이동되면, 영상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P)는 제1 리모콘부(110) 앞면이 이동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예를 들어, i) 사용자가 제1 리모콘부(110) 앞면을 VP 상에서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포인터(P)도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ii) 사용자가 제1 리모콘부(110) 앞면을 VP 상에서 좌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포인터(P)도 좌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P)는 공간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제1 리모콘부(110)의 2차원적 움직임에 의해 이동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VP와 영상디스플레이장치(200)의 화면은 완전한 평행을 이루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1 리모콘부(110) 앞면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VP 역시 완전한 평면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이는, 사용자에 의한 제1 리모콘부(110) 앞면의 이동이 영상디 스플레이장치(200)의 화면과 완전한 평행을 이루는 완전한 평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함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제1 리모콘부(110) 앞면의 이동은 영상디스플레이장치(200)의 화면과 불완전한 평행을 이루는 불완전한 평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제2 제어부(114-2)는 키패드부(113)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포인팅 출력버튼이 입력된 경우, 제1 센서부(115-1)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결과를 통해 획득한 이동에 대한 정보(이동 방향, 이동 거리)를 송신부(111)를 통해 영상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전달한다.
한편, 키패드부(113)는 도2에서 1개의 버튼으로 구현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전원-버튼, 채널-버튼, 볼륨-버튼, 선택-버튼 등이 마련될 수도 있다.
제2 센서부(115-2)는 제1 리모콘부(110)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카운터(116)는 제2 센서부(115-2)에 의해 감지되는 제1 리모콘부(110)의 흔들림 횟수를 카운팅한다.
제2 제어부(114-2)는 경쟁모드에서 제1 리모콘부(110)의 사용자가 카운터(116)에서 카운팅한 횟수만큼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포인팅 출력횟수를 부여한다.
한편, 영상디스플레이장치(200)는 신호수신부(210), 제어부(220), 및 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제어부(114-2)의 제어에 따른 제1 리모콘부(110) 및, 영상디스플레이장치(200)의 경쟁모드 동작은 도 6 내지 도 10의 모식 도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영상디스플레이장치(200)의 신호수신부(210)는 제1 리모콘부(110) 또는 제2 리모콘부(120)로부터 전송된 리모콘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220)는 수신된 리모콘신호에 대응하여, 동작모드를 경쟁모드로 변환한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제어부(220)의 제어하에 경쟁대상채널을 입력받기 위한 초기설정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도 6과 같은 초기설정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경쟁대상채널의 입력은, 경쟁모드에 진입하기 이전에, 영상디스플레이장치(200)에 구비된 PIP기능을 이용하여 기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초기설정화면은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영상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제어부(220)는 경쟁대상채널이 입력되거나 기설정된 경우, 소정시간 동안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리모콘부(110 또는 120)를 이용하여 포인팅 출력횟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을 참고하면, 게임시작 이전에 5초의 시간동안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가 자신의 리모콘부(110,120)를 흔들어 포인팅 출력횟수를 확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20)는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도 8과 같이 제1 리모콘부(110) 및 제2 리모콘부(120)에 의해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화면을 복수 개로 분할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쟁대상채널로부터 수신되는 제1영상 및 제2영상 각각에 대하여, 전체 영상을 화면 분할 개수에 맞게 부분 영상으로 분할한 후, 분할된 부분영상들이 분할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한다. 이때, 제1영상의 부분영상과 제2영상의 부분영상의 표시비율은 동일하며, 표시위치는 랜덤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1 리모콘부(110) 및 제2 리모콘부(120)에 의해 포인터 표시를 위한 리모콘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부분할화면에 표시된 부분영상을 변경한다. 즉, 제어부(220)는 제1영상의 부분영상이 표시된 제1분할화면에 제1 리모콘부(110) 또는 제2 리모콘부(120)에 의해 포인터가 위치하게 될 경우, 제1분할화면에 제2영상의 부분영상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한다.
제어부(220)는 기설정된 게임시간이 경과되면, 제1 리모콘부(110)에서 설정한 채널의 부분영상 개수 및, 제2 리모콘부(120)에서 설정한 채널의 부분영상 개수를 산출하여, 표시비율이 큰 채널의 영상을 전체화면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한다.
