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53291A - Memory module, memory channel and memory system - Google Patents

Memory module, memory channel and memor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3291A
KR20100053291A KR1020080112337A KR20080112337A KR20100053291A KR 20100053291 A KR20100053291 A KR 20100053291A KR 1020080112337 A KR1020080112337 A KR 1020080112337A KR 20080112337 A KR20080112337 A KR 20080112337A KR 20100053291 A KR20100053291 A KR 20100053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data
resistive element
memory module
impedance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3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광수
이영호
이제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2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3291A/en
Publication of KR20100053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2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3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data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6Input/output [I/O] data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e.g. reading or writing circuits, I/O drivers or bit-line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48Data bus control circuits, e.g. precharging, presetting, equal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PURPOSE: A memory module, a memory channel thereof, and a memory system thereof are provided to reduce the reflection loss in an operating frequency of a memory by interlinking a capacitive element connected to a resistive element in parallel to a transmit line. CONSTITUTION: A memory component(110) stores data. A transmit line(120) transmits data to a memory component. An impendence matching part is formed on the route of the transmit line. The impendence matching part(130) comprises a capacitive element. The resistive element is connected to in a transmission direction of data during a part of period of a transmission line. The capacitive element is connected to the resistive element in parallel.

Description

메모리 모듈, 메모리 채널 및 메모리 시스템{MEMORY MODULE, MEMORY CHANNEL AND MEMORY SYSTEM} Memory Modules, Memory Channels, and Memory Systems {MEMORY MODULE, MEMORY CHANNEL AND MEMORY SYSTEM}

본 발명은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채널 특성향상을 위한 임피던스 정합 기술을 적용한 메모리 모듈, 메모리 채널 및 메모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o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mory module, a memory channel, and a memory system using an impedance matching technique for improving channel characteristics.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고집적화 및 이에 기초한 대용량화에 중점을 두고 발전되어 왔으며, 컴퓨터 시스템 등의 중앙처리장치는 고속화에 중점을 두고 발전되어 왔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장치 간의 동작속도의 차이가 점점 커져 메모리 장치의 동작속도가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제한하는 주요 원인이 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최근 메모리 시스템의 고속화 및 저 전력화에 따라 시스템의 동작 전압은 점차적으로 낮아지고 있으며, 메모리 시스템에서 데이터 입출력에 사용되는 신호의 전압 레벨도 동작 전압에 따라 점차 작아지고 있다.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속도가 고속화됨에 따라 고속화 신호 전송에서의 임피던스 부정합에 의한 신호 충실도(signal integrity)의 저하가 문제될 수 있어 신호 충실도를 향상시키려는 메모리 버스 채널 구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Semiconductor memor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with an emphasis on high integration and large capacity based thereon, and central processing devices such as computer systems have been developed with an emphasis on high speed. Therefore, the difference in operating speed betwe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memory device is gradually increased, the operating speed of the memory device can be a major cause of limiting the performance of the entire system. In addition, as the memory system becomes faster and lower in power,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system is gradually decreasing, and the voltage level of the signal used for data input / output in the memory system is also gradually decreasing according to the operating voltage. As the operation speed of a memory system is increased, a decrease in signal integrity due to impedance mismatch in a high speed signal transmission may be a problem, and thus a study on a memory bus channel structure to improve signal fidelity has been conducted.

일반적으로, 메모리 장치는 컨트롤러, 메모리 모듈 및 전송 라인 등의 버스 채널을 포함한다. 메모리 모듈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컴포넌트가 실장되며, 버스 채널은 메모리 소켓을 통해 메모리 컨트롤러와 하나 이상의 메모리 모듈을 연결시킨다. 신호 충실도의 문제는 일반적으로 메모리 버스 채널에서 신호 전송과 관계된 것으로, 메모리 시스템이 고주파로 동작할 때 버스 채널을 통과하는 신호가 임피던스 부정합에 의해 채널 특성이 나빠지면서 발생한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의 동작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신호 충실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In general, memory devices include bus channels, such as controllers, memory modules, and transmission lines. One or more memory components configured as a memory cell array for storing data are mounted in the memory module, and a bus channel connects the memory controller to the one or more memory modules through a memory socket. The problem of signal fidelity is generally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the memory bus channel, which occurs when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bus channel degrades channel characteristics due to impedance mismatch when the memory system operates at a high frequency.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improving signal fidelity as the operating speed of a semiconductor device increases.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신호 충실도를 개선한 메모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mory module with improved signal fideli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호 충실도를 개선한 메모리 채널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mory channel with improved signal fidel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호 충실도를 개선한 메모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mory system with improved signal fidel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모듈은 메모리 컴포넌트, 전송 라인 및 임피던스 정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 컴포넌트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전송 라인은 상기 메모리 컴포넌트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 는 상기 전송 라인의 경로 상에 형성되며, 용량성 소자를 포함한다.A memo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component, a transmission line, and an impedance matching unit. The memory component stores data. The transmission line transmits the data to the memory component. The impedance matching unit is formed on a path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includes a capacitive element.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는 상기 전송 라인의 일부 구간에서 상기 데이터의 전송 방향으로 연결된 저항성 소자, 및 상기 저항성 소자와 병렬로 연결된 상기 용량성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pedance matching unit may include a resistive element connected in a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data in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the capacitive element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resistive eleme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항성 소자 및 상기 용량성 소자는 상기 메모리 모듈의 인쇄기판 외층에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항성 소자 및 상기 용량성 소자는 서로 분리되어 패키지된 소자들이거나, 함께 패키지된 2 포트의 단일 소자일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resistive element and the capacitive element may be connected at an outer layer of a printed board of the memory module. The resistive element and the capacitive element may be elements packag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or may be a single device of two ports packaged togeth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항성 소자는 상기 인쇄기판 외층에서 연결되며, 상기 용량성 소자는 상기 메모리 모듈의 인쇄 기판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량성 소자는 상부 패턴, 하부 패턴 및 비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패턴은 상기 인쇄기판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저항성 소자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패턴은 상기 인쇄 기판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아는 상기 하부 패턴을 상기 저항성 소자의 타단과 연결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resistive element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layer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apacitive element may be formed in a pattern of a printed substrate of the memory module. The capacitive element may include an upper pattern, a lower pattern, and a via. The upper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printed board and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sistive element. The lower pattern may be formed under the printed board. The via may connect the lower pattern with the other end of the resistive device.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는 상기 메모리 컴포넌트 각각에 대해 상기 데이터의 전송 비트 수 이상 연결될 수 있다.The impedance matching unit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memory components by at least the number of transmission bits of the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채널은 메모리 셀 어레이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라인, 상기 전송 라인의 일부 구간에서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상기 데이터의 전송 방향으로 연결된 저항성 소자, 및 상기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상기 저항성 소자와 병렬로 연결된 용량성 소자를 포함한다.A memory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mission line for transmitting data to a memory cell array, a resistive element connected in the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data for impedance matching in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the impedance matching And a capacitive element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resistive ele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은 메모리 셀 어레이, 호스트 컨트롤러, 데이터 버스, 저항성 소자 및 용량성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호스트 컨트롤러는 상기 데이터의 기입과 독출을 제어한다. 상기 데이터 버스는 상기 호스트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저항성 소자는 상기 데이터 버스의 일부 구간에서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상기 데이터의 전송방향으로 연결된다. 상기 용량성 소자는 상기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상기 저항과 병렬로 연결된다.A memo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cell array, a host controller, a data bus, a resistive element, and a capacitive element. The memory cell array stores data. The host controller controls the writing and reading of the data. The data bus transfers data to the memory cell array under the control of the host controller. The resistive element is connected in a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data for impedance matching in a portion of the data bus. The capacitive element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resistor for the impedance matching.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 모듈, 메모리 채널 및 메모리 시스템은 저항성 소자와 이와 병렬로 연결된 용량성 소자를 전송 라인에 연결하여 메모리의 동작 주파수에서 반사 손실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신호의 충실도를 향상시킨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mory module, a memory channel and a memory system connect a resistive element and a capacitive element connected in parallel to a transmission line to reduce reflection loss at an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thereby improving signal fidelity.

또한, 저항성 소자 및 용량성 소자를 별도로 패키지로 구현하거나 인쇄 기판의 패턴으로 구현할 수 있어 다양한 설계 방법들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sistive element and the capacitive element may be implemented as a package separately or as a pattern of a printed board, various design methods may be applied.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text, specific structural to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modification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that is described,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are pres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module according to an example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모듈(100)은 메모리 컴포넌트(110) 전송 라인(120) 및 임피던스 정합부(130)를 포함한다. 메모리 컴포넌트(11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셀 어레이를 포함한다. 하나의 메모리 모듈에는 복수의 메모리 컴포넌트(110)들이 실장될 수 있다. 전송 라인(120)은 포트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메모리 컴포넌트(110)로 전송한다. 임피던스 정합부(130)는 용량성 소자(132)를 포함하며, 전송 라인(120)의 경로 상에 형성되어 임피던스를 정합한다.Referring to FIG. 1, a memory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component 110, a transmission line 120, and an impedance matching unit 130. Memory component 110 includes a memory cell array for storing data. A plurality of memory components 110 may be mounted in one memory module. The transmission line 120 transmits data input through the port to the memory component 110.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30 includes a capacitive element 132 and is formed on the path of the transmission line 120 to match the impedance.