도 9 및 도 10에 따르면, 제1 리모콘부(110)의 사용자가 설정한 채널30의 부분영상의 개수가 제2 리모콘부(120)의 사용자가 설정한 채널8의 부분영상 개수보다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에서는 부분영상 비율이 큰 채널30을 디스플레이하고, 경쟁모드를 종료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제1 리모콘부(110) 및 제2 리모콘부(120)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된 채널30의 영상 및 사운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제1 리모콘부(110)는 커넥터부(11), 송신부(112), 키패 드부(113), 제어부(114), 카운터(116), 및 포인터 출력부(117)를 포함한다. 한편, 도 4는 도 3의 구성 중 제1 센서부(115-1)의 구성 대신 포인터 출력부(117)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도 4의 구성은 도 3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포인터 출력부(117)는 레이저 포인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영상디스플레이장치(200)의 화면에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14-2)는 포인터 출력부(117)에 의해 화면에 포인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선택을 위한 키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분할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변경하기 위한 리모콘신호를 송신부(111)를 통해 영상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전송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리모콘 부(110, 120)가 2개인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나, 복수 개로 구현가능하며 도 5a 내지 도 5f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경쟁대상채널의 영상이 방송채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영상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DVD 영상,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 등도 경쟁대상채널의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따르면, 분리 및 결합가능한 복수 개의 리모콘부를 구비하는 리모콘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리모콘의 분리여부(S1100)에 따라, 제어대상기 기의 동작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대상기기는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리모콘이 분리된 경우(S1100:Y), 각각의 리모콘부는 개별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S1200). 한편, 리모콘이 결합된 경우(S1100:N), 일반적인 영상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 및 설정 등을 제어하는 노멀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1300).
한편, 리모콘이 분리된 경우, 각각의 리모콘부가 개별기기로 동작하는 동작방법은 도 12를 통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부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에 따르면, 경쟁채널을 선택하고(S2100), 영상디스플레이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분할화면에 포인터를 표시하는 리모콘 신호를 송신하여(S2200), 해당 분할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변경한다(S2300).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디스플레이장치의 경쟁모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에 따르면, 분리 및 결합가능한 복수 개의 리모콘부를 구비하는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의 경쟁모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리모콘 분리여부(S3000)에 따라, 동작모드를 변환한다.
리모콘이 결합된 경우(S3000:N), 일반적인 영상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 및 설정 등을 제어하는 노멀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3100).
한편, 리모콘이 분리된 경우, 분리된 리모콘부로부터 경쟁모드 변환에 대한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경쟁모드로 변환하게 된다(S3200).
경쟁채널에 대한 기설정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S3300:N), 복수의 사용자 는 해당 리모콘부를 이용하여 원하는 채널을 선택한다(S3400). 한편, 경쟁채널이 PIP기능 등을 통해 기설정되어 있는 경우, 기설정된 채널이 자동으로 선택된다.
경쟁대상채널이 선택되면, 화면을 복수 개의 화면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화면에 경쟁채널의 부분영상을 표시한다(S3500). 이때, 표시되는 부분영상의 비율은 동일하게 한다.
소정 분할화면이 리모콘부에 의해 포인팅되면, 해당 분할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변경한다(S3600). 한편,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S3700:Y), 복수의 분할화면에 표시된 경쟁채널이 영상 표시비율을 산출한다(S3800).