임피던스 정합부(130)는 저항성 소자(131) 및 용량성 소자(132)를 포함한다. 저항성 소자(131)는 전송 라인(120)의 일부 구간에서 데이터 전송 방향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저항성 소자(131)은 전송 라인(120)과 직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스텁(stub) 저항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저항성 소자(131)는 별도로 패키지된 저항으로 연결될 수 있다. 용량성 소자(132)는 저항성 소자(131)와 병렬로 연결되어 임피던스를 정합한다. 임피던스 정합부(130)에서 용량성 소자(132)가 저항성 소자(131)에 병렬로 연결된 경우는, 저항성 소자(131)가 단독으로 연결된 경우에 비해, 신호가 저 주파수에서 전달될 때 적은 임피던스 값을 가지고 신호가 고 주파수에서 전달될 때 큰 임피던스 값을 가질 수 있다. 임피던스 정합부(130)는 메모리 모듈의 동작 주파수 영역에서 반사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impedance matching unit 130 includes a resistive element 131 and a capacitive element 132. The resistive element 131 is connected in a data transmission direction in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120. For example, the resistive element 131 may b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transmission line 120, and may be implemented with a stub resistor or the like. In addition, the resistive element 131 may be connected to a resistor packaged separately. The capacitive element 132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resistive element 131 to match impedance. When the capacitive element 132 is connected to the resistive element 131 in parallel in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30, the impedance value is less when the signal is transmitted at a lower frequency than when the resistive element 131 is connected alone.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at high frequency, it can have a large impedance value.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30 may reduce the reflection loss in the operating frequency range of the memory module.

도 2는 도 1의 메모리 모듈이 소켓을 통해 메모리 컨트롤러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module of FIG. 1 connected to a memory controller through a socket.

도 2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메모리 모듈(100, 140)은 소켓(223, 224)을 통해 메모리 컨트롤러(210)와 연결될 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210)는 메모리 모듈(221)로 전송되어 기입 또는 독출 되는 데이터 흐름을 제어한다. 메인보드 상의 전송 라인(211)은 메모리 소켓(223)을 거쳐 메모리 모듈(100, 140)의 전송 라인(120, 160)과 연결된다. 메모리 모듈(100, 140) 상의 전송 라인(120, 160)의 일부 구간에는 도 1과 같이 임피던스 정합부(130, 170)가 형성된다. 임피던스 정합부(103, 170)는 전송 라인(211, 120, 160)의 구간들 중 소켓(223, 224)과 메모리 컴포넌트(110, 150) 사이의 구간에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one or more memory modules 100 and 140 may be connected to the memory controller 210 through sockets 223 and 224. The memory controller 210 controls a data flow that is transmitted to the memory module 221 to be written or read. The transmission line 211 on the motherboard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lines 120 and 160 of the memory modules 100 and 140 via the memory socket 223. Impedance matching units 130 and 170 are formed in some sections of the transmission lines 120 and 160 on the memory modules 100 and 140 as shown in FIG. 1. The impedance matching units 103 and 170 may be formed in a section between the sockets 223 and 224 and the memory components 110 and 150 among the sections of the transmission lines 211, 120 and 160.

도 2에 나타낸 메모리 모듈은 DDR3 메모리 모듈이나 DDR4 메모리 모듈 또는 그 밖에 고주파에서 동작하는 메모리 모듈일 수 있다. 임피던스 정합부(100, 140)는 각 메모리 컴포넌트(110, 150)에 동시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 비트 수만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4 모드로 동작하는 메모리 모듈의 경우 하나의 메모리 컴포넌트에 4개의 임피던스 정합부가 연결될 수 있고, X8 모드로 동작하는 메모리 모듈의 경우 하나의 메모리 컴포넌트에 8개의 임피던스 정합부가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임피던스 정합부의 수는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The memory module illustrated in FIG. 2 may be a DDR3 memory module, a DDR4 memory module, or another memory module operating at a high frequency. The impedance matching units 100 and 140 may be connected to each memory component 110 and 150 by the number of transmission bits of data transmitted simultaneously.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emory module operating in the X4 mode, four impedance matching units may be connected to one memory component, and in the case of a memory module operating in the X8 mode, eight impedance matching units may be connected to one memory component. In some embodiments, the number of impedance matching units may increase or decrease.

임피던스 정합부(130, 170)에 포함된 저항성 소자(131, 171)의 저항 값과 용량성 소자(132, 172)의 커패시턴스는 실험적으로 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DDR3 메모리 모듈에서 온-다이 터미네이션 값이 40 옴일 경우 저항성 소자(131, 171)의 저항 값은 25 옴, 용량성 소자(132, 172)의 커패시턴스 값은 6 피코 패럿의 값을 가질 수 있다.Resistance values of the resistive elements 131 and 171 included in the impedance matching units 130 and 170 and capacitances of the capacitive elements 132 and 172 may be experimentally obta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on-die termination value is 40 ohms in the DDR3 memory modul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ive elements 131 and 171 is 25 ohms, and the capacitance value of the capacitive elements 132 and 172 is 6 picofarads. May have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메모리 모듈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모듈의 동작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내는 스미스차트이다.3 is a Smith chart illustrating impedan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operating frequencies of a memory modu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a memo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메모리 모듈의 동작 주파수가 100MHz에서 3GHz일 때, 종래 기술에 따른 메모리 모듈의 임피던스 곡선(310)에 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모듈의 임피던스 곡선(320)은 매칭 포인트(Matching Point)에 더 근접해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module is 100 MHz to 3 GHz, the impedance curve 320 of the memory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tched compared to the impedance curve 310 of the memory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You can see that it is closer to the matching point.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메모리 모듈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모듈의 주파수에 따른 반사 손실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return loss according to a frequency of a memory modu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a memo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100MHz부터 2GHz까지의 동작 주파수 구간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메모리 모듈의 반사 손실(410)에 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모듈의 반사 손실(420)이 더 낮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for example, the return loss 420 of the memo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ompared to the return loss 410 of the memory modu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 an operating frequency range of 100 MHz to 2 GHz. It can be seen that low.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메모리 모듈의 임피던스 정합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5 to 7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an impedance matching unit of a memory modul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모듈에서 임피던스 정합부(500)의 저항성 소자(520)와 용량성 소자(530)는 서로 분리되어 패키지된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분리되어 패키지된 소자들은 메모리 모듈의 인쇄기판(510)의 외층에서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the memory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resistive element 520 and the capacitive element 530 of the impedance matching unit 500 may be implemented by using a packaged element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packaged devices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t an outer layer of the printed board 510 of the memory module.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모듈에서 임피던스 정합부(600)의 저항성 소자(621)와 용량성 소자(622)는 함께 패키지 되어 2 포트를 가진 단일 소자(620)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소자(620)로 함께 패키지된 저항성 소자(621)와 용량성 소자(622)는 메모리 모듈의 인쇄 기판(610) 외층에서 2 포트를 서로 연결하여 임피던스 정합부(620) 내에서 저항성 소자(621)와 용량성 소자(622)가 서로 병렬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the memo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resistive element 621 and the capacitive element 622 of the impedance matching unit 600 may be packaged together to be implemented as a single element 620 having two ports. Can be. The resistive element 621 and the capacitive element 622 packaged together as a single element 620 connect the two ports to each other at an outer layer of the printed board 610 of the memory module to form the resistive element 621 in the impedance matching unit 620. ) And the capacitive element 622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도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모듈에서 임피던스 정합부(700)의 저항성 소자(720)는 메모리 모듈의 인쇄기판(710) 외층에서 연결되며, 용량성 소자(731, 732)는 메모리 모듈의 인쇄기판(710)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resistive element 720 of the impedance matching unit 700 is connected to the outer layer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710 of the memory module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and the capacitive elements 731 and 732 are provided. May be formed as a pattern of the printed board 710 of the memory module.