표시비율이 큰 채널의 영상을 전체화면에 표시하고(S3900), 경쟁모드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리모콘의 물리적 분리에 의해 간단하게 경쟁모드에 진입할 수 있고, 게임을 통해 디스플레이 영상을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a 내지 도 5f는 리모콘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의 분리시, 경쟁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리모콘부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디스플레이장치의 경쟁모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리모콘 110, 120 : 리모콘부
200 : 영상디스플레이장치

Claims (21)

  1. 제1 리모콘부; 및,
    상기 제1 리모콘부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2 리모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는, 결합된 상태에서는 하나의 리모콘으로 동작하고, 분리된 상태에서는 개별 기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가 결합 또는 분리되면, 제어대상기기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제1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대상기기는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가 결합되면 상기 제어대상기기가 상기 리모콘의 조작에 의해 영상을 변환하는 노멀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가 분리되면, 상기 제어대상기기가 경쟁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경쟁모드는, 상기 제어대상기기가 상기 화면을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의 개별 제어에 따라 경쟁적으로 변경하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다수의 분할 화면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전체 화면에 표시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 각각은,
    상호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
    리모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제어대상기기의 화면에 포인터를 표시하는 포인터 표시부; 및,
    적어도 하나의 리모콘 키를 구비한 키 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 각각은,
    상호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
    자세 감지를 위한 제1 센서부;
    제어대상기기의 화면에 포인터를 표시하고,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자세에 따라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리모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리모콘 키를 구비한 키 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 각각은,
    흔들림 감지를 위한 제2 센서부;
    상기 흔들림의 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 및,
    상기 카운팅된 횟수에 따라 상기 분할 화면에 대한 선택 기회를 부여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 각각은,
    상호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 및,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2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 각각에 구비된 제2제어부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리모콘부 각각은,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화면에 포인터를 표시하는 포인터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일한 기능은 상기 포인터를 출력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리모콘부 중 적어도 하나는, 리모콘 키를 구비한 키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11.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리모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리모콘부는, 결합된 상태에서는 하나의 리모콘으로 동작하고, 분리된 상태에서는 복수 개의 개별 기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12. 복수 개의 리모콘부가 결합 또는 분리가능한 리모콘으로부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 개의 리모콘부가 분리되면, 상기 화면을 복수 개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상기 복수 개의 리모콘부의 개별 제어에 따라 경쟁적으로 변경하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다수의 분할 화면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전체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13.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리모콘부를 구비하는 리모콘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리모콘부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단계; 및,
    상기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제어대상기기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의 작동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리모콘부가 결합되면, 제어대상기기가 상기 리모콘의 조작에 의해 영상을 변환하는 노멀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리모콘부가 분리되면, 개별 기기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의 작동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대상기기는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의 작동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기기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대상기기가 상기 화면을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상기 리모콘부의 개별 제어에 따라 경쟁적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다수의 분할 화면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전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의 작동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경쟁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화면에 포인터를 표시하는 리모콘 신호를 송신하여, 해당 분할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의 작동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부의 흔들림 동작시, 상기 흔들림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팅된 횟수에 따라 상기 분할 화면에 대한 선택 기회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의 작동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할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은, 디스플레이 경쟁대상인 복수의 영상 각각에 대하여, 전체 영상을 화면 분할 개수에 맞게 분할한 부분 영상이며, 상기 복수 개의 리모콘부에 의해 포인팅될 때마다 상기 디스플레이 경쟁대상인 복수의 영상 중 하나에 대한 부분영상으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의 작동방법.
  20.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리모콘부를 구비하는 리모콘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리모콘부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리모콘부가 분리되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각각의 개별 기기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의 작동방법.
  21. 상기 동일한 기능은, 포인터를 출력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KR1020080112958A 2008-11-13 2008-11-13 리모콘 및 그 작동방법, 그리고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Pending KR2010005403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958A KR20100054032A (ko) 2008-11-13 2008-11-13 리모콘 및 그 작동방법, 그리고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US12/606,350 US20100118195A1 (en) 2008-11-13 2009-10-27 Remote contro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ntrolled by remote contro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958A KR20100054032A (ko) 2008-11-13 2008-11-13 리모콘 및 그 작동방법, 그리고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032A true KR20100054032A (ko) 2010-05-24