용량성 소자는 상부 패턴(731), 하부패턴(732) 및 비아(740)를 포함할 수 있 다. 상부 패턴(731)은 인쇄기판(7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저항성 소자(720)의 일단과 연결된다. 하부 패턴(732)은 인쇄기판(710)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부 패턴(731)과 하부 패턴(732)을 이용하면 상부 패턴(731)과 하부 패턴(732) 사이의 거패시턴스를 제공하는 용량성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비아(740)는 하부 패턴(732)을 저항성 소자(720)의 타단과 연결한다. 하부 패턴(732)을 저항성 소자(720)의 타단과 연결하기 위해 비아(740) 외에 다른 패턴(733)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7의 임피던스 정합부(700)에서 상부 패턴(731)이 메모리 컴포넌트 방향으로 연결되고 비아(740)가 메모리 모듈의 포트 방향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이와 반대 방향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capacitive element may include an upper pattern 731, a lower pattern 732, and a via 740. The upper pattern 731 is formed on the printed board 710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sistive element 720. The lower pattern 732 is formed under the printed board 710. The upper pattern 731 and the lower pattern 732 may be used to implement a capacitive element that provides a capacitance between the upper pattern 731 and the lower pattern 732. The via 740 connects the lower pattern 732 to the other end of the resistive element 720. In addition to the via 740, another pattern 733 may be used to connect the lower pattern 732 to the other end of the resistive element 720. In the impedance matching unit 700 of FIG. 7, the upper pattern 731 may be conn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memory component, and the via 740 may be connected in the port direction of the memory module, or may be conne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system according to an example embodiment.

한편, 도 8의 메모리 시스템(800)의 블록도는 도 2의 메모리 장치의 토폴로지(Topology)에 대응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는 메모리 시스템(800)은 메모리 셀 어레이(811, 812, 813, 814), 호스트 컨트롤러(820), 데이터 버스(831A, 831B, 831C, 832A, 832B, 832C, 833A, 833B, 833C), 및 임피던스 정합부(841, 842)를 포함한다. The block diagram of the memory system 800 of FIG. 8 may correspond to the topology of the memory device of FIG. 2. Referring to FIG. 8, a memory system 8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memory cell array 811, 812, 813, 814, a host controller 820, a data bus 831A, 831B, 831C, 832A, 832B, 832C, 833A, 833B, 833C), and impedance matching portions 841, 842.

메모리 셀 어레이(811, 812, 813, 814)에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모듈의 경우, 메모리 셀 어레이(811, 812, 813, 814)를 메모리 컴포넌트에 패키징하여 메모리 모듈의 인쇄 기판에 실장할 수 있다. 호스트 컨트롤러(820)는 메모리 셀 어레이(811, 812, 813, 814)로 전송된 데이터의 기입과 독출을 제어한다. 데이터 버스(831A, 831B, 831C, 832A, 832B, 832C, 833A, 833B, 833C)는 호스트 컨트롤 러(82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 셀 어레이(811, 812, 813, 814)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 버스(831A, 831B, 831C, 832A, 832B, 832C, 833A, 833B, 833C)는 커넥터(851, 852)를 통해 호스트 컨트롤러(820)와 메모리 셀 어레이(811, 812, 813, 814)를 연결할 수 있다. 데이터 버스는 여러 구간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임피던스 정합부(841, 842)를 어느 구간에 연결하는지에 따라 임피던스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도 8의 메모리 시스템(800)에 포함된 임피던스 정합부(841, 842)는 도 1의 메모리 모듈(100)의 임피던스 정합부(130)와 유사하다. 즉, 임피던스 정합부(841)는 데이터 버스의 일부 구간에서 데이터 전송 방향으로 연결된 저항성 소자와 이와 병렬로 연결된 용량성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Data is stored in the memory cell arrays 811, 812, 813, and 814. In the case of a memory module, the memory cell arrays 811, 812, 813, and 814 may be packaged in a memory component and mounted on a printed board of the memory module. The host controller 820 controls the writing and reading of data transmitted to the memory cell arrays 811, 812, 813, and 814. The data buses 831A, 831B, 831C, 832A, 832B, 832C, 833A, 833B, and 833C transfer data of the memory cell arrays 811, 812, 813, and 814 under the control of the host controller 820. Data buses 831A, 831B, 831C, 832A, 832B, 832C, 833A, 833B, and 833C connect the host controller 820 and the memory cell arrays 811, 812, 813, 814 through connectors 851, 852. Can be. The data bus may be divided into several sections, and impedance characteristics may vary according to which section the impedance matching units 841 and 842 are connected. The impedance matching units 841 and 842 included in the memory system 800 of FIG. 8 are similar to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30 of the memory module 100 of FIG. 1. That is, the impedance matching unit 841 may include a resistive element connected in a data transmission direction and a capacitive element connected in parallel in a portion of the data bus.

메모리 시스템(800)에서 호스트 컨트롤러(820)가 설치된 메인 모드(미도시)와 메모리 모듈의 임피던스 값에 따라 호스트 컨트롤러(120)의 온-다이 터미네이션(On-Die Termination) 값과 메모리 셀 어레이에 상응하는 메모리 모듈의 온-다이 터미네이션 값이 결정될 수 있고, 이 값들에 따라 임피던스 정합부(841, 842)의 저항성 소자의 저항 값과 용량성 소자의 커패시턴스 값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덱(JEDEC) 등의 표준에 의해 결정된 온-다이 터미네이션 값에 따라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각 소자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333MHz 또는 1600MHz의 속도로 동작하는 DDR3 메모리 시스템에서는 메인보드와 라인 임피던스가 40 옴, 메모리 모듈의 라인 임피던스가 60 옴, 독출 온-다이 터미네이션이 120 옴, 기입 온-다이 터미네이션이 120 옴 또는 40 옴일 수 있다. 복수의 메모리 모듈이 연결된 경우, 기입 대상이 되는 메모리 모듈의 기입 온-다이 터미네이션 값은 120 옴이며, 그 밖의 메모리 모듈의 경우 40 옴일 수 있다. 이 경우 임피던스 정합부의 저항과 용량성 소자는 각각 25 옴과 6 피코 패럿의 값을 가질 수 있다.The memory system 800 corresponds to an on-die termination value and a memory cell array of the host controller 120 according to a main mode (not shown) in which the host controller 820 is installed and an impedance value of the memory module. The on-die termination value of the memory module can be determined,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ive element of the impedance matching units 841 and 842 and the capacitance value of the capacitive elemen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se values. In one embodiment, each device value for impedance matching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n on-die termination value determined by a standard such as JEDEC. For example, a DDR3 memory system operating at 1333 MHz or 1600 MHz, the motherboard and line impedance is 40 ohms, the memory module has a line impedance of 60 ohms, the read on-die termination is 120 ohms, and the write on-die termination is 120 ohms. It can be ohms or 40 ohms. When a plurality of memory modules are connected, the write on-die termination value of the memory module to be written may be 120 ohms, and the other memory modules may be 40 ohms. In this case, the resistor and the capacitive element of the impedance matching part may have values of 25 ohms and 6 picofarads, respectively.

도 9a 내지 도 9d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메모리 모듈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모듈에 대해 기입 동작과 독출 동작을 시뮬레이션한 아이 패턴 다이어그램(Eye Diagram)이다.9A to 9D are eye diagrams for simulating a write operation and a read operation for a memory modu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a memo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메모리 모듈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모듈에 대해 동작속도 1333Mbps에서 기입 동작을 시뮬레이션한 아이 패턴 다이어그램이다. 9A is an eye pattern diagram simulating a write operation at an operating speed of 1333 Mbps for a memory modu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a memo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메모리 모듈을 시뮬레이션한 아이 패턴 다이어그램에서 단위 구간당 애퍼처(Aperture per 1 Unit Interval)는 62.4 퍼센트로 종래 기술에 따른 메모리 모듈의 아이 패턴 다이어그램에서 단위 구간당 애퍼처인 62 퍼센트에 비해 약 6.4 퍼센트 향상되었다. 여기서 향상된 퍼센트 수치는 종래 기술에 메모리 모듈의 단위 구간당 애퍼처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모듈의 단위 구간당 애퍼처의 비율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9A, the aperture per unit interval in the eye pattern diagram simulating the memo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62.4 percent, which is 62 percent per aperture in the eye pattern diagram of the memory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at's about 6.4 percent improvement. Herein, the improved percentage value means the ratio of the aperture per unit section of the memory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aperture per unit section of the memory module in the related art.

도 9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메모리 모듈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모듈에 대해 동작속도 1333Mbps에서 독출 동작을 시뮬레이션한 아이 패턴 다이어그램이다. 9B is an eye pattern diagram simulating a read operation at an operating speed of 1333 Mbps for a memory modu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a memo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메모리 모듈을 시뮬레이션한 아이 패턴 다이어그램에서 단위 구간당 애퍼처는 50.9 퍼센트로 종래 기술에 따른 메모리 모듈의 아이 패턴 다이어그램에서 단위 구간당 애퍼처인 55.7 퍼센트에 비해 약 9.4 퍼센트 향상되었다.Referring to FIG. 9B, the aperture per unit section in the eye pattern diagram simulating the memo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50.9 percent, an improvement of about 9.4 percent compared to the 55.7 percent aperture per unit section in the eye pattern diagram of the conventional memory module. .