Family

ID=4216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958A Pending KR20100054032A (ko) 2008-11-13 2008-11-13 리모콘 및 그 작동방법, 그리고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118195A1 (ko)
KR (1) KR201000540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698A (ko) * 2017-05-11 201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버튼 장치와 및 그 기능 제어 방법
WO2019083113A1 (ko) * 2017-10-23 2019-05-02 주식회사 디미콜론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JP2020113271A (ja) * 2019-01-15 2020-07-27 和碩聯合科技股▲ふん▼有限公司Pegatron Corporation 入力装置及びノート型パソコン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216123A (en) * 2010-10-08 2012-04-16 Primax Electronics Ltd Separatable game controller
KR101807622B1 (ko) * 2010-12-27 201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리모콘 및 이에 적용되는 제어방법
US8298084B2 (en) 2011-02-03 2012-10-30 Edmond Yee Multi-player game controller system with combinable hand-held game controllers
KR101266676B1 (ko) * 2011-08-29 2013-05-28 최해용 스포츠 카페용 음향 및 영상 시스템
KR102135092B1 (ko) * 2013-06-03 2020-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50004156A (ko) * 2013-07-02 2015-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US9539507B2 (en) * 2013-07-11 2017-01-10 Incipio,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r accessory
KR102124916B1 (ko) * 2014-04-18 2020-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9898091B2 (en) 2015-06-03 2018-02-20 Oculus Vr, Llc Virtual reality system with head-mounted display, camera and hand-held controllers
US9833700B2 (en) * 2015-06-11 2017-12-05 Oculus Vr, Llc Connectable hand-held controllers for virtual-reality systems
USD772986S1 (en) 2015-06-11 2016-11-29 Oculus Vr, Llc Wireless game controller
US9724601B2 (en) 2015-06-12 2017-08-08 Nintendo Co., Ltd. Game controller
JP6083884B2 (ja) 2015-06-12 2017-02-22 任天堂株式会社 支持装置、充電装置、および、操作システム
US9839840B2 (en) * 2015-11-05 2017-12-12 Oculus Vr, Llc Interconnectable handheld controllers
US10007339B2 (en) 2015-11-05 2018-06-26 Oculus Vr, Llc Controllers with asymmetric tracking patterns
US10130875B2 (en) 2015-11-12 2018-11-20 Oculus Vr, Llc Handheld controller with finger grip detection
US9990045B2 (en) 2015-11-12 2018-06-05 Oculus Vr,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hand gestures with a handheld controller
US10386922B2 (en) 2015-12-30 2019-08-20 Facebook Technologies, Llc Handheld controller with trigger button and sensor retainer assembly
US9977494B2 (en) 2015-12-30 2018-05-22 Oculus Vr, Llc Tracking constellation assembly for use in a virtual reality system
US10343059B2 (en) 2015-12-30 2019-07-09 Facebook Technologies, Llc Handheld controller with thumbstick guard
US10441880B2 (en) 2015-12-30 2019-10-15 Facebook Technologies, Llc Handheld controller with spring-biased third finger button assembly
US11857869B2 (en) 2015-12-31 2024-01-02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Handheld controller with hand detection sensors
USD835104S1 (en) 2016-09-27 2018-12-04 Oculus Vr, Llc Wireless game controller
US10092829B2 (en) 2016-10-06 2018-10-09 Nintendo Co., Ltd. Attachment
JP6153238B1 (ja) 2016-10-06 2017-06-28 任天堂株式会社 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操作システム
JP1585832S (ko) * 2017-01-10 2017-09-11
JP6931285B2 (ja) 2017-01-11 2021-09-01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コントローラ用アタッチメント
EP3401890B1 (en) * 2017-05-11 2020-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7886B2 (ja) * 2002-11-19 2010-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US7942745B2 (en) * 2005-08-22 2011-05-17 Nintendo Co., Ltd. Game operating device
US7710504B2 (en) * 2006-02-21 2010-05-04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elevision
JP5123747B2 (ja) * 2008-06-18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698A (ko) * 2017-05-11 201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버튼 장치와 및 그 기능 제어 방법
WO2019083113A1 (ko) * 2017-10-23 2019-05-02 주식회사 디미콜론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JP2020113271A (ja) * 2019-01-15 2020-07-27 和碩聯合科技股▲ふん▼有限公司Pegatron Corporation 入力装置及びノート型パソコ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18195A1 (en)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4032A (ko) 리모콘 및 그 작동방법, 그리고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EP3190786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9811240B2 (en) Operating method of image display apparatus
CN111034207B (zh) 图像显示设备
CN107295378B (zh) 图像显示装置
EP3790281B1 (en) Image display device
EP2302940B1 (en) Display apparatus and three-dimensional video signal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1126110B1 (ko) 3차원 입체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입체 영상 표시 방법
EP2801215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40143733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30007824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06094343A5 (ko)
KR101992182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JP2013055650A (ja) 映像表示装置及び遠隔制御装置並びにその動作方法
US20210019027A1 (en) Content transmission device and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transmission of content
EP2611177A2 (en) Display apparatus, glasses apparatus linked with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90042373A (ko) 영상표시장치
KR20240010068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00248203A1 (en) Portable LED interactive learning device
EP3190800A1 (en) Imag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25818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1764964A (zh) 一种便于操作的电视机及遥控器
JP3134322B2 (ja) 遠隔制御装置及び遠隔制御方法
KR2024017538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33182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0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1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