도 9c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메모리 모듈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모듈에 대해 동작속도 1600Mbps에서 기입 동작을 시뮬레이션한 아이 패턴 다이어그램이다. FIG. 9C is an eye pattern diagram simulating a write operation at an operating speed of 1600 Mbps for a memory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 memo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메모리 모듈을 시뮬레이션한 아이 패턴 다이어그램에서 단위 구간당 애퍼처는 55.2 퍼센트로 종래 기술에 따른 메모리 모듈의 아이 패턴 다이어그램에서 단위 구간당 애퍼처인 59.9 퍼센트에 비해 약 6.6 퍼센트 향상되었다.Referring to FIG. 9C, the aperture per unit interval in the eye pattern diagram simulating the memo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55.2 percent, which is about 6.6 percent higher than the 59.9 percent aperture per unit interval in the eye pattern diagram of the conventional memory module. .

도 9d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메모리 모듈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모듈에 대해 동작속도 1600Mbps에서 독출 동작을 시뮬레이션한 아이 패턴 다이어그램이다.FIG. 9D is an eye pattern diagram simulating a read operation at an operating speed of 1600 Mbps for a memory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 memo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메모리 모듈을 시뮬레이션한 아이 패턴 다이어그램에서 단위 구간당 애퍼처는 35.3 퍼센트로 종래 기술에 따른 메모리 모듈에서 단위 구간당 애퍼처인 45.8 퍼센트에 비해 약 29.7 퍼센트 향상되었다.Referring to FIG. 9D, the aperture per unit section in the eye pattern diagram simulating the memo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35.3 percent, an improvement of about 29.7 percent compared to the 45.8 percent aperture per unit section in the memory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모듈, 메모리 채널 및 메모리 시스템은 저항성 소자와 이와 병렬로 연결된 용량성 소자를 전송 라인에 연결하여 메모리의 동작 주파수에서 반사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고 신호의 충실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저항성 소자 및 용량성 소자를 별도로 패키지하거나 인쇄 기판의 패턴으로 구현할 수 있어 다양한 설계 방법들을 적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mory module, the memory channel and the memo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reflection loss at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by connecting the resistive element and the capacitive element connected in parallel thereto to the transmission line. The fidelity of the signal can be improv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esistive element and the capacitive element may be separately packaged or implemented as a pattern of a printed board, thereby applying various design method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모듈, 메모리 채널 및 메모리 시스템은 저항성 소자와 이와 병렬로 연결된 용량성 소자를 전송 라인에 연결하여 메모리의 동작 주파수에서 반사 손실을 감소시키고 신호의 충실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저항성 소자 및 용량성 소자를 별도로 패키지하거나 인쇄 기판의 패턴으로 구현할 수 있어 다양한 설계 방법들을 적용할 수 있다. 임피던스 정합부를 이용한 신호의 충실도 향상 기술은 DDR3 메모리 모듈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DDR4 메모리 모듈 등 그 외의 메모리 타입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A memory module, a memory channel, and a memo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 a resistive element and a capacitive element connected in parallel to a transmission line to reduce reflection loss and improve signal fidelity at an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esistive element and the capacitive element may be separately packaged or implemented as a pattern of a printed board, thereby applying various design methods. The signal fidelity improvement technique using the impedance matching unit may be applied to DDR3 memory modules and the like, and may be applied to other memory types such as DDR4 memory modul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understood that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module according to an example embodiment.

도 2는 도 1의 메모리 모듈이 소켓을 통해 메모리 컨트롤러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module of FIG. 1 connected to a memory controller through a socket.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메모리 모듈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모듈의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내는 스미스차트이다.3 is a Smith chart illustrating impedan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frequencies of a memory modu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a memo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메모리 모듈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모듈의 주파수에 따른 반사 손실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return loss according to a frequency of a memory modu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a memo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메모리 모듈의 임피던스 정합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5 to 7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an impedance matching unit of a memory modul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system according to an example embodiment.

도 9a 내지 도 9d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메모리 모듈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모듈에 대해 기입 동작과 독출 동작을 시뮬레이션한 아이 패턴 다이어그램(Eye Diagram)이다.9A to 9D are eye diagrams for simulating a write operation and a read operation for a memory modu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a memo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컴포넌트;A memory component in which data is stored; 상기 메모리 컴포넌트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라인; 및A transmission line for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memory component; And 상기 전송 라인의 경로 상에 형성되며,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정합부를 포함하는 메모리 모듈.And an impedance matching part formed on a path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including a capacitive el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mpedance matching unit 상기 전송 라인의 일부 구간에서 상기 데이터의 전송 방향으로 연결된 저항성 소자; 및A resistive element connected in a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data in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상기 저항성 소자와 병렬로 연결된 상기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And the capacitive element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resistive elemen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저항성 소자 및 상기 용량성 소자는 상기 메모리 모듈의 인쇄기판 외층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The resistive element and the capacitive element are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outer layer of the memory modul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저항성 소자 및 상기 용량성 소자는 서로 분리되어 패키지된 소자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The resistive element and the capacitive element are memory modules, characterized in that separated from each other packaged elements.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저항성 소자 및 상기 용량성 소자는 함께 패키지된 2 포트의 단일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And wherein the resistive element and the capacitive element are single ports of two ports packaged together.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저항성 소자는 상기 인쇄기판 외층에서 연결되며, 상기 용량성 소자는 상기 메모리 모듈의 인쇄 기판의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The resistive element is connected to the outer layer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apacitive element is formed in a pattern of a printed substrate of the memory modu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소자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apacitive element 상기 인쇄기판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저항성 소자의 일단과 연결된 상부 패턴;An upper pattern formed on the printed board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sistive element; 상기 인쇄 기판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패턴; 및A lower pattern formed below the printed board; And 상기 하부 패턴을 상기 저항성 소자의 타단과 연결하는 비아를 포함하는 것을 메모리 모듈.And a via connecting the lower pattern to the other end of the resistive ele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는 상기 메모리 컴포넌트 각각에 대해 상기 데이터의 전송 비트 수 이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The memory module of claim 2, wherein the impedance matching unit is connected to each of the memory components by at least the number of transmission bits of the data. 메모리 셀 어레이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라인;A transmission line for transferring data to the memory cell array; 상기 전송 라인의 일부 구간에서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상기 데이터의 전송 방향으로 연결된 저항성 소자; 및A resistive element connected in a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data for impedance matching in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상기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상기 저항성 소자와 병렬로 연결된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채널.And a capacitive element connected in parallel with said resistive element for said impedance matching.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A memory cell array in which data is stored; 상기 데이터의 기입과 독출을 제어하는 호스트 컨트롤러;A host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writing and reading of the data; 상기 호스트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데이터 버스;A data bus through which data is transferred to the memory cell array under control of the host controller; 상기 데이터 버스의 일부 구간에서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상기 데이터의 전송방향으로 연결된 저항성 소자; 및A resistive element connected in a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data for impedance matching in a portion of the data bus; And 상기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상기 저항과 병렬로 연결된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And a capacitive element connected in parallel with said resistor for said impedance matching.
KR1020080112337A 2008-11-12 2008-11-12 Memory module, memory channel and memory system KR201000532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337A KR20100053291A (en) 2008-11-12 2008-11-12 Memory module, memory channel and memor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337A KR20100053291A (en) 2008-11-12 2008-11-12 Memory module, memory channel and memory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291A true KR20100053291A (en) 2010-05-20

Family

ID=42278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337A KR20100053291A (en) 2008-11-12 2008-11-12 Memory module, memory channel and memor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329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0560B1 (en) Multi-rank partial width memory modules
US9747230B2 (en) Memory rank and ODT configuration in a memory system
US9037809B1 (en) Memory module with circuit providing load isolation and noise reduction
US7010642B2 (en) System featuring a controller device and a memory module that includes an integrated circuit buffer device and a plurality of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US6502161B1 (en) Memory system including a point-to-point linked memory subsystem
US7205789B1 (en) Termination arrangement for high speed data rate multi-drop data bit connections
US7646212B2 (en) Memory system including a power divider on a multi module memory bus
US20040125635A1 (en) Memory system and memory subsystem
TW577086B (en) Memory modules having integral terminating resistors and computer system boards for use with same
US20060146627A1 (en) Memory system having multi-terminated multi-drop bus
US20070247185A1 (en) Memory system with dynamic termination
US6796803B2 (en) Computer system, switch conn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computer system
US8279689B2 (en) Low power termination for memory modules
JP4943136B2 (en) Memory system that can change the configuration of memory modules
KR100448717B1 (en) Memory system
US20050052912A1 (en) Circuit and system for addressing memory modules
US7420818B2 (en) Memory module having a matching capacitor and memory system having the same
KR20100053291A (en) Memory module, memory channel and memory system
US8144481B2 (en) Memory board structure having stub resistor on main board
US20140233335A1 (en) Semiconductor devices
KR20060031109A (en) Multi-rank memory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on-die termination resistance for each memory rank therefor
JP2008503802A (en) High speed memory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